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485B1 -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485B1
KR101208485B1 KR1020100075149A KR20100075149A KR101208485B1 KR 101208485 B1 KR101208485 B1 KR 101208485B1 KR 1020100075149 A KR1020100075149 A KR 1020100075149A KR 20100075149 A KR20100075149 A KR 20100075149A KR 101208485 B1 KR101208485 B1 KR 101208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ock
impact
wood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022A (ko
Inventor
이경범
Original Assignee
애드케이조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케이조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드케이조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4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목재 데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보행 및 뛰는 행동시, 사용자의 발과 직접접촉되며, 목재의 질감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목재 베이스층(100)과;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 밀착형성되며, 외부충격에 의한 충격량에 따른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울림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1차 흡수하도록 다수의 미세공극(210)이 형성된 충격흡수 발포층(200)과;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밀착결합되고,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충격이 2차 흡수되어 하부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변형이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 상으로 인가되도록 형성된 충격완충탄성층(300)과;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도포되어 상기 충격완충탄성층(300)이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마련된 발포접착층(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A WOOD DECK FOR IMPACT ABSORBER}
본 발명은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 데크 하부면으로 충격흡수 발포층과 충격완충탄성층을 형성하여 목재로만 구성된 데크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및 반복되는 피로 충격 및 외부 기후환경에 의한 습도에 따라 목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보호하여 내구성 향상과 사용자의 하체 관절을 보호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친환경과 웰빙이라는 붐이 일면서, 등산로, 공원 내에 설치한 산책로, 호수 주변, 그리고 건축물의 내외장재, 실내의 바닥면, 어린이용 조합놀이기구의 계단 및 바닥 등에 자연친화적일 뿐 아니라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조립식 목재 데크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조립식 목재 데크는 내구성이 탁월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보행시 탄력성 및 충격흡수 기능이 좋아서 피로감을 덜 느끼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립식 목재 데크는 구조물 설치시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하부구조물을 일정 형태로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의 데크를 조립식으로 끼워 맞춘 후, 볼트,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부구조물과 목재 데크를 결합 및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목재 데크는 설치한 후 우천시나 강한 햇빛에 오랜 기간 노출됨에 따라 특히 우천시에 목재 데크가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건조되는 반복과정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휘어지게 되어 사실상 내구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이를 보수하기 위한 인력과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여 유지보수비용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목재데크는 목재의 특성상 보행 등 목재 데크상에서 걷거나 뛰는 등의 행동시, 충격에 의한 울림현상이 발생되어 상당한 소음을 유발과 반복되는 충격에 의해 조립부 이음새의 노화 및 결합이 헐거워져 소음이 발생하고, 이는 주변사람에게 청각적 불쾌감을 주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더욱이, 목재 데크가 설치된 구조물 상에서 계속해서 걷고, 뛰고 하는 등의 행동에 의해 목재 데크는 계속적인 피로충격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목재 데크가 파손되는 문제점과 목재 데크의 목재 재질에 의해 파손시, 파손되는 부위가 상당히 날카롭게 형성되어 날카롭게 파손된 부분에 사용자의 신체가 상해를 입는 등의 안전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사용자가 걷고 뛰고 하는 등의 행동에 따라 사용자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정도의 충격흡수가 불가능하여 사용자 관절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해로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목재 데크 하부면으로 충격흡수 발포층과 충격완충탄성층을 형성하여 목재로만 구성된 데크로부터 충격에 따른 울림과 조립부 이음새의 노후화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을 최소로 낮추어 주변 소음공해의 발생을 억제하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보행 및 뛰는 행동 등에 의해 반복되는 피로 충격 및 외부 기후환경에 의한 습도에 따라 목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보호하여 내구성 향상과 사용자의 하체 관절을 보호하여 사용자 건강을 지킬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는 구조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목재 데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보행 및 뛰는 행동시, 사용자의 발과 직접접촉되며, 목재의 질감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목재 베이스층(100)과;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 밀착형성되며, 외부충격에 의한 충격량에 따른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울림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1차 흡수하도록 다수의 미세공극(210)이 형성된 충격흡수 발포층(200)과;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밀착결합되고,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충격이 2차 흡수되어 하부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변형이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 상으로 인가되도록 형성된 충격완충탄성층(300)과;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도포되어 상기 충격완충탄성층(300)이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마련된 발포접착층(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충격완충탄성층(300)은 상기 발포접착층(400)이 도포된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 복원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형성된 내후성 우레탄층(310)과; 상기 내후성 우레탄층(310) 하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되도록 마련된 연질 