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355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355A
KR20100124355A KR1020107025368A KR20107025368A KR20100124355A KR 20100124355 A KR20100124355 A KR 20100124355A KR 1020107025368 A KR1020107025368 A KR 1020107025368A KR 20107025368 A KR20107025368 A KR 20107025368A KR 20100124355 A KR20100124355 A KR 20100124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lumen
catheter
distal end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748B1 (ko
Inventor
켄지 모리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1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using materials with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는 복수의 루멘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플렉시블 튜브부재(4)와, 복수의 루멘 중 어느 한 루멘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삽통되고, 일측 단부가 튜브부재(4)의 원위단에 접속된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한다. 조작용 와이어가 삽통된 루멘은 튜브부재(4)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튜브부재(4)는 원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부재(4a1)와 근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낮은 부재(4a2)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튜브부재(4)의 근위단에서 유연성이 상이한 부재끼리의 접합면(80)까지의 거리가 일정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체외에 배치되는 근위단측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체강 내에 삽입된 원위단 근방의 방향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관을 통해 심장 내부까지 삽입되는 전극 카테터 등의 카테터에 있어서,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원위단(선단)의 방향이, 체외에 배치되는 카테터의 근위단(베이스부 또는 손잡이측)에 장착된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방향이 변환된다. 카테터를 심장 내부 등의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카테터의 원위단 근방은 소정의 커브 형상으로 만곡 가능할 것이 요구된다.
복수의 루멘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른바 멀티 루멘 카테터에서는, 종래, 카테터의 중심축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루멘 내에 조작용 와이어를 삽통하였다. 그리고, 조작부에서 조작용 와이어를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루멘의 편심방향, 즉 튜브부재의 중심축에서 어긋난 측으로 카테터의 원위단 근방을 만곡시켜, 원위단의 방향을 변환하였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 2000-288095호 공보
종래의 멀티 루멘 카테터에서는, 조작용 와이어를 편심된 루멘 내에 삽통하였다. 그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를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카테터 전체에 편심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카테터의 근위단 근방도 만곡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과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카테터의 근위단 근방이 만곡될 우려를 줄임과 함께, 원위단 근방을 소정의 커브 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당해 카테터는 원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부재와 근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낮은 부재로 구성되고, 유연성이 높은 부재와 유연성이 낮은 부재는 유연성이 높은 부재가 원위단측에서 상기 근위단측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접합면을 갖도록 접합되고, 복수의 루멘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튜브부재와, 복수의 루멘 중 튜브부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 루멘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삽통되고, 일측 단부가 튜브부재의 원위단 근방에 접속된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테터의 근위단 근방이 만곡될 우려를 줄임과 함께, 원위단 근방을 소정의 커브 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카테터에 있어서, 접합면은 튜브부재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평면이어도 좋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가 삽통된 루멘은 그 중심축이 튜브부재의 중심축과 일치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튜브부재는 복수의 루멘이 형성된 내부 튜브부재와, 내부 튜브부재를 감싸는 외부 튜브부재로 구성되고, 내부 튜브부재 및 외부 튜브부재 둘 모두에 유연성이 상이한 복수의 부재가 접합되어 있고, 내부 튜브부재 및 외부 튜브부재의 각각의 접합면의 위치가 튜브부재의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또, 상술한 각 요소를 적절히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테터의 근위단 근방이 만곡될 우려를 줄임과 함께, 원위단 근방을 소정의 커브 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의 측면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의 상면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도 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도 1의 E-E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튜브부재만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카테터의 측면도.
도 8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카테터의 상면도.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도 7의 F-F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튜브부재만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는, 선단의 편향조작이 가능한 전극 카테터로서, 예를 들어 심장의 부정맥 진단 또는 치료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2)는 튜브부재(4)의 원위단부에 선단 칩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a, 12b, 12c)을 구비한다. 선단 칩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a, 12b, 12c)은, 예를 들면 접착제 등에 의해 튜브부재(4)에 고정되어 있다.
튜브부재(4)의 근위단에는 핸들(6)이 장착되어 있다. 핸들(6)로부터는 선단 칩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a, 12b, 1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선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핸들(6)에는 튜브부재(4)의 선단부의 편향이동조작(헤드 움직임조작)을 하기 위한 손잡이(7)가 장착되어 있다.
