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776A -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776A
KR20220121776A KR1020227012299A KR20227012299A KR20220121776A KR 20220121776 A KR20220121776 A KR 20220121776A KR 1020227012299 A KR1020227012299 A KR 1020227012299A KR 20227012299 A KR20227012299 A KR 20227012299A KR 20220121776 A KR20220121776 A KR 20220121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ribbon
glass
film ribbon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2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코 야기
히로시 타키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36Advancing webs having means to optionally advance the web either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opposit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6Sensing longitudinal register of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유리 롤(2)로부터 보호 시트 리본(4) 상에 유리 필름 리본(3)을 겹친 상태로 권출하고,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이 굽힘 응력 부여부(6)를 소정 길이(L1)만큼 지나친 시점에서 굽힘 응력 부여부(6)에서 유리 필름 리본(3)에 부여되는 굽힘 응력에 의해 상기 유리 필름 리본(3)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것에 있어서 절할 바(6)를 유리 롤(2)에 있어서의 유리 필름 리본(3) 및 보호 시트 리본(4)의 권출 개시부(2z)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유리 필름 리본(3)이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진 상태로 유리 롤(2)측으로부터 절할 바(6)에 도달해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유리 롤로부터 권출한 유리 필름 리본을 굽힘 응력 부여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유리판의 제조의 분야에서는 유리 롤에 권회된 유리 필름 리본을 소정 간격을 두고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복수 장의 유리판(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행해져 있다. 이 경우, 얻어진 유리 필름의 품질 유지를 위해 유리 필름 리본의 절단에 있어서는 수지 시트 리본 등의 보호 시트 리본에 유리 필름 리본을 겹친 상태로 처리하는 것이 공지로 되어 있다.
그 구체예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조 기술을 들 수 있다. 동 문헌에 개시된 제조 기술은 보호 시트 리본 상에 겹쳐진 유리 필름 리본을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반송한 후 판형상체 상으로 이승시켜서 반송하고, 그리고 나서 판형상체의 전방단에서 방향 변환시켜서 절단하는 것이다. 절단에 있어서 동 문헌에서는 판형상체 상에서의 반송의 도중에 유리 필름 리본에 절단 기점을 형성하고, 절단 기점의 형성 영역을 방향 변환시킴으로써 절단에 필요한 굽힘 응력을 당해 영역에 부여한다.
일본 특허공개 2017-214263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조 기술은 유리 필름 리본을 굽힘 응력 부여부(방향 변환시키는 부위)까지 반송해서 절단하는 과정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동 문헌에 개시된 제조 기술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의 상류측(후방측)에 유리 롤을 배치했다면 유리 롤로부터 권출된 유리 필름 리본을 굽힘 응력 부여부까지 이송하는 경로에 낭비가 발생하고, 당해 경로가 쓸데없이 복잡해진다. 그 결과, 유리 필름 리본을 효율 좋게 절단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과제는 유리 롤로부터 권출된 유리 필름 리본을 굽힘 응력 부여부까지 이송하는 경로의 간이화를 도모함으로써 효율 좋게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유리 필름 리본과 보호 시트 리본을 겹쳐서 권회한 유리 롤로부터 보호 시트 리본 상에 유리 필름 리본을 겹친 상태로 권출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이 굽힘 응력 부여부를 통과해서 소정 길이만큼 지나친 후에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에 부여되는 굽힘 응력에 의해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상기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는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필름 리본 및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의 권출 개시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은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진 상태로 상기 유리 롤측으로부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특징 지어진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유리 롤의 권출 개시부로부터 굽힘 응력 부여부를 지향하는 방향과, 유리 롤측으로부터 굽힘 응력 부여부에 도달할 때의 유리 필름 리본의 방향이 어느 것이나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지는 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유리 롤로부터 권출된 유리 필름 리본을 굽힘 응력 부여부까지 이송하는 경로에 낭비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당해 경로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필름 리본을 효율 좋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 및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은 상기 유리 롤의 권출 개시부로부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 걸쳐지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필름 리본을 유리 롤의 권출 개시부로부터 굽힘 응력 부여부에 걸치는 것만으로 유리 필름 리본을 이송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해 경로가 보다 한층 간이화됨과 아울러, 당해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 간이화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은 장력을 부여받지 않고, 또한 자체 중량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걸쳐지고,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은 장력을 부여받고, 또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의 처짐을 받아낸 상태로 걸쳐지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장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유리 필름 리본을 상술한 바와 같이 걸침으로써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처짐이 장력이 부여된 보호 시트 리본에 의해 받아내어지기 때문에 유리 필름 리본의 처짐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을 상기 유리 롤의 권출 개시부로부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를 향해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유리 롤로부터 상기 보호 시트 리본 및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권출하고, 그들의 권출을 정지했을 때에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보호 시트 리본을 유리 롤의 권출 개시부로부터 굽힘 응력 부여부를 향해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유리 필름 리본 및 보호 시트 리본을 권출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의 권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들의 권출에 필요한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게다가 보호 시트 리본을 상술한 바와 같이 잡아당김으로써 유리 필름 리본을 이송하는 경로를 유리 롤의 권출 개시부와 굽힘 응력 부여부를 연결하는 가상 평면에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 리본을 상술한 바와 같이 걸친 것에 의한 처짐이 작아져 유리 필름 리본의 이송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권출을 정지했을 때에 유리 필름 리본의 절단이 행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리 필름 리본을 권출하고 있는 도중(이송하고 있는 도중)에서 절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적정하게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의 권출 방향의 전방측에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지는 하행 경사 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할 때에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상기 하행 경사 테이블 상을 따르게 해서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필름 리본의 굽힘 응력 부여부를 통과해서 지나친 영역을 하행 경사 테이블 상을 따르게 해서 유지한 상태로 굽힘 응력 부여부 상에서 유리 필름 리본의 절단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 시에 하행 경사 테이블 상에서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의 위치 결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고, 정확한 길이의 유리 필름을 잘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롤과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 사이에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지는 상행 경사 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한 후에 상기 상행 경사 테이블이 상기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을 받아내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의 분리에 의한 처짐을 적절하게 받아내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은 보호 시트 리본 상에서 받아내 지지되지만 보호 시트 리본만으로는 충분히 받아내 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의 구성에 의하면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이 상행 경사 테이블에 의해 확실하게 받아내 지지된다. 