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908A -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 Google Patents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908A
KR20100118908A KR1020090037858A KR20090037858A KR20100118908A KR 20100118908 A KR20100118908 A KR 20100118908A KR 1020090037858 A KR1020090037858 A KR 1020090037858A KR 20090037858 A KR20090037858 A KR 20090037858A KR 20100118908 A KR20100118908 A KR 20100118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deck
joist
rubber
dec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8034B1 (ko
Inventor
남진호
Original Assignee
남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진호 filed Critical 남진호
Priority to KR102009003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0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선과 데크의 체결 부위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소음을 억제하고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에 의한 못뽑이작용을 예방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고정된 지주의 상부에서 상기 지주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멍에; 상기 멍에의 상단에 상기 멍에와 십자 교차하여 형성되는 장선; 상기 장선의 상단에 상기 장선과 십자 교차하여 형성되는 데크; 및 요부(凹部)와 철부(凸部)가 교번하여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과 데크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데크 시스템, 데크 구조, 탄성체, 흡음재, 방음재, 완충재, 소음 방지

Description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Deck Structure with Elastic body}
본 발명은 장선과 데크의 체결 부위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소음을 억제하고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에 의한 못뽑이작용을 예방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의 안쪽 면에 방음재가 코팅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 1b 는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를 참조하면 종래의 소음방지용 데크 플레이트(1)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1)의 바깥면, 즉 설치시 콘크리트와 접촉하는 부위에 방음재(2)가 코팅되어 있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1)의 안쪽 면에도 상기 방음재(2)가 선택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 플레이트(1)는 판재를 구형파 모양으로 볼록부(7)와 오목부(8)가 교호로 반복되게 절곡하되 상기 볼록부(7)와 오목부(8)의 단면은 사다리꼴이며 상기 판재의 표면에는 상기 방음재(2)가 용이하게 접착되게 하기 위하여 돌기(6)와 홈(5)이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볼록부(7)와 오목부(8)의 강도를 증가시 키기 위하여 상기 볼록부(7)의 표면에는 보강 힘살(4)이 판재의 세로변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양끝 단면은 판재가 걸쳐지는 H 형강(3)의 윗면 전체를 덮을 수 있게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소음방지용 데크 플레이트의 경우 상기 데크 플레이트(1)에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상기 방음재(2)를 분사 또는 도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도 1b 를 참조하면 상기 데크 플레이트(1)와 콘크리트가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방음재(2)가 분사 또는 도포되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음방지용 데크 플레이트의 경우,
첫째, 분사 또는 도포에 의해 방음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충격 흡수의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분사 또는 도포에 의해 상기 방음재(2)를 형성할 경우 상기 데크 플레이트(1)의 모든 면에 균일하게 방음재(2)가 형성되기 어려워 방음재(2)가 부족한 부위에서 소음 발생을 막을 수 없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콘크리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1)의 마찰 등으로 인해 상기 방음재(2)가 벗겨질 수 있으며, 얇게 도포된 방음재(2)만으로 소음 방지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셋째, 복수개의 데크 플레이트(1)를 체결 구조에 의해 상호 결합해야 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합된 체결 구조의 체결 이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넷째,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데크 플레이트(1)와 콘크리트에서의 소음 방지 관련 기술로 다른 기술 분야인 목재로 형성되는 데크 등에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따라서 소음 방지와 충격 흡수를 동시에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데크 상호간의 체결 이완 현상을 방지하며 목재의 특성에 적합한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데크의 소음 방지와 고정 수단의 체결 이완 방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데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데크의 탄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충격에 의한 울림파동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소리 파동을 감쇄시키는 데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설치 후 오랜 시간이 지나도 소음이 발생하거나 강도 저하가 일어나지 않고 이에 따른 별도의 보수 작업이 필요 없는 데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된 