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418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418A
KR20100080418A KR1020090131648A KR20090131648A KR20100080418A KR 20100080418 A KR20100080418 A KR 20100080418A KR 1020090131648 A KR1020090131648 A KR 1020090131648A KR 20090131648 A KR20090131648 A KR 20090131648A KR 20100080418 A KR20100080418 A KR 2010008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flexible
fastening
drum
laundry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498B1 (ko
Inventor
송정태
김수봉
권익근
임희태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980155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301057B/zh
Priority to US13/142,965 priority patent/US9587341B2/en
Priority to ES09836374.0T priority patent/ES2616582T3/es
Priority to EP09836374.0A priority patent/EP2387634B1/en
Priority to PL09836374T priority patent/PL2387634T3/pl
Priority to PCT/KR2009/007864 priority patent/WO2010077053A2/en
Priority to MX2011007086A priority patent/MX2011007086A/es
Priority to AU2009334023A priority patent/AU2009334023B2/en
Priority to RU2011132014/12A priority patent/RU2530392C2/ru
Priority to CA2748841A priority patent/CA2748841C/en
Priority to BRPI0923735-6A priority patent/BRPI0923735B1/pt
Publication of KR2010008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418A/ko
Priority to ZA2011/05064A priority patent/ZA201105064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의 일실예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고정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터브 후면의 후방개구부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완충지지하는 서스펜션유닛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90131648
세탁기, 진동, 터브, 드럼, 완충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있다.
세탁기는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와 드럼세탁기가 있으며, 세탁기 중에는 세탁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건조도 함께 수행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도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젖은 세탁물을 열풍 등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드럼 세탁기는 터브가 수평으로 배치되며, 그 내부에 드럼 또한 수평으로 배치된다. 세탁물은 상기 드럼 내부에 위치되어 드럼이 회점됨에 따라 텀블되며 세탁된다.
터브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드럼은 세탁물이 위치되어 세탁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드럼은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드럼은 후면에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래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력이 회전축을 통해 드럼으 로 전달되어 드럼이 회전된다.
세탁시는 물론 헹굼시 그리고 탈수시에도 드럼이 회전되는데 상기 드럼은 회전하면서 진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은 터브의 후벽면을 관통하면서 터브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축은 베어링하우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은 터브의 후벽면과 강체적으로(rigidly) 연결된다. 그래서, 드럼의 진동은 터브로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완충하기 위해 서스펜션유닛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터브와 연결되어 터브의 진동을 완충 지지한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에 의한 진동은 터브로 전달되어 서스펜션유닛을 통해 완충되는 구조(mechanism)이다.
본 발명은 터브와 구동부가 진동적으로 분리된 새로운 구조의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터브로 전달되는 드럼의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탁장치의 일실시예는 터브의 후방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와 상기 터브의 후방개구부 사이를 실링하도록 유연한 부재가 연결된다. 상기 유연한 부재(flexible material)는 상기 구동부의 터브에 대한 상대운동을 허용한다. 상기 유연한 부재는 플렉서블 실러(flexible sealer)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부재는 터브체결부, 구동부체결부,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유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체결부는 상기 터브와 실링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구동부체결부는 상기 구동부와 실링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연부(flexible portion)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터브체결부 및 구동부체결부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한다.
상기 체결부들은 그 체결되는 대상과 실링되도록 체결되므로 그 대상과 기밀하게(watertightly) 접촉하며 체결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체결부들은 그 체결대상과 접촉하는 면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들은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으므로, 상기 접촉면에 대한 반대면을 가질 수 있다. 그래서, 결국, 상기 체결부들은 상기 접촉면과 그 반대면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유연부는 상기 체결부들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연부는 상기 유연한 부재 중 상기 체결부들과 같이 체결 대상과 기밀하게 접촉하는데 필요한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들은 체결대상들과의 기밀한 체결을 위해 필요하고, 상기 유연부는 상기 구동부가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유연하게 허용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연부는 상기 구동부의 진동이 상기 터브로 전달되지 않도록 유연하게 신축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이 신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주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그리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 또는 베어링하우징 이외 다른 구성(element)를 통해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게되는 터브백을 통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와 같은 터브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유연한 부재는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터브백과 같은 다른 부재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되어 상기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유연한 부재가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는 터브가 고정적으로(fixedly) 설치되거나, 서스펜션유닛과 같이 플렉서블한 지지구조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에 의한 지지와 고정지지 사이의 중간 정도로 지지될 수도 있다.
즉, 터브는 후술하게 되는 서스펜션유닛과 같은 정도로 플렉서블하게 지지될 수도 있고, 그러한 지지보다는 움직임이 더 경직되도록(rigidly) 지지될 수도 있다. 예컨대, 터브는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거나, 서스펜션보다는 플렉서블하지 않지만 어느정도 움직임에 유연함을 줄 수 있도록 고무부싱과 같은 것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또는 완전히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터브가 서스펜션유닛보다 더 경직되게 지지되는 예를 좀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터브는 캐비닛에 적어도 일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둘째, 스크류, 리벳, 고무부싱 등에 의해 연결되어 서포트되거나 용접, 접착실링 등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와 같은 연결부재는 드럼의 주된 진동방향인 상하방향에 대해 그 강성이 서스펜션유닛의 그 강성보다 크다.
이와 같은 터브는 그 설치되는 공간 내에서 가능한 한도 내에서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터브는 적어도 좌우방향(회전축이 수평하게 놓일 때 그 축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좌우방향 크기를 제한하는 벽이나 프레임(예컨대,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플레이트)에 근접한 정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브는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벽에 일체적으로 만 들어질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는 상기 좌우방향에 있어서 터브는 드럼보다 상기 벽이나 프레임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는 드럼과의 간격보다 1.5배 이하의 간격으로 상기 벽이나 프레임과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브가 그와 같이 좌우방향에 대해 확장된 상태에서 드럼 또한 좌우방향에 대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터브와 드럼 사이의 좌우방향 간격이 작을 수록 드럼은 좌우방향으로 그만큼 더 확장할 수 있게 된다. 터브와 드럼의 좌우방향 간격을 줄임에 있어서는 드럼의 좌우방향 진동을 고려할 수 있다. 드럼의 좌우방향에 대한 진동이 작을 수록 드럼의 직경이 더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게 되는 서스펜션 유닛은 좌우방향에 대한 강성이 다른 방향에 비해 크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서스펜션 유닛은 좌우방향의 변위에 대한 강성이 다른 방향에 비하여 최대가 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서스펜션유닛에 있어서는, 종래와 달리 터브를 통하지 않고, 드럼에 연결된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즉, 베어링하우징은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그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베어링하우징의 지지부 또는 연장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도어가 있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유닛은 회전축의 그 축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서스펜 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지지대상(예컨대, 드럼)을 스탠딩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지지대상이 매달려 지지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들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그 하부 또는 상부에만 서스펜션을 구비하여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다.