또한, 상행 경사 테이블은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상행 경사 테이블 상에서 받아내 지지되어 있는 유리 필름 리본의 방향은 유리 필름 리본을 유리 롤측으로부터 굽힘 응력 부여부까지 이송하는 경로의 방향과 합치한다. 이에 따라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을 다시 이송시키는 동작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에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한 후에 상기 유리 롤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느슨해짐 방지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이 유리 롤측으로 되돌려짐으로써 유리 롤의 외주부의 권체(捲締)력이 약화시켜져 느슨해져버리는 사태가 회피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굽힘 응력 부여부(a1)에서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a2)(동 도면에 쇄선으로 나타낸다)은 자체 중량에 의해 보호 시트 리본(a3) 상에서 유리 롤(a4)측으로 되돌려지도록 이동한다. 이 유리 필름 리본(a2)의 이동은 유리 롤(a4)의 외주부의 권체력을 약화시킨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유리 롤(a4)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a2)이 부호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층측의 유리 롤로부터 부푸는 것 같이 이반되어 느슨해진다. 이 느슨해짐은 유리 필름 리본(a2)에 파손이나 손상 등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유리 필름 리본(a2)의 형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하는 다른 형태이어도 마찬가지로 해서 느슨해짐이 발생한다. 여기에서의 구성에 의하면 유리 롤에 느슨해짐 방지 처리가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느슨해짐의 발생이 억지된다. 그 결과, 느슨해짐에 기인하는 유리 필름 리본의 파손이나 손상 등이 미연에 방지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느슨해짐 방지 처리는 상기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측 영역과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을 테이프형상체에 의해 고정 부착하는 처리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필름 리본이 폭 방향을 따라 절단되었을 경우이어도 보호 시트 리본은 절단되지 않고 굽힘 응력 부여부를 통과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이 유리 롤측으로 되돌려지도록 해도 유리 필름 리본에 테이프형상체를 개재하여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보호 시트 리본의 장력에 의해 유리 필름 리본이 되돌려지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유리 롤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처리 대신에 상기 느슨해짐 방지 처리는 상기 유리 롤의 외주면에 느슨해짐 방지 부재를 접촉시키는 처리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이 유리 롤측으로 되돌려지도록 해도 유리 롤의 외주면에 느슨해짐 방지 부재가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유리 롤의 외주부의 권체력이 약화시켜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유리 필름 리본의 절단 후에 유리 롤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느슨해짐 방지 부재는 상기 유리 롤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수지로 형성된 추체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롤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의 느슨해짐을 추체에 의해 방지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에 대처 가능해진다. 즉, 유리 필름 리본을 유리 롤로부터 권출할 때에는 추체와 유리 롤(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구성에 의하면 추체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수지가 마찰에 대해서 적합한 재질인 것에 의해 추체와 유리 롤의 외주면의 마찰에 의해 당해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억지된다.
이 부재 대신에 상기 느슨해짐 방지 부재는 상기 유리 롤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외륜을 갖는 원 웨이 클러치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롤로부터 유리 필름 리본이 권출될 때에는 원 웨이 클러치의 동작에 의해 외륜이 유리 롤의 외주면을 따라 구르는 것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외륜과 유리 롤의 외주면의 마찰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며, 당해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보다 한층 확실하게 억지된다. 한편, 유리 필름 리본이 절단된 후에 유리 필름 리본이 유리 롤측으로 되돌려지도록 해도 원 웨이 클러치의 동작에 의해 외륜이 유리 롤의 외주면을 따라 구르는 것이 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이 유리 롤측으로 이동해서 유리 롤의 외주부의 권체력을 약화시키고자 해도 그러한 유리 필름 리본의 이동은 원 웨이 클러치에 의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 리본의 절단 후에 유리 롤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사태를 효율 좋게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유리 필름 리본의 느슨해짐의 방지와 마찰의 방지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륜은 상기 유리 롤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발포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외륜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발포 수지가 마찰에 대하여 적합한 재질인 것에 의해 유리 롤의 외주면에 적절한 마찰력을 부여하면서 당해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의 문제를 한층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롤의 롤축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할 때에 유리 필름 리본의 권출을 정지하는 것에 대하여 유효하게 대처할 수 있다. 즉, 소정 길이의 유리 필름 리본을 유리 롤로부터 권출한 후에 그 권출을 정지해서 절단하고자 하면 유리 롤은 타성에 의해 회전한다. 그 때문에 유리 롤과 굽힘 응력 부여부 사이에서 유리 필름 리본에 느슨해짐이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 필름의 파손이나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구성에 의하면 유리 롤이 타성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할 경우에 있어서의 유리 롤과 굽힘 응력 부여부 사이에서의 유리 필름 리본의 느슨해짐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유리 필름 리본과 보호 시트 리본을 겹쳐서 권회한 유리 롤로부터 보호 시트 리본 상에 유리 필름 리본을 겹친 상태로 권출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이 굽힘 응력 부여부를 통과해서 소정 길이만큼 지나친 후에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에 부여되는 굽힘 응력에 의해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상기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유리 필름을 제조하도록 구성한 장치이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는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필름 리본 및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의 권출 개시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은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진 상태로 상기 유리 롤측으로부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 도달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구성이 동일한 기술한 방법에 의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 롤로부터 권출된 유리 필름 리본을 굽힘 응력 부여부까지 이송하는 경로의 간이화가 도모되고, 효율 좋게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종단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의 기본이 되는 실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의 기본이 되는 실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에 느슨해짐 방지에 관한 요건을 추가한 구성의 제 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에 느슨해짐 방지에 관한 요건을 추가한 구성의 제 2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에 느슨해짐 방지에 관한 요건을 추가한 구성의 제 2 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에 느슨해짐 방지에 관한 요건을 추가한 구성의 제 3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에 느슨해짐 방지에 관한 요건을 추가한 구성의 제 3 예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에 부수적 요건을 더 추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에 길이 조정에 관한 요건을 첨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의 기본 구성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1)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조 장치(1)는 유리 롤(2)과, 유리 롤(2)로부터 권출한 유리 필름 리본(3) 및 보호 시트 리본(4) 중 유리 필름 리본(3)만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5)를 구비한다. 유리 롤(2)은 캐스터(도시 생략)에 의해 이동 가능한 대차(2v)에 탑재되고, 절단 장치(5)는 캐스터(도시 생략)에 의해 이동 가능한 기대(5v) 상에 배비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편의상 유리 필름 리본(3)을 실선으로 그리고 보호 시트 리본(4)을 쇄선으로 그리고 있다.