우레탄층(320)과; 상기 연질 우레탄층(320) 하부면에 도포되고,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도록 마련된 우레탄 프라이머층(33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넌슬립 요철(10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은 우레탄 발포되어 다수의 미세공극이 형성된 우레탄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목재 데크 하부면으로 충격흡수 발포층과 충격완충탄성층을 형성하여 목재로만 구성된 데크로부터 충격에 따른 울림과 조립부 이음새의 노후화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을 최소로 낮추어 주변 소음공해의 발생을 억제하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보행 및 뛰는 행동 등에 의해 반복되는 피로 충격 및 외부 기후환경에 의한 습도에 따라 목재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보호하여 내구성 향상과 사용자의 하체 관절을 보호하여 사용자 건강을 지킬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의 도 1의 "A"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의 전체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의 도 1의 "A"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어린이용 조합놀이기구의 계단, 바닥면 또는 건축물의 바닥재, 구조물의 바닥재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소음방지 및 사용자가 보행 및 뛸 경우 하체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구조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목재 데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목재 데크는 소음방지 및 충격완충 뿐만 아니라 수분에 의한 목재의 뒤틀림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충격에 대한 뛰어난 완충능력으로 목재의 파손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목재와 같은 날카로운 파손부가 발생되지 않음과 함께 충격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베이스층(100), 충격흡수 발포층(200), 충격완충탄성층(300), 발포접착층(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보행 및 뛰는 행동시, 사용자의 발과 직접접촉되며, 목재의 질감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은 외부 충격을 직접 전달 받는 것이며, 목재의 질감특성을 그대로 나타내어 친환경적 장식미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넌슬립 요철(10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행 및 뛰는 행동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은 외부충격에 의해 전술한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에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목재 울림현상 등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을 1차 흡수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 하부면에 밀착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은 외부충격에 의한 충격량에 따른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울림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1차 흡수하도록 다수의 미세공극(210)이 형성된다. 즉, 다수의 미세공극(210)에 공기가 충진되어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감과 함께 충격이 흡수되고, 외부 충격이 상쇠되면 다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원상복귀된다.
예를 들면 마치 스포이드의 고무흡입부와 같이 평소에는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면 형상이 변형됨과 함께 내부에 있는 공기가 배출되고, 다시 가압력을 해제하면 복원되는 고무흡입부에 의해 외부공기가 내부로 흡입되어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은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은 우레탄 발포되어 다수의 미세공극이 형성된 우레탄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완충탄성층(300)은 전술한 목재 베이스층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충격흡수 발포층(200)을 통해 소음방지와 함께 1차 흡수되고 전달되는 충격을 2차 완충흡수하여 하부구조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충격에 의한 변형이 본 발명의 목재 데크에 충격이 가해지기 전 상태로 복귀탄성력이 작용하여 원상복귀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후성 우레탄층(310), 연질 우레탄층(320), 우레탄 프라이머층(330)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후성 우레탄층(310)은 사용자가 보행 또는 뛰는 행동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목재 베이스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 충격에 의해 본 발명의 목재 데크가 뒤틀리는 등의 변형상태를 다시 충격이 가해지기 전 상태로 복귀되도록 복원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후술되는 발포접착층(400)이 도포된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내후성 우레탄층(310)은 형상이 기억된 상태로 복원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고밀도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질 우레탄층(320)은 외부충격이 하부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보행 또는 뛰는 행위시 발생되는 충격과 반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하체 관절에 충격이 반발력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하체관절의 건강을 도모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상기 내후성 우레탄층(310) 하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질 우레탄층(320)은 앞서 상술한 충격흡수 발포층(200)과 함께 충격흡수 및 완충과 사용자의 하체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저밀도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 프리이머층(330)은 상기 연질 우레탄층(320) 하부면에 도포되고,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발포접착층(400)은 전술한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도포되어 상기 충격완충탄성층(300)이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는 어린이용 조합놀이 시설의 계단 및 바닥재, 건축물의 바닥재, 구조물의 바닥재 등에 사용시,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 구조물에 본 발명의 충격 흡수용 목재데크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목재데크를 설치한 후, 사용자가 보행 또는 뛰는 등의 행동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에 충격이 가해진다. 이때,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은 일정부분 충격흡수와 함께 충격량이 주변으로 전달되면서 충격이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부위가 아래측으로 압축되면서 충격이 전달된다.
여기서, 목재 베이스층(100)은 충격과 함께 충격에 의한 목재의 울림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 하부면에 밀착결합된 충격흡수 발포층(200)의 다수의 미세공극(210)으로 분산되어 울림현상이 상쇠된다. 그리고, 충격이 직접적으로 발생되어 전달되는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의 미세공극(210)은 가압되어 미세공극(210) 내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면서 충격이 흡수된다.