드럼,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 등을 포함하는 그 진동체의 무게중심은 적어도 드럼의 길이방향 형상중심을 기준으로 모터가 있는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서스펜션은 상기 무게중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중심 전후에 각각 하나의 서스펜션이 설치될 수도 있다.
터브는 후방부에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는 유연한 부재를 통해 상기 터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부재는 터브의 상기 후방부 개구부를 통해 세탁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하는 한편, 상기 구동부의 터브에 대한 상대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연한 부재는 실링이 가능하고 유연한 소재이면 무방할 것으로, 예컨대 전방가스켓처럼 가스켓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편의상 전방가스켓에 대응하여 후방가스켓으로 칭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의 구동부측 연결은 적 어도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대해 회전구속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후방가스켓은 회전축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베어링하우징의 연장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 중 상기 후방가스켓과의 연결부분 전방에 위치하여 터브 내의 세탁수에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은 세탁수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코팅을 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별도의 부품(예컨대, 후술하는 터브백)으로 그 전면부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부 중 금속재로 된 부분 있는 경우 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캐비닛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빌트인 세탁장치의 경우는 캐비닛 대신 세탁장치가 설치될 공간이 벽구조 등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독립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경우도 전면측은 필요할 수 있다.
터브로 전달되는 드럼의 진동이 감소된다.
터브는 진동이 감소되어 캐비닛 내면에 가깝게 확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드럼의 크기 또한 확대되어 결과적으로 용량이 증대된 세탁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적인 세탁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세탁장치는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터브는 전방부 를 구성하는 터브프론트(100)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레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는 나사로 조립될 수 있으며, 내부에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터브레어(120)은 후방측에 개구부를 갖는다. 터브레어(120)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유연한 부재인 후방가스켓(25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반경방향 내측부분에서 터브백(1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백(130)은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의 진동이 상기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는 정도로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 및 터브레어(120)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브백(130)은 드럼 회전시 드럼과 함께 진동되는데, 이때 터브레어(1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터브레어(120)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터브백(130)이 터브레어(120)에 간섭되지 않고 상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의 그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곡면부 또는 주름부(252)를 가질 수 있다.
터브는 그 전방부에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갖는다. 그와 같은 출입구가 있는 터브의 전방부측에는 상기 출입구를 통해 세탁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터브와 드럼 사이로 세탁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다른 기능을 위한 전방가스켓(200)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은 드럼프론트(300), 드럼센터(320), 드럼백(3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볼밸런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백(340)은 스파이더(350)와 연결되며, 상기 스파이더(350)는 회전축(351)과 연결된다.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351)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51)은 상기 터브백(130)을 관통하여 모터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과 동심으로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가 회전축에 직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터의 로터와 상기 회전축(351)이 직결된다. 상기 터브백(130)의 후면(128)에는 베어링하우징(4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상기 모터와 상기 터브백(130)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3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에는 스테이터(80)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80)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가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는 상기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상기 모터는 아우터로터 타입의 모터로서 상기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캐비닛 베이스(600)로부터 서스펜션유닛을 통해 지지된다.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베어링하우징과 연결되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연결되는 복수의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스펜션은 수직 서스펜션 3개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적으 로 설치되는 경사서스펜션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캐비닛 베이스(600)에 완전 고정식으로 연결되지 않고 드럼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베이스에 연결된 그 지지점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어느 정도 회전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탄성 지지를 위해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스펜션은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베이스(600)에 설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 중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은 드럼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완충시키고, 상기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그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과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진동계에서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스프링의 역할을 하고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댐핑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캐비닛에 고정 설치되며, 드럼의 진동은 상기 서스펜션유닛에 의해 완충된다. 터브는 그 전면부 및 후면부가 캐비닛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는 캐비닛의 베이스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베이스에도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탁장치는 실질적으로 터브와 드럼의 지지구조가 분리된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이 진동하더라도 터브는 진동하지 않는 구조의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후방가스켓에 따라서 터브로 전달되는 드럼의 진동량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탁장치에서는 터브의 진동이 현저히 적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진동때문에 유지하였던 간격이 필요 없으므로 터브의 외면은 캐비닛에 최대한 가까 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캐비닛의 사이즈를 확장하지 않더라도 터브의 사이즈를 확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동일한 외관의 사이즈에서 세탁장치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질적으로 캐비닛 라이트(630) 또는 캐비닛 레프트(640)와 터브와의 간격이 5mm 정도밖에 되지 않을 수 있다. 종래 터브가 함께 진동하는 세탁장치에서는 터브의 진동이 캐비닛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간격으로 30mm정도였다. 터브의 직경을 생각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보다 터브의 직경을 50mm 더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동일한 외관사이즈에서 세탁장치의 용량을 한단계 상승시킬 수 있는 정도로 현저한 차이를 낳는다.
도 2에는 터브프론트(100), 터브레어(120), 터브백(130), 후방가스켓(25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터브레어(120)는 드럼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전방은 그대로 오픈되고, 후방부는 도넛 형상의 후면(128)을 갖는다. 전방부는 터브프론트(100)와 실링 결합된다. 상기 터브레어(120)은 캐비닛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12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브레어(120) 후면(128)의 직경은 터브백(130)의 외경보다 충분히 크다. 터브백(130)이 진동하더라도 터브레어(120) 후면(128)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레어(120) 후면(128)과 터브백(130) 사이에는 후방가스켓(250)이 연결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레어(120) 후면(128)과 터브 백(130) 사이를 실링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의 진동이 상기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충분히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주름부(252)를 갖는다.
