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642A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642A
KR20100116642A KR1020107019074A KR20107019074A KR20100116642A KR 20100116642 A KR20100116642 A KR 20100116642A KR 1020107019074 A KR1020107019074 A KR 1020107019074A KR 20107019074 A KR20107019074 A KR 20107019074A KR 20100116642 A KR20100116642 A KR 20100116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gas
applicator
gap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729B1 (ko
Inventor
고오이찌 하야까와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0160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11664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61M13/003Blowing gases other than for carrying powders, e.g. for inflating, dilating or ri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31Steering mechanisms with preformed b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61B2017/00495Surgical glue applicators for two-component gl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82General structural features
    • A61B2017/00991Telescop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33Cannulas with different outer diameters of th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2005/00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gases, e.g. C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4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two or more concentrically arranged tubes for forming a concentric cathet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도포구는 생체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도포구이며, 장척 형상의 노즐 본체와, 노즐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액체가 분출되는 노즐 헤드를 갖고, 노즐 본체의 선단부에, 만곡 또는 굴곡되어, 가요성을 갖는 만곡부가 형성된 노즐과, 노즐 본체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만곡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만곡부의 굴곡의 각도를 바꾸고, 노즐 헤드의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조정하는 외관을 구비하고, 외관과 노즐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간극은 체강 내의 체내압이 상승했을 때, 당해 간극을 통해 체강 내의 기체를 체외로 배출하는 배기로로서 기능한다.

Description

도포구 {APPLICATOR}
본 발명은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2종 이상의 액체를 혼합하여 환부 등에 분사하여, 유착 방지재나 생체 조직 접착재 등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고, 그것을 위한 도포구가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포구는, 혼합하면 응고되는 성분끼리, 예를 들어 트롬빈을 함유하는 용액과 피브리노겐을 함유하는 용액을 서로 분별한 상태에서, 환부 부근까지 보내어, 환부에서 혼합하면서 도포한다고 하는 구성에 의한 것이다.
종래의 도포구로서는, 다른 종류의 액체를 각각 함유하는 2개의 시린지와, 각 시린지로부터의 액체를 혼합하여(이하, 「혼합액」이라고 함) 분출하는 노즐을 갖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도포구는, 노즐이, 무균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원과 접속되어 있고, 이 무균 가스와 함께 액체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강경하 수술에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도포구를 사용하는 경우, 미리 복벽에 유치된(고정된) 트로카(trocar)관을 통해, 도포구의 노즐을 복강 내에 삽입한다. 이 노즐이 향하는 방향은, 당해 노즐을 생체 내에 삽입했을 때의 삽입 방향과 동일하므로, 이 방향을 향해, 즉 일방향으로밖에 혼합액을 분출할 수 없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도포구에서는, 복강 내의 좁은 범위, 즉 상기 일방향(노즐이 향하는 방향)에 존재하는 목적 부위밖에 혼합액을 도포할 수 없어, 광범위에 걸친 혼합액의 도포는 불가능했다.
또한, 복강경하 수술에서는, 트로카관을 통해, 무균 가스가 복강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복강 내의 기복압(氣服壓)이 상승하여, 당해 복강이 팽창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도포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액이 무균 가스와 함께 노즐로부터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분출된 무균 가스에 의해, 복강 내의 기복압이 더욱 상승하여, 당해 복강이 과잉으로 팽창되어 버린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8236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또는 분말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광범위에 걸쳐서 도포할 수 있고, 그것과 함께 분출한 가스에 의한 체강 내의 체내압의 상승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도포구이며,
장척 형상의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액체가 분출되는 노즐 헤드를 갖고,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에, 만곡 또는 굴곡되어, 가요성을 갖는 만곡부가 형성된 노즐과,
상기 노즐 본체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만곡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만곡부의 형상을 교정하여, 상기 노즐 헤드의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조정하는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체강 내의 체내압이 상승했을 때, 당해 간극을 통해 상기 체강 내의 기체를 체외로 배출하는 배기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이에 의해, 액체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광범위에 걸쳐서 도포할 수 있고, 그것과 함께 분출된 가스에 의한 체강 내의 체내압의 상승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외관은 그 선단이 개방되어, 상기 간극에 연통하는 선단 개구부를 갖고,
상기 선단 개구부는 상기 체강 내의 기체가 상기 간극 내로 유입되는 유입구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체강 내의 기체가 간극 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외관은 그 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간극에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측구멍을 갖고,
상기 측구멍은 상기 간극을 통과한 기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극 내의 기체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외관은 상기 측구멍을 상기 외관의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관의 기단부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이동 조작할 때에, 측구멍이 손가락에 의해 막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측구멍을 통해, 간극을 통과한 기체를 보다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외관은 그 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간극에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측구멍을 갖고,
상기 측구멍은 상기 체강 내의 기체가 상기 간극 내로 유입되는 유입구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체강 내의 기체가 간극 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노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외관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의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간극의 도중에 상기 노즐 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관의 내주면 중 한쪽의 면에 대해 고정되고, 다른 쪽의 면에 접촉하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의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간극을 그 도중에 밀봉하는 것이고,
상기 외관에는, 상기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기단부측의 부분에, 상기 간극에 연통하는 측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측구멍으로부터는, 기체가 간극 내로 들어가므로, 그 기체를 확실하게 배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간극의 간극 거리를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관의 내주면과 노즐 본체의 외주면이 접하여, 간극의 도중이 폐색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기체를 간극을 통해 보다 확실하게 배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간극의 도중에 상기 노즐 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관의 내주면 중 한쪽의 면에 돌출 형성되고, 다른 쪽의 면에 접촉하는 돌기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의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노즐 헤드는 그 축선과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이 일치할 때에, 상기 외관의 선단 개구부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의 축선과 노즐 본체의 축선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끼워 맞춤부에는 상기 노즐 헤드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1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 헤드의 축선과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이 일치할 때,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체강 내의 기체가 상기 간극으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의 축선과 노즐 본체의 축선이 일치했을 때라도, 홈에 의해, 외관의 선단 개구부의 전체가 노즐 헤드에 덮이는(막히는) 것이 방지되어, 당해 홈을 통해, 간극이 생체 내와 연통한다. 이에 의해, 생체 내의 기체가 홈을 통해, 간극으로 확실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만곡부는 외력을 부여하지 않는 자연 상태에서 상기 노즐 헤드가 기단부측을 향할 정도로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단부측으로도 액체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만곡부는 상기 자연 상태에서 형상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즐 헤드의 축선과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이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고,
상기 노즐은 상기 만곡부의 일부를 상기 외관에 수납하고, 당해 만곡부의 만곡의 정도를 상기 자연 상태일 때보다도 작게 하고, 이 상태에서 기단부측을 향해 상기 노즐 헤드로부터 액체 및 기체를 분출하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단부측으로도 액체를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액체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액체가 통과하는 액체 유로와,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가스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유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로부터 액체와 가스를 일괄하여 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도포구이며,
장척 형상의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분말이 분출되는 노즐 헤드를 갖고,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에, 만곡 또는 굴곡되어, 가요성을 갖는 만곡부가 형성된 노즐과,
상기 노즐 본체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만곡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만곡부의 형상을 교정하여, 상기 노즐 헤드의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조정하는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체강 내의 체내압이 상승했을 때, 당해 간극을 통해 상기 체강 내의 기체를 체외로 배출하는 배기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이다.
