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432A - 선박화물 하역설비 - Google Patents

선박화물 하역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432A
KR20100123432A KR1020090042647A KR20090042647A KR20100123432A KR 20100123432 A KR20100123432 A KR 20100123432A KR 1020090042647 A KR1020090042647 A KR 1020090042647A KR 20090042647 A KR20090042647 A KR 20090042647A KR 20100123432 A KR20100123432 A KR 2010012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rgo
carrier
floating harbo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675B1 (ko
Inventor
신현경
윤범상
이주성
임환택
이장명
박홍석
유희윤
오훈
김영수
김정남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67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화물 하역설비에 관한 것으로, 육지로부터 이격하여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에 선박이 접안 가능한 플로팅 하버(floating harbor); 플로팅 하버의 상측에 설치되어,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크레인; 플로팅 하버와 육지를 연결하며, 일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케이블에 이끌려 이동하며, 크레인에 의하여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화물을 나르는 운반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를 제공한다.
선박, 플로팅 하버, 케이블, 운반체

Description

선박화물 하역설비{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ship}
본 발명은 선박화물 하역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 항구로 들어오지 않고 외해 상에서 하역(荷役)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는데, 2015년 완공 예정인 파나마 운하의 증설로 13,000 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이 출현하고 있으며, 3년 내 200여척의 초대형 컨테이너선들이 운항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해상운송시장이 초대형 컨테이너선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는 점은 2008년 현재 우리나라가 수주한 10,000 TEU 이상급 컨테이너선의 잔량만 170척에 이른다는 사실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에 따라 기존 항만보다 혁신적으로 증가된 항만 생산성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항만시설이 미래 항만 경쟁력의 결정적 요인이 될 전망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부산항은 이미 동북아시아 환적 컨테이너 물동량 중 상당 부분을 점유하고 있어 점유율을 더 높이기는 어려우며, 전체 환적 물동량은 중국 항만들의 확장 추세로 인해 정체된 구조적 어려움에 처해 있다.
또한,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서해권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한중일 3국 중 물동량이 가장 작으며,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인근 싱가폴, 상해, 홍콩항 대비 독보적 경쟁력을 갖춘 서해권의 거점 항만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문제는 기존 컨테이너 부두의 수심이 얕고, 크레인 등 하역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대형 컨테이너선의 수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으로, 우리나라가 동북아 해상 물류의 중심 역할을 감당하려면 대형 컨테이너선의 접안이 가능한 또 다른 항만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심한 조수간만의 차이, 얕은 수심 등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접근이 어려운 서해의 열악한 여건을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심이 깊은 외해(外海) 상에서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선박화물 하역설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육지로부터 이격하여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에 선박이 접안 가능한 플로팅 하버(floating harbor); 플로팅 하버의 상측에 설치되어,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크레인; 플로팅 하버와 육지를 연결하며, 일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케이블에 이끌려 이동하며, 크레인에 의하여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화물을 나르는 운반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항만 증설에 필요한 육상 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5,000 TEU급 거대 선박에 필요한 육상 항구의 지형적 제약을 급복할 수 있고, 특히 수심이 얕아 큰 항구를 건설할 수 없는 해역에서도 적용 가능하여, 항만 운영의 효율성과 항만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화물의 운반을 케이블에 의하여 견인되는 운반체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운송수단이 필요 없으며 체계적인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정되고 신속한 하역작업이 가능하다.
셋째, 운반체에는 케이블에 착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클램프가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블에 의한 견인의 조작이 용이하며 운송체가 플로팅 하버 또는 육지에 순조하게 접안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케이블이 플로팅 하버와 육지를 순환하도록 형성하고, 해상에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다수의 부이가 형성되도록 하여, 케이블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운반체를 한쌍으로 형성된 케이블에 의하여 견인되도록 하고, 케이블의 간격 및 위치가 유지되도록 부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여, 운반체의 이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는 육지(200)로부터 이격하여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에 선박(100)이 접안 가능한 플로팅 하버(10, floating harbor);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100)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상기 선박(100)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크레인(20); 상기 플로팅 하버(10)와 육지(200)를 연결하며, 일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케이블(30); 상기 케이블(30)에 이끌려 이동하며, 상기 크레인(20)에 의하여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화물을 나르는 운반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팅 하버(10)는, 바다 위에 떠 있는 구조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상기 선박(100)이 양쪽 측면에 접안하여 동시에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길이와 폭 등의 규격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플로팅 하버(10)를 별도로 제작하는 대신에, 크레인(20)이 설치된 바지선(crane barge)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하버(10)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플로팅 하버(10)는 터그 보트(Tug Boat)에 의해 예인되는 것이 가능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추진체(11)에 의해 스스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선박(100)은 통상의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이 해당될 수 있으며,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테이너 외에 다른 화물을 수송하는 선박(100)이 해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100)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상기 선박(100)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한다. 