상기 주름부(252)는 가스켓을 곡면으로 형상함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터브백(130) 또는 터브레어(120)와 연결된 후방가스켓의 그 연결부를 기준으로 전방측 보다는 후방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곡면지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터브레어(120)의 후면부(128)를 기준으로 후면부(128) 전방측(즉, 터브 안쪽)보다는 후방측(터브 바깥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전방에서 회전하게 되는 스파이더 및 드럼과의 간섭 문제에 유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주름부(252)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 없이 후방으로만 돌출되도록 만들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름부(252)는 터브레어(120)와 연결된 그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진 후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지며 다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져 터브백(130)과 연결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부 중 후방으로 돌출된 정도는 전방으로 돌출된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주름부는 상기 터브레어(120) 또는 터브백(130)과 연결되는 부분(이 부분은 체결링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을 기준으로 할 때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전후방향 폭은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부 중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그 펼쳐진 폭(이는 곡면진 그 주름부를 펼쳤을 때의 폭 또는 그 곡면의 곡선길이라 할 수 있다)는 그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펼쳐진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상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그 펼쳐진 상태에서의 반경방향 폭은 그 상부 및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그 펼쳐진 상태의 폭을 합한 것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주름부(252)에 있어 터브레어(120)와 연결된 그 연결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진 부분은 외측주름부, 상기 외측주름부로부터 이어져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진 부분은 중간주름부, 그리고 다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져 터브백(130)과 연결되는 부분은 내측주름부라 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간주름부의 반경방향 폭은 상기 외측주름부 또는 외측주름부의 반경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주름부의 반경방향 폭은 상기 외측주름부의 반경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내측주름부는 드럼과 함께 진동하게 되는 터브백과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하게 되므로 외측주름부보다는 반경방향 폭이 큰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외측주름부는 내측주름부보다 전방으로 덜 돌출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드럼은 좌우방향 축에 대해서도 회전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고, 이 때 회전축에서 멀리 있는 부분일 수록 전후방향 움직임이 크기 때문에 외측주름부를 전방으로 덜 돌출시켜 드럼 또는 스파이더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도 3은 터브레어(120)와 후방가스켓(250)과 터브백(130)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다.
먼저, 터브레어(120) 후면(128)의 내측 원주는 후방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에 대해서는 바깥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형성된다.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의 골진 부분을 둘러싸고 체결링(미도시)이 위치하여 후방가스켓(250)을 터브레어(120)에 고정시키게 된다.
후방가스켓(2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백(130)의 진동에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 주름부(252)가 형성되어 있다.
터브백(130)은 중앙부(131)와 중앙부(1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림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림부(1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부(134)가 형성된다. 림부(132)의 외면에는 리브(134a)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34a)와 안착부(134)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홈에 후방가스켓(250)이 결합된다. 후방가스켓(250) 중 상기 홈에 삽입되는 부분은 골(254)이 형성되어 있고, 골(254)의 외주에 체결링이 위치하여 후방가스켓(250)을 림부(101)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터브백(130)의 상부에는 모터로 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벽(133)이 형성되어 있다. 수벽(133)은 상기 안착부(134)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후방가스켓(12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후방가스켓(1250)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후방가스켓(1250)은 상기 터브와 실링가능하게 체결되는 터브체결부와 상기 구동부와 실링가능하게 체결되는 구동부체결부와,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터브체결부 및 구동부체결부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유연부(1252')(flexible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체결부와 구동부체결부는 도5의 후방가스켓에서 상기 유연부(1252')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 및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브의 일부로서 터브레어(120) 후방가스켓이 체결되므로, 상기 터브체결부는 터브레어체결부(1200)로 칭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에 터브백이 포함되고 상기 후방가스켓은 상기 터브백에 체결되므로, 상기 구동부체결부는 터브백체결부(1300)라 칭한다. 또한, 상기 유연부(1252')는 주름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벨로우즈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유연부(1252')는 주름부(125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가스켓(12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이 터브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를 포함하는 터브와 모터 및 드럼은 후방가스켓(1250)에 의해 진동이 서로 전달되지 않는 서로 다른 진동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후방가스켓(1250)은 드럼의 진동이 터브백(130)을 통하여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유연(flexible)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후방가스켓(1250)은 터브레어(120)의 후면(128) 및 터브백(130)과 함께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의 후벽면을 구성한다. 터브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터브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면 세탁수의 자중에 의해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세탁수의 압력은 터브의 후벽면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가스켓(1250)이 지나치게 유연하면, 세탁수에 의해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변형 및 파손의 우려가 있다.
세탁수가 급수됨에 따라 후방가스켓의 하부가 물에 잠기면 수압에 의해 후방가스켓은 하부에서 당기는 듯한 하중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후방가스켓의 상부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후방가스켓에 있어서 물에 잠기지 않은 부분에서는 위와 같은 하중에 의해 좌굴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은 문제를 줄이기 위해 세탁행정 또는 급수행정에서의 세탁수는 후방가스켓의 하부 중 가급적 적은 부분이 잠기는 정도의 수위로 급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후방가스켓의 주름부가 완전히 잠기는 경우 수압에 의해 후방가스켓의 상부에서의 변형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주름부가 완전히 잠기지 않는 정도로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후방가스켓의 내경 중 최하단부 위치 또는 터브백의 최하단부 위치 이하로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후방가스켓이 거의 잠기지 않는 정도의 수위로만 급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후방가스켓의 주름부 하단 이하로 급수하거나, 터브레어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후방가스켓과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한다)의 최하단 이하로 급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위로 급수된 세탁수의 양은 후방가스켓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후방가스켓의 직경이 너무 크면 위와 같은 정도의 수위로 급수하는 경우 세탁수의 절대량이 부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방가스켓의 직경은 상기와 같은 수위와 그에 따른 세탁수의 절대량을 고려해서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후방가스켓이 그와 같이 세탁수에 잠기는 경우 수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데, 이때 그와 같이 변형되더라도 후방에 위치한 서스펜션(500)에 닿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후방가스켓을 너무 유연하게 만들면 수압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서스펜션(500)에 닿을 수 있으므로 유연한 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7에서 후방가스켓의 그 유연부의 내주의 하단부(w)가 잠길정도로 물이 급수된 상태에서 그 수압에 의한 변형되더라도 후방에 있는 서스펜션(500)에 닿지 않을 정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후방가스켓(1250)은 진동을 차단한다는 측면에서 유연성(flexibility)을 구비해야 하는 반면, 세탁수의 압력 및 세탁장치의 작동에 의한 반복적인 변형에 대해 내구성을 갖출만한 재질 및 강성 내지 강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재질로 형성된 후방가스켓(1250)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방가스켓(1250)의 터브레어체결부(1200)는 제1 연장부(1251) 및 터브레어(120)의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삽입되는 삽입부(1253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의 도면에서 후방가스켓(1250)을 기준으로 상부가 터브의 내측을 도시하며, 하부가 터브의 후방 외측을 도시한다.