지주(110)의 상부에서 상기 지주(110)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멍에(120); 상기 멍에(120)의 상단에 상기 멍에(120)와 십자 교차하여 형성되는 장선(130); 상기 장선(130)의 상단에 상기 장선(130)과 십자 교차하여 형성되는 데크(150); 및 요부(凹部)(141)와 철부(凸部)(142)가 교번하여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130)과 데크(15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크(150)의 하면은 요부(凹部)(151b)와 철부(凸部)(152b)가 교번하여 웨이브 형상으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철부(凸部)(142a) 및 요부(凹部)(141a)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140)는 하면의 요부(凹部)(141b)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기 장선(130)이 함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장선(1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데크(150)와 탄성체(140)는 고정 수단(16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고정 수단(160)이 형성되는 부위만 선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140)는 천연고무(Rubber), 발포고무(foamed rubber),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발포 폴리머, 실리콘계 고무, 플라스틱계 고무(PRK)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발포성 폼(foa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140)는 흡음재(143)와 완충재(144)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선(130)과 탄성체(140)의 사이에는 방습 시트(1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크(150)는 생태 습지와 수변 지역의 바닥재용 데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는,
첫째, 분사 또는 도포에 의한 방식이 아니라 탄성체를 결합하며 결합 부위에 는 요홈을 형성하므로 데크의 강도 향상과 음파 분산을 통한 소음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데크 구조 설치후 데크의 지속적인 벤딩으로 인한 고정수단 체결이완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를 결합하면 고정수단의 체결이완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데크와 장선 사이의 탄성체와 요홈 구조로 인해 시스템의 강도와 탄성이 향상되며 오랜 시간동안 별도의 보수 공사 없이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소음 발생에 민감한 장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목재는 뛰어난 탄성과 충격 흡수작용을 갖고 가격이 저렴하며 재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연 친화적이고 재료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과 에너지가 적다. 이러한 목재의 성질로 인해 목재 데크 상단을 보행시 보행자의 관절에 무리가 덜하게 되고 피로감이 적어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목재 소재의 데크는 생태 습지, 수변 지역, 산책로, 생태 공원, 전망대 등지에서 활용될 수 있는데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행자가 지속적으로 데크 상단을 보행하면 목재의 탄성 특성으로 인하여 미세한 벤딩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속적인 벤딩으로 인하여 못 등의 체결 구조의 체결 이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야외에 주로 설치된 목재 데크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건조가 진행되기 때문에 건조된 목재간의 마찰로 인해 삐꺽거리는 소음이 발생하고 보행자의 신발 굽에 의한 소음도 커지게 된다.
종래의 데크 구조에서는 실내외의 바닥면에 목재와 목재간 또는 목재와 금속간 직접 체결되도록 시공하게 되는데, 상술한 목재의 특성으로 인해 소음 발생과 체결 구조의 이완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보수 공사를 요하게 된다. 특히, 산책로나 생태 공원 등지에는 철새나 야생 동물 등의 소음에 민감한 동물이 서식하게 되는데 이들의 거주 환경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실시예 1 의 데크 구조(100)는 지주(110), 멍에(120), 장선(130), 탄성체(140), 데크(150)를 포함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데크 구조(100)는 바닥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의 상부에서 상기 지주(110)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멍에(120)가 체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멍에(120)의 상단에는 상기 멍에(120)와 십자 교차하여 다수개의 장선(joist)(1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선(130)의 상단에는 상기 장선(130)과 십자 교차하여 다수의 데크(deck)(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크(deck)(150)는 보행자의 보행시 바닥면이 되고 상기 데크(deck)(150)와 장선(130)의 사이에는 요부(凹部)(141)와 철부(凸部)(142)가 교번하여 웨이브 형상으로 탄성체(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40)는 천연고무(Rubber), 발포고무(foamed rubber),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발포 폴리머, 실리콘계 고무, 플라스틱계 고무(PRK)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발포성 폼(foam)일 수 있다. 상술한 재질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일실시예로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에 대해 설명한다.