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550A - 어댑터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어댑터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550A
KR20100129550A KR1020090048163A KR20090048163A KR20100129550A KR 20100129550 A KR20100129550 A KR 20100129550A KR 1020090048163 A KR1020090048163 A KR 1020090048163A KR 20090048163 A KR20090048163 A KR 20090048163A KR 20100129550 A KR20100129550 A KR 2010012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means
stage
quasi
error signal
re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381B1 (ko
Inventor
문건우
유병우
최성욱
김봉철
오동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381B1/ko
Priority to US12/570,858 priority patent/US8363428B2/en
Publication of KR2010012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는, 직류 전압을 스위칭 시키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이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보조 권선을 갖는 트랜스부; 상기 트랜스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된 부하의 정보를 검출하여 정상 동작 모드에는 상기 스위칭 수단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고, 대기 모드에는 상기 스위칭 수단을 준공진 방식(quasi resonant)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48163
준공진 방식, 보조 권선, 밸리 검출부, 스위칭 수단, 어댑터

Description

어댑터 전원 장치{Adapter power supply}
본 발명은 어댑터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동작 모드와 대기 모드에 따라 스위칭 수단의 동작 방식을 PWM 방식과 준공진(quasi resonant) 방식으로 변경하는 어댑터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60W 급 미만의 어댑터 전원 장치는 그 용량이 작기 때문에 전력단으로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또는 포워드 컨버터(forward converter)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압 모드 제어 기법 또는 전류 모드 제어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시장에서는 이러한 어댑터 전원 장치의 부하 조건에 따른 소비 전력을 규제하고 있다.
특히, 무부하시 어댑터의 소비전력이 0.3W 미만이 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제어 IC에서 무부하 상태를 검출하고 그 상태에서 출력 전압을 유지하면서 전력 소비가 최소가 될 수 있도록 제어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모드에 관계없이 출력 전압이 일정 범위를 넘어서면 무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스위칭 수단을 턴 오프 했다가 출력 전압이 일 정 범위 이하로 감소하면 다시 스위칭 수단을 턴 온 시키는 버스트(burst) 방식으로 스위칭 수단이 고정된 주파수로 동작한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으로 대기 모드를 구현할 경우 정상 동작 모드시 스위칭 수단이 동작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대기 모드에서도 스위칭 수단이 고정된 주파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대기 모드시 많은 스위칭 손실이 발생하여 대기 전력을 최소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정류부에 연결된 부하의 정보를 검출하여 정상 동작 모드에는 스위칭 수단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고, 대기 모드에는 스위칭 수단을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어댑터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는, 직류 전압을 스위칭 시키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이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보조 권선을 갖는 트랜스부; 상기 트랜스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된 부하의 정보를 검출하여 정상 동작 모드에는 상기 스위칭 수단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고, 대기 모드에는 상기 스위칭 수단을 준공진 방식(quasi resonant)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하 정보 검출을 위해 부하의 출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 신호(current reference)를 생성하는 오차 신호 생성단; 스킵 캐리어(skip carrier) 신호를 생성하는 스킵 캐리어 신호 생성단; 상기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는 피크 검출단; 상기 오차 신호와 스킵 캐리어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정상 동작 모드와 대기 모드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비교단; 상기 스위칭 수단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를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의 듀티(duty)를 결정하는 제 2 비 교단; 상기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과 오차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의 PWM 방식과 준공진 방식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 3 비교단; 상기 보조 권선을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의 양단 전압의 밸리(valley)를 검출하는 밸리 검출단; 상기 제 1 비교단, 제 2 비교단, 제 3 비교단과 연결되어 정상 동작 모드시 상기 스위칭 수단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는 PWM 방식 동작단; 상기 제 1 비교단, 제 2 비교단, 제 3 비교단, 밸리 검출단과 연결되어 대기 모드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는 준공진 방식 동작단;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크 검출단은 서로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비교단은 상기 오차 신호가 스킵 캐리어 피크 값보다 큰 경우 출력이 하이(high)가 되어 상기 PWM 방식 동작단을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이 PWM 방식으로 동작하게 하고, 상기 오차 신호가 스킵 캐리어 피크 값보다 작은 경우 출력이 로우(low)가 되어 상기 준공진 방식 동작단을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이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정류 다이오드와 평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류부에 연결된 부하의 정보를 검출하여 정상 동작 모드 에는 스위칭 수단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고, 대기 모드에는 스위칭 수단을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시킴으로써 대기 모드시 대기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는 스위칭 수단(Qs), 트랜스부(T), 정류부(11),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수단(Qs)은 직류 전압을 스위칭 시켜 트랜스부(T)의 이차측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직류 전압은 상용 입력 교류 전원이 EMI 필터와 정류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얻어진 전압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수단(Qs)은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트랜스부(T)는 스위칭 수단(Qs)에 연결된 일차 권선과 이 일차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이차 권선과 이 일차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보조 권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 권선은 준공진 방식 동작을 위해 스위칭 수단(Qs)의 양단 전압의 밸리(valley)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트랜스부(T)의 일차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런한 보조 권선은 트랜스부(T)의 이차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정류부(11)는 트랜스부(T)에서 출력된 교류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압으로 정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류부(11)는 정류 다이오드(Do)와 평활 커패시터(Co)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 다이오드(Do)는 애노드가 트랜스부(T)의 이차 권선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Co)의 일단은 정류 다이오드(Do)의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평활 커패시터(Co)는 부하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정류부(11)에 연결된 부하의 정보를 검출하여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스위칭 수단(Qs)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고, 대기 모드에서는 스위칭 수단(Qs)을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오차 신호(current reference) 생성단(121), 스킵 캐리어(skip carrier) 신호 생성단, 피크 검출단(122), 제 1 비교단(comp1), 제 2 비교단(comp2), 제 3 비교단(comp3), 밸리 검출단(123), 준공진 방식 동작단(124), PWM 방식 동작단(125)을 포함할 수 있다.