여기에서 유리 필름 리본(3)은 두께가 300㎛ 이하 또는 200㎛ 이하이며, 폭 치수가 100㎜~2000㎜ 또는 500㎜~1000㎜이다. 또한, 보호 시트 리본(4)은 수지 또는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200㎛ 이하이며, 폭 방향 양단이 유리 필름 리본(3)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절단 장치(5)는 굽힘 응력 부여부로서의 원기둥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절할(折割) 바(6)를 갖는다. 절할 바(6)는 기대(5v) 상에 프레임 부재(5w)를 사용하여 고정된 지지 부재(5x)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절할 바(6)는 유리 롤(2)에 있어서의 유리 필름 리본(3) 및 보호 시트 리본(4)의 권출 개시부(2z)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절할 바(6)는 양 리본(3, 4)이 전혀 권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의 권출 개시부(2z)(그 상태로의 유리 롤(2)의 최외층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양 리본(3, 4)은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로부터 절할 바(6)에 걸쳐져 있다. 이 경우, 유리 필름 리본(3)은 자체 중량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걸쳐져 있다. 또한, 보호 시트 리본(4)은 유리 필름 리본(3)의 처짐을 받아낸 상태로 걸쳐져 있다.
또한, 절단 장치(5)는 절할 바(6)의 후방측에 배치된 상행 경사 테이블(7)(이하, 제 1 테이블(7)이라고 한다)과, 절할 바(6)의 전방측에 배치된 하행 경사 테이블(8)(이하, 제 2 테이블(8)이라고 한다)을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서 「전방측」이란 권출된 양 리본(3, 4)의 이송 방향(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의미하고, 지면에 있어서의 우측이다. 또한, 「후방측」이란 권출된 양 리본(3, 4)의 권출 방향의 후방측을 의미하고, 지면에 있어서의 좌측이다.
도 2 및 도 3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테이블(7)은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지고, 제 2 테이블(8)은 전방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지고 있다. 도면 예에서는 제 1, 제 2 테이블(7, 8)은 절할 바(6)로부터 약간 이반되어 있지만 절할 바(6)에 접촉해 있어도 좋다. 제 2 테이블(8)은 기대(5v) 상에 있어서 절할 바(6)측의 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리 롤(2)로부터는 유리 필름 리본(3)이 보호 시트 리본(4) 상에 겹쳐진 상태로 권출된다. 권출된 양 리본(3, 4)은 기본적으로는 제 1 테이블(7)의 상면인 제 1 이송면(7a)과, 제 2 테이블(8)의 상면인 제 2 이송면(8a)을 따라 이송된다. 또한, 「제 1, 제 2 이송면(7a, 8a)을 따라」란 제 1, 제 2 이송면(7a, 8a)의 이송 방향 전체 영역을 따르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제 2 이송면(7a, 8a)의 이송 방향 일부 영역을 따르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유리 필름 리본(3)이 절단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도 1도 마찬가지), 도면 예에서는 제 1 이송면(7a)의 전방측 영역에만 양 리본(3, 4)이 따르고 있다. 또한, 제 2 이송면(8a)에 대해서는 이송 방향 전체 영역에 보호 시트 리본(4)이 따르고, 또한 후방측 영역에만 유리 필름 리본(3)이 따르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 2 이송면(8a)의 전방측 영역에는 절단으로 얻어진 유리 필름(11)(상세는 후술한다)이 따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에서 보호 시트 리본(4)이 제 1, 제 2 이송면(7a, 8a)을 따르고 있는 것은 보호 시트 리본(4)이 제 1, 제 2 이송면(7a, 8a)에 접촉하고 있는 것과 동의이다.
제 1 이송면(7a)은 전방측을 향해서 상행 구배가 되는 면이며, 제 2 이송면(8a)은 전방측을 향해서 하행 구배가 되는 면이다. 제 1 이송면(7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α1)는 20°~60°이며, 제 2 이송면(8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α2)는 20°~60°이다. 제 2 테이블(8)은 제 2 이송면(8a)의 경사 각도(α2)를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기대(5v) 상에 유지되어 있다. 제 1 테이블(7)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대(5v) 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지만 제 1 이송면(7a)의 경사 각도(α1)를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기대(5v) 상에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제 1 이송면(7a)과 제 2 이송면(8a)이 이루는 각도(β)는 60°~120°가 된다.
