KR20100133211A -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211A
KR20100133211A KR1020090051977A KR20090051977A KR20100133211A KR 20100133211 A KR20100133211 A KR 20100133211A KR 1020090051977 A KR1020090051977 A KR 1020090051977A KR 20090051977 A KR20090051977 A KR 20090051977A KR 20100133211 A KR20100133211 A KR 20100133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teel sheet
sound
outer steel
absorb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348B1 (ko
Inventor
이창용
Original Assignee
이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용 filed Critical 이창용
Priority to KR102009005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3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으로 설치되는 내, 외측 강판 사이에 단열재 및 흡음재를 설치하고, 흡음재 중앙에는 흡음통로가 구비된 흡음구조물을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외측 강판에 형성된 흡음구멍을 통해 흡수된 소음을 흡음구조물의 흡음통로를 따라 흡음재로 이동시켜 소음을 패널 내부에서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한 흡음효과를 대폭 향상시킨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강판과; 상기 내측 강판과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흡음구조물의 흡음구멍과 대응하는 부분에 흡음구멍이 천공되는 사각 형태의 외측 강판과; 상기 내, 외측 강판 중 내측 강판 쪽으로 설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외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흡음구조물이 결합되는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된 흡음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 후면 중 외측 강판을 향하는 쪽 면에 복수의 흡음통로가 형성되면서 설치시 이 흡음통로가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흡음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패널, 단열재, 흡음구조물, 흡음재, 강판

Description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DOUBLE SANDWICH PANEL FOR BUIL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벽체, 칸막이, 천장, 지붕용에 사용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 외측 강판 사이에 흡음재와 단열재를 동시에 설치하고 흡음재 내부에 소음을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는 흡음통로가 마련된 흡음구조물을 설치하여 패널의 전후 또는 어느 일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외측 강판의 흡음구멍과 흡음구조물의 흡음통로를 거쳐 최종 흡음재로 이동시켜 패널 내부에서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샌드위치패널의 외면을 이루는 2겹의 프린트 강판(101, 105) 사이에 흡음 및 단열을 위한 충전재(102, 104)가 부착되고, 이 충전재(102, 104)의 내측에 또 하나의 격판(103)이 개재되며, 상기 외측의 프린트 강판(101, 105)의 일면에는 흡음구멍(106)이 일 정한 패턴으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바 있다(실용신안등록 제20-0359035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은, 흡음 및 단열을 위한 충전재(102, 104)의 흡음효과가 떨어지고, 소음이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기 쉬우므로 차음성 및 흡음성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흡음 및 단열을 위한 충전재(102, 104)의 밀도가 높고 단단하여 소음이 다른 공간으로 전달되기 쉬워 차음 및 흡음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내, 외측 강판 사이에 단열재와 흡음재는 물론 흡음통로가 구비된 흡음구조물을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단일 및 복합 재료를 사용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보다 우수한 단열성 및 흡음성을 제공함은 물론 2가지 이상의 기능성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 외측 강판 사이에 흡음재와 단열재를 동시에 설치하고 흡음재 내부에 소음을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는 흡음통로가 마련된 흡음구조물을 설치하여 패널의 전후 또는 어느 일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측 강판의 흡음구멍을 거쳐 흡음구조물의 흡음통로를 따라 흡음재에 도달되게 유도함으로써, 차음 및 흡음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패널 내부에 제습제나 방향제 등과 같은 기능성 재질을 결합함으로써 패널의 다양한 기능성을 추가하고, 단열성이 뛰어난 재질 및 흡음성이 뛰어난 재질을 혼합하여 기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흡음재에 덮개를 씌움으로써 흡음재의 분진이 패널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강판과; 상기 내측 강판과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흡음구조물의 흡음구멍과 대응하는 부분에 흡음구멍이 천공되는 사각 형태의 외측 강판과; 상기 내, 외측 강판 중 내측 강판 쪽으로 설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외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흡음구조물이 결합되는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된 흡음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 후면 중 외측 강판을 향하는 쪽 면에 복수의 흡음통로가 형성되면서 설치시 이 