이에 의해, 분말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광범위에 걸쳐서 도포할 수 있고, 그것과 함께 분출된 가스에 의한 체강 내의 체내압의 상승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노즐의 외주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극의 탄성체보다도 선단측의 부분과, 간극의 탄성체보다도 기단부측의 부분이, 간극의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 즉 탄성체끼리의 사이를 통해 연통한다. 따라서, 시스의 선단 개구부로부터도 기체가 간극 내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노즐의 외주 방향을 따른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관의 노즐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기체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생체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기체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노즐 본체의 기단 외주부에 형성되고, 그 외경이 기단 방향을 향해 점증한 테이퍼면과, 상기 외관의 내주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외관이 이동하고,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외관의 내주면이 접근ㆍ이격하고, 상기 간극의 간극 거리가 변화됨으로써 작동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생체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기체의 배출량을 용이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노즐을 트로카관에 삽입 관통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트로카관으로부터 노즐의 노즐 헤드를 돌출시킴으로써, 당해 노즐 헤드를 생체 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트로카관은 관상체와, 상기 관상체의 기단부에 설치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을 삽입 관통 가능한 밸브체를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로카관을 통해 가스를 생체 내에 공급하는 경우, 트로카관에 노즐이 삽입된 상태라도, 가스가 트로카관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가스가 효율적으로, 생체 내에 확실하게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외관의 상기 트로카관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관의 기단부가 트로카관 내로 본의 아니게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에서는, 상기 트로카관은 관상체와, 상기 관상체의 기단부에 설치된 허브를 갖는 것이고,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외관의 기단 외주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허브의 기단부에 접촉하는 돌기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관의 기단부가 트로카관 내로 본의 아니게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1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도포구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도포구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노즐의 선단측의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중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노즐 및 외관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3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3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포구(제4 실시 형태)의 선단측의 부분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5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5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도포구의 선단측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도포구의 선단측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도포구(제6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도포구(제6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6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7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 중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포구를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적합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1 실시 형태)의 사용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종단면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하는 도포구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도포구에 있어서의 노즐의 선단측의 부분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 중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사정상, 도 1 내지 도 4 중(도 7 내지 도 1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임)의 좌측을 「선단」, 우측을 「기단(후단)」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1)는, 예를 들어 복강경하 수술 시에, 복강(500) 내에 삽입하여, 액 조성이 다른 2종의 액체[제1 액체(L1), 제2 액체(L2)]를 혼합하면서, 그 혼합물을 장기나 복벽(501) 등에 도포하는 것이다. 도포구(1)의 복강(500) 내로의 삽입은 복벽(501)에 미리 유치된 트로카관(40)을 통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포구(1)의 노즐(4)을 트로카관(40) 내에 삽입하고, 그 트로카관(40)으로부터 노즐(4)의 노즐 헤드(42)를 돌출시킴으로써, 도포구(1)[노즐 헤드(42)]를 복강(500) 내로 삽입할 수 있다.
도포구(1)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트로카관(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로카관(40)은 관상을 이루는 본체부(관상체)(401)와, 본체부(401)의 기단부에 설치된 허브(402)를 갖고 있다.
본체부(401)는 그 선단 및 기단이 개방된 것이다. 본체부(401)의 선단 개구부(403)는 본체부(401)의 축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트로카관(40)의 선단부가, 당해 트로카관(40)을 선단측으로부터 복강(500) 내로 삽입하는 데 용이한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트로카관(40)의 복강(500) 내로의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허브(402)는 내경 및 외경이 본체부(401)보다도 직경 확장된 부위이고, 본체부(401) 내에 연통되어 있다.
허브(402)의 외주부에는 가스 공급 포트(40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스 공급 포트(404)는 튜브(302a)를 통해 가스 봄베(가스 공급 수단)(300a)와 접속되어 있다. 가스 봄베(300a)로부터 공급된 가스(무균 가스)(G1)는 튜브(302a), 가스 공급 포트(404), 허브(402) 내, 본체부(401) 내를 차례로 통과하여, 복강(500) 내에 공급된다(도 1 참조). 이 가스(G1)의 공급에 의해, 복강(500) 내의 기복압이 대기압보다도 8 내지 12㎜Hg 정도 상승하여, 당해 복강(500)이 팽창된다. 이에 의해, 복강(500)은 복강경하 수술을 실시하는 데 충분한 크기로 된다. 또한, 가스 봄베(300a)는 후술하는 가스 봄베(300b)와 동일한 구성으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허브(402)의 기단 개구부(405)에는 당해 기단 개구부(405)를 덮도록 덕빌 밸브(duck-bill valve)(밸브체)(406)가 설치되어 있다. 덕빌 밸브(406)는 도포구(1)가 트로카관(4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폐쇄되고, 도포구(1)가 삽입되면 개방되는 것이다. 이 덕빌 밸브(406)에 의해, 도포구(1)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가스(G1)가 기단 개구부(405)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가스(G1)가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복강(500) 내에 공급된다.
또한, 본체부(401) 및 허브(402)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각각을 별체로 구성하여, 이들 별체끼리가 연결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구(1)는 액 조성이 다른 2종의 액체[제1 액체(L1), 제2 액체(L2)]를 혼합하면서 도포하는 것이다(도 1 내지 도 3 참조). 도포구(1)는 제1 액체(L1)를 수납하는 제1 시린지(액체 공급 수단)(2)와, 제2 액체(L2)를 수납하는 제2 시린지(액체 공급 수단)(3)를 각각 장전하여 사용된다. 제1 시린지(2)와 제2 시린지(3)는 대략 동일한 구성이므로, 대표적으로 제1 시린지(2)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시린지(2)는 외통(21)과, 외통(21) 내에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가스킷(24)과, 가스킷(24)을 외통(21)의 길이 방향(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조작하는 가압자(pusher)(26)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킷(24)은 가압자(26)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외통(21)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선단측 저부의 중앙부에는, 외통(21)의 바디부에 대해 직경 축소한 직경 축소부(개구부)(22)가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외통(21)의 후단 외주에는 플랜지(2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통(21)의 외주면에는 액량을 나타내는 눈금이 붙어 있다.
외통(21)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트로카관(40)에 대한 설명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은 각종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통(21)의 구성 재료는, 내부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외통(21) 내에는 탄성 재료로 구성된 가스킷(24)이 수납되어 있다. 가스킷(24)의 외주면이 외통(21)의 내주면에 밀착하면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외통(21) 내를 액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제1 액체(L1)를 개구부(22)를 향해 압출할 수 있다.
가스킷(24)의 이동은 가압자(26)를 이동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가압자(26)는 장척의 부재이고, 그 단부측에는 원반 형상의 플랜지(2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시린지(2)는 도포구(1)에 장전되기 이전에, 외통(21)과 가스킷(24)으로 둘러싸인 공간[저액(貯液) 공간]에, 제1 액체(L1)가 충전된다. 제2 시린지(3)에는 외통(21)과 가스킷(24)으로 둘러싸인 공간(저액 공간)에, 제2 액체(L2)가 충전된다.