이후,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에 의해 1차 상쇠된 충격은 발포접착층(400)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밀착 접착된 충격완충탄성층(300)에 의해 2차 상쇠된다. 즉, 충격완충탄성층(300)의 내후성 우레탄층(310)으로 전달된 충격은 내후성 우레탄층(31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다시 충격흡수 발포층(200)으로 일정 부분 충격을 반발시키고, 나머지 충격은 연질 우레탄층(320)에 의해 하부구조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2차 완충하여 충격이 구조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상기 내후성 우레탄층(31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된 목재 베이스층(100)의 충격이 가해진 부분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고, 충격흡수 발포층(200)과 충격완충탄성층(300)에 의해 충격이 최소로 상쇠되어 사용자의 하체 관절에 충격이 다시 전달되어 건강을 해치는 것이 최소화된다.
또한, 충격흡수 발포층(200)의 미세공극(210)에 의해 목재의 울림현상이 방지되어 소음이 방지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며, 계속적이 피로충격으로 인해 목재 데크의 파손시 충격흡수 발포층(200)과 충격완충탄성층(300)에 의해 파손부위가 쉽게 노출되지 않아 파손에 따른 사용자 안전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목재 데크는 소음방지, 충격흡수 및 사용자의 안전성, 구조물의 내구성이 증대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100 : 목재 베이스층 102 : 넌슬립 요철
200 : 충격흡수 발포층 210 : 미세공극
300 : 충격완충탄성층 310 : 내후성 우레탄층
320 : 연질 우레탄층 330 : 우레탄 프라이머층
400 : 발포접착층

Claims (4)

  1. 구조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부구조물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목재 데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보행 및 뛰는 행동시, 사용자의 발과 직접접촉되며, 상부면에는 다수의 넌슬립 요철(102)이 형성되고, 목재의 질감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목재 베이스층(100)과;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에 밀착형성되며, 외부충격에 의한 충격량에 따른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울림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1차 흡수하도록 우레탄을 발포하여 다수의 미세공극(210)이 형성된 우레탄폼으로 형성된 충격흡수 발포층(200)과;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밀착결합되고,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충격이 2차 흡수되어 하부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에 의한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의 변형이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상기 목재 베이스층(100) 상으로 인가되도록 형성된 충격완충탄성층(300)과;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도포되어 상기 충격완충탄성층(300)이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마련된 발포접착층(400);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충격완충탄성층(300)은 상기 발포접착층(400)이 도포된 상기 충격흡수 발포층(200) 하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 복원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형성된 내후성 우레탄층(310)과; 상기 내후성 우레탄층(310) 하부면에 대응되어 결합되고,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되도록 마련된 연질 우레탄층(320)과; 상기 연질 우레탄층(320) 하부면에 도포되고, 상기 하부구조물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도록 마련된 우레탄 프라이머층(33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75149A 2010-08-04 2010-08-04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KR10120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49A KR101208485B1 (ko) 2010-08-04 2010-08-04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49A KR101208485B1 (ko) 2010-08-04 2010-08-04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022A KR20120013022A (ko) 2012-02-14
KR101208485B1 true KR101208485B1 (ko) 2012-12-05

Family

ID=4583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149A KR101208485B1 (ko) 2010-08-04 2010-08-04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33B1 (ko) 2017-11-17 2018-06-2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64B1 (ko) * 2018-03-22 2020-04-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체
KR102160383B1 (ko) 2020-05-28 2020-09-29 황인준 충격흡수 가능한 합성목재 데크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65B1 (ko) * 2002-12-30 2005-04-18 이정구 폴리우레탄계 층간차음재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65B1 (ko) * 2002-12-30 2005-04-18 이정구 폴리우레탄계 층간차음재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933B1 (ko) 2017-11-17 2018-06-2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022A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0283C (zh) 弹性地板面层
KR101208485B1 (ko) 충격 흡수용 목재 데크
CN102864897A (zh) 一种防滑缓冲木地板
KR200449138Y1 (ko) 목재 결속용 고정구
KR101867933B1 (ko)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03056B1 (ko) 공동주택 세대현관의 안전바닥패널
JP2010037870A (ja) 衝撃吸収床構造および衝撃吸収ユニット
KR200467315Y1 (ko) 층간소음방지용 슈즈
KR101269503B1 (ko) 건축물 벽체에 구비된 충격 흡수부재
CN206917194U (zh) 壁球馆地板结构
KR101118034B1 (ko) 탄성체를 구비한 데크 구조
KR101476327B1 (ko)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67181B1 (ko) 흡착식 바닥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구조
KR200492206Y1 (ko) 층간소음 완화매트
JP2008007961A (ja) 緩衝材及び床仕上材
CN202744920U (zh) 一种新型拼接式地板模块
JP2007332280A (ja) ゴム製緩衝材と木部との接着方法および床構造
CN205368946U (zh) 复合型弹力球场
CN214144529U (zh) 一种用于运动木地板的高弹性承载板
EP4067601B1 (en) Flooring-material system
KR20150080892A (ko) 충격 진동 흡수 시트
US20230096329A1 (en) Impact absorbing flooring
JPH0450766Y2 (ko)
JP2007009686A (ja) 弾力性床面
CN211572405U (zh) 一种篮球馆木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