먼저, 터브레어(120)의 후면(128) 내측 원주는 후방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에 대해서는 바깥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구비된다. 한편, 후방가스켓(1250)의 터브레어체결부(1200)에는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1253a)이 형성된 삽입부(1253a)가 구비된다.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는 전방에 있는 드럼 또는 스파이더와의 간섭을 회 피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굴곡진 형상이다. 즉,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는 터브레어(120)의 후면(128)에 구비된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다 방사상, 즉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의 형상은 터브의 후면(128)과의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후방가스켓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터브레어체결부(1200)에는 제1 삽입홈(1253a)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터브의 후방 및 반경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삽입부(1253)를 구비하여, 삽입부(1253)의 내측에 제1 삽입홈(1253a)이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터브레어(120)의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제1 삽입홈(1253a)에 삽입됨으로써, 터브레어(120)와 터브레어체결부(1200)가 서로 연결된다.
한편, 세탁장치는 터브레어체결부(1200)에서 삽입부(1253)의 외측부를 감싸는 제1 체결링(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제1 체결링은 삽입부(1253)의 외측부를 감싸면서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를 향하여 터브레어체결부(1200)를 압착한다. 즉, 터브레어체결부(1200)는 삽입부(1253)로부터 굴곡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251)를 구비하고, 제1 체결링은 삽입부(1253)와 제1 연장부(1251) 사이에 형성된 제2 삽입홈(1251a)에 안착된다. 제1 체결링이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에 대해 터브레어체결부(1200)를 압박함으로써, 후방가스켓(1250)은 터브레어(12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터브레어체결부(1200)의 제1 연장부(1251)는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삽 입되는 경우에 터브레어(120)의 후벽(128) 표면을 따라 밀착됨으로써 터브레어(120)와 터브레어체결부(1200)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제1 연장부(1251)와 삽입부(1253)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제1 요철부(125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요철부(1255)는 다수개의 요철을 구비하여,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제1 삽입홈(1253a)에 삽입되는 경우에 터브레어(120)와 터브레어체결부(1200)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제1 요철부(1255)는 터브 내측에 저수된 세탁수가 제1 삽입홈(1253a)을 따라 누수되는 경우에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와 후방가스켓(1250) 사이의 경계선을 복수회 절곡되도록 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제1 연결부(1257)에는 제1 연장부(1251)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12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장부(1256)는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후벽(128)에서 절곡되는 그 곡면 부위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터브 내측의 세탁수가 제1 삽입홈(1253a)으로 들어가기가 곤란하여 터브 내측의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장부(1256)는 터브 내측에 세탁수가 저수되는 경우에 후방가스켓(1250)이 처지거나, 또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하여 터브레어체결부(1200)가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즉, 도 7(도 4에서 C-C선에 따른 단면도)과 같이 모터의 하부에 위치한 후방가스켓(1250)에서는 세탁수의 자중에 의해 주름부(1252)의 외부를 향하여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에 의해 주름부(1252)가 처지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제1 삽입홈(1253a)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장부(1256)는 돌출 형성되어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에 걸리도록 구비되어, 세탁수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후방가스켓(1250)이 처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후방가스켓(1250)에서 터브지지부(1254)는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가 제1 삽입홈(1253a)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거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터브지지부(1254)는 주름부보다는 두꺼운 소정두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3 - 4 mm의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삽입부(1253)는 제1 연결부(1257)에 의해 주름부(1252)와 연결된다. 주름부(1252)는 터브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어, 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여 모터의 진동이 터브레어(1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드럼이 회전을 하는 경우에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 주름부(1252)의 폭(s2)은 드럼의 상하 방향 진동의 최대변위보다 더 크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주름부(1252)의 폭(도5에서 S2)가 드럼의 상하 방향 진동의 최대변위와 비슷하거나 작게 되면, 상하 방향 진동에 의해 주름부(1252)가 완전히 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주름부(1252)가 완전히 펴지게 되어 인장을 받게 된다면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모터의 진동을 터브레어(120)로 일부 전달하게 된다. 또한, 주름부의 그와 같은 인장변형은 결국 드럼에 대해 또 다른 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되어 드럼 진동에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며, 주름부(1252)에 하중이 걸 려 변형 및 파손의 우려가 있다.
한편, 주름부(1252)와 삽입부(1253)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257)에는 후방가스켓(1250) 자체의 하중, 세탁수에 의한 압력 등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연결부(1257)에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연결부(1257)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다수개의 리브(1257a)를 구비할 수 있다. 세탁 또는 헹굼 시에 터브 내에는 세탁수가 일정량 이상으로 급수되게 되는데, 이때, 후방가스켓(1250)의 하부는 세탁수에 잠길 수 있다. 이로 인해 후방가스켓(1250)은 하부에서 아래로 잡아당기는 것과 같은 하중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후방가스켓(1250)은 비균일한 변형을 하게 되어 일부 위치들에서 좌굴이 발생할 수 있다. 좌굴의 발생은 후방가스켓(1250)의 형상이 찌그러지는 듯한 변형을 유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다수개의 리브(1257a)는 그와 같은 좌굴 변형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리브(1257a)는 후방가스켓(1250)의 다른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1252)는 제2 연결부(1258)를 통하여 터브백체결부(1300)와 연결된다. 터브백체결부(1300)는 제2 연결부(1258)와 연결되는 절곡부(1259)와,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골(1263)을 포함한다.
