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300A - 전사 인자 디코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사 인자 디코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300A
KR20100127300A KR1020107024044A KR20107024044A KR20100127300A KR 20100127300 A KR20100127300 A KR 20100127300A KR 1020107024044 A KR1020107024044 A KR 1020107024044A KR 20107024044 A KR20107024044 A KR 20107024044A KR 20100127300 A KR20100127300 A KR 20100127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y
ionic liquid
external preparation
preparation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시노하라
히데또시 하마모또
가쯔노리 고바야시
다쯔로 나까노
마꼬또 사까구찌
Original Assignee
안게스 엠지 인코포레이티드
가부시키가이샤 메드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게스 엠지 인코포레이티드, 가부시키가이샤 메드렉스 filed Critical 안게스 엠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27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113Non-coding nucleic acids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enes, e.g. antisense oligonucleotides; Antisense DNA or RNA; Triplex- forming oligonucleotides; Catalytic nucleic acids, e.g. ribozymes; Nucleic acids used in co-suppression or gene silen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12N15/88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using microencapsulation, e.g. using amphiphile liposome ves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310/00Structure or type of the nucleic acid
    • C12N2310/10Type of nucleic acid
    • C12N2310/13Dec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과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산계 이온 액체에 전사 인자 디코이를 용해시켜 함유하는 피부 투과성이 양호한 전사 인자 디코이의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사 인자 디코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외용제 조성물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TRANSCRIPTION FACTOR DECOY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전사 인자 디코이를 용해한 지방산계 이온 액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외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사 인자란, 프로모터의 상류 또는 하류의 DNA에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를 제어하는 단백질을 의미하며, 대표예로서 NF-κB, E2F, GATA-3, STAT-1, STAT-6, Ets, AP-1 등을 들 수 있다.
이어서 디코이(decoy)란, 영어로 "미끼"라는 의미로, 어떤 물질이 본래 결합 또는 작용하여야 할 것과 비슷한 구조를 갖는 것을 디코이라 부르고 있다. 전사 인자 디코이로는 게놈 DNA 상에 있는 전사 인자의 결합 영역과 동일한 염기 서열을 가지는 이중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전사 인자 디코이 공존하에서는, 전사 인자의 일부는 본래 결합하여야 할 게놈 DNA 상의 결합 영역과 결합하지 않고, 전사 인자 디코이와 결합한다. 이 때문에 게놈 유전자에 결합하는 전사 인자가 감소하고, 그 결과 전사 인자의 활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 경우, 이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진짜 게놈 유전자 상의 결합 영역의 가짜(미끼)로서 기능하여 전사 인자와 결합하기 때문에, 전사 인자 디코이라 불린다. 전사 인자 디코이를 투여함으로써, 대상으로 하는 전사 인자의 활성을 저하시키고, 상기 전사 인자에 기인하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사 인자 디코이로서, NF-κB 디코이를 사용하면, NF-κB의 기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천식, 류마티스 등의 증상을 억제 또는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이 NF-κB 디코이를 이용한 새로운 항염증 연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안면 병변에 대한 치료약으로서 임상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그러나, 문제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분자량이 통상 약 10,000 이상으로, 경피 흡수 가능한 분자량의 범위를 크게 초과하고 있는 것이다. 즉, 피부에서는 외계와 생체 내부 환경을 격리하는 배리어 기능이 매우 잘 발달하였기 때문에, 분자량 1,000을 초과하는 물질의 투과는 현저히 억제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란성 부위 등의 피부의 배리어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는 중증 병변 부위 이외에는, 외용에 의한 치료 효과를 얻는 것은 곤란하다고 예상되고 있었다. 현실에서의 치료시에도, 이 예상대로의 결과가 얻어져, NF-κB 디코이 등의 전사 인자 디코이의 경피 흡수성을 어떻게 높일 것인지가 큰 문제로서 부상되어 왔다.
따라서, 전사 인자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각종 제제 처방이 검토되어 왔다. 예를 들면 NF-κB 디코이와 대두인지질과 바셀린과의 혼합물의 제제 처방(특허문헌 4)이나, NF-κB 디코이와 알긴산나트륨과의 수용성 겔 제제(특허문헌 5), NF-κB 디코이를 나노 입자 표면에 담지시킨 제제(특허문헌 6)의 개시가 있다. 그러나, 아직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특히 NF-κB 디코이가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비수계 제제 처방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배경으로부터, 전사 인자 디코이의 비수계의 새로운 피부 외용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일본 특허 재공표 96/035430호 공보 일본 특허 3392143호 공보 WO 95/1168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947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8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56611호 공보
일본 임상 63호 증간호 12, p659 내지 663(2005년)
본 발명은 NF-κB 디코이 등의 전사 인자 디코이를 안정적으로 용해시키고, 경피 흡수성이 향상된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일부는 이온 액체를 이용하여 송아지 흉선 DNA와 같은 거대 핵산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기 때문에(일본 특허 출원 2007-018004), 본 발명자들은 전사 인자 디코이에 이온 액체를 이용하는 것을 발상하고,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비수 조건으로 탄소수가 2 내지 20인 지방산계 이온 액체를 용매로서 사용함으로써 외용제 중에서의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성을 높일 수 있고, 게다가 전사 인자 디코이의 경피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복수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를 혼합함으로써, 전사 인자 디코이의 외용제 중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용해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사 인자 디코이의 경피 흡수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제제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 조절에 의해, 경피 흡수성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보고에는 없던 디코이가 매우 저농도(0.0001 내지 1 w/w%)인 제제에서도 디코이가 경피 흡수되어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지견에 의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이하와 같다.
[1]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과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산계 이온 액체에 전사 인자 디코이를 용해시켜 함유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 상기 [1]에 이어서,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이 글리콜산, 메톡시아세트산, 레불린산, 카프르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외용제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이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외용제 조성물.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지방산계 이온 액체가 복수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의 혼합 이온 액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5] 상기 [4]에 있어서, 혼합 이온 액체가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과,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I)와의 혼합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6] 상기 [5]에 있어서, 이온 액체 (I)의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이 글리콜산, 메톡시아세트산 및 레불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7] 상기 [6]에 있어서, 이온 액체 (I)의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이 레불린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8]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가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9] 상기 [8]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의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이 레불린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0] 상기 [8] 또는 [9]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2:1 내지 1:10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0a) 상기 [8] 또는 [9]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1:1 내지 1:5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1]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가 탄소수 6 내지 13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2] 상기 [11]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의 탄소수 6 내지 13의 지방산이 카프르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3] 상기 [11] 또는 [12]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40:1 내지 2:1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3a) 상기 [11] 또는 [12]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10:1 내지 2:1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4]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가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5] 상기 [14]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의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이 이소스테아르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6] 상기 [14] 또는 [15]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1:1 내지 1:50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6a) 상기 [14] 또는 [15]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1:2 내지 1:30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7] 상기 [8]에 있어서,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Ia)를 더 함유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8] 상기 [17]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a)의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이 이소스테아르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9] 상기 [17] 또는 [18]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 및 (IIa)의 중량비가 1:1 내지 1:50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9a) 상기 [17] 또는 [18]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 및 (IIa)의 중량비가 1:2 내지 1:30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0] 상기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의 농도가 0.0001 내지 1 w/w%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1] 상기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의 농도가 0.0001 내지 0.2 w/w%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2] 상기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가 전사 인자 디코이 농도의 3 내지 3000배의 농도로 함유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3] 상기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가 전사 인자 디코이 농도의 3 내지 1000배의 농도로 함유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4] 상기 [22] 또는 [23]에 있어서, 복수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의 혼합 이온 액체를 함유하고, 혼합 이온 액체의 농도가 0.008 내지 30 w/w%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5] 상기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첨가되어 있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6] 상기 [25]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세박산디에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및 탄산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7] 상기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첨가되어 있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8] 상기 [27]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에데트산2나트륨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9] 상기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연고 기제가 첨가되어 연고 제제로 되어 있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0] 상기 [29]에 있어서, 연고 기제가 겔화 탄화수소 또는 백색 바셀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1] 상기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사 인자가 NF-κB, E2F, GATA-3, STAT-1, STAT-6, Ets 및 AP-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2] 상기 [31]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GGRHTYYHC(식 중, R은 A 또는 G를, Y는 C 또는 T를, H는 A, C 또는 T를 각각 의미함)를 포함하는 NF-κB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3] 상기 [32]에 있어서, NF-κB 디코이가 배열 GGATTTCCC 또는 GGACTTTCC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4] 상기 [31]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TTTSSCGS(식 중, S는 G 또는 C를 의미함)를 포함하는 E2F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5] 상기 [34]에 있어서, E2F 디코이가 배열 TTTCCCGC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6] 상기 [31]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WGATAR(식 중, W는 A 또는 T를, R은 A 또는 G를 각각 의미함)을 포함하는 GATA-3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7] 상기 [36]에 있어서, GATA-3 디코이가 배열 AGATAG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8] 상기 [31]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TTCNNNGAA(식 중, N은 A, G, T 또는 C를 의미함)를 포함하는 STAT-1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9] 상기 [38]에 있어서, STAT-1 디코이가 배열 TTCCGGGAA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0] 상기 [31]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TTCNNNNGAA(식 중, N은 A, G, T 또는 C를 의미함)를 포함하는 STAT-6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1] 상기 [40]에 있어서, STAT-6 디코이가 배열 TTCCCAAGAA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2] 상기 [31]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MGGAW(식 중, M은 A 또는 C를, W는 A 또는 T를 각각 의미함)를 포함하는 Ets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3] 상기 [42]에 있어서, Ets 디코이가 배열 CGGAA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4] 상기 [31]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TGASTMA(식 중, S는 G 또는 C를, M은 A 또는 C를 각각 의미함)를 포함하는 AP-1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5] 상기 [44]에 있어서, AP-1 디코이가 배열 TGAGTCA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6] 상기 [1]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전사 인자 디코이에 결합하는 전사 인자에 의한 유전자 전사 제어를 억제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상기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을 경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유전자 전사 제어의 억제 방법.