유리 필름 리본(3)의 절단은 양 리본(3, 4)의 이송이 정지한 상태로 행해진다. 여기에서 제 1 이송면(7a)은 후술하는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을 받아내 지지하는 받이면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제 2 이송면(8a)은 양 리본(3, 4)의 이송이 정지했을 때에 양 리본(3, 4)을 따르게 해서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제 2 이송면(8a)은 후술하는 절단 후의 유리 필름(11)을 이송하는 역할도 한다. 제 1 이송면(7a)의 상단(7x) 및 제 2 이송면(8a)의 상단(8x)은 어느 것이나 절할 바(6)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이며, 또한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보다도 높은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시트 리본(4)을 절할 바(6)보다도 전방측의 위치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유리 롤(2)로부터 양 리본(3, 4)을 권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양 리본(3, 4)이 이송되어 있을 때에는 보호 시트 리본(4)에 장력이 부여된다. 이때에는 유리 필름 리본(3)에 장력이 부여되지 않는다. 또한, 양 리본(3, 4)의 이송이 정지했을 때에는 보호 시트 리본(4)이 제 2 이송면(8a) 상에서 정위치로 유지됨으로써 절할 바(6)보다도 후방측에 존재하는 보호 시트 리본(4)에 유리 필름 리본(3)의 처짐을 받기 위한 장력이 부여된다. 이때에도 유리 필름 리본(3)에 장력이 부여되지 않는다.
또한, 절단 장치(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이송면(8a)을 통과한 보호 시트 리본(4)을 권취하기 위한 시트 롤(10)을 구비하고 있다.
이어서, 이상 설명한 제조 장치(1)의 기본 구성을 사용하여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유리 롤(2)로부터 유리 필름 리본(3) 및 보호 시트 리본(4)이 권출되는 과정에서는 양 리본(3, 4)이 제 1 이송면(7a)을 따라 이송됨으로써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이 절할 바(6)를 통과한다. 이후 양 리본(3, 4)은 제 2 이송면(8a)을 따라 이송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이 절할 바(6)를 소정 길이(L1)만큼 지나친 시점에서 양 리본(3, 4)의 이송이 정지한다. 양 리본(3, 4)의 이송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자가 보호 시트 리본(4)을 상기 절할 바(6)보다도 전방측의 위치에서 잡아당김으로써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도면 예와 같이 제 2 이송면(8a)을 따르게 해서 보호 시트 리본(4)을 잡아당김으로써 유리 필름 리본(3)을 상기 소정 길이(L1)만큼 지나친 위치에 도달시킨다. 또한, 상기 소정 길이(L1)는 제 2 이송면(8a)에 붙여진 마크(도시 생략)에 의해 작업자가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을 상기 마크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작업을 행하고, 위치 결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보호 시트 리본(4)을 잡아당기는 조작을 그만둔다. 이에 따라 양 리본(3, 4)의 이송이 정지된다. 또한, 작업자는 보호 시트 리본(4)을 제 2 이송면(8a)으로부터 이반시켜서 잡아당기도록 해도 좋지만 상기 위치 결정을 위한 작업을 행할 때에는 제 2 이송면(8a)을 따르게 해서 잡아당길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동일 길이의 유리 필름(11)을 유리 필름 리본(3)으로부터 반복해서 잘라낼 경우에는 상기 마크는 제 2 이송면(8a)의 1개소에 붙여 두면 좋다. 단, 유리 필름 리본(3)으로부터 잘라내는 유리 필름(11)의 길이가 복수 종 있을 경우에는 상기 마크는 제 2 이송면(8a)에 있어서의 이송 방향의 복수 개소에 붙여진다.
이와 같이 양 리본(3, 4)의 이송이 정지한 시점에서는 절할 바(6)에 의해 유리 필름 리본(3)에 충분한 굽힘 응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유리 필름 리본(3)에 충분한 굽힘 응력을 확실하게 부여하기 위해서 양 리본(3, 4)을 절할 바(6)의 주변에서 제 1, 제 2 이송면(7a, 8a)에 압박하는 등의 조작을 행해도 좋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절할 바(6)의 상방(바람직하게는 절할 바(6)의 중심 축선의 상방)으로부터 유리 필름 리본(3)의 일방의 측 가장자리부(도 4에 화살표(A)로 나타내는 부위)에 가상(加傷) 수단을 사용하여 스크래치(초기 크랙)를 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래치를 내는 작업도 작업자에 의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 리본(3)의 폭 방향을 따라 스크래치가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의 측 가장자리부까지 1직선형상으로 진전된다. 즉, 유리 필름 리본(3)의 일방의 측 가장자리부의 1개소에 낸 스크래치가 굽힘 응력의 작용에 의해 유리 필름 리본(3)의 폭 방향의 전체 길이 및 두께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진전된다. 그 결과, 유리 필름 리본(3)의 절할(절단)이 완료된다.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은 보호 시트 리본(4)을 개재하여 제 2 이송면(8a)에 의해 받아내 지지된다. 또한, 이 때에 보호 시트 리본(4)에 부여되어 있는 장력이 클 경우에는 제 2 이송면(8a)에 의하지 않고도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을 보호 시트 리본(4)에 의해 받아내 지지할 수 있다. 이 후에는 다시 보호 시트 리본(4)을 잡아당김으로써 양 리본(3, 4)의 이송이 개시됨과 동시에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도 행해진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에 의해 얻어진 유리 필름(11)이 제 2 이송면(8a)을 따라 보호 시트 리본(4) 상에서 이송된다. 이 이송 후에 제 2 테이블(8)을 도 2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자세로 하면 유리 필름(11)이, 예를 들면 곤포용 팰릿 등에 종자세로 용이하게 적재된다.
이상 설명한 제조 장치(1)의 기본 구성에 의한 작용 효과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상기 기본 구성에 의하면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로부터 절할 바(6)를 지향하는 방향과, 유리 롤(2)측으로부터 절할 바(6)에 도달할 때의 유리 필름 리본(3)의 방향이 어느 것이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지는 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유리 롤(2)로부터 권출된 유리 필름 리본(3)을 절할 바(6)까지 이송하는 경로에 낭비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며, 당해 경로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필름 리본(3)을 효율 좋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기본 구성에 의하면 양 리본(3, 4)을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로부터 절할 바(6)에 걸치는 것만으로 유리 필름 리본(3)을 이송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해 경로가 보다 한층 간이화됨과 아울러, 당해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도 제 1 테이블(7)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좋아지며, 당해 장치의 구성도 간이화된다.
