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294A - 전기도금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도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294A
KR20100115294A KR1020100002015A KR20100002015A KR20100115294A KR 20100115294 A KR20100115294 A KR 20100115294A KR 1020100002015 A KR1020100002015 A KR 1020100002015A KR 20100002015 A KR20100002015 A KR 20100002015A KR 20100115294 A KR20100115294 A KR 2010011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supply unit
plated
plated body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223B1 (ko
Inventor
김덕용
김상용
서봉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CN201080026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459714B/zh
Priority to PCT/KR2010/002425 priority patent/WO2010120158A2/ko
Publication of KR2010011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25D17/08Supporting racks, i.e. not for susp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02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 C25D5/026Electroplating of selected surface areas using locally applied jets of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도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해액을 수용하는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와 연결되어 피도금체의 특정 부위에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이온을 함유한 전해액이 분사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피도금체는 음극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도금 장치{ELECTROP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도금(electroplating)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도금은 장식적인 미화(美化), 방식(防蝕) 및 내마모성, 접촉저항의 개선, 침탄(浸炭) 방지 등의 공업적인 응용 및 이것들을 겸하는 경우가 있다. 도금방법과 용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기도금의 일반적인 공정은 탈수(脫銹) → 연마 → 탈지(脫脂) → 화학적 침지처리(浸漬處理) → 전기도금 → 후처리 → 건조의 순서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기도금 장치에서 피도금체(120)는 음극(-)에 연결되고,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판(130)에 양극(+)을 연결하고, 상기 피도금체(120) 및 금속판(130)을 상기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의 이온을 함유한 전해액(110)속에 넣고, 통전하여 전기분해함으로써 바라는 금속이온이 상기 피도금체(120)의 표면에 달라붙게 한다. 상기 전해액(110)은 도금조(100)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도금은 습식도금의 일종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도금 장치를 사용하여 오목한 내부공간 또는 수용부를 갖는 피도금체를 도금할 경우, 상기 피도금체의 내부공간 또는 수용부는 도금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도금층이 얇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도금체의 내부공간 또는 수용부를 정해진 두께만큼 도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피도금체의 외부는 도금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도금층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내부의 도금 두께층을 5㎛로 하고자 하면, 그 외부의 도금 두께층은 약 7.5~8㎛까지 형성되게 된다.
게다가, 상기 피도금체의 외부의 도금은 불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피도금체의 외부까지 도금되는 경우, 은이나 니켈 같은 도금금속을 낭비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개수 혹은 부피가 큰 피도금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금조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상기 도금조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상기 도금조의 크기에 비례하는 많은 양의 전해액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 방식을 이용한 전기도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피도금체의 오목한 부분에 균일하게 전기도금을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금에 소요되는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기도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도금 장치에 있어서, 전해액을 수용하는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와 연결되어 피도금체의 특정 부위에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이온을 함유한 전해액이 분사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피도금체는 음극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사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피도금체의 원하는 부위만을 도금함으로써 균일한 도금 및 선택적 도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금조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는 도금조와 적은 양의 전해액을 사용함으로써 재료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도금 속도 또한 종래에 비해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에 구비된 전해액 공급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에 구비된 보조 양극체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습식도금 방식 및 분사도금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도금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피도금체 중 도금하고자 하는 부분을 종래에 비해 균일하고 빠르게 도금할 수 있는 전기도금 장치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도금 장치는 도금조(200)와, 공급부(220)와, 상기 공급부(220)에 연결된 관(23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220)의 상부에는 도금하고자 하는 피도금체(24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조(200)에는 상기 피도금체(240)에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의 이온을 함유한 전해액(210)이 일정량 채워져 있다. 또한, 상기 관(2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220)의 특정 부위에는 다수의 분사구들이 존재하며, 상기 다수의 분사구들은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이온을 포함한 전해액을 상기 피도금체(240)에 분사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수의 분사구들은 상기 피도금체(240)가 균일하게 도금되도록 크기, 경사각 및 길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공급부(220)와 상기 도금조(200)가 만나는 일부에는 분사된 전해액(210)이 다시 도금조(200)에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들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급부(220)는 양극(+)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피도금체(240)는 음극(-)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급부(220) 및 피도금체(240)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motor) 혹은 펌프기(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해액(210)이 상기 관(230)을 통해 상기 공급부(22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공급부(220)를 통과하여 분사된 전해액의 금속이온은 상기 피도금체(240)의 오목한 부분의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공급부(220)를 통과하여 분사되는 전해액은 일종의 전기분해 된 형태의 금속이온을 포함하며, 양극의 금속이온이 음극의 피도금체(240)의 오목한 부분에 도금된다.