제1 시린지(2)에 충전되는 제1 액체(L1)와, 제2 시린지(3)에 충전되는 제2 액체(L2)는 그들의 조성(성분)이 다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는 도포구(1)의 용도, 사용 목적, 증례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예를 들어, 생체 조직 접착재의 투여에 사용하는 경우,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 중 한쪽은, 트롬빈을 함유하는 액체, 다른 쪽은 피브리노겐을 함유하는 액체로 할 수 있다.
또한, 유착 방지재의 투여에 사용하는 경우,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 중 한쪽은 석신이미딜기로 수식한 카르복시메틸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액체, 다른 쪽은 pH 조정제인 인산 수소2나트륨을 함유하는 액체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합의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는, 그들을 혼합하면, 변질, 즉 겔화된다. 겔화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가 혼합된 것(이하, 「혼합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이, 도포된 생체 조직(목적 부위)에 확실하게 머무를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이 목적 부위에 확실하게 머무르기 때문에, 당해 목적 부위에 있어서, 생체 조직 접착재나 유착 방지재로서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의 종류 및 조합은,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시린지(2) 및 제2 시린지(3)는, 각각 후술하는 노즐(4)에 접속되어, 각 가압자(26)를 압박 조작함으로써, 노즐(4)의 제1 유로(44)에 제1 액체(L1)를, 제2 유로(45)에 제2 액체(L2)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압자(26)의 압박 조작은 도포구(1)의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해진다. 이로 인해, 조작자는 혼합물의 도포를 자신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포구(1)는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를 가스(G2)와 함께 분출하는 것이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이 가스(G2)에 의해, 상기 혼합물이 무화(霧化)되어, 상기 혼합물을 목적 부위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가스(G2)는 가스 봄베(300b)에 의해 공급된다. 가스 봄베(300b)는 튜브(302b)를 통해 노즐과 접속되어 있다.
가스 봄베(300b)는 그 내부 공간에 압축된 무균 가스(G2)(이하, 단순히 「가스(G2)」라고 함)가 충전되어 있어, 고속으로 흐르는 가스(G2)를 도포구(1)[노즐(4)]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가스 봄베(300b) 또는 튜브(302b)의 도중에는 도포구(1)에 대한 가스(G)의 공급/공급 정지를 제어하는 개폐 가능한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혼합물을 도포할 때에는, 이 밸브를 개방 상태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1)는 도포구 본체(7)와, 도포구 본체(7)의 선단측에 설치된 노즐(4)과, 노즐(4)이 삽입 관통하는 시스(외관)(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 본체(7)는 제1 시린지(2)의 외통(21)과 제2 시린지(3)의 외통(21)을 보유 지지하는 시린지 보유 지지부(71)와, 제1 시린지(2)의 가압자(26)의 플랜지(29)와 제2 시린지(3)의 가압자(26)의 플랜지(29)를 연결하는 플랜지 연결부(72)로 구성되어 있다.
시린지 보유 지지부(71)는 제1 시린지(2)[외통(21)] 및 제2 시린지(3)[외통(21)]를 나란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이 시린지 보유 지지부(71)는 각 외통(21)의 개구부(22)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711)와, 끼워 맞춤부(711)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하여, 각 외통(21)의 플랜지(23)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삽입부(712)와, 끼워 맞춤부(711)와 삽입부(712)를 연결하는 연결부(713)를 갖고 있다.
끼워 맞춤부(711)에 각 외통(21)의 개구부(22)가 끼워 맞추어지면, 제1 시린지(2)의 개구부(22)는 노즐(4)의 제1 유로(44)에 접속되고, 제2 시린지(3)의 개구부(22)는 제2 유로(45)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1 유로(44)에 제1 액체(L1)를, 제2 유로(45)에 제2 액체(L2)를 공급 가능해진다(도 4 참조).
또한, 끼워 맞춤부(711)의 외주부에는 가스 봄베(300b)로부터의 가스(G2)가 통과하는 튜브(302b)의 단부가 접속되는 접속부(7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715)에 튜브(302b)가 접속되면, 당해 튜브(302b)는 노즐(4)의 제3 유로(46)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제3 유로(46)에 가스(G2)를 공급 가능해진다(도 4 참조).
삽입부(712)에는 각 외통(21)의 플랜지(23)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홈(714)이 형성되어 있다.
시린지 보유 지지부(71)에서는 끼워 맞춤부(711)에 각 외통(21)의 개구부(22)가 끼워 맞추어지고, 삽입부(712)[홈(714)]에 외통(21)의 플랜지(23)가 삽입됨으로써, 각 외통(21)을 확실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플랜지 연결부(72)는 제1 시린지(2)의 가압자(26)의 플랜지(29)와 제2 시린지(3)의 가압자(26)의 플랜지(29)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플랜지 연결부(72)에는 각 가압자(26)의 플랜지(29)의 테두리부가 삽입되는 홈(7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 연결부(72)를 선단 방향을 향해 압박함으로써, 각 가압자(26)를 일괄하여 선단 방향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 연결부(72)는 도포구(1)를 사용하는, 즉 혼합물을 환부 등의 목표 부위에 도포할 때, 사용자에 의해 압박 조작되는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시린지 보유 지지부(71) 및 플랜지 연결부(72)의 구성 재료로서는, 각종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포구 본체(7)의 선단측에는 노즐(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4)은 가스(G2)와 함께 제1 액체(L1), 제2 액체(L2)(혼합물)를 분출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4)은 장척 형상의 노즐 본체(43)와, 노즐 본체(43)의 선단에 설치된 노즐 헤드(42)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본체(43)는 제1 시린지(2)로부터의 제1 액체(L1)가 통과하는 제1 유로(44)와, 제2 시린지(3)로부터의 제2 액체(L2)가 통과하는 제2 유로(45)와, 가스 봄베(300b)로부터의 가스(G2)가 통과하는 제3 유로(46)를 갖고 있다.
제1 유로(44) 및 제2 유로(45)는 각각 내측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각 내측 튜브는 각각 그 선단이 노즐 헤드(42)의 선단면까지 연장되어 있고, 당해 선단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노즐 헤드(42)에서는, 제1 유로(44)를 구성하는 내측 튜브의 개구부가, 제1 액체(L1)를 토출하는 제1 토출구(421)로서 기능하고, 제2 유로(45)를 구성하는 내측 튜브의 개구부가, 제2 액체(L2)를 토출하는 제2 토출구(422)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유로(44)를 구성하는 내측 튜브는 그 기단부가 제1 시린지(2)의 개구부(22)에 접속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유로(45)를 구성하는 내측 튜브는 그 기단부가 제2 시린지(3)의 개구부(22)에 접속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3 유로(46)는 제1 유로(44) 및 제2 유로(45)를 각각 구성하는 내측 튜브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즉 각 내측 튜브가 삽입 관통된 외측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튜브는 그 선단이 노즐 헤드(42)의 선단면까지 연장되어 있고, 당해 선단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노즐 헤드(42)에서는, 이 외측 튜브의 개구부가, 가스(G2)를 분출하는 제3 토출구(423)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외측 튜브는 그 기단부가 도포구 본체(7)의 접속부(715)를 통해 튜브(302b)에 접속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내측 튜브와 상기 외측 튜브가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 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제1 토출구(421) 및 제2 토출구(422)의 외주측에, 즉 제1 토출구(421) 및 제2 토출구(422)를 둘러싸도록, 제3 토출구(423)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제3 토출구(423)로부터 고속으로 토출된 가스(G2)에, 제1 토출구(421)로부터 토출된 제1 액체(L1)와, 제2 토출구(422)로부터 토출된 제2 액체(L2)가 혼합된다. 이때,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는 각각 안개 상태로 되어 분출된다. 이에 의해,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가 확실하게 혼합되어, 환부에 도포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본체(43)는 선단부에, 만곡 또는 굴곡되어 있고, 가요성을 갖는 만곡부(431)를 갖고 있다. 만곡부(43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선단이 경사 하측을 향하도록, 만곡 또는 굴곡되어 있다. 이 만곡부(431)에 의해, 노즐 헤드(42)의 축선(426)은 노즐 본체(43)의 축선[엄밀하게는, 노즐 본체(43)의 만곡부(431)보다 기단측의 부분(432)의 축선](433)에 대해 경사져 있다(도 2 참조).