상기 기본 구성에 의하면 장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유리 필름 리본(3)을 상술한 바와 같이 걸침으로써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처짐이 장력이 부여된 보호 시트 리본(4)에 의해 받아내어지기 때문에 유리 필름 리본(3)의 처짐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구성에 의하면 절할 바(6)보다도 전방측의 위치에서 보호 시트 리본(4)을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로부터 절할 바(6)를 향해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양 리본(3, 4)을 권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권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권출하는 데에 필요한 장치의 구성도 간소화된다. 게다가 보호 시트 리본(4)을 상술한 바와 같이 잡아당김으로써 유리 필름 리본(3)을 이송하는 경로를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와 절할 바(6)를 연결하는 가상 평면에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 리본(3)을 상술한 바와 같이 걸친 것에 의한 처짐이 작아지며, 유리 필름 리본(3)의 이송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양 리본(3, 4)의 권출(이송)이 정지한 시점에서 유리 필름 리본(3)의 절단이 행해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리 필름 리본(3)을 이송하고 있을 때에 절단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정확한 위치에서 적정하게 유리 필름 리본(3)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구성에 의하면 유리 필름 리본(3)의 절할 바(6)보다도 전방측의 부위를 제 2 테이블(8)의 제 2 이송면(8a) 상을 따르게 해서 유지한 상태로 절할 바(6) 상에서 유리 필름 리본(3)의 절단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이송면(8a) 상에서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의 위치 결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길이의 유리 필름(11)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본 구성에 의하면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의 분리에 의한 처짐이 제 1 테이블(7)의 제 1 이송면(7a)에 의해 확실하게 받아내 지지되기 때문에 보호 시트 리본(4)만으로는 충분히 받아내 지지할 수 없는 경우의 폐해가 회피된다. 또한, 제 1 테이블(7)의 제 1 이송면(7a)은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제 1 이송면(7a) 상에서 받아내 지지되어 있는 유리 필름 리본(3)의 방향은 유리 필름 리본(3)을 절할 바(6)까지 이송하는 경로의 방향과 합치한다. 이에 따라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을 다시 이송시키는 동작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제조 장치(1)는 이상의 기본 구성에 추가하여 기술한 도 13에 부호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느슨해짐 방지 처리가 이루어져 있다. 이하, 이 느슨해짐 방지 처리의 제 1 예~제 3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예]
도 6은 제 1 예에 의한 느슨해짐 방지 처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느슨해짐 방지 처리는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측 영역(3A)과, 보호 시트 리본(4)을 점착 테이프 등의 테이프형상체(12)로 고정 부착하는 처리이다. 도면 예에서는 양 리본(3, 4)의 폭 방향의 2개소를 고정 부착하고 있지만 폭 방향의 1개소 또는 3개소 이상을 고정 부착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필름 리본(3)이 폭 방향을 따라 절단되기 전후에 있어서 보호 시트 리본(4)에는 장력(권출력)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은 이 보호 시트 리본(4)을 개재하여 제 1 테이블(7)의 제 1 이송면(7a)에 의해 받아내 지지된다. 이 경우,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는 절할 바(6)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점에서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은 유리 롤(2)측으로 되돌려지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유리 필름 리본(3)의 절단 직후에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측 영역(3A)과, 장력이 부여되어 있는 보호 시트 리본(4)을, 예를 들면 작업자가 테이프형상체(12)로 고정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이 유리 롤(2)측으로 되돌려지도록 해도 보호 시트 리본(4)의 장력에 의해 유리 롤(2)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3)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보호 시트 리본(4)의 장력에 의해 유리 롤(2)의 외주부의 권체력이 약화시켜지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려워지며, 상기 느슨해짐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제 2 예]
도 7은 제 2 예에 의한 느슨해짐 방지 처리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느슨해짐 방지 처리는 유리 롤(2)의 외주면(이 실시형태에서는 롤축(2a)의 중심 축선의 상방의 면)(2b)에 추체(13)를 접촉시키는 처리이다. 이 추체(13)는 유리 롤(2)의 외주면(2b)으로의 접촉부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추체(13)의 접촉부 이외에는 수지이어도 좋고, 금속이나 그 밖의 재질이어도 좋다. 또한, 이 추체(13)는 유리 필름 리본(3)이 전혀 권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에 유리 롤(2)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지는 암(14)의 선단에 부착되고, 이 암(14)의 후단은 대차(2v)의 기대부(15)에 세워서 설치 고정된 지주(16)에 힌지(17)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추체(13)는 자체 중량에 의해 유리 롤(2) 상에 얹혀진 상태에 있으며, 유리 롤(2)의 외경의 변화에 추종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측 영역(3A)을 포함하는 영역이 제 1 테이블(7)의 제 1 이송면(받이 면)(7a)에 의해 받아내 지지되고, 당해 영역이 박리됨으로써 발생하는 처짐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이 상태에 있을 때에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이 자체 중량에 의해 유리 롤(2)측으로 되돌려지도록 해도 추체(13)와 유리 롤(2)의 외주면의 마찰에 의해 유리 롤(2)의 외주부의 권체력이 약화시켜지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롤(2)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3)에 느슨해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며, 그 느슨해짐에 기인하는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의 파손이나 손상 등이 미연에 방지된다. 단, 이와 같이 했을 경우에는 유리 필름 리본(3)이 권출되어 있는 동안에는 추체(13)와 유리 롤(2)의 외주면(2b)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그러나 추체(13)의 당해 외주면(2b)으로의 접촉부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마찰에 의해 유리 롤(2)의 외주면(2b)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억지된다.
