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731A -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731A
KR20100114731A KR1020090033252A KR20090033252A KR20100114731A KR 20100114731 A KR20100114731 A KR 20100114731A KR 1020090033252 A KR1020090033252 A KR 1020090033252A KR 20090033252 A KR20090033252 A KR 20090033252A KR 20100114731 A KR20100114731 A KR 2010011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load
strain gauge
sensor
sens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614B1 (ko
Inventor
이철섭
김진광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09003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1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Forc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센서와 이 하중센서를 이용하는 차량의 승객하중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어프램을 이용하는 하중센서의 제조 불량률을 크게 낮추고, 감지장치를 통하여 승객의 하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에는 하중이 인가되는 입력부와, 이 입력부의 둘레에 환형 노치홈이 형성되고, 그 반대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다이어프램이 형성되는 센서바디와,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하중을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하중센서에 있어서, 노치홈과 입력부 사이에는 다이어프램의 선형 변형 구간이 증대되도록 비탈경사면이 형성되는 하중센서 및 이러한 하중센서를 이용하는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를 제시한다.
다이어프램, 스트레인 게이지

Description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The Weight sensor and the passenger-weight detecting device using it in vehicle}
본 발명은 하중센서와 이 하중센서를 이용하는 차량의 승객하중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어프램을 이용하는 하중센서의 제조 불량률을 크게 낮추고, 감지장치를 통하여 승객의 하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타입의 하중센서 중 하나로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다이어프램 방식의 하중센서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종래의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하중센서(300)의 몸체를 형성하는 센서바디(310)의 중앙에 하중을 입력받는 입력바(311)가 체결되는 결합홀(312)이 형성되고, 결합홀의 둘레에 한 쌍의 스트레인 게이지(330)가 대칭되게 부착되는 다이어프램(320)이 형성된다. 이때 각 스트레인 게이지(330)는 2개의 압저항소자(331)가 구비되고, 다이어프램의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다이어프램의 변형을 돕는 노치홈(321)이 형성된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값으 로 전기신호를 산출하는 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하중센서(300)는 입력바(311)를 통하여 전해지는 하중에 의한 다이어프램(320)의 변형을 스트레인 게이지(330)의 압저항소자(331)가 감지하여 측정값을 회로기판에 전송하고, 회로기판에서는 측정값으로부터 하중을 산출하게 된다.
이때, 입력바를 통하여 가해진 하중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압저항소자의 전기저항의 변형에 근거하여, 가해진 하중을 수치로 계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하중의 측정을 위해서는, 변형하는 하중에 대하여 다이어프램이 선형적으로 변형되는 구간에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하중센서에 형성되는 다이어프램에서 하중의 변형에 비례하여 선형 변형되는 구간은 상당히 협소하게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즉, 협소한 구간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는 작업은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스트레인 게이지의 정밀한 부착을 위하여 자동화 기계를 제작하더라도 작업 툴의 미세한 떨림 등의 요인에 의하여 스트레인 게이지의 부착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많아 하중센서의 불량률이 여전히 높다. 따라서 고가의 자동화 기계의 제작과 유지 및 하중센서의 불량률 등의 원인으로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센서는, 에어백 설치위치와 차량 탑승객 사이의 거리와 위치 및 무게 등을 종합 판단하여 에어백의 전개범위를 결정하는 에어백 컨트롤러에 탑승객의 무게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는 전술된 종래의 하중센서를 주요 구성으로 하며, 하중센서의 결합홀은 차량의 시트레일에 볼트로 직결되고, 센서바디는 시트프레임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센서에서, 차량의 운전 상태 및 시트프레임의 밴딩 등의 외부 환경 변형에 기인하거나 감지센서의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인하여 측하중 또는 모멘트 등의 잡하중이 입력된다.
이러한 잡하중에 의한 다이어프램의 변형은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그대로 측정됨에 따라 정확한 하중 감지가 이루지기 어렵게 된다.
