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238A -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238A
KR20100119238A KR1020090038245A KR20090038245A KR20100119238A KR 20100119238 A KR20100119238 A KR 20100119238A KR 1020090038245 A KR1020090038245 A KR 1020090038245A KR 20090038245 A KR20090038245 A KR 20090038245A KR 20100119238 A KR20100119238 A KR 20100119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switching unit
rfid tag
vehicle
iden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태
황영수
임국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9238A/ko
Publication of KR2010011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electric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및 작동방법은, 차량 내부에 위치된 승객 좌석에 설치되고,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BCM에 무선으로 송출하는 RFID 태그를 포함하여 승객좌석에 착석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부가 온 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부의 온 상태의 신호를 RFID 태그가 BCM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방막 형태로 형성된 승객식별장치를 구비하고,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칭부와, 승객의 착석 여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RFID 태그를 사용하여 승객의 착석에 따른 스트레스에도 대응할 수 있을 만큼 내구성이 강화되고, 불필요한 와이어와 커넥터를 삭제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방막, 전도부재, RFID 태그, BCM

Description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Device that discriminate passeng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승객좌석 내부에 구비되어 승객의 착석 상태를 판단하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와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SBR(Seat Belt Reminder)이라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어 승객의 착석 여부와 시트 벨트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여 승객이 시트 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경고를 주는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승객이 승객좌석에 착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된 장치가 차량용 승객식별장치로, 법규상에는 5% 여성보다 크거나 무겁거나 한 사람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에는 승객이 탑승하여 착석할 수 있도록 승객좌석이 구비되어 있고, 승객좌석의 내부에는 승객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가 포함되어 있는 매트가 구비된다.
그리고 차량의 내부에는 승객좌석에 승객의 착석 여부에 따라 대시패널에 구비된 경고등 또는 경보음이 작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이 착석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가 포함된 매트 및 시트 벨트가 잠김되는 버클과 연결되어 구비되어 있다.
승객이 차량에 탑승하여 승객좌석에 착석한 후 시트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센서를 이용해 승객의 착석 여부를 판단한 매트와, 시트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한 버클이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신호를 BCM에서 전달받아 차량에 구비된 경보 장치를 통해 시트 벨트 착용에 대한 경고를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승객좌석에 구비된 승객식별장치는 승객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가 매트에 프린팅 되어 사용되는데, 착석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의해서 센서의 균열 등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부품의 교체 시 고객에게 비용이 부담되는 추가적인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승객의 작은 착석에도 균열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강화하여 고객에게 전가되는 비용 추가의 문제점이 해결되도록 하는 승객식별장치를 구비하는데 그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는, 차량 내부에 위치된 승객 좌석에 설치되고,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BCM에 무선으로 송출하는 RFID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RFID 태그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도부재와, 상기 전도부재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도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도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태그는 정보가 기록된 집적회로와, 상기 집적회로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BCM으로 송출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태그는 별도의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은 수동형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는, 방막 형태로 형성된 승객식별장치를 구비하고,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칭부와, 승객의 착석 여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RFID 태그를 사용하여 승객의 착 석에 따른 스트레스에도 대응할 수 있을 만큼 내구성이 강화되고, 불필요한 와이어와 커넥터를 삭제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가 배치된 간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승객 좌석(1)이 설치되어 있고, 승객 좌석(1)의 내부에 설치되고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인가하는 스위칭부(10)와, 스위칭부(10)에 의하여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차량에 구비된 BCM(3)에 무선으로 송출하는 RFID 태그(30)가 포함된다.
스위칭부(10)는 RFID 태그(30)의 상부에 설치되고, 스위칭부(1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전도부재(11)와, 전도부재(11)가 이격될 수 있도록 전도부재(11)의 사이에 배치되고 전도부재(11)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접착부재(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도부재(11)는 카본 또는 실버 프린팅 및 ITO 필름등과 같이 상/하로 배치된 전도부재(11)가 서로 맞닿으면 전기가 인가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다. 한편, 접착부재(13)는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같이 상/하 전도부재(11)를 모두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부에 스위칭부(10)가 배치되는 RFID 태그(30)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집적 회로(31)와, 스위칭부(10)가 온(ON) 상태가 되면 저장된 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BCM(3)으로 송출하는 안테나(33)를 포함한다.
한편, RFID 태그(30)는 별도의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동형 타입의 RFID 태그(30)를 사용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스위칭부(10)와 RFID 태그(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위칭부(10)와 RFID 태그(30)는 매트(20)로 감싸져 있고, 매트(20)는 주로 PET 재질을 사용한다.
차량의 탑승한 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에 승객 좌석(1)이 구비되는데, 승객 좌석(1)에는 승객의 착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승객식별장치(100)가 구비된다.
먼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PCB 회로기판에 RFID 태그(30)의 집적 회로(31)와 안테나(33)가 배치되고, 집적 회로(31)의 상부에는 스위칭부(10)가 배치된다.
접착부재(13)의 상/하 양측에 카본 또는 실버 프린팅 등으로 형성된 전도부 재(11)가 접착되어 구성되는 스위칭부(10)가 집적 회로(31)의 상부에 위치되면 스위칭부(10)가 온(ON) 상태가 되었음을 전달할 수 있도록 스위칭부(10)의 일측과 집적회로(31)가 와이어 및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칭부(10)의 타측은 스위칭부(10)가 온(ON) 상태가 되었을 때 집적회로(31)의 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BCM(3)에 송출할 수 있는 안테나(33)가 와이어 및 커넥터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후, 스위칭부(10)와 RFID 태그(30)는 매트(20)로 감싸진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승객식별장치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차량에 승객이 탑승한 후 차량에 구비된 승객 좌석(1) 승객이 착석을 하는 단계(S210)가 이루어진다. 승객이 착석을 하게 되면 승객의 무게에 의해서 승객 좌석(1)의 내부에 구비된 승객식별장치(100)가 작동을 하게 되는데, 승객의 무게에 의해 스위칭부(10)에서 상측에 구비된 전도부재(11)가 구부러지면서 하측에 구비된 전도부재(11)와 맞닿아 접하여 스위칭부(10)를 온(ON) 상태로 되게 하는 단계(S215)가 이루어진다.
전도부재(11)가 접촉되면, 접촉된 전도부재(11)에 의해서 전기가 인가되고 스위칭부(10)와 연결된 와이어 또는 커넥터를 통해 RFID 태그(30)의 집적회로(31)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스위칭부(10)가 온(ON) 상태가 되었음을 BCM(3)에게 무선으로 송출 하는 단계(S220)가 이루어진다. RFID 태그(30)는 스위칭부(10)에서 인가된 전기에 의해서 집적회로(31)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안테나(33)를 통해 송출하여 스위칭부(10)가 온(ON) 상태가 되었음을 무선 통신으로 알린다.
그리고 BCM(3)은 RFID 태그(30)에서 송출된 정보를 받아 스위칭부(10)가 온(ON) 상태 되었음을 확인하여 승객 좌석(1)에 승객이 착석되었음을 판단하고 차량 내부에 구비된 대시패널(미도시)의 경고등 등을 이용하여 승객이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알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승객식별장치(100)는 전도부재(10)의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와 RFID 태그(30)의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승객 좌석(1)에 승객의 착석 여부를 판단하여 승객이 시트벨트를 착용하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승객 좌석(1)의 내부에 구비된 RFID 태그(30)와 차량에 구비된 BCM(3)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및 커넥터를 삭제하고 무선으로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시트벨트의 착용을 위해 승객의 착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으로 구성되나, 에어백 시스템을 보다 안전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승원감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를 사용하면, 방막형의 승객식별장치를 구비하여 내구성이 강화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가 배치된 간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승객식별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승객 좌석 3: BCM
10: 스위칭부 11: 전도부재
13: 접착부재 30: RFID 태그
31: 집적회로 33: 안테나
100: 승객식별장치