[제 3 예]
도 9는 제 3 예에 의한 느슨해짐 방지 처리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느슨해짐 방지 처리는 유리 롤(2)의 외주면(이 실시형태에서는 롤축(2a)의 중심 축선의 상방의 면)(2b)에 원 웨이 클러치(18)의 외륜(18a)을 접촉시키는 처리이다. 이 외륜(18a)은 유리 롤(2)의 외주면(2b)으로의 접촉부가 발포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원 웨이 클러치(18)는 유리 필름 리본(3)이 전혀 권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 유리 롤(2)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지는 암(19)의 선단에 부착되고, 이 암(19)의 후단은 대차(2v)의 기대부(20)에 세워서 설치 고정된 지주(21)에 힌지(22)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원 웨이 클러치(18)는 자체 중량에 의해 유리 롤(2) 상에 얹혀진 상태에 있으며, 유리 롤(2)의 외경의 변화에 추종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에는 유리 롤(2)로부터 유리 필름 리본(3)이 권출되어 있는 동안에는 원 웨이 클러치(18)의 동작에 의해 외륜(18a)이 유리 롤(2)의 외주면을 따라 구르는 것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외륜(18a)과 유리 롤(2)의 외주면(2b)의 마찰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며, 당해 외주면(2b)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보다 한층 확실하게 억제된다. 한편, 유리 필름 리본(3)이 절단된 후에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이 유리 롤(2)측으로 되돌려지도록 해도 원 웨이 클러치(18)의 동작에 의해 외륜(18a)이 유리 롤(2)의 외주면을 따라 구르는 것이 저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절단 후의 유리 필름 리본(3)이 유리 롤(2)측으로 되돌려지도록 이동해서 유리 롤(2)의 외주부의 권체력을 약화시키고자 해도 그러한 유리 필름 리본(3)의 이동은 원 웨이 클러치에 의해 저지된다. 이에 따라 기술한 도 8에 나타낸 양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유리 필름 리본(3)의 절단 후에 있어서의 유리 롤(2)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3)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유리 필름 리본(3)의 느슨해짐의 방지와 마찰의 방지의 적절한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원 웨이 클러치(18)의 외륜(18a)은 유리 롤(2)의 외주면(2b)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발포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리 롤(2)의 외주면(2b)에 적절한 마찰력을 부여하면서 당해 외주면(2b)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한층 더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이 제 3 예에 의한 느슨해짐 방지 처리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테이블(7)의 제 1 이송면(7a) 상에서 유리 필름 리본(3)의 상면에 원 웨이 클러치(18)의 외륜(18a)을 접촉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호 시트 리본(4)에 부여되는 장력을 충분한 크기로 함으로써 외륜(18a)의 유리 필름 리본(3)으로의 접촉 위치에서 보호 시트 리본(4)을 제 1 이송면(7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반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하지 않고, 당해 접촉 위치에서 보호 시트 리본(4)을 제 1 이송면(7a)에 접촉시키토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제조 장치(1)는 기술한 느슨해짐 방지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이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 즉,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롤(2)의 롤축(2a)에 브레이크 장치(23)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상세하게는 유리 롤(2)의 롤축(2a)에 대차(2v)에 탑재된 브레이크 장치(23)의 브레이크 슈(23a)를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리 필름 리본(3)을 절단할 때에 유리 필름 리본(3)의 권출(이송)을 정지하는 것에 대해서 유효하게 대처할 수 있다. 즉, 소정 길이의 유리 필름 리본(3)을 유리 롤(2)로부터 권출한 후에 그 권출을 정지해서 유리 필름 리본(3)을 절단하고자 했을 경우에는 유리 롤(2)은 타성에 의해 회전한다. 이것에 기인하여 유리 롤(2)과 절할 바(6) 사이에서 유리 필름 리본(3)에 느슨해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 필름 리본(3)의 파손이나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구성에 의하면 유리 롤(2)이 타성으로 회전하는 것을 브레이크 장치(23)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필름 리본(3)을 절단할 때에 유리 롤(2)과 절할 바(6) 사이에서 유리 필름 리본(3)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제조 장치(1)는 이상의 구성에 추가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길이 조정 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면 예에서는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가 유리 롤(2)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면 예의 유리 롤(2)은 유리 필름 리본(3)의 외주측에 보호 시트 리본(4)이 감아 걸려 있지만 보호 시트 리본(4) 상에 유리 필름 리본(3)이 겹쳐진 상태로 권출되어 가는 점은 기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엄밀하게는 유리 롤(2)이 최소 지름이 될 때의 권출 개시부(2z))보다도 절할 바(6)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도 기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도면 예의 제조 장치(1)의 주요부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기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면 예의 길이 조정 기구(24)는 기술한 바와 같이 유리 롤(2)의 권출 개시부(2z)가 유리 롤(2)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조정 기구(24)는 유리 롤(2)로부터 보호 시트 리본(4) 및 유리 필름 리본(3)을 권출할 때에 제 2 테이블(8)의 제 2 이송면(8a) 상에서 유리 필름 리본(3)의 권출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길이 조정 기구(24)는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이 절할 바(6)를 지나친 시점에서 제 2 이송면(8a)에 붙여져 있는 마크에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을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기 위해 권출 길이를 미세 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조정 기구(24)는 유리 롤(2)의 롤축(2a)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동축상에 배치된 대경 기어(25)와, 대경 기어(25)에 맞물리는 소경 기어(26)와, 소경 기어(26)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동축상에 배치된 웜 휠(27)과, 웜 휠(27)에 맞물리는 웜(28)을 갖는다. 소경 기어(26), 웜 휠(27), 및 웜(28)은 에어실린더 등의 유체압 실린더(29)에 의해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된 승강대(30)에 유지되어 있다. 웜(28)에는 전방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또한 전단에 핸들(31)을 갖는 작동축(32)이 부착되어 있다. 작동축(32)의 후단부는 승강대(30)의 축지지부(3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작동축(32)의 전단부는 기대(5v)에 고정 설치된 복수(도면 예에서는 2개)의 축지지 벽재(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작동축(32)은 축지지부(30a)와 축지지 벽재(33) 사이에서 복수 개(도면 예에서는 2개)의 만능 조인트(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핸들(31)은 제 2 테이블(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31)의 주변 부위(도면 예에서는 전방측의 축지지 벽재(33))에는 승강대(30)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하는 스위치(35)가 부착되어 있다.