상기 크레인(20)은 통상의 크레인(Crane)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팅 하버(10) 상에서 안정된 하역을 위하여 갠트리크레인(Gantry Crane), 키크레인(Quay Crane)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선박(100) 또는 운반체(40)에 적재된 화물을 상기 플로팅 하버(10)로 하역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운반체(40)에 직접 하역하거나 상기 선박(100)에 직접 선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플로팅 하버(10)와 육지(20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운반체(40)가 양자 사이에 화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30)은 통상의 케이블카(Cable Car)에서 사용되는 케이블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운반체(40)의 견인시 충분한 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강선(鋼線)이 꼬여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30)은 별도로 마련된 케이블 구동수단(31)에 의하여 상기 플로팅 하버(10)와 육지(200) 사이를 왕복하거나,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운반체(40)를 이동하는 수단으로서 한 줄로 구비되어 상기 운반체(4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나, 두 줄(한 쌍)로 구비되어 상기 운반체(40)의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운반체(40)를 견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운반체(40)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운반체(40)에 적재되는 화물에 방해가 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운반체(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30)은 육지(200)에서 상기 플로팅 하버(10), 또는 상기 플로팅 하버(10)에서 육지(200)의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팅 하버(10)와 육지(200)를 순환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반체(40)는 상기 크레인(20)에 의하여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화물을 운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운반체(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케이블(30)에 결속되어 상기 케이블(30)과 함께 이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운반체(40) 스스로 움직이도 록 하는 구동장치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운반체(40)는 상기 플로팅 하버(10)에 접안되거나 육지(200)에 정박시, 화물의 안정된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에 계류(繫留)되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구동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반체(40)는 상기 케이블(30)에 의하여 육지(200)로부터 상기 플로팅 하버(10)로 이동하여 화물의 하역에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플로팅 하버(10)에 애초부터 마련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운반체(40)는 상기 플로팅 하버(10)와 함께 상기 선박(100)에 접안될 수 있으며, 상기 크레인(20)에 의하여 하역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블(30)에 의하여 이끌려 육지(2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플로팅 하버(10)가 해상에 부유하는 상태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므로, 하역작업을 위해 항만의 바깥쪽 해상에 대기하고 있는 상기 선박(100, 컨테이너선)으로 접근할 수 있고, 특히 항만의 수심이 얕아서 항만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외해(外海) 상에 정박하고 있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쪽으로 이동하여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항만의 물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로팅 하버(10)가 해상의 소정 위치에 미리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박(100)이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일측면에 접안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운반체(40)가 상기 케이블(30)의 구동에 따라 안내되어 상기 플로팅 하버(10)와 육지(200) 사이를 왕복하며 화물의 하역, 선적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별도의 화물운반선이 필요 없게 된다. 상기 케이블(30) 및 운반체(40)는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크기, 하역 조건 등에 따라 복수의 형태로 구비되어 다양한 조합 및 배열을 이룰 수 있으며, 신속한 하역을 가능케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b)와 도4(c)는 도 4(a)에서 도시된 운반체의 일부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에서 상기 운반체(40)에는, 상기 케이블(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클램프(41)가 형성된다.
상기 운반체(40)는 화물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하여 상기 플로팅 하버(10)와 육지(200) 사이를 이동하는데, 기본적으로 상기 케이블(30)에 이끌려 이동하게 된다. 상기 운반체(40)는 이동구간에서는 이동을 하여야 하나, 육지(200) 또는 상기 플로팅 하버(10)에 접안되어 하역 등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고정된 위치에 계류되어야 하며, 이때에는 상기 케이블(30)과 결속이 해제되어야 하는데, 상기 클램프(41)에 의하여 이러한 결속과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클램프(41)는 상기 케이블(30)에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집게와 같이 상기 케이블(30)을 감싸쥐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41)의 작동은 상기 운반체(40)에서 직접 조작하거나 원격조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41)는 상기 운반체(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링크암(42)을 매개로 하여 상기 운반체(4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 블(30)은 두 줄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반체(40)의 폭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데, 상기 클램프(41) 또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3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운반체(40)는 상기 케이블(30)에 결속된 상태로 육지(200) 또는 상기 플로팅 하버(10)를 향하여 예정된 지점(선적, 하역 지점)까지 이동하면, 상기 클램프(41)는 상기 케이블(30)과의 결속이 해제되며, 상기 운반체(40)의 견인이 종료된다.
