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294A -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294A
KR20100125294A KR1020107019773A KR20107019773A KR20100125294A KR 20100125294 A KR20100125294 A KR 20100125294A KR 1020107019773 A KR1020107019773 A KR 1020107019773A KR 20107019773 A KR20107019773 A KR 20107019773A KR 20100125294 A KR20100125294 A KR 2010012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input shaft
oil
gearbox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야노
요시토모 노다
아츠시 유게
야스시 오카노
가즈후미 다카야나기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70Bear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4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85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8Oil-mist or spray lubrication; Means to reduce foam formation
    • F16H57/0461Means to reduce foam 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윤활유의 가열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기동시에 윤활유의 비산에 의한 윤활유로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을 제공한다. 입력축, 해당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톱니바퀴군, 및 해당 톱니바퀴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을 갖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상기 톱니바퀴군을 거쳐서 증속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와, 상기 증속기를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를 저장하는 저유실과, 상기 저유실에 저장된 윤활유를 펌프에 의해 상기 증속기에 공급하고, 해당 증속기를 윤활한 윤활유를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는 윤활유 순환 라인을 갖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순환 라인에, 상기 증속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윤활유를 상기 증속기에 공급하거나,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과시키거나, 둘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를 마련한다.

Description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방법{SPEED-INCREASING GEAR LUBRIC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랭지에서 사용되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러 분야에서, 입력축, 해당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측 톱니바퀴, 해당 입력측 톱니바퀴와 서로 맞물려 입력측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측 톱니바퀴, 및 해당 출력측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을 갖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입력측 톱니바퀴 및 출력측 톱니바퀴를 거쳐서 증속(增速)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증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풍력 발전에 사용되는 풍차에서는, 풍력에 의해 날개가 회전하면, 해당 회전에 의해 주축(입력축)이 회전하고, 해당 주축의 회전을 증속기에 의해 증속하여, 발전기에 접속한 출력축에 전달하여, 발전기에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증속기에서는, 증속기의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증속기에 윤활유가 공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풍차는 온난지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한랭지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한랭지에 설치되는 풍력 발전용의 풍차에 있어서의 종래의 증속기의 기동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증속기(110)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와 함께 회전하는 입력축(112)과, 해당 입력축(11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측 톱니바퀴(114)와, 해당 입력측 톱니바퀴(114)와 서로 맞물려 입력측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측 톱니바퀴(116)와, 해당 출력측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발전기(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는 출력축(1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축(112)과 출력축(118)의 선단, 입력측 톱니바퀴(114), 출력측 톱니바퀴(116)는 케이싱(138) 내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입력축(112)은 베어링(134)를 거쳐서 케이싱(1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출력축(118)은 베어링(136)을 거쳐서 케이싱(1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속기(110)에 부대하여, 증속기(110)의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윤활 장치(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해당 윤활 장치(111)는 오일 팬(120)과, 윤활유 순환 라인(1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 팬(120)은 케이싱(138)의 바닥부에 마련되고, 증속기(110)의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윤활유가 저장된다. 또한, 오일 팬(120) 내에는, 저장된 윤활유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윤활유 순환 라인(126)은 오일 팬(120)에 저장된 윤활유를 증속기(110)에 공급하기 위한 순환 라인이다. 해당 윤활유 순환 라인(126)에는, 펌프(124)와, 오일 쿨러(128)와, 밸브(132)를 구비한 오일 쿨러 바이패스 라인(130)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쿨러(128) 및 오일 쿨러 바이패스 라인(130)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증속기(110) 및 윤활 장치(111)를 저온 정지 상태[예를 들어, 외기(外氣) 온도 -30℃]에서 기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외기 온도 -30℃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으면, 오일 팬(120) 내의 오일도 -30℃에 가까운 저온으로 되어 있고, 또한 윤활유 순환 라인(126)이나 오일 쿨러(128) 중에도 -30℃에 가까운 윤활유가 잔존하고 있다. 또한, 윤활유 순환 라인(126) 중에서 공기중의 수분이 동결하여 얼음으로서 윤활유 순환 라인(126)을 폐색(閉塞)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오일 팬(120) 내의 오일을 가열하고 나서, 윤활유 순환 라인(126)을 순환시켜서, 윤활유 순환 라인(126) 안이나 오일 쿨러(128)를 난기(暖氣)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증속기(110)의 기동에 즈음하여, 우선 오일 팬(120)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를 히터(122)로 가열한다. 해당 가열에 의해 윤활유가 소정의 온도(예를 들어, 0 내지 10℃의 규정 온도)에 도달하면, 펌프(124)를 기동하고, 순환 라인(126)을 통해 윤활유를 증속기(110)로 공급한다. 해당 증속기(110)로 공급된 윤활유는, 중력에 의해 오일 팬(120)으로 낙하한다.