이 길이 조정 기구(24)는 작업자에 의해 이하와 같이 조작된다. 우선, 작업자는 보호 시트 리본(4)을 제 2 이송면(8a)을 따르게 해서 잡아당김으로써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을 마크의 근방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로 작업자는 스위치(35)를 조작해서 승강대(30)를 동 도면에 나타내는 상승단 위치까지 상승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으로부터 마크까지 소정 길이만큼 빈 공간이 있을 경우에는 작업자는 핸들(31)을 정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유리 롤(2)이 화살표(W1) 방향으로 회전하고, 양 리본(3, 4)이 권출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이 마크를 소정 길이만큼 지나쳐 있을 경우에는 작업자는 핸들(31)을 역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유리 롤(2)이 화살표(W2) 방향으로 회전하고, 양 리본(3, 4)이 권취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31)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는 보호 시트 리본(4)에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핸들(3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1회만 행함으로써 또는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유리 필름 리본(3)의 선단(3a)을 마크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작업을 행한다. 이 위치 결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작업자는 핸들(31)의 조작을 그만 둔다. 이 상태로 기술한 바와 같이 유리 필름 리본(3)의 절단을 행하고, 그리고 나서 작업자는 스위치(35)를 조작해서 승강대(30)를 도시의 상태로부터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대경 기어(25)와 소경 기어(26)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핸들(31)로부터 대경 기어(25), 나아가서는 유리 롤(2)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유리 필름 리본(3)의 절단과, 승강대(30)의 하강은 상기 경우와 순서가 반대이어도 좋다. 이 후에 있어서는 다시 작업자에 의해 보호 시트 리본(4)이 잡아당겨지고, 기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조작이 행해진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베리에이션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굽힘 응력 부여부로서의 절할 바를 원통형상 또는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했지만, 단면이 타원형이나 그 밖의 만곡형상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상부만이 그와 같은 만곡형상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만곡형상을 이루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절할 바의 개수도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굽힘 응력 부여부는 절할 바를 갖지 않는 구성(예를 들면, 제 1, 제 2 테이블에 의해서만 구성)이어도 좋고, 어느 것으로 해도 굽힘 응력 부여부는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하기 위해서 필요한 굽힘 응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유리 롤의 외주면에 접촉시키는 느슨해짐 방지 부재는 상기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촉부가 고무 등으로 형성된 추체, 또한 접촉부가 그 밖의 재질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절할 바의 상방에서 유리 필름 리본에 스크래치를 냈지만 절할 바의 후방측, 즉 절단되기 전에 유리 필름 리본에 스크래치를 내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스크래치를 내는 것 이외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넣는 것이어도 좋지만 절단되기 전에 유리 필름 리본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넣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테이블을 평판형상의 부재로 했지만 복수의 문살재를 이송 방향으로 병렬로, 또는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로, 또는 격자형상으로 조립한 부재 등이어도 좋고, 또한 이들의 부재 이외의 대 등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제 2 이송면은 그들의 일방이 구배가 없는 면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제 2 이송면은 컨베이어 등의 반송면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작업자가 보호 시트 리본을 잡아당기지 않아도 좋다. 또한, 작업자나 컨베이어 등에 의하지 않고 보호 시트 리본을 잡아당기기 위해서 굽힘 응력 부여부보다도 전방측의 위치에 인장 롤러를 별도 형성해도 좋고, 또는 기존의 시트 롤(10)(도 1 참조)에 의해 보호 시트 리본을 잡아당기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필름 리본 및 보호 시트 리본을 유리 롤의 상단부로부터 권출할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출 직후의 양 리본은 수평 방향 또는 대략 수평 방향을 향해서 권출되어 있지만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지도록 또는 전방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지도록 권출되어도 좋다. 또한, 유리 필름 리본 및 보호 시트 리본을 유리 롤의 하단부로부터 권출할 경우에,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출 직후의 양 리본은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지도록 권출되어 있지만 수평 방향 또는 대략 수평 방향을 향해, 또는 전방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지도록 권출되어도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필름 리본 및 보호 시트 리본을 유리 롤의 상단부로부터 권출할 경우에 느슨해짐 방지 처리를 행하도록 했지만 이 양 리본을 유리 롤의 하단부로부터 권출할 경우에 마찬가지의 느슨해짐 방지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할 경우에는 느슨해짐 방지 부재의 유리 롤로의 접촉을 카운터 웨이트 방식으로 해도 좋다.
