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217A -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 조립체 - Google Patents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217A
KR20100131217A KR1020090049997A KR20090049997A KR20100131217A KR 20100131217 A KR20100131217 A KR 20100131217A KR 1020090049997 A KR1020090049997 A KR 1020090049997A KR 20090049997 A KR20090049997 A KR 20090049997A KR 20100131217 A KR20100131217 A KR 20100131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driven shaft
driven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913B1 (ko
Inventor
김재웅
정두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시스
Priority to KR102009004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9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05Devices for dental prophyl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25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e.g. for cleaning, polishing or cut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구동샤프트와 종동샤프트가 서로 기어 연결된 상태로 서로 교차하는 제1축 및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용되는 하우징에 구동 및 종동샤프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절개부를 형성시키고, 절개부를 덮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이 개시되며, 개시된 프로피 앵글에 따르면 하우징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의 장착이 용이하고,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하우징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치과, 프로피 앵글, 하우징, 구동샤프트, 종동샤프트, 기어, 컵, 브러쉬

Description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 조립체{A PROPHY ANGLE FOR DENTAL TOOL AND PROPHY ANGLE ASSEMBLY}
본 발명은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에 관한 것으로서, 치아 연마에 사용되는 프로피 컵(prophy cup), 브러시(brush) 등에 결합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앵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치과 위생의 한 부분으로서 환자는 주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하여 클리닝 치료를 전문가로부터 받고 있다. 클리닝 치료시에는 전문가에 의해 치아의 치석 등이 연마되어 제거됨으로써 건강한 치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연마는 소위 프로피 컵이라고 하는 작은 러버컵을 사용하여 치아에 프로필락틱 연마 페이스트를 바름으로써 이루어진다. 프로피 컵은 프로필락틱 연마 페이스트로 채워지거나 장전되고, 채워진 컵은 컵이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치아의 표면에 접하여 유지된다.
컵은 프로필락시스(프로피) 앵글이라고 하는 치과용 앵글에 부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즉, 상기 치과용 앵글(이하 프로피 앵글이라 함)은 치과용 회전 핸드피스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회전동력을 컵 또는 브 러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한국공개특허 제2001-0013866호에 개시된 종래의 프로피 앵글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프로피 앵글은,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제1축방향(11)으로 삽입되어 회전되는 구동샤프트(20)와, 하우징(10)에 제1축방향(11)에 교차하는 제2축방향(12)에 대해 종동 회전되게 설치되는 종동샤프트(3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의 일단부(13)는 미도시 된 치과용 핸드피스에 연결되어 구동샤프트(20)가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결합 된다. 하우징(10)의 일단부(13)를 통해서 구동샤프트(20)가 제1축방향(11)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0)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타단부(14)에는 종동샤프트(30)가 구동샤프트(20)에 연결되어 종동회전 될 수 있도록 제2축방향(12)으로 삽입되어 결합 된다. 상기 구동샤프트(20)와 종동샤프트(30) 각각에는 서로 접하는 캠면들이 구비됨으로써, 구동샤프트(20)의 회전력이 캠면들을 통해 종동샤프트(30)로 전달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캠면들을 통해 구동샤프트(20)의 동력을 종동샤프트(30)로 전달하는 방식 이외에도 상호간에 기어를 형성시켜 기어물림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도 널리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에는 상기 구동샤프트(10)가 하우징(10)에서 제1축방향(11)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부재(15)가 결합되고, 구동샤프트(20)에는 래치부재(15)에 간섭되는 스톱플랜지(21)가 형성된다.