튜브부재(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루멘을 구비하는 공중(Hollow)구조를 갖는다. 튜브부재(4)의 원위단 근방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고, 튜브부재(4)의 근위단 근방은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낮다.
튜브부재(4)의 주요부분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튜브부재(4)의 바깥지름은 일반적으로 0.6∼3㎜ 정도이고, 길이는 약 1150∼120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튜브부재(4)의 지름은 약 2.4㎜, 길이는 약 1170㎜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튜브부재(4)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루멘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선단 칩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a, 12b, 12c)에 각각 접속되는 리드선이 서로 절연상태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루멘에는 조작용 와이어가 관통되어 있다.
선단 칩전극(10) 및 복수의 링형상 전극(12a, 12b, 12c)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금, 백금 등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또, X선에 대한 조영성(造影性)을 양호하게 부여하기 위해서는, 선단 칩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a, 12b, 12c)은 백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칩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a, 12b, 12c)의 바깥지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튜브부재(4)의 바깥지름과 동일 정도가 바람직하고, 통상 0.5∼3㎜ 정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 도 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부재(4)는 복수의 루멘이 형성된 내부 튜브부재(4a)와 내부 튜브부재(4a)를 감싸는 외부 튜브부재(4b)로 구성되고, 내부 튜브부재(4a)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 1 루멘(20), 제 2 루멘(22), 제 3 루멘(24), 제 4 루멘(26) 및 제 5 루멘(28)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루멘(20)은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루멘(20)은 그 중심축이 튜브부재(4)의 중심축(21)과 일치한 위치에 형성된다. 제 1 루멘(20)의 주위에는 제 2 루멘(22), 제 3 루멘(24), 제 4 루멘(26) 및 제 5 루멘(2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루멘(22)과 제 3 루멘(24)이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을 사이에 끼고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제 4 루멘(26)과 제 5 루멘(28)이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을 사이에 끼고 서로 상대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을 포함하는 위치에 루멘이 형성되어 있으면, 그 주위에 형성되는 루멘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튜브부재(4)의 성형 상,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에 대해 대칭구조가 되도록 루멘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부 튜브부재(4a)의 지름은 약 1.85㎜이다. 또한, 제 1 루멘(20)의 지름은 튜브부재(4)의 지름을 R로 했을 때, 약 0.1R∼0.45R이다. 또한, 제 2 루멘(22), 제 3 루멘(24), 제 4 루멘(26) 및 제 5 루멘(28)의 지름은 튜브부재(4)의 지름을 R로 했을 때, 약 0.1R∼0.45R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루멘(20)의 지름은 약 0.45㎜, 제 2 루멘(22), 제 3 루멘(24), 제 4 루멘(26) 및 제 5 루멘(28)의 지름은 약 0.47㎜이다.
제 1 루멘(20)에는 조작용 와이어(40)가 슬라이드 가능토록 삽통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40)의 원위단에는 제 1 루멘(20) 내의 조작용 와이어(40)보다 지름이 큰 구형상의 앵커(42)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40)의 근위단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손잡이(7)에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칩전극(10)의 내측에 요부(凹部)(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12)에 땜납(30)이 충전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40)의 원위단은 요부(12)에 매몰되어 땜납(30) 및 선단 칩전극(10)에 대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튜브부재(4)의 원위단 근방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용 와이어(40)의 근위단은 핸들(6)의 손잡이(7)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손잡이(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40)를 끌어당겨, 카테터(2)의 원위단을 도 2, 도 4 및 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헤드를 움직여 방향변환 가능토록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용 와이어(40)의 원위단에 앵커(4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40)의 원위단이 땜납(30)으로부터 쉽게 빠지기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테터(2)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루멘(22)에 리드선(50)이 삽통되어 있다. 리드선(50)의 원위단은 땜납(30)에 매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땜납(30)을 개재하여 리드선(50)과 선단 칩전극(1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3 루멘(24)에 리드선(60a, 60b, 60c)이 삽통되어 있다. 리드선(60a, 60b, 60c)의 원위단은 각각 도시하지 않는 땜납에 의해 링형상 전극(12a, 12b, 12c)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각각 링형상 전극(12a, 12b, 12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루멘(26)에 온도 센서로서의 열전대(thermocouple)(70)가 삽통되어 있다. 열전대(70)에 의해, 카테터의 원위단 근방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5 루멘(28)은 예비 루멘이고, 예를 들면 링형상 전극이 증설된 경우에, 증설된 링형상 전극에 접속되는 리드선을 제 5 루멘(28)에 삽통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카테터의 튜브부재(4)에 있어서, 도 1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당해 단면도에서는 튜브부재(4)만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부재(4)의 내부 튜브부재(4a)는 원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부재(4a1)와 근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낮은 부재(4a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재(4a1)의 쇼어 D(Shore-D) 경도가 35∼72이고, 부재(4a2)의 쇼어 D 경도가 63∼80이다.