이것에 의해, 순환 라인(126) 및 오일 쿨러(128)의 난기가 행해지고, 충분히 난기가 행해지면 증속기(110)에 안정되게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입력축(112)을 회전시켜 증속기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증속기의 윤활 장치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공보 제 1998-096463 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1 :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1998-096463 호
그렇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윤활 장치에서는, 입력축이 회전하고 있지 않는 상태, 즉 입력측 톱니바퀴, 출력측 톱니바퀴 모두 회전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윤활유를 순환시키는 것이 된다. 0 내지 10℃의 윤활유는 동점도(動粘度)가 2000 내지 8000cSt로 높기 때문에 기포의 분리성이 낮고, 그 때문에 정지 상태의 입력측 톱니바퀴 및 출력측 톱니바퀴에 공급된 0 내지 10℃의 윤활유는 상기 톱니바퀴에서 물보라를 일으켜 비산한 후, 중력으로 오일 팬으로 낙하한다. 이 상태가 계속됨으로써 오일 팬 전체의 윤활유가 백탁화(白濁化)한 상태가 되고, 윤활유가 다량의 공기를 포함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다량의 공기를 포함한 윤활유를 펌프로 순환시키면 에어레이션(aeration)이 발생하여, 펌프가 이음(異音) 및 진동을 발하는 동시에, 펌프의 수명이 저하한다.
이것은 상기 톱니바퀴의 정지 상태에서 동점도가 높은 윤활유를 순환시켜서 상기 톱니바퀴를 포함한 증속기에 공급하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에, 윤활유를 0 내지 10℃가 아니고, 더욱 고온(예를 들어, 20 내지 30℃)이 될 때까지 히터로 가열하고 나서 윤활유를 순환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한랭지에서 20 내지 30℃까지 윤활유를 가열하려면 매우 장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한랭지에서 사용하여도 윤활유의 가열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기동시에 윤활유의 비산에 의한 윤활유로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입력축, 해당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톱니바퀴군, 및 해당 톱니바퀴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을 갖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상기 톱니바퀴군을 거쳐서 증속(增速)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와, 상기 증속기를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를 저장하는 저유실과, 상기 저유실에 저장된 윤활유를 펌프에 의해 상기 증속기에 공급하고, 해당 증속기를 윤활한 윤활유를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는 윤활유 순환 라인을 갖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순환 라인에, 상기 증속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윤활유를 상기 증속기에 공급하거나,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과시키거나, 둘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축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증속기를 윤활할 필요는 없고, 증속기에 윤활유를 순환 공급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과 전환 밸브를 마련함으로써, 입력축 정지시에는 바이패스 라인을 사용하고, 입력축 회전시에는 증속기를 윤활하도록 라인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입력축 정지시에는 윤활유가 증속기에 공급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정지한 톱니바퀴에서 동점도가 높은 윤활유가 비산하는 일이 없어지고, 해당 비산에 기인하는 윤활유로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축의 정지시에서도,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사용하여 윤활유를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윤활유 순환 라인의 난기는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력축 회전시에, 상기 윤활유를 상기 증속기에 공급하고, 상기 입력축 정지시에, 상기 윤활유를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전환 밸브를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전환 밸브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전환 밸브의 전환이 자동화되어 작업원에 의한 전환 작업이 필요 없게 되며, 적은 공정수로 윤활유의 비산에 기인하는 윤활유로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를 기동시키고 나서 규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입력축을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규정 시간은, 상기 윤활유 순환 라인을 윤활유가 원활하게 흐르게 되는 정도까지, 윤활유 순환 라인을 흐르는 온도가 상승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 이상의 시간으로 한다.
