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819A - 차량용 휠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819A
KR20100123819A KR1020107014948A KR20107014948A KR20100123819A KR 20100123819 A KR20100123819 A KR 20100123819A KR 1020107014948 A KR1020107014948 A KR 1020107014948A KR 20107014948 A KR20107014948 A KR 20107014948A KR 20100123819 A KR20100123819 A KR 20100123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joints
angle
vehicle
chassis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틴 에르소이
마르크 비젠탈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12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camb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60G2204/116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체(6), 다수의 조인트들(8, 9, 10, 11)의 중간 접속 하에 상기 지지체(6)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스티어링 너클(2), 상기 스티어링 너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차량 휠(15), 제 1 조인트(8)와 제 2 조인트(9)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제 1 조인트(8)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너클(2)에 그리고 상기 제 2 조인트(9)에 의해 상기 지지체(6)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3), 상기 조인트들 중 하나 이상의 조인트(8)의 하나 이상의 회전 각(40)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각(40)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각도 검출 장치(36, 37), 상기 각도 검출 장치(36, 37)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 신호를 평가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장치(41)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 부재(3)는 조절 수단(27)을 포함하는 섀시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조절 수단(27)에 의해 섀시 액추에이터(3)의 길이(L), 그로 인해 차량 휠(15)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섀시 액추에이터(3)의 길이(L)는 평가 장치(41)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40)를 평가함으로써 결정되거나 또는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휠 서스펜션{WHEEL SUSPENSION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지지체, 다수의 조인트들의 중간 접속 하에 상기 지지체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스티어링 너클, 상기 스티어링 너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차량 휠, 제 1 조인트와 제 2 조인트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제 1 조인트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너클에 그리고 상기 제 2 조인트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 상기 조인트들 중 하나 이상의 조인트의 하나 이상의 회전 각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각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각도 검출 장치, 및 상기 각도 검출 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 신호를 평가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DE 102 21 873 A1에는 휠 서스펜션의 암용 베어링이 공지되어 있다. 베어링 내에 또는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는 베어링에 의해 서로 연결된 차량 부품들의 상대 운동, 예컨대 회전, 선회 및/또는 이동을 검출한다. 또한, 센서에 의해 공급되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휠의 편향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DE 101 34 259 A1에는 조인트 하우징, 및 볼을 가진 볼 핀을 포함하는 볼-앤드-소켓 조인트가 공지되어 있고, 상기 볼 핀의 볼은 조인트 하우징 내에 회전 및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볼 핀의 핀은 조인트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다. 핀으로부터 먼, 볼의 단부에는 2극 자계 트랜스듀서가 제공되며, 상기 트랜스듀서의 극은 볼 표면에 배치된다. 2개 이상의 자계 센서가 조인트 하우징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자계 센서는 자계 트랜스듀서에 의해 발생된 자계와 상호 작용한다. 볼-앤드-소켓 조인트는 특히 차량의 섀시에 배치되므로, 예컨대 휠 위치, 스티어링 각 또는 편향이 결정될 수 있다.
섀시의 운동학을 액티브하게 조절할 수 있는 (예컨대 스티어링, 토우(toe) 또는 캠버 조절) 시스템에는 길이 변화 가능한 기계식 부재들(섀시 액추에이터)이 사용되며, 상기 부재의 액추에이팅 위치는 시스템의 조절 또는 상태의 검출을 위해 공지되어야 한다. 보통의 경우, 이를 위해 거리 센서가 액추에이터 내에 통합된다. 그러나, 이는 설치 공간, 특정 사용 목적에 대한 센서의 적합성 및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절 가능한 섀시 액추에이터를 가능한 경제적이고 간단한 방식으로 전술한 방식의 휠 서스펜션에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휠 서스펜션 및 청구항 제 9항에 따른 사용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차량, 특히 자동차용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은 지지체, 다수의 조인트들의 중간 접속 하에 상기 지지체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스티어링 너클, 상기 스티어링 너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차량 휠, 제 1 조인트와 제 2 조인트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제 1 조인트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너클에 그리고 상기 제 2 조인트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 상기 조인트들 중 하나 이상의 조인트의 하나 이상의 회전 각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각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각도 검출 장치, 및 상기 각도 검출 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 신호를 평가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섀시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조절 수단에 의해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 그로 인해 차량 휠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는 평가 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를 평가함으로써 결정되거나 또는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존 각도 검출 장치가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이를 위해 추가의 거리 센서가 필요 없다.