상기 종동샤프트(30)의 외측으로 노출된 단부에는 커플러(31)가 형성되어 앞 서 설명한 컵이나 브러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10)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데, 상기 구동샤프트(20)가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0)을 충분한 길이로 제작해야만 한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부의 공간형성을 위한 코어 및 금형 등의 사이즈(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그만큼 사출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샤프트(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래치부재(15)를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품이 증가함은 물론, 하우징(10)의 사출 성형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동샤프트(30)는 하우징(10) 타단부(14)의 측면의 개구(14a)를 통해 제2축방향(12)으로 삽입되어 결합되어 구동샤프트(20)에 연결되는데, 종동샤프트(30)의 하우징(10)에 대한 결합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사용시 종동샤프트(30)가 하우징(10)에서 이탈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동샤프트(30)의 하우징(10)에 대한 결합위치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구동샤프트(20) 또한 래치부재(15)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만 억제된 상태이므로, 실질적으로 구동샤프트(20)와 종동샤프트(30) 간의 결합력(캠 면들 간의 접촉 또는 기어들 간의 물림)이 정확하지 못하여 회전력이 동동샤프트(30)로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고, 구동샤프트와 종동샤프트의 결합 및 연결상태가 개선된 치과용 프로피 앵글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피 앵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프로피 앵글은, 샤프트 몸체의 일단에 확장되게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가지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기어부에 기어 연결되는 종동기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배치되며,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에 치과치료용 컵 또는 브러쉬가 결합되는 종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어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단의 개방구에서 타단의 샤프트 체결구까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체결구에 인접한 선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내부를 개방하는 절개부를 가지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절개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기 제1축과 나란하게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 며,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구동샤프트가 수용되는 하우징부와 목부; 및 상기 목부에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종동샤프트를 수용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에서 상기 절곡부에 걸쳐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장착된 구동샤프트가 상기 개방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리브; 및 상기 구동샤프트의 구동기어부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스토퍼리브와 이격되게 형성된 지지리브;가 각각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그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종동샤프트를 지지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샤프트는, 상기 구동기어부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브러쉬 또는 컵이 결합되는 커플러 및, 상기 종동기어부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환형으로 단차지게 인입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절개부의 내측과 상기 커버부재 각각에는 상호 로킹결합되는 로킹부 및 로킹후크가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것이 좋다 .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절곡부의 외주에는 환형으로 인입 형성된 링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링 결합부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 몸체를 감싸서 지지하는 결합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피 앵글조립체는,
샤프트 몸체의 일단에 확장되게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가지며, 제1축을 기준 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기어부에 기어 연결되는 종동기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배치되며,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에 치과치료용 컵 또는 브러쉬가 결합되는 종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어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단의 개방구에서 타단의 샤프트 체결구까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체결구에 인접한 선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내부를 개방하는 절개부를 가지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절개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앵글과;
상기 종동샤프트의 상기 하우징 몸체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결합되는 치과치료용 컵 또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동샤프트에는 치과치료용 컵이 결합되며, 상기 치과치료용 컵은 그 단부가 나팔형상으로 확장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4개의 돌기가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되고, 컵의 내주면에 대해 찢어져 부분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치과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조립체에 따르면, 절개부를 가지는 하우징 몸체와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를 개방된 절개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한 후에는 커버부재를 하우징 몸체와 결합함으로써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래치부재와 같은 구성을 추가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이 용이하고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구동샤프트와 종동샤프트의 장착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여 안정된 상태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의 기어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유지될 수 있어서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몸체의 절곡부 단부에 결합리브를 형성시켜서 종동샤프트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를 종동샤프트의 외측부분 즉, 커플러와 종동기어부 사이에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동샤프트의 선단에 이탈방지를 위한 리브나 홈 등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종동기어부와 구동기어부의 연결을 위한 설계가 자유롭고, 제품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조립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도 2b,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프로피 앵글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제1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샤프트(20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제1축(X)에 교차하는 제2축(Y)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샤프트(30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 몸체(110)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선단부의 개방된 부분(이하 '절개부'라 함)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몸체(110)는 일단의 개방구(101)로부터 타단의 샤프트 체결구(102)까지 연통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개방구(101)에서 샤프트 체결구(102)까지 하우징부(111), 목부(112) 및 절곡부(113)로 구분될 수 있다. 