만곡부(431)가 후술하는 시스(11)에 의해 규제되는 일 없이 만곡 또는 굴곡된 상태일 때의, 노즐 본체(43)의 축선(433)에 대한 노즐 헤드(42)의 축선(426)의 경사 각도(θ)는 30 내지 9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내지 7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노즐 본체(43)의 만곡부(431)는 연질 재료, 탄성 재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 본체(43)의 만곡부(431)보다 기단측의 부분(432)은 경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연질 재료, 탄성 재료 등으로 구성되어, 가요성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만곡부(431)와, 노즐 본체(43)의 만곡부(431)보다 기단측의 부분(432)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접착, 융착 등에 의해 고착된 구성이라도 좋고, 또한 일체 성형된 구성이라도 좋다.
노즐(4)[노즐 본체(43)]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고, 노즐 본체(43)의 만곡부(431)보다 기단측의 부분(432)에는 이들 중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만곡부(431)에는 이들 중 연질 재료나 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헤드(42)는 제1 액체(L1)가 제1 토출구(421)로부터 토출되고, 제2 액체(L2)가 제2 토출구(422)로부터 토출되고, 이들 액체를 혼합하면서 제3 토출구(423)로부터 가스(G2)가 분출되는 것이다.
이 노즐 헤드(42)는 외형 형상이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외경이 선단 방향을 향해 점증하는 제1 테이퍼부(427)와, 외경이 길이 방향[축선(426)]을 따라서 일정한 외경 일정부(428)와, 외경이 선단 방향을 향해 점감하는 제2 테이퍼부(429)가 기단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된 것이다.
제1 테이퍼부(427)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노즐(4)이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 변화될 때,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의 내측의 테두리부(114)를 제1 테이퍼부(427)를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42)를 시스(11) 내로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14)는 라운딩을 띠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테두리부(114)를 제1 테이퍼부(427)를 따라서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테이퍼부(427)보다도 선단측에는 제2 테이퍼부(429)가 위치하고 있다. 이 제2 테이퍼부(429)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 도포구(1)를 트로카관(40)에 삽입할 때, 제2 테이퍼부(429)가 트로카관(40)의 덕빌 밸브(406)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구(1)의 트로카관(40)으로의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테이퍼부(429)의 기단의 외경은 시스(11)의 내경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42)가 시스(11) 내로 들어가 버리는 것, 즉 노즐 헤드(42)의 선단이 시스(11)의 선단보다도 기단측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테이퍼부(427)와 제2 테이퍼부(429) 사이에는 외경 일정부(428)가 위치하고 있다. 외경 일정부(428)의 외경은 제1 테이퍼부(427)의 선단의 외경(최대 외경)과 동일하고, 또한 시스(11)의 내경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것보다도 약간 크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헤드(42)의 축선(426)과 노즐 본체(43)의 축선(433)이 일치할 때에, 외경 일정부(428)[제1 테이퍼부(427)의 선단도 포함함]가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에 들어가 끼워 맞추어진다. 따라서, 노즐 헤드(42)의 축선(426)과 노즐 본체(43)의 축선(433)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유지된 상태 그대로 혼합물을 복강(500) 내의 목적 부위에 도포할 수 있다. 도포구(1)에서는 외경 일정부(428)와 제1 테이퍼부(427)의 선단을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라고 할 수 있다.
도 2(도 1, 도 3도 마찬가지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1)는 노즐 본체(43)의 만곡부(431)의 형상을 규제하는 형상 규제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 시스(11)를 갖고 있다. 이 시스(11)는 그 선단 및 기단이 각각 개방된 장척 형상의 관체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노즐(4)[노즐 본체(43)]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스(11)는 만곡부(431)보다도 선단측의 부분[노즐 헤드(42)의 외경 일정부(428)]으로부터 노즐 본체(43)의 기단부의 근방까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스(11)는 노즐 본체(43)에 대해, 노즐 본체(4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시스(11)는 만곡부(43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었을 때에 당해 만곡부(431)의 형상을 규제할 수 있도록, 경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필요 충분한 강성을 갖고, 또한 낮은 미끄럼 이동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11)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등의 경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11)를 노즐 본체(4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이 이동 조작에 의해, 시스(11) 내에 만곡부(431)가 삽입되고, 시스(11)의 선단으로부터의 만곡부(431)의 돌출 길이를 조정하여, 그 만곡부(431)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도 2, 도 3 참조). 이에 의해, 노즐 본체(43)의 축선(433)에 대한 노즐 헤드(42)의 축선(426)의 경사 각도(θ)[노즐 헤드(42)의 방향]를 조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시스(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431)가 시스(11)에 의해 규제되어 직선 형상으로 되고, 노즐 헤드(42)의 축선(426)의 방향과 노즐 본체(43)의 축선(433)의 방향이 일치하는 제1 위치[경사 각도(θ) = 0°]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431)가 시스(11)에 의해 규제되는 일 없이 만곡 또는 굴곡된 상태로 되고, 노즐 본체(43)의 축선(433)이 노즐 헤드(42)의 축선(426)에 대해 경사지는 제2 위치[경사 각도(θ)가 최대 경사 각도]와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스(11)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경사 각도(θ)를 0°로부터 최대 경사 각도까지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스(11)를 이동하여 이 경사 각도(θ)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노즐 헤드(42)의 경사 각도(θ)를 바꾸면서, 당해 노즐 헤드(42)로부터 혼합물을 복강(500) 내의 복수의 개소[예를 들어, 장기나 복벽(501)]를 향해 분무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구(1)는 복강(500) 내에서 혼합물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광범위에 걸쳐서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포구(1)에서는, 외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자연 상태에서의 만곡부(431)의 만곡의 정도[경사 각도(θ)]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예를 들어, 「U」자 형상), 도포구(1)의 생체로의 삽입 방향에 위치하는 장기에 대향하는 복벽(501)의 이측에도 혼합물을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시스(11)에는 그 기단 외주부에, 판 형상의 플랜지(1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115)를 파지하여, 시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조작함으로써, 당해 시스(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115)는 시스(11)를 이동시킬 때의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구(1)는 트로카관(40)에 삽입한 상태로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도포구(1)를 선단 방향으로 압박해 가면, 시스(11)의 플랜지(115)가 허브(402)의 기단 개구부(405)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시스(11)의 트로카관(40)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제할 수 있고, 따라서, 시스(11)의 기단부가 트로카관(40) 내로 본의 아니게 들어가 버리는 것, 즉 시스(11)의 기단부가 트로카관(40)의 기단 개구부(405)보다도 선단측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스(11)의 기단부가 트로카관(40)의 기단 개구부(405)로부터 확실하게 돌출되어, 그 돌출된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11)를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115)는 시스(11)의 트로카관(40)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상기 경사 각도(θ)를 조정하는 조작과,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를 토출(분출)하는 조작은 어떤 순서라도 행할 수 있다.