지지체는 바람직하게 차체로 형성된다. 지지체가 차체에 고정된 서브 프레임 또는 보조 프레임으로 형성되면, 보조 프레임 또는 서브 프레임은 차체에 포함된다. 대안으로서, 지지체는 차축의 액슬 케이싱, 특히 리지드 액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지드 액슬은 차량이 그러한 차축을 갖는 경우 차체에 현수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암, 특히 컨트롤 암이 제공되며, 상기 컨트롤 암은 제 3 조인트 및 제 4 조인트 사이에 연장되고 제 3 조인트에 의해 스티어링 너클에 그리고 제 4 조인트에 의해 지지체에 관절형으로 연결된다.
(제 1)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조인트의 다수의, 예컨대 2개 또는 3개의 회전 각도가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가 하우징 및 이것 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볼 핀을 포함하는 볼-앤드-소켓 조인트이면, 하우징에 대한 볼 핀의 위치가 일반적으로 볼 핀의 그 종 방향에 대해 수직인 선회를 나타내는 2개의 선회각, 및 볼 핀의 그 종 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나타내는 회전각에 의해 규정된다. 각도 검출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들 중 1, 2 또는 3개의 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인트가 내부 부분, 상기 내부 부분을 둘러싸는 외부 슬리브, 및 상기 내부 부분과 외부 슬리브 사이에 배치된 고무 바디를 포함하는 고무 베어링이면,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해 특히 외부 슬리브에 대한 내부 부분의 회전이 검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휠 서스펜션이 하나 이상의 다른 각도 검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조인트들 중 하나 이상의 다른 조인트의 하나 이상의 다른 회전 각도가 검출되며, 다른 회전 각도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다른 각도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는 평가 장치에 의해 추가로 하나 이상의 다른 각도 신호를 평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검출 장치에 의해서도 다른 조인트의 다수의, 예컨대 2 또는 3개의 회전 각도가 검출될 수 있다. 다른 조인트가 볼-앤드-소켓 조인트 또는 고무 베어링이면, 이와 관련해서 제 1 각도 검출 장치에 대해 설명된 것이 상응하게 적용된다.
각도 검출 장치가 특히 조인트 내에 통합됨으로써, 제 1 각도 검출 장치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조인트 내에 통합되고 및/또는 다른 각도 검출 장치는 바람직하게 다른 조인트 내에 통합된다.
개선예에 따라, 조인트들은 각각 볼-앤드-소켓 조인트 또는 고무 베어링으로서 형성된다.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는 각도 신호 또는 각도 신호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는 평가 장치에 의해, 예컨대 평가 장치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특성 맵을 사용해서 결정된다. 특성 맵은 특히 미리 검출되고, 바람직하게는 각도 신호들 중 하나 또는 다수의 각도 신호에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가 할당된다. 특히 특성 맵은 예컨대 평가 장치에 속하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평가 장치는 바람직하게 신호를 평가하는 디지털 컴퓨터를 포함한다. 각도 신호들은 특히 전기 신호들이다.
섀시 액추에이터에 의해, 특히 차량 휠의 토우 및/또는 캠버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섀시 액추에이터는 예컨대 차량 휠의 토우를 조절할 수 있는 타이 로드이다. 대안으로서, 섀시 액추에이터는 차량 휠의 캠버를 변경시킬 수 있는 암, 특히 컨트롤이다.
조절 수단은 특히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구동부를 갖는다. 따라서, 섀시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 액티브 섀시 액추에이터이다. 구동부는 유압식으로 형성 및/또는 작동된다. 바람직하게 구동부는 전기식으로 형성되며 특히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의 휠 서스펜션 내의 하나 이상의 조인트의 하나 이상의 회전 각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각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각도 검출 장치를, 차량 휠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너클을 지지체에 관절형으로 연결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휠 서스펜션은 특히 이와 관련해서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휠 서스펜션이다. 바람직하게는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 조절에 의해 차량 휠의 토우 및/또는 캠버가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각도 센서들(각도 검출 장치들)이 섀시 액추에이터(들)와 조합됨으로써, 추가의 거리 센서가 섀시 액추에이터 내에 통합하지 않아도 되며, 예를 들면 액티브 운동학-시스템 내에 삽입된다. 특히, 각도 센서들은 볼-앤드-소켓 조인트 또는 고무 조인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측정된 각은 암의 위치에 대한 추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부터 섀시 액추에이터(들)의 길이가 하나 이상의 특성 맵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액티브 섀시 부품 내에 종래에 사용된 거리 센서를 각도 센서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리 센서들이 더 이상 섀시 액추에이터의 패키지 내에 통합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 공간이 작아지고 달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섀시 액추에이터 또는 그 조절 수단이 유압식으로 작동되면, 시스템의 유압 영역 내에 전기/전자 부품이 생략된다. 또한, 거리 센서를 종래 방식으로 사용하면, 조절 위치 또는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만이 검출되는 반면, 각도 센서들은 섀시의 다른 부분의 위치도 검출할 수 있어서 다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조절 가능한 섀시 액추에이터가 가능한 경제적이고 간단한 방식으로 휠 서스펜션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컨트롤 암의 측면도.
