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170A -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170A
KR20100113170A KR1020107020538A KR20107020538A KR20100113170A KR 20100113170 A KR20100113170 A KR 20100113170A KR 1020107020538 A KR1020107020538 A KR 1020107020538A KR 20107020538 A KR20107020538 A KR 20107020538A KR 20100113170 A KR20100113170 A KR 2010011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onnection
cover
production apparatu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3510B1 (ko
Inventor
히사유키 스에오카
스스무 노구치
다츠미 오토무라
나오유키 도쿠나가
Original Assignee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따기꼬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 B62B5/049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by contacting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Handcart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은 워크의 종류마다 교환되는 교환파츠를 대차에 재치하여 생산장치로 반입하고, 교환파츠를 생산장치에 조립하여 워크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교환파츠마다에 적합하게 재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재치부(21a, 21b, 21c) 및 피연결부(22b)를 포함하는 대차(20)를 생산장치(10)에 접근시켜서 정류시키고, 외곽프레임(17)에 설치된 연결부(30)를 대차(20)의 피연결부(22b)에 연결한다. 또한, 이 연결을 연결확인수단(40)에 의해 확인한다. 이것에 따르면, 작업원이 잘못하여 대차를 다른 에리어로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대차가 교환파츠마다 전용의 대차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차에 종류가 상이한 교환파츠를 재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PRODUCTION SYSTEM AN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생산대상이 되는 워크에 따라서 지그나 공구 등을 교환하여, 여러 종류의 워크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워크의 종류마다에 적합한 지그나 공구 등의 교환파츠를 대차에 올려놓아 반입하고, 생산장치에 조립하여 워크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생산시스템 및 그 생산시스템에 있어서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 있어서의 공장 등의 생산현장에서는 인건비가 저렴한 발전도상국으로의 공장의 이전에 동반하는 작업원의 다국적화, 다품종소량생산화, 혹은 셀생산화 등이 진전되고 있고, 제품의 품종(기종)에 따라서 교환파츠로서의 지그나 공구를 교환하는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가지지 않은 작업원에 있어서도, 지그나 공구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기종마다 지그 및 공구 등을 틀리는 일 없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NC공작기계 등의 생산장치에 있어서의 공구의 관리수법으로서는 공구의 종류에 따라서 첨부된 바코드라벨을 판독하는 것에 의해 공구를 관리하기 위해, 이 생산장치에 필요한 공구의 종류를 지령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공구의 교체를 행하는 공구교체스테이션, 공구를 위치결정하기 자유롭게 파지하여 반송하는 반송수단, 반송수단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공구에 첨부된 바코드라벨을 판독하는 바코드리더, 바코드리더에 따른 판독결과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공구가 필요한 것인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여, 공구에 관한 정보의 기록 및 확인을 작업자의 목시(目視)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판정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공구관리시스템으로서는 시설의 에리어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 공구의 태그데이타를 판독하는 태그리더, 태그리더의 송수신동작을 제어함과 함께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태그리더 제어장치, 공구관리 데이타베이스부를 구비함과 함께 네트워크를 거쳐서 태그리더 제어장치와 접속된 공구관리장치, 공구관리장치에 접속된 단말장치 등을 구비하여, 관리에리어로의 공구의 반입 및 관리에리어로부터의 공구의 반출을 관리하여, 공구의 오반입이나 분실을 재빨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더욱이, 지그를 이용하는 생산장치로서는 워크를 지그에 세트하기 위한 세트스테이션, 워크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스테이션, 지그를 보관하기 위한 지그보관장, 지그를 재치(載置)하여 세트스테이션과 조립스테이션의 사이를 이동하는 지그이송대차 등을 구비하여, 지그를 복수의 스테이션(세트스테이션, 조립스테이션)과 지그보관장의 사이에서 이송가능하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이들의 생산장치 혹은 공구의 관리수법(관리시스템, 관리장치)에 있어서는, 지그나 공구에 각각 바코드를 붙이고, 지그 혹은 공구의 보관장소 및 보관상태에 관한 정보 등을 각각의 바코드에 대응시킨 데이타로서 관리(인증, 확인 등)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설정의 때나 변경이 생긴 때에 데이타의 기록이나 변경 혹은 프로그래밍 등의 변경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전문의 기술자가 없는 현장, 특히, 작업원이 다국적화된 공장 등에서는 이들의 변경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다.
또한, 변경수순 등에 관한 매뉴얼을 완비하고, 혹은, 지그나 공구를 재치하는 대차 등에 개량을 시행해도, 작업원이 매뉴얼에 따른 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공구나 지그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가 없다.
