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240B1 -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240B1
KR101915240B1 KR1020110127814A KR20110127814A KR101915240B1 KR 101915240 B1 KR101915240 B1 KR 101915240B1 KR 1020110127814 A KR1020110127814 A KR 1020110127814A KR 20110127814 A KR20110127814 A KR 20110127814A KR 101915240 B1 KR101915240 B1 KR 10191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witching
mode
transformer
secondary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484A (ko
Inventor
허진석
강계룡
박건일
안부환
김재민
박신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240B1/ko
Priority to EP12008021.3A priority patent/EP2600514A3/en
Priority to US13/691,409 priority patent/US9252668B2/en
Priority to BRBR102012031370-7A priority patent/BR102012031370A2/pt
Publication of KR2013006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스위칭 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는 크기에 따라서, 경부하에서는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중부하 이상에서는 준공진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부하별로 최적의 소비전력의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수행될 스위칭 동작 모드에 대한 최적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부하별로 최적의 효율을 갖는 주파수를 제공하는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칭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APPPARATUS}
본 발명은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된 전압을 부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효율을 갖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 SMPS)는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종 가전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용량에 맞도록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플라이백(flyback) 방식을 따르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플라이백 방식의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위칭 동작방식으로는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 PWM 방식과, 부하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는 주파수를 갖는 준공진(Quasi-resonant)방식이 있다. 특히, 상기 준공진 방식은 부하가 작을때는 주파수를 높이고 부하가 클때는 주파수를 낮추는 방식으로 가변되는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다.
현재의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이와 같은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 트랜스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을 스위칭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냉장고와 같이 부하 변화가 큰 제품의 경우에는 특정 부하의 영역에 대해서만 소비전력의 효율이 높아질 수 밖에 없었다. 즉, 상기 PWM 방식 또는 준공진 방식 중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스위칭 동작을 구동하도록 전원회로를 구현함에 따라, 모든 부하 영역에서 고효율을 갖지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트랜스의 이차측에 유기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전력효율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칭 동작을 자동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각 스위칭 동작모드에 대한 최적의 주파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그에 부합하도록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는, 입력된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와;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발진 가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진 가변 모듈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및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버스트모드, PWM모드, 및 준공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스위칭 수단을 반복적으로 온/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피드백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트랜스의 일차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압을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로 판단되면, 상기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를 오름차순으로 선택하여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의 크기가 중부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준공진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는,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는, 일차측 및 이차측을 갖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의 일차측에 연결되어서 인가되는 입력전원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트랜스의 일차측에 구비된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스위칭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이면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된 부하의 크기가 중부하 이상이면 준공진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는 크기에 따라, 경부하에서는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중부하 이상에서는 준공진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부하별로 최적의 소비전력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수행될 스위칭 동작 모드에 대한 최적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부하별로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경부하시 PWM 방식 및 준공진방식의 효율을 비교한 도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하의 크기에 따라 PWM 방식 및 준공진방식의 동작을 비교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WM 방식 및 준공진방식의 동작시 부하의 크기에 따른 주파수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WM 방식 및 준공진방식의 특성으로 인한 스위칭 손실을 비교한 그래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부하별로 최적의 전력효율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칭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치부(100)와, 상기 스위치부(10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칭된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300)와 평활부(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00)의 일단은 제어부(200)와 연결되고, 또 타단은 트랜스(T)의 일차측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00)는 구비된 스위칭 수단을 통해, 입력된 전압을 스위칭한다. 