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956A - Yc-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Yc-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956A
KR20100126956A KR1020090045409A KR20090045409A KR20100126956A KR 20100126956 A KR20100126956 A KR 20100126956A KR 1020090045409 A KR1020090045409 A KR 1020090045409A KR 20090045409 A KR20090045409 A KR 20090045409A KR 20100126956 A KR20100126956 A KR 20100126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infectious diseases
composition
preventing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265B1 (ko
Inventor
최인표
윤석란
김미정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45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26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6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61K31/4161,2-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indaz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YC-1이 생체내 및 생체외에서 T 세포를 현저하게 증식시키므로 T 세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 CD3+ T 세포, AIDS, 감염성 질환, 결핵.

Description

YC-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comprising YC―1 as an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반응(immune response)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림프구는 B 세포와 T 세포이다. B 세포가 관여하는 면역을 체액성 면역이라고 하며, T 세포가 관여하는 면역을 세포매개성 면역이라고 한다. B 세포와 T 세포 모두 골수에서 유래하지만 T 세포는 흉선에서 성숙되는 과정을 거쳐 비장과 같은 말초 림프기관으로 이동한다. T 세포는 다른 면역세포들을 활성화시키는 보조 T 세포(Helper T cells)와 감염된 표적 세포를 살해하는 세포독성 T 세포(cytotoxic T cells)로 나눌 수 있다.
T 세포에는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표면항원인 CD3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T 세포 수용체(T-cell receptor)와 복합체를 이루며 T 세포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공동 자극 분자(Co-stimulatory molecules)이다. 따라서 CD3/TCR 복합체(complex)라고 한다. CD3/TCR 복합체는 항원 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표면에 있는 MHC 분자에 제시된 항원 펩티드와 결합하게 되는데, 이는 T 세포가 항원에 대해 인식함으로써 T 세포의 활성화가 일어나 세포매개성 면역이 이루어지게 된다.
T 세포가 억제(suppression)되면 획득성 면역(specific acquired immunity)에 결함이 생기게 되어 다양한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의 감염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특히,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은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감염에 의한 것인데, HIV가 CD4 T세포를 공격함으로써 CD4 T세포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된다(Annu. Rev. Immunol. 2003. 21: 265-304). 이로 인해 세포 매개성 면역에서의 T 세포 기능이 파괴되어 다른 바이러스 감염시 이를 조절하고 제거하는 숙주의 방어기전이 실패하게 된다. 또한, 수지상세포(myeloid dendritic cell)가 HIV에 대한 CD8 T 세포의 면역반응(immune response)을 활성화시킨다는 연구도 보고되었다(J Virology. 2009. in press). 또한, 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Murin coronavirus infection)에 대해서도 T 세포의 항바이러스 효과가 보고되었다(Journal of Immunology 177: 8372-8380, 2006). 아울러, CD28-B7-2 공동자극 경로(Costimulatory pathway)를 통한 CD4 T세포의 활성이 박테리아 병원 균(bacterial pathogens)의 종기 형성(abscess formation)을 유도한다고 알려졌으며(Infection and Immunity 68: 6650-6655, 2000), 미코박테리움 튜베르쿨로시스(M. tuberculosis, 결핵균) 등 다른 박테리아 병원성 감염에 대한 T 세포의 면역반응 중요성에 대해서도 많은 보고가 있다(Tuberculosis 83: 98-106, 2003,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11: 400-405, 1999).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은 혈소판의 응집을 저해하고, 가용성 구아닐릴 사이클라아제(soluble guanylyl cyclase)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는 순환계질환 치료제로서 처음 발견되었다(Blood 84: 4226- 4233 1994; Eur J Pharmacol 320:161-6, 1997; Br J Pharmacol 127: 195-203, 1999). 최근에는, 저산소상태에서 유도되는 HIF-1a의 축적과 HIF-1 표적 유전자들(VEGF, erythropoietin 등)의 발현을 감소시키고(Biochem Pharmacol 61:947-954, 2001), 동물에서 종양의 성장과 혈관형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 Natl Cancer Inst 95: 516-525, 2003; J pharmacol Exp Ther 314:35-42, 2005). 따라서, YC-1은 HIF-1a 표적 항암제로 개발 가능한 선도 화합물로서 주목받고 있다(Cancer Res 66: 6345-6352, 2006). 