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694A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694A
KR20120137694A KR1020110056700A KR20110056700A KR20120137694A KR 20120137694 A KR20120137694 A KR 20120137694A KR 1020110056700 A KR1020110056700 A KR 1020110056700A KR 20110056700 A KR20110056700 A KR 20110056700A KR 20120137694 A KR20120137694 A KR 20120137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air inlet
washing apparatus
ex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김동원
김진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694A/ko
Priority to US14/123,344 priority patent/US20140123712A1/en
Priority to PCT/KR2012/003927 priority patent/WO2012165785A2/ko
Priority to EP12793901.5A priority patent/EP2716806A4/en
Priority to CN201280032428.3A priority patent/CN103649401A/zh
Publication of KR2012013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럼 세탁장치에서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터브 내부의 기체 흐름으로 인해 드럼 주위로 압력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구배로 인해 드럼은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기 도입을 위한 외기도입홀을 가지는 터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을 처리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가 있다.
세탁기는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와 드럼세탁기가 있으며, 세탁기 중에는 세탁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건조도 함께 수행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도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젖은 세탁물을 열풍 등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드럼 세탁기는 터브가 수평으로 배치되며, 그 내부에 드럼 또한 수평으로 배치된다. 세탁물은 상기 드럼 내부에 위치되어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텀블되며 세탁된다.
터브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드럼은 세탁물이 위치되어 세탁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드럼은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드럼은 후면에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래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력이 회전축을 통해 드럼으로 전달되어 드럼이 회전되게 된다.
세탁시는 물론 헹굼시 그리고 탈수시에 드럼이 회전되는데 상기 드럼은 회전하면서 진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은 터브의 후벽면을 관통하면서 터브밖으로 돌출된다. 종래의 세탁기 중에는 터브의 후벽면에 베어링하우징이 인서트 몰딩으로 삽입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는, 터브 후벽에 베어링하우징이 체결되는 구조도 있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데, 드럼의 진동은 회전축을 통해 터브로 베어링하우징 및 터브로 전달되게 된다.
그래서, 터브가 드럼과 함께 진동하며, 그와 같은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해 상기 터브에는 완충 지지부재가 연결된다.
즉, 종래의 세탁기는 드럼의 진동이 그대로 터브로 전달되는 구조이며, 그와 같은 진동은 터브에 연결된 완충지지부재를 통해 지지되는 구조이다.
드럼 세탁장치에서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터브 내부의 기체 흐름으로 인해 드럼 주위로 압력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구배로 인해 드럼은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드럼의 전방 전진 현상은 터브와 드럼이 함께 진동하도록 만들어진 구조에서는 적게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터브와 드럼이 운동학적인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분리된 경우에는 드럼의 전진 정도가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드럼이 전진하면서 터브의 내벽을 타격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기 도입을 위한 외기도입홀을 가지는 터브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의 전방부에는 세탁물 출입을 위한 포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 터브의 내부 중 전방부에 외기를 도입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외기도입홀은 상기 터브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홀은 적어도 탈수사이클 시에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탈수사이클시에는 터브 내의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한다. 드럼의 고속회전으로 드럼 주위의 공기는 유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드럼을 둘러싸고 압력구배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압력구배는 드럼이 전방으로 전진하는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터브와 드럼의 지지구조가 분리된 경우에 드럼의 전진현상은 심화될 수 있다. 드럼의 전진하는 정도가 작은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드럼이 터브 내벽에 충돌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와 같은 드럼 주위의 압력구배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홀을 통해 외기가 터브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압력구배가 완화될 수 있다.