[47]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전사 인자 디코이 및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과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산계 이온 액체의 용도.
[48] 상기 [47]에 있어서, 이온 액체가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과,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I)와의 혼합 이온 액체인 용도.
전사 인자 디코이와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전사 인자 디코이를 안정화함과 동시에, 전사 인자 디코이의 경피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를 사용함으로써,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를 조절하여, 경피 흡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비수계의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전사 인자 디코이의 안정성도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전사 인자 디코이를 함유하는 액제, 연고, 첩부제 등의 각종 외용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마우스 DTH 모델에 의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중, *은 p<0.05(vs. 0 %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사 인자 디코이와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외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디코이가 표적으로 하는 전사 인자는,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고 있는 인자이며 RNA 폴리메라아제 이외의 단백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NF-κB, E2F, GATA-3, STAT-1, STAT-6, Ets, AP-1 등과 같은, 창약 표적으로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사 인자 디코이"란, 전사 인자가 본래 결합하거나 또는 작용하는 게놈 DNA 상의 영역과 경합적으로 전사 인자와 결합할 수 있는 핵산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전형적으로는 게놈 DNA 상의 전사 인자 결합 영역과 동일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염기 서열을 포함하며, 통상은 14 내지 35염기쌍,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염기쌍,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5염기쌍,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염기쌍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염기 서열"이란, 전사 인자 결합 영역의 컨센서스 배열(consensus sequence)에 있어서, 1, 2 또는 3개의 염기가 다른 염기로 치환된 염기 서열이며, 상기 컨센서스 배열과 동등 이상(예를 들면, 90 % 이상)의 전사 인자에 대한 결합성을 가지는 배열을 말한다. 목적으로 하는 전사 인자가 실제로 결합하는 게놈 DNA 상의 염기 서열은 다종 다양하고, 컨센서스 배열과 유사하지만 완전 동일하지 않은 시스-엘리먼트 배열(cis-element sequence)은 수많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당업자는 공지된 시스-엘리먼트의 배열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실질적으로 동일한 염기 서열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이중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이중 가닥 DNA, 이중 가닥 RNA, DNA:RNA 혼성 중 어느 것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중 가닥 DNA이다.
전사 인자 결합 영역(시스-엘리먼트)에 공통으로 보이는 염기 서열(컨센서스 배열)은 각각의 전사 인자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 5 내지 15염기쌍 정도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전사 인자가 결합하는 컨센서스 배열(전사 가닥 배열을 나타냄; 이하 동일)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1) 전사 인자 NF-κB: 배열 GGRHTYYHC(식 중, R은 A 또는 G를, Y는 C 또는 T를, H는 A, C 또는 T를 각각 의미한다)
(2) 전사 인자 E2F: 배열 TTTSSCGS(식 중, S는 G 또는 C를 의미한다)
(3) 전사 인자 GATA-3: WGATAR(식 중, W는 A 또는 T를, R은 A 또는 G를 각각 의미한다)
(4) 전사 인자 STAT-1: 배열 TTCNNNGAA(식 중, N은 A, G, T 또는 C를 의미한다)
(5) 전사 인자 STAT-6: 배열 TTCNNNNGAA(식 중, N은 A, G, T 또는 C를 의미한다)
(6) 전사 인자 Ets: 배열 MGGAW(식 중, M은 A 또는 C를, W는 A 또는 T를 각각 의미한다)
(7) 전사 인자 AP-1: 배열 TGASTMA(식 중, S는 G 또는 C를, M은 A 또는 C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2개쇄 디코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수식형으로서, 덤벨형 디코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분자내 닉(nick)을 가지는 덤벨형 디코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헤어핀형 디코이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등도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사 인자 디코이에는 이들도 포함된다.
상기한 각 전사 인자에 대한 디코이 중에 포함되는, 보다 구체적인 시스-엘리먼트와 상동인 배열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각각 들 수 있다.
(1a) NF-κB 디코이: 배열 GGATTTCCC 또는 GGACTTTCC
(2a) E2F 디코이: 배열 TTTCCCGC
(3a) GATA-3 디코이: 배열 AGATAG
(4a) STAT-1 디코이: 배열 TTCCGGGAA
(5a) STAT-6 디코이: 배열 TTCCCAAGAA
(6a) Ets 디코이: 배열 CGGAA
(7a) AP-1 디코이: 배열 TGAGTCA
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 인자가 결합하는 시스-엘리먼트 배열은, 통상 5 내지 15염기쌍 정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통상 자주 이용되는 전사 인자 디코이는, 그의 일단 또는 양끝에, 합계로 1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7개의 염기쌍이 부가되어 있다. 해당 부가되는 염기(배열)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어떠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1b) NF-κB 디코이로서, 예를 들면
5'-CCTTGAAGGGATTTCCCTCC-3'(서열번호 1),
5'-AGTTGAGGGGACTTTCCCAGGC-3'(서열번호 2),
5'-AGTTGAGGACTTTCCAGGC-3'(서열번호 3) 등,
(2b) E2F 디코이로서, 예를 들면
5'-CTAGATTTCCCGCG-3'(서열번호 4),
5'-CTAGATTTCCCGCGGATC-3'(서열번호 5) 등,
(3b) GATA-3 디코이로서, 예를 들면
5'-AGCTTGAGATAGAGCT-3'(서열번호 6) 등,
(4b) STAT-1 디코이로서, 예를 들면
5'-GATCTAGGGATTTCCGGGAAATGAAGCT-3'(서열번호 7),
5'-TGTGAATTACCGGAAGTG-3'(서열번호 8) 등,
(5b) STAT-6 디코이로서, 예를 들면
5'-GATCAAGACCTTTTCCCAAGAAATCTAT-3'(서열번호 9) 등,
(6b) Ets 디코이로서, 예를 들면
5'-AATTCACCGGAAGTATTCGA-3'(서열번호 10) 등,
(7b) AP-1 디코이로서, 예를 들면
5'-AGCTTGTGAGTCAGAAGCT-3'(서열번호 11) 등
의 염기 서열(전사 인자의 표적 배열을 밑줄로 나타냄)을 포함하는 이중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각각 들 수 있다.