도 3은 각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도 1의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개략도.
도 4는 각도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도 1의 고무 베어링의 개략도.
도 5는 도 1의 평가 장치를 포함하는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서스펜션(1)의 개략도가 도시되고, 휠 지지체(스티어링 너클 2)는 상부 컨트롤 암(3), 하부 컨트롤 암(4) 및 타이 로드(5)를 통해 부분적으로 도시된 차량(7)의 차체(6)에 연결된다. 상부 컨트롤 암(3)은 볼-앤드-소켓 조인트(8)를 통해 휠 지지체(2)에 연결되고, 고무 베어링(9)을 통해 차체(6)에 연결된다. 하부 컨트롤 암(4)은 볼-앤드-소켓 조인트(10)를 통해 휠 지지체(2)에 연결되고, 고무 베어링(11)을 통해 차체(6)에 연결된다. 또한, 타이 로드(5)는 볼-앤드-소켓 조인트(12)를 통해 휠 지지체(2)에 연결되고,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티어링 기어(13)를 통해 차체(6)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 기어(13)에 의해 타이 로드(5)가 그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타이 로드(5)의 이러한 이동은 스티어링 축(14)을 중심으로 휠 지지체(2)의 선회를 야기한다.
휠 지지체(2)에는 타이어 또는 휠(1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휠은 휠 접촉점(16)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로(17)와 접촉한다. 또한, 휠 지지체(2)는 가이드 암(18)을 통해 차체(6)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암(18)은 볼-앤드-소켓 조인트(19)를 통해 휠 지지체(2)에 연결되고 고무 베어링(20)을 통해 차체(6)에 연결된다. 휠 서스펜션(1)은 4 링크-전차축으로서 형성된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티어링 가능한 전차축(21)의 부분이다.
하부 컨트롤 암(4)은 추가로 차량 스프링(22) 및 쇽 업소버(23)를 통해 차체(6)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22) 및 쇽 업소버(23)는 함께 스프링 업소버 유닛(24)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업소버 유닛은 조인트(25)를 통해 하부 컨트롤 암(4)에 고정되며 조인트(26)를 통해 차체(6)에 고정된다.
도 2에는 컨트롤 암(3)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고, 상기 컨트롤 암(3)은 조절 수단(27)을 포함한다. 조절 수단(27)은 볼-앤드-소켓 조인트(8)와 연결된 제 1 부품(28), 및 고무 베어링(9)과 연결된 제 2 부품(29)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 수단(27)은 전기 조절 구동부로서 형성되고 전기 라인(30)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제어된다. 조절 수단(27)의 작동에 의해 제 1 부품(28)은 컨트롤 암(3)의종방향(31)으로 제 2 부품(29)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고, 이는 컨트롤 암(3)의 길이(L)를 변경시킨다. 조절 수단(27)의 제어에 따라, 컨트롤 암(3)이 연장되거나 및/또는 단축되고, 이는 화살표(32)로 표시되어 있다. 컨트롤 암(3)의 연장시, 볼-앤드-소켓 조인트(8)와 고무 베어링(9) 사이의 간격이 커지고, 컨트롤 암(3)의 단축시, 볼-앤드-소켓 조인트(8)와 고무 베어링(9) 사이의 간격이 작아진다. 차량 휠(15)은 직선(33)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이는 휠 캠버를 변화시킨다.