그런 이유로, 이들의 관리를 간편한 작업수순에 의해 행하도록 하고, 작업원이 이 간편한 작업수순에도 따르지 않는 경우에는 생산장치가 가동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64 - 3462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6 - 107161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 - 16061 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생산대상이 되는 워크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지그나 공구 등의 교환파츠를 대차에 의해 반입하여 생산장치에 조립하는 구성에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도모하면서, 교환파츠를 틀리는 일 없이 관리할 수 있고, 가령 틀리게 조립한 경우에는 생산장치의 가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그 오조립 등의 수정을 촉구하여 가동을 원활하게 재개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산시스템은 워크의 종류마다 교환되는 교환파츠를 대차에 재치하여 생산장치로 반입하고, 교환파츠를 생산장치에 조립하여 워크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함과 함께, 워크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는 그 종류에 대응하는 교환파츠를 반입하도록 대차마다 교체하는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산장치는 외곽프레임, 외곽프레임에 대차의 전벽을 접근시켜서 대차를 정류시키도록 대차를 외곽프레임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대차는 교환파츠마다 적합하게 재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재치부, 연결부를 연결하는 피연결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교환파츠를 재치부에 재치한 대차가 생산장치의 정류에리어로 반입되어, 대차의 전면을 외곽프레임에 접근시킨 상태에서 정지되면, 작업원에 의해 외곽프레임에 접속된 연결부가 대차에 설치된 피연결부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대차를 생산장치에 인접시켜서 정류시킬 수 있고, 작업원이 잘못하여 대차를 다른 에리어로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차가 (지그, 공구 등의) 교환파츠의 종류마다에 적합하게 재치할 수 있는 재치부를 구비한 교환파츠마다의 전용의 대차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차에 종류가 상이한 교환파츠를 재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서, 연결부가 피연결부에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결확인수단에 의해, 대차가 생산장치(의 외곽프레임)에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결정보를 생산장치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서, 대차가 외각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차에 재치되는 교환파츠의 유무를 확인하는 파츠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대차가 생산장치(의 외곽프레임)에 연결되어 정류상태로 되면, 파츠확인수단에 의해 대차의 재치부에 교환파츠가 재치되어 있는 지의 여부(남아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교환파츠가 전부 취출되어 생산장치에 조립되기까지, 생산장치의 가동을 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서, 대차는 재치부를 덮도록 착탈이 자유로운 커버를 포함하고, 재치부로부터 교환파츠가 취출된 후에 커버가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커버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커버가 제거되고, 교환파츠가 전부 취출되어 생산장치에 조립된 후에, 커버확인수단에 의해 커버가 다시 대차에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커버가 장착되기까지 생산장치의 가동을 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커버가 미장착된 경우는, 예를 들면, 경고신호를 발하여 작업원에게 커버의 장착을 촉구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작업원이 이 대차에 잘못하여 다른 교환파츠를 수납(재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서, 대차는 재치부에 재치된 교환파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정보기억부를 포함하고, 생산장치는 정보기억부의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대차가 생산장치의 외곽프레임에 접근한 정류에리어로 반입되어 정지되면, 생산장치 측에 설치된 판독수단에 의해 대차의 정보기억부에 기억된 교환파츠에 관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판독정보에 기초하여 반입된 교환파츠에 적합하도록 생산장치의 가동조건(생산장치에 포함되는 처리유닛의 처리동작, 사이클타임 등)을, 예를 들면, 생산장치에 설치된 제어반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부가 피연결부에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수단, 대차가 외곽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차에 재치되는 교환파츠의 유무를 확인하는 파츠확인수단, 재치부를 덮도록 착탈이 자유로운 커버가 교환파츠의 취출 후에 대차에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커버확인수단, 연결확인수단, 파츠확인수단, 및 커버확인수단에 따른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생산장치의 가동을 허가할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연결확인수단, 파츠확인수단, 및 커버확인수단에 따른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판정수단에 의해, 생산장치를 가동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확인정보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생산장치를 가동시키고, 확인정보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생산장치를 가동시키지 않도록 관리하여 작업원의 오작업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부는 외곽프레임에 접속된 연결핀으로 이루어지고, 피연결부는 대차의 전벽에 설치되어 연결핀을 삽입하여 보지할 수 있는 연결핀홀더로 이루어지고, 연결확인수단은 연결핀홀더에 삽입되어 보지된 연결핀을 검출할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생산장치의 