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601A -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601A
KR20100127601A KR1020090046111A KR20090046111A KR20100127601A KR 20100127601 A KR20100127601 A KR 20100127601A KR 1020090046111 A KR1020090046111 A KR 1020090046111A KR 20090046111 A KR20090046111 A KR 20090046111A KR 20100127601 A KR20100127601 A KR 20100127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powder
styela
viscera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해순
Original Assignee
공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해순 filed Critical 공해순
Priority to KR102009004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7601A/ko
Publication of KR2010012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한 식용생물인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그리고 안정화시킨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내장을 제거한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담수에 담근 후 동결건조 하여 분쇄하는 분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더덕, 멍게, 오만둥이, 염증, 카로티노이드, 지방산

Description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Compositions and powder making methods for the anti-inflammatory utilizing Styela clava, Styela plicata or a sea squirt}
본 발명은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오히려 점막손 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이끈다. 생체에 있어서 염증의 발생원인으로서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니트릭옥사이드(nitric Oxide;NO)를 발생시키는 효소인 니트릭옥사이드 신타제(nitric oxide synthase; NOS)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은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NO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NOS나,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류를 합성하는데 관련된 효소인 COX(시클로옥시게나제)는 염증을 차단하는데 있어서 주된 목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염증 반응 중 사회적, 경제적으로 큰 문제가 되는 질환중 하나가 관절염이다. 관절염은 퇴행성관절염(골관절염, Osteoarthritis)과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골관절염 (OA)은 관절 내의 연골의 파괴, 관절 내에 존재하는 활액의 염증 및 골극 형성과 동반되는 연골경화증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퇴행 장애이다. OA를 지닌 환자는 종종 이들의 일상생활에 다양한 양상에 영향을 주는 중증 동통을 나타낸다. OA의 이환율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고, 60세 이상의 연령의 60% 이상은 약간의 연골 이상을 지니는 것으로 보인다(Bjelle (1982) Scand. J. Rheumatol. Suppl., 43:35-48). OA는 관절염의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형태가 되었고, 이는 전체적으로 서구 국가의 국민총생산의 1-2.5%에 달한다(Reginster (2002) Rheumatology, 41(Suppl. 1):3-6).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은 신체 조직에 손상을 주는 면역체계의 비 조절 및 신체 방어막의 부적절한 활성화로 특징된다. 세계 인구의 1%가 류마티스 관절염(RA), 리렌틀리스(relentless), 심각한 종창을 유발하는 진행성 질병, 통증, 및 사고로 인한 기형, 및 관절의 손상으로 고통 받고 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관절의 내층 및/또는 다른 내부 기관의 염증, 및 상승된 림프구 수의 존재, 및 염증 유발성 사이토킨(proinflammatory cytokine) 농도의 상승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관절염의 표면적인 피해로는 퇴행성관절염을 포함한 다른 종류의 관절염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2억 명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고, 현재 국내 인구의 약 400만 명(전체인구의 10%) 정도가 퇴행성, 난치성 관절염을 앓고 있다. 이와 같이 관절염으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소염제)를 사용하여 염증 치료 및 통증완화를 하고 있다.
하지만 관절염으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은 개인마다 면역반응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의료기관은 이러한 면역반응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항염증제를 사용하여 항염증제로 인한 위염; 위궤양; 간 손상으로 인한 got, gpt 상승; 피부발진; 얼굴; 손 및 발의 부종; 식욕부진; 두드러기; 두통; 오한; 소화 장애; 및 합병증 등 추가적인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늘어나는 수명을 통한 인구의 고령화 속에서 관절염으로 소비되는 비용은 의약품이 약 오천억 원 정도이며, 관절 보조식품으로 소비되는 비용은 약 800-1000억 원 사이로 소비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만 관절염 치료를 위한 의약품과 건강 보조식품은 대부분 외국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항염증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항염증제 개발은 국가적인 의료비용 을 줄이면서, 특히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항염증제의 수입을 줄이는 동시에 수출을 늘려 산업발전을 이룰 수 있고, 국내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해양수산 식용생물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국내 어민들의 소득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해양수산 식용생물을 이용하여 염증을 치료하는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2008-0111787호(발명의 명칭 : 염증질환내 VCAM 및 COX-2의 발현 억제제)를 통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기술은 미더덕 또는 멍게의 외피로부터 추출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만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있어 미더덕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미더덕이 함유하고 있는 각종 영양소를 이용하기 위해서 미더덕을 가공하는 단계에서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기술은 그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인체에 