즉, 경사 각도(θ)를 조정하는 조작과,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를 분출하는 조작을 동시에 행해도 좋고, 또한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를 분출하는 조작을 먼저 개시하고, 그 후, 경사 각도(θ)를 조정하는 조작을 행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는 각각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의 분출을 개시한 후, 경사 각도(θ)의 조정에 의해, 도포를 행하는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경사 각도(θ)를 조정하는 조작을 먼저 행하고, 그 후, 제1 액체(L1) 및 제2 액체(L2)를 분출하는 조작을 행해도 좋다.
또한,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11)와 노즐(4) 사이에는 간극(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15)은 시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즉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로부터 기단 개구부(116)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스(11)에는 선단 개구부(113)보다도 기단측에, 벽부를 관통하는 2개의 측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구멍(117)은 시스(11)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동일한 위치에, 시스(11)의 축을 통해 대향 배치되어 있다. 각 측구멍(117)은 간극(15)에 연통되어 있고, 복강(500) 내의 가스(G3)가 간극(15) 내로 유입되는 유입구[가스(G3)를 도입하는 도입구]로서 기능한다(도 2, 도 3 참조). 또한, 측구멍(117)의 형성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간극(15)은 복강(500) 내의 가스(G3)를 체외로 배출하는 배기로로서 기능한다. 이하, 이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강(500) 내에는 트로카관(40)으로부터 가스(G1)가 분출되고, 도포구(1)로부터 혼합물과 함께 가스(G2)가 분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G1)에 의해, 복강(500) 내의 기복압이 상승하여 당해 복강(500)이 팽창된다. 또한, 복강(500) 내의 기복압은 가스(G2)에 의해서도 상승해 버리고, 이에 의해 당해 복강(500)이 더욱 팽창하려고 한다. 그러나 복강(500) 내의 가스(G3)[가스(G1, G2)를 포함함]는 각 측구멍(117)을 통해, 간극(15) 내로 유입된다(도 2, 도 3 참조). 그리고, 가스(G3)는 간극(15) 내를 유하하여, 기단 개구부(116)로부터 배출된다(도 2, 도 3 참조). 이에 의해, 복강(500) 내의 기복압의 과잉의 상승을 억제(또는 방지)할 수 있고, 복강(500)이 더욱 팽창하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구(1)는 복강(500) 내에서 혼합물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광범위에 걸쳐서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복강(500) 내에서 혼합물이 광범위에 걸쳐서 도포되므로, 당해 혼합물의 분출량도 많아지고, 이에 수반하여 가스(G2)의 분출량도 많아진다. 다량의 가스(G2)가 분출되면 복강(500) 내의 기복압이 상승하는 것처럼 되지만, 상기 간극의 배기 작용에 의해, 그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구(1)는 복강(500) 내에서 혼합물을 광범위에 걸쳐서 도포하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간극(15)의 도중에는 노즐(4)의 외주 방향을 따른 링 형상의 스페이서(16)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도 3 및 도 5 참조). 이 스페이서(16)는 그 외주면(161)이 시스(11)의 내주면(118)에 고정되고, 내주면(162)이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에 접촉되어 있다(도 5 참조). 스페이서(16)의 내주면(162)은 시스(11)가 이동했을 때에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을 미끄럼 이동하여,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과 스페이서(16)의 내주면(162) 사이에 마찰 저항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페이서(16)는 시스(11)를 이동하여 정지시켰을 때, 그 정지 위치에서 시스(11)의 노즐(4)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42)의 경사 각도(θ)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 그대로 혼합물을 분출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6)는 시스(11)의 내주면(118)과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16)는 그 직경 방향으로는 변형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간극(15)의 간극 거리를 유지하는 기능도 발휘한다. 이에 의해, 시스(11)의 내주면(118)과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이 접하여, 간극(15)(배기로)의 도중이 폐색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가스(G3)를 간극(15)을 통해 보다 확실하게 배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6)는 각 측구멍(117)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스페이서(16)는 간극(15)을 밀봉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노즐 헤드(42)에 의해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가 막혀 버리지만, 각 측구멍(117)으로부터는 가스(G3)가 간극(15) 내에 들어가므로, 그 가스(G3)를 확실하게 배기할 수 있다.
스페이서(16)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덕빌 밸브(406)에 대한 설명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은 각종 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노즐 및 외관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포구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탄성체의 배치 상태가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11)의 노즐(4)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페이서(16a)는 노즐(4)의 축 주위에[노즐(4)의 외주 방향을 따라서], 복수(도시한 구성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각 스페이서(16a)는 각각 원호 형상을 이루고, 노즐(4)의 축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간극(15)의 스페이서(16a)보다도 선단측의 부분과, 간극(15)의 스페이서(16a)보다도 기단측의 부분이, 간극(15)의 스페이서(16a)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 즉 스페이서(16a)끼리의 사이를 통해, 연통한다. 이에 의해,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가 노즐 헤드(42)에 의해 밀봉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측구멍(117) 외에 선단 개구부(113)로부터도 가스(G3)가 간극(15) 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이 가스(G3)는 기단 개구부(116)로부터 배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개구부(113)는 복강(500) 내의 가스(G3)가 간극(15) 내로 유입되는 유입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G3)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시스(11)가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노즐 헤드(42)의 제1 테이퍼부(427)의 외주면과 시스(11)의 내주면(118)이 접근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상기와는 반대로 시스(11)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노즐 헤드(42)의 제1 테이퍼부(427)의 외주면과 시스(11)의 내주면(118)이 이격된다. 이 접근ㆍ이격에 의해,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 부근의 간극(15)의 간극 거리가 변화된다. 이에 의해, 선단 개구부(113)로부터 유입되는 가스(G3)의 유입량이 조정되어, 그 결과, 가스(G3)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복강(500) 내의 기복압을 감소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노즐 헤드(42)의 제1 테이퍼부(427)의 외주면과 시스(11)의 내주면(118)이 이격되도록 시스(11)를 조작하여, 가스(G3)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헤드(42)의 제1 테이퍼부(427)의 외주면과 시스(11)의 내주면(118)이, 가스(G3)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도포구(제3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포구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노즐의 형상과 외관의 구성이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본체(43a)의 기단 외주부에는, 그 외경이 기단 방향을 향해 점증한 테이퍼면(4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시스(11)가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노즐 본체(43a)의 테이퍼면(436)과 시스(11)의 내주면(118)이 이격된다(도 8 참조).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상기와는 반대로 시스(11)가 기단 방향으로 이동하면, 노즐 본체(43a)의 테이퍼면(436)과 시스(11)의 내주면(118)이 접근한다. 이 접근ㆍ이격에 의해, 시스(11)의 기단 개구부(116) 부근의 간극(15)의 간극 거리가 변화된다. 이에 의해, 기단 개구부(116)로부터 유출되는 가스(G3)의 유출량이 조정되어, 그 결과, 가스(G3)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복강(500) 내의 기복압을 감소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노즐 본체(43a)의 테이퍼면(436)과 시스(11)의 내주면(118)이 이격되도록 시스(11)를 조작하여, 가스(G3)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본체(43a)의 테이퍼면(436)과 시스(11)의 내주면(118)이, 가스(G3)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헤드(42)는 그 외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변화된 부분이 생략되어, 일정하게 된 것이다. 이 노즐 헤드(42)의 외경은 시스(11)의 내경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시스(11)의 노즐(4)의 길이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로부터 가스(G3)가 간극(15) 내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스(11)의 기단 외주부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시스(11)의 기단 외주부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115)가 생략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플랜지(115)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도포구(제4 실시 형태)의 선단측의 부분의 확대 부분 종단면도이다.