드럼은 전방부에 포출입구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 터브의 내부 중 상기 드럼의 포출입구의 전방부분으로 외기를 도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외기도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바로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 터브의 전방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 터브의 전방부 외주면 중 상기 드럼의 포출입구보다 전방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기도입홀은 터브의 전면부 중 상기 포출입구를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출입구는 상기 터브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림부는 상기 포출입구를 둘러싸도록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 림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홀에는 상기 외기를 안내하기 위한 외기도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관은 상기 터브의 외부에서 상기 외기도입홀에 연결되어 캐비닛의 대응 외기도입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관은 상기 터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연장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탁 중에 터브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는 경우 그 스팀이 외기도입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응축되어 다시 터브로 회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스팀공급을 위해 상기 세탁장치는 스팀공급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공급장치는 급수밸브를 통해 급수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터브로 공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관은 터브의 후면부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캐비닛레어에 연결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외기도입관에는 응축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플레이트는 상기 스팀의 응축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관 내에서 스팀이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외기도입홀을 향해 흐르게 된다. 이는, 상기 외기도입관이 경사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세탁장치의 용량이 크면, 그만큼 드럼의 용적 내지 사이즈가 커져야 하며, 드럼의 전진을 방지하기 위한 외기도입홀의 크기도 커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즉, 세탁용량 9kg의 세탁장치보다는 11kg 또는 13kg 용량의 세탁장치에서 외기도입홀의 크기는 더 클 수 있다.
한편, 터브는 고정적으로(fixedly) 설치되거나, 서스펜션유닛과 같이 플렉서블한 지지구조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에 의한 지지와 고정지지 사이의 중간 정도로 지지될 수도 있다.
즉, 터브는 상기 드럼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유닛과 같은 정도로 플렉서블하게 지지될 수도 있고, 그러한 지지보다는 움직임이 더 경직되도록(rigidly) 지지될 수도 있다. 예컨대, 터브는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거나, 서스펜션보다는 플렉서블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 움직임에 유연함을 줄 수 있도록 고무부싱과 같은 것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또는 완전히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터브가 서스펜션유닛보다 더 경직되게 지지되는 예를 좀더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터브는 캐비닛에 적어도 일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둘째, 스크류, 리벳, 고무부싱 등에 의해 연결되어 서포트되거나 용접, 접착실링 등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와 같은 연결부재는 드럼의 주된 진동방향인 상하방향에 대해 그 강성이 서스펜션유닛의 그 강성보다 크다.
이와 같은 터브는 그 설치되는 공간 내에서 가능한 한도 내에서 확장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터브는 적어도 좌우방향(회전축이 수평하게 놓일 때 그 축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좌우방향 크기를 제한하는 벽이나 프레임(예컨대,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플레이트)에 근접한 정도까지 확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브는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벽에 일체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는 상기 좌우방향에 있어서 터브는 드럼보다 상기 벽이나 프레임에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는 드럼과의 간격보다 1.5배 이하의 간격으로 상기 벽이나 프레임과 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브가 그와 같이 좌우방향에 대해 확장된 상태에서 드럼 또한 좌우방향에 대해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터브와 드럼 사이의 좌우방향 간격이 작을수록 드럼은 좌우방향으로 그만큼 더 확장할 수 있게 된다. 터브와 드럼의 좌우방향 간격을 줄임에 있어서는 드럼의 좌우방향 진동을 고려할 수 있다. 드럼의 좌우방향에 대한 진동이 작을수록 드럼의 직경이 더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게 되는 서스펜션 유닛은 좌우방향에 대한 강성이 다른 방향에 비해 크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서스펜션 유닛은 좌우방향의 변위에 대한 강성이 다른 방향에 비하여 최대가 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유닛은, 종래와 달리 터브를 통하지 않고, 베어링하우징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캐비닛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빌트인 세탁장치의 경우는 캐비닛 대신 세탁장치가 설치될 공간이 벽구조 등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독립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경우도 전면측은 필요할 수 있다.