무해하며 국내에 풍부한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고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물중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 아닌 다른 성분을 이용하면서 상기 추출물의 성분을 보 호하여 더욱 경제적이고 효과가 뛰어난 항염증 조성물에 대한 발명을 개시하며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말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여 성분이 보존되어 효율적인 분말추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과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그리고 지방산의 산화를 막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Xanthophyll계의 Astaxanthin(아스타크산틴),Zeaxanthin(제아크산틴), Cynthiaxanthin(신티아크산틴), Halocynthiaxanthin(할로신티아크산틴), Diatoxanthin(다이아토크산틴), Beta-cryptoxanthin(베타크립토크산틴), Alloxanthin(알로크산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과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그리고 지방산의 산화를 막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미더덕을 2℃~6℃담수에 넣어서 2~4시간 동안 보존하여 염분 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 미더덕을 갈라 내장을 적출하는 내장적출단계; 내장적출단계에서 내장이 제거된 미더덕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미더덕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단계; 수분이 제거된 미더덕의 내피와 외피를 함께 동결건조하는 동결건조단계; 동결건조된 미더덕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화단계;와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항산화제 첨가단계; 부형제를 첨가하는 부형제첨가단계; 를 통해 이루어지는 미더덕을 이용한 항염증성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성분은 종래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 아닌 carotenoprotein성분으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와 지방산 또는 카로티노이드와 아미노산 결합체로써 이러한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은 탁월한 항염증 효과가 있어 미더덕이 포함하고 있는 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추출물의 파괴를 방지하여 추출물의 성분을 보호하므로 원재료의 성분이 최대한 보존된 조성물이 제공되며 이로 인해 더욱 뛰어난 항염증 효과와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더욱이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Xanthophyll계의 Astaxanthin(아스타크산틴), Zeaxanthin(제아크산틴), Cynthiaxanthin(신티아크산틴), Halocynthiaxanthin(할로신티아크산틴), Diatoxanthin(다이아토크산틴), Beta-cryptoxanthin(베타크립토크산틴), Alloxanthin(알로크산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은 우수한 항 염증 효과가 있어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성분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 단계 및 분말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성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내장만을 제거하여 동결건조 하였으며 동결건조과정 또는 분말화과정에서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영양소의 파괴현상을 최소화하고 분말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분말에 부형제를 첨가하여 복용 시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분말은 식용으로 사용하는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에 함초 및 비타민C, 그리고 말토덱스트린을 첨가한 것으로서 거의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염증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장기간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계 각지에서는 양식업을 하는데 해적 생물로 평가되는 이러한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를 국가적 차원에서 자원화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한국에서는 경상남도 일대 거제, 마산, 통영과 강원도 등지에서 대량으로 양식화에 성공함으로써 좋은 품질의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관절염과 같은 염증 질환에 폭넓게 사용하는 제품으로 개발하여 국가경쟁력 확보 및 산업발전의 큰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을 설명한다.
항염증 조성물은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방산의 산화를 막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에서 추출한 Xanthophyll계의 Astaxanthin(아스타크산틴), Zeaxanthin(제아크산틴), Cynthiaxanthin(신티아크산틴), Halocynthiaxanthin(할로신티아크산틴), Diatoxanthin(다이아토크산틴), Beta-cryptoxanthin(베타크립토크산틴), Alloxanthin(알로크산틴)과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방산의 산화를 막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건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성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염분제거단계, 내장적출단계, 세척단계, 수분제거단계, 동결건조단계, 분말화단계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건조 과정 및 분말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화작용을 막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고 분말의 안정화를 위해 부형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실사예를 위하여 실제로 실시한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효성분 추출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실험 재료 및 시약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는 거제시 고현마을에서 구입하였다.
Sephadex G-200, DEAE-cellulose, Folin-ciocalteu 시약, sodium dodecyl sulfate(SDS), bovine serum albumin, 전기이동용 protein molecular weight standards 및 지방산 methyl ester 의 표준품은 미국의 Sigma사 제품을 TLC판은 독일의 Merck사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 다른 모든 시약은 분석용 특급을 사용하였다.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로부터 유효 성분의 추출방법.
