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660Y1 - 다기능 건축용 패널 - Google Patents

다기능 건축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660Y1
KR200203660Y1 KR2020000018603U KR20000018603U KR200203660Y1 KR 200203660 Y1 KR200203660 Y1 KR 200203660Y1 KR 2020000018603 U KR2020000018603 U KR 2020000018603U KR 20000018603 U KR20000018603 U KR 20000018603U KR 200203660 Y1 KR200203660 Y1 KR 200203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insulation
building panel
panel
insulation material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승
Original Assignee
동신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신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6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건축용 패널의 표면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폴리우레탄폼을 부착시키고 그 폴리우레탄폼의 내부에 글라스울을 충진시킴으로써 내화성 및 지지응력을 동시에 향상시킨 다기능 건축용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 4면 각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 1중간단열재를 각각 박형타입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제 1중간단열재의 내부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제 2중간단열재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됨으로써 나사체결시 체결외압에 대한 압축응력 및 비틀림응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그 내측 4면에 제 1중간단열재를 부착하고 그 제 1중간단열재의 내부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제 2중간단열재를 충진시킴으로써 내화성 및 지지응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패널의 길이에 제한없이 패널을 제작할 수 있게 되고, 나사체결시 발생되는 체결외압이나 외력에 의해 패널이 찌그러지거나 비틀어지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다기능 건축용 패널{MULT-FUNCTION ACHITECTURING PANEL}
본 고안은 다기능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내화성이 우수한 제 2중간단열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패널의 외부 압축응력 및 그 지지력이 우수한 제 1중간단열재를 내재하여 단열, 보온, 난연기능 및 외력에 대한 압축응력을 향상시킨 다기능 건축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패널의 경우에는 강판 등으로 지지응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표면부재의 사이에 내부 지지응력 및 단열성을 부여하는 폴리스티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 등의 단열재가 충진되어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건축용 패널은 단열, 보온효과가 우수하므로 에너지 절약, 견고한 강도, 경제적인 시공비용, 위생적인 환경유지 등의 차원에서 각광받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종래의 건축용 패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건축용 패널(2)의 경우에는 그 외부에 방수필름(도시는 생략)이 도포된 강판으로 이루어진 표면부재(4)가 패널(2)의 상/하면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중간단열재(6)가 충진되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중간단열재(6)는 내화성 및 단열성을 갖는 폴리스티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 등의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보온, 내연성이 우수해지고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경제적으로 유리하므로 최근에는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한 건축용 패널(2)은 그 내부의 중간단열재(6)인 폴리스티렌폼 또는 폴리우레탄폼 등이 외력에 대한 압축응력 및 비틀림응력 등의 지지응력이 우수하므로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건축용 패널(2)에 사용되고 있으나, 폴리스티렌폼 및 폴리우레탄폼은 그 재질의 특성상 지지응력은 우수하나 내화성 또는 내연성이 글라스울(Glass Wool)보다 떨어지는 불리함이 있다.
반면에, 건축용 패널의 중간단열재(6)로 글라스울을 패널의 내부에 충진시킨 건축용 패널(2)이 최근에는 출시되고 있는 바, 상기 건축용 패널(2)의 중간단열재(6)로 글라스울을 충진하는 경우에는 글라스울의 특성상 내화성이 폴리스티렌폼이나 폴리우레탄폼보다 강화되는 반면 외력에 대한 압축응력 및 비틀림응력 등의 지지응력은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건축용 패널(2)의 길이가 그 내부의 글라스울의 지지응력 문제점으로 인해 일정한 길이로 제한되어 제조되므로 다양한 형태 및 길이의 패널제작이 불가능하였으며 시공기간 및 시공비도 상승되는 불리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축용 패널의 표면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폴리우레탄폼을 부착시키고 그 폴리우레탄폼의 내부에 글라스울을 충진시킴으로써 내화성 및 지지응력을 동시에 향상시킨 다기능 건축용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상기한 종래의 건축용 패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건축용패널, 3:다기능건축용패널,
4:표면부재, 8:제1중간단열재,
10:제2중간단열재, 14:골재,
16:지지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 4면 각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 1중간단열재를 각각 박형타입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제 1중간단열재의 내부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제 2중간단열재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됨으로써 나사체결시 체결외압에 대한 압축응력 및 비틀림응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축용 패널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4)의 내측면 각각에 박형타입으로 제 1중간단열재(8)를 부착하는 바, 상기 제1중간단열재(8)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측 표면부재(4) 사이에 충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표면부재(4)의 내측에 둘러싸여 부착된 각 제 1중간단열재(8)의 중앙 내부에는 글라스울(Glass Wool)로 이루어진 제 2중간단열재(10)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되는 바, 상기 제 2중간단열재(10)로 사용되는 글라스울(Glass Wool)은 그 내부에 내연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다층의 유리섬유이므로 내화성이 폴리우레탄폼과 폴리스티렌폼보다 우수하다.
물론, 상기 제 2중간단열재(10)로 사용되는 글라스울은 그 특성상 음(音)의 전달과 공명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표면부재(4)를 통해 전달된 소음을 외부로 전달하지 않으므로 방음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표면부재(4) 양내측에 충진된 상기 제 1 중간단열재(8)는 그 지지강도가 상기 제 2중간단열재(10)보다 크므로 상기 제 2중간단열재(10)에 압축응력 및 비틀림응력을 부여한다. 즉, 내연성 및 내화성은 높지만 지지강도가 작은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상기 제 2중간단열재(10)에 압축응력 및 비틀림응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제 2중간단열재(10)를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표면부재(4)와 상기 제 2중간단열재(10)의 사이에 지지강도가 우수한 상기 제 1중간단열재(8)를 충진시키게 되면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지지강도 특히, 압축응력 및 비틀림응력이 우수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을 건축물의 골재에 나사로 체결하는 시공시 상기 제 1중간단열재(8)가 제 2중간단열재(10)에 압축응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상기 표면부재(4)의 나사체결부위가 외력에 의해 찌그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중간단열재(8)가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내부에서 상기 제 2중간단열재(10)를 둘러싸고 충진되어 있으므로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외부로부터 발생된 비틀림력에 대한 응력을 상기 제 1중간단열재(8)와 그 내부에 충진된 제 2중간단열재(10)에 부여되어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이 벽체로 사용될 때 지지강도가 향상된다.
특히, 상기 표면부재(4)의 '∪' 형태의 돌출부의 내측면에도 상기 제 1중간단열재(8)가 충진되게 되므로 상기 돌출부를 매개로 나사가 체결되게 되면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지지력이 보다 향상되므로 견고하고 안전하게 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조립식 건축물에는 지면에 입설되어 건축물을 지지하는 골재(14)가 구비되는 바, 상기 골재(14)는 강철로 구성된 H빔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14)의 건축물 외향측면에는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이 부착될 수 있는 지지대(16)가 골재(14)의 외측면을 따라 체결되고 상기 지지대(16)의 외측면에는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이 공지의 나사(12)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상기한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표면부재(4)의 외측면으로부터 나사(12)가 체결될 때 발생되는 외압을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 1중간단열재(8)가 받아 내게 된다.
즉,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내부에 흡음을 위하여 글라스울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중간단열재(10)만을 충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체결외압을 견디지 못하고 상기 표면부재(4)가 찌그러지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의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은 그 패널(3)의 내부에 구비된 제 2중간단열재(10)인 글라스울의 지지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중간단열재(8)가 상기 제 2 중간단열재(10)를 둘러싸게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을 나사로 체결할 때 발생되는 체결외압에 의해 그 표면부재(4)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양측 표면부재(4) 내측에 4면에 부착된 각 제 1중간단열재(8)의 내부에는 글라스울(Glass Wool)로 이루어진 제2중간단열재(10)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되는 바, 상기 제2중간단열재(10)로 사용되는 글라스울(Glass Wool)은 그 내부가 다층의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며 그 형태가 찌부러진 벌집의 형상으로 얽히고 설켜 있으므로 실내측의 상기 표면부재(4)의 표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음(音)의 전달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기능 건축용 패널(3)의 양측면에 별도의 장식재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바, 예컨대 상기 표면부재(4)의 실내향 측면에는 인테리어를 위한 합판을 부착시킬 수 있고, 상기 표면부재(4)의 실외향 측면에는 건축물의 미관을 위하여 별도의 스텐레스 패널(도시는 생략)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건축용 패널에 의하면 그 내측 4면에 제 1중간단열재를 부착하고 그 제 1중간단열재의 내부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제 2중간단열재를 충진시킴으로써 내화성 및 지지응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패널의 길이에 제한없이 패널을 제작할 수 있게 되고, 나사체결시 발생되는 체결외압이나 외력에 의해 패널이 찌그러지거나 비틀어지지 않게 된다.