흡음통로가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흡음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는, 상기 외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재 및 흡음구조물과 대향되는 동일 구조의 흡음재 및 흡음구조물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강판은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와 요철형태의 외측 강판 사이에는 단열재와 요철형태의 외측 강판 사이의 공간에 부합되는 흡음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강판에만 흡음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내, 외측 강판 모두에 흡음구멍을 형성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강판의 외측 표면에는, 벽지, 페인트, 타일, 대리석, 방수코팅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강판은 아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는 난연성 우레 탄 보드로 구성되고, 상기 흡음재는 난연성 유리섬유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재에 덮개를 씌워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내, 외측 강판 사이에 단열재와 흡음재는 물론 흡음통로가 구비된 흡음구조물을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단일 및 복합 재료를 사용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보다 우수한 단열성 및 흡음성을 제공함은 물론 2가지 이상의 기능성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2. 내, 외측 강판 사이에 흡음재와 단열재를 동시에 설치하고 흡음재 내부에 소음을 세로 또는 가로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는 흡음통로가 마련된 흡음구조물을 설치하여 패널의 전후 또는 어느 일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측 강판의 흡음구멍을 거쳐 흡음구조물의 흡음통로를 따라 흡음재에 도달되게 유도함으로써, 차음 및 흡음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3. 패널 내부에 제습제나 방향제 등과 같은 기능성 재질을 결합함으로써 패널의 다양한 기능성을 추가하고, 단열성이 뛰어난 재질 및 흡음성이 뛰어난 재질을 혼합하여 기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흡음재에 덮개를 씌움으로써 흡음재의 분진이 패널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강판과; 상기 내측 강판과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흡음구조물의 흡음구멍과 대응하는 부분에 흡음구멍이 천공되는 사각 형태의 외측 강판과; 상기 내, 외측 강판 중 내측 강판 쪽으로 설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외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흡음구조물이 결합되는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된 흡음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 후면 중 외측 강판을 향하는 쪽 면에 복수의 흡음통로가 형성되면서 설치시 이 흡음통로가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흡음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는, 상기 외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재 및 흡음구조물과 대향되는 동일 구조의 흡음재 및 흡음구조물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강판은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와 요철형태의 외측 강판 사이에는 단열재와 요철형태의 외측 강판 사이의 공간에 부합되는 흡음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강판에만 흡음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내, 외측 강판 모두에 흡음구멍을 형성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강판의 외측 표면에는, 벽지, 페인트, 타일, 대리석, 방수코팅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강판은 아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는 난연성 우레 탄 보드로 구성되고, 상기 흡음재는 난연성 유리섬유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재에 덮개를 씌워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강판(10)과, 이와 동일하며 대응하여 대향 설치되는 외측 강판(11)과, 상기 내, 외측 강판(10, 11)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20) 및 흡음재(30)와, 상기 흡음재(30) 중앙에 설치되는 흡음구조물(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 외측 강판(10, 11)은, 단열재(20) 및 흡음재(30)를 설치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재질은 아연강판이며 강판의 두께는 대략 0.5㎜ 내외의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내, 외측 강판(10, 11)은, 단열재(20) 및 흡음재(30)의 결합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만일 단열재(20)의 재질이 발포 우레탄일 경우 우레탄의 발포 성질에 의해 자연스럽게 단열재(20)와 결합 된다.
또한, 상기 내측 강판(10)의 바깥쪽 표면에는 용도에 따라 페인트나 방수코 팅을 도포하거나 타일, 대리석과 같은 다양한 건축자재를 부착할 경우, 흡음을 요하는 장소에 별도의 마감작업 없이 패널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패널의 디자인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측 강판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강판(11)은, 내측 강판(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흡음구조물(40)과 대응하는 외측 강판(11)의 가운데 부위에는 흡음구멍(12)이 형성되며 이 흡음구멍(12)을 통해 공기 및 소음이 패널 내부로 흡수된다.
