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659Y1 - 건축용 흡음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흡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59Y1
KR200203659Y1 KR2020000018599U KR20000018599U KR200203659Y1 KR 200203659 Y1 KR200203659 Y1 KR 200203659Y1 KR 2020000018599 U KR2020000018599 U KR 2020000018599U KR 20000018599 U KR20000018599 U KR 20000018599U KR 200203659 Y1 KR200203659 Y1 KR 2002036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panel
building
opening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승
Original Assignee
동신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신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3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holes in their 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42Tray type elements
    • E04B2001/8447Tray type elements with two facing t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패널의 지지응력이 감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음기능을 갖는 흡음부재를 패널의 내부에 대부분 충진시킴으로써 그 흡음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흡음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기본 골재 및 벽체, 지붕재가 기(旣)완성된 구조물에 있어서 흡음력만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그 일면이 전체적으로 천공되도록 한 건축용 흡음패널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면 각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지지재를 각각 박형타입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양측 표면부재중 실내측에 위치한 일측 표면부재의 표면에 다수의 개공이 각각 군을 형성하여 천공되고,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에 부착된 각 지지재의 내부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흡음부재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개공은 상기 표면부재의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일정한 수의 개공이 형성된 다수의 개공군이 형성되며 각 개공군의 사이에는 일정길이 개공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부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패널에 대한 압축응력 및 휨응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그 내부에 구성되는 흡음부재의 크기 및 양을 확대함과 동시에 실내방향으로 천공된 개공을 군단위로 묶어 다수의 개공군이 강판으로 이루어진 표면부재로 존재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그 흡음효과가 월등히 우수해지며, 패널외부의 외력에 대한 압축응력 및 휨응력도 매우 향상되게 되어 우수한 흡음효과 및 건축물자체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흡음패널{Achitecturing panel for absorption sound}
본 고안은 건축용 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음(音)을 흡수할 수 있는 흡음부재를 구비하고 그 외부 강판에 천공된 개공을 패널의 지지응력이 최대가 되도록 설계한 건축용 흡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패널의 경우에는 강판 등으로 지지응력을 부여하는 표면부재의 사이에 내부 지지응력을 부여하는 폴리우레탄폼 등의 단열재를 충진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건축용 패널은 단열, 보온효과가 우수하므로 에너지 절약, 견고한 강도, 경제적인 시공비용, 위생적인 환경유지 등의 차원에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건축용 패널은 소음이 특히 많이 발생되는 강당, 체육관, 각종 공장, 주차장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건축용 패널의 내측 표면부재에 대해 음반사 및 공명현상이 발생되어 이에 실내작업성 및 안락성이 현저하게 나빠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측 표면부재의 표면에 흡음목적의 표면처리시공을 별도로 행하거나 아니면 긴 천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매달아두거나 하여 음반사의 반사율을 저감시켜 실내의 공명현상을 방지하였으나 이는 시공의 난이도가 매우 높으며 그 공명현상 방지의 효과가 매우 미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그 내부에 별도의 흡음부재를 내장한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이 개발 제작되고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a는 종래의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건축용 패널을 B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먼저,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2)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4)의 내부에 폴리우레탄폼 등의 지지재(10)를 충진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건축용 패널에 있어서, 양측 표면부재(4, 4')중 실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일측 표면부재(4)의 전체면에 다수의 개공(6)을 형성하고, 개공(6) 부위의 내측엔 흡음보드(8)을 설치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2)은 실내측의 내부에 상기 흡음보드(8)가 설치된 개공(6)부위가 위치되므로 실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이들 개공(6)에 도달하게 되고 개공(6)을 경유 상기 흡음보드(8)에 이르러 흡수가 되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은 실제 흡음기능을 갖는 글라스울(Glass Wool)의 지지응력이 폴리우레탄폼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천공된 부분에 소량으로만 구비되게 하고, 상기 글라스울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그 패널의 지지응력을 높이는 폴리우레탄폼이 상기 흡음패널 내부의 대부분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흡음력은 현저하게 감소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패널의 지지응력이 감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음기능을 갖는 흡음부재를 패널의 내부에 대부분 충진시킴으로써 그 흡음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흡음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기본 골재 및 벽체, 지붕재가 기(旣)완성된 구조물에 있어서 흡음력만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그 일면이 전체적으로 천공되도록 한 건축용 흡음패널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건축용 패널을 B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는 도 3의 건축용 패널을 B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흡음패널, 4,4':표면부재,
6,6':개공, 8,8':흡음부재,