(1) Carotenoprotein의 분리, 정제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 200g을 잘게 다진 후 분말에 2%(v/v) Triton X-100을 함유하는 50mM Na-phosphate buffer (pH 7.0) 를 4배량(w/v)을 가하여 균질기로 2 분간 균질화 시켰다. 이 용액을 4℃ 냉암소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추출한 후에, 원심분리(15,000ㅧg, 20min) 하여 pellet의 색깔이 완전히 무색이 될 때까지 3 회 반복 추출하여 전 추출액을 -20℃에 보관하여 두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Carotenoprotein는 추출한 용액에 30%(w/v) (NH₄)₂SO₄로 염석시켜 냉암소(4℃)에서 12 시간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 (15,000ㅧg, 20min) 하여 상충액을 50mM Na-phosphate 완충액 (pH7.0) 으로 투석하였다. 이 투석액을 원심분리 (15,000ㅧg, 20min) 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미리 같은 완충액으로 평형화시킨 Sephadex G-200 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φ2.5ㅧ80cm)에 주입하고, 동일 완충액으로 용출(유속, 9ml/hr; 분획량, 2㎖)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획분을 질소압력농축기 (Sartorious Co. ultra-membrane filtrator, mol-cut 10,000) 로 농축하여 50mM Na-phosphate 완충액 (pH7.5) 으로 24 시간 투석하였다. 다음 단계로 이 투석 액을 같은 완충액으로 평형화시킨 DEAE-cellulose 컬럼 (φ3.0ㅧ15cm) 에 통과시 킨 후, 0~1M NaCl/50mM Na-phos-phate 완충액 (pH 7.5)으로 농도구배법으로 분별용출(유속, 24㎖/hr; 분획 량, 2㎖)하여 얻어진 획분을 질소압력농축기로 농축하고, 50mM Na-phosphate 완충액 (pH 7.0) 으로 24시간 투석하였다. 이 투석액을 미리 50mM Naphosphate완충액 (pH 7.0)으로 평형화시킨 Sephadex G-200 컬럼 (φ2.5 80cm)에 주입하고 같은 완충액으로 용출(유속, 9ml/hr; 분획량, 2ml)시켜 정제하였다.
(2)지방산의 분리, 정제
정제된 carotenoprotein으로 부터 총지 질을 추출하였다. 즉, carotenoprotein 용액 5㎖에 MeOH: chloroform(l : 2, v/v) 용액 30㎖를 넣어 약 4 시간 추출한 다음, 균질기 (Ace homogenizer AM-7, Tokyo, Japan) 로 5000-7000 rpm에서 2분간 균질화하여 chloroform 20㎖와 0.88% KCI(Saline) 용액 20ml를 넣고, 다시 1 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분액깔때기에서 하룻밤 방치하였다. 분리된 하층을 취하여 탈수시킨 다음 회전진공농축기 (EYELA N-1N, Tokyo, Japan)로 용매를 제거하여 총지질을 추출하였다.
(3)카로티노이드(Carotenoid)의 분리, 정제
정제된 carotenoprotein의 인산염 완충용액에 3 배량의 acetone을 가하고 균질기로 교반하여 단백질로부터 carotenoid를 이탈시켰다. 모든 실험은 광선을 피하여 4℃냉암소의 어두운 적색등 밑에서 수행하였다. 단백질이 색깔을 띠지 않을 때까지 위의 조작을 반복한 다음 carotenoid의 추출액을 모두 회수하였다. 이 추출액 을 분액여두로 옮긴 다음 여기에 석유에테르를 추출액과 1 : 2(v/v) 의 비로 가하여 천천히 흔들어 주고 30분간 방치시켜 carotenoid를 분리하였으며, 하층액을 2차 분액여두로 옮겨 석유에테르로 이 과정을 3 회 반복하여 얻어진 상층액과 합친 후, 탈이온수로 여러번 세척하여 carotenoid를 석유에테르 충으로 옮긴 다음, 이 용액에 Na₂S0₄(30g) 를 처리하여 여과하고, 그 여액을 질소기류하에서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농축하여 총 carotenoid 를 얻었다.
(4)아스타크산틴(Astaxanthin)의 분리, 정제
Carotenoid 들은 다음과 같이 TLC 법으로 분리 정제하였다. 다량의 시료 분취용으로 silica gel G가 2mm 두께로 코팅된 Merck사 제품의 유리 TLC판(20ㅧ20cm)을 사용하였고 화학반웅의 확인용으로는 0.25mm의 알루미늄TLC판(20ㅧ20cm)을 각각 사용하였다. 상법에 따라 TLC판은 110ㅁ5℃의 전기오븐 속에서 활성화시켜서 사용하였고 1 차 전개용매로서는 acetone/petroleum ether(3:7, v/v) 용매, 2 차는 benzene/diethyl ether/methanol(17:2:1)용매를 각각 사용하였다. TLC상에 1 차로 분리된 carotenoid를 유리섬유를 단단히 낀 감압분취장치로 긁어낸 다음 methanol 로 carotenoid 를 용출하였다. 용출된 carotenoid들은 40℃이하에서 감압농축시킨 다음 질소충진하에 초저온 냉동고 (-80't)에 보관해 두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분말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2]
분말제조방법
본 발명의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분말은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성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내장만을 제거 후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미더덕 또는 멍게의 분말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1) 염분제거단계(S110)
미더덕을 2℃~6℃담수에 넣어서 2~4시간 동안 보존하여 염분을 제거한다.