비록, YC-1 이 HIF-1a 연구를 위해 유용하지만(Cancer cell 5: 429-441, 2004 ; FASEB J 19:1422-1430, 2005),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YC-1의 기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다(Oncogene 1-11, 2006). 또한, YC-1이 T 세포에 미치는 영향, 및 감염성 질환에의 용도에 대한 보고는 전무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YC-1이 T 세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T 세포의 생존, 분화 및 활성에 관련된 CD3 표면항원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생체내(in vivo) 및 생체외(in vitro)에서 각각 YC-1을 처리하였을 때 T 세포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YC-1을 T 세포 감소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YC-1을 이용하여 생체내 T 세포 증식 방법, 및 생체외 T 세포 대량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YC-1 단독, 또는 YC-1 및 IL-2를 함께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 세포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YC-1 단독, 또는 YC-1 및 IL-2를 함께 처리한 배지에 T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배양된 배지에서 T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 세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은 생체내외에서 T 세포를 현저하게 증식시킴으로써 T 세포의 대량 생산에 이용될 수 있으며, T 세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또는 결핵 등의 다양한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감염성 질환의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감염성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감염성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감염성 질환은 T 세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또는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은 인두염, 정맥두염, 감기, 독감 및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AID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은 폐렴, 편도선염, 만성 폐색성 질환, 급성 중이염, 악성 피부감염증, 요로생식 감염증 및 결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결핵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YC-1이 생체내(In vivo)에서 T 세포 생성을 증가시키는 지 알아보기 위해, YC-1을 복강 투여한 마우스로부터 비장 세포를 분리하여 비장세포내 T 세포의 순도를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YC-1을 30 ㎍/g으로 투여한 경우에 대조군에 비해 CD3+ T 세포의 순도가 평균적으로 7.5% ~ 11.1% 높게 나타난(표 1 참조) 반면에, NK 세포와 B 세포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YC-1이 생체외(In vitro)에서 T 세포 생성을 증가시키는 지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를 YC-1을 처리한 배지에서 배양한 후, IL-2를 자극한 군과 자극하지 않은 군을 분류하여 각각 T 세포수를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IL-2를 자극한 군과 자극하지 않은 군 모두 YC-1을 처리한 경우 CD3+ T세포가 증가되었다. IL-2를 자극한 경우, YC-1을 5 및 10 uM을 처리한 군이 대조군 보다 CD3+ T 세포가 각각 7.29% 및 9.34% 증가하고, IL-2를 자극하지 않은 경우, YC-1을 5 및 10 uM을 처리한 군이 대조군보다 각각 5.03% 및 11.13%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YC-1이 생체내 및 생체외에서 T 세포를 현저하게 증식시키므로, T 세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YC-1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YC-1을 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시 패취,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0.0001 mg ~ 100 mg/㎏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001 mg ~ 50 mg/㎏이며, 하루 1 ~ 6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YC-1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YC-1을 감염성 질환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성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YC-1의 투여량은 10 ug/g ~ 100 ug/g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ug/g ~ 60 ug/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감염성 질환은 T 세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또는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은 인두염, 정맥두염, 감기, 독감 및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AID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은 폐렴, 편도선염, 만성 폐색성 질환, 급성 중이염, 악성 피부감염증, 요로생식 감염증 및 결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결핵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YC-1이 생체내 및 생체외에서 T 세포를 현저하게 증식시킴으로써 T 세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투여는 본 발명의 YC-1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조성물 