절곡부(1259)는 제2 연결부(1258)에서 터브 후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된다. 이 경우, 절곡부(1259)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절곡부(1259)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절곡부(1259)의 두께는 대략 3 - 4 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259)의 두께가 얇아 너무 유연하게 되면 절곡부의 변형이 심화되어 주름부가 아래로 더 처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부에서는 체결링과 간섭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간섭으로 후방가스켓의 찢어짐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체결링으로서 클램프 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 스프링과 간섭이 발생하여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주름부의 처짐 변형을 줄이도록 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상기 절곡부는 적어도 주름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부 상부에서 상기 주름부와 연결되는 부분보다도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터브백체결부(1300)는 터브백(130)의 테두리가 터브백체결부(1300)를 감싸 압착됨으로써 터브백(130)과 체결된다. 터브백(130)은 전방을 향해 약간 돌출하도록 형상된 중앙부(131)와 중앙부(13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림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림부(1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부(134)가 형성된다. 림부(132)의 외면에는 리브(134a)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34a)와 안착부(134) 사이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에 후방가스켓(1250)이 결합된다.
후방가스켓(1250)은 터브백(130)의 테두리에 형성된 리브(134a)와 안착부(134)가 후방가스켓(1250)의 터브백체결부(1200)에 형성된 골(1263)을 감싸면서 압착하여 체결된다. 즉, 터브백체결부(1300)의 골(1263)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골(1263)의 내측에 형성된 제3 삽입홈(1263A)에 제2 체결링(미도시)이 위치하여 골(1263)을 림부(132)를 향하여 압착하여 후방가스켓(1250)과 터브백(1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골(1263)의 외측에는 제2 요철부(1262)가 구비되어, 골(1263)이 리브(134a)와 안착부(134)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제2 요철부(1262)는 터브 내측에 저수된 세탁수가 후방가스켓(1250)과 터브백(130) 사이의 공간을 따라 누수되는 경우에 후방가스켓(1250)과 터브백(130) 사이의 경계선을 복수회 절곡되도록 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터브백체결부(1300)에는 돌출부(1260)를 구비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260)는 터브백(130)의 리브(134a)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되어, 골(1263)이 리브(134a)와 안착부(134) 사이의 홈에 삽입되는 경우에 리브(134a)의 단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골(1263)과 리브(134a) 사이의 경계선을 한번 절곡시킴으로써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가스켓(1250)에서 제1 연결부(1257)와 제2 연결부(1258)는 터브 내측을 향하여 돌출 정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도5에서 후방가스켓(1250)의 상부가 터브 내측에 해당한다).
즉, 드럼백(340)은 스파이더(350)와 연결되며, 스파이더(350)는 회전축(351)과 연결되고, 회전축(351)은 터브백(130)을 관통하여 모터와 직결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터브백(130)의 후면(128)에는 베어링하우징(400)이 결합된다. 따라서, 후방가스켓(1250)이 터브백(130)과 터브레어(120)를 연결하는 경우에 스파이더(350)는 후방가스켓(1250)의 내측, 즉 터브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드럼이 회전을 하게 되면 드럼이 전후방향으로 진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이 전후방향 진동을 하는 경우에 드럼백(340)에 구비 된 스파이더(350)가 후방가스켓(1250)에 닿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전후방향 진동은 회전축(351)에서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더(350)가 후방가스켓(1250)에 닿는 경우에 제2 연결부(1258) 보다는 회전축(351)에서 보다 멀리 위치한 제1 연결부(1257)가 스파이더(350)와 닿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이 전후방향 진동을 하는 경우에 스파이더(350)에 의해 후방가스켓(1250)의 제1 연결부(1257)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연결부(1258)에 비하여 제1 연결부(1257)가 터브의 후방을 향하여 구비되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258)와 비교해볼 때, 제1 연결부(1257)는 소정거리 t 만큼 후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부(1258)의 폭(s3)은 주름부(1252)와 터브백체결부(1300)가 진동에 의해 서로 닿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1257)의 반경방향 폭(s1)은 드럼 진동 시 주름부(1252)와 터브레어체결부(1200)가 서로 닿지 않을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터브레어체결부(1200)보다는 터브백체결부(1300)의 움직임이 크므로 상기 제1 연결부(1257)은 제2 연결부(1258)보다 작을 수 있다. 후방가스켓은 자기 접촉(self contact)에 의해 마모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들(1257, 1258)은 직선적으로 형성되는데, 회전축에 직교하는 직선에 대해 45도 이내의 각도를 가진다. 상기 각도는 5도 이내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직선부는 드럼 진동 시에 곡선부인 주름부가 주로 변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직선부는 적당한 간격으로 주름부가 체결부들 사이를 이격시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직선부는 주름부 에 비하여 그 단면의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1257)는 상기 곡면으로 형상된 상기 주름부(1252)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므로 외측직선부에 해당하고, 상기 제2연결부(1258)는 상기 주름부(1252)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므로 내측직선부에 해당한다.
유연부(1252')는 체결부들에 비하여 두께가 더 두껍게 만들어질 수 있지만, 유연부 자체에서도 두께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유연부 자체에서도 유연한 정도의 차이를 두어 자기 접촉(self contact)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연부에서 그와 같이 유연한 정도에 차이를 두기 위해 후술하게 되는 바와 같은 리브(1257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브(1257a)를 포함하는 단면을 보면 도6과 같이 유연부(1252')의 두께는 비균일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연부(1252')의 반경방향 폭은 10mm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폭은 구동부가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그 최대 변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후방가스켓은 서로 대향하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면으로 각각 이루어진 3쌍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쌍의 면 중에 가운데 위치한 한쌍의 그 면간의 간격이 가장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즉, 도5에서 가운데 쌍의 면 간의 간격(S2)가 나머지 쌍들의 면간의 간격들(S1, S3)보다 클 수 있다.