(2) 내장적출단계(S120)
미더덕을 갈라 내장을 적출한다.
(3) 세척단계(S130)
내장적출단계에서 내장이 제거된 미더덕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4) 수분제거단계(S140)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미더덕의 수분을 기계적 탈수방법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5) 동결건조단계(S150)
수분이 제거된 미더덕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결건조한다.
(6) 분말화단계(S160)
동결건조된 미더덕을 분쇄하여 섭취가능한 분말로 만든다.
[실시예 3]
항산화제 및 부형제를 첨가한 분말제조방법
본 발명의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분말은 지방산의 산화를 막기 위한 항산화제 및 제조된 분말의 안정화를 위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항산화제는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함초, 비타민C, 및 구연산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분말이나 추출물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포함된다. 항산화제는 자연채취,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부형제는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말토덱스트린을 들 수 있으며, 그것의 분말이나 추출물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형제에 포함된다. 부형제는 녹말가수분해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산화제 및 부형제를 첨가한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분말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1) 염분제거단계(S210)
미더덕을 2℃~6℃담수에 넣어서 2~4시간 동안 보존하여 염분을 제거한다.
(2) 내장적출단계(S220)
미더덕을 갈라 내장을 적출한다.
(3) 세척단계(S230)
내장적출단계에서 내장이 제거된 미더덕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4) 수분제거단계(S240)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미더덕의 수분을 기계적 탈수방법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5) 항산화제첨가단계(S250)
수분제거에서 세척된 미더덕의 동결건조단계에서 발생하는 지방산의 산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항산화제를 첨가한다.
(6) 동결건조단계(S260)
수분이 제거된 미더덕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결건조한다.
(7) 항산화제첨가단계(S270)
동결건조된 미더덕의 분말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방산의 산화를 줄이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한다.
(8) 분말화단계(S280)
동결건조된 미더덕을 분쇄하여 섭취가능한 분말로 만든다.
(9) 부형제첨가단계(S290)
분말화단계에서 생성된 분말의 안정화를 위해 부형제를 첨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분말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시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결과]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추출물을 확인한 결과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및 지방산이 추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성분인 Xanthophyll계의 Astaxanthin(아스타크산틴), Zeaxanthin(제아크산틴), Cynthiaxanthin(신티아크산틴), Halocynthiaxanthin(할로신티아크산틴), Diatoxanthin(다이아토크산틴), Beta-cryptoxanthin(베타크립토크산틴), Alloxanthin(알로크산틴)이며 상기 지방산은 지방질 성분인 인지질(Phospholipids, PL)에 함유되어있는 지방산인 Eicosapentaenoic acid (EPA), Docosahexaenoic acid (DHA), Palmit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에 함유되어 있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는 실험 결과 현저한 통증감소효과를 경험하여 항염증 작용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성분인 Xanthophyll계의 Astaxanthin(아스타크산틴), Zeaxanthin(제아크산틴), Cynthiaxanthin(신티아크산틴), Halocynthiaxanthin(할로신티아크산틴), Diatoxanthin(다이아토크산틴), Beta-cryptoxanthin(베타크립토크산틴), Alloxanthin(알로크산틴) 또한 항염증 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지방산인 Eicosapentaenoic acid (EPA), Docosahexaenoic acid (DHA), Palmitic acid 역시 항염증 작용이 활발히 일어나 개별적으로 항염증 조성물을 제조한 경우는 물론,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성분과 함께 사용하여 항염증 조성물을 만든 경우 통증감소효과가 현저하여 그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지방산의 산화를 막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현저한 통증감소효과가 확인되어 항염증 작용이 원활히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Xanthophyll계의 Astaxanthin(아스타크산틴), Zeaxanthin(제아크산틴), Cynthiaxanthin(신티아크산틴), Halocynthiaxanthin(할로신티아크산틴), Diatoxanthin(다이아토크산틴), Beta-cryptoxanthin(베타크립토크산틴), Alloxanthin(알로크산틴), 및 지방산은 면역력을 증강시키고 관절염의 치료와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한 미더덕, 오만둥이 또는 멍게의 분말제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분말을 이용하여 추출한 경우에도 뛰어난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는 분말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제 및 부형제를 첨가한 분말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7)