형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본 발명의 YC-1을 0.1 내지 50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로 이용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패취,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로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YC-1 단독, 또는 YC-1 및 IL-2를 함께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 세포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YC-1 단독, 또는 YC-1 및 IL-2를 함께 처리한 배지에 T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배양된 배지에서 T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 세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YC-1은 1 uM ~ 30 uM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uM ~ 10 uM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IL-2는 1 ng/ml ~ 20 ng/ml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ng/ml ~ 10 ng/ml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생체외에서 YC-1을 처리하거나 YC-1 및 IL-2를 함께 처리하여 배양하는 경우 T 세포가 유의성 있게 증가함으로 확인함으로써, YC-1 단독, 또는 YC-1 및 IL-2를 함께 처리함에 의해 T 세포의 생성량 및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YC-1이 비장세포내 CD3+ T 세포에 미치는 영향( in vivo )
<1-1> 마우스 복강내 YC-1 투여
본 발명자들은 첫 번째 생체내 실험으로 총 6마리의 6주된 C57BL/6 수컷 마우스(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를 두 군(n=3)으로 분류하여 대조군(control group)의 경우 YC-1을 투여하지 않은 채 DMSO(Dimethyl sulfoxide)가 희석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만을 복강투여하였고, YC-1은 30 ㎍/g으로 2주일간 매일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두 번째 생체내 실험으로 20마리의 마우스를 네 군(n=5)으로 분류하여 YC-1의 농도를 각각 15 ㎍/g, 30 ㎍/g, 및 60 ㎍/g으로 2주일간 매일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세 번째 생체내 실험으로 10마리의 마우스를 두 군(n=5)으로 나누어 YC-1의 농도를 30 ㎍/g으로 정하여 2주일간 매일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1-2> 비장세포내 CD3+ T 세포의 변화
상기 실시예 <1-1>에서 2주 동안 복강 투여한 마우스들을 경추 탈골하여 각 군의 비장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비장을 단일세포로 만든 다음 1 x 106 cells로 세포수를 맞추어 각각 항(anti)-CD3-FITC, 항-NK1.1-PE, 항-CD122-FITC, 항-B220-PE, 항-Ly49D-FITC, 항-DX5-PE로 염색하여 YC-1을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비장세포내 T 세포의 순도를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FACSCalibu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CD122, DX5, NK1.1, 및 Ly49D는 마우스의 NK 세포가 발현하는 표면 분자라고 알려져 있으며, B220은 B 세포, CD3는 T 세포의 표면 분자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양한 세포들의 표면 분자의 발현을 비교하여 나타내 었다.
첫 번째 실험 결과, YC-1을 30 ㎍/g으로 투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CD3+ T 세포의 순도가 평균적으로 11.1%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NK 세포와 B 세포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두 번째 실험 결과, YC-1을 60 ㎍/g으로 투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CD3+ T 세포의 순도가 평균적으로 7.64%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해 CD3+ T 세포의 순도가 평균적으로 11.32% 높게 나타났다.
상기 모든 동물 실험결과에서 YC-1을 30 ㎍/g으로 투여하였을 경우에 나타낸 CD3+ T 세포의 순도를 평균낸 결과,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YC-1을 30 ㎍/g으로 복강 내에 투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CD3+ T 세포의 비율이 7.5% 높게 나타났다(표 1, 도 1a 내지 도 4 참조).
대조군 YC-1 (30 ㎍/g)
CD3+ 세포 (%) 20.5 35
24.5 36.6
29.7 36.3
31.6 35.6
38.2 36.7
33.7 36.1
40.2 38.4
41.1 45.6
24.2 29.3
23.3 41.3
24.1 36.6
25.1 35.2
20.6 31.5
평균 29.98 36.48
표준편차 7.32 3.99
<실시예 2> YC-1이 비장세포내 CD3+ T 세포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
본 발명자들은 6주된 C57BL/6 수컷 마우스를 경추 탈골하여 비장을 적출하여 단일세포로 만들었다. 분리한 단일세포를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3 x 106 /ml농도로 접종(seeding)하여 각각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DMSO 대조군, YC-1(1, 5, 및 10 uM)을 두개(duplicate)씩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IL-2를 10 ng/ml 농도로 자극(stimulation)한 군과 자극하지 않은 두 군으로 나누어 3일 동안 배양하였다. 3일 후, 각 군의 세포를 모아 5 x 105 cells로 세포수를 맞추어 각각 항-CD3-FITC, 항-NK1.1-PE로 염색하여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FACSCalibur)로 분석하였다. 총 네 번의 실험을 거쳐서 나온 결과값으로 평균을 내었다.