전사 인자 디코이를 구성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는 천연형의 DNA 또는 RNA, 특히 DNA가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안정성(화학적 및/또는 상대 효소)이나 비활성(전사 인자와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가지 화학 수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사 인자 디코이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설계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판되고 있는 DNA/RNA 자동 합성기(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사, 벡맨사 등)를 이용하여 전사 가닥과 반전사 가닥의 각각에 대하여 합성하고, 양자를 어닐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용 조성물에 용해되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함량은, 최종적으로 외용제 중에 배합되는 양이, 경피 흡수되어 치료상 유효한 도달량이 되는 것이면 된다. 외용제 조성물 중에 배합되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함량으로는, 예를 들면 0.0001 내지 1 w/w%이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2 w/w%를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0.1 w/w%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서, 전사 인자 디코이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 중에 용해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란,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과 유기 아민 화합물과의 등몰의 용융염 또는 당몰의 평형 혼합물을 나타내지만, 사용하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농도나, 다른 첨가물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방산 또는 유기 아민을 과잉량, 외용제 조성물 중에 첨가할 수도 있다. 과잉량으로는 0.2배 몰량 이내가 바람직하다. 유기 아민 화합물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글리콜산, 레불린산, 카프로산, 옥탄산, 카프르산 등의 탄소수 2 내지 10의 중급 지방산, 예를 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소수 11 내지 20의 고급 지방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레불린산, 카프르산, 미리스트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탄소수 5 내지 20의 지방산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산을 적절하게 복수개 이용하여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를 조절하고, 적절한 혼합 이온 액체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지방산으로는 레불린산, 이소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이란, 유기 아민 화합물 중, 탄소수가 4 내지 12인 것을 말한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수산기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지방산계 이온 액체는 단일 이온 액체일 수도 있고, 혼합 이온 액체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혼합 이온 액체"란, 상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가 복수개 혼합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지방산이 공통이지만 유기 아민 화합물이 상이한 것, 유기 아민 화합물이 공통이지만 지방산이 상이한 것, 지방산도 유기 아민 화합물도 상이한 것이라는 3종의 혼합 이온 액체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나 경피 흡수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적절하게 적절한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 이온 액체의 조성 비율에 대해서는, 이온 액체의 역할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용해도가 높은 이온 액체와 용해도가 낮은 이온 액체를 혼합한 것이 이용된다.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가 높은 이온 액체(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는, 바람직하게는 디코이의 용해도가 10 w/w% 이상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는, 디코이의 용해도가 20 w/w% 이상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디코이의 용해도가 28 w/w% 이상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가 높은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글리콜산, 메톡시아세트산, 레불린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불린산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용 이온 액체로는, 예를 들면 레불린산디에탄올아민염,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 글리콜산디에탄올아민염, 글리콜산트리에탄올아민염, 메톡시아세트산디에탄올아민염, 메톡시아세트산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가 낮은 이온 액체(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는, 바람직하게는 디코이의 용해도가 1 w/w% 이하가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는, 디코이의 용해도가 0.5 w/w% 이하가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디코이의 용해도가 0.2 % 이하가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가 낮은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탄소수 5 내지 20의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레불린산, 카프르산, 미리스트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불린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가 낮은 이온 액체로는, 예를 들면 레불린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카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카프르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이소스테아르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불린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이소스테아르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는, 예를 들면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과, 유기 아민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을, 등몰 또는 필요에 따라서 어느 하나를 과잉량으로 실온 또는 가온하에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과잉량으로는 0.2배 몰량 이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 이온 액체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각 이온 액체를 적당한 조성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전사 인자 디코이를 용해시키기 위한 이온 액체의 양으로는, 전사 인자 디코이를 우선 용해시키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선 용해도가 높은 이온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코이가 용해된 후, 희석용 이온 액체로 희석하고, 혼합 이온 액체 중 용해도를 보다 포화에 근접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코이를 용해시키기 위한 이온 액체의 양으로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3 내지 3000배량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절한 이온 액체의 사용량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코이의 3 내지 1000배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00배량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 중 지방산계 이온 액체의 농도는, 외용제의 형상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지만, 예를 들면 액제로는 10 내지 50 w/w%, 예를 들면 연고제로는 약 0.008 내지 30 w/w%가 바람직하다. 연고 제제에서의 보다 바람직한 농도로는 0.01 내지 20 w/w%, 가장 바람직한 농도로는 0.01 내지 10 w/w%를 들 수 있다.
또한, 단일 이온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용해도가 높은 용해용 이온 액체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외용제 조성물 중 이온 액체의 농도는 전사 인자 디코이의 사용량과도 관련되며, 전사 인자 디코이의 사용량이 적으면 지방산계 이온 액체의 사용량도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 레불린산디에탄올아민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코이 농도의 약 3 내지 3000배의 농도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단일 이온 액체의 농도로는, 디코이 농도의 3 내지 200배인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단일 이온 액체의 농도로는, 디코이 농도의 3 내지 100배인 것을 들 수 있다.
이온 액체 중 디코이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복수의 이온 액체를 혼합한 혼합 이온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를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를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혼합 이온 액체의 조성비는, 희석용 이온 액체의 지방산의 종류(구체적으로는 희석용 이온 액체의 지방산이 (1)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 (2)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 (3) 탄소수 6 내지 13의 지방산인 경우)에 따라서, 바람직한 범위가 다르다.
본 발명에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글리콜산, 메톡시아세트산, 에톡시아세트산, 레불린산, 락트산 등이고, 바람직한 것으로는 글리콜산, 메톡시아세트산, 레불린산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레불린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수 6 내지 13의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2-에틸헥산산, 카프르산 등이고, 바람직한 것으로서 카프르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미리스트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이고, 바람직한 것으로는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을 들 수 있다.
(1)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와,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 이온 액체의 중량비로서,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2:1 내지 1:10의 범위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가 1:1 내지 1:5의 범위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1 내지 1:10의 중량비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1 내지 1:5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레불린산디에탄올아민염을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2:1 내지 1:10의 중량비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1 내지 1:4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글리콜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글리콜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1 내지 1:8 범위의 중량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4를 들 수 있다.
(2)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를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 혼합 이온 액체의 중량비로서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1 내지 1:50 조성비의 혼합 이온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2 내지 1:30의 혼합 이온 액체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2 내지 1:20의 혼합 이온 액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0 내지 1:50의 중량비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2 내지 1:30의 중량비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2 내지 1:20의 중량비를 들 수 있다.
(3)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를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탄소수 6 내지 13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40:1 내지 2:1 범위의 중량비의 혼합 이온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0:1 내지 2:1의 혼합 이온 액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카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40:1 내지 2:1의 중량비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10:1 내지 2:1의 중량비를 들 수 있다.