상기 펌프 기동 후 상기 입력축 회전 전은 상기 전환 밸브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사용하고,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입력축을 회전시키면, 윤활유가 상기 증속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전환 밸브가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펌프 기동으로부터 입력축을 회전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단시간화할 수 있어, 조속한 기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축이 회전하면 증속기를 구성하는 톱니바퀴군도 회전하고, 해당 톱니바퀴군에 윤활유가 공급됨으로써 윤활유가 더욱 승온하여, 비산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윤활유에 기포가 축적하는 시간이 짧아서, 펌프의 에어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오리피스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리피스의 저항 가열에 의해, 바이패스 라인 사용시의 윤활유의 온도 상승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발명으로서,
입력축의 회전을 톱니바퀴군을 거쳐서 증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에, 저유실에 저장된 윤활유를 펌프에 의해 공급하여 상기 증속기를 윤활하고, 해당 증속기를 윤활한 윤활유를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는 증속기의 윤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정지시에, 상기 저유실에 저장된 윤활유를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증속기를 윤활시키지 않고 외부 순환시켜서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고, 상기 펌프를 기동시키고 나서 규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입력축을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며, 또한 상기 윤활유의 순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증속기를 윤활하고, 해당 증속기를 윤활한 윤활유를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축 정지시에 상기 펌프를 기동하고, 해당 펌프 기동으로부터 규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입력축을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기재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윤활유의 가열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기동시에 윤활유의 비산에 의한 윤활유로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증속기의 윤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종래예에서의 증속기의 윤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풍차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나셀 주변의 개략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고, 단순한 설명 예에 지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3은 실시예 1에서의 풍차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실시예 1에서의 나셀 주변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축 풍차를 이용하지만, 풍차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평축 풍차(50)는 타워(58)와, 나셀(52)과, 허브(54)와, 날개(56)를 구비한다. 날개(56)는 허브(54)에 고정되어 있다.
타워(58)는 나셀(52)을 요(yaw)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나셀(52)은 허브(54)에 접속된 주축(12)을 거쳐서 허브(54)를 축지지하고 있다. 주축(12)은 그 선단이 나셀(52)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고, 주축(12)의 선단에는 허브(54)가 주축(12)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나셀(52)의 내측에는, 증속기(10), 발전기(60), 주축(12), 출력축(18) 및 그 부대 설비(도시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으며, 증속기(10)에는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윤활 장치(도 1,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축 풍차(50)에서는, 날개(56) 및 허브(54)가 바람을 받아 회전하면, 허브(54)에 연결된 주축(12)이 회전하고, 해당 회전을 증속기(10)에서 증속하여 출력축(18)을 거쳐서 발전기(60)에 전달함으로써 발전이 이루어진다. 발전기(60)에서 발전된 전류는 배선(62)을 거쳐서 외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수평축 풍차(50)에 사용되는 증속기(10)의 구성, 및 수평축 풍차(50)가 한랭지에 설치되고 풍차(50)의 정지 상태로부터 구동시키는 경우의 윤활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증속기 및 증속기의 윤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증속기는 한랭지에 설치되는 풍력 발전용의 풍차에 사용되는 증속기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증속기(10)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회전하는 입력축(12)과, 해당 입력축(1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측 톱니바퀴(14)와, 해당 입력측 톱니바퀴(14)와 서로 맞물려 입력측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측 톱니바퀴(16)와, 해당 출력측 톱니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발전기(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는 출력축(1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입력축(12)과 출력축(18)의 선단, 상기 입력측 톱니바퀴(14), 출력측 톱니바퀴(16)는 케이싱(38) 내에 수납되어 있고, 상기 입력축(12)은 베어링(34)을 거쳐서 케이싱(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출력축(18)은 베어링(36)을 거쳐서 케이싱(3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속기(10)에 부대하여, 증속기(10)의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윤활 장치(11)가 마련되어 있으며, 해당 윤활 장치(11)는 오일 팬(20)과 윤활유 순환 라인(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 팬(20)은 케이싱(38)의 바닥부에 마련되고, 증속기(10)의 작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윤활유가 저장된다. 또한, 오일 팬(20) 내에는 저장된 윤활유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윤활유 순환 라인(26)은, 오일 팬(20)에 저장된 윤활유를 증속기(10)에 공급하기 위한 순환 라인이다. 해당 윤활유 순환 라인(26)에는, 펌프(24)와, 오일 쿨러(28)와, 밸브(32)를 구비한 오일 쿨러 바이패스 라인(30)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 쿨러(28) 및 오일 쿨러 바이패스 라인(30)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또한, 윤활유 순환 라인(26)에는 증속기(10)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26B)이 마련되어 있고, 해당 바이패스 라인(26B)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거나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라인(26B)에는 오리피스(46)가 마련되어 있다.