이하,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포구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위치 결정 수단의 구성이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11a)의 내주면(118)에는 측구멍(117)의 선단측 근방에, 돌기부(119)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19)는 시스(11a)의 내주면(118)의 둘레 방향을 따른 링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이에 의해, 돌기부(119)에서는 시스(11a)의 내경이 직경 축소된다. 이 돌기부(119)는 그 정상부(119a)가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스(11a)가 이동했을 때에, 돌기부(119)의 정상부(119a)가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을 미끄럼 이동하여, 돌기부(119)의 정상부(119a)와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 사이에 마찰 저항이 발생한다. 그리고 시스(11a)의 이동이 정지했을 때, 그 정지 위치에서 시스(11a)의 노즐(4)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42)의 경사 각도(θ)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 그대로 혼합물을 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119)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 돌기부(119)는 그 정상부(119a)가 라운딩을 띠고 있다. 이에 의해, 시스(11a)가 이동했을 때, 돌기부(119)의 정상부(119a)와 노즐 본체(43)의 외주면(435)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그 이동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19)의 정상부(119a)를 통한 양측의 면(119b, 119c), 즉 돌기부(1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의 면(119b, 119c)이 각각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도포구(제5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도포구의 선단측의 부분의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도포구의 선단측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포구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노즐의 형상과 외관의 구성이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각 도면에 도시하는 노즐(4)의 노즐 헤드(42a)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노즐 헤드(42)와 달리, 외경 일정부(428)가 생략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노즐 헤드(42a)의 제1 테이퍼부(427)(끼워 맞춤부)에는 노즐 헤드(42a)의 축선(426)의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1개의 홈(4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25)은 그 선단부(425a)가 제2 테이퍼부(429)까지 신장되어 있다. 도 11,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헤드(42a)의 축선(426)과 노즐 본체(43)의 축선(433)이 일치했을 때라도, 홈(425)의 선단부(425a)에 의해, 시스(11b)의 선단 개구부(113)의 전체가 노즐 헤드(42a)에 덮이는 것이 방지되어, 당해 홈(425)의 선단부(425a)를 통해, 간극(15)이 복강(500) 내와 연통한다. 이에 의해, 복강(500) 내의 가스(G3)가 홈(425)의 선단부(425a)를 통해, 간극(15)으로 확실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11b)의 기단 개구부(116)에는 전술한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페이서(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단 개구부(116)가 폐색되게 된다. 이 경우, 시스(11b)의 기단부, 구체적으로는 도포구(1)가 삽입된 트로카관(40)의 기단보다도 기단측의 부분에는, 간극(15)에 연통하는 2개의 측구멍(117)이 형성되어 있다. 각 측구멍(117)을 통해, 간극(15)을 통과한 가스(G3)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측구멍(117)은 각각 간극(15)을 통과한 가스(G)가 유출되는 배출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11b)의 플랜지(115)에는 선단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2매의 돌출편(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편(112)은 시스(11b)의 축을 통해 대향 배치되어 있다. 도포구(1)를 트로카관(40)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포구(1)를 선단 방향으로 압박해 가면, 시스(11b)의 각 돌출편(112)이 각각 허브(402)의 기단 개구부(405)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시스(11b)의 트로카관(40)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제할 수 있고, 따라서, 시스(11b)의 기단부가 트로카관(40) 내로 본의 아니게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스(11b)의 기단부가 트로카관(40)의 기단 개구부(405)로부터 확실하게 돌출되어, 그 돌출된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11b)를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돌출편(112)은 시스(11)의 트로카관(40)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각 돌출편(112)은 각각 시스(11b)의 각 측구멍(117)을 그 외주측으로부터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스(11b)의 기단부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이동 조작할 때에, 각 측구멍(117)이 손가락에 의해 막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측구멍(117)을 통해, 간극(15)을 통과한 가스(G3)를 보다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각 돌출편(112)이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제6 실시 형태>
도 14, 도 15 및 도 16은 각각 본 발명의 도포구(제6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포구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노즐의 만곡부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4)의 만곡부(431a)는 자연 상태에서 형상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연 상태에서 노즐 헤드(42)가 기단측을 향하는, 즉 노즐 헤드(42)의 축선(426)과 노즐 본체(43)의 축선(433)이 서로 평행이 된다.
이와 같은 만곡부(431a)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부가 시스(11)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당해 시스(11)의 내주면(118)으로 규제되어, 만곡의 정도가 자연 상태일 때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포구 본체(7)를 선단 방향을 향해 압입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4)의 선단부가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만곡부(431a)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자연 상태로 되고, 노즐 헤드(42)가 바로 뒤를 향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포구 본체(7)를 기단 방향을 향해 잡아당기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11) 내에 만곡부(431a)의 기단부가 수납되고, 노즐 헤드(42)[또는 만곡부(431a)]가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의 외측의 테두리부(111)에 접촉한다. 또한, 도포구 본체(7)를 기단 방향을 향해 잡아당기면, 노즐 헤드(42)가 테두리부(111)에 의해 선단 방향을 향해 압박되어, 만곡부(431a)는 개방되도록 형상이 교정된다. 이에 의해, 만곡부(431a)의 만곡의 정도가 자연 상태일 때보다도 작아져, 노즐 헤드(42)가 도 16 중 우측 경사 하방을 향한다. 이 상태에서 노즐 헤드(42)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분출했을 때에는, 그 혼합물은 후방을 향해 분출된다. 이에 의해, 혼합물을 복벽(501)의 이측의 부분에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전방을 향해 분출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포구 본체(7)를 기단 방향을 향해 더 잡아당김으로써, 만곡부(431a)가 시스(11)에 의해 교정되어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보다도 크게 개방되고, 노즐 헤드(42)가 전방을 향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혼합물을, 전방을 향해 분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상태, 즉 노즐 헤드(42)가 바로 뒤를 향한 상태에서, 당해 노즐 헤드(42)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분출해도 좋지만, 이 경우, 상기 혼합물이 복벽(501)의 이면뿐만 아니라 도포구(1)에도 부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의 테두리부(111)는 라운딩을 띠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헤드(42)는 그 외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변화된 부분이 생략되어, 일정해진 것이다. 이 노즐 헤드(42)의 외경은 시스(11)의 내경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시스(11)의 노즐(4)의 길이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시스(11)의 선단 개구부(113)로부터 가스(G3)가 간극(15) 내로 유입되게 된다(도 16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스(11)의 기단 외주부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시스(11)의 기단 외주부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115)가 생략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플랜지(115)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7 실시 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도포구(제7 실시 형태)의 확대 부분 종단면, 도 18은 도 17 중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포구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노즐의 노즐 본체의 일부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본체(43b)의 기단부에는 편평부(4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편평부(437)는 제3 유로(46)를 구성하는 상기 외측 튜브의 일부를 편평 형상을 이루도록 변형시킨 부위이다(도 18 참조). 