또한, 3종 이상의 이온 액체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를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로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I)와,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Ia)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이온 액체 (IIa)=1:1 내지 1:50 범위의 중량비의 혼합 이온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이온 액체 (IIa)=1:2 내지 1:30의 중량비의 혼합 이온 액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이온 액체 (I))에 대하여 희석용 이온 액체로서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이온 액체 (II))과 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이온 액체 (IIa))을 조합하여, 이온 액체 (I):이온 액체 (II)+이온 액체 (IIa)=1:2 내지 1:30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혼합 이온 액체의 조성비는 이온 액체 중 디코이 용해도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제 중 전사 인자 디코이 함량(농도)을 고려하여, 되도록이면 디코이 농도가 이온 액체 중 디코이 포화 농도에 근접하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면 전사 인자 디코이의 농도가 0.0001 내지 0.5 w/w%인 경우, 용해용 이온 액체와 희석용 이온 액체의 조성비는, 실시예 2에 표시되는 디코이 용해도 등을 참고로 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제 중 전사 인자 디코이의 농도가 0.02 %이고, 용해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로서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사용하고, 희석용 이온 액체(이온 액체 (II))로서 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사용하는 경우, 혼합 이온 액체의 중량비는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1로 하여, 1:0 내지 1:3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13 범위의 중량비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외용제 조성물"이란,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과 함수계 외용제 조성물을 함께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용된다.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이란, 물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지 않는 외용제 조성물이다. 또한,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에서는, 시험 용제에 포함되어 있는 흡장·흡착된 수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한편, "함수계 외용제 조성물"이란, 물을 구성 요건으로서 함유하는 것이다. 함유되는 수분의 양은 제제의 형상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수분이 기제와 충분히 혼화하고, 균일하게 분산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제 중 수분 농도로서, 약 1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외용제용 조성물에 추가로, 유기 용매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기 용매"란, 지방산계 이온 액체 중 전사 인자 디코이를 희석하고, 용매화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또한, 피부 표면에 대하여 경피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THF, 부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예를 들면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부티르산에틸 등의 저급 알킬카르복실산에스테르, 예를 들면 세박산디에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팔미트산미리스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미리스트산미리스틸, 올레산트리글리세리드, 리그노세르산세릴, 세로인산락세릴, 락세르산락세릴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탄산프로필렌 등의 탄산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올리브유, 야자유 등의 식물유류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세박산디에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야자유, 올리브유 등의 식물유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벤질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등의 고급 알코올,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펜탄올, 옥탄올, 도데칸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1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알코올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의 첨가의 유무, 첨가량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w/w%의 범위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은 킬레이트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킬레이트제"란,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DNA 분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Zn 등의 2가 금속 이온을 제거하는 것에 사용되는 킬레이트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피부 자극성이 적은 것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데트산2나트륨염(EDTA·2Na), 아세틸아세트산메틸에스테르, 아세틸아세트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아세틸아세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DTA·2Na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외용제"는, 대상 질환과 사용 목적에 따라서 여러가지 제형의 외용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제, 겔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의 제조 방법은, 제제학적으로 범용되고 있는 수단을 채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첨가제로서, 적절하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항산화제, 방부제, 증점제, 보존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아스코르브산,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에리소르빈산, 아세트산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브산, 소르브산나트륨, 디히드로아세트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 파라옥시벤조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프로필파라벤), 파라옥시벤조산부틸, 파라옥시벤조산이소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이소부틸,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염화벤잘코늄, 살리실산 또는 그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염화벤잘코늄과 살리실산 또는 그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는 상온에서 고체이고, 물에 난용인 물질을 말한다. 예를 들면, 무기 재료로는, 예를 들면 비정질성 이산화규소, 카올린(석고), 규조토, 탈크, 함수 이산화규소, 경질 무수 규산, 규산마그네슘, 규산칼슘, 인산칼슘, 황산바륨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유기 재료로는, 예를 들면 결정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경질 무수 규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약효 성분을 제제의 기제가 되는 구성 성분에 용해 또는 현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외용제 조성물의 기제로는, 예를 들면 연고제에서는 백색 바셀린, 유동 파라핀, 겔화 탄화수소 등을 기제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겔화 탄화수소란, 유동 파라핀, 파라핀,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스쿠알렌, 폴리부텐 등의 탄화수소를 겔화한 것이다. 특히, 유동 파라핀을 폴리에틸렌 수지로 겔화한 것, 유지를 고무·엘라스토머로 겔화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일본 약전)을 5 내지 10 중량%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겔화한 플라스티베이스(Plastibase; 상품명), 폴로이드(Poloid; 상품명), 겔화 탄화수소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가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 겔화 탄화수소(플라스티베이스 하이드로필릭(Plastibase Hydrophilic;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크림제에서는, 예를 들면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바셀린, 라놀린, 고형 파라핀, 밀랍 등의 유분과, 물과, 계면활성제, 보습제 등을 가하여 유화한 것을 기제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액제에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알코올류와, 예를 들면 올리브유, 대두유 등의 유지류와 물과의 혼합 용액을 기제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첩부제에서는, 점착제가 기제가 된다. 여기서 말하는 점착제란, 주로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제, 연화제, 충전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연화제, 충전제, 항산화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이하 SIS라 함)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 고무-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고무,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아크릴산계 수지, 천연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부틸 고무, 천연 고무 등의 고무계 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지 필름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적층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로진, 수소 첨가 로진 등을 말한다. 바람직한 것으로는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연화제로는, 예를 들면 공정 오일, 저분자 폴리부텐 등의 석유계 연화제, 예를 들면 피마자유, 야자유 등의 지방유계 연화제, 정제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아연, 산화티탄, 탄산칼슘, 규산류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각종 전사 인자는, 여러가지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성장 인자, 접착 분자, 아포토시스 관련 분자와 같은 염증 관련 유전자군의 발현을 유도한다. 그 중에서도 NF-κB가 대부분의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기 때문에, NF-κB 디코이는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다면적 항염증 작용을 발휘하는 것, 또한 그의 작용 특이성 때문에 스테로이드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은 것이 기대되고 있다. 현재, 이 디코이를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임상 응용이 검토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저독성이고, 상기 외용제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전사 인자 디코이에 결합하는 전사 인자에 의한 유전자 전사 제어를 억제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인간 또는 다른 포유동물(예, 마우스, 래트, 토끼, 양, 돼지, 소, 고양이, 개, 원숭이 등), 예를 들면 해당 전사 제어를 억제함으로써 병의 용태의 개선이 기대되는 질환에 걸린 동물 등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의 투여 프로토콜은 투여 대상, 대상 질환, 증상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면 성인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인 NF-κB 디코이의 적당량(1회 양으로서, 통상 0.1 mg 내지 1 g 정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 정도)을 1일 1 내지 5회 정도, 바람직하게는 1일 1 내지 3회 정도 경피 투여할 수 있다. 증상이 특히 심한 경우에는, 그 증상에 따라서 증량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연고 제제에서의 NF-κB 디코이의 (1) 피부 투과성 시험 및 (2) OVA 유발 마우스 DTH 모델(지연형 알레르기 반응 모델)에 의한 마우스 경피 흡수성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1) NF-κB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 평가 시험(필링(peeling) 시험)
후생 노동부 발행의 "국소 피부 적용 제제의 후발 의약품을 위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가이드 라인"의 방법에 기초하여, 일부 개변하여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을 평가하였다.
(a) 정성 평가 시험:
피험자 전완부 전방면의 반경 1 cm의 범위에 연고 제제를 도포하고, 1 시간 동안 경과한 후, 도포 부위의 연고 제제를 세심하게 닦아내고, 점착 테이프로 첩부, 박리를 반복하였다.
시료 테이프의 최초 2매는 폐기하고, 3매째 이후의 5매씩을 피부 1층(시험관 1개분)으로 하고, 제1층부터 제3층까지 구분하여 테이프를 취득하였다. 미리 추출 용매(메탄올 3 ㎖와 10 mM Tris-EDTA(pH 7.0) 0.5 ㎖)를 시험관에 넣고, 박리한 테이프를 즉시 추출 용매에 침지하였다. 필링 종료 후, 테이프를 재단하여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잔량 0.2 ㎖가 될 때까지 증발기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농축 용액을 100 ㎕ 채취하고, HPLC에 의해 디코이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b) 정량 평가 시험:
피험자 전완부 전방면의 반경 15 mm의 범위에 연고 제제를 도포하고, 30 분 경과 후, 도포 부위의 연고 제제를 세심히 닦아내고, 점착 테이프로 첩부, 박리를 반복하였다.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피부 제1층부터 제3층의 테이프를 취득하였다. 미리 추출 용매(초순수 2 ㎖와 10 mM Tris-EDTA(pH 7.0) 0.5 ㎖)를 시험관에 넣고, 박리한 테이프를 즉시 추출 용매에 침지하였다. 필링 종료 후, 테이프를 재단하여 초음파 처리를 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잔량 0.15 ㎖가 될 때까지 증발기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농축 용액을 100 ㎕ 채취하고, HPLC에 의해 채취된 디코이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제3층의 테이프로부터 검출된 디코이량을 피부 투과성을 나타내는 척도(ng/층)로 하였다.
