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190A - 진동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190A
KR20100115190A KR1020090033802A KR20090033802A KR20100115190A KR 20100115190 A KR20100115190 A KR 20100115190A KR 1020090033802 A KR1020090033802 A KR 1020090033802A KR 20090033802 A KR20090033802 A KR 20090033802A KR 20100115190 A KR20100115190 A KR 20100115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piston core
flux ring
reduction device
vibration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190A/ko
Publication of KR2010011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05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using electro- or magnetostrictive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엠알 유체가 저장되는 플럭스 링과, 상기 플럭스 링에 삽입되어 전류 인가시 자장이 발생되는 피스톤 코어와, 차량의 저속 주행 시 댐핑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 코어에 구비된 자기장 저감 부재가 포함되어,
피스톤 코어에 절연체로 형성된 자기장 저감 부재를 구비하여 피스톤 코어에 발생되는 자장과 엠알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여 댐핑력을 감소시키고, 댐핑력 감소 시 발생되던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진동 저감, 댐핑력, 피스톤 코어, 절연체

Description

진동 저감 장치 {vibration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운전 중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저감 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력을 감쇠시키는 진동 저감 장치는, 차량의 현가장치 에서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차축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는 물론,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객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등 차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장치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에서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얻기 위해 진동 저감 장치의 작용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전자제어식 현가장치 에서는 진동 저감 장치의 감쇠 성능을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시키는 즉, 진동 저감 장치에 전류를 인가하여 유도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자기 유동성(MR) 유체의 겉보기 점도를 순간적으로 변화시켜 감쇠성능을 조절하는 진동 저감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진동 저감 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럭스 링(1) 내부에 권선과 자석으로 구성된 피스톤 코어(3)가 구비되고, 플럭스 링(1)과 피스톤 코어(3) 사이에는 엠알 유체가 유동된다.
피스톤 코어(3)에 전류가 인가되면 권선과 자석으로 구성된 피스톤 코어(3)에 자장이 발생을 한다. 그리고 플럭스 링(1)과 피스톤 코어(3) 사이를 유동하는 엠알 유체가 피스톤 코어(3)에 발생된 자장에 의해서 입자 배열을 가변시켜 진동 저감 장치의 댐핑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진동 저감 장치는 차량에 적합한 댐핑력을 구현하기 위한 댐핑 선도를 튜닝하기 위해서 플럭스 링(1)에 엠알 유체가 통과하기 쉬운 바이패스 경로(1a)를 형성하고, 특히 바이패스 경로(1a)의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저속구간에서의 댐핑력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 저감 장치는, 댐핑력을 조절하기 위해 플럭스 링(1)에 형성된 바이패스 경로(1a)를 엠알 유체가 통과할 때 엠알 유체 내에서 압력이 낮은 곳이 생기고 엠알 유체 속에 포함되어 있던 기체가 엠알 유체에서 빠져나와 압력이 낮은 곳에 모이는데, 이로 인해 엠알 유체가 없는 빈공간이 생기는 공동현상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댐핑력을 조절하기 위해 엠알 유체가 플럭스 링 내부를 통과할 시 발생되는 공동현상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엠알 유체가 저장되는 플럭스 링과, 상기 플럭스 링에 삽입되어 전류 인가시 자장이 발생되는 피스톤 코어와, 차량의 저속 주행 시 댐핑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 코어에 구비된 자기장 저감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 코어는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가 구비 가능토록 외주면에 슬롯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롯 홈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는 상기 슬롯 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피스톤 코어에 절연체로 형성된 자기장 저감 부재를 구비하여 피스톤 코어에 발생되는 자장과 엠알 유 체의 흐름을 조절하여 댐핑력을 감소시키고, 댐핑력 감소 시 발생되던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의 일부 단면이 표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자기장 저감 부재 구비 수에 따른 효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는, 엠알 유체가 저장이 되는 플럭스 링(1)과, 상기 플럭스 링(1)에 삽입되어서 전류가 인가되면 자장이 발생되는 피스톤 코어(10)와, 차량이 저속 주행을 할 때 댐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 코어(10)에 구비되어 있는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포함된다.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는 절연체로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 코어(1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장이 발생될 시 상기 피스톤 코어(10)에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구비된 측에는 전기가 통하지 못하게 하여 자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스톤 코어(10)에는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 코어(10)의 외주면(11)에 슬롯 홈(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 홈(13)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는 상기 슬롯 홈(13)이 형성되는 개수에 대응되어 구비되며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는 상기 슬롯 홈(13)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진동 저감 장치의 구조 및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엠알 유체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플럭스 링(1)에는 상기 플럭스 링(1) 내부의 공간에 피스톤 코어(10)가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 코어(10)의 외주면(11)에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슬롯 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 홈(13)에 삽입 결합되기 위한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상기 슬롯 홈(13)이 형성되는 개수에 대응되어 구비된다.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는 전기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로 형성하여 상기 슬롯 홈(13)에 삽입 결합시킨다. 상기 피스톤 코어(10)는 외부에서 전기가 인가되면 자장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 코어(10) 중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결합되어 있는 측에는 전기가 인가되어도 절연체로 형성된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에 의해서 자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 중 저속 구간에서 저속으로 운전을 하게 될 경우, 진동 저감 장치에는 댐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류가 인가된다.
내부에 엠알 유체가 저장되어 있고, 피스톤 코어(10)가 삽입되어 있는 플럭스 링(1)은 상기 플럭스 링(1)과 상기 피스톤 코어(1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갭(T)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럭스 링(1)에 저장되는 엠알 유체가 상기 갭(T)을 통해 유동하게 된다.
인가된 전류는 상기 플럭스 링(1)으로 전달되어 상기 갭(T)을 통해 유동하는 엠알 유체는 차량의 저속 주행 시 댐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플럭스 링(1)과 상기 피스톤 코어(1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엠알 유체의 성질이 변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코어(10)에는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 코어(10)에 자장이 발생될 때 전류가 통하지 못하게 하여 상기 피스톤 코어(10)의 일부에 자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상기 피스톤 코어(10)에 구비되기 위해서 상기 피스톤 코어(10)의 외주면(11)에는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슬롯 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상기 슬롯 홈(13)에 삽입 결합하여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피스톤 코어(10)의 슬롯 홈(13)에 삽입 결합되어 구비된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구비된 측에는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상기 피스톤 코어(10)로 인가된 전류가 통하지 못하도록 하여 자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구비된 측의 갭(T)을 통해 상기 엠알 유체가 유동을 하여 진동 저감 장치의 댐핑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진동 저감 장치의 댐핑력 저감 효과는 자기장 저감 부재(20)가 구비되는 개 수를 줄이거나 늘려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장 저감 부재(20)의 구비 수에 따라 댐핑력 저감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저감 장치는 플럭스 링(1)과 피스톤 코어(10) 사이의 일정한 갭(T)을 통해 엠알 유체가 유동이 되고, 절연체로 형성된 자기장 저감 부재(20)를 이용하여 댐핑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엠알 유체의 유동이 급격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종래의 진동 저감 장치에서 엠알 유체 흐름의 급격한 변화로 발생된 공동 현상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여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를 사용하면, 일정한 간격의 갭을 유동하는 엠알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저속 주행 시 소음의 발생없이 댐핑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의 단면 표시가 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저감 장치의 일부 단면이 표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자기장 저감 부재 구비 수에 따른 효과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플럭스 링 10: 피스톤 코어
11: 외주면 13: 슬롯 홈
20: 자기장 저감 부재