외곽프레임에 접속된 연결핀이 대차의 전벽에 선치된 연결핀홀더에 삽입되어 보지되면, 외곽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검출센서가 연결핀홀더에 삽입되어 보지된 상태에 있는 연결핀을 검출하여, 대차가 생산장치에 연결된 것을 확인한 확인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고, 한편, 연결핀이 연결핀홀더에 삽입되어 보지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는 제 1 검출센서가 연결핀을 검출할 수 없기 않기 때문에, 연결이 완료하지 않은 것을 경고하는 신호를 발하여, 작업원에 연결을 촉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확인수단의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대차가 생산장치에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고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서, 파츠확인수단은 검출광이 재치부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외곽프레임에 설치된 반사형의 광센서, 광센서의 투광부로부터 발해진 검출광을 광센서의 수광부로 향하여 반사할 수 있도록 대차의 후벽에 설치된 반사체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교환파츠를 재치부에 재치한 대차가 생산장치의 정류에리어로 반입되어 대차의 측면을 외곽프레임에 접근시킨 상태로 정지되어 연결되면, 반사형의 광센서가 대차의 후벽에 설치된 반사체로 향하여 검출광을 발한다. 그리고, 검출광의 광로상에 교환파츠가 있는 경우에는 검출광은 교환파츠에 의해 차단되어 반사체에 도달하지 않고, 광센서는 교환파츠가 대차에 남아 있는 것을 정보로서 출력하고, 한편, 검출광의 광로상에 교환파츠가 없는 경우에는 검출광은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에 수광되고, 광센서는 교환파츠가 대차에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츠확인수단의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교환파츠의 유무를 고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서, 커버확인수단은 대차의 전벽에 접속된 봉지(封止)핀, 커버에 설치되어 봉지핀을 삽입하여 보지할 수 있는 봉지핀홀더, 대차의 전벽에 설치된 봉지핀을 삽통시킬 수 있는 핀삽통부, 봉지핀홀더에 보지되고 또한 핀삽통부에 삽입된 봉지핀을 검출할 수 있도록 외곽프레임에 설치된 제 2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생산장치의 정류에리어로 반입되어 연결된 대차로부터 교환파츠가 취출되어 생산장치에 조립된 후에, 커버가 대차에 장착되고, 대차의 전벽에 접속된 봉지핀이 커버의 봉지핀홀더에 삽입되어 보지되고 또한 대차의 전벽에 설치된 핀삽통부에 삽입되면, 외곽프레임에 설치된 제 2 검출센서가 봉지핀홀더에 삽입되어 보지되고 또한 핀삽통부에 통과된 상태에 있는 봉지핀을 검출하고, 대차에 커버가 장찬된 것을 확인하여 장착완료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커버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봉지핀이 대차의 핀삽통부에만 삽입되어도, 봉지핀은 핀삽통부를 완전히 삽통하여(통하여 나와) 보지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검출센서는 봉지핀을 검출할 수 없고, 그 때문에, 커버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여 미장착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미장착정보에 기초하여, 커버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경고하는 신호를 발하여, 작업원에게 커버의 장착을 촉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확인수단의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커버가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를 고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생산관리방법은 워크의 종류마다에 교환되는 교환파츠를 대차에 탑재하여 생산장치로 반입하고, 교환파츠를 생산장치에 조립하여 워크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생산시스템에 있어서의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산장치에 대차를 연결하는 연결스탭, 연결스탭에 의해 접속된 대차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연결확인스탭, 연결스탭에 의해 연결된 대차에 재치되는 교환파츠의 유무를 확인하는 파츠확인스탭, 대차로부터 교환파츠가 취출된 후에 대차에 커버를 장착하는 커버장착스탭, 대차에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커버확인스탭, 연결스탭의 후에 대차에 재치된 교환파츠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판독스탭, 정보판독스탭에 의해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정보의 설정변경을 행하는 설정변경스탭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교환파츠를 재치부에 재치한 대차가 생산장치(의 정류에리어)로 반입되어 정지되면, 작업원에 의해 연결스탭에서 대차가 생산장치에 연결되고, 연결확인스탭에서 대차의 연결이 확실하게 행해졌는 지의 여부가 확인되고, 파츠확인스탭에서 대차에 재치된 교환파츠가 취출되어 생산장치에 모두 조립되었는 지의 여부가 확인되고, 교환파츠의 취출 후에 커버장착스탭에서 커버가 대차에 장착되고, 커버확인스탭에서 커버의 장착상태가 확인된다. 또한, 연결스탭의 후에, 정보판독스탭에서 교환파츠에 관한 정보가 판독되고, 설정변경스탭에서 제어정보의 설정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연결스탭, 연결확인스탭, 파츠확인스탭, 커버장착스탭, 커버확인스탭이 순차적으로 행해지고, 또한, 연결스탭의 후에 정보판독스탭 및 설정변경스탭이 순차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대차의 연결상태 및 대차에 재치되는 교환파츠의 상태, 커버의 장착 상태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원이 잘못하여 대차를 다른 에리어로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작업원이 교환파츠의 조립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생산장치의 가동중에 연결확인스탭 및 파츠확인스탭에 따른 확인결과가 소정의 가동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연속적으로 감시하는 감시스탭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감시스탭에서 연결확인스탭 및 파츠확인스탭에 따른 확인결과가 소정의 가동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연속적으로 감시하기 때문에, 생산장치의 가동중에 작업원이 잘못하여 