(2) OVA 유발 마우스 DTH 모델(지연형 알레르기 반응 모델)에 의한 NF-κB 디코이의 마우스 경피 흡수성 평가 시험
(1) OVA의 제조 및 1차 감작(感作)
오브알부민(OVA; ovalbumin)을 소정량 칭량하고, D-PBS[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s](-)로 OVA 용액 5 mg/㎖를 제조하였다. OVA 10 mg/㎖ 용액에 등량의 프로인트(Freund's) 불완전 아쥬반트를 첨가하고, 볼텍스(상품명) 믹서로 5 분간 진탕하여 에멀전을 형성시켜 OVA/에멀전을 제조하였다.
BALB/c 마우스(암컷 7주령)의 복부 중 상부와 하부의 가죽내 2개소에 OVA/에멀전을 100 ㎕/개소로 투여하였다.
(2) 디코이 투여
단회 투여의 경우는 2차 감작 24 시간 전, 반복 투여의 경우는 2차 감작 1, 2 및 3일전에 오른발에 각 제제 20 mg을 도포하고, 24 시간 후에 미지근한 물을 적신 탈지면으로 약제를 제거하였다.
(3) 2차 감작
1차 감작으로부터 9일 후에 2차 감작을 행하였다. OVA를 소정량 칭량하고, D-PBS(-)로 OVA 2 mg/㎖ 용액을 제조하였다. 마우스의 오른발을 감작발, 왼발을 비감작발로 하였다. 마우스 감작발뒤 중앙부의 피하에 OVA 2 mg/㎖를 50 ㎕/개소로 투여하였다. 또한, 비감작발에는 D-PBS(-)를 50 ㎕/개소로 투여하였다.
(4) DTH 반응 측정
2차 감작으로부터 24 시간 후에, 양발 중앙부를 두께 게이지(미쯔토요 제조)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 행하고, 그의 평균값을 발두께로 하였다.
평가는 이하의 식에 의해, 발두께의 증가폭을 산출하였다.
(감작발 발두께)-(비감작발 발두께)=(발두께 증가폭)
또한, 2차 감작시 투여의 영향에 의해, 발부에 내출혈이 인정된 개체는 제외하였다.
디코이 비함유 제제 투여군(0 %군)에서의 발두께 증가폭에 대한 시험 제제 투여군에서의 발두께 증가의 억제율(%)을 지표로 하여, 경피 흡수성(지연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을 평가하였다.
군간 비교는 t-검정으로 행하였다.
실시예 1: NF-κB 디코이의 비수계 액제 조성물
NF-κB 디코이는 물에 용해되기 쉬운 화합물이고, 비수계의 외용제의 제조는 곤란하였다. 그러나, 이하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에 용해시킬 수 있으며, NF-κB 디코이의 액제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1) 레불린산계 이온 액체에 의한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단일 이온 액체):
레불린산과 등몰의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을 각각 칭량하여 혼합하고, 80 ℃에서 20 분간 가온하여 2종의 레불린산계 이온 액체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NF-κB 디코이를 약 10 mg 칭량하고, 약 1.0 g의 2종의 레불린산계 이온 액체에 가하여 80 ℃, 약 30 분간 가온하였다. 실온으로 방냉한 후, 디코이의 용해 상황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의 레불린산계 이온 액체에 상기 NF-κB 디코이가 용해되어, 비수계의 액제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2종의 이온 액체에 대한 상기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구한 바, 하기 표 1과 같이 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NF-κB 디코이는 레불린산디에탄올아민염이나 트리에탄올아민염의 이온 액체에 양호하게 용해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한편, 레불린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에 대한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동일하게 하여 구한 바, 하기 표 2와 같이 되었다.
(2) 글리콜산계 이온 액체에 의한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글리콜산과 등몰의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을 각각 칭량하여 혼합하고, 80 ℃에서 20 분간 가온하여 2종의 글리콜산계 이온 액체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NF-κB 디코이를 10 mg 칭량하고, 약 100 mg의 글리콜산디에탄올아민염, 글리콜산트리에탄올아민염의 각 이온 액체에 용해시켰다. 디코이는 상기 이온 액체에 각각 용해되어 균일한 용액이 되어, 비수계의 액제를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NF-κB 디코이의 비수계 액제 조성물(혼합 이온 액체)
외용제의 경피 흡수성은 약제 농도와 약물 환경(포화에 가까운지 아닌지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불린산계를 중심으로 하는 혼합 이온 액체 용액의 NF-κB 디코이 액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더불어 혼합 이온 액체에 대한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구하였다.
(1) 레불린산계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 (i):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1로 하여,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이 1 내지 9의 중량비로 첨가된 혼합 이온 액체를 제조하였다. 이들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1 및 3-2에 나타낸다.
<표 3-1>
Figure pct00003
<표 3-2>
Figure pct00004
이들 결과로부터,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는, 디코이 용해도가 높은 이온 액체(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에 대하여 디코이 용해도가 낮은 이온 액체(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의 첨가량을 증대시킴으로써 크게 저하되는 것이 나타났다. 즉, 표 3-1 및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코이 용해도가 높은 이온 액체에 대하여 디코이 용해도가 낮은 이온 액체가 약 1:2보다 많은 경우에는, 급격히 디코이 용해도가 저하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2) 레불린산계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 (ii):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1로 하여, 레불린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이 1 내지 20의 중량비로 첨가된 혼합 이온 액체를 제조하고, 이들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이들 결과로부터, 레불린산디이소프로판올염은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의 첨가와 비교하여, 보다 급속히 디코이 용해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레불린산계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 (iii):
레불린산디에탄올아민염을 1로 하여,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이 1 내지 4의 중량비로 첨가된 혼합 이온 액체를 제조하고, 이들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이들 결과로부터, 레불린산디에탄올염은 디코이의 용해도가 높지만,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을 2 내지 3배량 첨가하면, 용해도는 크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레불린산계 이온 액체와 카프르산계 이온 액체의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1로 하여, 카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이 0.025 내지 1의 중량비로 첨가된 혼합 이온 액체를 제조하고, 이들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이들 결과로부터, 카프르산디이소프로판올염은 소량 첨가하는 것만으로 급격히 디코이 용해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글리콜산계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
글리콜산트리에탄올아민염을 1로 하여, 글리콜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이 1 내지 8의 중량비로 첨가된 혼합 이온 액체를 제조하고, 이들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이들 결과로부터, 글리콜산트리에탄올아민염에서는 글리콜산트리이소프로판올염을 약 1배량 첨가하면 급격히 디코이 용해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NF-κB 디코이의 연고 제제
디코이가 용해된 이온 액체 용액을 외용제용 기제와 혼합하고, 각종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를 검토하였다. 우선, 연고 기제와 혼합하여 디코이의 연고 제제를 제조하고,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에 미치는 이온 액체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1) 연고 제제에서의 레불린산계 이온 액체의 효과:
레불린산과 트리에탄올아민을 등몰 칭량하고 혼합하였다. 거기에 갈산프로필을 적량 가하고, 80 ℃에서 20 분간 가온하였다. 얻어진 점조 용액을 실온하에 칭량하고, 그 중에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NF-κB 디코이를 가하여 40 ℃의 조건하에 2일간 두고 가열 용해시켜 NF-κB 디코이가 용해된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계의 이온 액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이온 액체 용액에 겔화 탄화수소, 경질 무수 규산, 파라옥시벤조산메틸, 에데트산이나트륨을 각각 칭량하여 혼합하였다. 또한 이소스테아르산과 디이소프로판올아민을 80 ℃에서 20 분간 이온하여 혼합한 용액과, 탄산프로필렌 적량을 가하여 합계 50.00 g의 디코이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이온 액체를 사용하지 않는 연고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NF-κB 디코이 250 mg에 탄산프로필렌, 경질 무수 규산, 플라스티베이스(상품명) 등을 각각 하기 표 8의 조성(w/w%)이 되도록 첨가하고, NF-κB 디코이 함유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에 대해서 피부 투과성 및 마우스 경피 흡수성(반복 투여)을 평가하고,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9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 액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NF-κB 디코이의 피부 투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이온 액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NF-κB 디코이의 피부 투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의 외견에서도 이온 액체가 존재하면, NF-κB 디코이가 용해되어 연고 제제 중에 분산되기 쉬운 것에 반해, 이온 액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NF-κB 디코이가 용해되지 않고, 결정 상태로 연고 제제 중에 분산되었다.