전환 밸브(40)의 전환에 의해, 윤활유는 이하의 2계통에서의 순환이 가능하다.
(A) 오일 팬(20) → 펌프(24) → 오일 쿨러(28) 또는 오일 쿨러 바이패스 라인(30) → 전환 밸브(40) → 증속기(10) → 오일 팬(20)
(B) 오일 팬(20) → 펌프(24) → 오일 쿨러(28) 또는 오일 쿨러 바이패스 라인(30) → 전환 밸브(40) → 바이패스 라인(26B) → 오일 팬(20)
또한, 입력축(12)의 회전 상태를 검지하는 동시에, 입력축(12)의 회전시에는 바이패스 라인(26B)의 미사용, 즉 상기 (A)의 계통, 입력축(12)의 정지시에는 바이패스 라인(26B)의 사용, 즉 상기 (B)의 계통에서 윤활유가 윤활하도록 전환 밸브(40)를 전환하는 제어 장치(4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펌프(24)를 기동시키고 나서 규정 시간 경과 후, 입력축(12)이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제어 장치(44)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증속기(10) 및 윤활 장치(11)를 저온 정지 상태(예를 들어, 외기 온도 -30℃)에서 기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외기 온도 -30℃ 상태에서 증속기(10) 및 윤활 장치(11)를 정지한 상태를 보지(保持)하고 있으면, 오일 팬(20) 내의 오일도 -30℃에 가까운 저온으로 되어 있고, 또한 윤활유 순환 라인(26)이나 오일 쿨러(28) 중에도 -30℃에 가까운 윤활유가 잔존하고 있다. 또한, 윤활유 순환 라인(26) 중에서 공기중의 수분이 동결하여 얼음으로서 윤활유 순환 라인(26)을 폐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오일 팬(20) 내의 오일을 가열하고 나서, 윤활유 순환 라인(26)을 순환시켜, 윤활유 순환 라인(26) 안이나 오일 쿨러(28)를 난기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증속기(10)의 기동에 즈음하여, 우선 입력축(12)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오일 팬(20)에 저장되어 있는 윤활유를 히터(122)로 가열한다. 이때, 제 1 제어 장치(42)에 의해 전환 밸브(40)는 바이패스 라인(26B) 사용측으로 전환되어 있다.
상기 가열에 의해 윤활유가 소정의 온도(예를 들어, 0 내지 10℃의 규정 온도)에 도달하면, 펌프(24)를 기동한다. 이것에 의해 윤활유는 오일 팬(20) → 펌프(24) → 오일 쿨러(28) → 전환 밸브(40) → 바이패스 라인(26B) → 오일 팬(20)의 순서로 순환한다.
이것에 의해, 윤활유 순환 라인(26) 및 윤활유 순환 라인(26) 상의 오일 쿨러(28)가 난기된다. 또한, 난기중에도 펌프(24)나 오리피스(46)의 저항 가열에 의해 윤활유의 온도는 상승하여, 한층 더 효율적으로 난기가 행해진다.