상기 단열재(20)는, 보온을 하거나 열을 차단할 목적으로 쓰는 재료로서 열이 전도하기 어려운 유리섬유, 코르크, 발포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료들을 쓸 수 있으나 단열성과 난연성이 뛰어난 난연성 우레탄 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20)의 재질로 우레탄 보드를 사용하는 것은, 단열성이 뛰어나므로 샌드위치 패널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단열재(20)는 내, 외측 강판(10, 11) 중 흡음구멍(12)이 형성되지 않은 내측 강판(10) 쪽에 밀착하여 설치된다.
상기 흡음재(30)는, 일반적으로 소리를 흡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축재료 로서 구조에 따라 다공질 흡음재와 판상(板狀) 흡음재로 나뉘는데, 전자는 표면과 내부에 작은 기포(氣泡) 또는 가는 관(管) 모양의 구멍이 있고 이 구멍 속의 공기가 음파에 의해 진동하여 생긴 마찰 때문에 소리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어 흡수되는 것이고, 후자는 음파가 판을 진동시키면서 소리에너지를 소모하게 하여 흡음 효과를 얻는다.
흡음재(30)의 재료로는 베니어판·석고판·섬유판·석면판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난연성을 고려하여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음재(30)는 단열재(20)와 외측 강판(1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재질을 유리섬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흡음구조물(40)과 밀착되는 안쪽 측면 부위에 소리만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의 덮개(미도시)를 씌워 흡음재(30)의 분진이 외부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흡음재(30) 전체를 덮개로 감쌀 수도 있으나 흡음재(30)의 안쪽 측면만 덮개로 감싸는 것이 효율적이다.
상기 덮개 재질로 얇은 글라스 울이나 압축 폴리에스터 보드, 직물시트 등을 사용할 경우, 섬유사 사이를 통해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므로 패널 내부로 소음은 흡수되나 흡음재(30)의 분진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흡음재(30)는 난연성 및 제습성을 동시에 가지는 유, 무기 재료 또는 직물 시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습제가 결합한 흡음재(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기 중의 수 분이 공기와 접촉하면서 소음과 함께 외측 강판(11)의 흡음구멍(12)을 통해 흡수되고, 다시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를 따라 제습제가 결합된 흡음재(30)로 이동하게 된다.
이 수분은 흡음재(30)에 흡착되었다가 공기가 건조해지면 수분이 탈착되어 공기 중에 수분을 날려 보내는 가습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흡음재(30)에 방향제를 결합할 경우에는, 수분의 탈착 작용과 같이 방향제가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를 지나 외측 강판(11)의 흡음구멍(12)을 통해 실내의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는 등 방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음구조물의 발췌 사시도이다.
상기 흡음구조물(40)은, 흡음재(30) 중앙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 후면 중 외측 강판(11) 쪽을 향하는 면에는 흡음구멍(12)과 대응되는 흡음통로(41)가 형성된다.
물론, 흡음구조물(40)의 결합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조립방향이 다르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흡음구조물(40)의 양면에 흡음통로(4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흡음구조물(40)을 가로 방향으로 설치할 경우, 흡음통로(41) 또는 가로방향이므로 바닥과 천장에서 발생하는 충격음과 같이 좌우로 작용하는 소음이 흡음통로(41)를 따라 좌, 우로 분산되면서 흡음구조물(40)의 좌, 우에 밀착설치된 흡음 재(30)로 이동 흡수되어 소멸 된다.
또한, 흡음구조물(40)을 세로방향으로 설치할 경우, 흡음통로(41) 또한 세로방향이 되므로 아이들이 뛰어노는 충격음과 같이 위, 아래로 작용하는 소음이 흡음통로(41)를 따라 상, 하로 분산되면서 흡음구조물(40)의 상, 하에 밀착설치된 흡음재(30)로 이동 흡수되어 소멸 된다.
여기서, 흡음구조물(40)이 가로로 설치될 경우에는 흡음재(30)가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되고, 흡음구조물(40)이 세로로 설치될 경우에는 흡음재(30)가 흡음구조물(40)의 위, 아래 양측으로 설치된다.
물론, 흡음구조물(40)이 가로로 설치될 경우에는 흡음통로(41) 또한 가로방향으로 위치되고 흡음구조물(40)이 세로로 설치될 경우에는 흡음통로(41) 또한 세로방향으로 위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나 외측 강판(11)과 단열재(20) 사이에 흡음재(30) 및 흡음구조물(40)이 설치되는 구성이 상이하다.
