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283A -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283A
KR20190108283A KR1020180029597A KR20180029597A KR20190108283A KR 20190108283 A KR20190108283 A KR 20190108283A KR 1020180029597 A KR1020180029597 A KR 1020180029597A KR 20180029597 A KR20180029597 A KR 20180029597A KR 20190108283 A KR20190108283 A KR 20190108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upport
inn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용
윤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테크
Priority to KR102018002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283A/ko
Publication of KR2019010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의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밴드의 결속과정에서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주링을 지지하여 밴드의 원활한 결속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내주링의 변형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내주링을 지지한 상태에서 로봇을 이용하여 밴드의 신속한 결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코일의 규격에 따라서 위치를 조절하여 내주링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Inner ring support device for coil packing}
본 발명은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한 상태로 밴드의 원활한 결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 포장용 내주링(보호재)은 코일의 내경 양측에 장착하여 코일의 모서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내주링은 밴드로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밴드를 결속할 경우 결속되지 않은 내주링의 타측이 쉽게 들려지거나 휘어지는 변형이 발생하거나 위치가 이탈하여 밴드의 원활한 결속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내주링이 변형되면서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밴드의 결속과정에서 내주링이 쉽게 변형 및 파손됨은 물론 코일의 모서리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2456호(2003.02.12)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09475호(2005.01.25)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83915호(2010.07.23)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4368호(2010.10.25)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7883호(2011.12.26)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5074호(2016.03.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여 밴드의 결속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주링의 변형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의 규격에 관계없이 내주링을 지지할 수 있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는
코일의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밴드의 결속과정에서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지면에 설치하는 이동몸체를 따라서 구동유닛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코일의 내경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기어; 상기 이동기어의 외측에 형성하여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상기 지지유닛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주링을 지지하여 밴드의 원활한 결속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내주링의 변형 및 위치 이탈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내주링을 지지한 상태에서 로봇을 이용하여 밴드의 신속한 결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코일의 규격에 따라서 위치를 조절하여 내주링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지지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지지유닛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일(A)의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밴드(D)의 결속과정에서 내주링(B)과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유닛(12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몸체(110)는 코일(A)의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지지유닛(120)이 내주링(B)과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하는 이동몸체(111)를 따라서 구동유닛(112)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코일(A)의 내경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몸체(11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레일 등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1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112)은 모터 및 감속기는 물론 실린더, 기어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10a);를 포함하여 밴드(D)의 결속위치 및 방향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120)을 회전시켜 로봇(E)과 간섭을 피하면서 안정적으로 내주링(B)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110a)는 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동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는 밴드(D)가 코일(A)의 내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유닛(미 도시함) 등과 같은 주변설비의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유닛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특허등록 제1713206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서술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유닛(120)은 내주링(B)과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밴드(D)의 결속하는 과정에서 내주링(B)이 일측으로 들려지면서 위치를 이탈하거나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지지유닛(120)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부(122); 상기 힌지부(12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내주링(B)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1); 상기 지지부(121)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23);로 구성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121)는 코일(A)의 내경에 삽입할 경우 간섭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부(123)의 작동으로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반대로 내주링(B)을 지지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123)의 반대 작동으로 상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부(122)는 상기 지지부(121)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구동부(123)는 모터는 물론 실린더, 기어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120)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기어(124); 상기 구동기어(124)와 맞물려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기어(121a); 상기 이동기어(121a)의 외측에 형성하여 내주링(B)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1); 상기 구동기어(1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25);로 구성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121)는 상기 구동기어(124)의 정회전에 따라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코일(A)의 내경에 삽입할 경우 간섭을 방지하고, 반대로 내주링(B)을 지지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기어(124)의 역회전에 따라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부(125)는 모터 및 감속기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12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실린더(126); 상기 실린더(126)와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내주링(B)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1);로 구성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121)는 상기 실린더(126)의 후진작동으로 내측으로 이동하여 코일(A)의 내경에 삽입할 경우 간섭을 방지하고, 반대로 내주링(B)을 지지할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126)의 전진작동으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126)는 양측 로드형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지지부(121)를 동시에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121)는 다수개를 형성하여 내주링(B)과 맞닿아 지지할 수 있으며, 금속재질은 물론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121)는 내주링(B)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110a)의 작동으로 회전할 경우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롤러 형태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상기 지지유닛(120)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13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이동유닛(130)은 상기 지지유닛(120)이 내주링(B)과 맞닿을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코일(A)의 규격(폭)에 따라서 상기 지지유닛(120)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130)은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 또는 모터, 나선축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A)의 내경에 상기 몸체(110)를 삽입하는데, 이때 상기 몸체(110)의 외측(전방)에 위치한 상기 지지유닛(120)은 코일(A)의 내경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히거나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내측(후방)에 위치한 상기 지지유닛(120)은 펼쳐지거나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지지유닛(120)이 상부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130)의 작동으로 상기 지지유닛(120)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내주링(B)과 맞닿아 지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E)의 작동으로 밴드(D)를 코일(A)의 외경과 내경을 감싸도록 결속하는 과정에서 내주링(B)을 상기 지지유닛(120)이 맞닿아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밴드(D)가 결속되지 않은 위치의 내주링(B)이 외측으로 들려지거나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하여 밴드(D)의 원활한 결속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110: 몸체 110a: 구동부
111: 이동몸체 112: 구동유닛
120: 지지유닛 121: 지지부
121a: 이동기어 122: 힌지부
123: 구동부 124: 구동기어
125: 구동부
130: 이동유닛
A: 코일 B: 내주링
C: 외주링 D: 밴드
E: 로봇