도 3에는 볼-앤드-소켓 조인트(8)의 개략도가 도시되고, 상기 볼-앤드-소켓 조인트(8)는 볼 핀(34) 및 조인트 하우징(35)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 내에 볼 핀(34)이 회전 및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볼 핀(34) 내에 영구자석(36)이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 하우징(35) 내에 자계 감지 센서 어셈블리(37)가 배치된다. 영구자석(36) 및 센서 어셈블리(37)는 함께 각도 검출 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각도 검출 장치는 볼-앤드-소켓 조인트(8)에 통합된다. 조인트 하우징(35)은 상부 컨트롤 암(3)과 연결되고, 볼 핀(34)은 휠 지지체(2)와 연결된다. 볼 핀(34)의 종축(38)은 조인트 하우징(35)의 종축(39)과 각(40)을 형성한다. 센서 어셈블리(37)의 지점에서 영구자석(36)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가 상이한 각도(40)에 의해 변하기 때문에, 센서 어셈블리(37)는 각(40)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전자 평가 장치(41)(도 5 참고)로 전달하고, 상기 평가 장치에 의해 상부 컨트롤 암(3)의 길이(L)가 결정될 수 있다.
도 4에는 내부 부분(42), 및 상기 내부 부분(42)을 둘러싸는 외부 슬리브(43)를 포함하는 고무 베어링(9)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내부 부분(42)과 외부 슬리브(43) 사이에 고무 바디(44)가 놓이고, 상기 고무 바디는 내부 부분(42) 및 외부 슬리브(43)와 고정 연결된다. 고무 바디(44) 내에 영구자석(45)이 배치되고, 내부 부분(42)에 자계 감지 센서(46)가 고정된다. 상기 자계 감지 센서(46)는 영구자석(45)과 함께 제 2 각도 검출 장치를 형성한다. 외부 슬리브(43)는 상부 컨트롤 암(3)과 고정 연결되고, 내부 부분(42)은 차체(6)와 고정 연결되며, 컨트롤 암(3)은 외부 슬리브(43)와 함께 내부 부분(42)의 종축(47)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 경우, 고무 바디(44)가 변형되며, 이는 센서(46)에 대한 자석(45)의 상대 운동을 야기한다. 이로 인해 센서(46)의 지점에서 자석(45)에 의해 발생된 자계가 변하기 때문에, 센서(46)는 선회 각(48; 도 5 참고)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전자 평가 장치(41)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개략적인 블록 회로도를 도시한다. 각(40)을 나타내는 신호가 센서 어셈블리(37)에 의해 평가 장치(41)에 공급되고, 각(48)을 나타내는 신호가 센서(46)에 의해 평가 장치(41)에 공급된다. 평가 장치(41)는 상기 신호들을 기초로 그리고 메모리(49)에 저장된 특성 맵을 기초로 컨트롤 암(3)의 길이(L)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평가 장치(41)는 디지털 컴퓨터(50)를 포함한다.
1 휠 서스펜션
2 휠 지지체/스티어링 너클
3 상부 컨트롤 암/섀시 액추에이터
4 하부 컨트롤 암
5 타이 로드
6 차체
7 차량
8 볼-앤드-소켓 조인트
9 고무 베어링
10 볼-앤드-소켓 조인트
11 고무 베어링
12 볼-앤드-소켓 조인트
13 스티어링 기어
14 스티어링 축
15 휠
16 휠 접촉점
17 도로
18 가이드 암
19 볼-앤드-소켓 조인트
20 고무 베어링
21 차축
22 차량 스프링
23 쇽 업소버
24 스프링 업소버 유닛
25 조인트
26 조인트
27 조절 수단
28 제 1 부품
29 제 2 부품
30 전기 라인
31 상부 컨트롤 암의 종 방향
32 화살표
33 직선
34 볼 핀
35 조인트 하우징
36 영구자석
37 센서 어셈블리
38 볼 핀의 종축
39 조인트 하우징의 종축
40 각
41 평가 장치
42 내부 부분
43 외부 슬리브
44 고무 바디
45 영구자석
46 센서
47 내부 부분의 종축
48 선회 각
49 메모리/특성 맵
50 디지털 컴퓨터
L 섀시 액추에이터의 길이

Claims (10)

  1. 차량용 휠 서스펜션으로서, 지지체(6), 다수의 조인트들(8, 9, 10, 11)의 중간 접속 하에 상기 지지체(6)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스티어링 너클(2), 상기 스티어링 너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차량 휠(15), 상기 조인트들 중 제 1 조인트(8)와 상기 조인트들 중 제 2 조인트(9)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제 1 조인트(8)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너클(2)에 그리고 상기 제 2 조인트(9)에 의해 상기 지지체(6)에 관절형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3), 상기 조인트들 중 하나 이상의 조인트(8)의 하나 이상의 회전 각(40)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각(40)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발생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각도 검출 장치(36, 37), 상기 각도 검출 장치(36, 37)에 결합되어 상기 각도 신호를 평가하거나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장치(41)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3)는 조절 수단(27)을 포함하는 섀시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조절 수단(27)에 의해 상기 섀시 액추에이터(3)의 길이(L), 그로 인해 상기 차량 휠(15)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섀시 액추에이터(3)의 길이(L)는 상기 평가 장치(41)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40)를 평가함으로써 결정되거나 또는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는 차량의 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암(4)이 제공되고, 상기 암(4)은 상기 조인트들 중 제 3 조인트(10)와 상기 조인트들 중 제 4 조인트(11)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제 