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176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176A
KR20100129176A KR1020100047877A KR20100047877A KR20100129176A KR 20100129176 A KR20100129176 A KR 20100129176A KR 1020100047877 A KR1020100047877 A KR 1020100047877A KR 20100047877 A KR20100047877 A KR 20100047877A KR 20100129176 A KR20100129176 A KR 20100129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drum
tub
spring
spring stiff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근
김영석
서현석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11463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RU2538453C2/ru
Priority to CN201080022319.4A priority patent/CN102428222B/zh
Priority to PCT/KR2010/003405 priority patent/WO2010137909A2/en
Priority to EP10780820.6A priority patent/EP2435620B1/en
Priority to CA2760279A priority patent/CA2760279C/en
Priority to BRPI1010665 priority patent/BRPI1010665B1/pt
Priority to AU2010253599A priority patent/AU2010253599B2/en
Priority to US13/320,697 priority patent/US20120060567A1/en
Publication of KR2010012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3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an annular or the like shape, e.g. grommet-type resilient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의 진동을 완충지지하는 서스펜션어셈블리 구조가 종래와 전혀 다른 새로운 구조의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의 일실시예에서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2 이상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드럼과 함께 진동하는 진동체의 무게중심 전방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있다.
세탁기는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와 드럼세탁기가 있으며, 세탁기 중에는 세탁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건조도 함께 수행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도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젖은 세탁물을 열풍 등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드럼 세탁기는 터브가 수평으로 배치되며, 그 내부에 드럼 또한 수평으로 배치된다. 세탁물은 상기 드럼 내부에 위치되어 드럼이 회점됨에 따라 텀블되며 세탁된다.
터브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드럼은 세탁물이 위치되어 세탁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드럼은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드럼은 후면에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래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력이 회전축을 통해 드럼으로 전달되어 드럼이 회전되게 된다.
세탁시는 물론 헹굼시 그리고 탈수시에 드럼이 회전되는데 상기 드럼은 회전하면서 진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은 터브의 후벽면을 관통하면서 터브밖으로 돌출된다. 종래의 세탁기 중에는 터브의 후벽면에 베어링하우징이 인서트 몰딩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는, 터브 후벽에 베어링하우징이 체결되는 구조도 있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데, 드럼의 진동은 회전축을 통해 터브로 베어링하우징 및 터브로 전달되게 된다.
그래서, 터브가 드럼과 함께 진동하며, 그와 같은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기 터브에는 완충 지지부재가 연결된다.
즉, 종래의 세탁기는 드럼의 진동이 그대로 터브로 전달되는 구조이며, 그와 같은 진동은 터브에 연결된 완충지지부재를 통해 지지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드럼의 진동을 완충지지하는 서스펜션어셈블리 구조가 종래와 전혀 다른 새로운 구조의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의 일실시예에서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2 이상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드럼을 포함하여 상기 드럼과 함께 진동하는 진동체의 무게중심 전방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체는 드럼 및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 중 상기 서스펜션과 드럼 및 구동부 조립체를 연결해주는 브라켓들을 포함한 조립체일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상기 무게중심의 전방에 위치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강성 총합과 상기 무게중심의 후방에 위치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강성 총합이 서로 다르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강성는 상하방향 진동에 대한 스프링강성일 수 있다. 즉, 서스펜션이 기울어져 설치되는 경우 그 스프링강성 중 상하방향에 성분에 대한 부분만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상기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그 후방에서 상방으로 발휘하는 스프링력의 총합이 상기 무게중심의 전방에서 상방으로 발휘하는 스프링력의 총합보다 크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의 진동을 완충지지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서스펜션어셈블리이 터브에 연결되어 터브와 드럼의 진동을 함께 완충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드럼과 터브의 진동이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터브는 드럼이 서스펜션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는 것보다 더 경직되게 지지될 수 있다. 터브가 서스펜션어셈블리보다 더 경직된 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예를 좀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터브는 캐비닛에 적어도 일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둘째, 스크류, 리벳, 고무부싱 등에 의해 연결되어 서포트되거나 용접, 접착실링 등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와 같은 연결부재는 드럼의 주된 진동방향인 상하방향에 대해 그 강성이 서스펜션어셈블리의 그 강성보다 크다.
또 한편, 드럼의 진동이 터브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유연한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부재는 구동부와 터브의 누수를 방지하며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터브와 상기 구동부를 유연하게 연결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연한 부재는 후방가스켓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을 포함하는 진동체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서스펜션어셈블리에 대해 종래와 다른 새로운 구조를 제시한다.
특히, 전후방향으로 2이상의 서스펜션을 설치하되, 상기 진동체의 무게중심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진동체의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상기 진동체의 전방부분이 상하로 크게 유동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터브, 터브백, 및 후방가스켓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4는 터브백을 나타낸다.
도5 및 도6은 베어링하우징을 나타낸다.
도7은 웨이트브라켓 또는 반경방향브라켓을 나타낸다.
도8은 서스펜션어셈블리의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9 내지 도12는 서스펜션브라켓 또는 축방향브라켓을 나타낸다.