상기 공급부(220) 및 분사구의 형태는 피도금체(240)의 형태에 상응하게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도금조(200)의 크기는 종래에 비해 매우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도금체(240)는 바람직하게 RF 필터(Radio Frequency filter)가 될 수 있으며, 그외에도 상기 피도금체(240)는 플라스틱, 마그네슘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공급부(220)에 양극을 연결한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해액(210)에 직접 양극을 연결하고, 전원을 인가하여 전해액(210)을 상기 공급부(220)를 통해 분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220)는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부(2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도금체(240)에 보다 균일한 도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공급부(220)가 도금조(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공급부(220)는 상기 도금조(200)의 측면 혹은 상기 도금조(200)와는 별도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220)가 상기 도금조(200)와 별도로 위치할 경우 상기 공급부(220)와 도금조(200)간에는 전해액(210)이 운반되는 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금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2단계에서 피도금체에는 음극이 연결되고, 공급부 혹은 전해액에 양극이 연결된 후 전기도금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다. 304단계에서 상기 공급부를 통해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이온을 포함한 전해액이 피도금체에 분사된다. 306단계에서 상기 분사된 전해액은 음극을 뛴 피도금체에 전착됨으로써, 상기 피도금체는 도금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공급부(420)의 외부에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보조 양극체(430)를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양극체(430)는 양극에 연결되며, 분사된 전해액이 피도금체(410)에 보다 균일하게 전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 양극체(430)는 피도금체(410)의 형태나 부피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의 구성요소에서 생략될 수 있다.
만약, 피도금체(410)가 상기 보조 양극체(430)가 존재하지 않는 공급부(420)의 일측 혹은 상기 보조 양극체(430)의 외부에 씌워질 경우, 상기 피도금체(410)와 상기 공급부(420)가 만나는 접촉면에는 고무패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피도금체(410)가 전착 과정 중에 흔들림이 없도록 방지하는 기능 및 상기 피도금체(410)의 내부에 채워진 전해액이 상기 피도금체(41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급부(420)는 도금대상 부위에 전해액이 분사되도록 다수의 분사구(425)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도금체(410)가 상기 보조 양극체(430)의 외부에 씌워지고 난 후, 순환펌프(415)를 동작시켜 도금조에 수용된 전해액을 펌핑시킨다. 펌핑된 전해액은 상기 공급부(420)를 통해 분사되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피도금체(410)의 도금 대상 부위에서 전해액의 끊임없는 순환이 일어난다.
상기 전해액이 끊임없이 순환되면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피도금체(410)의 도금 대상 부위가 전착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금 과정은 전해액의 펌핑에 따른 분사 → 전원인가 → 전착의 순서를 가지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도금 과정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인가 → 전해액의 펌핑에 따른 분사 → 전착의 순서로도 도금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금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순환펌프(415)와 도금조가 연결되는 중간 부분에 불순물 제거 필터(435)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금조에 포함된 전해액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불순물 제거 필터(435)와 순환펌프(415)의 사이에 마련되며, 보조 전해액을 수용하는 보조 탱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도금조의 일측에 피도금체의 착탈이 가능한 부분이 존재하며, 도금조 내부 혹은 도금조 외부에는 전해액을 와류(vortex)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와류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와류 장치는 공기를 내뿜거나 혹은 기구적인 형체의 반복 운동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도금체가 상기 도금조의 일 측에 부착된 경우, 상기 피도금체와 상기 도금조가 부착되는 면에는 다수의 흡/배수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흡/배수구는 상기 피도금체 내부에 전해액의 공급, 순환 및 배수를 반복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하기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에서 피도금체의 내부에는 공급부, 보조 양극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에서 피도금체의 내부에는 전해액만이 순환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피도금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양극체가 존재할 수 있으며, 도금조 내부 혹은 외부에는 도금조 내에서 전해액을 순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공급부(520)의 외부에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다수의 보조 양극체(530)를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양극체(530)는 양극에 연결되며, 분사된 전해액이 피도금체(510)에 보다 균일하게 전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 양극체(530)는 피도금체(510)의 형태나 부피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의 구성요소에서 생략될 수 있다.