3 조인트(10)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너클(2)에 그리고 상기 제 4 조인트(11)에 의해 상기 차체(6)에 관절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다른 각도 검출 장치(45, 46)가 제공되고, 상기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해 상기 조인트들 중 하나 이상의 다른 조인트(9)의 하나 이상의 다른 회전 각(48)이 검출되고, 상기 다른 회전 각(48)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다른 각도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섀시 액추에이터(3)의 길이(L)는 상기 평가 장치(41)에 의해 추가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각도 신호를 평가함으로써 결정되거나 또는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검출 장치들의 각각은 상기 조인트들(8, 9) 중 하나의 조인트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들(8, 9)은 각각 볼-앤드-소켓 조인트 또는 고무 베어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장치(41)에 의해 상기 섀시 액추에이터(3)의 길이(L)가 메모리(49)에 저장된 특성 맵(49)을 사용해서 결정되거나 또는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액추에이터(3)에 의해 상기 차량 휠(15)의 토우(toe) 및/또는 캠버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서스펜션.
  9. 차량(7)의 휠 서스펜션(1) 내의 하나 이상의 조인트(8)의 하나 이상의 회전 각(40)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 각(40)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각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각도 검출 장치(36, 37)를, 차량 휠(15)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너클(2)을 차체(6)에 관절형으로 연결하는, 길이 조절 가능한 섀시 액추에이터(3)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액추에이터(3)의 길이(L)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량 휠(15)의 토우(toe) 및/또는 캠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KR1020107014948A 2008-02-29 2009-02-26 차량용 휠 서스펜션 KR20100123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0472A DE102008000472A1 (de) 2008-02-29 2008-02-29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DE102008000472.3 2008-0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819A true KR20100123819A (ko) 2010-11-25

Family

ID=4067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948A KR20100123819A (ko) 2008-02-29 2009-02-26 차량용 휠 서스펜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71756B2 (ko)
JP (1) JP2011513108A (ko)
KR (1) KR20100123819A (ko)
CN (1) CN101959704A (ko)
DE (1) DE102008000472A1 (ko)
WO (1) WO20091060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3298A1 (de) 2010-12-06 2012-06-06 Hyundai Motor Co. Dachvorrichtung für ein Cabri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4811B2 (en) * 2021-04-30 2023-10-24 Zoox, Inc. Determining estimated steering data for a vehicle
US11787393B2 (en) 2021-04-30 2023-10-17 Zoox, Inc. Determining vehicle ride height using a ball joint sensor
CN117565975B (zh) * 2024-01-17 2024-04-1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后倾角的调整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8630A (en) * 1968-05-06 1970-03-03 Charles A Crawford Automatic wheel alignment mechanism for automotive vehicles
US4700972A (en) * 1985-06-20 1987-10-20 Young Colin G Computerized, central hydraulic, electronic variable suspension
JPS62125907A (ja) * 1985-11-28 1987-06-08 Isuzu Motors Ltd 可変サスペンシヨンジオメトリ装置
JPH06183242A (ja) * 1992-12-17 1994-07-0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4309226A1 (de) * 1993-03-23 1994-09-29 Hella Kg Hueck & Co Fahrzeugniveaugeber
JPH08290713A (ja) * 1995-04-25 1996-11-05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DE19539566C1 (de) * 1995-10-25 1997-02-13 Fichtel & Sachs Ag Anordnung zur Steuerung einer Fahrwerk-Einrichtung
DE10134259A1 (de) * 2001-07-18 2003-02-06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Kugelgelenk mit integriertem Winkelsensor