1: 제조 장치 2: 유리 롤
2a: 롤축 2b: 유리 롤의 외주면
3: 유리 필름 리본 3A: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측 영역
3a: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 4: 보호 시트 리본
6: 절할 바(굽힘 응력 부여부) 7a: 제 1 이송면
8a: 제 2 이송면 11: 유리 필름
12: 테이프형상체 13: 추체
18: 원 웨이 클러치 18a: 외륜
23: 브레이크 장치 24: 길이 조정 기구
25: 대경 기어 26: 소경 기어
27: 웜 휠 28: 웜
29: 유체압 실린더 30: 승강대

Claims (15)

  1. 유리 필름 리본과 보호 시트 리본을 겹쳐서 권회한 유리 롤로부터 보호 시트 리본 상에 유리 필름 리본을 겹친 상태로 권출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이 굽힘 응력 부여부를 통과해서 소정 길이만큼 지나친 후에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에 부여되는 굽힘 응력에 의해 당해 유리 필름 리본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상기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유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는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필름 리본 및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의 권출 개시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은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진 상태로 상기 유리 롤측으로부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 도달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 및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은 상기 유리 롤의 권출 개시부로부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은 장력을 부여받지 않고, 또한 자체 중량에 의한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걸쳐지고,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은 장력을 부여받고, 또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의 처짐을 받아낸 상태로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을 상기 유리 롤의 권출 개시부로부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를 향해서 잡아 당김으로써 상기 유리 롤로부터 상기 보호 시트 리본 및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권출하고, 그들의 권출을 정지했을 때에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의 권출 방향의 전방측에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지는 하행 경사 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할 때에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상기 하행 경사 테이블 상을 따르게 해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롤과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 사이에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지는 상행 경사 테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한 후에 상기 상행 경사 테이블이 상기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을 받아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절단한 후에 상기 유리 롤의 최외층의 유리 필름 리본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느슨해짐 방지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느슨해짐 방지 처리는 상기 절단한 후의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측 영역과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을 테이프형상체로 고정 부착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느슨해짐 방지 처리는 상기 유리 롤의 외주면에 느슨해짐 방지 부재를 접촉시키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느슨해짐 방지 부재는 상기 유리 롤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수지로 형성된 추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느슨해짐 방지 부재는 상기 유리 롤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외륜을 갖는 원 웨이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은 상기 유리 롤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발포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롤의 롤 축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롤로부터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을 권출하는 권출 길이를 조정하는 길이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15. 유리 필름 리본과 보호 시트 리본을 겹쳐서 권회한 유리 롤로부터 보호 시트 리본 상에 유리 필름 리본을 겹친 상태로 권출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의 선단이 굽힘 응력 부여부를 통과해서 소정 길이만큼 지나친 후에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서 상기 유리 필름 리본에 부여되는 굽힘 응력에 의해 당해 유리 필름 리본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상기 소정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의 유리 필름을 제조하도록 구성한 장치로서,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는 상기 유리 롤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필름 리본 및 상기 보호 시트 리본의 권출 개시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유리 필름 리본은 권출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상승 경사진 상태로 상기 유리 롤측으로부터 상기 굽힘 응력 부여부에 도달해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제조 장치.
KR1020227012299A 2019-12-23 2020-12-04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KR20220121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1796 2019-12-23
JPJP-P-2019-231796 2019-12-23
PCT/JP2020/045272 WO2021131617A1 (ja) 2019-12-23 2020-12-04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776A true KR20220121776A (ko) 2022-09-01

Family

ID=7657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2299A KR20220121776A (ko) 2019-12-23 2020-12-04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1131617A1 (ko)
KR (1) KR20220121776A (ko)
CN (1) CN114728831A (ko)
TW (1) TW202126594A (ko)
WO (1) WO20211316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3478A1 (en) * 2022-09-29 2024-04-04 Corning Incorporated Roll-to-sheet glass assembly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4263A (ja) 2016-06-02 2017-12-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4224B2 (ja) * 2010-12-28 2015-02-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6032428B2 (ja) * 2013-02-28 2016-11-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切断装置及びガラスフィルム切断方法
CN110202878A (zh) * 2013-03-14 2019-09-06 康宁股份有限公司 用于制造和切割挠性玻璃和聚合物复合结构的方法和设备
US9932259B2 (en) * 2013-08-28 2018-04-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film ribbon manufacturing method and glass film ribbon manufacturing device
JP6112301B2 (ja) * 2013-08-28 2017-04-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装置及びガラスフィルムリボン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ロール
JPWO2015118985A1 (ja) * 2014-02-06 2017-03-23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
US20150251944A1 (en) * 2014-03-10 2015-09-1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parating glass ribbons
JP6628032B2 (ja) * 2015-12-21 2020-01-0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
EP3419921A1 (en) * 2016-02-25 2019-01-0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dge surface inspection of a moving glass web
JP2018016528A (ja) * 2016-07-29 2018-02-01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分割装置
JP6900767B2 (ja) * 2017-04-28 2021-07-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6909403B2 (ja) * 2017-07-31 2021-07-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4263A (ja) 2016-06-02 2017-12-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3478A1 (en) * 2022-09-29 2024-04-04 Corning Incorporated Roll-to-sheet glass assembly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28831A (zh) 2022-07-08
WO2021131617A1 (ja) 2021-07-01
TW202126594A (zh) 2021-07-16
JPWO2021131617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324B2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1395077B (zh) 用于在开卷机中移动卷筒的设备和方法
US10189665B2 (en) Unwinder of reels of web material
JP3650194B2 (ja) 巻付け具用の保持台およびシートを処理する処理装置
KR102361855B1 (ko) 유리 롤의 제조 방법
KR20220121776A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N107792708B (zh) 用于输送连续带的输送装置
JP2017149498A (ja) 遮水シート送り出し装置、及び、遮水シート送り出し方法
EP26534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of fiber webs, especially of partial paper and board webs
US200300898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winding tissue webs
JP2006264984A (ja) 枚葉紙後方エッジ支持装置
EP23586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tape
EP2495195B1 (en) Arrangement in handling web rolls
KR20200035370A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JP3196631U (ja) シート分割巻取装置
JPH0769499A (ja) 巻取紙の搬送装置
US72612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of webs
JP6144251B2 (ja) 繰出装置
JP3348441B2 (ja) 広幅帯状シート用スリッターリワインダー
US200401350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inding of webs
JP2003118897A (ja) 親巻用スプール搬送装置
EP2511209B1 (en) Arrangement for handling machine rolls and reeling shafts in connection with production of fiber webs
KR100558892B1 (ko) 포장지 공급기
JPWO2020121892A1 (ja) ウェブロール搬送用台車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2008056380A (ja) 原紙ロール交換装置の原紙端部自動処理装置及び原紙端部自動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