하우징부(111)는 목부(11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목부(112)와의 경계부분은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목부(112)는 하우징부(111)와 절곡부(113) 사이에 형성되며 소정 길이의 파이프 형으로 형성된다. 목부(112)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샤프트(200)가 개방구(101)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리브(112a)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112a)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지지리브(112b)가 목부(112) 내주에서 환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지지리브(112b)는 스토퍼리브(112a) 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구동샤프트(200)의 구동기어부(210)의 외주를 지지함으로써, 구동기어부(210)의 외주면 전체가 하우징(100) 내부면에 접촉되지 않고 최소한의 접촉면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곡부(113)는 목부(112)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연통되게 형성된다. 절곡부(113)의 끝단 즉, 샤프트 결합구(102)에는 상기 종동샤프트(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113a)가 형성된다. 이 결합리브(113a)는 절곡부(113)의 내경을 절곡부(113) 끝단에서 축소시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우징 몸체(110)에는, 하우징 몸체(100)의 선단부 즉, 목부(112)부터 절곡부(113)에 걸쳐서 일부분을 절개시켜 하우징 몸체(110) 내부를 개방되도록 한 절개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15)를 통해 하우징 몸체(110) 내부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된 절개부(115)를 통해서 상기 구동샤프트(200)와 종동샤프트(300)를 하우징 몸체(110) 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샤프트(200)의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개방된 절개부(115)를 통해서 구동샤프트(200)의 일단부(221)부터 삽입하여 도 3과 같은 상태로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샤프트(200)의 선단에 형성된 구동기어부(210)를 상기 스토퍼리브(112a)에 걸리도록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서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래치부재(15)를 하우징(100)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하우징(100)의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 몸체(110)의 전체 길이를 종래에 비해 짧게 형성시키더라도 구동샤프트(200)를 안정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몸체(110)를 사출 성형시키는 작업공정이 간단하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동샤프트(300)의 경우에도 개방된 절개부(115)를 통해 절곡 부(113)에 용이하게 장착시키되, 상기 결합리브(113a)에 걸리도록 장착시킴으로써 종동샤프트(300)가 하우징(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동샤프트(300)가 하우징(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330)를 종동샤프트(300)의 선단쪽 축(340)에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구동샤프트(200)의 구동기어부(210)와 종동샤프트(300)의 종동기어부(310)의 기어연결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절개부(115)는 상기 커버부재(120)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커버부재(120)가 소위 원터치 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로킹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로킹부(130)는 목부(1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로킹돌기(131)를 구비한다. 상기 로킹돌기(131)는 목부(112)의 내측에 한 쌍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킹홈(132)은 절곡부(113)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113)는 목부(112)에서 소정 각도 교차하도록 통 형상으로 절곡 연장되며, 단부에는 상기 결합리브(11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부(113) 단부의 외측에는 외주면에서 링 결합부(113b)가 환형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링 결합부(113b)에는 상기 커버부재(120)와 하우징 몸체(110)를 감싸서 견고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결합링(400)이 안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절개부(115)에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개방된 절개부(115)를 덮어서 폐쇄시킨다.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는 상기 절개부(115)에 대칭되게 대략 반 원통형상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일단에 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목부(112)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리브(122) 및 상기 절곡부(113)의 결합리브(113a)에 대응되도록 몸체(121) 타단의 측부에 형성되는 결합리브(123)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몸체(121)는 상기 절개부(115)에 결합시 상기 로킹부(130)에 로킹결합되는 다수의 로킹후크(124)를 가진다. 따라서 커버부재(120)를 절개부(115)에 결합시에는 상기 걸림리브(122)를 절개부(115)의 목부(112) 쪽 내측(115a; 도 3 참조)에 먼저 끼워 넣은 후에, 커버부재(120)를 누르게 되면, 소위 원터치식으로 로킹후크(124)가 상기 로킹부(130)에 각각 로킹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120)의 걸림리브(122) 반대쪽 단부는 결합링(400)에 의해 하우징 몸체(110)와 체결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121)의 내측면에는 상기 목부(112) 내주에 형성된 지지리브(112b)에 대응되는 지지리브(126)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123)의 외측면에도 상기 절곡부(113)의 단부에 형성된 링 결합부(113b)에 대응되는 링 결합부(127)가 환형으로 인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110)와 커버부재(120) 각각에는 서로간의 결합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돌기(118)와 위치결정홈(128)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샤프트(200)는 선단에 형성된 구동기어부(210)와, 구동기어부(210)의 중심에서 동축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 몸체(220) 및 샤프트 몸체(220)에 상기 구동기어부(2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확장리브(230)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샤프트(200)는 샤프트 몸체(220)의 일단부(221) 부터 상기 절개부(115)를 통해 하우징몸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되며, 이때 상기 구동기어부(210)는 상기 스토퍼리브(112a)에 걸리고 지지리브(112b)에 접촉 지지되도록 안착된다. 구동기어부(210)의 끝단에는 베벨기어(211)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리브(230)는 목부(112)의 절개부(115) 안쪽으로 삽입되어 목부(112)의 내주면에 지지됨으로서 구동샤프트(200) 전체가 중심이 흔들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동샤프트(300)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절곡부(113)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종동기어부(310)와, 종동기어부(310)와 연결되어 하우징 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컵(500)을 지지하는 커플러(320)와, 종동기어부(310)와 커플러(320)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330) 및 종동기어부(310) 선단의 축(340)을 가진다.