그 결과, IL-2를 10 ng/ml 농도로 자극한 군과 자극하지 않은 군 모두 YC-1을 5 및 10 uM으로 처리한 경우 CD3+ T세포가 증가되었다. IL-2를 10 ng/ml 농도로 자극한 경우, YC-1을 5 및 10 uM을 처리한 군이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CD3+ T 세포가 각각 7.29% 및 9.34% 증가되었고, IL-2를 자극하지 않은 경우, YC-1을 5 및 10 uM을 처리한 군이 대조군보다 각각 5.03% 및 11.13% 증가되었다(표 2, 표 3, 도 5 및 도 6 참조).
대조군 DMSO YC 1 uM YC 5 uM YC 10 uM
CD3+ 세포 (%) 45.05 46.4 44.9 53.75
44.9 47.1 48.25 52.3 55.5
49.4 48.1 47.5 48.4 50.35
59.9 63.9 62.6 70.6 77
평균 49.81 51.38 50.81 57.10 59.15
표준편차 7.04 8.38 7.99 11.85 12.09
대조군 DMSO YC 1 uM YC 5 uM YC 10 uM
CD3+ 세포 (%) 42.2 46.1 49.05 51.95 66.35
36.3 30.7 35 33.8 39.1
55.15 53.45 50.7 63 61.6
평균 44.55 43.42 44.92 49.58 55.68
표준편차 9.64 11.61 8.63 14.74 14.5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생체내(in vivo) 및 생체외(in vitro)에서 각각 YC-1을 처리하였을 때, T 세포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YC-1 10 ㎎
유당 15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YC-1 10 ㎎
옥수수전분 15 ㎎
유 당 15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YC-1 10 ㎎
옥수수전분 15 ㎎
유 당 15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YC-1 10 ㎎
유당 15 ㎎
글리세린 10 ㎎
자일리톨 5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YC-1 10 ㎎
대두 추출물 5 ㎎
포도당 10 ㎎
전분 5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6. 주사제의 제조
YC-1 10 ㎎
폴리에틸렌글리콜 5 ㎎
에탄올 5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인산화 생리식염수 400 ㎖에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냉각신 다음, 인산화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500 ㎖가 되도록 하여 멸균여과기로 여과하여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1 ㎖씩 바이알을 충진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은 T 세포를 현저하게 증식시키므로 T 세포의 대량 생산 방법 개발에 이용될 수 있으며, T 세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a은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30 ㎍/g, 2주) 및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control)의 비장세포내의 CD3+ NK1.1-인 T 세포의 비율을 이색 유세포 분석기(two-color flow cytometry)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b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30 ㎍/g, 2주) 및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의 비장세포내의 NK1.1, DX-5 표면분자의 발현 정도를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c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30 ㎍/g, 2주) 및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의 비장세포내의 NK 세포의 수용체인 CD122의 발현 정도를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d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30 ㎍/g, 2주) 및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의 비장세포내의 NK 세포의 수용체인 Ly49D의 발현 정도를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e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30 ㎍/g, 2주) 및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의 비장세포내의 B 세포의 비율을 확인하기 위해, B220의 발현 정도를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a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control)의 비장세포내의 CD3+ T 세포들의 순도를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b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30 ㎍/g, 2주)의 비장세포내의 CD3+ T 세포들의 순도를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a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control)의 비장세포내의 CD3+ T세포의 비율을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b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15 ㎍/g, 2주)의 비장세포내의 CD3+ T세포의 비율을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c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30 ㎍/g, 2주)의 비장세포내의 CD3+ T세포의 비율을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d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60 ㎍/g, 2주)의 비장세포내의 CD3+ T세포의 비율을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e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15, 30 및 60 ㎍/g, 2주) 및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control)의 비장세포내의 CD3+ T세포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6주된 수컷 마우스에 YC-1을 복강 투여한 실험군(30 ㎍/g, 2주) 및 DMSO가 희석된 PBS만을 복강 투여한 대조군(control)의 비장세포내의 CD3+ NK1.1-인 T 세포의 비율(% 값)을 평균낸 값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6주된 수컷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에서 YC-1을 처리(1, 5 및 10 uM 농도로 처리)한 후, IL-2 사이토카인(cytokine)을 10 ng/ml 농도로 자극(stimulation)한 군의 CD3+ T 세포의 비율을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6주된 수컷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에서 YC-1을 처리(1, 5 및 10 uM 농도로 처리)한 후, IL-2 사이토카인으로 자극(stimulation)하지 않은 군의 CD3+ T 세포의 비율을 이색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그림이다.