그럼이 진동할 때 상기 가운데 위치한 한 쌍의 면 간의 간격변화가 가장 크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운데 위치한 한쌍의 면들 사이의 그 간격(S2)은 유연부의 반경방향 폭의 1/3 이상일 수 있다. 이는 구동부의 변위가 유연 부의 가운데 부분에서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유연부는 상기 드럼측보다 그 반대측으로 더 많이 변위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드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들(1257, 1258)에 대해 드럼 반대측에 주름부(1252)가 위치하므로 유연부(1252')의 무게중심이 연결부들(1257, 1258)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구동부의 변위 시에 유연부(1252')는 대체적으로 후방으로 변위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후방가스켓(1250)의 주름부(1252)를 따라 소정부위에는 제1 회피홈(1252a)이 구비된다. 제1 회피홈(1252a)은 제3 삽입홈(1263a)에 제2 체결링으로서 클램프 스프링을 구비하는 경우에 제2 체결링의 그 스프링 부분이 주름부(1252)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제1 회피홈(1252a)은 제2 체결링에 구비된 스프링부분과 주름부(1252)가 닿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 체결링은 터브백체결부(1300)를 압착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에 진동에 의해 상기 스프링이 주름부(1252)에 닿을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이 주름부(1252)에 닿게 되면, 주름부(1252)에 변형 및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체결링의 스프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회피홈(1252a)을 구비한다.
제1 회피홈(1252a)은 도 6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회피홈(1252a)이 형성된 부위의 제2 연결부(1258)는 제1 회피홈(1252a)이 형성 되지 않은 도 5의 제2 연결부(1258)에 비하여 그 폭이 더 크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500)은 터브 후방 중앙에 구비되어 베어링하우징(400)과 베이스(600) 사이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베어링하우징(400)이 터브백(130)의 후면에 결합되므로 터브백(130)과 연결되는 후방가스켓(1252)의 일부가 서스편션(500)과 간섭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후방가스켓(125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가스켓(1250)의 하부 소정부위에 제2 회피홈(1252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회피홈(1252b)은 후방가스켓(1250)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가장 많이 돌출된 주름부(1252)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회피홈(1252b)은 도 5와 도 7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비하여 도 7에서 제2 회피홈(1252b)이 구비된 주름부(1252)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정도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즉, 제2 회피홈(1252b)을 구비하여 제3실리더스프링(500)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한편, 후방가스켓(1250)을 장착하는 경우에 후방가스켓(1250)을 정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정위치라 함은 제2 회피홈(1252b)에 정확하게 서스펜션(500)이 배치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가스켓(1250)의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기(1264)를 구비할 수 있으며, 터브레어(120)의 후벽(128)에 위치결정돌기(1264)에 대응하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후방가스켓(1250)을 장착하는 경우에 위치결정돌기(1264)를 표시부에 일치하도록 후방가스켓(1250)을 배치하고, 터브레어(120) 의 후방가스켓 결합부(128a)를 후방가스켓(1250)의 제1 삽입홈(1253a)에 삽입함으로써 후방가스켓(1250)을 정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베어링하우징(400)의 내측에는 회전축(351)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며, 전방베어링(410) 및 후방베어링(420)을 구비한다. 이 경우, 후방가스켓(1250)의 터브백체결부(1300)는 전방베어링(410) 및 후방베어링(420)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직면들 사이에서 터브백(13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백체결부(1300)가 전방베어링(410)을 포함하는 가상의 수직면을 따라 위치하게 되면 모터가 터브의 후방으로 현저하게 돌출되어, 터브의 용량이 작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후방가스켓(1250)의 내경 즉 터브백(130)에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이 작을 수록 드럼 회전축에 가까이 근접하게 되는데, 드럼 회전축에 가까울 수록 베어링하우징과 드럼 또는 스파이더의 후면 사이 간격은 작기 때문에 후방가스켓(1250)이 회전하는 드럼에 닿아 마모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베어링하우징의 중앙에는 베어링이 간격을 두고 앞뒤로 설치되므로 중앙부분으로서 베어링지지부가 있는 부분은 비교적 전후방향 폭이 크기 때문에 드럼 또는 스파이더와의 간격이 비교적 작다. 따라서, 후방가스켓(1250)의 내경이 드럼 회전축에 가까울 수록 드럼 또는 스파이더와 간섭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어 좋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상기 후방가스켓(1250)의 내경은 모터의 직경보다 큰 것이 유리하다.
터브의 후면(128)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가 후방가스켓과 연결되게 되는데, 터브의 상기 관통홀은 터브백(130)과 후방가스켓(1250)에 의해 실링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하우징 및 모터의 결합체는 전후방향의 전체 폭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가급적 그 폭이 작게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고, 또한, 전방의 드럼(또는 스파이더)과 후방의 캐비닛레어 사이에서 가급적 작은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터브의 상기 관통홀을 실링함에 있어서, 전후방향에 대해 여유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은 중앙부분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한 터브백(130)을 이용하고, 그 외곽은 유연한 후방가스켓(1250)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상기 후방가스켓은 드럼, 스파이더, 샤프트, 베어링하우징, 모터 등의 조립체(이하 드럼조립체라 함)를 터브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자체 또한 스프링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진동계로 볼 때 드럼조립체에 대해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후방가스켓은 가급적 스프링력을 발휘하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지만, 그 자체의 형상을 유지할 필요와 세탁수에 의한 압력을 견디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는 것이 불가피할 수 있다. 그래서, 드럼조립체의 진동에 대해 스프링과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경우라도 상기 후방가스켓의 스프링강성은 8000N/m를 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스프링강성이 크면 드럼의 회전속도 400rpm 이상의 정상상태 회전 구간에서 드럼의 이상진동에 의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후방가스켓의 스프링강성은 6000N/m가 될 수 있다. 탈수 시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공진에 의해 진동량이 커지는 과도진동 영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럼의 회전속도가 더 증가되어 상기 과도진동 영역을 지나고 나면 드럼의 진동량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일정해지는 정상상태 영역에 이르게 된다. 상기 이상진동은 상기 정상상태 영역에서 드럼의 진동량이 커졌다 작아지는 것을 반복하게 되거나 진동량이 이상적으로 커지는 진동현상일 수 있다.