드럼의 전진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드럼 전진 현상 감소를 위해 형성한 홀로 스팀 등이 외부로 그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서스펜션어셈블리의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탁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적인 세탁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세탁장치는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터브는 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프론트(100)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레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는 나사로 조립되며, 내부에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터브레어(120)은 후면에 개구부를 갖는다. 상기 터브레어(120) 후면의 내주는 후방가스켓(250)의 외주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가스켓(250)의 내주부는 터브백(130)과 연결된다. 상기 터브백(130)은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의 진동이 상기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 및 터브레어(120)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브백(130)은 드럼 회전시 드럼과 함께 진동되는데, 이때 터브레어(1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터브레어(120)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터브백(130)이 터브레어(120)에 간섭되지 않고 상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의 그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브프론트(100)의 전방부에는 터브와 드럼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끼임방지부재(200)가 연결된다. 상기 이물끼임방지부재 (200)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터브프론트(10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물끼임방지부재(200)는 상기 후방가스켓(250)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드럼은 드럼프론트(300), 드럼센터(320), 드럼백(34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볼밸런서(310, 3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드럼백(340)은 스파이더(350)와 연결되며, 상기 스파이더(350)는 회전축(351)과 연결된다. 상기 드럼은 상기 회전축(351)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51)은 상기 터브백(130)을 관통하여 모터와 직결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터(미도시)의 로터와 상기 회전축(351)이 직결된다. 상기 터브백(130)의 후면에는 베어링하우징(4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상기 모터와 상기 터브백(130)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3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에는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가 위치된다. 상기 모터는 아우터로터 타입의 모터로서 상기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캐비닛 베이스(600)로부터 서스펜션어셈블리을 통해 지지된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수직 지지 3개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적으로 지지하는 경사 지지 2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캐비닛 베이스(600)에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의 상부가 베이스에 연결된 점에 대해 전후 및 좌우로 어느 정도 회전을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탄성적 연결을 위해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서스펜션은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베이스(600)에 설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 중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은 드럼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완충시키고, 상기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은 그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과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진동계에서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 스프링의 역할을 하고 경사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댐핑수단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수직지지 3개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댐퍼(스프링과 댐핑을 겸하는 댐퍼)이고, 상기 2개의 경사지지는 단순댐퍼(스프링 역할을 하지 않고 단순히 댐핑기능만을 하는 댐퍼)인 경우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지지도 스프링댐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2에는 베어링하우징(400)에 서스펜션어셈블리이 조립된 채 베이스(600) 상에 장착된 모습를 도시한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베어링하우징(400)에 연결되어 드럼의 진동을 감소시킨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상기 베어링하우징(400)과 서스펜션들을 연결하는 브라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들은 상기 베어링하우징(400)과 연결되어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반경방향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들은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축방향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경방향브라켓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1반경방향브라켓(431)과 제2반경방향브라켓(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반경방향브라켓(431) 및 제2반경방향브라켓(430)는 각각 제1축방향브라켓(450) 및 제2축방향브라켓(440)을 베어링하우징(400)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수직방향의 완충을 위한 수직방향 서스펜션과 전후방향의 완충을 위한 전후방향 서스펜션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방향 서스펜션은 후방에 1개, 베이스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에 좌우로 2개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서 전후방향으로 경사져 2개의 서스펜션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실린더스프링(520), 제2실린더스프링(510), 제3실린더스프링(500), 제1실린더댐퍼(540), 제2실린더댐퍼(530)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스프링은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된 형태이다. 실린더와 피스톤의 형태이기 때문에 완충 시 안정적으로 길이 가변 된다. 실린더는 축방향브라켓에 연결되고 피스톤은 베이스측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댐퍼은 피스톤이 실린더 내를 움직이면서 마찰저항에 의해 댐핑효과를 얻는 구조이다.
상기 제1실린더스프링(520)은 제1축방향브라켓(450)과 베이스(600)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실린더스프링(510)은 상기 제2축방향브라켓(440)과 베이스(60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3실린더스프링(500)은 상기 베어링하우징(400)과 베이스(600) 사이에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제1실린더댐퍼(540)은 제1축방향브라켓(450)과 베이스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져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제2실린더댐퍼(530)은 제2축방향브라켓(440)과 베이스 후방부 사이에서 경사져 설치되고 있다.