상기 클램프(41)는, 상기 케이블(30)에 의하여 견인되는 상기 운반체(40)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운반체(4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링크암(42)은 상기 운반체(40)의 전방(이동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암(42)은 상기 운반체(40) 및 클램프(41)에 고정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회동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암(42)은 상기 운반체(40)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운반체(4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운반체(40)의 이동 방향에서 항상 전방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일부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에서 상기 케이블(30) 은, 상기 플로팅 하버(10)와 육지(200)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30)은 육지(200) 또는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수 개로 구비되는 상기 운반체(40)가 양자 사이를 순환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케이블(30)이 순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일부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된 선박화물 하역설비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해상에 부유하며, 상기 케이블(30)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부이(50, buoy);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이(50)는, 상기 케이블(30)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운반체(40)가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벽(51) 및 바닥면(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부이(50)는 해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계류하며 상기 케이블(30)을 지지한다. 상기 부이(50)에는 지지롤러(53)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30)은 상기 지지롤러(53)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지지롤러(53)는 롤러(roller)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이(50)의 일측에 회동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롤러(53)은 상기 케이블(3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로 길고, 가운데가 오목한 형 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이(50)는 상기 케이블(30)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53)는 상기 부이(50)의 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부이(50)는 측벽(51) 및 바닥면(52)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기본적으로 상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30)이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경우에는, 순환하는 케이블(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ㅌ’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부이(50)에 의하여 한 쌍의 상기 케이블(3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안정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부이(50)의 형태적 특성상, 상기 운반체(40)는 상기 부이(50) 내부를 지나가게 되는데, 상기 운반체(40)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상에서 양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케이블(30)을 하나의 부이(5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이(5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플로팅 하버(10)로 이동하는 상기 케이블(30)과 육지(200)로 이동하는 상기 케이블(30) 모두를 하나의 부이(5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a)와 도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하버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에서 상기 플로팅 하버(10)는, 하부에 설치되는 추진체(11)에 의해 자가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팅 하버(10)는 터그 보트(tug boat)에 의해 예인되는 것이 가능하며, 플로팅 하버(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추진체(11)에 의해 스스로 이동할 수도 있는데, 도 7에는 이러한 추진체(11)의 일 예로서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엔진(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플로팅 하버(1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박프로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와 도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에서, 상기 플로팅 하버(10)는 계류수단(12)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계류 및 해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부이(50) 또한 계류수단(54)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계류 및 해제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하역작업은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상측에 다수 설치되는 상기 크레인(20)에 의해 이루어지며, 하역작업 중 상기 플로팅 하버(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 하버(10)는 작업위치에 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이(50) 또한 상기 케이블(3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플로팅 하버(10)에는 계류수단(12)이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닻(anchor)을 이용하여 앵커링(anchoring)하거나, ICMS(Integrated Control & Monitoring System) 등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고 그 위치에 머무를 수 있게끔 제어될 수 있으며, 해저바닥면에 고정되고 해제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는 잭업방식(jack-up)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에는 상기 계류수단(12, 54)이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플로팅 하버(10) 등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플로팅 하버(10) 등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운반체(40) 또한 계류수단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b)와 도4(c)는 도 4(a)에서 도시된 운반체의 일부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일부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화물 하역설비의 일부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서 도시된 선박화물 하역설비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7(a)와 도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하버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8(a)와 도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이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로팅 하버 11 : 추진체
12 : 계류수단 20 : 크레인
30 : 케이블 31 : 케이블 구동수단
40 : 운반체 41 : 클램프
42 : 링크암 50 : 부이
51 : 측벽 52 : 바닥면
53 : 지지롤러 54 : 계류수단
100 : 선박 200 : 육지