10:지지부재, 12a,12b:개공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면 각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지지재를 각각 박형타입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양측 표면부재중 실내측에 위치한 일측 표면부재의 표면에 다수의 개공이 각각 군을 형성하여 천공되고,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에 부착된 각 지지재의 내부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흡음부재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흡음패널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공은 상기 표면부재의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일정한 수의 개공이 형성된 다수의 개공군이 형성되며 각 개공군의 사이에는 일정길이 개공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부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패널에 대한 압축응력 및 휨응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흡음패널.건축용 흡음패널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a는 도 3의 건축용 패널을 B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의 저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4, 4')의 내측면 각각에 박형타입으로 지지재(10)를 부착하는 바, 상기 지지재(10)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양측 표면부재(4, 4')중 실내측에 위치한 일측 표면부재(4)의 표면에 다수의 개공(6')이 각각 군을 형성하여 천공되고, 양측 표면부재(4, 4')의 내측에 부착된 각 지지재(10)의 내부에는 글라스울(Glass Wool)로 이루어진 흡음부재(8')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되도록 한다.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의 양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지지재(10)는 박형타입으로 하고 상기 각 지지재(10)의 내측에 충진되는 흡음부재(8')는 후형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흡음패널에 비하여 월등한 흡음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음부재(8')를 후형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의 압축응력 및 휨응력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개공(6')을 각각 군단위로 형성하고 그 개공군(12)과 이웃하는 개공군의 사이에는 개공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개공(6')은 실내측의 상기 표면부재(4)의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일정한 수의 개공(6')이 형성된 다수의 개공군(12)이 형성되며 각 개공군(12)의 사이에는 일정길이(A, A')만큼 개공(6')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부재(4)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흡음패널(2')에 대한 압축응력 및 휨응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공(6')은 실내측의 상기 표면부재(4)의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일정한 수의 개공(6')이 형성된 다수의 개공군(12a)이 형성되며 각 개공군(12a)의 대각선 방향으로 또 다른 개공군(12b)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개공군(12a)의 행방향과 열방향에는 일정길이(A, A')만큼 개공(6')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부재(4)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축응력 및 휨응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건축물의 기본 골재 및 벽체, 지붕재가 기(旣)완성된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 단지 흡음력만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내장재의 형태로 흡음패널을 부착시킬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면이 전체적으로 천공된 흡음패널(2')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4, 4')의 내측면 각각에 박형타입으로 지지재(10)를 부착하는 바, 상기 지지재(10)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양측 표면부재(4, 4')중 실내측에 위치한 일측 표면부재(4)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다수의 개공(6')이 천공되고, 양측 표면부재(4, 4')의 내측에 부착된 각 지지재(10)의 내부에는 글라스울(Glass Wool)로 이루어진 흡음부재(8')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된다.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의 양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지지재(10)는 박형타입으로 하고 상기 각 지지재(10)의 내측에 충진되는 흡음부재(8')는 후형타입으로 형성되며, 실내로 향하는 상기 표면부재(4) 면에 전체적으로 다수개의 개공(6')이 형성되어 기존의 흡음패널에 비하여 월등한 흡음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4, 4')의 내측면 각각에 박형타입으로 지지재(10)를 부착하며, 상기 양측 표면부재(4, 4')중 실내측에 위치한 일측 표면부재(4)의 표면에 다수의 개공(6')이 각각 군을 형성하여 천공되게 하고, 양측 표면부재(4, 4')의 내측에 부착된 각 지지재(10)의 내부에는 글라스울(Glass Wool)로 이루어진 흡음부재(8')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의 내부에서 실제로 흡음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흡음부재(8')가 기존의 흡음패널보다 훨씬 두껍게 형성되어 흡음력이 매우 월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에 발생되는 외력에 대하여 실제 압축응력 및 휨응력을 갖는 상기 표면부재(4)의 압축응력 및 휨응력의 손실을 막기 위하여 상기 표면부재(4)의 실내방향으로 천공된 상기 개공(6')을 각각 군단위로 형성하고 그 개공군(12a)과 이웃하는 개공군(12b)의 사이에는 개공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부재(4)를 그대로 보존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개공(6')은 실내측의 상기 표면부재(4)의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일정한 수의 개공(6')이 형성된 다수의 개공군(12)이 형성되며 각 개공군(12)의 사이에는 일정길이(A, A')만큼 개공(6')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부재(4)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공(6')은 실내측의 상기 표면부재(4)의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일정한 수의 개공(6')이 형성된 다수의 개공군(12a)이 형성되며 각 개공군(12a)의 대각선 방향으로 또 다른 개공군(12b)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개공군(12a)의 행방향과 열방향에는 일정길이(A, A')만큼 개공(6')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부재(4)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축응력 및 휨응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즉, 실내측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은 상기 표면부재(4)의 개공(6')을 통하여 그 내부의 흡음부재(8')에 도달되며 이때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의 내부에 꽉차게 충진된 상기 흡음부재(8')를 통해 그 소음이 흡수되게 되므로 흡음효과가 매우 높아지며, 동시에 상기 건축용 흡음패널(2')의 실내방향의 표면부재(4)에 형성된 상기 개공(6')과 개공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A, A')이 서로 이웃하므로 전체가 개공부로 형성된 종래의 흡음패널에 비하여 그 압축응력 및 휨응력이 매우 우수해지므로 외부로부터 응력을 과다하게 받는 지붕의 시공에도 매우 안전하다.