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의 결합(Urethane Bond)은 활성 수산기 (-OH)를 갖고 있는 알콜과 이소시아네이트기 (lsocyanate Group, -N = C= O)를 갖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lsocyanate)가 부가중합 반응 (Addition Polycmrization Reaction)에 의해 반응열을 발생시키면서 형성된다. 1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 (NCO Group)를 갖고 있는 이소시아이트류와 1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갖는 알콜류를 다관능기(Polytunctional)라고 하며 관능기가 적정조건 하에서 고온의 열을 발산하면서 (-NHCOO-)의 구조를 가진 화합물질을 생성시키는데 이것을 우레탄결합(Uolyurethane)이라고 하며, 1000이상의 분자가 결합된 것을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라고 한다.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의 MOLD 발포는 금형의 모양대로 발포성형 하는 것이 다른 소재보다 뛰어나고, 가볍고 경도(강도)조절의 폭이 넓으며, 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하다. 또한, 내열, 내유, 내마모, 난연 등의 성분을 조절할 수 있고, 칼라 제품성이 우수하며, 주문자 OEM식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의 MOLD 발포 구성은 폴리올 (Polyol) + 이소시아네이(Isocyanate)경화제 + 촉매(에테르계, 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 (MDI.등)으로 이 분야기술에서 잘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체(140)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다공질의 발포성 폼(foam)으로 형성하며 두께는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데크(150)의 상면에서 발생한 소음과 충격은 상기 철부(凸部)(142)로 전달되며 상기 철부(凸部)(142)에서 상기 탄성체(140)의 전체 면으로 흡수하여 충격파와 음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소음을 최소화하고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체결 구조에 의해 상기 데크(150)와 장선(130)을 체결할 경우 지속적인 벤딩에 의해 체결 구조의 이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탄성체(140)의 삽입에 의해 탄성을 높여 체결 구조의 체결 이완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실시예 2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 의 탄성체와 데크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실시예 2 는 탄성체(140)와 데크(150)를 포함하되 상기 데크(150)의 하면은 상기 탄성체(140)와 마찬가지로 요부(凹部)(151b)와 철부(凸部)(152b)가 교번하여 웨이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 1 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데크(150) 하면의 철부(凸部)(152b)는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요부(凹部)(141a)와 상호 결합되고, 상기 데크(150) 하면의 요부 (凹部)(151b)는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철부(凸部)(142a)와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데크(150) 하면의 철부(凸部)(152b)는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요부(凹部)(141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데크(150) 하면의 요부(凹部)(151b)는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철부(凸部)(142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 1 과 비교하면 실시예 2 에서는 상기 데크(150)와 탄성체(140)의 홈이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실시예 1 에 비해 데크(15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충격파와 음파가 상기 데크(150)로 부터 탄성체(14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소음 방지와 충격 흡수에 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데크 구조(100)의 결합 구조나 상기 탄성체(140)의 재질에 대해서는 실시예 1 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실시예 3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 의 탄성체, 데크, 장선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실시예 3 은 탄성체(140), 데크(150), 장선(1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는 상기 장선(130)이 상기 데크(150) 하면의 철부(凸部)(152b)가 형성되는 부위의 하단에 배치되는 구조이고 도 4b 는 상기 장선(130)이 상기 데크(150) 하면의 요부(凹部)(151b)가 형성되는 부위의 하단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도 4a 를 실시예 3-1이라 하고, 도 4b 를 실시예 3-2 라 한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 1, 2 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 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체(140) 하면의 요부(凹部)(141b)는 상기 장선(130)의 폭 방향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장선(130)의 상단부 즉, 탄성체(140)의 하면과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탄성체(140)에 형성된 요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도 4a 를 참조하면 실시예 3-1 은 상기 데크(150) 하면의 요부(凹部)(151b)와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철부(凸部)(142a)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요부(凹部)(141a)의 형성 위치와 대향면에서 상기 탄성체(140) 하면의 요부(凹部)(141b)와 상기 장선(130)이 상호 결합된다. 도 4b 를 참조하면 실시예 3-2 는 상기 데크(150) 하면의 요부(凹部)(151b)와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철부(凸部)(142a)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철부(凸部)(142a)가 형성되는 부위의 반대면에 상기 탄성체(140) 하면의 요부(凹部)(141b)와 상기 장선(130)이 상호 결합된다. 실시예 2 와 비교하여 상기 탄성체(140)와 장선(130)이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소음 방지와 충격 흡수에 더 유리하다.