대차를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작업원이 잘못하여 다른 교환파츠를 대차에 수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감시스탭에서 가동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했을 때, 생산장치의 가동을 정지하는 정지스탭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감시스탭에서 연결확인스탭 및 파츠확인스탭에 따른 확인결과가 가동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했을 때, 정지스탭에서 생산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점검 및 수정작업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정지스탭의 후에 가동조건이 만족된 때, 생산장치의 가동을 재개하는 재개스탭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동조건이 만족된 후에 재개스탭에서 생산장치의 가동을 재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대차에는 일 종류의 워크에 대응하는 교환파츠만이 재치되고, 워크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는 그 종류에 대응하는 교환파츠를 반입하도록 대차마다 관리하여 교체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워크의 종류마다 필요하게 되는 교환파츠가 대차마다 관리되고 또한 생산장치에 대해서 대차마다 교체되기 때문에 교환파츠를 틀리는 일 없이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관리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에 따르면, 생산대상이 되는 워크에 따라서 적합한 지그나 공구 등의 교환파츠를 대차에 의해 반입하여 생산장치에 조립하는 구성에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생산장치에 필요한 교환파츠를 틀리는 일 없이 관리할 수 있고, 가령 틀리게 조립한 경우에는 생산장치의 가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그 오조립 등의 수정을 촉구하여 생산장치의 가동을 원활하게 재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차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차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차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을 구성하는 생산장치의 일부 및 대차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을 구성하는 생산장치의 일부 및 대차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을 구성하는 생산장치의 일부 및 대차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에 포함되는 파츠확인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스템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생산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산장치(10), 생산장치(10)에 대하여 교환파츠(T1, T2, T3)를 반입 및 반출하는 대차(20) 등을 구비하고, 처리대상이 되는 워크(W)의 종류마다 교환되는 교환파츠(T1, T2, T3)를 대차(20)에 재치하여 생산장치(10)로 반입하고, 작업원(M)이 교환파츠(T1, T2, T3)를 생산장치(10)에 조립하여,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처리유닛이 워크(W)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교환파츠(T1, T2, T3)의 하나로서는, 예를 들면, 워크(W)의 자부품을 조립할 때에 이용되는 지그가 적용된다.
또한, 이 생산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로서의 연결핀(30), 피연결부로서의 연결핀홀더(22b), 연결확인수단으로서의 제 1 검출센서(40), 파츠확인수단으로서의 반사형의 광센서(50) 및 반사체(51), 커버확인수단으로서의 제 2 검출센서(60), 봉지핀(61), 봉지핀홀더(29a), 및 핀삽통부(22d), 판독수단으로서의 태그리더(70), 정보기억부로서의 IC태그(7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생산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1), 베이스(11) 상에 배치된 회전테이블(12), 회전테이블(12)에 설치됨과 함께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워크보지유닛(13), 회전테이블(12)의 주위에 배열된 5개의 처리유닛(14), 워크보지유닛(13)에 대응하여 배치된 6개의 처리테이블(15), 모든 처리를 마친 워크를 반출하는 반출라인(16), 장치 전체를 덮음과 함께 외륜곽을 획정하는 외곽프레임(17), 대차(20)를 가이드하여 생산장치(10)에 인접한 정류에리어에 위치결정하는 가이드부(18), 외곽프레임(17)의 외부에 설치되어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반(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테이블(1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회전축(12a) 주위에, 소정의 각도 단위로 간헐적으로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워크보지유닛(13)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W)를 보지한 상태로, 회전테이블(12)과 일체적으로 간헐적으로 회전함과 함께 처리테이블(15) 상에 워크(W)를 이재하고 또한 처리를 마친 워크(W)를 처리테이블(15)로부터 받아서 다음의 처리유닛(14)으로 반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워크보지유닛(13)에서는, 워크(W)의 종류에 따라서 워크(W)를 보지하는 보지부가 교환파츠(T1, T2, T3)의 하나로서 교환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처리유닛(14)은 워크(W)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처리를 시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워크(W)의 종류에 따라서 처리유닛(14)에 조립되는 공구 등이 교환파츠(T1, T2, T3)의 하나로서 교환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처리테이블(15)은 처리유닛(14)에 의해 처리가 시행될 때에, 워크(W)를 보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처리테이블(15)은 워크(W)의 종류에 따라서 그 재치부 등이 교환파츠로서 교환가능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반출라인(16)은 처리를 마친 합격품으로서의 워크(W)를 반출하는 합격품 반출라인(16a), 불합격품으로서의 워크(W)를 반출하는 불합격품 반출라인(1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곽프레임(17)은 