오차 신호 생성단(121)은 부하 정보 검출을 위해 부하의 출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오차 신호에는 부하가 경부하인지 중부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부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스킵 캐리어 신호 생성단은 오차 신호 생성단(121)에서 생성된 오차 신호와 비교할 스킵 캐리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피크 검출단(122)은 스킵 캐리어 신호 생성단에서 생성된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할 수 있다.
피크 검출단(122)은 서로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오드(D1)의 애노드가 스킵 캐리어 생성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C1)의 일단이 접지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비교단(comp1)은 오차 신호 생성단(121)에서 생성된 오차 신호와 스킵 캐리어 신호 생성단에서 생성된 스킵 캐리어 신호를 비교하여 스위칭 수단(Qs)이 정상 동작 모드인지 대기 모드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비교단(comp2)은 스위칭 수단(Qs)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이 센싱 전류와 오차 신호 생성단(121)에서 생성된 오차 신호를 비교하여 스위칭 수단(Qs)의 듀티(duty)를 결정할 수 있다.
제 3 비교단(comp3)은 피크 검출단(122)에서 검출한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과 오차 신호 생성단(121)에서 생성된 오차 신호를 비교하여 스위칭 수단(Qs)이 PWM 방식으로 동작할지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부하가 크면 오차 신호가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보다 크게 되어 제 3 비교단(comp3)의 출력이 하이(high)가 되어 후술하는 PWM 방식 동작단(125)을 통해 스위칭 수단(Qs)이 PWM 방식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고, 부하가 작으면 오차 신호가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보다 작게 되어 제 3 비교단(comp3)의 출력이 로우(low)가 되어 후술하는 준공진 방식 동작단(124)을 통해 스위칭 수단(Qs)이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밸리 검출단(123)은 트랜스부(T)의 보조 권선을 통해 스위칭 수단(Qs)의 양 단 전압의 밸리(valley)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밸리 검출단(123)은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필요한 구성 요소이다.
준공진 방식 동작단(124)은 제 1 비교단(comp1), 제 2 비교단(comp2), 제 3 비교단(comp3), 밸리 검출단(123)과 연결되어, 제 1 비교단(comp1)에서 대기 모드로 판정되고 제 3 비교단(comp2)에서 준공진 방식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 2 비교단(comp2)에 의해 듀티를 결정하여 스위칭 수단(Qs)을 대기 모드시 밸리 검출부(123)에서 검출된 밸리에서 스위칭이 일어나는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스위칭 수단(Qs)에 인가할 수 있다.
PWM 방식 동작단(125)은 제 1 비교단(comp1), 제 2 비교단(comp2), 제 3 비교단(comp3)과 연결되어, 제 1 비교단(comp1)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 판정되고 제 3 비교단(comp2)에서 PWM 방식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 2 비교단(comp2)에 의해 듀티를 결정하여 스위칭 수단(Qs)을 정상 동작 모드시 PWM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스위칭 수단(Qs)에 인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부하가 줄어들면 출력 전압이 증가하고 증가된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오차 신호가 줄어들게 된다. 오차 신호가 줄어들다가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PWM 동작이 멈추고 준공진 방식의 동작이 시작된다. 그리고, 부하가 증가하게 되면 출력 전압이 내려가게 되고 오차 신호는 증가하게 된다. 이때 오차 신호가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 위로 올라가게 되면 준공진 방식의 동작이 멈추고 PWM 동작으로 변경된다.