만약, 다수의 도금대상 부위를 가지는 피도금체(510)가 상기 보조 양극체(530)가 존재하지 않는 공급부(520)의 일 측 혹은 상기 보조 양극체(530)의 외부에 씌워질 경우, 상기 피도금체(510)와 상기 공급부(520)가 만나는 접촉면에는 고무패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피도금체(510)가 전착 과정 중에 흔들림이 없도록 방지하는 기능 및 상기 피도금체(510)의 내부에 채워진 전해액이 상기 피도금체(51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급부(520)는 도금대상 부위에 전해액이 분사되도록 다수의 분사구(525)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도금체(510)가 상기 보조 양극체(530)의 외부에 씌워지고 난후, 순환펌프(515)를 동작시켜 도금조에 수용된 전해액을 펌핑시킨다. 펌핑된 전해액은 상기 공급부(520)를 통해 분사되며,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피도금체(510)의 도금 대상 부위에서 전해액의 끊임없는 순환이 일어난다.
상기 전해액이 끊임없이 순환되면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피도금체의 도금 대상 부위가 전착된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금 과정은 전해액의 펌핑에 따른 분사 → 전원인가 → 전착의 순서를 가지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도금 과정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인가 → 전해액의 펌핑에 따른 분사 → 전착의 순서로도 도금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금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순환펌프(515)와 도금조가 연결되는 중간 부분에 불순물 제거 필터(535)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금조에 포함된 전해액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불순물 제거 필터(435)와 순환펌프(415)의 사이에 마련되며, 보조 전해액을 수용하는 보조 탱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는 다수의 도금대상 부위가 존재하는 피도금체(510)를 한번에 균일하게 도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는 압력에 따라 도금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압력은 다양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해액이 분사되는 압력, 순환펌프의 분사압, 도금대상 부위에 채워진 공기압 등 다양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에서, 피도금체의 내부에는 전해액이 꽉찬 상태 혹은 준(quasi) 꽉찬 상태에서 순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인 분사 방식의 도금보다 균일한 도금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제1 내지 제5실시예는 피도금체 내부의 도금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써, 피도금체가 도금조의 외부에 마련된 상태에서 피도금체의 내부에 전해액을 분사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나아가, 피도금체가 RF 필터인 경우 필터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혹은 상기 RF 필터의 외부의 미관을 고려하여 피도금체의 내부뿐 아니라 외부도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전자기적 특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부의 도금 두께를 외부의 도금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피도금체의 내부와 외부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 전기도금 장치를 제안한다. 나아가, 이러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피도금체의 내부뿐 아니라 외부의 도금을 수행하므로 도금에 상대적으로 많은 금속 이온이 소요된다. 따라서, 금속 이온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구리 도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전해액(603)이 수용된 도금조(601)를 구비한다. 그리고, 피도금체(610) 내부의 도금 두께를 외부의 도금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도금체(610)가 상기 도금조(601)의 전해액(603) 내부에 잠기고, 상기 피도금체(610) 내측부로 전해액을 공급하는 전해액 공급부(620)가 장착된다.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는 도금조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전해액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해액을 상기 피도금체(610) 측으로 분사한다.
나아가,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와 연결되어,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로부터의 전해액을 통과시켜 공급하는 보조 양극체(6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로부터의 전해액이 보조 양극체(630)를 통해 상기 피도금체(610)의 내측부로 분사된다. 양극에 연결된 보조 양극체(630)에 포함된 금속이온(예컨대, 구리 이온)들이 상기 전해액과 함께 상기 피도금체(610) 내측부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피도금체(610) 내측부의 도금층(즉, 제1도금층)이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해액(603)에 포함된 금속이온(예컨대, 구리 이온)들이 상기 피도금체(610) 내측부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피도금체(610) 외측부의 도금층(즉, 제2도금층)이 형성된다. 결국, 보조 양극체(630)로 인해 상기 피도금체(610) 내측부에 공급되는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의 밀도가 그 외측부에 공급되는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의 밀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며, 제1도금층의 두께가 상기 제2도금층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도금층의 두께는 0.5㎛이고, 상기 제2도금층의 두께는 0.1㎛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상기 피도금체(610)를 전해액 내부에 잠겨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피도금체 고정부재(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도금체 고정부재(640)는 전해액 공급부 고정암(641), 피도금체 고정암(643) 및 고정암 구동부(645)를 구비한다. 상기 전해액 공급부 고정암(641)은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가 상기 피도금체(61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고정하며, 고정암 구동부(645)에 의해 그 고정 위치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의 상부에 연결된 보조 양극체(630)의 위치도 고정된다. 그리고, 피도금체 고정암(643)은 고정암 구동부(645)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보조 양극체(630)의 상부에 장착되는 피도금체(610) 상부면의 일부에 고정력을 인가한다. 