도13은 서스펜션이 캐비닛의 베이스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진동특성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적인 세탁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세탁장치는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터브는 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프론트(100)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레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는 나사로 조립되며, 내부에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터브레어(120)은 후면에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터브레어(120) 후면의 내주는 후방가스켓(250)의 외주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가스켓(250)의 내주부는 터브백(130)과 연결된다. 상기 터브백(130)은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의 진동이 상기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 및 터브레어(120)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브백(130)은 드럼 회전시 드럼과 함께 진동되는데, 이때 터브레어(1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터브레어(120)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터브백(130)이 터브레어(120)에 간섭되지 않고 상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의 그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브프론트(100)의 전방부에는 터브와 드럼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끼임방지부재(200)가 연결된다. 상기 이물끼임방지부재 (200)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터브프론트(10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물끼임방지부재(200)는 상기 후방가스켓(250)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드럼은 드럼프론트(300), 드럼센터(320), 드럼백(34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볼밸런서(310, 3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드럼백(340)은 스파이더(350)와 연결되며, 상기 스파이더(350)는 회전축(351)과 연결된다.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351)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51)은 상기 터브백(130)을 관통하여 모터와 직결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터(미도시)의 로터와 상기 회전축(351)이 직결된다. 상기 터브백(130)의 후면에는 베어링하우징(4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상기 모터와 상기 터브백(130)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3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에는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가 위치된다. 상기 모터는 아우터로터 타입의 모터로서 상기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도2에는 터브프론트(100), 터브레어(120), 터브백(130), 후방가스켓(25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터브프론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 프론트와 고정 연결된다. 이와 같은 고정연결을 위해 터브프론트(100)의 상기 전면부에는 체결보스가 대략 세탁물 출입 개구부를 둘러싸며 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브프론트(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 프론트를 위치시킨 후 전방에서 후방으로 나사를 조여 체결하게 된다.
터브프론트(100)의 하부에는 베이스(600)에 안착시키기 위한 베이스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결합부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상된 한 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터브레어(120)는 드럼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전방은 그대로 오픈되고, 후방부는 도넛 형상의 후면(128)을 갖는다. 전방부는 터브프론트(100)와 실링 결합된다. 상기 터브레어(120) 후면(128)의 직경은 터브백(130)의 외경보다 충분히 크다. 터브백(130)이 진동하더라도 터브레어(120) 후면(128)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즉, 상기 터브레어(120) 후면(128)과 터브백(130) 사이에는 후방가스켓(250)이 연결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레어(120) 후면(128)과 터브백(130) 사이를 실링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의 진동이 상기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충분히 유연한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브레어(120)는 캐비닛 레어(62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레어(120)에도 베이스(600)에 안착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터브는 도2와 같은 상태로 베이스(600)에 안착된 상태로 자립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도3은 터브레어(120), 터브백(130), 후방가스켓(250)이 결합된 일부 단면 모습을 나타낸다.
터브레어(120) 후면(128)의 내측 원주는 후방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에 대해서는 바깥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후방가스켓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가스켓 결합부의 골진 부분을 둘러싸고 체결링(미도시)이 위치하여 후방가스켓(250)을 터브레어(120)에 고정시키게 된다.
터브백(130)은 도5에도 보이는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약간 돌출하도록 형상된 중앙부(131)와 상기 중앙부(1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림부(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림부(1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림부(101)의 외면에는 리브(1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134a)와 안착부(134)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 후방가스켓(250)이 결합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 중 상기 홈에 삽입되는 부분은 골(2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골에 체결링이 위치하여 후방가스켓(250)을 림부(101)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터브백(130)의 상부에는 모터로 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벽(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벽(133)은 상기 안착부(134)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터브백(130)의 중앙부(131) 중앙에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351)이 관통하도록 관통홀(13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131c)은 도6에 보이는 베어링하우징(400)의 베어링지지부(401)가 안착되게 되는 베어링지지부 안착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지지부 안착부의 외면 즉, 후면에 베어링지지부(401)의 전면이 안착되게 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부 안착부의 내주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원통 형상의 플랜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스파이더(35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베어링하우징(400)은 모터의 스테이터가 체결되는 스테이터체결부(402)를 가진다. 그리고, 터브백(130)에는 상기 스테이터체결부(402)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보스(135)가 6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백(130)의 외곽측에는 체결보스(13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게 될 베어링하우징(400)의 제1연장부(406a) 및 제2연장부(406b)와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도5 및 도6은 베어링하우징(400)을 나타낸다. 도5는 베어링하우징(400)의 후면을, 도6은 전면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부(4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지지부(40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되어 스테이터 체결부(402)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터 체결부(402)에는 스테이터가 체결되기 위한 스테이터 체결보스(404)가 6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터브백(130)과 체결되기 위한 터브백 체결홀(4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터 체결부(402)의 일측에는 스테이터의 홀센서(81)가 수용되도록 홀센서 장착홈(403)이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터 체결부(402)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406a) 및 제2연장부(406b)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406a) 및 제2연장부(406b)는 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1웨이트체결부(410a)와 제2웨이트체결부(410b)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스테이터는 상기 제1연장부(406a) 및 제2연장부(406b) 후방에서 상기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351)과 직결식으로 연결되는 로터 또한 상기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에 의해 정의되는 안쪽 공간에서 상기 제1연장부(406a) 및 제2연장부(406b) 후방에 로터 및 스테이터가 위치하는 형태이다.
