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254Y1 -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254Y1
KR200289254Y1 KR2020020019474U KR20020019474U KR200289254Y1 KR 200289254 Y1 KR200289254 Y1 KR 200289254Y1 KR 2020020019474 U KR2020020019474 U KR 2020020019474U KR 20020019474 U KR20020019474 U KR 20020019474U KR 200289254 Y1 KR200289254 Y1 KR 200289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ywood
present
wall structur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훈
Original Assignee
삼성건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건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건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9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2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254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주택의 개선된 벽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불연성소재를 부가하여 내화성을 향상시키고, 환경오염물질이면서 가연성물질인 스티로폼의 사용량을 억제하되 이에 대체되는 소재를 내입하므로써 완충성, 단열성, 흡음성등의 기능이 유지 또는 향상되도록 한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제 1특징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외표면에 FRP(23)가 코팅된 외부합판(22), 스티로폼 패널(24), 하니콤 코어(26), 석고보드(28), 내부합판(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이동식주택의 벽체이다.
본 고안의 제 2특징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외표면에 FRP(43)가 코팅된 외부합판(42), 스티로폼 패널(42), 하니콤 코어(46), 내부합판(48), 철망(50), 황토층(5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이동식주택의 벽체이다.

Description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A WALL STRUCTURE OF MOVING DWELLING HOUSE}
본 고안은 이동식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식주택의 개선된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식주택은 일반주택의 기능성을 가지면서 운반에 의한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등의 장점으로 여가용 주택 및 간이 주택용으로 보편화 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식주택의 일예의 구성도로서, 이동식주택은 크게 주택본체(1)와 베이스프레임(3)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3)은 수 개의 건축용 빔을 용접에 의해 연결한 것으로서, 주택본체(1)의 저부에 위치하여 주택본체의 변형을 방지하므로써 본래형체가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주택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 역할을 동시에 하는 일반주택의 기초공사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식주택은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다. 우선, 설치장소의 지반을 정지(整地)하므로써 평활화 한 후, 그 위에 미리 제작된 베이스프레임(3)을 설치하며, 베이스프레임(3)상에는 역시 미리 제작된 주택본체(1)를 안착시킨 후 볼트등에 의해 베이스프레임(3)과 주택본체(1)를 상호 결합하므로써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주택본체(1)가 큰 평형인 경우에는 이동 및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주택본체(1) 및 베이스프레임(3)을 분할 제작한 후 현지에서 조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도면상 은선(L)이 봉합부에 해당된다.
이러한 이동식주택에 있어서, 벽체는 견고성과 단열, 방음 방수등이 양호해야만 주거형 주택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견고성과 내화성등 안정성 조건은 벽체가 가져야 할 필수요건이지만 대부분의 이동식주택은 특히 내화성이 취약하다. 그 이유는 이동식주택의 벽체의 주 소재가 목재이기 때문이다.
즉, 이동식주택의 벽체(10)는 도 2와 같이 외측표면상에 FRP(Fiber Reinforced Plastic)(12)가 코팅된 외측합판(14), 스티로폼(Styrofoam)(16), 내측합판(18)을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하여 구성되는데, 이 경우 벽체의 구성요소가 모두 가연성재료이기 때문에 화재시 전소의 위험성이 있으며, 스티로폼(16)은 흡음성, 완충성, 단열성, 방수성이 양호한 소재이긴 하나 환경오염물질로 분류되어 사용규제대상임을 감안 할 때 감용하는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불연성소재를 부가하여 내화성을 향상시키고, 환경오염물질이면서 가연성물질인 스티로폼의 사용량을 억제하되 이에 대체되는 소재를 내입하므로써 완충성, 단열성, 흡음성등의 기능이 유지 또는 향상되도록 한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식주택의 일예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성도 1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성도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40 : 벽체 22,42 : 외부합판
23,43 : FRP 24,44 : 스티로폼 패널
26,46 : 하니콤 코어 28 : 석고보드
39,48 : 내부합판 50 : 철망
52 : 황토층
제시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 이동식주택의 벽체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외표면에 FRP가 코팅된 외부합판, 스티로폼 패널, 하니콤 코어, 석고보드, 내부합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고안 이동식주택의 벽체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외표면에 FRP가 코팅된 외부합판, 스티로폼 패널, 하니콤 코어, 내부합판, 도배지, 황토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이동식주택의 벽체는 내화성이 강하고, 환경친화적인 소재를 적극 활용하되, 기존의 벽체와 두께가 동일하면서, 흡음성, 완충성, 단열성, 방수성등 기존 벽체의 기능성이 유지 또는 향상되게 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제 1실시예의 벽체(20)는 도 3과 같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외표면에 FRP(23)가 코팅된 외부합판(22), 스티로폼 패널(24), 하니콤 코어(26), 석고보드(28), 내부합판(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스티로폼 패널(24)은 기존에 비해 그 얇기를 최소한 얇게 하되, 줄어든 얇기만큼을 하니콤 코어(26)와 석고보드(28)로 대체하였다. 슬림화 된 스티로폼 패널(24) 만으로는 흡음, 완충, 단열의 기능이 충실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니콤 코어(26)와 석고보드(28)가 이를 보충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하니콤 코어(26)는 수없이 많은 미세 밀실로 이루어져 있어 소리가 퍼져나가지 않고(흡음성), 판 면적이 전부 밀실로 되어 있어 압축강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휨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벽체나 도어의 소재로서 적격이다. 그리고, 불연재료인 석고보드(28)는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서 실내보온 효과가 높고, 단열 및 방음, 방습효과등이 있으나 화재시 스스로 소화되는 자기소화성이 있어 안전성이 있음이 가장 부각되는 부분이다.
제 2실시예의 벽체(40)는 도 4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외표면에 FRP(43)가 코팅된 외부합판(42), 스티로폼 패널(44), 하니콤 코어(46), 내부합판(48), 철망(50), 황토층(5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제 1실시예의 벽체(20)와 유사한 구성을 갖되, 석고보드(28) 대신 황토층(52)으로 대체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황토는 탄산칼슘에 의해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가지고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후 쉽게 붕괴되지 않는 견고성을 자랑한다. 또한, 가장 근본적인 효능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므로써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정화력, 분해력이 있어 인체의 독을 제거해주는 제독제,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때문에 내벽면상에 황토층을 형성할 경우 상기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거주자의 인체건강에 도움이 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철망(50)은 반죽상태의 황토를 미장할 때 벽면에 황토가 강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황토층은 철망(50)에 의해 내부합판(48)상에 점착된 상태로 응고되지만 그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그 자중에 의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되도록 얇게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는 가격적인 면에서 저렴하고, 이에 의해 벽체의 내면을 형성할 경우 낮은 열전도율에 의해 실내보온 효과가 높고 단열 및 방음, 방습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화재시 스스로 소화되는 자기 소화성이 있어 화재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석고보드의 효능과 비등한 것으로서, 대체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이동식주택의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불연성소재를 내장 또는 외장하므로써 내화성을 향상시켜 화재시 전소의 위험을 줄이고, 환경오염물질인 스티로폼의 사용량을 억제하는 대신 환경친화적인 소재를 채택하며, 그러면서도 스티로폼의 기능인 완충성, 단열성, 흡음성등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 것에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표면에 FRP(23)가 코팅된 외부합판(22), 스티로폼 패널(24), 하니콤 코어(26), 석고보드(28), 내부합판(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2.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표면에 FRP(43)가 코팅된 외부합판(42), 스티로폼 패널(42), 하니콤 코어(46), 내부합판(48), 철망(50), 황토층(5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KR2020020019474U 2002-06-27 2002-06-27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KR200289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74U KR200289254Y1 (ko) 2002-06-27 2002-06-27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474U KR200289254Y1 (ko) 2002-06-27 2002-06-27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254Y1 true KR200289254Y1 (ko) 2002-09-16