장치 전체를 둘러싸서 외윤곽(外輪郭)을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여러 종류의 부품 등을 부착 혹은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프레임 본체, 처리유닛(14)을 포함하는 처리영역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프레임 본체에 부착된 투명한 아크릴판 혹은 격자형의 금속망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곽프레임(17)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20)가 반입되어 접근한 상태로 정류되는 측벽(17a)에서, 연결핀(30), 일단에서 연결핀(30)을 접속하는 접속스트링(31)의 단부를 접속함과 함께 연결핀(30)을 수납할 수 있는 연결핀수납부(32), 제 1 검출센서(40), 반사형의 광센서(50), 제 2 검출센서(60), 태그리더(70)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18)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20)를 소정의 정류에리어로 가이드하면서 받아들여 위치결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반(19)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처리를 행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제어부(19a), 여러 종류의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19b), 작업원(M)이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19c), 작업원(M)에 경보신호를 발하는 경보부(19d), 생산장치(10)의 가동을 허가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서의 판정회로(19e), 회전테이블(12)을 회전구동하는 구동회로(19f), 워크보지유닛(13)을 승강구동하는 구동회로(19g), 처리유닛(14)을 구동하는 구동회로(19h), 처리테이블(15)을 구동하는 구동회로(19i), 반송라인(16)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검출센서(40)의 검출정보, 제 2 검출센서(60)의 검출정보, 반사형의 광센서(50)의 검출정보, 태그리더(70)의 판독정보, 및 이들의 정보에 기초하는 판정회로(19e)의 판정정보에 기초하여, 중앙제어부(19a)에 의해 여러 종류의 제어신호, 지령신호가 발해지고, 또한, 작업원(M)은 모니터(19b)에 표시된 지령신호를 확인하면서, 조작패널(19c) 상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생산장치(10)의 가동개시, 가동정지, 가동재개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업원(M)은 경보부(19d)에 의해 경보된 경보신호를 확인하면서, 가동조건을 만족하도록 적절히 필요한 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차(2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환파츠(T1, T2, T3)를 재치하는 재치판(21), 재치판(2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전벽(22)과 후벽(23) 및 2개의 측벽(24), 기부(25), 기부(25)의 하방에 설치된 차륜(26) 및 스토퍼기구(27), 후벽(24)에 인접하여 설치된 손잡이용의 프레임(28), 재치판(21)의 상방을 덮도록 착탈이 자유롭게 형성된 커버로서의 덮개체(2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재치판(21)은, 도 3 내지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W)의 종류에 대응하는 교환파츠(T1, T2, T3)마다에 적합하도록 교환파츠(T1)를 재치할 수 있도록 배열된 6개의 재치부(21a), 교환파츠(T2)를 재치할 수 있도록 배열된 6개의 재치부(21b), 교환파츠(T3)를 재치할 수 있도록 배열된 6개의 재치부(21c)를 구비하고 있다.
전벽(2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20)가 생산장치(10)로 반입되어 정류될 때에 외곽프레임(17)의 측벽(17a)에 접근하여 대향할 수 있도록, 또한. 반사형의 광센서(50)의 검출광이 통과하는 개구부(22a)를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벽(22)에는,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핀홀더(22b), 봉지핀수납부(22c), 핀삽통부(22d), IC태그(71)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핀홀더(22b)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핀(30)의 로드부(30a)를 삽통시키는 관통공(22b')을 가지며, 그 상단면에 연결핀(30)의 악부(鍔部, 30b)를 당접시켜서 보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핀홀더(22b)는 생산장치(10)(의 외곽프레임(17))에 대차(20)를 연결할 때에, 연결부로서의 연결핀(30)을 연결하는 피연결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봉지핀수납부(22c)는 덮개체(29)를 벗겨낸 상태에서, 봉지핀(61)을 수납하는 것이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지핀(61)의 로드부(61a)를 삽통시키는 관통공(22c')을 가지며, 그 상단면에 봉지핀(61)의 악부(61b)를 당접시켜서 보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봉지핀수납부(22c)에는 봉지핀(61)의 파지부(61c)에 일단이 접속된 접속스트링(62)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핀삽통부(22d)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29)가 장착된 때에, 후술하는 덮개체(29)의 봉지핀홀더(29a)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핀삽통부(22d)는 관통공(22d')을 가지고, 관통공(22d')은 봉지핀(61)(로드부(61a), 악부(61b), 및 파지부(61c))이 완전히 삽통하는(빠져나오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체(29)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봉지핀(61)이 핀삽통부(22d)로 통과되면 봉지핀(61)은 보지되지 않고 하방으로 벗어나 떨어져서, 제 2 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후벽(2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치부(21a, 21b, 21c) 상에 재치된 교환파츠(T1, T2, T3)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개구부(23a)를 획정하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에,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반사체(51)가 설치되어 있다.