Claims (1)

  1. 강판으로 이루어진 양측 표면부재의 내측 4면 각각에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 1중간단열재를 각각 박형타입으로 부착시키며, 상기 제 1중간단열재의 내부에 글라스울로 이루어진 제 2중간단열재가 후형타입으로 충진됨으로써 나사체결시 체결외압에 대한 압축응력 및 비틀림응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축용 패널.
KR2020000018603U 2000-06-29 2000-06-29 다기능 건축용 패널 KR200203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03U KR200203660Y1 (ko) 2000-06-29 2000-06-29 다기능 건축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03U KR200203660Y1 (ko) 2000-06-29 2000-06-29 다기능 건축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660Y1 true KR200203660Y1 (ko) 2000-11-15

Family

ID=1966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603U KR200203660Y1 (ko) 2000-06-29 2000-06-29 다기능 건축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6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2348Y1 (ko) 건축용 단열 및 차음 복합패널
KR100970239B1 (ko) 건축물 외벽용 패널
KR200223708Y1 (ko) 다기능 건축용 패널
KR200203660Y1 (ko) 다기능 건축용 패널
KR101868211B1 (ko) 건축용 판넬
JP3216266U (ja) 屋根構造
KR101783688B1 (ko) 공동주택용 현관 바닥의 소음방지 구조
KR200289254Y1 (ko)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JP5965112B2 (ja) 耐火パネル
KR100804090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KR100495041B1 (ko) 바닥구조 내장용 건축재 및 그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0516833B1 (ko) 건축물 내벽 마감용 결로방지 조립식 벽체구조
KR200368375Y1 (ko) 복합 샌드위치 패널
JP2698630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200203659Y1 (ko) 건축용 흡음패널
KR102581990B1 (ko) 실내외용 하이브리드 방음문
CN215054511U (zh) 一种保温效果好的保温墙板
KR200211592Y1 (ko) 건축용 패널
CN210706352U (zh) 一种防火型隔音板
KR20060118839A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WO2004076765A1 (en) Heat and sound insultating building element
CN103883018A (zh) 一种降噪保温防火墙
KR100804091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KR200370361Y1 (ko) 지붕재 복합 샌드위치패널
CN210239508U (zh) 一种石墨改性聚苯板防盗门保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