상기 제1연장부(406a) 및 제2연장부(406b)에는 터브백(130)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40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의 전면은 터브백(130)이 안착되기 위한 터브백 안착부(4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의 전면은 단차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브백(130)의 림부(1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안착부(134)가 상기 터브백 안착부(414)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제1연장부(406a), 제1수직부(409a), 제1웨이트체결부(410a)는 제2연장부(406b), 제2수직부(409b), 제2웨이트체결부(410b)와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웨이트체결부(410a)에는 스테이터의 접지를 위한 접지부(413a)와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브라켓(413b)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브라켓(413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406a)와 제2연장부(406b) 사이에는 제3연장부(40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연장부(408)로부터 후방으로 수직하게 제3수직부(408a)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3수직부(408a)에는 후술하게 될 제3스프링댐퍼(500)이 연결되는 제3축방향브라켓(408b)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스테이터체결부(402)의 상부에는 제4연장부(412)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연장부(412)에는 트랜싯 볼트가 체결되게 될 체결보스(412b)를 갖는 트랜싯볼트 체결부(412a)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에 대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모터가 위치하는 공간이 정의된다고 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부(409a) 및 제2수직부(409b)의 바깥쪽으로는 후방가스켓(250)의 주름부(252)가 위치하게 된다.
도7은 웨이트를 나타낸다. 제1웨이트(431)는 제1웨이트체결부(410a)에 연결되고, 제2웨이트(430)는 제2웨이트체결부(410b)에 연결된다. 상기 제1웨이트(431) 및 제2웨이트(430)는 서로 대칭이다.
상기 제1웨이트(431) 및 제2웨이트(430)는 웨이트로서의 역할과 함께 후술하게될 제1축방향브라켓(450) 및 제2축방향브라켓(440)을 베어링하우징(400)에 각각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제1웨이트(431) 및 제2웨이트(430)는 브라켓의 역할도 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웨이트와 브라켓의 역할이 분리되어 수행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때, 브라켓의 역할에 대해, 상기 제1웨이트(431) 및 제2웨이트(430)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반경방향브라켓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들은 드럼 내에 세탁물이 특히 드럼 전방측에 위치함에 따라 드럼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크게 처질 수 있는 것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또한 드럼이 진동하는 그 진동계에 있어서 매스(Mass)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제1웨이트(431) 및 제2웨이트(430)는 회전축(351)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상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들의 상부는 각각 웨이트체결부들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홀은 각 웨이트 상부에 4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체결홀 중앙에는 웨이트체결부들에 각각 형성된 위치결정돌기들이 삽입될 위치결정홈(430b, 43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웨이트(431)에는 트랜싯볼트가 체결될 제1트랜싯볼트부(43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웨이트(430)에는 제2트랜싯볼트부(430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웨이트(431) 및 제2웨이트(430)는 제1축방향브라켓(450) 및 제2축방향브라켓(440)과 연결될 브라켓연결부(430c, 431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연결부는 웨이트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무겁도록 형성된다. 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아래에 위치하게 되면 진동에 보다 안정적이다.
이와 같은 제1웨이트(431) 및 제2웨이트(430)는 주물 제작될 수 있다.
도8에는 서스펜션어셈블리이 베어링하우징(400)에 연결된 후 베이스(600) 상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수직방향의 완충을 위한 수직방향 서스펜션과 전후방향의 완충을 위한 전후방향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방향 서스펜션은 후방에 1개, 베이스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에 좌우로 2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경사져 2개의 서스펜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도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스프링댐퍼(520), 제2스프링댐퍼(510), 제3스프링댐퍼(500), 제1단순댐퍼(540), 제2단순댐퍼(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댐퍼은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된 형태일 수 있다. 실린더와 피스톤의 형태이기 때문에 완충 시 안정적으로 길이가변 된다. 실린더는 축방향브라켓에 연결되고 피스톤은 베이스측에 연결된다.
상기 단순댐퍼은 피스톤이 실린더 내를 움직이면서 마찰저항에 의해 댐핑효과를 얻는 구조이다.
상기 제1스프링댐퍼(520)은 제1축방향브라켓(450)과 베이스(600)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프링댐퍼(510)은 상기 제2축방향브라켓(440)과 베이스(60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3스프링댐퍼(500)는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제3축방향브라켓(408b)과 베이스(600) 사이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댐퍼들에 의해 후방에 1개소, 전방 좌우에 2개소에서 완충지지되는 형태이다. 상기 제1스프링댐퍼 및 제2스프링댐퍼의 스프링강성은 동일하다. 그러나, 제3스프링댐퍼(500)의 스프링강성은 다르다. 그리고, 상기 제3스프링댐퍼(500)은 그 스프링강성을 제외하고는 제1 또는 제2스프링댐퍼(510)과 구조 및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스프링만 교체하면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순댐퍼(540)은 제1축방향브라켓(450)과 베이스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져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제2단순댐퍼(530)은 제2축방향브라켓(440)과 베이스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져 설치되고 있다.
제3스프링댐퍼(500)은 후방의 중앙에, 제1스프링댐퍼(520)과 제2스프링댐퍼(510)은 전방 좌우에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제3스프링댐퍼(500)의 그 후방 지점과 상기 제1스프링댐퍼(520) 및 제2스프링댐퍼(510)의 전방 지점 사이에 제1단순댐퍼(540) 및 제2단순댐퍼(530)가 위치된다. 그리고, 이들은 좌우 대칭이다.