상기 종동기어부(310)에는 상기 구동기어부(210)의 베벨기어(211)에 기어물림되는 베벨기어(3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동기어부(310)는 하우징 몸체(110) 내부의 절곡부(113)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수용된다.
상기 커플러(320)는 하우징(100)의 선단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400) 또는 미도시된 컵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30)는 종동기어부(310)와 커플러(320) 사이에 환형홈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선단의 결합리브(113a)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330)를 결합리브(113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결국 종동샤프트(300)가 하우징(1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축(340) 쪽에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종동기어부(310)의 베벨기어(311)와 구동기어부(210)의 베벨기어(211)의 기어 연결을 자연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구동기어부(210)와 종동기어부(310) 간의 기어연결 각도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설계,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절개부(11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종동샤프트(300)를 도 3과 같이 절곡부(113) 내측에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종동샤프트(300)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한 뒤에는 하우징(100)에서 제2축(Y)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치과치료 중에 제품이 분리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치과치료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은, 하우징(100)이 하우징 몸체(110) 및 커버부재(120)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짐으로써,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동샤프트(200) 및 종동샤프트(300)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며, 각 샤프트(200,300)의 장착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하우징(100)의 사출성형시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구동샤프트(200)를 하우징(100) 내부에 안정되게 장착시킨 상태로, 안정된 상태로 회전 구동되도록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샤프트(200)의 안정된 장착을 위해 하우징(100)의 전체 길이를 늘릴 필요가 없고, 최소한의 길이로 제작하면 되므로 사출 성형시 사용되는 코어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성형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동샤프트(200)가 하우징(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리브(112a)를 하우징(100) 내부에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래치부재 및 래치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른 생산시간의 단축 및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동샤프트(200)와 종동샤프트(300)를 하우징(100)의 개방된 절개부(115)를 통해 장착함으로써, 장착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각 샤프트(200,300)의 기어부들(210,310)이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불량률을 줄이고, 구동샤프트(200)에서 종동샤프트(300)로의 동력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동샤프트(300)의 경우에도 개방된 절개부(115)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커버부재(120)를 결합한 뒤에는 종동샤프트(300)가 하우징(100)에서 제2축(Y) 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장착할 수 있으며, 안정된 장착위치로 유지되어 종동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치료시 종동샤프트(300)가 하우징(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치과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 각각은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피 앵글(100)의 구조에서 컵(500)과 그 컵(500)에 지지되는 브러쉬(600)를 포함하는 프로피 앵글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즉, 컵(500)의 내측에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돌기(510)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510)의 단부는 컵(500)의 내부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대략 1 내지 2mm 찢어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컵(500)의 회전시 치아에 밀착이 용이하고, 폴리싱 효과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피 앵글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서, 프로피 앵글(100)에 다른 형태의 컵(500')(500")이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폴리싱 브러쉬 및 컵이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에는, 폴리싱 브러쉬 및 컵의 형상이나 사이즈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가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2b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가 하우징 몸체(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동작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우징 몸체(110)의 절개부(115)에는 스토퍼용 돌기(117)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120)에는 상기 스토퍼용 돌기(117)에 대응되는 지지홈(127)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재(120)는 절개부(115)에 안정되게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되는(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하우징 몸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커버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하우징 몸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도 7 및 도 8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피 앵글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컵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10 및 도 11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피 앵글조립체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프로피 앵글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폴리싱 브러쉬 및 컵을 나타내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하우징 110..하우징 몸체