한편, 도 9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진동특성을 살펴보면, 드럼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진폭이 크고 불규칙적인 과도진동(Transient vibration)이 발생하는 영역(이하 "과도진동영역")이 나타난다. 과도진동영역은 진동의 비교적 안정화되는 영역(steady-state vibration, 이하 "안정영역")으로 되기 전에 나타나는 불규칙적이고 진폭이 큰 진동이며, 통상 진동계(세탁기)가 설계되면 결정되는 진동특성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에서는 대략 200-350rpm에서 과도진동이 나타나며, 공진에 의한 과동 진동으로 생각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진동발생원인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된 드럼 등이 터브와 후방가스켓을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드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에 거의 전달되지 않고, 드럼은 베어링 하우징을 통하여 완충지지수단(댐핑수단)인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터브를 캐비넷에 댐핑수단없이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 이러한 세탁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관찰되지 않은 진동 특성이 발견되었다. 일반적 세탁기에서는 과도진동영역을 통과하면 진동(변위)가 작아지고 안정화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는 과도진동영역을 통과한 후에 진동이 안정화되다가 다시 진동이 커지는 영역(이하, 편의상 "이상진동(Irregular vibration)"이라 함)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연구 결과, 이상진 동은 대략 400-1,000rpm 영역(이하 "이상진동영역")에서 발생하였다. 이상진동은 볼밸런서 사용, 서스펜션, 후방 개스킷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제1서스펜션(510) 및 제2서스펜션(520)은 7300~8300N/m 범위 내의 스프링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제3서스펜션(500)은 4500~5500N/m 범위 내의 스프링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서스펜션(510) 및 제2서스펜션(520)의 스프링강성은 7800 N/m, 제3서스펜션(500)은 5000N/m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방가스켓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강성을 가질 수 있는데, 드럼선단이 상하로 진동하는 진동모드 관점에서 제3서스펜션(500)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을 고려해서라도 상기 제3서스펜션의 스프링강성은 제1서스펜션(510) 및 제2서스펜션(5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서스펜션은 전방에 있는 제1서스펜션 및 제2서스펜션보다 그 스프링력을 더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의 변위를 미리 압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드럼조립체의 자중 때문에 서스펜션들은 설치된 후 일정 거리 압축될 수 있는데, 이때, 각 스프링의 압축된 길이는 제3서스펜션이 더 크도록 설치될 수 있따. 즉, 제3서스펜션의 스프링강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만들면서 초기 압축된 길이를 크게 하여 요구되는 스프링력을 확보함으로서 시스템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터브레어는 캐비닛에 대하여 움직임이 작도록 설치되고, 드럼조립체는 드럼의 회전에 따라 진동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터브레어와 드럼조립체 사이에는 그 둘을 연결하면서 드럼조립체의 진동 변위를 흡수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함으로서 드럼조립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터브레어의 진동 은 가급적 작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는 다양한 실시예로 나타날 수 있는데, 후방가스켓은 그 실시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방가스켓은 그 명칭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재질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켓으로 사용되는 재질 이외에도 드럼의 진동을 터브로 전달하는 양을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 또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후방가스켓의 형상 또한 터브로의 진동 전달을 비교적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달리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1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9는 도1의 세탁장치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진동특성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터브프론트 120:터브레어
130:터브백 200:전방가스켓
250:후방가스켓 300:드럼프론트
320:드럼센터 340:드럼백
350:스파이더 351:회전축
400:베어링하우징 431 : 제1반경방향브라켓
430 : 제2반경방향브라켓 440, 450: 축방향브라켓
500, 510, 520:스프링댐퍼 530, 540 : 단순댐퍼
600:베이스 620:캐비닛레어
630:캐비닛라이트 640:캐비닛레프트

Claims (44)

  1.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터브와 실링가능하게 체결되는 터브체결부와 상기 구동부와 실링가능하게 체결되는 구동부체결부와,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터브체결부 및 구동부체결부 사이를 유연하게 연결하는 유연부(flexible portion)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실러(flexible sealer);
    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실러의 적어도 한 방향에 대한 단면은 유연한 정도가 비균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상기 터브체결부 또는 구동부체결부보다 더 유연하게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두께는 상기 유연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두께가 비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실러는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면을 각각 가지는 3쌍의 면을 포함하되, 상기 3쌍 중 가운데 위치한 쌍의 그 면간의 간격이 가장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실러는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면을 각각 가지는 3쌍의 면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3쌍 중 가운데 위치한 쌍의 그 면간의 간격 변화가 가장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실러는 스프링강성이 8000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상기 구동부체결부로부터 상기 드럼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상기 구동부체결부를 체결하는 클램프링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실러는 원주방향을 따라 단면 형상이 비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실러의 유연부는 간섭회피를 위해 인근부분과 단면의 형상이 다른 간섭회피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부는 상기 구동부체결부의 체결을 위한 체결링과의 간섭회피를 위한 체결링 간섭회피부와 서스펜션과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서스펜션 간섭회피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반경방향에 대해 유연한 정도가 비균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의 단면은 두께가 비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의 단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일부만 형성된 리브가 있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반경방향에 대한 그 중앙부분이 가장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의 어느 한 단면은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직선에 대해 45도 이내의 각을 이루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로부터 연장된 곡선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직선에 대해 5도 이내의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터브체결부와 연결되는 외측직선부와 상기 구동부체결부와 연결되는 내측직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부는 상기 외측직선부와 내측직선부 사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직선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직선부와 상기 내측직선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 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직선부는 외측직선부보다 그 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직선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그 폭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직선부는 상기 구동부체결부의 체결을 위한 체결링과의 간섭회피를 위해 더 길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드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곡면진 1개의 곡면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직선부를 기준으로 드럼 반대측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서스펜션과의 간섭을 회피하게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변경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세탁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의 반경방향 폭은 1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상기 구동부가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10mm 이상 변위될 때 자기접촉(self-contact)하지 않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세탁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실러는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하나의 면을 포함하되,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반경방향 폭은 상기 면과의 간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반경방향에 대한 최대 폭은 상기 유연부의 반경방향 폭의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하나만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4. 제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자른 하나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연부의 그 반경방향 폭은 그 축방향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유연부는 상기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직선을 2번 이하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세탁장치.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위될 때, 상기 유연부는 상기 드럼측보다 그 반대측으로 더 많이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부는 그 내주 하단부가 잠길정도로 터브에 물이 급수된 상태에서 수압에 의한 변형되더라도 후방에 위치한 서스펜션에 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드럼 반대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터브체결부는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체결부는 상기 터브 절곡부의 내측 곡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고정되는 터브백을 포함하되, 상기 터브백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 형성 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체결부는 상기 리브의 일측에 위치되어 체결링에 의해 고정되는 골과 상기 리브의 타측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체결부 또는 구동부체결부는 상기 터브 또는 구동부에 클램프링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체결부는 상기 클램프링이 안착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홈부와 돌출부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된 리브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완충 지지하는 서스펜션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장치.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완충 지지하는 서스펜션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이 상기 서스펜션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것보다 경직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90131648A 2008-12-30 2009-12-28 세탁장치 KR101819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X2011007086A MX2011007086A (es) 2008-12-30 2009-12-29 Lavadora.