펌프(24)를 기동하고, 상기와 같이 순환 라인(26B)을 이용하여 윤활유가 윤활되기 시작하고 나서 규정 시간(예를 들어, 10분) 경과하면, 제 2 제어 장치(44)에 의해 전환 밸브(40)를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윤활유는 오일 팬(20), 펌프(24), 오일 쿨러(28), 전환 밸브(40)를 거쳐 증속기(10)에 보내진다.
전환 밸브(40)가 전환되면, 제 1 제어 장치(42)에 의해 그 전환이 검지되고, 입력축(12)을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입력축(12)의 제어는 전환 밸브(40)의 전환 검지와 동시에 또는 전환 검지 후에 행하도록, 제 1 제어 장치(42)로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입력축(12)이 회전하여 증속기(10)가 구동하는 동시에, 윤활유는 오일 팬(20), 펌프(24), 오일 쿨러(28), 전환 밸브(40)를 거쳐서 증속기(10)에 보내진다. 증속기(10)에 보내진 윤활유는 입구측 톱니바퀴(14), 출구측 톱니바퀴(16), 베어링(34, 36)에 공급되어, 증속기(10)의 작동이 원활해진다.
그 후, 윤활유는 중력에 의해 오일 팬(20)에 낙하한다.
즉, 윤활유는 오일 팬(20) → 펌프(24) → 오일 쿨러(28) → 전환 밸브(40) → 증속기(10) → 오일 팬(20)의 순서로 순환하고, 이것에 의해 증속기(10)의 작동이 원활해진다.
또한, 제 1 제어 장치(42)에 의해 전환 밸브(40)의 전환을 제어함으로써, 입력축(12) 정지시에는 윤활유가 증속기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정지한 톱니바퀴에 의해 윤활유가 비산하고, 해당 비산에 기인하는 윤활유로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증속기의 윤활 장치(11)를 사용함으로써, 윤활유의 가열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기동시에 윤활유의 비산에 의한 윤활유로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공기의 혼입에 기인하는 순환 펌프(24)의 에어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증속기의 윤활 장치(11)를 상기 윤활유가 외기에 의해 냉각되는 한랭지에 설치되는 풍차에 적용함으로써, 전술한 대로 순환 펌프(24)의 에어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진동 소음을 극력 억제한 조용한 풍차로 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펌프 등의 윤활유 계통의 파손이 일어나기 어렵고, 저온 환경에서의 풍차의 윤활이 향상되어 발전 가능한 온도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발전 효율이 향상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윤활유의 가열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기동시에 윤활유의 비산에 의한 윤활유로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윤활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톱니바퀴군, 및 상기 톱니바퀴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출력축을 갖고,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상기 톱니바퀴군을 거쳐서 증속(增速)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와,
    상기 증속기를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를 저장하는 저유실과,
    상기 저유실에 저장된 윤활유를 펌프에 의해 상기 증속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속기를 윤활한 윤활유를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는 윤활유 순환 라인을 갖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순환 라인에,
    상기 증속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윤활유를 상기 증속기에 공급하거나,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과시키거나, 둘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회전시에, 상기 윤활유를 상기 증속기에 공급하고,
    상기 입력축 정지시에, 상기 윤활유를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과시키도록 상기 전환 밸브를 전환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를 기동시키고 나서 규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입력축을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오리피스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기의 윤활 장치.
  5. 입력축의 회전을 톱니바퀴군을 거쳐서 증속하여 출력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에, 저유실에 저장된 윤활유를 펌프에 의해 공급함으로써 상기 증속기를 윤활하고,
    상기 증속기를 윤활한 윤활유를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는 증속기의 윤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정지시에, 상기 저유실에 저장된 윤활유를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증속기를 윤활시키지 않고 외부 순환시켜서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고,
    상기 펌프를 기동시키고 나서 규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입력축을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윤활유의 순환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증속기를 윤활하고, 상기 증속기를 윤활한 윤활유를 상기 저유실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기의 윤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정지시에 상기 펌프를 기동하고,
    상기 펌프 기동으로부터 규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입력축을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속기의 윤활 방법.