DE10221873A1 (de) 2002-05-15 2003-11-27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Gummilager mit Einfederungssensor
NO322341B1 (no) * 2002-09-25 2006-09-18 Kongsberg Automotive Asa System for avlesning av nivaendring i kjoretoy
DE20306787U1 (de) * 2003-05-02 2004-09-16 Georg Fischer Verkehrstechnik Gmbh Vorrichtung zum Erfassen des Winkels zwischen einer Sattelzugmaschine und einem Sattelanhänger
DE10330894A1 (de) 2003-07-09 2005-02-10 Daimlerchrysler Ag Lenkbares Fahrzeug und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r Fahrtrichtung
DE10339126B4 (de) * 2003-08-22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Winkelsensor
DE10341466B4 (de) * 2003-09-05 2009-12-03 Zf Friedrichshafen Ag Kugelzapfen
DE10350640B4 (de) * 2003-10-29 2005-11-17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07549B4 (de) * 2004-02-17 2016-09-08 Daimler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ktiven Fahrwerksystems
DE102004039781B4 (de) * 2004-08-16 2007-03-29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für ein Kraftfahrzeug
US7036233B1 (en) * 2004-09-21 2006-05-02 Oldenburg Group, Inc. Pivot linkage including a non-contact, rotational angle measurement sensor for heavy machinery
US7159890B2 (en) * 2004-10-06 2007-01-09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Trailer hitch for a motor vehicle
US7826948B2 (en) * 2004-10-15 2010-11-02 Ford Global Technologies Vehicle loading based vehicle dynamic and safety related characteristic adjusting system
DE102004059544B4 (de) * 2004-12-09 2006-11-30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DE102005012245B4 (de) * 2005-03-15 2009-04-02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DE102005028501A1 (de) * 2005-06-17 2007-01-04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DE102006029136B4 (de) * 2006-06-22 2011-04-28 Audi Ag Radaufhängung für ein ungelenktes Hinterrad eines Kraftfahrzeugs
US7570047B2 (en) * 2007-06-18 2009-08-04 Key Safety Systems, Inc. Hall effect based angular position sen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3298A1 (de) 2010-12-06 2012-06-06 Hyundai Motor Co. Dachvorrichtung für ein Cabr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6072A1 (de) 2009-09-03
US20110004374A1 (en) 2011-01-06
DE102008000472A1 (de) 2009-09-24
CN101959704A (zh) 2011-01-26
US8571756B2 (en) 2013-10-29
JP2011513108A (ja)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024B2 (en) Wheel suspension for a vehicle
KR940001480B1 (ko) 2 이상의 견고한 부품 사이의 탄성 연결장치 및 방법
JP3309086B2 (ja) 車体と車輪間の距離測定装置
US7766354B2 (en) Wheel suspension for a vehicle
JP2019523375A (ja) ブレーキパッド摩耗センサ
JP2010508196A (ja) インディペンデント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KR20100123819A (ko) 차량용 휠 서스펜션
CN104276000A (zh) 用于控制侧倾稳定系统的力矩的方法和控制装置
KR102363031B1 (ko) 차량용 높이 측정 장치
KR101434700B1 (ko) 차량용 휠 서스펜션
US20100063678A1 (en) Motion control sensor system for a moving unit and motion control system
JP2008215958A (ja) タイヤ試験装置
US7249418B2 (en) Wheel position sensor
CN217804219U (zh) 具有传感器的车辆悬架系统
EP2473361B1 (en) Wheel suspension arrangement and vehicle comprising a wheel suspension arrangement
JPH04212671A (ja) 自動車の平衡姿勢修正装置
KR100820697B1 (ko) 자동차의 토션 비임 현가장치
US4986568A (en) Vehicle suspension with variable damping
WO20000756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uring driving the friction between the road and the wheel of a vehicle
KR100599570B1 (ko) 토션빔액슬의 토우각 조절장치
JP5421718B2 (ja) 車両駆動軸整列装置
KR20050054573A (ko) 자동차의 지상고 검출장치
KR20050038692A (ko) 차량의 멀티링크 리어서스펜션
SE542016C2 (en) Steer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KR20100031949A (ko) 차고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