Family

ID=7307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474U KR200289254Y1 (ko) 2002-06-27 2002-06-27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25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57B1 (ko) * 2007-03-30 2009-03-12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한옥의 벽체구조
KR101069615B1 (ko) 2008-08-08 2011-10-05 김덕규 이동식 황토 집
KR101220211B1 (ko) 2012-05-16 2013-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불연속 복선격자를 활용한 모듈러 코디네이션 설계 방법 및 모듈러 코디네이션 설계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주택
KR101865191B1 (ko) * 2016-12-12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구비한 이동주택
KR102371967B1 (ko) 2022-01-03 2022-03-08 주식회사 디자인아담 견고함과 시공성이 개선된 이동식 주택 시공 시스템
KR20230083415A (ko) 2021-12-03 2023-06-12 주식회사 디자인아담 견고함과 시공성이 개선된 이동식 주택 시공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57B1 (ko) * 2007-03-30 2009-03-12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한옥의 벽체구조
KR101069615B1 (ko) 2008-08-08 2011-10-05 김덕규 이동식 황토 집
KR101220211B1 (ko) 2012-05-16 2013-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불연속 복선격자를 활용한 모듈러 코디네이션 설계 방법 및 모듈러 코디네이션 설계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주택
KR101865191B1 (ko) * 2016-12-12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에 대한 안정성을 구비한 이동주택
KR20230083415A (ko) 2021-12-03 2023-06-12 주식회사 디자인아담 견고함과 시공성이 개선된 이동식 주택 시공 시스템
KR102371967B1 (ko) 2022-01-03 2022-03-08 주식회사 디자인아담 견고함과 시공성이 개선된 이동식 주택 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376B1 (ko) 건축용 기능성 복합패널
KR200289254Y1 (ko) 이동식주택의 벽체구조
CN211396088U (zh) 一种用于室内墙体的隔音降噪结构
CN205296437U (zh) 一种超薄高效的内保温复合板
CN101476368A (zh) 一种多功能复合空心板及其作为建筑材料的用途
KR100768520B1 (ko) 방음패널의 시공구조
CN209145046U (zh) 一种隔音墙板结构
CN211572230U (zh) 一种隔音墙板
CN211007149U (zh) 一种双面尖劈隔音墙
CN205577252U (zh) 一种新型蜂窝复合板材
CN112064887A (zh) 一种多层隔音的装配式硬质墙板
CN207863356U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环保型石膏板
KR100387162B1 (ko) C형강을 이용한 황토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CN220666676U (zh) 一种保温建材
CN103883018A (zh) 一种降噪保温防火墙
CN210706352U (zh) 一种防火型隔音板
CN219794302U (zh) 一种高阻燃保温墙体结构
CN214006096U (zh) 一种隔音式轻钢结构墙体
CN212478265U (zh) 一种房屋建筑施工预制复合板
CN214034508U (zh) 一种用于智慧建筑的保温隔音墙板结构
CN108612342A (zh) 一种多功能泡沫铝夹芯板活动板房
CN210659047U (zh) 一种节能隔音建筑外墙
CN216475852U (zh) 一种防水防腐保温墙板
CN215926380U (zh) 一种具有隔音功能的保温墙
CN218668284U (zh) 一种硅酸钙板基材的环保饰面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