  1.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지방산의 산화를 막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는 Xanthophyll계의 Astaxanthin(아스타크산틴), Zeaxanthin(제아크산틴), Cynthiaxanthin(신티아크산틴), Halocynthiaxanthin(할로신티아크산틴), Diatoxanthin(다이아토크산틴), Beta-cryptoxanthin(베타크립토크산틴) 및 Alloxanthin(알로크산틴)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5. 미더덕을 2℃~6℃담수에 넣어서 2~4시간 동안 보존하여 염분을 제거하는 염분제거단계;
    미더덕을 갈라 내장을 적출하는 내장적출단계;
    내장적출단계에서 내장이 제거된 미더덕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미더덕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단계;
    수분이 제거된 미더덕의 내피와 외피를 함께 동결건조하는 동결건조단계; 및
    동결건조된 미더덕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화단계; 를 포함하는 항염증성 분말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지방산의 산화를 막기 위해 상기 수분제거단계에서 수분이 제거된 미더덕 또는 상기 동결건조단계에서 동결건조된 미더덕에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항산화제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성 분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분말의 안정화를 위해 상기 분말화단계에서 제조된 분말에 부형제를 첨가하는 부형제첨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성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090046111A 2009-05-26 2009-05-26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 KR20100127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11A KR20100127601A (ko) 2009-05-26 2009-05-26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11A KR20100127601A (ko) 2009-05-26 2009-05-26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601A true KR20100127601A (ko) 2010-12-06

Family

ID=4350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111A KR20100127601A (ko) 2009-05-26 2009-05-26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76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2443A (zh) * 2014-09-02 2015-01-07 广西壮族自治区海洋研究所 多羟基甾醇类单体化合物的制备方法和应用
KR20160096357A (ko) * 2015-02-05 2016-08-16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오만둥이 다당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2443A (zh) * 2014-09-02 2015-01-07 广西壮族自治区海洋研究所 多羟基甾醇类单体化合物的制备方法和应用
CN104262443B (zh) * 2014-09-02 2016-03-30 广西壮族自治区海洋研究所 多羟基甾醇类单体化合物的制备方法和应用
KR20160096357A (ko) * 2015-02-05 2016-08-16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오만둥이 다당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899B1 (ko) 해양 및 수생 동물 조직으로부터의 지질 추출 방법
RU2234928C2 (ru) Продукты каротиноидолипидный, протеинсодержащей фракций морского огурца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Sui et al. Bioactive components of velvet antlers and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
Najafian et al. A review of fish-derive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eptides: Their production, assessment, and applications
CN104926925B (zh) 一种带鱼鱼肉蛋白抗氧化肽及其制备方法和用途
Ferraro et al. Valorisation of natural extracts from marine source focused on marine by-products: A review
US8568819B2 (en) Solid composition containing lipids from crustaceans
JP2002501030A5 (ko)
Rabail et al. An overview of chia seed (Salvia hispanica L.) bioactive peptides’ derivation and utilization as an emerging nutraceutical food
WO2007080514A2 (en) A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lipid fractions from krill
KR20150132704A (ko) 해삼 및 성게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JP2007045713A (ja) 霊芝胞子抽出物及び霊芝胞子製剤
WO2015143001A1 (en) Therapeutic astaxanthin and phospholipid composition and associated method
US20170281564A1 (en) Therapeutic astaxanthin and phospholipid composition and associated method
JP2013216654A (ja) 脳萎縮抑制剤
KR20100127601A (ko) 미더덕, 오만둥이 및 멍게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및 분말제조방법
JP2006225270A (ja) 性ホルモン修飾作用を有するトリペプチド又はそれを含有する抽出物、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を結合してなるトリペプチド、それからなる食品製剤、化粧品製剤、子宮内膜症治療剤
Das et al. Bromelain: Applications and purification strategies
Wang et al. The nutritional value of Spirulina and Utilization Research
RU2360545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бурых водорослей
JP2012206987A (ja) キチン・アスタキサンチン分離生産方法
KR19990033739A (ko) 미색류 껍질로부터 황산다당류의 추출 및 정제방법
TW202214272A (zh) 甲魚脂肪提取物、其方法及其添加產品
WO2015022930A1 (ja) ホタテ貝外套膜のタンパク質分解物を有効成分とする脂質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む飲食品
KR20230072746A (ko) 푸코잔틴 및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추출물의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