상기 스프링댐퍼들은 후술하게 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600)에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댐퍼는 스프링력만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지거나 또는 스프링력과 댐핑력을 함께 발휘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순댐퍼도 본 실시예와는 달리 스프링이 설치되어 스프링력이 함께 발휘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9 및 도10은 제1축방향브라켓(450)을 나타낸다. 제2축방향브라켓(440)은 제1축방향브라켓(450)과 대칭으로 형상되어 있다.
제1축방향브라켓(450)은 ㄷ자형 채널로 만들어져 있다. 즉, 상면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수직 절곡된 측벽들(456a, 456b)을 포함하여 ㄷ자형으로 형상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축방향브라켓(450)의 후방부에는 제1웨이트(431)와 연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축방향브라켓(450)이 제1웨이트(431) 위로 안착된 후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 제1축방향브라켓(450)은 3단의 계단형으로 형상된다. 즉, 후방에 위치하는 제1단부(451)와 그 전방에 위치하는 제2단부(452)와 그리고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3단부(4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부(451)에서 상기 제3단부(453)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
상기 제1단부(451)는 상기 제1웨이트(431)와 연결되고, 상기 제2단부(452)는 제1단순댐퍼(540)가 힌지로 연결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3단부(453)는 상기 제1스프링댐퍼(520)이 힌지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단부(452)에서는 제1단순댐퍼(54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단부(452)의 상면 중 일부가 절개되어 수직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2단부(452) 상면으로부터 그와 같이 형성된 수직절곡부(455a)와 제1축방향브라켓(450)의 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단순댐퍼(540)이 힌지 연결된다. 물론 수직절곡부(455a)를 형성하지 않고 제1축방향브라켓(450) 좌우측 측벽들(456a, 456b) 사이에 힌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들(456a, 456b) 및 수직절곡부(455a)에는 서로 정렬되는 관통공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실린더 댐퍼(540)의 그 대응 연결부가 수직절곡부(455a)와 좌측 측벽(456b) 또는 우측 측벽(456a)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좌측 측벽(456b)에는 그 관통공의 형성을 위해 아래로 연장되는 연장부(455b)가 형성된다.
힌지 핀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는 좌측 측벽(456b) 또는 우측 측벽(456a)과 수직절곡부(455a)의 관통공들과 상기 제1단순댐퍼(540)의 그 연결부의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단순댐퍼(540)를 제1축방향브라켓(450)에 연결한다. 이때, 그 연결은 좌우방향 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힌지 연결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을 위해서는 좌측 측벽(456b) 및 우측 측벽(456a) 중 하나와 상기 수직절곡부(455a)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체결부재는 좌우측 측벽들(456a, 456b)과 수직절곡부(455a) 모두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 1 실린더 댐퍼(540)를 연결함으로서 체결부위에서의 강도 또는 강성을 강화할 수도 있다. 특히, 제1축방향브라켓(450)의 좌우방향 회전모멘트에 대한 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제1스프링댐퍼(520)은 제3단부(453)에서 측벽들(454a, 454b) 사이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1단순댐퍼(540) 및 제1스프링댐퍼(520)을 힌지연결하기 위한 힌지볼트 체결방향은 좌우방향이다. 제1단순댐퍼(540) 및 제1스프링댐퍼(520)의 경우 외측에서 드럼을 향하는 방향으로 힌지볼트(541)가 체결된다. 상기 제1단순댐퍼(540)은 베이스에 힌지 연결되는데 이때에도 같은 방향으로 힌지볼트(542)가 체결된다.
상기 제3단부(453)의 끝단은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456)가 있다. 상기 절곡부(456)는 제1스프링댐퍼(520)이 그 힌지체결이 파손되거나 할 경우 상기 제1스프링댐퍼(520)의 상단이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11은 제1축방향브라켓(450)을 측면에서 본 모습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선(A)를 기준으로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높도록 설치된다.
도12는 제1축방향브라켓(450)과 제2축방향브라켓(440)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대표적으로 제1축방향브라켓(450)의 측벽들을 살펴보면, 전방으로 갈수록 내측벽(456a)이 외측벽(456b)을 향하여 가까와지도록 형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축방향브라켓(450) 및 제2축방향브라켓(440)은 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아진다. 이때, 터브의 외면을 보면 터브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상되어 있으므로 하부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좌우 폭이 커지는 구조이다. 즉, 위로 올라갈수록 터브의 외면은 축방향브라켓 쪽으로 가까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제1축방향브라켓(450)의 경우 내측벽(456a)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터브 외면과의 적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외측벽(456b)을 향해 가까와지도록 변형된 형태이다.
상기에서 제1스프링댐퍼(520), 제2스프링댐퍼(510), 제3스프링댐퍼(500)은 스프링강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즉, 스프링댐퍼의 길이도 동일하다. 그런데, 제1스프링댐퍼(520) 및 제2스프링댐퍼(510)이 제1축방향브라켓(450) 및 제2축방향브라켓(440)에 연결되는 각 연결점은 제3스프링댐퍼(500)이 전술한 제3축방향브라켓(408b)과 연결되는 연결점보다 낮다. 따라서, 동일한 길이의 스프링댐퍼을 사용하기 위해 베이스 중 제3스프링댐퍼(500)가 체결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그와 같은 높이차이는 스프링댐퍼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13에는 제2스프링댐퍼(510)이 베이스(600)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다른 스프링댐퍼가 베이스(600)에 장착되는 방법은 동일하다.