물론, 잡하중을 배제하는 방법 중 하나로 4개의 압저항소자를 이용하여 휘스톤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여 잡하중에 기인한 측정 성분을 상쇄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휘스톤 브리지 회로에 의한 모멘트의 상쇄는 모멘트가 발생할 때 서로 짝을 이루는 압저항소자의 변형률이 동일함을 전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스트레인 게이지 부착의 정밀도를 크게 요구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측하중 또는 모멘트가 다이어프램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하는 구조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이어프램에서 스트레인 게이지의 부착 작업의 엄격성을 낮추는 목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 가능한 다이어프램의 선형 변형되는 구간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수직 하중에 대한 민감도를 증대시키는 목적도 갖는다.
한편, 다른 목적으로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수직 방향의 하중에 의한 감도는 유지하나 모멘트에 대한 감도는 낮추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의 구조적 안정성 및 강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하여 잡하중에 대한 제거능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고 수직하중에 대해서는 민감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일면에는 하중이 인가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둘레에 환형 노치홈이 형성되고, 그 반대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된 다이어프램이 형성되는 센서바디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하중을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하중센서에 있어서, 상기 노치홈과 상기 입력부 사이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선형 변형 구간이 증대되도록 비탈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센서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에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되는 부착면의 변형이 증대되도록 상기 입력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판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센서를 제시한다.
한편, 시트레일과 시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의 체중을 계측하는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면에는 중앙에 상기 시트레일에 연결되어 하중이 인가되는 입력부와, 중앙 둘레에 환형 노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치홈과 상기 입력부 사이에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선형 변형 구간이 증대되도록 비탈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되는 다이어프램이 형성되도록 내부에 장착홈이 형성되는 센서바디와, 상기 센서바디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센서바디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장착홈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하중을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장착홈을 폐쇄하는 차폐커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에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되는 부착면의 변 형이 증대되도록 상기 입력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판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를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센서에 따르면, 비탈경사면에 의하여 다이어프램에서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 가능한 구간을 증대시켜, 스트레인 게이지의 오부착에 따른 불량품의 발생율을 현저하게 낮추고, 스트레인 게이지의 정위치 부착에 따른 까다로운 부착 공정을 완화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원판돌기가 더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되는 부착면의 변형을 증대시켜 더욱 민감한 하중 측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에 따르면, 절개부가 형성됨에 따라, 고정부를 통하여 들어온 잡하중이 다이어프램에 전달되는 경로를 긴 방향으로 우회시켜 다이어프램 상의 스트레인 게이지에 잡하중이 미치는 영향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센서바디 하부의 열린 구조를 닫는 형태로 금속재질인 차폐커버로 마감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강성을 추가적으로 확보함에 따라 잡하중에 대한 제거능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고 측정방향 하중에 대해서는 민감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감지의 정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하중센서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센서의 사시도, 단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센서(100)는, 일면에는 하중이 인가되는 입력부(11)와, 입력부의 둘레에 환형 노치홈(12)이 형성되고, 그 반대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된 다이어프램(14)이 형성되는 센서바디(1)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하중을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도 8의 4)를 포함하는 하중센서에 있어서, 상기 노치홈(12)과 상기 입력부(11) 사이에는 상기 다이어프램(14)의 선형 변형 구간이 증대되도록 비탈경사면(13)이 형성된다.
센서바디(1)는 대략 원판형 또는 다각형의 판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중심에는 하중이 인가되는 입력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입력부(11)는 수용홈(111)의 형상일 수 있다. 이 수용홈(111)에는, 상부는 변형하는 하중을 갖는 기계 장치 등에 결합되고 하부는 수용홈(111)에 결합되어 기계 장치 등의 하중을 센서바디(1)의 중앙에 전달하는 입력부재(F)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는 입력부재가 센서바디의 중앙에서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센서바디(1)의 바닥면에는 입력부(11)의 중심과 중심이 일치하는 다이어프램(14)이 형성된다. 또한, 다이어프램(14)의 중심을 지나는 어느 한 가상직선(m) 상에 한 쌍의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대칭되게 부착되며, 각 스트레인 게이지(15)에는 한 쌍의 압저항소자(151)가 포함된다.