그리고, 유연성이 높은 부재(4a1)와 유연성이 낮은 부재(4a2)는, 유연성이 높은 부재(4a1)가 튜브부재(4)의 원위단측에서 근위단측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접합면(80)을 갖도록 접합되어 있다. 즉, 튜브부재(4)의 근위단에서 유연성이 상이한 부재(4a1), 부재(4a2)끼리의 접합면(80)까지의 거리가 일정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합면(80)은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에 대해 경사진 평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면(80)의 시작점(80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R1(예를 들면, 튜브부재(4)의 지름을 R로 했을 때, 약 4R의 거리)에 위치하는 종점(80b)까지(이하, "영역 R1"이라 한다), 접합면(80)은 튜브부재(4)의 축에 대해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영역 R1에 있어서,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튜브부재(4)의 단면적(cross section)에 차지하는 유연성이 높은 부재(4a1)의 단면적 비율이 원위단측에서 근위단측으로 갈수록 작게 되어 있다. 접합면(80)이 존재하는 영역 R1은, 예를 들면 원위단으로부터 약 20∼200㎜의 범위에 마련된다.
여기서, 조작용 와이어(40)가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40)를 끌어당기면, 튜브부재(4)에는 수축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때, 영역 R1에서는,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튜브부재(4)의 유연성에 치우침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측에 유연성이 높은 영역이 존재하고, 타측에 유연성이 낮은 영역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튜브부재(4)에 수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접합면(80)이 존재하는 영역 R1에 있어서는, 유연성이 높은 영역이 존재하는 측(도 6의 상방향)으로 튜브부재(4)가 경사지는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그 결과, 튜브부재(4)는 영역 R1에 있어서 유연성이 높은 영역이 존재하는 측으로 만곡하고, 튜브부재(4)의 원위단부분이 도 2, 도 4 및 도 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편향된다. 영역 R1에서는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튜브부재(4)의 근위단측에서 원위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유연성이 높은 부재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튜브부재(4)는 영역 R1에 있어서, 서서히 만곡된다. 한편, 영역 R1 이외의 영역에서는 튜브부재(4)의 유연성에 치우침이 없고 균일하기 때문에, 튜브부재(4)가 경사지는 방향의 힘이 발생하지 않고, 중심축(21)에 평행한 수축 방향의 힘만 작용한다. 그 때문에, 튜브부재(4)는 영역 R1 이외에서는 만곡되지 않고, 직선성이 유지된다.