제3실린더스프링은 후방의 중앙에, 제1실린더스프링과 제2실린더스프링은 전방 좌우에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제3실린더스프링의 그 후방 지점과 상기 제1실린더스프링 및 제2실린더스프링의 전방 지점 사이에 제1실린더댐퍼 및 제2실린더댐퍼가 위치된다. 그리고, 이들은 좌우 대칭이다.
상기 실린더스프링들은 베이스(600)에 고무부싱을 매개로 해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스프링은 감쇠력도 발휘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스프링은 스프링댐퍼가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댐퍼에는 스프링도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댐퍼는 더 이상 단순댐퍼가 아닌 스프링댐퍼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브는 캐비닛에 고정 설치되며, 드럼의 진동은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에 의해 완충 지지된다. 실질적으로 터브와 드럼의 지지구조가 분리된 형태라 할 수 있고, 또 드럼이 진동하더라도 터브는 진동하지 않는 형태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브는 상기 캐비닛의 베이스(600)에 자립될 수 있도록 안착될 수 있고, 그 전면은 캐비닛프론트(미도시)에, 그리고 후면은 캐비닛레어(620)에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터브 내에 드럼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터브의 전방부에는 터브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101)가 있으며, 상기 터브 전면부(101)에는 포출입을 위한 포출입구(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출입구(104)는 상기 터브 전면부(10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형성된 림부(10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림부(102)의 상부에는 외기도입홀(10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도입홀(103)에는 외기도입관(23)이 연결된다.
상기 외기도입관(23)은 일단은 상기 외기도입홀(103)에 연결되고, 타단은 캐비닛레어(620)에 형성된 홀과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외기도입관(23)을 통해 캐비닛 밖의 외기(10)가 도입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기(10)는 상기 외기도입홀(103)을 통해 터브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기도입관(23)의 타단이 반드시 캐비닛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외기도입관(23)은 캐비닛레어(620) 이외에 캐비닛레프트, 캐비닛라이트, 캐비닛 탑커버 등과 같이 캐비닛의 다른 프레임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외기도입홀(103)은 상기 드럼의 포출입구(301)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그래서, 외기(10)가 드럼의 포출입구(301)를 통해 드럼 내부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홀(103)은 세탁장치의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세탁장치의 용량은 터브 또는 드럼의 용적과 관계되므로, 상기 외기도입홀(103)은 터브 또는 드럼의 용적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될 수도 있다.
세탁장치의 용량이 크면, 그만큼 드럼의 용적 내지 사이즈가 커져야 하며, 드럼의 전진을 방지하기 위한 외기도입홀(103)의 크기도 클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즉, 세탁용량 9kg의 세탁장치보다는 11kg 또는 13kg 용량의 세탁장치에서 외기도입홀(103)의 크기가 더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기도입관(23)은 상기 터브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 또는 탈수 시 드럼의 진동이 터브로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외기도입관(23)을 상기 터브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관(23)은 상기 터브의 상부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브의 상부 중앙부분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옵셋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기도입관(23)이 옵셋되어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기도입홀(103)도 상기 림부(102)의 상부 중앙으로부터 옵셋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세탁 중 상기 터브 내부에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 또는,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고온인 경우 터브 내부에 수증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 또는 수증기는 상기 외기도입홀(103)을 통해 외기도입관(23)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관(23)은 상기 터브 내부에 비해 온도가 낮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 또는 수증기는 상기 외기도입관(23)에서 응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된 물은 상기 외기도입관(23)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외기도입홀(103)을 통해 다시 터브로 회수되게 된다.