이로써 가상직선(m) 상에 배열되는 4개의 압저항소자(151)로 휘스톤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여, 측정값의 처리 과정 중에 모멘트를 배제한 수직방향의 하중을 계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바디(1)의 상부에는 입력부(1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환형의 노치홈(12)이 형성되며, 이 노치홈(12)에서 입력부(11)의 외곽 부분까지의 구간에는 일정한 경사각도를 갖는 비탈경사면(13)이 형성된다.
이러한 비탈경사면(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홈(12)의 바닥면부터 입력부(11)의 외곽에까지 이르는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센서바디(1)에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다이어프램(14)에서 선형 변형률을 갖게 되는 구간을 증대시켜,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 가능한 구간을 확장하는 것이다.
이하, 비탈경사면(13)의 작용을 다이어프램과 대응되는 외팔보에 비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14)의 좌우가 대칭되므로, 하중이 인가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단면에 따른 응력분포는 대칭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14)의 변형은 입력부(11)의 위치가 고정되고, 센서바디(1)의 외주면이 상승 변형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외팔보가 고정된 벽면은 고정됨을 가정한 입력부로 가정하고, 외팔보의 끝단은 다이어프램의 부착면으로 간주하여 다이어프램의 어느 한 쪽은 외팔보로 간략화 할 수 있다.
종래의 하중센서는 노치홈에서 입력부에까지 평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두께를 갖는 외팔보로 볼 수 있다. 도 4의 (a)에 따른 외팔보는 끝단에 전단응력(화살표 방향)을 가하였을 때에, 주지된 바와 같이 외팔보는 곡선형 변형이 일어난다.
즉, 종래의 다이어프램의 부착면의 변형은 곡선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곡선변형되는 부착면의 매우 좁은 구간에서만 근사치로 선형 변형 구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스트레인 게이지의 부착 공정이 매우 까다로워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중센서에는 비탈경사면이 형성되어, 도 4의 (b)와 같이 바닥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외팔보에 대응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외팔보는 그 끝단에 전단응력을 가하였을 때에, 주지된 바와 같이 직선 변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중센서의 부착면은 선형적인 변형이 이루어지는 구간의 증대되어 되며, 스트레인 게이지가 잘 못된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스트레인 게이지의 부착 위치 잘못에 의한 불량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형 구간의 증대는, 첨부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의 부착면의 변형을 나타낸 대비 그래프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도 5에서 세모로 나타낸 것은 비탈경사면이 형성되지 아니한 종래의 다이어프램에 따른 것이고, 네모로 나타낸 것은 비탈경사면을 가지는 다이어프램에 따른 것이다. 이때 가로축은 후술되는 원판돌기(142)의 끝단에서 다이어프램(14)의 최외곽까지의 거리(도 2의 L) 즉, 스트레인 게이지가 부착 가능한 구간 전체를 나타낸 것이고, 세로축은 변형률을 나타낸다.
비탈경사면이 없는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대략 6.5㎜ 내지 7.75㎜의 구간에서 대략적인 선형 변형이 관찰된다. 따라서 대략 1㎜ 길이를 갖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1.25㎜의 선형 변형 구간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공차관리가 엄격해진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5.75㎜ 내지 8.5㎜까지의 넓은 구간에서 선형 변형률이 나타나 스트레인 게이지의 부착 가능한 구간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다이어프램(14)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되는 부착면(141)의 변형이 증대되도록 상기 입력부(11)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판돌기(142) 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판돌기(142)는 다이어프램(14)의 중심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여, 원판돌기(142)가 형성된 중앙 부분의 변형을 작게 하고 상대적으로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되는 가장자리 부분, 즉 부착면(141)의 변형률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작은 하중 변형에도 스트레인 게이지로 검출되는 측정값이 크게 변형되므로, 하중센서의 민감도가 증대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200)에는 센서바디(1), 고정부(2), 절개부(3) 및 신호처리부(4)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200)는 시트레일과 시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에 앉는 승객의 체중을 계측하는 것으로, 전술된 하중 센서가 포함된다.