도1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베이스(600)의 지지부(605b)는 하방으로 프레스되어 형성된 부싱안착부(605b1)를 포함한다. 상기 부싱안착부(605b1)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홀의 모서리부분이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원통면을 형성하는 원통부(605b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싱안착부(605b1)의 상면에는 어퍼고무부싱(60)이 안착되고, 하면에는 로어고무부싱(61)이 안착된다. 상기 어퍼고무부싱(60)의 상면에는 제2스프링댐퍼(510)의 스프링지지부(511)가 안착된다. 상기 어퍼고무부싱(60) 중앙에는 피스톤(512)이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의 하단부(60a)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상기 부싱안착부(605b1) 중앙에 형성된 원통면(605b2)에 삽입된다. 상기 로어고무부싱(61)도 중안에 상기 피스톤(512)이 삽입된다. 상기 로어고무부싱(61)의 상면에는 상기 부싱안착부(605b1)의 원통면(605b2)을 수용하기 위한 원통홈(61a)이 형성되어 있다.
도13과 같이 피스톤(512), 어퍼고무부싱(60) 및 로어고무부싱(61)이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가 상기 피스톤(512)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2스프링댐퍼(510)은 베이스에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체결된다. 그래서, 상기 제2스프링댐퍼(510)은 상기 고무부싱의 탄성이 허용하는 한도에서 베이스에 상대운동이 가능하다.
스프링댐퍼을 상기와 같이 고무부싱을 통해 베이스에 체결함으로서 스프링댐퍼에 일정한 정도의 자유도, 특히, 베이스에 대한 회전자유도를 허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어퍼고무부싱(60) 및 로어고무부싱(61)의 외경은 모두 40mm이며, 두께는 설치전에 어퍼고무부싱(60)은 11.5mm이고, 로어고무부싱(61)은 12.5mm이다. 상기 고무부싱들(60, 61)은 설치전에는 그 두께가 다르지만 설치한 상태에서는 두께가 동일하도록 설치한다. 즉, 피스톤(512)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여 설치할 때 상기 고무부싱들(60, 61)의 두께가 동일하게 될 때까지 너트를 조이도록 한다. 상기 고무부싱들은 스프링댐퍼들에 작용되는 회전모멘트들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드럼의 진동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고무부싱(60) 및 로어고무부싱(61)은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 경도는 상온에서 55~65Hs의 범위 내로서 60Hs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어퍼고무부싱(60) 및 로어고무부싱(61)은 그 강성이 약하면 드럼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 진동폭을 증가시키게 될 수 있으며, 그 강성이 너무 강하면 탈수 시 정상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이상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댐퍼들(500, 510, 520)의 스프링강성 또는 스프링력에 대해 좀더 살펴본다.
드럼조립체(드럼,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의 조립체) 및 웨이트들(430, 431)(또는 반경방향브라켓들)과 축방향브라켓들(440, 450)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에 대한 무게중심에 대해 전방에는 제1스프링댐퍼(520)과 제2스프링댐퍼(510)이 설치되고, 후방에는 제3스프링댐퍼(5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무게중심으로부터 제1 및 2 스프링댐퍼(510, 520)까지의 전후방향 거리는 제3스프링댐퍼(500)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드럼조립체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는 상기 댐퍼들이 완충 또는 지지하여야 하는 그 대상이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어셈블리가 달라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어셈블리는 상기 댐퍼들에 의해 그 진동이 완충되는 관점에서 진동체 어셈블리라 통칭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드럼 및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조립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위와 같이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무게중심을 중심으로 드럼조립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제3스프링댐퍼(500)가 내는 스프링력은 더 크게 설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만약, 상기 무게중심으로부터 제1 및 2 스프링댐퍼(510, 520)까지의 거리와 제3스프링댐퍼(500)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다면 제1 및 2 스프링댐퍼(510, 520)가 내는 스프링력의 합과 제3스프링댐퍼(500)이 내는 스프링력의 합은 동일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무게중심에서 제3스프링댐퍼(500)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작기 때문에 무게중심에서 모멘트 평형을 이루기 위해 상기 제3스프링댐퍼(500)가 내는 스프링력은 제1 또는 제2 스프링댐퍼(510, 520)가 내는 스프링력의 두배 이상이 되어야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력의 차이를 유발시키기 위해 스프링강성을 차이나게 하여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제3스프링댐퍼(500)의 스프링강성을 제1 또는 제2 스프링댐퍼(510, 520)보다 크게 설정하여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이 후방에 위치하는 제3스프링댐퍼(500)의 스프링강성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되면 전후방이 동일한 변위로 아래로 이동한다고 가정할 때 후방에서 드럼을 상부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되는 제3스프링댐퍼(500)의 스프링력의 변화가 더 크게 되기 때문에 드럼 선단이 하방으로 크게 변위 되어 드럼 전방부가 상하로 크게 유동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스프링댐퍼을 이용하여야 할 수도 있다.
