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368A -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368A
KR20100114368A KR1020090032866A KR20090032866A KR20100114368A KR 20100114368 A KR20100114368 A KR 20100114368A KR 1020090032866 A KR1020090032866 A KR 1020090032866A KR 20090032866 A KR20090032866 A KR 20090032866A KR 20100114368 A KR20100114368 A KR 20100114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outer diameter
bar
inner diamete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4726B1 (ko
Inventor
송승용
김옥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Priority to KR102009003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72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5/00Apparatus or devices for supporting or holding wrappers during wrapp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포장재를 코일에 밀착시키도록 한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가 개시된다.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는 코일의 측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경가압바;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경가압바;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를 상기 내경가압바에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상기 내경가압바를 지지하며, 상기 내경가압바를 상기 코일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승강시켜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가 상기 코일의 외경 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승강부;및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부를 상기 코일 측으로 이송하여 상기 내경가압바 및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Closely apparatus for coil packing materials}
본 발명은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의 포장을 위해 코일의 측단면에 부착되는 포장재를 코일에 밀착시키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정은 각종 철광석 등을 주원료를 이용하여 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쇳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만드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용강을 고체상태로 만드는 연주공정, 고체상태의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여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켜 냉각 및 응고시켜 연속적인 슬래프(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의 중간소재로 만든다. 이 중 슬래브는 압연공정에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하면서 얇은 강판의 형태의 제품으로 생산된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강판은 유통의 편의를 위해 코일 형태로 감겨져 제공된다.
도 1은 코일과 포장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일 형태로 감긴 강판(이하, 코일)(10)은 방습을 위해 코일(10)의 외주면 및 측단면을 감싸는 방청지와 같은 포장지(11), 코일(10)의 외주면을 보호하는 외주보호판(12), 코일의 내주면을 보호하는 내주보호판(13), 코일(10)의 양측면을 보호하는 단면측판(14), 코일(10)의 내주면에 내주보호판(11)을 고정시키는 내주링(15) 및 코일(10)의 외주면에 외주보호판(12)을 고정시키는 외주링(16)를 포함하는 포장재로 코일(10)의 내, 외주면을 포장한다.
이러한 포장재를 이용한 코일(10)의 포장공정은 코일(10)은 내, 외주면 및 양 측단면에 포장지(11)를 감싸는 방청지 포장공정, 코일(10)을 내주보호판(13), 외주보호판(12), 단면측판(14), 내주링(15) 및 외주링(16)을 부착하는 부착공정을 포함한다.
부착공정은 내주보호판(13)을 코일(10)의 내주에 감싸는 내주 포장공정, 외주보호판(12)을 코일(10)의 외주에 감싸는 외주 부착공정, 단면측판(14), 내주링(15) 및 외주링(16)을 코일(10)의 측단면에 부착하는 측단면 부착공정, 코일(10)의 내, 외주에 밴드를 감싸 포장재를 코일(10)에 견고히 결속하는 결속공정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측단면 포장공정에서 코일(10)의 측단면에 부착된 단면측판(14), 내주링(15), 외주링(16)이 코일(10)의 측단면에 밀착되지 않는다면, 결속공정에서 포장재가 변형 및 파손될 수 있으며, 코일(10)과 포장재가 견고히 결속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재를 코일에 밀착시키도록 한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는 코일의 측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경가압바;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경가압바;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를 상기 내경가압바에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상기 내경가압바를 지지하며, 상기 내경가압바를 상기 코일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승강시켜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가 상기 코일의 외경 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승강부;및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부를 상기 코일 측으로 이송하여 상기 내경가압바 및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의 상기 코일을 향한 면에 각각 설치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는 브러쉬(Brush)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연결바는 상기 내경가압바가 승강되어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가 상기 코일의 최대 외경을 벗어나기 직전에 상기 내경가압바에 접촉되어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가 상기 코일의 최대 외경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는 상기 코일 측방의 지하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 및 상기 내경가압바 는 상기 내경가압바의 상승 이전에 일부가 지하에 위치하며, 상기 내경가압바의 상승에 따라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는 지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내경가압바를 지지하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선형작동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코일의 측방으로부터 상기 코일 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및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엘엠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는 코일의 외경에 따라 포장재를 가압하는 면적을 간편하게 조절하며, 포장재를 코일에 밀착시켜 포장재를 코일에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이하, 밀착장치)(100)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코일(10)의 양 측방에 배치된다.
도 2에서 밀착장치(100)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코일(10)의 양 측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 코일(10)의 일측단면이 코일(10)의 타측 방을 향하도록 코일(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코일회전기(미도시)가 마련된다면, 밀착장치(100)는 하나로 마련되어 코일(10)의 일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장치(100)는 코일(10)의 측방에 배치되는 가압부(110), 가압부(110)를 지지하고 승강시키는 승강부(130), 승강부(130)를 지지하고 이송하는 이송부(150) 및 이송부(150)를 지지하는 지지부(170)를 포함한다.