센서바디(1)에는 중앙에 시트레일과 연결되어 하중을 인가하는 입력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센서바디(1)의 중앙 둘레에는 입력부(11)와 이격된 환형 노치홈(12)이 형성되며, 노치홈(12)과 입력부(11) 사이에는 비탈경사면(13)이 형성된다.
또한, 센서바디(1)의 하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되는 다이어프램(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다이어프램(14)은 센서바디(1)의 외측면이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형성되는 장착홈(16)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장착홈(16)에는 신호처리부(4)가 내장된다.
또한, 다이어프램(14)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되는 부착면(141)의 변형이 증대되도록 상기 입력부(11)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판돌기(14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바디(1)에 구비되는 노치홈(12), 비탈경사면(13), 원판돌기(142) 및 신호처리부(4)의 기능 및 작용은 전술된 하중센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고정부(2)는 센서바디(1)의 양측에 대칭되게 연장형성되어, 시트프레임(F1)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2)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고정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고정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절개부(3)는 센서바디(1)와 고정부(2) 사이가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2)는 센서바디(1)의 전단과 후단에서 연장되는 리브살(17)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절개부(3)는 시트프레임의 평탄도와 밴딩, 상부측 시트레일과의 평행 성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측하중 또는 모멘트 등의 잡하중이 고정부(2) 및 센서바디(1)를 통하여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된 다이어프램(14) 측으로 바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가 잡하중에 둔감하게 된다. 즉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는 잡하중을 가능한 배제하고 승객의 체중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를 분해한 배면 사시도이다.
센서바디(1)의 장착홈(16)의 내부에는 다이어프램(14), 스트레인 게이지(15), 신호처리부(4)가 구비되고, 센서바디의 개방된 하부에는 장착홈(16)을 폐쇄하는 차폐커버(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신호처리부(4)는 스트레인 게이지(15)와 연결되는 피씨비(PCB, 41)와 피씨비와 전기 접속되는 반도체칩(semiconductor, 42)로 이루어진다. 또한 계측된 승객 체중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피씨비와 전기 접속되는 커넥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차폐커버(5)는 장착홈의 하단에 결합되어, 장착홀을 마감하는 것으로, 통전 가능한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차폐커버(5)로 인하여 센서바디(1)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 로, 절개부(3)를 형성함으로 인하여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200)의 중앙 부분의 강성 저하로 발생할 수 있는 모멘트 등의 잡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폐커버(5)는 최종 조립단계에서 용접하여 부착함으로써, 스트레인 게이지(15) 및 신호처리부(4) EMC특성을 향상시키는 차폐역할을 하며, 방수형의 센서를 만들수 있게 된다. 또한 차폐커버(5)를 장착하게 되면 센서바디가 닫힌 박스형의 구조물로 완성되는데, 이는 고정부를 상대물에 장착시 볼트 조임 또는 상대물 장착면의 편평도 문제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정부의 변형이 센서바디까지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여, 센서의 주요 사양 중 하나인 마운팅 오프셋오차를 줄이게 된다.
나아가, 센서바디(1)의 장착홈(16)에 내장된 피씨비(41)와 차폐커버(5) 사이에는 홀딩부재(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홀딩부재(6)는 통전 가능한 금속 판체로서, 접지면(61)은 차폐커버(5)에 접촉되고, 접지면의 가장자리에서 절곡 형성되는 절곡편(62)은 피씨비(41)의 그라운드에 전기 접속된다. 이 경우, 홀딩부재(6)는 피씨비(41)와 차폐커버(5) 사이에 개재되어 피씨비(41)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피씨비(41)의 접지를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센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중센서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중센서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다이어프램의 변형을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를 분해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중센서, 200 : 감지장치
1 : 센서바디
11 : 입력부 111 : 수용홈 12 : 노치홈
13 : 비탈경사면 14 : 다이어프램 141 : 부착면
142 : 원판돌기 15 : 스트레인 게이지 151 : 압저항소자
F : 입력부재 16 : 장착홈 17 : 리브살
2 : 고정부 21 : 고정홈
3 : 절개부
4 : 신호처리부
41 : 피씨비 42 : 반도체칩
5 : 차폐커버
6 : 홀딩부재

Claims (5)

  1. 일면에는 하중이 인가되는 입력부(11)와, 상기 입력부(11)의 둘레에 환형 노치홈(12)이 형성되고, 그 반대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된 다이어프램(14)이 형성되는 센서바디(1)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5)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하중을 산출하는 신호처리부(4)를 포함하는 하중센서에 있어서,
    상기 노치홈(12)과 상기 입력부(11) 사이에는 상기 다이어프램(14)의 선형 변형 구간이 증대되도록 비탈경사면(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센서.