상기 스위치부(100)는 트랜스의 일차측에 연결되며,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비된 스위칭 수단을 동작하여서 트랜스의 일차측에 입력된 전압을 트랜스의 이차측에 유기시킨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00)에 입력되는 전압은 상용계통의 전원을 EMI필터 및 정류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획득한 직류전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T)는 일차측(Np) 및 이차측(Ns)을 구비하고, 상기 일차측의 권선에 이차측의 권선이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며, 또한 상기 일차측의 권선과 이차측의 권선에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보조권선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부(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모드는, 버스트모드(Burst mode), PWM모드(Pulse Width Modulation mode), 및 준공진모드(Quasi-resonant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부하의 상태에 따라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상기 스위치부(10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를 미리정해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오차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부하의 상태가 경부하인지 또는 중부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버스트모드(Burst mode)는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가 경부하인 경우 스위칭의 온/오프 동작을 간헐적으로 수행하는 스위칭 동작 모드에 해당한다. 또, 상기 PWM모드(Pulse Width Modulation mode)는 부하의 상태에 상관없이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나아가, 상기 준공진모드(Quasi-resonant mode)는 제로 크로싱(zero-crossing) 기능을 포함하여서, 검출된 부하의 크기가 크면 주파수 값을 점진적으로 낮추어가고 검출된 부하의 크기가 작으면 주파수 값을 높이는 가변가능한 주파수 값을 가지고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PWM모드 및 준공진(Quasi-resonant)모드는 경부하에서는 모두 버스트모드(Burst mode)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또,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발진 가변 모듈(2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피드백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모듈(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진 가변 모듈(210)은,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부(200)에 추가되는 핀(pin)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선정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는 선택된 스위칭 동작모드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발진 가변 모듈(210)에 의해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수행될 스위칭 동작 모드에 대한 최적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사용자는 상기 발진 가변 모듈(210)의 내부의 RC시정수를 조절하여 최적의 효율을 갖는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서로 다른 제품의 특성에 대응하여 부하별로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부하검출모듈(230)은,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의 부하에 걸리는 출력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검출된 출력전압을 미리정해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서 검출된 부하의 상태가 경부하인지 또는 중부하이상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발진 가변 모듈(210)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와, 상기 부하검출모듈(230)에 의해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버스트모드, PWM모드, 및 준공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부(100)에 구비된 스위칭 수단을 반복적으로 온/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이면,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중부하 이상으로 판단되면 준공진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서 최적의 전력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인 경우, PWM방식 및 준공진방식의 전력효율을 비교한 실험 결과가 도 1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냉장고의 압축기의 상태가 동작상태이든 또는 대기상태이든 PWM방식에 의하는 경우가 준공진방식에 의하는 경우보다 스위칭 동작에 의한 전력효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0)는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 및 상태를 검출하여서 경부하, 예를 들어 최대 부하의 약 15~20%가 되면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변경되어서 버스트 발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부하의 크기가 중부하 이상이 되면, 준공진(Quasi-resonant)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부하의 크기에 따른 PWM 방식 및 준공진방식의 동작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하며, 도 3은 PWM 방식 및 준공진방식의 동작시 부하의 크기에 따른 주파수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도 2의 (a)는 트랜스의 이차측 부하가 경부하인 경우, 간헐적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PWM방식과 준공진방식의 버스트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트랜스의 이차측 부하가 경부하를 초과하는 경우에, PWM방식과 준공진방식의 스위칭 동작을 비교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부하(a)에서는, PWM방식으로 동작하는 때가 주파수가 더 낮기 때문에 스위칭의 턴 온 주기가 준공진방식보다 더 길어지고, 중부하(b)이상에서는, 제로 크로싱(zero-crossing)을 감지하는 준공진방식으로 동작하는 때가 주파수가 더 낮기 때문에 스위칭의 턴 온 주기가 PWM방식에 의하는 경우보다 더 길어지게 된다.
이에, 도 2의 (a)에서, PWM방식은 고정된 주파수로 간헐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므로, 저부하에서 전력효율이 높은 반면, 준공진방식의 경우 경부하에서도 제로 크로싱을 감지하는 기능을 발휘하기때문에, 스위칭 주파수가 상승하게 되어 저부하에서의 전력 효율이 PWM방식에 비해 떨어진다. 한편, 도 2의 (b)에서, PWM방식의 경우 동일하게 고정된 주파수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중부하 이상에서 스위칭 동작시 턴 온 손실시 큰 반면, 준공진방식의 경우 중부하 이상에서 제로 크로싱을 감지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스위칭 동작시 턴 온 손실이 작아 전력 효율이 PWM방식에 비해 높다.