즉, 단열재(20)가 가운데 위치하도록 단열재(20)의 전, 후로 흡음재(30) 및 흡음구조물(40)이 대칭 결합되는 구조로서, 단열재(20)와 외측 강판(11) 사이에 결합되는 흡음재(30) 및 흡음구조물(40)과 대응하는 동일한 흡음재(30) 및 흡음구조물(40)이 내측 강판(10)과 단열재(20) 사이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흡음구조물(40)이 내, 외측 강판(10, 11)과 대응하여 전, 후로 설치될 경우 내, 외측 강판(10, 11)에는 당연히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에 대응되는 흡음구멍(12)이 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나 외측 강판(11)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외측 강판(11)을 요철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측 강판(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외측 강판(11) 내부의 오목한 부위에 더 두꺼운 흡음재(30)를 내장할 수 있어 흡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강판(11)이 요철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단열재(20)와 외측 강판(11) 사이에 결합되는 흡음재(30)의 형태 또한 일반적인 흡음재(30)와는 달리 단열재(20)와 외측 강판(11) 사이의 공간에 부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패널이 불연성 또는 난연성 기능을 갖도록 내, 외측 강판(10, 11) 사이에 아티론시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아티론시트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수지에 발포제 및 난연제 또는 불연제를 배합하여 압출 발포시킨 후 냉각한 판상의 반경질 발포체로서, 단열성, 내수성, 완충성, 내약품성, 난연성 또는 불연성 등의 우수한 성질과 경량성 및 작업성이 편리하여 토목, 건축 및 산업용 단열재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티론시트 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측 강판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음구조물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외부에서 소음이 발생하면 외측 강판(11)의 흡음구멍(12)을 통해 소음이 흡수되고, 이 흡수된 소음은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를 따라 좌, 우로 분산되어 흡음구조물(40)의 좌, 우로 배치된 흡음재(30)로 이동하게 되며, 흡음재(30)에 도달한 소음은 흡음재(30) 내부로 흡수되어 소멸 된다.
만일, 흡음구조물(40)이 세로로 설치된 패널이 시공된 경우에는, 소음이 외측 강판(11)의 흡음구멍(12)으로 흡수되어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를 따라 상, 하로 분산되어 흡음구조물(40)의 상, 하로 배치된 흡음재(30)로 이동하게 되고, 흡음재(30)에 도달한 소음은 흡음재(30) 내부로 흡수되어 소멸 된다.
이와 같이 아이들이 뛰어노는 충격음과 같이 위, 아래로 빠르게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하고 싶을 경우에는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패널을 시공하고, 바닥과 천장과 같이 옆으로 흐르는 소음을 흡음하고 싶을 경 우에는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패널을 시공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재(30) 및 흡음구조물(40)이 단열재(20)를 기준으로 상, 하로 대칭설치되는 구조로서, 이와 같은 구조의 패널은 내, 외측 강판(10, 11)에 모두 흡음구멍(12)이 형성되어 있어 소음이 내, 외측 강판(10, 11)의 흡음구멍(12)을 통해 흡수되면 전, 후 양측에 설치된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를 따라 흡음재(30)로 이동하고 흡음재(30)에 도달한 소음은 흡음재(30) 내부로 흡수되어 소멸 된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전, 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동시에 흡수하여 소멸시키므로 더욱 향상된 흡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패널(11)의 흡음구멍(12)을 통해 흡수된 소음은 흡음구조물(40)의 흡음통로(41)를 따라 흡음재(30)로 이동하고 흡음재(30)에 도달한 소음은 흡음재(30) 내부로 흡수되어 소멸 된다.