또한, 드럼에 세탁물이 투입될 때 또는 드럼 내에서 세탁물이 유동하여 드럼 전방으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 드럼 전방이 아래로 크게 처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1스프링댐퍼(520) 및 제2스프링댐퍼(510)은 후방에 있는 제3스프링댐퍼(500)보다 스프링강성이 더 큰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스프링댐퍼들(500, 510, 520)의 스프링강성은 세탁물이 드럼에 투입되면 드럼 전방부가 후방부보다 더 아래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틸팅된 각도를 줄일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스프링댐퍼들(500, 510, 520)의 그 스프링강성은 그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제1스프링댐퍼(520) 및 제2스프링댐퍼(510)은 각각 7800 N/m, 제3스프링댐퍼(500)은 5000N/m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스프링댐퍼(500)은 전방에 있는 제1스프링댐퍼(520) 및 제2스프링댐퍼(510)보다 그 스프링력을 더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의 변위를 상대적으로 더 압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드럼조립체의 자중 때문에 스프링댐퍼들(500, 510, 520)은 설치된 후 일정 거리 압축되게 되는데, 이때, 각 스프링의 압축된 길이는 제3스프링댐퍼(500) 측이 더 크게 설치된다. 즉, 제3스프링댐퍼(500)의 스프링강성은 상대적으로 낮추면서 그 스프링은 미리 더 압축하여 설치함으로서 요구되는 스프링력을 확보하여 시스템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댐퍼들(500, 510, 520)은 각각 감쇄력(또는 댐핑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 그 감쇄력은 40 N/mm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감쇄력은 60 N/mm 이하로 설정됨이 유리할 수 있다. 감쇄력이 그 이상인 경우에는 탈수 시 드럼의 진동이 비정상적으로 불안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드럼의 회전속도가 400rpm을 넘어선 상태에서 드럼 전방부 또는/및 후방부에 설치된 볼밸런서가 밸런서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언발란스량(UB량)이 커지게 되어 진동계가 발산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종래의 세탁장치는 터브와 드럼이 함께 진동하는 진동계였기 때문에 그 진동계의 매스가 컸지만,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는 그 진동계의 매스가 상당히 작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계의 매스가 가벼워진 상태에서 감쇄력이 크면 진동이 불안정해 질 수 있으므로, 감쇄력을 제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드럼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그 변위량을 줄이기 위해 제1단순댐퍼(540)와 제2단순댐퍼(530)가 경사져 설치되는데, 상기 단순댐퍼들(530, 540)은 각각 그 감쇄력이 40 N/mm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에서, 상기 단순댐퍼들(530, 540)은 80 N/mm 이하로 설정됨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순댐퍼(540) 및 제2단순댐퍼(530)는 베이스(600)의 수평면에 대해 그 전단이 상방으로 35도 경사져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세탁장치는 드럼의 진동이 터브로 전달되는 것을 상당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터브를 캐비닛에 인접하도록 확장하고, 드럼의 용적을 그에 따라 확장하여 용량증대를 달성할 수 있다. 이때, 드럼의 회전에 의한 외력은 더 커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드럼이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터브가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세탁장치에서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드럼의 전후방향에 대한 변위를 줄이기 위해서도 상기와 같이 경사진 단순댐퍼(530, 540)를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드럼조립체의 상하방향 진동에 대해서는 상기 스프링댐퍼들(500, 510, 520)의 감쇄력 합과 상기 제1 및 2 단순댐퍼(530, 540)의 감쇄력의 상하방향 성분(40N/mm x sin 35)의 합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전후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제1 및 2 단순댐퍼(530, 540)의 감쇄력의 전후방향 성분(40N/mm x cos 35)의 합이 작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비정상적 진동 불안정 문제를 줄이기 위해 상하방향에 대해서는 (3 x 60 + 2 x 80 sin 35) N/mm 이하로, 전후방향에 대해서는 (2 x 80 cos 35) N/mm 이하로 제한함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드럼조립체를 터브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자체 또한 스프링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진동계로 볼 때 드럼조립체에 대해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후방가스켓(250)은 가급적 스프링력을 발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자체의 형상을 유지할 필요와 세탁수에 의한 압력을 견디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는 것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라도 상기 후방가스켓(250)의 스프링강성은 8000N/m를 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스프링강성이 크면 드럼의 회전속도 400rpm 이상의 정상상태 회전 구간에서 드럼의 이상진동에 의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가스켓(250)의 스프링강성은 6000N/m이다. 탈수 시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공진에 의해 진동량이 커지는 과도진동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도진동 영역을 지나고 나면 드럼의 진동량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일정해지는 정상상태 영역에 이르게 된다.