Claims (8)

  1. 육지로부터 이격하여 해상에 부유하도록 이루어지며, 일측에 선박이 접안 가능한 플로팅 하버(floating harbor);
    상기 플로팅 하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에 화물을 선적하거나 상기 선박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하는 크레인;
    상기 플로팅 하버와 육지를 연결하며, 일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이끌려 이동하며, 상기 크레인에 의하여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화물을 나르는 운반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체에는, 상기 케이블에 착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클램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플로팅 하버와 육지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개로 구비되어 해상에 부유하며,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부이(buoy);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는, 상기 케이블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운반체가 중앙을 관통할 수 있도록 측벽 및 바닥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하버는, 하부에 설치되는 추진체에 의해 자가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하버와 운반체는 계류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계류 및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는 계류수단에 의해 소정 위치에 계류 및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화물 하역설비.
KR1020090042647A 2009-05-15 2009-05-15 선박화물 하역설비 KR101118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647A KR101118675B1 (ko) 2009-05-15 2009-05-15 선박화물 하역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647A KR101118675B1 (ko) 2009-05-15 2009-05-15 선박화물 하역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432A true KR20100123432A (ko) 2010-11-24
KR101118675B1 KR101118675B1 (ko) 2012-03-06

Family

ID=4340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647A KR101118675B1 (ko) 2009-05-15 2009-05-15 선박화물 하역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647A (zh) * 2017-08-07 2017-12-19 吴惠民 海上集装箱从装船港cy(含中转港)至卸船港cy垂向组合运输
KR102615180B1 (ko) * 2022-10-18 2023-12-19 김정현 석탄재 선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1512A1 (de) * 2007-02-21 2008-08-28 Universität Duisburg-Essen Offshore-container-umladestation als teil eines logistik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647A (zh) * 2017-08-07 2017-12-19 吴惠民 海上集装箱从装船港cy(含中转港)至卸船港cy垂向组合运输
KR102615180B1 (ko) * 2022-10-18 2023-12-19 김정현 석탄재 선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675B1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101118675B1 (ko) 선박화물 하역설비
CN101941510A (zh) 一种提高集装箱(或散杂货)船舶装卸效率的方法及设备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20110062487A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접안 방법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KR20120126999A (ko) 채광용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KR101089283B1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10081662A (ko)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3452A (ko) 조립식 항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하역 시스템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1118677B1 (ko)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100955771B1 (ko)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20100123460A (ko) 이동식 하역장
CN104590501A (zh) 基于物资储运平台实现岛礁环境开发建设的方法及其平台
KR20130050594A (ko) 해상 환적 부유설비
KR101167908B1 (ko) 선체간 연결 슬라이더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JP2001315685A (ja) 浮体式港湾施設の入出港支援装置
KR100976954B1 (ko) 자항바지선박용 자가결합형 추가부력탱크 시스템의결합방법
KR20100097588A (ko)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