Claims (10)

  1. YC-1(3-(5'-hydroxy methyl-2'-furyl)-1-benzylindazol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YC-1은 T 세포를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감염성 질환은 T 세포 결핍에 의해 유발되는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또는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은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박테리아 감염성 질환은 결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6.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YC-1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7.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YC-1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 세포 증진 방법.
  8.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YC-1 및 IL-2를 함께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 세포 증진 방법.
  9. 1) YC-1을 처리한 배지에 T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배양된 배지에서 T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 세포 생산방법.
  10. 1) YC-1 및 IL-2를 함께 처리한 배지에 T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2) 배양된 배지에서 T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 세포 생산방법.
KR1020090045409A 2009-05-25 2009-05-25 Yc-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68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409A KR101068265B1 (ko) 2009-05-25 2009-05-25 Yc-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409A KR101068265B1 (ko) 2009-05-25 2009-05-25 Yc-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956A true KR20100126956A (ko) 2010-12-03
KR101068265B1 KR101068265B1 (ko) 2011-09-28

Family

ID=4350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409A KR101068265B1 (ko) 2009-05-25 2009-05-25 Yc-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2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666B1 (ko) 2001-09-27 2005-01-13 (주)비즈바이오텍 와이 씨-1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06081327A2 (en) * 2005-01-25 2006-08-03 University Of Vermont And State Agricultural College Small molecules that reduce fungal grow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265B1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2944A1 (ja) フィラデルフィア染色体陽性(Ph+)急性リンパ性白血病(ALL)の治療薬又は治療方法
KR102456294B1 (ko)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5580409B2 (ja) ヒドロキシクロロキンを含む抗癌治療のための局所投与用注射剤の組成物
US20110218169A1 (en) Pirfenidone/Toll-Like Receptor (TLR) Agonist Compounds and Methods of Treating Neutropenia
EP0750908A1 (en) Remedy for infectious diseases
CN1181009A (zh) 在哺乳动物中抑制病毒和肿瘤生长的含n-氯苯基甲氨酸化合物、n-氯苯基硫代甲氨酸化合物和n-膦酰甘氨酸衍生物的药物组合物
WO2022037594A1 (zh) 铁螯合剂在制备用于治疗或预防多瘤病毒感染的药物中的用途
Eberle et al. Chromosomes in patients treated with Imuran
TW202131919A (zh) 一種抗雙重打擊淋巴瘤的聯合用藥物組成物及其應用
KR102597757B1 (ko) 천연물 유래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제
KR101068265B1 (ko) Yc-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6093613A2 (ko)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83026B1 (ko) 관중 유래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8198293B2 (en) Oxymatrin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hronic infectious diseases
CN107281177B (zh) 促进造血干细胞归巢和植入的方法
JPWO2020138447A1 (ja) 抗ヒトノロウイルス剤
CN111067898B (zh) 盐酸小檗碱在水产养殖中抗鲤疱疹病毒ⅱ型的用途
WO2022213870A1 (zh) 通过口服给药抑制CD4+Treg细胞的药物和方法
CN112823808B (zh) 用于制备治疗上皮细胞癌的医药组合物及其用途
CN110801455B (zh) 用于治疗mrsa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WO2023022473A1 (ko)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TWI728551B (zh) 藥學組合物用於治療與半乳糖凝集素-1活化相關癌症之用途
EP2307018B1 (en) Oxymatrine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hronic infectious diseases
US6228890B1 (en) Use of alicyclic diamines as immunomodulators
CA2649768A1 (en) Use of trap protein per s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