이로써, 상기 피도금체(610)는 전해액 공급부 고정암(641)에 의해 간접적으로 고정된 보조 양극체(630)와 피도금체 고정암(643) 사이에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암 구동부(645)는 보조 양극체(630)의 상부에 피도금체(61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해액 공급부 고정암(641)을 전해액(603)의 외부에 위치시키고, 피도금체(610)가 보조 양극체(630)의 상부에 장착된 후, 피도금체 고정암(643)이 피도금체(610)가 위치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도금체(610) 상부면의 일부에 밀착되어 피도금체(610)에 고정력을 인가하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암 구동부(645)는 피도금체(610)가 보조 양극체(630)와 피도금체 고정암(643)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전해액(603) 내부에 잠기도록 전해액 공급부 고정암(641)과 피도금체 고정암(643)을 구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는 도금조(601)에 포함된 전해액(603)을 펌핑시키는 순환펌프(670)를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도금과정에서 전해액(603)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필터(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금조(601)에 포함된 전해액(603)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보조 전해액(663)을 수용하는 보조 탱크(66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탱크(660)는 불순물 제거필터(650)와 순환펌프(67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금조(601)에 수용된 전해액(603)은 제1경로(605)를 통해 불순물 제거필터(650)로 제공되고, 다시 제2경로(655)를 통해 보조 탱크(660)에 공급되고, 제3경로(665)를 통해 순환 펌프(670)에 제공된 후, 제4경로(675)를 통해 전해액 공급부(620)에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에 구비된 전해액 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는 상기 제4경로(675)를 통해 공급되는 전해액을 동시에 다수의 홀을 통해 공급하는 공급부 몸체(621)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공급부 몸체(621)를 통해 공급되는 전해액을 미리 정해진 길이의 공급노즐(625)을 통해 배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기도금 장치에 구비된 보조 양극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양극체(630)는 피도금체(6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보조 양극체 몸체(631)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 양극체 몸체(631)에는 상기 복수의 공급노즐(625)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제1관통홀(633)이 형성되며, 상기 공급노즐(625)을 통해 공급되는 전해액이 복수의 제1관통홀(633, 637)을 통해 피도금체(610)의 내측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보조 양극체 몸체(631)에는 피도금체(610)의 내측부로 배출된 전해액이 다시 보조 양극체(630)와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제2관통홀(635, 63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양극으로 연결된 보조 양극체(630)에 포함된 금속이온(예컨대, 구리 이온)들이 상기 제1관통홀(633,637)을 통해 상기 전해액과 함께 상기 피도금체(610) 내측부에 지속적으로 제공된다. 반면, 상기 피도금체(610) 외측부에는 도금조(601) 내부에 포함된 전해액(603)만이 공급되며 보조 양극체(630)에 포함된 금속이온(예컨대, 구리 이온)들은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보조 양극체(630)로 인해 상기 피도금체(610) 내측부에 공급되는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의 밀도가 그 외측부에 공급되는 전해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의 밀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며, 제1도금층의 두께가 상기 제2도금층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보조 양극체 몸체(631)는 상기 피도금체(610)의 일 부분과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6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피도금체(610)가 RF필터와 같이 나사 홀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돌기는 상기 피도금체(610)에 마련된 나사 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공급부(620,630)가 하나의 전해액 공급부(620)와 보조 양극체(630)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공급부(620)는 하나의 전해액 공급부(620)와, 상기 전해액 공급부(62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양극체(630)를 구비하거나, 복수의 전해액 공급부(620)와 보조 양극체(630)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전기도금 장치에 있어서,
    전해액을 수용하는 도금조와,
    상기 도금조와 연결되어 피도금체의 특정 부위에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이온을 함유한 전해액이 분사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양극에 연결되고, 상기 피도금체는 음극에 연결되는 전기도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을 상기 공급부에 공급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상기 순환탱크에 공급하는 불순물 제거필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에 수용된 상기 전해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위를 갖는 전해액을 수용하며, 상기 불순물 제거필터로부터 전해액을 공급받아 상기 순환펌프에 제공하는 보조탱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도금체에 전착시키고자 하는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해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해액을 통과시켜 상기 피도금체가 마련된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1관통홀이 마련되는 보조 양극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공급부는 상기 전해액을 공급하는 공급부 몸체 및 상기 공급부 몸체에 연결된 미리 정해진 길이의 전해액 공급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액 공급부와 보조 양극체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공급노즐이 상기 제1관통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공급부 몸체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보조탱크로부터의 전해액을 상기 공급부 몸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양극체에는,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해 배출된 전해액을 상기 전해액 공급부가 마련된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2관통홀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공급부를 고정하는 전해액 공급부 고정암과,
    상기 피도금체가 상기 보조 양극체의 일부에 밀착되어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피도금체 고정암과,
    상기 전해액 공급부 고정암 및 피도금체 고정암을 이동 및 고정하는 고정암 구동부를 포함하는 피도금체 고정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양극체는,
    상기 피도금체가 밀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일부에 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 장치.