한편,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그 명칭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재질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켓으로 사용되는 재질 이외에도 드럼의 진동을 터브로 전달하는 양을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 또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후방가스켓(250)의 형상 또한 터브로의 진동 전달을 비교적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달리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댐퍼 및 단순댐퍼는 드럼조립체를 완충 지지하는 서스펜션의 실시예라 할 수 있다. 그 명칭에도 불구하고 실린더 형태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14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진동특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진폭이 크고 불규칙적인 과도진동(Transient vibration)이 발생하는 영역(이하 "과도진동영역")이 나타난다. 과도진동영역은 진동의 비교적 안정화되는 영역(steady-state vibration, 이하 "안정영역")으로 되기 전에 나타나는 불규칙적이고 진폭이 큰 진동이며, 통상 진동계(세탁기)가 설계되면 결정되는 진동특성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서는 대략 200-350rpm에서 과도진동이 나타나며, 공진에 의한 과동 진동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과도진동영역을 통과한 후에 진동이 안정화되다가 다시 진동이 커지는 영역(이하, 편의상 "이상진동(Irregular vibration)"이라 함)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연구 결과, 이상진동은 대략 400-1,000rpm 영역(이하 "이상진동영역")에서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이상진동에는 밸런서, 완충지지수단(댐핑시스템), 후방가스켓(250)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그 구성요소에 대하여 사용된 명칭들은 그 문언 자체가 갖는 사전적 또는 기술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구성요소들의 명칭들 중 적어도 일부는 편의상 지어진 것도 포함하며, 그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기능, 형상 등을 한정하기 위하여 지어진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그 기능 및 역할에 의해 일단 정의되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터브프론트 120:터브레어
130:터브백 200:전방가스켓
250:후방가스켓 300:드럼프론트
320:드럼센터 340:드럼백
350:스파이더 351:회전축
400:베어링하우징 430, 431 : 반경방향브라켓
440, 450: 축방향브라켓 500, 510, 520:실린더스프링
530, 540 : 실린더댐퍼 600:베이스
620:캐비닛레어 630:캐비닛라이트
640:캐비닛레프트

Claims (26)

  1. 세탁물(laundry)를 수용하는 회전 가능한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여 감소시키되, 상기 드럼 및 구동부 조립체의 무게중심 전방에 위치하는 서스펜션유닛을 포함하여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2 이상의 서스펜션유닛을 포함하는 서스펜션어셈블리;
    을 포함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의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무게중심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서스펜션유닛은 2개의 스프링댐퍼를, 상기 후방 서스펜션유닛은 1개의 스프링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서스펜션유닛의 스프링강성 총합과 상기 후방 서스펜션유닛의 스프링강성 총합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스프링강성 총합은 상기 후방측 스프링강성 총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스프링강성 총합은 상기 후방측 스프링강성 총합보다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스프링강성 총합은 14000N/m 이상이며, 상기 후방측 스프링강성 총합은 60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상기 구동부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하되, 상기 구동부의 상하방향에 대한 변위에 대해 스프링강성는 8000N/m 이하인 후방가스켓;
    을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서스펜션의 댐핑계수의 총합은 상기 후방측 서스펜션의 댐핑계수 총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총감쇄력이 340N/mm 이하가 되도록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에 대해 후방보다 전방에 서스펜션이 더 많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시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상기 무게중심 전방에서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서스펜션 및 제2서스펜션과 상기 제1 또는 제2 서스펜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제3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세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서스펜션은 스프링댐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서스펜션은 상기 제3서스펜션보다 스프링강성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서스펜션은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스펜션 및 제2서스펜션의 스프링강성는 7800N/m, 상기 제3서스펜션의 스프링강성는 5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상기 구동부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하되, 상하방향에 대한 스프링강성는 6000N/m인 후방가스켓;
    을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서스펜션은 각각 40N/mm의 감쇄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시 서스펜션어셈블리는 80N/mm의 감쇄력을 발휘하는 댐핑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1단순댐퍼 및 제2단순댐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강성 총합은 17820~2178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총 감쇄력이 180~220N/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에 대해 후방에 위치하는 서스펜션의 초기 압축변위은 상기 무게중심 전방에 위치한 서스펜션의 초기 압축변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는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터브의 누수를 방지하며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터브와 상기 구동부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유연한부재(flexible material)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는 상기 드럼이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는 것보다 더 경직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00047877A 2009-05-28 2010-05-24 세탁장치 KR20100129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1146320/12A RU2538453C2 (ru) 2009-05-28 2010-05-28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201080022319.4A CN102428222B (zh) 2009-05-28 2010-05-28 洗衣机
PCT/KR2010/003405 WO2010137909A2 (en) 2009-05-28 2010-05-28 Laundry machine
EP10780820.6A EP2435620B1 (en) 2009-05-28 2010-05-28 Laundry machine
CA2760279A CA2760279C (en) 2009-05-28 2010-05-28 Laundry machine with a suspension assembly having at least two suspension units
BRPI1010665 BRPI1010665B1 (pt) 2009-05-28 2010-05-28 máquina de lavanderia
AU2010253599A AU2010253599B2 (en) 2009-05-28 2010-05-28 Laundry machine
US13/320,697 US20120060567A1 (en) 2009-05-28 2010-05-28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47192 2009-05-28
KR1020090047192 2009-05-28
KR1020090079950 2009-08-27
KR20090079950 2009-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76A true KR20100129176A (ko) 2010-12-08