측벽(24)에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29)를 장착한 상태로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후크(24a)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기구(27)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원(M)이 발로 밟아내릴 수 있는 페달(27a), 휴지(休止)시에 상승하고 또한 페달(27a)을 밟아내릴 때에 하강하여 바닥면에 착좌하는 스토퍼부(27b)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대차(20)를 정류에리어로 반입하여 정지시킨 후에, 작업원(M)이 페달(27a)을 밟아내리는 것에 의해, 스토퍼부(27b)가 바닥면에 착좌하여 차륜(26)을 약간 들어올려, 대차(20)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덮개체(29)는, 도 2 내지 도 4, 도 6,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치판(21)(재치부(21a, 21b, 21c))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전벽(22), 후벽(23) 및 양 측벽(24)에 의해 획정되는 외주벽의 상단 테두리부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29)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벽(22)에 대응하는 전단측에 형성된 봉지핀홀더(29a), 그 상면에 형성된 2개의 손잡이(29b) 등을 구비하고 있다.
봉지핀홀더(29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지핀(61)의 로드부(61a)를 삽통시키는 관통공(29a')을 가지며, 그 상단면에 봉지핀(61)의 악부(61b)를 당접시켜서 보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30)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부(30a), 악부(30b), 파지부(30c)를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파지부(30c)에 접속되고 타단이 연결핀수납부(32)에 접속된 접속스트링(31)을 거쳐서, 생산장치(10)의 외곽프레임(1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핀(30)은, 대차(20)가 생산장치(10)의 정류에리어에 반입되어 있지 않을 때 연결핀수납부(32)에 수납되고, 대차(20)가 생산장치(10)의 정류에리어로 반입되어 정류된 상태에 있을 때 대차(20)의 연결핀홀더(22b)에 삽입되어 보지되고, 제 1 검출센서(40)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검출센서(40)는 소정의 거리 이내에 대상물이 접근하면 그 대상물을 검출할 수 있는 근접센서이고, 도 2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산장치(10)의 외곽프레임(17)(의 측벽(17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검출센서(40)는 대차(20)가 정류에리어로 반입되어 전벽(22)이 측벽(17a)에 접근한 상태로 정지되고, 연결핀(30)이 연결핀홀더(22b)에 삽입되어 보지되면, 연결핀(30)의 로드부(30a)를 검출하여, 대차(20)가 생산장치(10)에 연결된 것을 확인한 확인정보로서 출력신호를 발하고, 한편, 연결핀(30)이 연결핀홀더(22b)에 삽입되어 보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출력신호를 발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검출센서(40)로서는 비접촉식의 근접센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핀홀더(22b)에 삽입되어 보지된 상태에 있는 연결핀(30)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접촉식 센서, 그 외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확인수단으로서, 비접촉식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제 1 검출센서(40)을 채용한 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대차(20)가 생산장치(10)에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고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반사형의 광센서(50)는 검출광을 발하는 투광부 및 검출광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고 있고, 도 2, 도 7,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20)에 각각 배열하여 설치된 재치부(21a, 21b, 21c)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검출광(LB)를 발하도록 생산장치(10)의 외곽프레임(17)(의 측벽(17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센서(50)는 대차(20)가 정류에리어에 반입되어 전벽(22)이 측벽(17a)에 접근한 상태에서 정지되고 또한 연결핀(30)이 연결핀홀더(22b)에 연결되면, 전벽(22)의 개구부(22a)를 통하여 후벽(23)에 설치된 반사체(51)로 향하여 검출광(LB)을 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광센서(5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출광(LB)의 광로상에 교환파츠(T1)가 있는 경우에는, 검출광(LB)이 교환파츠(T1)에 의해 차단되어 반사체(51)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교환파츠(T1)가 대차(20)에 남아 있는 것을 정보로서 출력하고, 한편, 검출광(LB)의 광로상에 교환파츠(T2, T3)가 없는 경우에는 검출광(LB)이 반사체(51)에 도달하여 반사되고 수광부에 수광되기 때문에, 교환파츠(T2, T3)가 대차(20)에 남아 있지 않은 것을 정보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파츠확인수단으로서 반사형의 광센서(50) 및 반사체(51)를 채용한 