또한, 제3실시예는 외측 강판(11)이 요철 형태로 형성되므로 외측 강판(11)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 강판(11) 내부의 오목한 부위에 결합되는 흡음재(30)는 일반적인 흡음재(30)의 두께보다 두껍고 면적이 넓기 때문에 흡음효과를 배가할 수 있으며, 흡음재(30) 또한 외측 강판(11)에 부합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외측 강판(11)에 결합되므로 흡음재(30)와 외측 강판(11)의 결합력이 일반적인 패널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하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측 강판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음구조물의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내측 강판 11:외측 강판 12:흡음구멍
20:단열재 30:흡음재 40:흡음구조물
41:흡음통로

Claims (7)

  1.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강판과;
    상기 내측 강판과 대향 설치되는 것으로서, 흡음구조물의 흡음구멍과 대응하는 부분에 흡음구멍이 천공되는 사각 형태의 외측 강판과;
    상기 내, 외측 강판 중 내측 강판 쪽으로 설치되는 단열재와;
    상기 외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흡음구조물이 결합되는 공간을 두고 설치되는 흡음재와;
    상기 좌, 우 양측으로 설치된 흡음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 후면 중 외측 강판을 향하는 쪽 면에 복수의 흡음통로가 형성되면서 설치시 이 흡음통로가 가로 또는 세로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흡음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는, 상기 외측 강판과 단열재 사이에 설치되는 흡음재 및 흡음구조물과 대향되는 동일 구조의 흡음재 및 흡음구조물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강판은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와 요철형태의 외측 강판 사이에는 단열재와 요철형태의 외측 강판 사이의 공간에 부합되는 흡음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강판에만 흡음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내, 외측 강판 모두에 흡음구멍을 형성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강판의 외측 표면에는, 벽지, 페인트, 타일, 대리석, 방수코팅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강판은 아연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재는 난연성 우레탄 보드로 구성되고, 상기 흡음재는 난연성 유리섬유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에 덮개를 씌워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KR1020090051977A 2009-06-11 2009-06-11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KR101177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77A KR101177348B1 (ko) 2009-06-11 2009-06-11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77A KR101177348B1 (ko) 2009-06-11 2009-06-11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211A true KR20100133211A (ko) 2010-12-21
KR101177348B1 KR101177348B1 (ko) 2012-08-30

Family

ID=4350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977A KR101177348B1 (ko) 2009-06-11 2009-06-11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1368A1 (zh) * 2015-10-30 2017-05-04 匡海云 自然通风降噪玻璃
CN108915080A (zh) * 2018-07-26 2018-11-30 淮安市扬子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防火型钢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5884B2 (ja) 1993-12-10 1998-02-18 日東紡績株式会社 透光性吸音体
KR200203659Y1 (ko) 2000-06-29 2000-11-15 동신중공업주식회사 건축용 흡음패널
KR100848576B1 (ko) 2007-06-27 2008-07-25 김용일 충격흡수용 차음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1368A1 (zh) * 2015-10-30 2017-05-04 匡海云 自然通风降噪玻璃
CN108915080A (zh) * 2018-07-26 2018-11-30 淮安市扬子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防火型钢结构
CN108915080B (zh) * 2018-07-26 2024-05-28 淮安市扬子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防火型钢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348B1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8942B (zh) 建筑用的楼层间隔音/减震材料
KR200432661Y1 (ko) 건축용 단열재
KR20090019087A (ko)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101195787B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1177348B1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KR20110001650A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KR100604411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KR200398588Y1 (ko) 다층건축물의 층간차음판
CN112238658A (zh) 一种高强度吸音隔音复合板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JP5520615B2 (ja) 室の防音構造
JP2002201734A (ja) 耐火建物構造
JP2004211440A (ja) 壁構造
KR100555129B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200359035Y1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패널
KR20080051242A (ko) 내화성을 갖는 방화문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JPH09296538A (ja) 表面材が不燃性で、内部構造に断熱層及び空気循環路と 結露流水路を備えた複合構造体
CN212836080U (zh) 拼接式墙体吸声结构
KR102271353B1 (ko) 불연성 단열 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7385A (ko) 준 불연 건축용 벽체
CN215054511U (zh) 一种保温效果好的保温墙板
KR102139231B1 (ko) 멀티기능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멀티기능형 실내장식용 패널
KR200431427Y1 (ko) 부직포를 포함하는 건축용 층간 차음/완충재
KR100914333B1 (ko) 층간 소음 및 진동 저감 부재와 이를 사용한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