상기 외기도입관(23)은 상기 터브의 림부(102)에 형성된 외기도입홀(103)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전면부(101) 모서리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외기도입관(23)의 일단은 캐비닛레어(620)에 형성된 홀에 연결된다. 외기도입관(23) 중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부분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기 외기도입관(23)의 내부에는 응축플레이트(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응축플레이트(21)는 금속재로 만들어져 있다. 특히, 상기 외기도입관(23)이 플라스틱 등 비금속재료로 만들어진 경우 금속재의 응축플레이트(21)를 설치하여 스팀 등의 응축을 촉진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외기도입관(23)도 금속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건조겸용 세탁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배기식 건조겸용 세탁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배기식 건조겸용 세탁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도입시키기 위한 건조덕트와 터브 내부의 습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는 터브에 형성된 열풍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덕트는 터브에 형성된 배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풍입구 및 건조덕트는 전술한 실시예의 외기도입홀(103) 및 외기도입관(23)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겸용 세탁장치에서는 건조덕트를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100:터브프론트 120:터브레어
130:터브백 200:전방가스켓
250:후방가스켓 300:드럼프론트
320:드럼센터 340:드럼백
350:스파이더 351:회전축
400:베어링하우징 430, 431 : 반경방향브라켓
440, 450: 축방향브라켓 500, 510, 520:실린더스프링
530, 540 : 실린더댐퍼 600:베이스
620:캐비닛레어 630:캐비닛라이트
640:캐비닛레프트

Claims (10)

  1. 전방부에 세탁물출입을 위한 포출입구를 가지며, 전방 내부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도입홀을 가지는 터브;
    상기 외기도입홀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되며 연장형성된 외기도입관;
    전방부에 상기 터브의 포출입구에 대응하는 포출입구를 가지며,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후방부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서스펜션어셈블리;
    을 포함하는 드럼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 터브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외기도입관은 상기 외기도입홀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의 전면부 모서리까지 연장된 후 상기 터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전면부는 상기 포출입구를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 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홀은 상기 드럼의 포출입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홀의 크기는 상기 세탁장치의 세탁용량이나 터브 또는 드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관에 설치된 응축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드럼세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어셈블리은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후방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터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된 후방가스켓을 추가로 포함하는 드럼세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드럼세탁장치.
KR1020110056700A 2011-05-31 2011-06-13 세탁장치 KR20120137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700A KR20120137694A (ko) 2011-06-13 2011-06-13 세탁장치
US14/123,344 US20140123712A1 (en) 2011-05-31 2012-05-18 Washing device
PCT/KR2012/003927 WO2012165785A2 (ko) 2011-05-31 2012-05-18 세탁장치
EP12793901.5A EP2716806A4 (en) 2011-05-31 2012-05-18 WASHING DEVICE
CN201280032428.3A CN103649401A (zh) 2011-05-31 2012-05-18 洗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700A KR20120137694A (ko) 2011-06-13 2011-06-13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694A true KR20120137694A (ko) 2012-12-24

Family

ID=4790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700A KR20120137694A (ko) 2011-05-31 2011-06-13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6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884B1 (ko) 세탁장치
KR20100080389A (ko) 세탁장치
CA2748824C (en) Laundry machine with vibration reduction
KR101689604B1 (ko) 세탁장치
US878287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undry machine
KR20100129157A (ko) 세탁장치
KR101698852B1 (ko) 세탁장치
EP2716806A2 (en) Washing device
KR20100080460A (ko) 세탁장치
KR101700190B1 (ko) 세탁장치
KR20100080461A (ko) 세탁장치
US9003839B2 (en) Laundry machine
KR20120137694A (ko) 세탁장치
KR20100129175A (ko) 세탁장치
KR20120135618A (ko) 세탁장치
KR20120134655A (ko) 세탁장치
KR20120137693A (ko) 세탁장치
EP2435610B1 (en) Laundry machine
KR20120134654A (ko) 세탁장치
KR20120040379A (ko) 건조겸용 세탁장치
KR20120133483A (ko) 세탁장치
KR20120101796A (ko) 세탁장치
KR20150133009A (ko) 세탁장치
KR20100129178A (ko) 세탁장치
KR20110139619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