(2) 이온 액체의 디코이 용해도의 영향(혼합 이온 액체에 의한 디코이 용해도의 조정):
a) 레불린산계 혼합 이온 액체(염기의 혼합계)의 효과: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과 레불린산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의 혼합 이온 액체를 이용하여 이온 액체의 디코이 용해도를 조정하였다.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NF-κB 디코이 25 mg을 사용하고, 실시예 3(1)에 준하여 하기 표 9의 조성(w/w%)으로 표시되는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에 대해서 피부 투과성 및 마우스 경피 흡수성(단회 투여)을 평가하고,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0
표 9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의 단일 이온 액체를 사용한 연고 제제와 비교하여, 레불린산계의 혼합 이온 액체를 사용한 경우의 연고 제제가 양호한 피부 투과성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표 9의 결과로부터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가 포화에 보다 근접한 조성의 연고 제제인 것이 피부 투과성이 양호한 것이 나타났다.
b) 레불린산계 이온 액체와 이소스테아르산계 이온 액체와의 혼합 이온 액체의 효과:
이온 액체에 대한 NF-κB 디코이의 용해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하기 표 10의 조성비(w/w%)의 혼합 이온 액체계의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의 피부 투과성(필링 시험) 및 마우스 경피 흡수성(단회 투여)을 표 10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1
표 10의 결과로부터, 연고 제제 중 용해용 이온 액체(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와, 희석용 이온 액체(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란, 용해용 이온 액체를 1로 하여, 1:0 내지 1:22 범위의 조성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특히, 마우스 경피 흡수성 시험에 따르면, 디코이 용해도가 낮은 희석용 이온 액체를 첨가하여 이온 액체의 디코이 용해도를 저하시키면, 디코이의 경피 흡수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따라서, 용해용 이온 액체와 희석용 이온 액체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사용하는 디코이량에 대하여 적절한 용해도를 가진 이온 액체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실시예 4: 연고 제제 중 디코이 농도가 피부 투과성에 미치는 효과
NF-κB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에 대한 연고 제제 중 디코이 농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하기 표 11의 조성(w/w%)으로 시약을 칭량하고, 합계 50.00 g의 디코이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의 피부 투과성(필링 시험) 및 마우스 경피 흡수성(단회 투여)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2
표 11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가 동일한 경우, 연고 제제 중 디코이 농도가 경피 흡수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5: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가 피부 투과성에 미치는 효과
NF-κB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에는, 실시예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고 제제 중 디코이 농도가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실시예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포화 농도에 가까운지 아닌지)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제제 중 이온 액체의 디코이 농도가 피부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하기 표 12의 조성(w/w%)으로 시약을 칭량하고, 합계 50.00 g의 디코이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의 피부 투과성(필링 시험)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3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 중 디코이 농도(0.05 %)가 일정한 경우,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은 이온 액체 중 디코이의 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나타났다. 즉, 상기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 중 이온 액체 농도가 제제 중 디코이 농도의 16배 이상이 되면, 피부 투과성을 검지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디코이의 용해도(표 1)로부터, 디코이를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이온 액체 농도가 디코이 농도의 약 3배 이상일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디코이를 용해시키고, 또한 피부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필요한 이온 액체 농도는, 예를 들면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의 경우에는, 디코이 농도에 대하여 약 3배 내지 16배 미만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의 경우 포화 용해도는 28.3 w/w%(표 1)이기 때문에, 제조예 1과 제조예 6의 포화도는 44 %와 21 %가 된다. 따라서, 이온 액체 중 포화도가 약 40 % 이상이면, 피부 투과성이 현저해지고, 약 21 % 이하가 되면 피부 투과성이 없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다른 이온 액체나 혼합 이온 액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6: 혼합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가 피부 투과성에 미치는 효과
외용제에서는, 기제에 용해되어 있는 약물 농도가 높을수록 농도에 의한 침투압이 기능하여 피부 투과성은 향상된다. 실시예 5에서는, 단일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의 변화를 검토하고, 디코이 농도가 피부 투과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혼합 이온 액체의 경우에도 동일한지 아닌지를 검토하였다. 우선,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NF-κB 디코이를 이용하여, 하기 표 13의 조성(w/w%)에 따라서,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전량으로 50 g이 되도록 디코이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에서의 NF-κB 디코이의 마우스 경피 흡수성(단회 투여)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3, 14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표 13, 14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고 제제 중 디코이 농도가 0.01 %인 경우에도, 양호한 경피 흡수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나타났다. 디코이 농도가 0.02 %, 0.05 % 및 0.20 %인 경우, 대조(0 %)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표 12의 제제예 6 내지 8과 대비하면, NF-κB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에는 이온 액체의 조성(이온 액체 중 디코이 포화도)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표 12의 제제예 6 내지 8과 같이, 디코이 용해도가 높은 이온 액체(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뿐이면,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가 약 6 % 이하인 경우,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표 13의 혼합 이온 액체의 경우(제제예 4, 9, 10)에는, 디코이 용해도가 낮은 이온 액체(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로 희석함으로써,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가 약 6 % 이하인 경우에도, 디코이가 높은 피부 투과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 이온 액체를 사용하고, 제제 중 디코이 함량에 따라서 용해용 이온 액체(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염)와 희석용 이온 액체(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의 비율을 선택하여 포화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피부 투과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7: 혼합 이온 액체계의 연고 제제에서의 디코이 농도의 효과
혼합 이온 액체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제제 중 디코이 농도의 변화가 어떻게 피부 투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하기 표 15의 조성(w/w%)으로 시약을 칭량하고, 실시예 3에 준하여 합계 50.00 g의 디코이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의 피부 투과성(필링 시험) 및 마우스 경피 흡수성(단회 투여)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5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6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투과성의 정량 평가 시험(필링 시험 제3층)에 따르면, 디코이 농도의 상승에 따라서, 디코이의 피부 투과량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그것에 대응하여 마우스의 경피 흡수성 시험(지연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율)에서도 효과가 발현되고 있었다.
실시예 8: 저농도 디코이 연고 제제에서의 혼합 이온 액체의 농도 효과
제제 중 디코이 농도가 저농도인 경우, 혼합 이온 액체의 농도의 변화가 어떻게 피부 투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하기 표 16의 조성(w/w%)으로 시약을 칭량하고, 실시예 3에 준하여 합계 50.00 g의 디코이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의 피부 투과성(필링 시험) 및 마우스 경피 흡수성(단회 투여)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6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7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NF-κB 디코이의 제제 중 농도가 0.001 %로 매우 저투여량이어도 디코이가 경피 흡수되어,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피부 투과성(필링 시험 제3층)에 따르면, 제조예 12와 제조예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코이 농도가 일정한 경우, 사용하는 이온 액체의 양을 10분의 1로 하여,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를 상승시키면,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은 약 8배 상승하였다. 이와 같이,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가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온 액체 중 디코이 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제제 중 디코이 농도를 감소시킨 경우, 제조예 17과 제조예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 중 디코이 농도가 5분의 1이 되면, 피부 투과성은 약 10분의 1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마우스의 경피 흡수성 시험(지연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율)에서도 효과가 3분의 2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9: 혼합 이온 액체의 조성 변화(용해용 이온 액체와 희석용 이온 액체의 조성 변화)에 의한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에의 영향
혼합 이온 액체의 조성의 변화가 어떻게 피부 투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제조예 14의 조성을 고정시키고, 제제 중 희석용 이온 액체(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와 플라스티베이스(상품명)만을 변동시켜 용해용 이온 액체와 희석용 이온 액체의 조성이 1:0 내지 1:30의 혼합 이온 액체를 함유하는, 합계 50.00 g의 디코이 연고 제제(제제예 19 내지 25)를 실시예 3에 준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의 마우스 경피 흡수성(단회 투여)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함께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8
상기한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 액체로서 레불린산트리에탄올아민과 이소스테아르산디이소프로판올아민의 혼합물을 이용한 경우, 조성비 1:0 내지 1:30의 넓은 범위에서 0 %군에 대한 억제가 관찰되고, 특히 1:2 내지 1:13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억제가 인정되었다.