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교환파츠(T1, T2, T3)의 유무를 고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봉지핀(61)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부(61a), 악부(61b), 파지부(61c)를 획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3, 도 4,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파지부(61c)에 접속되고 타단이 봉지핀수납부(23c)에 접속된 접속스트링(62)을 거쳐서, 대차(20)의 전벽(2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봉지핀(61)은 덮개체(29)가 벗겨진 상태에 있을 때 봉지핀수납부(22c)에 수납되고, 덥개체(29)가 대차(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덮개체(29)의 봉지핀홀더(29a)에 삽입되어 보지됨과 함께 전벽(22)의 핀삽통공(22d)에 삽입되어, 제 2 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검출센서(60)는 소정의 거리 이내에 대상물이 접근하면 그 대상물을 검출할 수 있는 근접센서이고, 도 2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산장치(10)의 외곽프레임(17)(의 측벽(17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검출센서(60)는 대차(20)가 정류에리어에 반입되어 전벽(22)이 측벽(17a)에 접근한 상태로 정지되어 연결되고(연결핀(30)이 연결핀홀더(22b)에 삽입되어 보지되고), 덮개체(29)가 벗겨져서, 내부의 교환파츠(T1, T2, T3)가 취출되어 생산장치(10)에 조립된 후에, 다시 덮개체(29)가 장착되고, 봉지핀(61)이 덮개체(29)의 봉지핀홀더(29a) 및 핀삽통부(22d)에 삽입되어 보지되면, 봉지핀(61)의 로드부(61a)를 검출하여, 덮개체(29)가 대차(20)에 장착된 것을 확인한 확인정보로서 출력신호를 발하고, 한편, 봉지핀(61)이 봉지핀홀더(29a)에 삽입되어 보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출력신호를 발하지 않기 때문에 덮개체(29)가 미장착인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검출센서(60)로서는 비접촉식의 근접센서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봉지핀홀더(29a)에 삽입되어 보지된 상태에 있는 봉지핀(61)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접촉식 센서, 그 외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확인수단으로서 비접촉식의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제 2 검출센서(60), 봉지핀(61), 덮개체(29)에 설치된 봉지핀홀더(29a), 대차(20)의 전벽(22)에 설치된 핀삽통부(22d)를 채용한 것에 의해,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덮개체(29)가 대차(20)에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를 고정밀도로 확인할 수 있다.
태그리더(7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 이내에 IC태그(71)가 접근하면 그 IC태그(71)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며, 생산장치(10)의 외곽프레임(17)(의 측벽(17a))에 설치되어 있다.
IC태그(71)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20)의 전벽(22)에 첨부되어 있고, 이 대차(20)에 재치된 교환파츠(T1, T2, T3)에 관한 정보, 필요에 따라서 그 외의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태그리더(7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차(20)가 정류에리어로 반입되어 전벽(22)이 측벽(17a)에 근접한 상태로 정지되고, 대차(20)의 전벽(22)에 설치된 IC태그(71)에 접근한 상태로 대향하면, IC태그(71)에 기억된 교환파츠(T1, T2, T3)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를 제어반(19)(내의 중앙제어부(19a))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태그리더(70)에 의해 판독한 IC태그(71)의 정보에 기초하여, 반입된 교환파츠(T1, T2, T3)에 적합하도록 생산장치(10)의 가동조건(생산장치(10)에 포함되는 처리유닛(14)의 처리동작, 사이클타임 등)을 제어반(19)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에 있어서의 작업원(M)의 작업 및 생산장치(10)의 가동, 관리동작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교환파츠(T1, T2, T3)가 재치된 대차(20)가 생산장치(10)에 접근되면, 가이드부(18)에 따라서 가이드되면서 정류에리어로 반입되고, 전벽(22)이 외곽프레임(17)의 측벽(17a)에 접근하여 대향한 상태로 정지된다. 그리고, 작업원(M)에 의해 스토퍼기구(27)의 페달(27a)이 밟혀지고, 대차(20)는 정지위치에 고정된다.
이어서, 작업원(M)에 의해 연결핀(30)이 연결핀수납부(32)로부터 취출되어 대차(20)의 연결핀홀더(22b)에 삽입된다(연결스탭). 그러면, 연결핀(30)은 연결핀홀더(22b)에 보지되고, 그 로드부(30a)가 제 1 검출센서(40)에 의해 검출되어, 연결완료의 확인정보가 중앙제어부(19a)로 보내진다. 즉, 연결학인수단(제 1 검출센서(40))에 의해 연결부(연결핀(30))가 피연결부(연결핀홀더(22b))에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의 확인이 행해진다(연결확인스탭).
또한, 태그리더(70)에 의해 IC태그(71)의 기억정보가 판독되고, 이 판독정보가 중앙제어부(19a)로 보내진다. 그러면, 중앙제어부(19a)에 의해 회전테이블(12), 워크보지유닛(13), 처리유닛(14), 처리테이블(15) 등의 구동에 관한 제어정보가 기록된다. 즉, 판독수단(태그리더(70))에 의해 정보기억부(IC태그(71))의 정보가 판독되고, 제어를 위한 설정정보를 변경하도록 이미 기록된 제어정보가 변경된다(정보판독스탭, 설정변경스탭).