ES09836374.0T ES2616582T3 (es) 2008-12-30 2009-12-29 Lavadora
EP09836374.0A EP2387634B1 (en) 2008-12-30 2009-12-29 Laundry machine
PL09836374T PL2387634T3 (pl) 2008-12-30 2009-12-29 Maszyna pralnicza
PCT/KR2009/007864 WO2010077053A2 (en) 2008-12-30 2009-12-29 Laundry machine
RU2011132014/12A RU2530392C2 (ru) 2008-12-30 2009-12-29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200980155607.4A CN102301057B (zh) 2008-12-30 2009-12-29 洗衣机
US13/142,965 US9587341B2 (en) 2008-12-30 2009-12-29 Laundry machine having a flexible sealer
CA2748841A CA2748841C (en) 2008-12-30 2009-12-29 Laundry machine
BRPI0923735-6A BRPI0923735B1 (pt) 2008-12-30 2009-12-29 Máquina de lavar roupas
AU2009334023A AU2009334023B2 (en) 2008-12-30 2009-12-29 Laundry machine
ZA2011/05064A ZA201105064B (en) 2008-12-30 2011-07-08 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369 2008-12-30
KR20080136369 2008-12-30
KR20090047192 2009-05-28
KR1020090047192 2009-05-28
KR1020090079916 2009-08-27
KR20090079916 200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418A true KR20100080418A (ko) 2010-07-08
KR101819498B1 KR101819498B1 (ko) 2018-01-17

Family

ID=4264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648A KR101819498B1 (ko) 2008-12-30 2009-12-28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587341B2 (ko)
EP (1) EP2387634B1 (ko)
KR (1) KR101819498B1 (ko)
CN (1) CN102301057B (ko)
AU (1) AU2009334023B2 (ko)
BR (1) BRPI0923735B1 (ko)
CA (1) CA2748841C (ko)
ES (1) ES2616582T3 (ko)
MX (1) MX2011007086A (ko)
PL (1) PL2387634T3 (ko)
RU (1) RU2530392C2 (ko)
WO (1) WO2010077053A2 (ko)
ZA (1) ZA2011050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156A (ko) * 2009-05-28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P2631355B1 (en) 2012-02-27 2016-09-0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gasket system for an open face side of a rotating drum
US10094062B2 (en) 2014-12-18 2018-10-0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uspension and seal
US10011937B2 (en) * 2015-11-23 2018-07-03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y
US10326323B2 (en) 2015-12-11 2019-06-18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mponent rotor for an electric motor of an appliance
US10704180B2 (en) 2016-09-22 2020-07-07 Whirlpool Corporation Reinforcing cap for a tub rear wall of an appliance
US10693336B2 (en) 2017-06-02 2020-06-23 Whirlpool Corporation Winding configuration electric motor
KR20180136091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리어 패널
KR102600465B1 (ko) * 2018-06-14 2023-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시 모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펌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2124A3 (en) 2002-12-27 2013-01-09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464054B1 (ko) * 2002-12-27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100587307B1 (ko) * 2004-06-09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드럼
KR100634802B1 (ko) 2004-07-2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ES2276625B1 (es) * 2005-12-02 2008-04-16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Junta para lavadora y lavadora con dicha junta.
WO2007091742A1 (en) * 2006-02-06 2007-08-1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7536882B2 (en) 2006-03-29 2009-05-26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767689B1 (ko) 2006-04-10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14599B1 (ko) 2007-02-23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7053A2 (en) 2010-07-08
EP2387634A2 (en) 2011-11-23
WO2010077053A3 (en) 2011-09-29
AU2009334023A1 (en) 2011-07-28
CN102301057B (zh) 2014-03-12
KR101819498B1 (ko) 2018-01-17
MX2011007086A (es) 2011-09-06
US20120006070A1 (en) 2012-01-12
ZA201105064B (en) 2012-03-28
US9587341B2 (en) 2017-03-07
BRPI0923735B1 (pt) 2019-06-04
RU2011132014A (ru) 2013-02-10
CA2748841A1 (en) 2010-07-08
EP2387634B1 (en) 2016-11-23
RU2530392C2 (ru) 2014-10-10
AU2009334023B2 (en) 2013-09-12
ES2616582T3 (es) 2017-06-13
EP2387634A4 (en) 2012-09-05
CA2748841C (en) 2017-12-05
BRPI0923735A2 (pt) 2016-01-19
PL2387634T3 (pl) 2017-07-31
CN102301057A (zh)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0418A (ko) 세탁장치
KR20100129162A (ko) 세탁장치
US9103063B2 (en) Laundry machine with suspension assembly
KR20100080471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7A (ko) 세탁장치
KR20100080467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9A (ko) 세탁장치의 제조방법
KR20100080460A (ko) 세탁장치
KR20100129176A (ko) 세탁장치
KR101698852B1 (ko) 세탁장치
KR20100080461A (ko) 세탁장치
KR20100129156A (ko) 세탁장치
US20120017652A1 (en) Laundry machine
KR20100129158A (ko) 세탁장치
KR20120131440A (ko) 세탁장치
KR20100129178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