즉, 경부하에서는 주파수가 올라가는 특성이 있는 준공진(Quasi-resonant)방식의 경우, PWM 방식보다 낮은 효율을 갖게 되며, 한편 중부하 이상에서는 준공진(Quasi-resonant)방식이 PWM방식에 비해 낮은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므로, PWM 방식에 비해 높은 효율을 갖게 된다. 도 3은, 이와 같이 PWM 방식 및 준공진방식의 동작에 있어서 부하의 크기에 따른 주파수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부하를 기준으로 경부하에서는 PWM방식이 준공진방식보다 낮은 주파수를 가지며, 중부하 이상에서는 준공진방식이 PWM방식보다 더 낮은 주파수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로 판단되면,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로 상기 스위치부(10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경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를 오름차순으로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부(10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미리정해진 경부하 임계값 미만에서는 버스트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임계값 이상 그리고 중부하 미만에서는 PWM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비된 발진 가변 모듈(210)에 의해서 상기 선택된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최적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부하의 크기가 중부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준공진모드로 상기 스위치부(10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발진 가변 모듈(210)에 의해 상기 준공진모드에 대응하는 최적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PWM방식과 준공진방식의 특성으로 인한 스위칭 손실을 상호 비교하여 보여준다. 트랜스의 일차측의 전압을 트랜스의 이차측으로 유기하는데 있어서 발생되는 스위칭 손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캐패시터(Cd)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과 스위치부(100)의 스위칭 수단에 인가되는 전류의 곱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트랜스의 일차측에 구비된 캐패시터(Cd)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감소하면 스위칭이 손실 또한 감소하게 된다.
도 4에서, PWM방식에 따른 스위칭의 턴 온 포인트와 준공진방식에 따른 스위칭의 턴 온 포인트를 참조하여, 캐패시터(Cd)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면, 준공진 방식에 의하는 경우가 전압의 크기가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준공진방식에 의하는 경우가 스위칭 손실 또한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류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의 트랜스의 이차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을 정류한다. 이때, 상기 정류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부(300)에 구비되는 다이오드는 두 개(2단)의 다이오드가 병렬 연결된 형태이거나, 또는 직렬 연결된 한 쌍의 다이오드가 각각 병렬 연결된 네 개(4단)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류부(300)의 다이오드에 의해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정류부(300)의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류의 진동을 개선함으로써 전원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캐패시터에 직렬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평활부(400)는, 상기 정류부(300)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한다. 또, 상기 평활부(400)는 평활화한 정류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활부(270), 즉 직류 링크 커패시터(DC Link Capacitor),는 하나의 커패시터 또는 이를 포함한 간단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일차측 및 이차측을 갖는 트랜스(T)를 구비하고, 상기 트랜스의 일차측에 연결되어서 유기되는 입력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또, 상기 트랜스의 일차측에 구비된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스위칭하는 스위치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이면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된 부하의 크기가 중부하 이상이면 준공진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부하별로 최적의 전력효율을 얻을 수 있는 스위칭 동작 모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부하의 영역에서는 버스트모드(Burst Mode)로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에 적합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이때는 최적 전력값으로 약 7W값을 갖는다. 또, 가장 낮은 부하의 영역은 초과하되 중부하 미만에 해당하는 부하의 영역에서는 PWM모드(Pulse Width Modulation Mode)로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에 적합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는 최적 전력값으로 약 15W값을 갖는다. 또, 중부하 이상의 영역에서는 준공진(Quasi-resonant)모드로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에 적합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이때는 최적 전력값으로 약 50W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부하별로 최적의 소비전력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는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는 크기에 따라, 경부하에서는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중부하 이상에서는 준공진모드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부하별로 최적의 소비전력의 효율을 얻을 수 있고, 또, 검출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수행될 스위칭 동작 모드에 대한 최적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부하별로 최적의 효율을 갖는 주파수를 제공하는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100 - 스위치부 200 - 제어부
210 - 발진 가변 모듈 230 - 부하 검출 모듈
300 - 정류부 400 - 평활부

Claims (11)

  1. 입력된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및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발진 가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진 가변 모듈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및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버스트모드,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PWM모드, 및 준공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스위칭 수단을 반복적으로 온/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로 판단되면, 상기 경부하의 정도에 따라 상기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 중 어느 하나를 오름차순으로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하의 크기가 중부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준공진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선택한 동작모드에 대한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상기 발진 가변 모듈에서 결정하여, 결정한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드백신호에 따라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트랜스의 일차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전압을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
  10. 일차측 및 이차측을 구비한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연결되어서, 인가되는 입력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스위칭 전원공급장치로서,
    상기 트랜스의 일차측에 구비된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스위칭하는 스위치부;