편평부(437)의 도 18 중 상하 방향의 길이는, 시스(11)의 자연 상태에서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즐 본체(43b)의 편평부(437)에 있어서의 외주면(435)이, 시스(11)의 내주면(118)에 밀착한다. 이 상태에서 시스(11)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시스(11)의 내주면(118)이 편평부(437)의 외주면(435)을 미끄럼 이동하여, 시스(11)의 내주면(118)과 편평부(437)의 외주면(435) 사이에 마찰 저항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편평부(437)는 시스(11)를 이동하여 정지시켰을 때, 그 정지 위치에서 시스(11)의 노즐(4)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노즐 헤드(42)의 경사 각도(θ)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 그대로 혼합물을 분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구(1)는 트로카관(40)에 삽입한 상태로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도포구(1)를 선단 방향으로 압박해 가면, 시스(11)의 편평부(437)가 위치하는 부분의 외주부가 허브(402)의 기단 개구부(405)의 테두리부에 접촉하게 된다(도 17 참조). 이에 의해, 시스(11)의 트로카관(40)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제할 수 있고, 따라서, 시스(11)의 기단부가 트로카관(40) 내로 본의 아니게 들어가 버리는 것, 즉 시스(11)의 기단부가 트로카관(40)의 기단 개구부(405)보다도 선단측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스(11)의 기단부가 트로카관(40)의 기단 개구부(405)로부터 확실하게 돌출되어, 그 돌출된 부분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11)를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평부(437)는 시스(11)의 트로카관(40)에 대한 선단 방향으로의 이동 한계를 규제하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이상, 본 발명의 도포구를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포구를 구성하는 각 부는 동일한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구성물이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구는 상기 각 실시 형태 중, 임의의 2 이상의 구성(특징)을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포구는 복강 내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흉강 내, 자궁 내 등과 같은 체강 내에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구는 트로카관으로부터 복강 내로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복강을 팽창시키는 손 기술에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복벽을 현수하여 복강의 크기를 확보하는 손 기술, 소위 현수법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복강경하에서 트로카관이 복수 복벽에 유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트로카관 중, 예를 들어 1개의 트로카관으로부터 가스가 공급되고, 그 밖의 트로카관으로부터는 가스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는 시스의 길이 방향에 1개소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스의 길이 방향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는 스페이서의 외주면이 시스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스페이서의 내주면이 노즐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지 않고 접촉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페이서의 내주면이 노즐 본체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스페이서의 외주면이 시스의 내주면에 고정되지 않고 접촉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의 돌기부는 시스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노즐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포구는 가스와 함께 분무되는 것으로서는, 액체이지만, 분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포구는 생체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도포구이며, 장척 형상의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액체가 분출되는 노즐 헤드를 갖고,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에, 만곡 또는 굴곡되어, 가요성을 갖는 만곡부가 형성된 노즐과, 상기 노즐 본체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상기 만곡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만곡부의 굴곡의 각도를 바꾸고, 상기 노즐 헤드의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조정하는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체강 내의 체내압이 상승했을 때, 당해 간극을 통해 상기 체강 내의 기체를 체외로 배출하는 배기로로서 기능한다. 그로 인해, 외관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노즐 헤드의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그 방향을 바꾸면서, 노즐 헤드로부터 액체를 체강 내의 복수의 개소(예를 들어, 장기 등)를 향해 분무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구는 체강 내에서 액체 또는 분말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광범위에 걸쳐서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노즐 헤드로부터 분출된 가스에 의해, 체강 내의 체내압이 상승하여 당해 체강이 팽창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가스의 분출이 계속되면, 체강 내의 체내압은 과잉으로 상승하고, 이에 의해, 당해 체강이 더욱 팽창하려고 한다. 그러나 체강 내의 기체는 간극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유입된 기체는 간극 내를 유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체강 내의 체내압의 과잉의 상승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체강이 더욱 팽창하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가, 외력을 부여하지 않는 자연 상태에서 노즐 헤드가 기단측을 향할 정도로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원 발명의 도포구를 복강경하 수술에서 사용하면, 복벽의 이면(이측의 부분)에 액체 또는 분말을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포구는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10)

  1. 생체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도포구이며,
    장척 형상의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액체가 분출되는 노즐 헤드를 갖고,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에, 만곡 또는 굴곡되어, 가요성을 갖는 만곡부가 형성된 노즐과,
    상기 노즐 본체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만곡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만곡부의 형상을 교정하여, 상기 노즐 헤드의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조정하는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체강 내의 체내압이 상승했을 때, 당해 간극을 통해 상기 체강 내의 기체를 체외로 배출하는 배기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은 그 선단이 개방되어, 상기 간극에 연통하는 선단 개구부를 갖고,
    상기 선단 개구부는 상기 체강 내의 기체가 상기 간극 내로 유입되는 유입구로서 기능하는, 도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외관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갖는, 도포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간극의 도중에 상기 노즐 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관의 내주면 중 한쪽의 면에 대해 고정되고, 다른 쪽의 면에 접촉하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도포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간극을 그 도중에 밀봉하는 것이고,
    상기 외관에는 상기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기단부측의 부분에, 상기 간극에 연통하는 측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도포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은 상기 간극의 도중에 상기 노즐 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외관의 내주면 중 한쪽의 면에 돌출 형성되고, 다른 쪽의 면에 접촉하는 돌기부로 구성되어 있는, 도포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헤드는 그 축선과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이 일치할 때에, 상기 외관의 선단 개구부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를 갖는, 도포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부에는 상기 노즐 헤드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1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 헤드의 축선과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이 일치할 때,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체강 내의 기체가 상기 간극으로 유입되는, 도포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액체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액체가 통과하는 액체 유로와,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가스 공급 수단으로부터의 가스가 통과하는 가스 유로를 갖는, 도포구.