도 3은 PWM 방식과 준공진 방식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를 참고하면, 스위칭 수단(Qs)의 스위칭 턴 온(turn on) 손실은 스위치가 켜질때 스위칭 수단(Qs) 양단에 걸려있는 전압과 스위칭 수단(Qs)에 흐르는 전류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칭 수단(Qs)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줄이면 스위치 턴 온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트랜스부(T)는 스위칭 수단(Qs)이 오프되어 있는 동안 2차측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스위칭 수단(Qs) 양단의 전압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PWM 방식의 경우보다 준공진 방식의 경우가 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칭 턴 온 손실 역시 준공진 방식의 경우가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준공진 방식의 경우 PWM 방식의 경우에 비해 스위칭 턴 온 손실이 작은 장점이 있지만 부하 조건에 따라 주파수가 변경되기 때문에 중부하 이상에서는 다루는 전력이 높아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문제가 발생하고 이것이 다른 기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에서는 EMI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경부하 이상에서는 정상 동작 모드로 판정하여 스위칭 수단(Qs)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킨다. 하지만 부하가 낮아지게 되면 주파수가 변경되어도 다루는 전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EMI가 줄어들게 되므로 대기 모드로 판정하여 스위칭 수단(Qs)의 동작 방식을 준공진 방식으로 변경시켜 스위칭 턴 온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즉, 경부하 이상에서는 EMI 문제 때문에 스위칭 수단(Qs)을 정상 동작 모드로 판정하여 고정된 주파수인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고 부하가 낮아지면 EMI가 줄어드는 것을 이용하여 스위칭 수단(Qs)을 대기 모드로 판정하여 스위칭 턴 온 손실이 작은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전원 장치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PWM 방식과 준공진 방식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정류부
12: 제어부
121: 오차 신호 생성부
122: 피크 검출단
123: 밸리 검출단
124: 준공진 방식 동작단
125: PWM 방식 동작단

Claims (6)

  1. 직류 전압을 스위칭 시키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이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보조 권선을 갖는 트랜스부;
    상기 트랜스부에서 출력된 전압을 정류시키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된 부하의 정보를 검출하여 정상 동작 모드에는 상기 스위칭 수단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고, 대기 모드에는 상기 스위칭 수단을 준공진 방식(quasi resonant)으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어댑터 전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하 정보 검출을 위해 부하의 출력 전압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오차 신호(current reference)를 생성하는 오차 신호 생성단;
    스킵 캐리어(skip carrier) 신호를 생성하는 스킵 캐리어 신호 생성단;
    상기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을 검출하는 피크 검출단;
    상기 오차 신호와 스킵 캐리어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정상 동 작 모드와 대기 모드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비교단;
    상기 스위칭 수단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오차 신호와 비교를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의 듀티(duty)를 결정하는 제 2 비교단;
    상기 스킵 캐리어 신호의 피크 값과 오차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의 PWM 방식과 준공진 방식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 3 비교단;
    상기 보조 권선을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의 양단 전압의 밸리(valley)를 검출하는 밸리 검출단;
    상기 제 1 비교단, 제 2 비교단, 제 3 비교단과 연결되어 정상 동작 모드시 상기 스위칭 수단을 PWM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는 PWM 방식 동작단;
    상기 제 1 비교단, 제 2 비교단, 제 3 비교단, 밸리 검출단과 연결되어 대기 모드시 상기 스위칭 수단을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인가하는 준공진 방식 동작단;
    를 포함하는 어댑터 전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검출단은 서로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어댑터 전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비교단은 상기 오차 신호가 스킵 캐리어 피크 값보다 큰 경우 출력이 하이(high)가 되어 상기 PWM 방식 동작단을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이 PWM 방식으로 동작하게 하고, 상기 오차 신호가 스킵 캐리어 피크 값보다 작은 경우 출력이 로우(low)가 되어 상기 준공진 방식 동작단을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이 준공진 방식으로 동작하게 하는 어댑터 전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정류 다이오드와 평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어댑터 전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트랜지스터인 어댑터 전원 장치.