KR1020100002015A 2009-04-17 2010-01-08 전기도금 장치 KR101693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26966.2A CN102459714B (zh) 2009-04-17 2010-04-19 电镀设备
PCT/KR2010/002425 WO2010120158A2 (ko) 2009-04-17 2010-04-19 전기도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3718 2009-04-17
KR1020090033718 2009-04-17
KR1020090040858 2009-05-11
KR20090040858 2009-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294A true KR20100115294A (ko) 2010-10-27
KR101693223B1 KR101693223B1 (ko) 2017-01-05

Family

ID=43134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015A KR101693223B1 (ko) 2009-04-17 2010-01-08 전기도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3223B1 (ko)
CN (1) CN1024597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217B1 (ko) * 2010-07-20 2017-01-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전기도금 장치
JP2014088600A (ja) * 2012-10-31 2014-05-15 C Uyemura & Co Ltd 表面処理装置
CN105714344B (zh) * 2016-04-11 2018-04-10 深圳振华富电子有限公司 适用于端电极的喷射式电镀装置
CN106757226B (zh) * 2017-01-11 2018-10-30 吉林大学 一种防止电镀件上定位孔漏镀的仿形射流装置及其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624A (ko) * 1996-08-14 1998-05-25 치엔신 고 분사 전기도금 방법
JP2000096282A (ja) * 1998-09-25 2000-04-04 Tetsuo Tanaka 電鋳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0062501A (ko)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플라텍 다수의 전원장치를 구비하는 도금장치 및 그를 이용한도금방법
JP2003342783A (ja) * 2002-05-28 2003-12-03 Micronics Japan Co Ltd メッキ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335B2 (ja) * 1995-04-26 2001-02-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メッキ装置
JP2008038240A (ja) * 2006-08-07 2008-02-21 Taiyo Yuden Co Ltd チップ状電子部品のめっき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624A (ko) * 1996-08-14 1998-05-25 치엔신 고 분사 전기도금 방법
JP2000096282A (ja) * 1998-09-25 2000-04-04 Tetsuo Tanaka 電鋳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0062501A (ko)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플라텍 다수의 전원장치를 구비하는 도금장치 및 그를 이용한도금방법
JP2003342783A (ja) * 2002-05-28 2003-12-03 Micronics Japan Co Ltd メッキ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223B1 (ko) 2017-01-05
CN102459714A (zh) 2012-05-16
CN102459714B (zh)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217B1 (ko) 전기도금 장치
KR20100115294A (ko) 전기도금 장치
JP6222145B2 (ja) 金属皮膜の成膜装置およびその成膜方法
JP2007039783A (ja) 軟性銅箔積層フィルム製造システム及び方法
US9551083B2 (en) Paddle for materials processing
JP5665483B2 (ja) 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装置
JP4677829B2 (ja) 金属製部品の陽極酸化処理装置
US20180087170A1 (en) Wet Surface Treatment Apparatus
KR101804468B1 (ko) 진공흡착구조를 갖는 이동식 국부도금장치
KR101132092B1 (ko) 기판 도금 장치
CN210163539U (zh) 打印笔
JP5915602B2 (ja) 金属皮膜の成膜装置および成膜方法
KR101751183B1 (ko) 마이크로 전해가공 장치
WO2010120158A2 (ko) 전기도금 장치
TWM468525U (zh) 電鍍裝置
KR102057258B1 (ko) 도금장치
KR101789080B1 (ko) 도금 장치 및 수용조
JP2005029864A (ja) 電着塗装装置および電着塗装方法
KR19990045932A (ko) 금속판도금장치
EP23883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odizing objects
KR20170059114A (ko) 전기도금 장치
KR20080079799A (ko) 금속관의 전해연마 장치 및 방법
KR101895589B1 (ko) 롤러 모서리 부분 도금 장치 및 방법
WO2021107100A1 (ja) めっき処理された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めっき処理装置
KR200358908Y1 (ko) 굴곡 입체형상 모재의 일측면 균일 도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