또한, 지지력이 필요한 건축구조물의 기본 골재 및 벽체, 지붕재로 상기 흡음패널(2')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단지 기존 벽체에 부착되어 흡음을 위한 흡음내장재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방향의 그 표면부재(4) 전체에 개공(6')이 형성된 흡음패널(2')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흡음패널(2')의 경우에는 그 내부구조는 도 3 및 도 4a, 도 4b와 동일하나 상기 표면부재(4) 전체에 개공(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흡음력이 보다 우수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흡음패널에 의하면 그 내부에 구성되는 흡음부재의 크기 및 양을 확대함과 동시에 실내방향으로 천공된 개공을 군단위로 묶어 다수의 개공군이 강판으로 이루어진 표면부재로 존재된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그 흡음효과가 월등히 우수해지며, 패널외부의 외력에 대한 압축응력 및 휨응력도 매우 향상되게 되어 우수한 흡음효과 및 건축물자체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면 각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지지재를 각각 박형타입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양측 표면부재중 실내측에 위치한 일측 표면부재의 표면에 다수의 개공이 각각 군을 형성하여 천공되고,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에 부착된 각 지지재의 내부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흡음부재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흡음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공은 상기 표면부재의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일정한 수의 개공이 형성된 다수의 개공군이 형성되며 각 개공군의 사이에는 일정길이 개공이 형성되지 않는 표면부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패널에 대한 압축응력 및 휨응력이 향상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흡음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재는 실내방향 일면의 전체에 다수의 상기 개공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흡음패널.
KR2020000018599U 2000-06-29 2000-06-29 건축용 흡음패널 KR200203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99U KR200203659Y1 (ko) 2000-06-29 2000-06-29 건축용 흡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99U KR200203659Y1 (ko) 2000-06-29 2000-06-29 건축용 흡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59Y1 true KR200203659Y1 (ko) 2000-11-15

Family

ID=1966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99U KR200203659Y1 (ko) 2000-06-29 2000-06-29 건축용 흡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348B1 (ko) 2009-06-11 2012-08-30 이창용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348B1 (ko) 2009-06-11 2012-08-30 이창용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9820B1 (en) Fit-together wall body having improved sound absorbing and screening performance and a fitted-together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US5740649A (en) False ceiling
CA2356526C (en) Grooved construction beam
US4842097A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KR200203659Y1 (ko) 건축용 흡음패널
KR200398588Y1 (ko) 다층건축물의 층간차음판
KR100693194B1 (ko) 경량칸막이 벽체 구조
KR100768520B1 (ko) 방음패널의 시공구조
JP2950410B2 (ja) 換気通路付き高断熱外壁用パネル及び換気通路付き高断熱外壁用パネルによる外装下地施工方法
JP4427099B2 (ja) 乾式間仕切壁構造
JP2004068299A (ja) 建物における内装の吸音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建築用内装パネル
KR200380186Y1 (ko) 건축용 단열보드
KR200394319Y1 (ko) 건축용 스티로폼 패널
KR0126262Y1 (ko)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
JP2883969B2 (ja) 外壁パネル
KR20050090167A (ko) 다층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바닥구조
KR20050021084A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CN220598971U (zh) 一种装配式建筑墙板装饰用保温隔音结构
KR200251852Y1 (ko) 흡음기능을 갖는 건축용 패널
JP2002070214A (ja) 建築物の壁面構造および壁面施工方法
RU2112116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KR200359829Y1 (ko) 방음 패널
KR200203660Y1 (ko) 다기능 건축용 패널
KR200266613Y1 (ko) 목조주택용 벽체구조
KR200223708Y1 (ko) 다기능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