실시예 10: 각종 이온 액체의 조합에 의한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에의 영향
각종 이온 액체를 이용하여 혼합 이온 액체를 제조하고, 그 조성의 변화가 어떻게 피부 투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하기 표 18의 조성(w/w%)으로 시약을 칭량하고, 실시예 3에 준하여 합계 50.00 g의 디코이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의 피부 투과성(필링 시험) 및 마우스 경피 흡수성(단회 투여)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8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9
표 18의 혼합 이온 액체의 조성은, 사용하는 디코이 농도와 실시예 2에 기재된 각종 혼합 이온 액체에서의 디코이의 용해도로부터, 포화 용해도에 근접한 것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피부 투과성 시험(필링 시험 제3층)이나, 마우스 경피 흡수성 시험에서,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이온 액체의 디코이 용해도와 디코이 농도를 고려하여 이온 액체의 조성을 설계함으로써, 디코이를 적절히 경피 흡수시킬 수 있게 되었다.
실시예 11: 제제의 반복 투여와 제제 중 디코이 농도의 감소 효과
연고 제제의 단회 투여에 의한 디코이의 피부 투과성 평가에서는, 실시예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 중 디코이 농도로서 0.001 %에서도 피부 투과하고, 지연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 때문에, 반복 투여를 행하면, 디코이 농도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따라서, 하기 표 19의 조성(w/w%)으로 시약을 칭량하고, 실시예 3에 준하여 합계 50.00 g의 디코이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들 연고 제제에서의 디코이의 마우스 경피 흡수성을 상기 반복 투여 프로토콜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9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20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고 제제를 반복 투여한 경우, NF-κB 디코이 농도 0.002 %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억제가 나타나며, 다른 농도에서도 억제가 관찰되었다. 단회 투여보다 낮은 NF-κB 디코이 농도(0.0005 %)에서도, 지연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의 유효성이 나타났기 때문에, 반복 투여를 행함으로써, 사용하는 디코이 농도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전사 인자 디코이의 우수한 용해성 및 경피 흡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사 인자 디코이의 간편하고 유효한 DDS 제제가 될 수 있다. 또한, 혼합 이온 액체의 사용에 의해, 현재 임상 시험 중(2 %) 약 1/10000의 디코이 농도에서도 매우 우수한 경피 흡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디코이형 핵산 의약의 비용을 매우 감소시켜 의료 경제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양태를 강조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바람직한 양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된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의 정신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서술된 특허 및 특허 출원 명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간행물에 기재된 내용은 여기에 인용된 것에 의해, 그 모두가 명시되어 있고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도입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8-088801(출원일: 2008년 3월 28일)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거기에 개시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SEQUENCE LISTING <110> AnGesMG, Inc. MEDRx Co., Ltd. <120>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Decoy as Active Ingredient <130> 091384 <150> JP 2008-088801 <151> 2008-03-28 <160> 13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F-kappa B decoy <400> 1 ccttgaaggg atttccctcc 20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F-kappa B decoy <400> 2 agttgagggg actttcccag gc 22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F-kappa B decoy <400> 3 agttgaggac tttccaggc 19 <210> 4 <211> 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2F decoy <400> 4 ctagatttcc cgcg 14 <210> 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2F decoy <400> 5 ctagatttcc cgcggatc 18 <210> 6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TA-3 decoy <400> 6 agcttgagat agagct 16 <210> 7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AT-1 decoy <400> 7 gatctaggga tttccgggaa atgaagct 28 <210> 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AT-1 decoy <400> 8 tgtgaattac cggaagtg 18 <210> 9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AT-6 decoy <400> 9 gatcaagacc ttttcccaag aaatctat 28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Ets decoy <400> 10 aattcaccgg aagtattcga 20 <210> 1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1 decoy <400> 11 agcttgtgag tcagaagct 19 <210> 12 <211> 1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AT-6-binding consensus sequence <220> <221> misc_feature <222> (4)..(4) <223> n stands for a, g, c or t <220> <221> misc_feature <222> (5)..(5) <223> n stands for a, g, c or t <220> <221> misc_feature <222> (6)..(6) <223> n stands for a, g, c or t <220> <221> misc_feature <222> (7)..(7) <223> n stands for a, g, c or t <400> 12 ttcnnnngaa 10 <210> 13 <211> 1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AT-6-binding consensus sequence <400> 13 ttcccaagaa 10

Claims (48)

  1.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과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산계 이온 액체에 전사 인자 디코이(decoy)를 용해시켜 함유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이 글리콜산, 메톡시아세트산, 레불린산, 카프르산 및 이소스테아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이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산계 이온 액체가 복수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의 혼합 이온 액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혼합 이온 액체가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과,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I)와의 혼합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의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이 글리콜산, 메톡시아세트산 및 레불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의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이 레불린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가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의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이 레불린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2:1 내지 1:10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1.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가 탄소수 6 내지 13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의 탄소수 6 내지 13의 지방산이 카프르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40:1 내지 2:1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4.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가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의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이 이소스테아르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의 중량비가 1:1 내지 1:50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7. 제8항에 있어서,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Ia)를 더 함유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Ia)의 탄소수 14 내지 20의 지방산이 이소스테아르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 (I)과 이온 액체 (II) 및 (IIa)의 중량비가 1:1 내지 1:50의 범위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의 농도가 0.0001 내지 1 w/w%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의 농도가 0.0001 내지 0.2 w/w%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가 전사 인자 디코이 농도의 3 내지 3000배의 농도로 함유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3.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가 전사 인자 디코이 농도의 3 내지 1000배의 농도로 함유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방산계 이온 액체의 혼합 이온 액체를 함유하고, 혼합 이온 액체의 농도가 0.008 내지 30 w/w%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첨가되어 있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세박산디에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및 탄산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첨가되어 있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킬레이트제가 에데트산2나트륨염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고 기제가 첨가되어 연고 제제로 되어 있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0. 제29항에 있어서, 연고 기제가 겔화 탄화수소 또는 백색 바셀린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가 NF-κB, E2F, GATA-3, STAT-1, STAT-6, Ets 및 AP-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GGRHTYYHC(식 중, R은 A 또는 G를, Y는 C 또는 T를, H는 A, C 또는 T를 각각 의미함)를 포함하는 NF-κB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3. 제32항에 있어서, NF-κB 디코이가 배열 GGATTTCCC 또는 GGACTTTCC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4. 제31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TTTSSCGS(식 중, S는 G 또는 C를 의미함)를 포함하는 E2F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E2F 디코이가 배열 TTTCCCGC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6. 제31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WGATAR(식 중, W는 A 또는 T를, R은 A 또는 G를 각각 의미함)을 포함하는 GATA-3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7. 제36항에 있어서, GATA-3 디코이가 배열 AGATAG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8. 제31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TTCNNNGAA(식 중, N은 A, G, T 또는 C를 의미함)를 포함하는 STAT-1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39. 제38항에 있어서, STAT-1 디코이가 배열 TTCCGGGAA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0. 제31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TTCNNNNGAA(식 중, N은 A, G, T 또는 C를 의미함)를 포함하는 STAT-6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1. 제40항에 있어서, STAT-6 디코이가 배열 TTCCCAAGAA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2. 제31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MGGAW(식 중, M은 A 또는 C를, W는 A 또는 T를 각각 의미함)를 포함하는 Ets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3. 제42항에 있어서, Ets 디코이가 배열 CGGAA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4. 제31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디코이가 배열 TGASTMA(식 중, S는 G 또는 C를, M은 A 또는 C를 각각 의미함)를 포함하는 AP-1 디코이인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5. 제44항에 있어서, AP-1 디코이가 배열 TGAGTCA를 포함하는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46.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전사 인자 디코이에 결합하는 전사 인자에 의한 유전자 전사 제어를 억제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상기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을 경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유전자 전사 제어의 억제 방법.