    상기 트랜스의 이차측에 걸리는 부하의 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부하의 크기가 경부하이면 버스트모드 또는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PWM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된 부하의 크기가 중부하 이상이면 준공진모드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부하의 정도에 따라 상기 버스트모드 또는 PWM모드를 오름차순으로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버스트모드, 상기 PWM 모드 및 상기 준공진모드 중 어느 한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부하의 크기에 따라 선택한 동작모드에 대한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여, 결정한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 제1 항, 제3 항, 제4 항, 제8 항 및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위칭 전원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127814A 2011-12-01 2011-12-01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KR10191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14A KR101915240B1 (ko) 2011-12-01 2011-12-01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EP12008021.3A EP2600514A3 (en) 2011-12-01 2012-11-29 Flyback DC/DC converter with load variable modes of operation
US13/691,409 US9252668B2 (en) 2011-12-01 2012-11-30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pparatus
BRBR102012031370-7A BR102012031370A2 (pt) 2011-12-01 2012-12-03 Aparelho de suprimento de energia de modo de comutaçã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14A KR101915240B1 (ko) 2011-12-01 2011-12-01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484A KR20130061484A (ko) 2013-06-11
KR101915240B1 true KR101915240B1 (ko) 2019-01-07

Family

ID=4763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14A KR101915240B1 (ko) 2011-12-01 2011-12-01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2668B2 (ko)
EP (1) EP2600514A3 (ko)
KR (1) KR101915240B1 (ko)
BR (1) BR10201203137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35B1 (ko) 2013-11-12 2020-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KR102335448B1 (ko) * 2014-12-30 2021-12-0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전원 회로
EP3322078A1 (de) * 2016-11-14 2018-05-16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US10355601B2 (en) * 2017-03-31 2019-07-16 Astec International Limited Switched-mode power supplies having burst mode operation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9802A1 (en) 2009-03-02 2010-09-02 On-Bright Electronics (Shanghai) Co., Ltd. Quasi-resonant systems and methods with multi-mode control
US20100302812A1 (en) 2009-06-01 2010-12-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dapter power supply
US20110273910A1 (en) 2006-10-04 2011-11-10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rol circuit with multiple operating mod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7526B2 (en) * 2006-07-31 2010-02-23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ultifunctional pin in an integrated circuit
US7529105B1 (en) * 2006-11-03 2009-05-05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figuring a power converter to operate with or without burst mode functionality
CN101667782B (zh) * 2009-09-01 2011-09-28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一种开关电源及其控制方法
US8587964B2 (en) * 2010-09-16 2013-11-19 System General Corp. Control circuit with burst mode and extended valley switching for quasi-resonant power conve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73910A1 (en) 2006-10-04 2011-11-10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rol circuit with multiple operating modes
US20100219802A1 (en) 2009-03-02 2010-09-02 On-Bright Electronics (Shanghai) Co., Ltd. Quasi-resonant systems and methods with multi-mode control
US20100302812A1 (en) 2009-06-01 2010-12-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dapter power suppl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CC28600("8-Pin Quasi-Resonant Flyback Green-Mode Controller", TI Application Note) (발표일 : 2011.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0514A3 (en) 2014-04-23
BR102012031370A2 (pt) 2015-06-16
EP2600514A2 (en) 2013-06-05
US20130141944A1 (en) 2013-06-06
US9252668B2 (en) 2016-02-02
KR20130061484A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296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switching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WM568411U (zh) 切換模式電力供應器控制器以及切換模式電力供應器
US7768801B2 (en) Current resonant DC-DC converter of multi-output type
US90939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up
JP516770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2139841B1 (ko)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 및 유도 전력 전송 시스템용 수신기를 제어하는 방법
US833981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978720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US20220021308A1 (en) Control of power converters by varying submodulation duty ratio and another control parameter
US20110083028A1 (en) Apparatus for minimizing standby power of switching-mode power supply
JP2015144554A (ja) 電力変換装置
Li et al. A low-cost adaptive multi-mode digital control solution maximizing AC/DC power supply efficiency
KR101915240B1 (ko) 스위칭 전원공급장치
KR20070006554A (ko) 고효율 하프-브리지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45830A (ko) 전원 공급 장치
US9433060B2 (en)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operating device for a light-emitting mea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KR102033953B1 (ko) Led 조명용 컨버터의 역률 개선 장치 및 방법
CN111654189A (zh) 谐振式电源转换装置
US20190312525A1 (en) Non-contact feeding device
KR100988561B1 (ko) 스위칭 컨버터와 선형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전력변환장치
JP201217580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512663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85403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150078037A1 (en) Power control device for dynamically adjusting frequency
KR102569138B1 (ko) 전압이득 가변제어 기반의 D-Class 앰프용 LLC 공진형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