KR1020090048163A 2009-06-01 2009-06-01 어댑터 전원 장치 KR101023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63A KR101023381B1 (ko) 2009-06-01 2009-06-01 어댑터 전원 장치
US12/570,858 US8363428B2 (en) 2009-06-01 2009-09-30 Adapter power supply having variable switch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63A KR101023381B1 (ko) 2009-06-01 2009-06-01 어댑터 전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50A true KR20100129550A (ko) 2010-12-09
KR101023381B1 KR101023381B1 (ko) 2011-03-18

Family

ID=43220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63A KR101023381B1 (ko) 2009-06-01 2009-06-01 어댑터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63428B2 (ko)
KR (1) KR101023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5088B2 (en) 2010-12-06 2013-02-26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unregulated dormant mode with output reset in a power converter
US7995359B2 (en) 2009-02-05 2011-08-09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unregulated dormant mode with an event counter in a power converter
US7952895B2 (en) 2008-05-29 2011-05-31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unregulated dormant mode in a power converter
KR101023381B1 (ko) * 2009-06-01 2011-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댑터 전원 장치
US8482937B2 (en) * 2010-06-11 2013-07-09 System General Corporation Switching control circuits with valley lock for power converters
KR101915240B1 (ko) * 2011-12-01 201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US8941368B2 (en) * 2013-03-07 2015-01-27 Analog Devices Technology Skip mode method and system for a current mode switching converter
CN105048822B (zh) * 2013-08-29 2019-03-0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基于负载条件调节频率和电流的系统和方法
US9369054B2 (en) * 2013-11-01 2016-06-14 Dialog Semiconductor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ler
JP6424580B2 (ja) * 2014-11-21 2018-11-21 株式会社ノーリツ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給湯装置
US9672582B2 (en) 2014-12-05 2017-06-0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aussian filter standard deviation variation
US9793816B2 (en) 2016-03-10 2017-10-1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ires, Llc Method and circuit for peak power in quasi-resonant converters
US10298137B2 (en) * 2017-03-10 2019-05-2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Advanced frequency reduction of quasi-resonant converters
CN107070206B (zh) * 2017-05-22 2019-03-01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谷值检测的准谐振开关变换器
US10658934B2 (en) * 2017-06-06 2020-05-19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Quasi-resonant converter with efficient light-load operation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930A (en) * 1992-06-12 1993-11-16 The Center For Innovative Technology Zero-voltage transition PWM converters
FR2702607B1 (fr) * 1993-03-12 1995-06-09 Electricite De France Dispositif de commande du circuit oscillant d'un onduleur de tension fonctionnant en quasi-resonance a regulation a modulation de largeur d'impulsion.
US5572418A (en) * 1993-08-23 1996-11-05 Yuasa Corporation Quasi-resonant PWM inverter
JP2002218749A (ja) 2001-01-19 2002-08-02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0370685C (zh) 2002-08-30 2008-02-20 三垦电气株式会社 开关电源装置
JP3938083B2 (ja) * 2003-03-28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200733523A (en) * 2005-10-25 2007-09-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converter
KR101165386B1 (ko) * 2006-06-13 2012-07-12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준공진형 컨버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48910B1 (ko) * 2006-08-04 201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이의 구동 방법
KR100975925B1 (ko) * 2008-07-25 2010-08-13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댑터 전원장치
CN101826796B (zh) * 2009-03-02 2015-10-2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利用多模控制的准谐振系统和方法
KR101023381B1 (ko) * 2009-06-01 2011-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댑터 전원 장치
US8098502B2 (en) * 2009-06-10 2012-01-17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emissions suppression in a switched-mode power supply
US20110305048A1 (en) * 2010-06-11 2011-12-15 System General Corp. Active-clamp circuit for quasi-resonant flyback power converter
US20120014142A1 (en) * 2010-07-19 2012-01-19 Welland Industrial Co., Ltd. Power conversion apparatus for correcting power f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381B1 (ko) 2011-03-18
US8363428B2 (en) 2013-01-29
US20100302812A1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381B1 (ko) 어댑터 전원 장치
CN109962631B (zh) 具可调控降频曲线的返驰式转换器
US9991812B2 (en) Variable blanking frequency for resonant converters
US7453248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99606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ss of AC power in a switched-mode power supply
US7221128B2 (en) Converter with start-up circuit
US8711580B2 (en) Resonant conversion system with over-current protection processes
EP1988625B1 (en)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multiple outputs
US10666153B2 (en) Active clamp flyback converter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0758127B1 (ko) 전원장치
JP505639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3076537A1 (en) Power source apparatus and electric device
KR10153867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공급방법
JP5701292B2 (ja) 電流共振電源
US7440295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active load detection function,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JP467842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システム
US808556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KR101397728B1 (ko) 전원 공급 장치
US9608434B2 (en) Inverter apparatus having primary-side and secondary-side driver circuits driven by respective DC/DC converte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698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30407B1 (ko) 어댑터 전원 장치
TWI407668B (zh) 電源供應器以及抑制電源供應器之輸出電壓波動的方法
KR20170064385A (ko) 전원 공급 시스템
KR101030420B1 (ko)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JP2019208308A (ja) 直流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