KR1020107019773A 2008-09-03 2009-04-30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방법 KR20100125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5855 2008-09-03
JP2008225855A JP5215780B2 (ja) 2008-09-03 2008-09-03 増速機の潤滑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294A true KR20100125294A (ko) 2010-11-30

Family

ID=4179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773A KR20100125294A (ko) 2008-09-03 2009-04-30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10024236A1 (ko)
EP (1) EP2251566B1 (ko)
JP (1) JP5215780B2 (ko)
KR (1) KR20100125294A (ko)
CN (1) CN101960178A (ko)
AU (1) AU2009287871B2 (ko)
BR (1) BRPI0908836A2 (ko)
CA (1) CA2714519A1 (ko)
DK (1) DK2251566T3 (ko)
ES (1) ES2409704T3 (ko)
TW (1) TW201011191A (ko)
WO (1) WO20100268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120A (ko) * 2014-12-04 2017-08-08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윤활 시스템 및 윤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8766A1 (de) * 2009-10-08 2011-04-14 Robert Bosch Gmbh Antriebsstrang und Windkraftanlage
US9086055B2 (en) * 2010-01-11 2015-07-21 General Electric Company Lubrication of fluid turbine gearbox during idling or loss of electric grid
DE102010033228A1 (de) * 2010-08-03 2012-02-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Sprühschmierung eines Windturbinengetriebes
ES2571756T3 (es) 2010-12-15 2016-05-26 Vestas Wind Sys As Una turbina eólica y un método de operación de una turbina eólica
US8485932B2 (en) * 2011-01-06 2013-07-16 Chrysler Group Llc Axle system
DK2573388T3 (en) * 2011-09-22 2019-01-14 Moventas Gears Oy Process for controlling the lubrication of an exchange and of an exchange
US10248293B2 (en) * 2011-09-30 2019-04-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CN102536686B (zh) * 2012-01-10 2014-07-23 三一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齿轮箱及包括该齿轮箱的风力发电机
US8869940B2 (en) * 2012-01-17 2014-10-28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temperature oi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wind turbine gearbox
JP5970937B2 (ja) * 2012-04-25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9103433B2 (en) * 2013-02-26 2015-08-11 Arvinmeritor Technology, Llc Axle assembly and method of lubrication control
CN103498913B (zh) * 2013-10-23 2015-12-09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适用于极端工况的风电齿轮箱润滑系统
DK2947352T3 (da) 2014-05-20 2017-11-06 Moventas Gears Oy Tandhjulsudvekslings-enhed og fremgangsmåde til opvarmning af smøreolie til en tandhjulsudvekslings-enhed
CN104180142B (zh) * 2014-08-22 2017-02-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润滑油供油装置、离心压缩机及供油方法
CN106926048B (zh) * 2017-03-29 2020-04-28 广东工业大学 一种主轴增速器
CN108612833A (zh) * 2018-05-02 2018-10-02 深能北方(通辽)能源开发有限公司 可降低风电齿轮箱油温的控制装置
CN112983754B (zh) * 2019-12-12 2022-03-11 中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一种布局紧凑的风电机组机舱
CN111677823B (zh) * 2020-07-20 2024-04-19 合肥工业大学 一种齿轮箱润滑用三速齿轮泵动力单元
CN112404470A (zh) * 2020-11-02 2021-02-26 盐城市金品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卧式车床进给箱
CN112283328B (zh) * 2020-11-04 2022-04-12 福建中维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纯电动卡车用油泵分动器
CN113324019B (zh) * 2021-04-30 2022-07-15 华电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陶瓷膜在线风机齿轮箱油处理方法
DE102021208683B3 (de) * 2021-08-10 2023-01-1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Reparieren einer Getriebeanordnung