실시예 4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4 의 탄성체(140), 데크(150), 장선(130)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 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실시예 4 는 상기 장선(1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을 두고 다수개의 탄성체(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 의 경우 하나의 요홈에 하나의 장선(130)이 대응되는데 실시예 4 에서는 하 나의 장선(130)에 다수개의 요홈이 대응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탄성체(140) 하면에 형성되는 하나의 요부(凹部)(141b) 하단에 또는 하나의 철부(凸部)(142b) 하단에 상기 장선(130)이 상호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탄성체(140) 하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요부(凹部)(141b)와 철부(凸部)(142b) 하단에 상기 장선(130) 상호 결합된다.
실시예 5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5 의 탄성체(140), 데크(150), 고정 수단(160)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실시예 5 는 상기 데크(150)와 탄성체(140)는 고정 수단(16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고정 수단(160)이 형성되는 부위에만 선별적으로 상기 탄성체(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체(140)의 삽입에 의해 체결 구조의 체결 이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살펴본 바와 같다.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데크(150)와 장선(130)이 서로 맞닿는 부분과 상기 고정 수단(160)이 체결되는 부분에만 형성되면 되므로 실시예 5 에서는 상기 탄성체(140)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에만 삽입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6 의 탄성체(14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실시예 6 의 탄성체(140)는 흡음재(143)와 완충재(144)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 에서 탄성체(140)의 재질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충격 흡수와 음파 감쇄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나 실시에 6 에서는 이를 양분하여 각각 소음을 흡수하여 파동을 감쇄시키는 상기 흡음재(143)와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 파동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상기 완충재(144)가 각각 별도로 형성된 뒤 결합된 형태의 탄성체(140)를 일실시예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7 의 탄성체(140)와 장선(130)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실시예 7 은 상기 장선(130)과 탄성체(140)의 사이에 방습 시트(145)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7 에 의하면 상기 탄성체(140)는 소음 방지와 충격 흡수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탄성체(140)에 수분 함량이 높아질수록 음파 파동 감쇄와 충격에 대한 진동 파동 분산 효율이 떨어지므로 상기 방습 시트(145)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체(140)를 건조 상태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 는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의 안쪽 면에 방음재가 코팅된 상태의 사시도.