지지부(170)는 코일(10)이 지지되는 장소의 지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110)는 일부가 지하에 위치하며, 승강부(130)에 의해 상승되어 지상으로 확장된다. 지하에 설치되는 지지부(170)는 지상에 노출되는 밀착장치(100)의 규모를 간소화하여 이송되는 코일(10)과 밀착장치(100), 밀착장치(100)와 결속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미도시)와 서로 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밀착장치(100)를 통과하는 코일(10)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며, 포장재 및 밀착장치(100)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송부(150)는 지지부(170)의 상부에 안착되며, 승강부(130)를 코일(10) 측으로 이송한다. 이송부(150)는 승강부(130)를 코일(10) 측으로 이송함으로써, 가압부(110)에 포장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송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7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51), 승강부(130)를 지지하고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이송되는 엘엠모터(153)로 이루어지는 엘엠 가이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 이송부(150)는 승강부(130)를 지지하며 승강부(130)를 코일(10) 측으로 이송하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선형작동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부(130)는 이송부(150)의 상부에 안착되며, 가압부(110)를 코일(10) 중심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또한, 승강부(130)는 이후 설명될 내경가압바(113)를 승강시켜 코일(10)의 외경에 따라 복수의 외경가압바(11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 중심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압부(110)를 지지하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 승강부(130)는 코일(10) 중심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내경가압바를 지지하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압부를 승강시키는 엘엠모터를 포함하는 선형작동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승강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부(110)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내경가압바(113), 복수의 연결바(115) 및 완충재(117)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가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경가압바(113)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의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연결바(115)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와 내경가압바(113)를 연결한다. 복수의 연결바(115)는 일단부가 복수의 내경가압바(113)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외경가압바(111)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완충재(117)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의 코일(10)을 향한 면에 설치된다. 완충재(117)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가 포장재를 가압함에 따라 포장재,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완충재(117)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와 같이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브러쉬(brush)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바(115) 중 내경가압바(113)의 하부와 복수의 외경가압바(111)의 하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115)는 내경가압바(113)에 결합되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절곡되는 절곡바(115a)를 포함한다. 절곡바(115a)는 내경가압바(113)가 코일(10)의 최대 외경에 도달하면, 내경가압바(113)에 접촉되어 복수의 연결바(115)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절곡바(115a)는 복수의 내경가압바(113)가 코일(10)의 최대 외경을 벗어나 코일(10)의 측단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복수의 외경가압바(111)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가 내경가압바(113)에 접촉된 상태에서 코일(10)의 최소 외경을 가압할 수 있으며, 절곡바(115a)가 내경가압바(113)에 접촉된 상태에서 코일(10)의 최대 외경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내경가압바(113)의 위치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가 코일(10)의 최소 외경을 가압할 때 하강 한계이며, 복수의 외경가압바(111)가 코일(10)의 최대 외경을 가압할 때 상승 한계를 형성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재 밀착장치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포장재 가압 상태를 나타 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포장재 가압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코일(10)은 측단면에 단면측판(14), 내주보호링(15) 및 외주보호링(16)을 포함하는 포장재가 부착되어 지지된다. 가압부(110)는 코일(10)의 측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코일(10)의 중심축 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이송부(150)는 승강부(130)를 코일(10) 측으로 이송하고, 승강부(130)의 이송에 따라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는 코일(10)의 측단면에 접촉된다. 이후, 이송부(150)는 일정 압력을 유지하여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에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는 포장재의 가압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가압부 승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가압부 승강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송부(150)에 의해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가 포장재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승강부(130)는 내경가압바(113)를 상승시킨다. 내경가압바(113)가 상승됨에 따라 복수의 연결바(115)는 일단부가 힌지축에 의해 내경가압바(113)에 구속되어 내경가압바(113)의 상승에 따라 상승된다. 이와 함께 복수의 연결바(115)의 타단부는 힌치축에 의해 복수의 외경가압바(111)를 구속하므로, 복수의 외경가압바(111)는 코일(10)의 외경 측으로 펼쳐진다.
내경가압바(113)의 상승 거리는 코일(10)의 외경에 비례하여 조절된다. 즉, 승강부(130)는 코일(10)의 외경에 따라 하한 한계로부터 상한 한계 범위 내에서 내경가압바(113)의 승강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에는 이송부(150)에 의해 코일(10) 측으로 작용하는 가압력과, 승강부(130)에 의해 코일(10)의 중심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이 함께 가해진다. 따라서 복수의 연결바(115)에 의해 내경가압바(113)에 연결되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는 자중에 의해 쳐지는 것이 방지되며, 포장재를 가압함과 동시에 코일(10)의 외경 측으로 원활하게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완충재(117)는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에 의해 포장재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복수의 외경가압바(111) 및 내경가압바(113)가 포장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내경가압바(113)의 상승 한계를 넘게 되면, 외경가압바(111)는 코일(10) 외경을 벗어나 포장재를 가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절곡바(115a)는 내경가압바(113)의 상승거리가 상승 한계에 도달하면, 내경가압바(113)에 접촉되어 복수의 연결바(115)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여 복수의 외경가압바(111)가 코일(10)의 최대 외경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밀착장치(100)는 코일(10)의 외경에 따라 내경가압바(113)의 상승거리를 조절하고, 복수의 외경가압바(111)를 펼침과 동시에 포장재를 가압하여 코일(10)의 측단면에 포장재가 밀착되도록 한다.