120..커버부재 130..로킹부
200..구동샤프트 300..종동샤프트
400..결합링 500,500',500"..컵
600..브러쉬

Claims (8)

  1. 샤프트 몸체의 일단에 확장되게 형성된 구동기어부를 가지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기어부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1축에 교차하는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배치되는 종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어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일단의 개방구에서 타단의 샤프트 체결구까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체결구에 인접한 선단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내부를 개방하는 절개부를 가지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샤프트 및 종동샤프트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절개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기 제1축과 나란하게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고 내부에 상기 구동샤프트가 수용되는 하우징부와 목부; 및
    상기 목부에서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종동샤프트를 수용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에서 상기 절곡부에 걸쳐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장착된 구동샤프트가 상기 개방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리브; 및
    상기 구동샤프트의 구동기어부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도록 상기 스토퍼리브와 이격되게 형성된 지지리브;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는 그 내경이 축소되어 상기 종동샤프트를 지지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샤프트는,
    상기 구동기어부에 기어연결되는 종동기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브러쉬 또는 컵이 결합되는 커플러 및, 상기 종동기어부와 상기 커플러 사이에 환형으로 단차지게 인입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내측과 상기 커버부재 각각에는 상호 로킹결합되는 로킹부 및 로킹후크가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절곡부의 외주에는 환형으로 인입형성된 링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링 결합부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 몸체를 감싸서 지지하는 결합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치과기구용 프로피앵글과;
    상기 종동샤프트의 상기 하우징 몸체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결합되는 치과치료용 컵 또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앵글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샤프트에는 치과치료용 컵이 결합되며,
    상기 치과치료용 컵은 그 단부가 나팔형상으로 확장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4개의 돌기가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되고, 컵의 내주면에 대해 찢어져 부분적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용 프로피앵글 조립체.
KR1020090049997A 2009-06-05 2009-06-05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 조립체 KR101179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97A KR101179913B1 (ko) 2009-06-05 2009-06-05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97A KR101179913B1 (ko) 2009-06-05 2009-06-05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17A true KR20100131217A (ko) 2010-12-15
KR101179913B1 KR101179913B1 (ko) 2012-09-06

Family

ID=4350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997A KR101179913B1 (ko) 2009-06-05 2009-06-05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6763A1 (en) * 2014-03-31 2015-10-07 Kerr Corporation Dental prophylaxis cup for mixing at least two compounds prior to disp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1279A2 (en) 2005-03-14 2008-01-02 Discus Dental Impressions Prophylaxis angles and cup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6763A1 (en) * 2014-03-31 2015-10-07 Kerr Corporation Dental prophylaxis cup for mixing at least two compounds prior to dispensing
US9642683B2 (en) 2014-03-31 2017-05-09 Kerr Corporation Dental prophylaxis cup for mixing at least two media prior to disp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913B1 (ko)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772B2 (en) Guidewire adjuster and delivery-system control handle
KR101685318B1 (ko) 개선된 기어 리테이너를 구비한 일회용 치면 세마 앵글
JPH03289954A (ja) 歯科用プロフィアングル
KR101179913B1 (ko) 치과기구용 프로피 앵글 및 프로피 앵글 조립체
US6042377A (en) Dental handpiece with detachable motor
CN104434284A (zh) 医疗器械
US4268252A (en) Contra-angle head for dentistry
ES2244952T3 (es) Util de maquina para el tratamiento de productos alimenticios, en especial del tipo mezclador, y maquina equipada de tal util.
US20230067315A1 (en) Dental tool and dental system
US20090220910A1 (en) Disposable Dental Prophy Angle With Sectional Engaged Housing
CN111166402A (zh) 一种内窥镜隆乳拉钩
CN111568582B (zh) 一种口腔清洁设备
US4321041A (en) Miniaturized contra-angle
KR101123508B1 (ko) 외과용 핸드드릴
KR100849629B1 (ko) 전동 칫솔
KR20210017095A (ko) 가압세라믹치아 제작을 위한 수동형 핸드피스
CN216724774U (zh) 牙科手机和牙科治疗仪
CN216167927U (zh) 一种种植手机
JPH06189891A (ja) 内視鏡
JP4053129B2 (ja) 自動注入装置
KR100986796B1 (ko) 치아 클리너
JP2012085784A (ja) 歯科治療用マイクロエンジンハンドピース
JP3362909B2 (ja) 内視鏡
CN113952049A (zh) 牙科手机和牙科治疗仪
GB2516856A (en) Interdental cleaning device with changeable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