영역 R1에 있어서의 튜브부재(4)의 커브 형상은, 영역 R1에 있어서의 접합면(80)의 테이퍼 각도에 의해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접합면(80)이 일정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튜브부재(4)의 만곡 방향이 일정 방향으로 제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부재(4)의 근위단측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튜브부재(4)의 외부 튜브부재(4b)에 보강부재로서 블레이드(90)가 매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튜브부재(4)의 근위단측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블레이드(90)는 스테인리스강, 텅스텐, 금, 티타늄, 은, 구리, 백금, 또는 이리듐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90)는 비금속재료, 예를 들면, 폴리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미드(PPTA) 섬유, 액정 폴리머 섬유 또는 유리섬유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2)에서는,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루멘(20)에 조작용 와이어(40)를 슬라이드 가능토록 삽통하고 있다. 또한, 원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부재(4a1)와 근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낮은 부재(4a2)를 접합하여 튜브부재(4)를 형성하고, 접합면(80)을 튜브부재(4)의 근위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짧아지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40)를 끌어당겼을 때에, 접합면(80)이 존재하는 영역 R1에 있어서는 튜브부재(4)가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는 방향의 힘이 발생하고, 영역 R1 이외의 영역에서는 신축 방향의 힘만 작용한다. 그 결과, 카테터(2)의 근위단 근방이 만곡될 우려가 줄어듦과 함께, 원위단 근방이 소정의 커브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테터(2)가 삽입된 혈관 등에 손상을 입힐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7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카테터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카테터의 튜브부재(4)에 있어서, 도 7의 F-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의 단면도에서는 튜브부재(4)만 나타내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카테터(2)에서는, 튜브부재(4)의 내부 튜브부재(4a)뿐만 아니라 외부 튜브부재(4b)에 대해서도 유연성이 상이한 부재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내부 튜브부재(4a)에서는 원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부재(4a1)와 근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낮은 부재(4a2)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외부 튜브부재(4b)에서는 원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부재(4b1)와, 부재(4b1)의 근위단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부재(4b1)보다 유연성이 낮은 부재(4b2)와, 부재(4b2)의 근위단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부재(4b2)보다 유연성이 낮은 부재(4b3)가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재(4a1)의 쇼어 D 경도가 35∼72이고, 부재(4a2)의 쇼어 D 경도가 63∼80이다. 또한, 부재(4b1)의 쇼어 D 경도가 20∼48이고, 부재(4b2)의 쇼어 D 경도가 35∼72이고, 부재(4b3)의 쇼어 D 경도가 63∼80이다.
그리고, 근위단측에 인접되는 부재에 대해 유연성이 높은 부재(4a1, 4b1, 4b2)가 각각 튜브부재(4)의 원위단측에서 근위단측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접합면(80, 82, 84)을 갖는다. 즉, 유연성이 상이한 부재(4a1)와 부재(4a2)의 접합면(80), 부재(4b1)와 부재(4b2)의 접합면(82), 부재(4b2)와 부재(4b3)의 접합면(84)은 튜브부재(4)의 근위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일정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짧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합면(80, 82, 84)은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에 대해 경사진 평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면(80, 82, 84)의 각각의 시작점(80a, 82a, 84a)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R1, R2, R3(예를 들면, 튜브부재(4)의 지름을 R로 했을 때, 각각 약 6R, 4R, 6R의 거리)에 위치하는 종점(80b, 82b, 84b)까지(이하, 각각 "영역 R1", "영역 R2", "영역 R3"이라 한다), 접합면(80, 82, 84)은 튜브부재(4)의 축에 대해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영역 R1, R2, R3에 있어서는, 각각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재(4a1, 4b1, 4b2)의 비율이 근위단측에서 원위단측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또한, 접합면(80, 82, 84)은 튜브부재(4)의 축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영역 R1, R2, R3은 각각 원위단으로부터 약 20∼40㎜, 30∼60㎜, 40∼200㎜의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용 와이어(40)를 끌어당기면, 튜브부재(4)에는 수축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튜브부재(4)에 수축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영역 R1, R2, R3에서는, 유연성이 높은 영역이 존재하는 측(도 9의 상방향)으로 튜브부재(4)가 경상지는 방향의 힘이 방생한다. 그 결과, 튜브부재(4)는 영역 R1, R2, R3에 있어서 유연성이 높은 영역이 존재하는 측으로 만곡되고, 튜브부재(4)의 원위단부분이 도 8 및 도 9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편향된다. 