Family

ID=4350590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481A KR20100129164A (ko) 2009-05-28 2010-05-18 세탁장치
KR1020100047878A KR20100129177A (ko) 2009-05-28 2010-05-24 세탁장치
KR1020100047877A KR20100129176A (ko) 2009-05-28 2010-05-24 세탁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481A KR20100129164A (ko) 2009-05-28 2010-05-18 세탁장치
KR1020100047878A KR20100129177A (ko) 2009-05-28 2010-05-24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20120011900A1 (ko)
EP (3) EP2435618A4 (ko)
KR (3) KR20100129164A (ko)
CN (3) CN102395725B (ko)
AU (2) AU2010253601B2 (ko)
BR (2) BRPI1012181B1 (ko)
CA (2) CA2760660C (ko)
ES (1) ES2587799T3 (ko)
PL (1) PL2435621T3 (ko)
RU (2) RU2485231C1 (ko)
WO (3) WO20101378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423B1 (ko) * 2012-10-09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드럼 세탁기의 서브드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서브드럼 결합방법
DE202015101403U1 (de) 2015-03-19 2015-03-26 Antonio Chiriatti Maschine zum Wäschewaschen bzw. Wäschetrocknen
CN106283509B (zh) 2015-05-29 2020-01-1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外筒及洗衣机
CN107488982B (zh) * 2017-08-04 2020-05-19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脱水减振结构和洗衣机
CN111058238A (zh) * 2019-12-16 2020-04-2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减震座及滚筒洗衣机
CN111725950B (zh) * 2020-07-14 2021-11-09 小狗电器互联网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风机及吸尘器
CN114123367B (zh) * 2020-08-31 2024-05-07 索尼互动娱乐股份有限公司 支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8427A (en) * 1960-01-19 1964-12-23 Hoove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pin drying machines
US3509742A (en) * 1966-10-05 1970-05-05 Fritz Bauer Supporting structure for a washing machine
SE9301396L (sv) * 1993-04-26 1994-10-27 Electrolux Ab Anordning vid en tvättmaskin för dämpning av vibrationsljud
RU2085641C1 (ru) * 1994-12-07 1997-07-27 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Смирнов Стирально-отжимная машина
JP3699855B2 (ja) * 1999-03-15 2005-09-28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KR100464054B1 (ko) * 2002-12-27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EP1477604A3 (en) * 2003-05-13 2006-09-13 Lg Electronics Inc. Damper for washing machine
KR100471122B1 (ko) * 2003-05-15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댐퍼
DE10342254B3 (de) * 2003-09-11 2004-11-18 Miele & Cie. Kg Waschmaschine mit einer Dichtungsanordnung
KR101133607B1 (ko) * 2004-02-25 2012-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댐퍼 핀
KR100587307B1 (ko) * 2004-06-09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드럼
KR100548309B1 (ko) * 2004-07-13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력을 이용한 댐퍼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0634802B1 (ko) * 2004-07-2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JP2006061613A (ja) * 2004-08-30 2006-03-0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0755835B1 (ko) * 2004-10-07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743707B1 (ko) * 2005-02-03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장치가 구비된 터브 일체형 드럼 세탁기
US8033145B2 (en) * 2005-05-13 2011-10-11 Sharp Kabushiki Kaisha Drum-type washing machine
JP3949145B2 (ja) * 2005-05-13 2007-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0651853B1 (ko) * 2005-09-30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서트사출형 베어링하우징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캐비넷/터브 일체형 드럼세탁기
US7536882B2 (en) * 2006-03-29 2009-05-26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777299B1 (ko) * 2006-06-09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101414599B1 (ko) * 2007-02-2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JP4930291B2 (ja) * 2007-09-05 2012-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CN101381946A (zh) * 2007-09-09 2009-03-11 唐红元 磁悬浮滚筒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7893A3 (en) 2011-01-27
EP2435618A2 (en) 2012-04-04
EP2435618A4 (en) 2014-03-26
BRPI1012181A2 (pt) 2016-04-05
BRPI1012181B1 (pt) 2019-12-03
EP2435620A4 (en) 2012-11-28
CN102428223A (zh) 2012-04-25
RU2538453C2 (ru) 2015-01-10
CN102428223B (zh) 2014-03-12
WO2010137909A2 (en) 2010-12-02
EP2435621A2 (en) 2012-04-04
WO2010137911A2 (en) 2010-12-02
KR20100129164A (ko) 2010-12-08
PL2435621T3 (pl) 2016-11-30
BRPI1010665A2 (pt) 2016-03-15
WO2010137893A2 (en) 2010-12-02
WO2010137911A3 (en) 2011-03-24
EP2435620B1 (en) 2014-08-13
KR20100129177A (ko) 2010-12-08
AU2010253599B2 (en) 2015-05-21
EP2435621A4 (en) 2012-11-21
EP2435620A2 (en) 2012-04-04
CN102395725B (zh) 2013-10-23
RU2011146320A (ru) 2013-07-10
CA2760660C (en) 2014-04-29
CN102395725A (zh) 2012-03-28
CA2760279C (en) 2017-02-28
BRPI1010665A8 (pt) 2019-11-05
CA2760279A1 (en) 2010-12-02
ES2587799T3 (es) 2016-10-26
CN102428222B (zh) 2014-10-08
CN102428222A (zh) 2012-04-25
US20120060567A1 (en) 2012-03-15
AU2010253601A1 (en) 2011-11-10
WO2010137909A3 (en) 2011-01-20
CA2760660A1 (en) 2010-12-02
BRPI1010665B1 (pt) 2019-12-10
EP2435621B1 (en) 2016-05-25
US20120011900A1 (en) 2012-01-19
US20120118024A1 (en) 2012-05-17
AU2010253599A1 (en) 2011-11-10
AU2010253601B2 (en) 2013-02-07
RU2485231C1 (ru)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9176A (ko) 세탁장치
KR101644884B1 (ko) 세탁장치
KR101320672B1 (ko) 세탁장치
KR101689604B1 (ko) 세탁장치
AU2009334060B2 (en) Laundry machine
KR20100080418A (ko) 세탁장치
KR101698852B1 (ko) 세탁장치
KR20100080460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9A (ko) 세탁장치의 제조방법
KR20100129156A (ko) 세탁장치
KR20100129175A (ko) 세탁장치
KR20100129178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8A (ko) 세탁장치
KR20120137694A (ko) 세탁장치
KR20150133009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