  10. 생체 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도포구이며,
    장척 형상의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분말이 분출되는 노즐 헤드를 갖고,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에, 만곡 또는 굴곡되어, 가요성을 갖는 만곡부가 형성된 노즐과,
    상기 노즐 본체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고, 상기 만곡부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만곡부의 형상을 교정하여, 상기 노즐 헤드의 상기 노즐 본체의 축선에 대한 방향을 조정하는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극은 체강 내의 체내압이 상승했을 때, 당해 간극을 통해 상기 체강 내의 기체를 체외로 배출하는 배기로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KR1020107019074A 2008-02-29 2009-02-25 도포구 KR101441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50371 2008-02-29
JP2008050371 2008-02-29
JPJP-P-2008-171828 2008-06-30
JP2008171828A JP5191288B2 (ja) 2008-02-29 2008-06-30 塗布具
PCT/JP2009/053320 WO2009107619A1 (ja) 2008-02-29 2009-02-25 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642A true KR20100116642A (ko) 2010-11-01
KR101441729B1 KR101441729B1 (ko) 2014-09-17

Family

ID=4101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074A KR101441729B1 (ko) 2008-02-29 2009-02-25 도포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419675B2 (ko)
EP (1) EP2248470B1 (ko)
JP (1) JP5191288B2 (ko)
KR (1) KR101441729B1 (ko)
CN (1) CN101959465B (ko)
BR (1) BRPI0908269B1 (ko)
WO (1) WO20091076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73Y1 (ko) * 2012-04-06 2013-02-20 김철우 흉강용 트로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4456A (zh) * 2009-12-31 2011-07-06 上海佳田药用包装有限公司 一种用于喷涂铝管的内喷涂喷枪
CN102451805A (zh) * 2010-10-29 2012-05-16 上海佳田药用包装有限公司 一种药用包装铝管的内喷涂方法及内喷涂装置
DE202011101151U1 (de) * 2011-05-27 2011-07-26 Alexander Hetzel Mikropumpe zur Herstellung eines therapeutischen Pneumoperitoneums
JP5779467B2 (ja) * 2011-09-30 2015-09-1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およびノズルヘッド
US10441959B2 (en) * 2011-10-28 2019-10-15 Medtronic Xomed, Inc. Multi-orifice spray head
EP2826427B1 (en) * 2012-03-15 2018-04-25 Terumo Kabushiki Kaisha Applicator
WO2013137063A1 (ja) 2012-03-15 2013-09-19 テルモ株式会社 塗布具
USD726304S1 (en) 2012-03-22 2015-04-07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ment sprayer
WO2013183476A1 (ja) * 2012-06-08 2013-12-12 ニプロ株式会社 噴出装置
CN104853686B (zh) * 2012-12-26 2017-10-20 奥林巴斯株式会社 套管针
WO2014109031A1 (ja) 2013-01-10 2014-07-17 テルモ株式会社 塗布具
WO2014186401A2 (en) * 2013-05-13 2014-11-2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Aerostasis in pulmonary surgery
JP2016022259A (ja) * 2014-07-23 2016-02-08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粉体の体内噴射装置
WO2016038593A1 (en) * 2014-09-11 2016-03-17 Omrix Biopharmaceuticals Ltd. Addition to a medical applicator
US9782549B2 (en) * 2014-10-22 2017-10-10 Ethicon, Inc. Distance indicators for medicinal spray devices
CN108135635B (zh) * 2015-10-07 2021-10-26 奥林巴斯株式会社 手术用装置和排烟系统
USD877890S1 (en) * 2015-12-22 2020-03-10 Guangzhou Bioseal Biotech Co., Ltd. Reconstitution device
USD877891S1 (en) * 2015-12-22 2020-03-10 Guangzhou Bioseal Biotech Co., Ltd. Reconstitution and delivery device
JP6543581B2 (ja) * 2016-02-12 2019-07-10 京セラ株式会社 トロカール
CN106491190B (zh) * 2016-12-04 2019-09-24 李长慧 方便调节角度的卵巢肿瘤穿刺器
EP3354213B1 (de) 2017-01-25 2021-05-05 Silke König Applikator zum einbringen einer substanz in eine körperhöhle
CN108543195B (zh) * 2018-05-04 2019-04-30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腹腔镜术中止血粉喷洒用导管总成
CN109674495B (zh) * 2018-08-01 2021-02-26 浙江三创生物科技有限公司 给药方法及其装置
KR20210111259A (ko) * 2018-12-28 2021-09-10 아우리스 헬스, 인코포레이티드 로봇 의료 시스템 및 방법을 위한 경피 시스
CN111408023B (zh) * 2019-01-07 2022-03-04 洪亮 一种阴道乳酸杆菌植入装置
CN109999325A (zh) * 2019-05-10 2019-07-12 于边芳 一种一体式肛肠用临床医疗保健器械
CN110538365B (zh) * 2019-08-27 2021-05-18 佳木斯大学 一种儿科呼吸道内科雾化给药装置
US11957326B2 (en) * 2022-04-19 2024-04-16 Ethicon, Inc. Variable length telescoping application tips for flowable hemostats and sealants application
CN114713467B (zh) * 2022-04-25 2024-01-12 联伟汽车零部件(重庆)有限公司 一种自转动定心挤胶枪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8541A (en) * 1935-12-10 1939-02-28 Hugh E Dierker Colon therapy device and applicator therefor
US5364405A (en) * 1991-04-23 1994-11-15 Allergan, Inc. Ophthalmic instrument with curved suction conduit and internal ultrasound needle
JPH05168714A (ja) * 1991-12-25 1993-07-02 Nissho Corp 腹腔内薬液噴霧用カテーテル
DE69528953T2 (de) * 1994-12-26 2003-07-03 Adachi Co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Endoskops mittels Zerstäubervorrichtung
JP3560682B2 (ja) * 1995-04-18 2004-09-02 株式会社町田製作所 生体接着剤用スプレー
EP0738498A1 (en) * 1995-04-18 1996-10-23 Machida Endoscope Co., Ltd Surgical adhesive sprayer
US6228051B1 (en) * 1997-03-27 2001-05-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Laparoscopic sealant applicator
AU744373B2 (en) * 1998-05-06 2002-02-21 Vivolution A/S Directional endoscopic delivery of material
JP2001269348A (ja) * 2000-03-28 2001-10-02 Hakko Medical:Kk 生体接着剤噴霧ノズル
JP3933880B2 (ja) 2001-03-27 2007-06-2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US7914517B2 (en) * 2003-10-31 2011-03-29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 catheter for delivering a substance to a body cavity
JP2006087609A (ja) * 2004-09-22 2006-04-06 Olympus Corp 生体組織採取装置
EP1815807B1 (en) * 2004-09-22 2017-11-22 Olympus Corporation Organic tissue sampling device
JP4481922B2 (ja) * 2005-05-13 2010-06-16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療用処置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73Y1 (ko) * 2012-04-06 2013-02-20 김철우 흉강용 트로카
WO2013151257A1 (ko) * 2012-04-06 2013-10-10 Kim Chul Woo 흉강용 트로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9465A (zh) 2011-01-26
US8777888B2 (en) 2014-07-15
US20130281918A1 (en) 2013-10-24
BRPI0908269A2 (pt) 2017-10-10
EP2248470A4 (en) 2015-04-22
BRPI0908269B1 (pt) 2021-05-25
CN101959465B (zh) 2012-12-05
US20130138034A1 (en) 2013-05-30
US8419675B2 (en) 2013-04-16
WO2009107619A1 (ja) 2009-09-03
KR101441729B1 (ko) 2014-09-17
US9962506B2 (en) 2018-05-08
US20100331766A1 (en) 2010-12-30
EP2248470B1 (en) 2018-10-10
JP2009226189A (ja) 2009-10-08
EP2248470A1 (en) 2010-11-10
JP5191288B2 (ja)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6642A (ko) 도포구
US9622731B2 (en) Sealant applicator with malleable section
EP2163204B1 (en) Spray applicator
JP5222591B2 (ja) 塗布具
US20160113640A1 (en) Applicator
US10449295B2 (en) Syringe assembly
US20150005698A1 (en) Applicator
JP2010051696A (ja) ノズルの製造方法
WO2022014159A1 (ja) 医療用塗布具
US20150005697A1 (en) Applicator
JP2010075286A (ja) 塗布具
JP2006095098A (ja) 投与器具
CN110709016B (zh) 生物体组织粘合剂涂布用具及生物体用药液注入用具
JP2010051695A (ja) ノズ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