  47. 비수계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전사 인자 디코이 및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과 탄소수 4 내지 12의 유기 아민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지방산계 이온 액체의 용도.
  48. 제47항에 있어서, 이온 액체가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산의 디에탄올아민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과, 탄소수 2 내지 20의 지방산의 디이소프로판올아민염 또는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염인 이온 액체 (II)와의 혼합 이온 액체인 용도.
KR1020107024044A 2008-03-28 2009-03-27 전사 인자 디코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외용제 조성물 KR201001273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8801 2008-03-28
JPJP-P-2008-088801 2008-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300A true KR20100127300A (ko) 2010-12-03

Family

ID=4111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044A KR20100127300A (ko) 2008-03-28 2009-03-27 전사 인자 디코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10092438A1 (ko)
EP (1) EP2266626B1 (ko)
JP (1) JP5674020B2 (ko)
KR (1) KR20100127300A (ko)
CN (1) CN102046208B (ko)
WO (1) WO20091198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1083B (zh) 2005-10-07 2017-08-11 阿拉巴马大学 多功能离子液体组合物
GB0719367D0 (en) 2007-10-03 2007-11-14 Procarta Biosystems Ltd Transcription factor decoys, compositions and methods
EP3011954A1 (en) * 2007-11-22 2016-04-27 Medrx Co., Ltd.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fatty acid-based ionic liquid as active ingredient
US9278134B2 (en) 2008-12-29 2016-03-0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Dual functioning ionic liquids and salts thereof
GB201002413D0 (en) 2010-02-12 2010-03-31 Procarta Biosystems Ltd Nucleic acid complexes
GB201005545D0 (en) 2010-04-01 2010-05-19 Procarta Biosystems Ltd Transcription factor decoys
AU2013305563B2 (en) * 2012-08-24 2018-09-27 Integurx Therapeutics, Llc Chem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transdermal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PT106679B (pt) * 2012-11-27 2015-03-25 Hovione Farmaciencia Sa Formulações tópicas de tetraciclinas, sua preparação e usos
CA2931913C (en) * 2015-06-12 2024-03-19 Kemira Oyj Bitumen separation using ionic liquids comprising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primary,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pyridines, amidines, guanidines and fatty acids and/or resin acids
CN107847459A (zh) * 2015-12-28 2018-03-2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外用制剂及其制造方法
CN114502142B (zh) * 2019-10-11 2023-05-09 东丽株式会社 包含温度响应性离子液体的医药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9457A (ja) * 1984-02-13 1985-09-02 Ajinomoto Co Inc 新規リジン塩結晶及びその製造法
ES2307293T3 (es) 1993-10-29 2008-11-16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Utilizacion terapeutica de señuelos de elementos en cis in vivo.
JPH0835430A (ja) 1994-07-25 1996-02-06 Minoru Nakagawa バイパスマニホールド・エンジン
EP0788794A4 (en) * 1994-08-09 2000-06-28 Tsumura & Co COMPOSITION FOR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AU3881095A (en) * 1994-11-17 1996-06-17 Taiho Pharmaceutical Co., Ltd.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 and carcinostatic agent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JPH08175972A (ja) * 1994-12-28 1996-07-09 Sekisui Chem Co Ltd 経皮吸収製剤
JP3474879B2 (ja) * 1995-05-12 2003-12-08 アンジェスエムジー株式会社 NF−κBに起因する疾患の治療および予防剤
JPH09208463A (ja) * 1996-02-07 1997-08-12 Tsumura & Co 経皮吸収性に優れた消炎鎮痛組成物
US6060310A (en) * 1997-11-24 2000-05-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ranscription factor decoy and tumor growth inhibitor
WO2002066070A1 (fr) * 2001-02-20 2002-08-29 Anges Mg, Inc.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ntenant un leurre et procede d'utilisation associe
JP2007018004A (ja) 2002-01-15 2007-01-25 Yamaha Corp 電子鍵盤楽器
WO2005079217A2 (en) * 2003-12-19 2005-09-01 University Of Cincinnati Oligonucleotide decoys and methods of use
IL159729A0 (en) * 2004-01-06 2004-06-20 Doron I Friedman Non-aqueous composition for oral delivery of insoluble bioactive agents
JP4971609B2 (ja) * 2004-08-27 2012-07-11 アンジェスMg株式会社 核酸皮膚外用製剤
JP4767195B2 (ja) 2004-08-27 2011-09-07 ネオケミア株式会社 核酸皮膚外用製剤
JP4869697B2 (ja) * 2005-12-08 2012-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外用剤
JP4602298B2 (ja) 2006-08-31 2010-12-22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医薬製剤
JP5117732B2 (ja) * 2007-01-29 2013-01-16 株式会社 メドレックス 外用剤用の低刺激性溶解助剤
EP3011954A1 (en) * 2007-11-22 2016-04-27 Medrx Co., Ltd.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fatty acid-based ionic liquid as active ingre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2438A1 (en) 2011-04-21
CN102046208B (zh) 2014-07-02
EP2266626A1 (en) 2010-12-29
JP5674020B2 (ja) 2015-02-18
US20160090600A1 (en) 2016-03-31
WO2009119836A1 (ja) 2009-10-01
EP2266626A4 (en) 2012-10-17
JPWO2009119836A1 (ja) 2011-07-28
EP2266626B1 (en) 2014-06-18
CN102046208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7300A (ko) 전사 인자 디코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외용제 조성물
KR950008766B1 (ko) 피부투과성 조성물
US20130202650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penetration enhancing agents
TW201206480A (en) Skin irritation suppressant and transdermal preparation
AU2010246847A1 (en) Compositions suitable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fungal infections of the skin and nails
KR101776362B1 (ko) 무피로신 또는 그것의 염의 약학적 또는 수의학적 무수 국소 겔 조성물
JP4971609B2 (ja) 核酸皮膚外用製剤
TW201247218A (en) Suspension type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cyclic depsipeptide
JP2013515020A (ja) 溶媒混合物およびビタミンd誘導体から成る医薬品組成物または類似体
WO2006103638A2 (en)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erbinafine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JP5681883B2 (ja) 核酸を有効成分とする外用剤組成物
CN113853196A (zh) 长效可注射调配物和其用途
RU2207841C2 (ru) Композиции с антиферментативным действием, содержащие этилендиаминдиянтарную кислоту
WO2007094605A1 (en) Topical prepa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a thiourea deriva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ic or irritant skin diseases
AU202038037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livering cannabinoids to skin
US20080249044A1 (en) Nucleic acid external skin formulation
JP4767195B2 (ja) 核酸皮膚外用製剤
JP2008115101A (ja) 美白用皮膚組成物
RU2618462C2 (ru) Способ и улучшенн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скорения трансдермальной доставки ингибитора pde-5
JP7361448B2 (ja)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発現促進剤
JP5816881B2 (ja) 核酸を有効成分とする外用剤組成物
CA2834381A1 (en) Topical organic acid salt compositions suitable for treating infections
CA2666063C (en) Compositions suitable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fungal infections of the skin and nails
JPH083070A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