  2. 제1항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4)에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되는 부착면의 변형이 증대되도록 상기 입력부(11)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판돌기(14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센서.
  3. 시트레일과 시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시트에 앉은 승객의 체중을 계측하는 감지장치(200)에 있어서,
    상면에는 중앙에 상기 시트레일에 연결되어 하중이 인가되는 입력부(11)와, 중앙 둘레에 환형 노치홈(12)이 형성되며, 상기 노치홈(12)과 상기 입력부(11) 사 이에는 상기 다이어프램(14)의 선형 변형 구간이 증대되도록 비탈경사면(13)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되는 다이어프램(14)이 형성되도록 내부에 장착홈(16)이 형성되는 센서바디(1);
    상기 센서바디(1)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2);
    상기 센서바디(1)와 상기 고정부(2) 사이에 형성되는 절개부(3); 및
    상기 장착홈(16)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5)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하중을 산출하는 신호처리부(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장착홈(16)을 폐쇄하는 차폐커버(5)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4)에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5)가 부착되는 부착면(141)의 변형이 증대되도록 상 기 입력부(11)의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을 갖는 원판돌기(14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KR1020090033252A 2009-04-16 2009-04-16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KR10159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252A KR101594614B1 (ko) 2009-04-16 2009-04-16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252A KR101594614B1 (ko) 2009-04-16 2009-04-16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731A true KR20100114731A (ko) 2010-10-26
KR101594614B1 KR101594614B1 (ko) 2016-02-16

Family

ID=4313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252A KR101594614B1 (ko) 2009-04-16 2009-04-16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930A (ja) * 1993-02-17 1994-09-02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圧力センサ
KR20090024049A (ko) * 2007-09-03 2009-03-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중량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930A (ja) * 1993-02-17 1994-09-02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圧力センサ
KR20090024049A (ko) * 2007-09-03 2009-03-0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중량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614B1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5986B (zh) 力检测装置及机器人
US9857251B2 (en) Load detection apparatus
US7380475B2 (en) Dynamometric cell
US7490523B2 (en) Occupant load detect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US7444889B2 (en) Load cell
CN202158916U (zh) 用于检测形变的测量装置
KR101808928B1 (ko) 스트레인 전송기
EP3517918B1 (en) Force sensor
US7938024B2 (en) Weight sensing device for vehicles
JP2000180255A (ja) シ―ト重量計測装置
US20170082508A1 (en) Strain sensor and load detector using same
KR101594614B1 (ko) 하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US8960024B2 (en) Diaphragm type displacement sensor detecting moment
EP3546911B1 (en) Force sensor
US20090179764A1 (en) Device For Detecting Passenger's Weight In Vehicle
CN108627290A (zh) 一种提高桥梁应变监测灵敏度的方法
GB2334588A (en) Monitoring correct operation of a sensor module comprising a Wheatstone bridge circuit
US20230016275A1 (en) Pressure sensor having a membrane having sensor chips having measuring bridges having sensor elements
RU2786759C1 (ru) Датчик деформации
CN114846314B (zh) 压力传感器
CN109406015B (zh) 载荷转换器
KR20090078729A (ko) 자동차용 승객 체중 감지장치
CN114110002A (zh) 垫圈组件、紧固结构及垫圈服役状态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