Claims (7)

  1. 코일의 내경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밴드의 결속과정에서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지면에 설치하는 이동몸체를 따라서 구동유닛의 작동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코일의 내경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기어; 상기 이동기어의 외측에 형성하여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내주링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상기 지지유닛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KR1020180029597A 2018-03-14 2018-03-14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KR20190108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597A KR20190108283A (ko) 2018-03-14 2018-03-14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597A KR20190108283A (ko) 2018-03-14 2018-03-14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283A true KR20190108283A (ko) 2019-09-24

Family

ID=6806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597A KR20190108283A (ko) 2018-03-14 2018-03-14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28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456A (ko) 2001-08-01 2003-02-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형 제품의 내주링 자동삽입장치
KR20050009475A (ko) 2003-07-16 2005-01-25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코일 제품의 포장용 내주 링 자동삽입장치
KR20100083915A (ko)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재 부착장치
KR20100114368A (ko) 2009-04-15 2010-10-25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KR20110137883A (ko) 2010-06-18 2011-12-26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용 단면측판 및 내주링의 부착장치
KR20160025074A (ko) 2014-08-25 2016-03-08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 외주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456A (ko) 2001-08-01 2003-02-1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형 제품의 내주링 자동삽입장치
KR20050009475A (ko) 2003-07-16 2005-01-25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코일 제품의 포장용 내주 링 자동삽입장치
KR20100083915A (ko)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재 부착장치
KR20100114368A (ko) 2009-04-15 2010-10-25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재 밀착장치
KR20110137883A (ko) 2010-06-18 2011-12-26 (주)포스코엠텍 코일 포장용 단면측판 및 내주링의 부착장치
KR20160025074A (ko) 2014-08-25 2016-03-08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 외주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018B2 (en) Tiltable-rotatable circular-table device for machine tool
JP4680965B2 (ja) 旋回式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WO2012039274A1 (ja) 産業用ロボット
WO2011142173A1 (ja) 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JP7436584B2 (ja) ロボットの線条体処理構造
JP2013517950A (ja) コイルダウンエンダ
JP6145145B2 (ja) ベルト取付治具
KR20190108283A (ko) 코일 포장용 내주링 지지장치
KR101086295B1 (ko) 다관절 로봇
JP2012136311A5 (ko)
JP2010517894A5 (ko)
KR101305975B1 (ko) 다관절 로봇 및 그의 케이블 보호장치
CN105083667B (zh) 用于标签分配器的卷绕筒
KR100981869B1 (ko) 코일 포장장치
AU9286398A (en) Method and device for coiling flexible elongated elements to in a line arranged fractional coils and wrapping these with a protective film of flexible material and a packing of wrapped coil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theinvention
KR101600601B1 (ko) 코일의 내주보호판 밀착장치
KR101612887B1 (ko) 코일의 내주보호판 밀착장치
JP5687984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US9782984B2 (en) Printer
JPH07329923A (ja) テープ巻装置
KR101334360B1 (ko) 코일 포장장치
KR101687572B1 (ko) 코일-내주보호판 밀착장치
JP5811662B2 (ja) カーカスバンド部材の搬送装置
KR102020419B1 (ko) 스트립의 사행 방지 장치
JPH07329921A (ja) テープ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