Claims (5)

  1. 엠알 유체가 저장되는 플럭스 링과;
    상기 플럭스 링에 삽입되어 전류 인가시 자장이 발생되는 피스톤 코어와;
    차량의 저속 주행 시 댐핑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 코어에 구비된 자기장 저감 부재가 포함되는 진동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는 절연체로 형성되고, 막대 형태로 형성된 진동 저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코어는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가 구비 가능토록 외주면에 슬롯 홈이 형성된 진동 저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롯 홈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진동 저감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저감 부재는 상기 슬롯 홈에 삽입 결합되는 진동 저감 장치.
KR1020090033802A 2009-04-17 2009-04-17 진동 저감 장치 KR20100115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02A KR20100115190A (ko) 2009-04-17 2009-04-17 진동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02A KR20100115190A (ko) 2009-04-17 2009-04-17 진동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190A true KR20100115190A (ko) 2010-10-27

Family

ID=4313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02A KR20100115190A (ko) 2009-04-17 2009-04-17 진동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1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967A (ko) * 2010-11-26 2012-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점탄성 물질을 이용한 변속 케이블
WO2013060257A1 (zh) * 2011-10-25 2013-05-02 清华大学 一种基于负刚度原理的永磁低频单自由度隔振机构
CN104534011A (zh) * 2014-12-10 2015-04-22 重庆大学 一种刚度阻尼可调的永磁式磁流变隔振支座
KR20160109296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만도 Mr 댐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967A (ko) * 2010-11-26 2012-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점탄성 물질을 이용한 변속 케이블
WO2013060257A1 (zh) * 2011-10-25 2013-05-02 清华大学 一种基于负刚度原理的永磁低频单自由度隔振机构
CN104534011A (zh) * 2014-12-10 2015-04-22 重庆大学 一种刚度阻尼可调的永磁式磁流变隔振支座
CN104534011B (zh) * 2014-12-10 2016-07-06 重庆大学 一种刚度阻尼可调的永磁式磁流变隔振支座
KR20160109296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만도 Mr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324B2 (en) Damper device for a two-wheeled vehicle
JP5624688B2 (ja) 磁気粘性流体減衰アセンブリ
US6510929B1 (en) Controllable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EP2177784B1 (en) Magnetorheological Devices with Permanent Field Bias
US7828126B2 (en) Magnetorheological (MR) piston, MR piston assembly, and MR damper system
KR20100115190A (ko) 진동 저감 장치
US20010050202A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tunable for smooth transitions
KR101811548B1 (ko) 댐퍼 마운트 장치
AU4640393A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evices
JP2008208885A (ja) 粘性可変流体緩衝器
KR20180064721A (ko) 차량의 엔진 마운트
CN102221066B (zh) 带有永磁偏磁场的磁流变装置
CN104763825A (zh) 一种采用永久磁铁和双线圈进行复合控制的磁流变阀
KR20070103858A (ko) 차량의 전자제어 현가장치용 페일 세이프 타입 엠알 씨디씨댐퍼
CN208153613U (zh) 一种磁流变阻尼器
CN105805217A (zh) 一种环形磁路的磁流变减振器
WO2012172963A1 (ja) 磁気粘性流体緩衝器
CN112161017A (zh) 一种快速响应磁流变阻尼器
CN204610675U (zh) 一种磁流变减振器
KR20190091770A (ko) 차량용 준능동 와전류 댐퍼
KR101984633B1 (ko) Mr 댐퍼
RU2550793C1 (ru) Управляемый магнитожидкост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WO2012172961A1 (ja) 磁気粘性流体緩衝器
CN209781549U (zh) 一种具有内外液流通道的双线圈磁流变阻尼器
JP2005121135A (ja) 磁性流体ダ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