영역 R1, R2, R3에서는 튜브부재(4)의 중심축(21)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튜브부재(4)의 단면적에 차지하는 유연성이 높은 부재의 단면적 비율이 원위단측에서 근위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튜브부재(4)는 영역 R1, R2, R3에 있어서, 서서히 만곡된다. 한편, 영역 R1, R2, R3 이외의 영역에서는 튜브부재(4)의 유연성에 치우침이 없고 균일하기 때문에, 튜브부재(4)가 경상지는 방향의 힘이 발생하지 않고, 중심축(21)에 평행한 수축 방향의 힘만 작용한다. 그 때문에, 튜브부재(4)는 영역 R1 이외에서는 만곡되지 않고, 직선성이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2)에서는, 실시형태 1의 카테터(2)의 구성에 더하여, 외부 튜브부재(4b)가 유연성이 상이한 복수의 부재(4b1, 4b2, 4b3)가 접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부 튜브부재(4a) 및 외부 튜브부재(4b)의 각각의 접합면(80, 82, 84)의 위치가 튜브부재(4)의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그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40)를 끌어당겼을 때에, 영역 R1, R2, R3에 있어서 튜브부재(4)가 일정 방향으로 경상지는 방향의 힘이 발생한다. 그 결과, 원위단 근방을 더욱 자유로운 커브 형상으로 만곡시킬 수 있게 되고, 카테터(2)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지식을 바탕으로 각종 설계변경 등의 변형을 가할 수 있고, 그러한 변형이 더해진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의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서는, 2종류의 유연성이 상이한 부재에 의해 튜브부재(4)의 내부 튜브부재(4a)를 형성하고,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3종류의 유연성이 상이한 부재에 의해 외부 튜브부재(4b)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튜브부재(4)를 형성하는 유연성이 상이한 부재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종류 이상이면 된다. 또한, 각 부재의 유연성에 있어서도, 원위단측이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고, 근위단측이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낮은 것이면, 각 부재의 유연성의 정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튜브부재(4)에 사용하는 부재의 종류가 많을수록, 튜브부재(4)를 더욱 자유롭게 만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카테터에 이용할 수 있다.
2 카테터
4 튜브부재
4a 내부 튜브부재
4b 외부 튜브부재
6 핸들
7 손잡이
10 선단 칩전극
12a, 12b, 12c 링형상 전극
20 제 1 루멘
22 제 2 루멘
24 제 3 루멘
26 제 4 루멘
28 제 5 루멘
30 땜납
40 조작용 와이어
50, 60a, 60b, 60c 리드선
90 블레이드

Claims (4)

  1. 원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부재와 근위단측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낮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유연성이 높은 부재와 상기 유연성이 낮은 부재는 상기 유연성이 높은 부재가 상기 원위단측에서 상기 근위단측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접합면을 갖도록 접합되고, 복수의 루멘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튜브부재와,
    상기 복수의 루멘 중 상기 튜브부재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 루멘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삽통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튜브부재의 원위단 근방에 접속된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은 튜브부재의 중심축에 대해 경사진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가 삽통된 루멘은, 그 중심축이 상기 튜브부재의 중심축과 일치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부재는 상기 복수의 루멘이 형성된 내부 튜브부재와, 상기 내부 튜브부재를 감싸는 외부 튜브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튜브부재 및 외부 튜브부재 둘 모두에 유연성이 상이한 복수의 부재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내부 튜브부재 및 외부 튜브부재의 각각의 접합면의 위치가 상기 튜브부재의 축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107025368A 2008-04-11 2009-04-06 카테터 KR101035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4131 2008-04-11
JP2008104131A JP4362536B2 (ja) 2008-04-11 2008-04-11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355A true KR20100124355A (ko) 2010-11-26
KR101035748B1 KR101035748B1 (ko) 2011-05-20

Family

ID=4116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368A KR101035748B1 (ko) 2008-04-11 2009-04-06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362536B2 (ko)
KR (1) KR101035748B1 (ko)
CN (1) CN101932356B (ko)
HK (1) HK1146715A1 (ko)
WO (1) WO2009125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913B2 (en) 2002-04-08 2014-07-08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ravasculary-induced neuromodulation
US8150519B2 (en) 2002-04-08 2012-04-03 Ardia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ilateral renal neuromodulation
US7653438B2 (en) 2002-04-08 2010-01-26 Ardia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al neuromodulation
US8652129B2 (en) 2008-12-31 2014-02-18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chieving intravascular, thermally-induced renal neuromodulation