도 1b 는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의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 의 탄성체와 데크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 의 탄성체, 데크, 장선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4 의 탄성체, 데크, 장선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5 의 탄성체, 데크, 고정 수단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6 의 탄성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7 의 탄성체와 장선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크 플레이트 2 : 방음재
3 : H 형강 4 : 보강 힘살
5 : 홈 6 : 돌기
7 : 볼록부 8 : 오목부
100 : 데크 구조
110 : 지주 120 : 멍에
130 : 장선 140 : 탄성체
141 : 요부(凹部) 142 : 철부(凸部)
141a : 상면의 요부(凹部) 141b : 하면의 요부(凹部)
142a : 상면의 철부(凸部) 142b : 하면의 철부(凸部)
143 : 흡음재 144 : 완충재
145 : 방습 시트
150 : 데크
151b : 하면의 요부(凹部) 152b : 하면의 철부(凸部)
160 : 고정 수단

Claims (9)

  1. 바닥에 고정된 지주(110)의 상부에서 상기 지주(110)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멍에(120);
    상기 멍에(120)의 상단에 상기 멍에(120)와 십자 교차하여 형성되는 장선(130);
    상기 장선(130)의 상단에 상기 장선(130)과 십자 교차하여 형성되는 데크(150); 및
    요부(凹部)(141)와 철부(凸部)(142)가 교번하여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130)과 데크(15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50)의 하면은 요부(凹部)(151b)와 철부(凸部)(152b)가 교번하여 웨이브 형상으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탄성체(140) 상면의 철부(凸部)(142a) 및 요부(凹部)(141a)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0)는 하면의 요부(凹部)(141b)에 대응하는 형상의 상기 장선(130)이 함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장선(1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50)와 탄성체(140)는 고정 수단(16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고정 수단(160)이 형성되는 부위만 선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0)는 천연고무(Rubber), 발포고무(foamed rubber),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발포 폴리머, 실리콘계 고무, 플라스틱계 고무(PRK)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발포 성 폼(fo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0)는 흡음재(143)와 완충재(144)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130)과 탄성체(140)의 사이에는 방습 시트(1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50)는 생태 습지와 수변 지역의 바닥재용 데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KR1020090037858A 2009-04-29 2009-04-29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KR101118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858A KR101118034B1 (ko) 2009-04-29 2009-04-29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858A KR101118034B1 (ko) 2009-04-29 2009-04-29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908A true KR20100118908A (ko) 2010-11-08
KR101118034B1 KR101118034B1 (ko) 2012-02-24

Family

ID=4340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858A KR101118034B1 (ko) 2009-04-29 2009-04-29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0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63B1 (ko) * 2011-05-19 2012-04-17 장익식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267678B1 (ko) * 2021-03-09 2021-06-22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미끄럼 방지용 데크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33B1 (ko) 2017-11-17 2018-06-2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604A (ja) * 1990-11-01 1992-06-17 Nkk Corp 屋内人工スキー場用断熱床構造
KR100810502B1 (ko) * 2004-12-28 2008-03-07 정한석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100735574B1 (ko) * 2006-01-06 2007-07-04 조관호 바닥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563B1 (ko) * 2011-05-19 2012-04-17 장익식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WO2012157812A1 (ko) * 2011-05-19 2012-11-22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267678B1 (ko) * 2021-03-09 2021-06-22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미끄럼 방지용 데크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034B1 (ko) 201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426B2 (en) Sound-insulating floor structures, sound-insulating floor member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id sound-insulating floor structures
KR101118034B1 (ko)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KR200448992Y1 (ko) 구조스프링을 이용한 층간차음재
KR20120003557A (ko) 경량 충격음과 중량 충격음의 흡수를 위한 층간차음재
KR19990053902A (ko) 스틸하우스의 바닥슬라브 제진구조
JP5124108B2 (ja) 制震部材
KR101867933B1 (ko)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63295B1 (ko) 탄성 목재 마루구조
KR20070032769A (ko) 탄성재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완충재
KR20090113011A (ko) 방진 데크플레이트
JP6226687B2 (ja) 遮音床構造
KR101208485B1 (ko)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JP2020100947A (ja) 床構造
ES2907006T3 (es) Suelo flotante
JP4271123B2 (ja) 防音床構造、防音床材と際根太の組合せ及び防音床構造の施工方法
KR100739877B1 (ko)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물
KR100955707B1 (ko) 탄 소성 판이 병렬로 다수 세팅된 브라켓형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RU44127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для пола и пол
JP6817918B2 (ja) 遮音界床構造の構築方法、設計方法および建物の遮音界床構造
KR101124529B1 (ko) 연성강화 복합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JP2006328896A (ja) 防振際根太及び防振際根太の施工方法
JP2009035925A (ja) 建物の防音システム
KR100515931B1 (ko) 건축물 벽체의 방음방진구조
KR101270980B1 (ko) 탄성을 부여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 데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성데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