CN113757056A (zh) * 2021-09-14 2021-12-07 山东中车风电有限公司 一种风电机组加油机油液循环加热装置及方法
CN114508584A (zh) * 2022-03-03 2022-05-17 上海电气风电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箱润滑系统
CN114352716B (zh) * 2022-03-16 2022-08-05 杭州杰牌传动科技有限公司 用于工业齿轮箱的润滑系统、润滑方法及工业齿轮箱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8653A (en) * 1940-09-18 1942-01-06 Laval Separator Co De Apparatus and process for purifying airplane engine oil
DE2042206A1 (de) * 1970-08-26 1972-03-02 Porsche Kg Schmiervorrichtung fuer Geschwindigkeitswechselgetriebe
DE3702008A1 (de) * 1987-01-23 1988-08-04 Bergische Stahlindustrie Getriebeschmierung fuer windenergie-anlagen
JPH0621697Y2 (ja) * 1988-02-05 1994-06-08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射出成形機の作動油昇温装置
JPH0721954Y2 (ja) * 1989-03-31 1995-05-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オイル冷却装置
JPH0446203U (ko) * 1990-08-23 1992-04-20
JPH1096463A (ja) * 1996-09-20 1998-04-14 Hitachi Ltd 風車用増速機
JP2000210503A (ja) * 1999-01-22 2000-08-02 Nippon Mitsubishi Oil Corp 液体中の気泡除去システム
US6199663B1 (en) * 1999-04-22 2001-03-13 Case Corporation Lubrication system
KR100282129B1 (ko) * 1999-12-02 2001-02-15 양윤종 마이컴을 이용한 윤활유 자동공급방법
US6457564B1 (en) * 1999-12-07 2002-10-01 The Lubrizol Corporation Combination lubric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ssociated gear devices
JP2005083207A (ja) * 2003-09-04 2005-03-31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ダリウス式風力発電装置
DE112005000055B4 (de) * 2004-07-16 2013-11-07 Komatsu Ltd. Schmierölzuführung-Steuervorrichtung für ein Wechselgetriebe
DE102005032633A1 (de) * 2005-07-13 2007-01-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r Temperatur eines elektromechanischen Bauteil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858009B2 (ja) * 2006-08-25 2012-01-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油圧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120A (ko) * 2014-12-04 2017-08-08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윤활 시스템 및 윤활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251566T3 (da) 2013-05-06
TW201011191A (en) 2010-03-16
AU2009287871A1 (en) 2010-03-11
EP2251566B1 (en) 2013-03-20
AU2009287871B2 (en) 2011-06-30
ES2409704T3 (es) 2013-06-27
JP5215780B2 (ja) 2013-06-19
EP2251566A4 (en) 2011-07-20
BRPI0908836A2 (pt) 2015-07-21
EP2251566A1 (en) 2010-11-17
CA2714519A1 (en) 2010-03-11
WO2010026800A1 (ja) 2010-03-11
US20110024236A1 (en) 2011-02-03
CN101960178A (zh) 2011-01-26
JP2010060038A (ja)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5294A (ko) 증속기의 윤활 장치 및 방법
EP2184487B1 (en) Wind turbine lubrication system
CA2790486C (en) A method for controlling lubrication of a gear unit and a gear unit
CN110475969B (zh) 用于风力涡轮机的驱动系的润滑系统
CN102232161A (zh) 润滑油加热机构、齿轮机构、以及风力发电装置
CN203230541U (zh) 低温型风电齿轮箱润滑加热系统
CN101790641A (zh) 风力发电装置
US11512681B2 (en) Lubrication system for a drive train of a wind turbine, wind turbine and method of lubricating
WO2013136056A1 (en) Overhead tank
GB2510824A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EP3574213A1 (en) Lubrication system for a drive train of a wind turbine
CN106015903B (zh) 一种自动润滑注油控制方法及系统
JP2009257356A (ja) 駆動装置のオイルレベル調整機構
KR101267147B1 (ko) 윤활유 가열 기구, 기어 기구, 및 풍력 발전 장치
CN114215904B (zh) 润滑油冷却方法、装置、系统、机械装置及作业机械
CN116241642A (zh) 一种带外置油箱的风电齿轮箱润滑冷却控制系统
KR20110120201A (ko) 회전 기계의 기동 방법 및 풍력 발전 장치의 기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