US8870863B2 (en) 2010-04-26 2014-10-28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Catheter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renal neuromodulation
JP4897077B1 (ja) * 2010-09-28 2012-03-1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5561784B2 (ja) * 2011-02-28 2014-07-3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電極カテーテル
JP6527329B2 (ja) 2011-05-03 2019-06-05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操縦可能な送達シース
WO2014066432A2 (en) 2012-10-22 2014-05-01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Catheters with enhanced flexibility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044575B2 (en) 2012-10-22 2015-06-02 Medtronic Adrian Luxembourg S.a.r.l. Catheters with enhanced flexibility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066726B2 (en) 2013-03-15 2015-06-30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Multi-electrode apposition judgment using pressure elements
WO2014189794A1 (en) 2013-05-18 2014-11-27 Medtronic Ardian Luxembourg S.A.R.L. Neuromodulation catheters with shafts for enhanced flexibility and control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15085307A1 (en) * 2013-12-06 2015-06-11 Shifamed Holdings, Llc Steerable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07708782A (zh) * 2015-03-27 2018-02-16 施菲姆德控股有限责任公司 可转向医疗装置、系统和使用方法
CA2982823A1 (en) 2015-04-24 2016-10-27 Shifamed Holdings, Llc Steerable medica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6866367B2 (ja) 2015-11-09 2021-04-28 カリラ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器具の操向アセンブリおよび使用方法
JP6541268B2 (ja) * 2016-02-25 2019-07-1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電極カテーテル
JP6570123B2 (ja) * 2016-02-29 2019-09-0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6275921B1 (ja) * 2016-08-23 2018-02-07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構造を有するカテーテル
US11471582B2 (en) 2018-07-06 2022-10-18 Incept, Llc Vacuum transfer tool for extendable catheter
US11766539B2 (en) 2019-03-29 2023-09-26 Incept, Llc Enhanced flexibility neurovascular catheter
JP2023507553A (ja) 2019-12-18 2023-02-24 インパラティブ、ケア、インク. 静脈血栓塞栓症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A3171899A1 (en) * 2020-03-10 2021-09-16 Imperative Care, Inc. Enhanced flexibility neurovascular catheter
KR102272935B1 (ko) 2020-09-28 2021-07-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카테터 리플로우 공정용 직진성 개선장치
KR102309873B1 (ko) 2020-09-29 2021-10-08 주식회사 바스플렉스 멀티루멘 카테터 제조용 노즐 팁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827A (en) * 1987-02-17 1988-07-19 Versaflex Delivery Systems Inc. Steerable guidewire with deflectable tip
US5454795A (en) * 1994-06-27 1995-10-03 Target Therapeutics, Inc. Kink-free spiral-wound catheter
NL9401107A (nl) * 1994-07-01 1996-02-01 Cordis Europ Bestuurd buigbare catheter.
WO1997027895A1 (en) * 1996-02-02 1997-08-07 Kelleher Brian S Deflectable medical device
US5779669A (en) * 1996-10-28 1998-07-14 C. R. Bard, Inc. Steerable catheter with fixed curve
US6146338A (en) * 1999-04-23 2000-11-14 Medtronic, Inc. Apparatus for deflecting a catheter or lead
JP2001321447A (ja) * 2000-05-16 2001-11-20 Asahi Intecc Co Ltd カテーテル
US20060270975A1 (en) 2005-05-31 2006-11-30 Prorhythm, Inc. Steerable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32356A (zh) 2010-12-29
JP2009254423A (ja) 2009-11-05
KR101035748B1 (ko) 2011-05-20
HK1146715A1 (en) 2011-07-08
JP4362536B2 (ja) 2009-11-11
WO2009125575A1 (ja) 2009-10-15
CN101932356B (zh)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748B1 (ko) 카테터
KR101310471B1 (ko) 카테터
KR101455493B1 (ko) 카테터
KR101213012B1 (ko) 카테터
KR20130041818A (ko) 카테터
KR101246970B1 (ko) 카테터
US9326729B2 (en) Electrode cath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5739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5174542B2 (ja) カテーテル
JP6456315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2014236787A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5174487B2 (ja) カテーテル
JP5729778B2 (ja) 電極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