도 1은 코일과 코일의 포장용 자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가압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포장재 가압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포장재 가압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가압부 승강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의 가압부 승강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110 : 가압부
111 : 외경가압바 113 : 내경가압바
115 : 연결바 130 : 승강부
150 : 이송부 170 : 지지부

Claims (8)

  1. 코일의 측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외경가압바;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경가압바;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를 상기 내경가압바에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상기 내경가압바를 지지하며, 상기 내경가압바를 상기 코일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승강시켜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가 상기 코일의 외경 측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승강부;및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며, 상기 승강부를 상기 코일 측으로 이송하여 상기 내경가압바 및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의 상기 코일을 향한 면에 각각 설치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바(Bar)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브러쉬(Brush)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결바는 상기 내경가압바가 승강되어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가 상기 코일의 최대 외경을 벗어나기 직전에 상기 내경가압바에 접촉되어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가 상기 코일의 최대 외경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측방의 지하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 및 상기 내경가압바는 상기 내경가압바의 승강 이전에 일부가 지하에 위치하며, 상기 내경가압바의 승강에 따라 복수의 상기 외경가압바는 지상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내경가압바를 지지하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선형작동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코일의 측방으로부터 상기 코일 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및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엘엠모터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KR1020090032866A 2009-04-15 2009-04-15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KR101124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866A KR101124726B1 (ko) 2009-04-15 2009-04-15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866A KR101124726B1 (ko) 2009-04-15 2009-04-15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68A true KR20100114368A (ko) 2010-10-25
KR101124726B1 KR101124726B1 (ko) 2012-03-23

Family

ID=4313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866A KR101124726B1 (ko) 2009-04-15 2009-04-15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9246B2 (en) 2010-06-01 2012-09-18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9223076B2 (en) 2011-04-14 2015-12-29 Lg Innotek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90101982A (ko) * 2017-01-03 2019-09-02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판지 코일 보호기 시스템
KR20190108283A (ko)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한진테크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546B1 (ko) 2020-10-30 2022-09-07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에어의 선택적 스위칭을 통한 코일 포장 콘트롤 시스템
KR20230120281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선택적 레이저 조사를 통한 코일 포장용 자동 조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8913A (ja) * 1999-07-05 2001-01-23 Churyo Eng Kk 円筒状物品の端面処理装置
KR100804944B1 (ko) * 2001-12-08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 슬리브의 측면 덧살 자동 제거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9246B2 (en) 2010-06-01 2012-09-18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8791486B2 (en) 2010-06-01 2014-07-29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9165912B2 (en) 2010-06-01 2015-10-20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9418973B2 (en) 2010-06-01 2016-08-16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9659916B2 (en) 2010-06-01 2017-05-23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9991241B2 (en) 2010-06-01 2018-06-05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10283491B2 (en) 2010-06-01 2019-05-07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10541235B2 (en) 2010-06-01 2020-01-21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9223076B2 (en) 2011-04-14 2015-12-29 Lg Innotek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20190101982A (ko) * 2017-01-03 2019-09-02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판지 코일 보호기 시스템
KR20190108283A (ko) 2018-03-14 2019-09-24 주식회사 한진테크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726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726B1 (ko)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CN103228372B (zh) 用于操纵金属带的装置和方法
KR100860795B1 (ko)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링 제조장치
US9340398B2 (en) Scissor lift table
CN106005736B (zh) 可调节卧式金属卷材包装架
WO2007100597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load to a pallet with a roped film web
DE60222854D1 (de) Verbesserte Unreifungsmaschine für ein erleichtertes Umschnüren von Palettenlasten
KR20110094861A (ko)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WO2010125232A3 (en) Support apparatus, handling system and method
KR100816280B1 (ko) 코일 포장용 내부보호재 삽입장치
KR101509219B1 (ko) 레일 클램핑 장치
KR101716699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KR101197395B1 (ko) 코일 포장용 테이핑 장치
KR20120078090A (ko) 코일포장장치용 어펜더
CN206827479U (zh) V型板输送链结构
KR20180048154A (ko) 코일 포장재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재 벤딩방법
CN107284750B (zh) 防护板供应装置
US20090101750A1 (en) Adjustable diameter spindle uncoiler apparatus for uncoiling wound sheet metal webs
US20200251957A1 (en) Coil vibration system
CN107662759A (zh) 一种具有高强度的冷卷钢板隔离装置
KR101152052B1 (ko) 코일 포장용 내주링 및 단면측판의 정렬장치
KR20220121776A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101031169B1 (ko) 코일 포장재 부착장치
JP2004017105A (ja) 箱型断面長尺溶接構造物の溶接歪み取り方法および装置
KR101214309B1 (ko) 코일 포장용 내주보호판 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