Claims (5)

  1. 차량 내부에 위치된 승객 좌석에 설치되고, 승객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하여 인가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저장되어 있던 정보를 BCM에 무선으로 송출하는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RFID 태그의 상부에 설치된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도부재와;
    상기 전도부재가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도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도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정보가 기록된 집적회로와;
    상기 집적회로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BCM으로 송출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별도의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은 수동형 타입인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KR1020090038245A 2009-04-30 2009-04-30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KR20100119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45A KR20100119238A (ko) 2009-04-30 2009-04-30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45A KR20100119238A (ko) 2009-04-30 2009-04-30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238A true KR20100119238A (ko) 2010-11-09

Family

ID=4340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245A KR20100119238A (ko) 2009-04-30 2009-04-30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9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261A (ko) * 2020-08-12 2020-09-23 (주)키즈소프트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261A (ko) * 2020-08-12 2020-09-23 (주)키즈소프트 탑승자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44579B (zh) 车辆用检测系统
EP2730479B1 (en) Passenger occupancy identification system
US7642907B2 (en) Wireless buckle-up detection using RF technology
JP7083682B2 (ja) 車両用検出システム
US78257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seat belt is worn
US10252695B2 (en) Wireless vehicle seat sensor unit adapted for removable vehicle seats
JP6148092B2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センサユニット及びシート装置
KR20100119238A (ko) 차량용 승객식별장치
JPH11165576A (ja) ワイヤレス伝達装置並びに伝達方法及びモニタ方法
EP3623229A1 (en) Vehicle passenger detection system
KR20160137104A (ko) 차량 사고 인식 장치 및 차량 사고인식 장치를 이용한 차량 사고 알림 시스템
JP7055686B2 (ja) 車両用検出器及び車両用検出システム
WO2017044972A1 (en) Automated vehicle impact detection and collision response system
KR101495770B1 (ko) 승객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50593A1 (en) Safety system for a vehicle with optical signal transmission
CN114802096A (zh) 一种基于微动开关的b面型安全带提醒传感器装置
US8022834B2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JP7094623B2 (ja) 車両用検出器及び車両用検出システム
KR20200122103A (ko) 안전벨트 착용유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02364U (ko) 안전벨트 착용 감지유닛
EP1995124A1 (en) Sensing system for monitoring a predetermined space
KR20140062802A (ko) 승객감지센서
JP2004189151A (ja) 着座検出装置
JP2021030900A (ja) アンテナユニット
KR20130019626A (ko) 승원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