더욱이, 반사형의 광센서(50)가 검출광을 발하고, 대차(20)의 재치부(21a, 21b, 21c) 상에 교환파츠(T1, T2, T3)가 있는 지 여부의 확인이 행해진다. 즉, 파츠확인수단(반사형 광센서(50), 반사체(51))에 의해 대차(20)가 외곽프레임(17)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차(20)에 재치되는 교환파츠(T1, T2, T3)의 유무(여기서는 교환파츠가 있는 것)가 확인된다(파츠확인스탭).
이어서, 작업원(M)에 의해 덮개체(29)가 벗겨지고, 교환파츠(T1, T2, T3)가 취출되고, 생산장치(10)의 소정 개소에 조립된다(파츠조립스탭).
그리고, 모든 교환파츠(T1, T2, T3)가 취출되어 조립되면, 광센서(50)는 모든 교환파츠(T1, T2, T3)가 대차(20)에 남아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이 확인정보가 중앙제어부(19a)로 보내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파츠확인수단(반사형의 광센서(50), 반사체(51))에 의해 대차(20)가 외곽프레임(17)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차(20)에 재치되는 교환파츠(T1, T2, T3)의 유무(여기서는 교환파츠가 없는 것)가 확인된다(파츠확인스탭).
이어서, 작업원(M)에 의해 덮개체(29)가 대차(20)에 장착된 후, 봉지핀(61)이 봉지핀수납부(22c)로부터 취출되어 덮개체(29)의 봉지핀홀더(29a) 및 전벽(22)의 핀삽통부(22d)에 삽입되어 보지된다(커버장착스탭).
그러면, 봉지핀(61)의 로드부(61a)가 제 2 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되고, 덮개체(29)가 장착된 장착완료의 확인정보가 중앙제어부(19a)로 보내진다. 즉, 커버확인수단(제 2 검출센서(60) 등)에 의해, 재치부(21a, 21b, 21c)로부터 교환파츠(T1, T2, T3)가 취출된 후에, 커버(덮개체(29))가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의 확인이 행해진다(커버확인스탭).
그리고, 판정회로(19e)에 의해 상기 연결확인스탭, 파츠확인스탭, 및 커버확인스탭에서 확인된 모든 정보에 기초하여, 생산장치(10)를 가동하기 위한 소정의 가동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모니터(19b)에 가동개시(OK)의 신호가 표시된다.
그러면, 작업원(M)에 의해 가동개시의 스위치가 눌려지면, 생산장치(10)가 가동을 개시하여(회전테이블(12), 워크보지유닛(13), 처리유닛(14), 처리테이블(15)이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작동하여) 워크(W)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처리가 시행된다.
한편, 상기 연결확인스탭, 파츠확인스탭, 커버확인스탭에서 가동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태가 확인된 경우는 그 정보가 경보부(19d) 등에 의해 경보되어, 작업원(M)에 대하여 수정작업 등이 촉구된다.
이와 같이, 연결스탭, 연결확인스탭, 파츠확인스탭 등이 순차로 행해지는 것으로 대차(20)의 연결상태 및 대차(20)에 재치되는 교환파츠(T1, T2, T3)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작업원(M)이 잘못하여 대차(20)를 다른 에리어로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원(M)이 교환파츠(T1, T2, T3)의 조립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생산장치(10)의 가동중에는, 연결확인스탭 및 파츠확인스탭에 따른 확인결과가 소정의 가동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가 연속적으로 감시된다(감시스탭). 따라서, 생산장치(10)의 가동중에 작업원(M)이 잘못하여 대차(20)를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작업원(M)이 잘못하여 다른 교환파츠(T1, T2, T3)를 대차(20)에 수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시스탭에서 가동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면, 생산장치(10)의 가동을 정지하도록 지령신호 등이 발해져서, 생산장치(10)의 가동이 자동적으로 정지한다(정지스탭).
즉, 생산장치(10)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점검 및 수정작업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가동의 정지 후에 가동조건이 만족되면, 작업원(M)에 의해 재개스위치가 눌려지는 것으로 생산장치(10)의 가동이 재개된다(재개스탭). 이것에 의해, 가동조건이 만족된 후에는 생산장치(10)의 가동을 원활하게 재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이루는 생산시스템(및 생산관리방법)에 따르면, 생산대상이 되는 워크(W)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지그나 공구 등의 교환파츠(T1, T2, T3)를 대차(20)에 의해 반입하여 생산장치(10)에 조립하는 구성에 있어서,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생산장치(10)에 필요한 교환파츠(T1, T2, T3)를 틀리는 일 없이 관리할 수 있고, 가령 틀리게 조립한 경우에는 생산장치(10)의 가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그 오조립 등의 수정을 촉구하여 생산장치(10)의 가동을 원활하게 재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차(20)를 생산장치(1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및 피연결부로서 생산장치(10) 측에 설치된 연결핀(30) 및 대차(20) 측에 설치한 연결핀홀더(22b)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숫형과 암형의 감합구조를 가지는 연결부 및 피연결부를 채용해도 되고, 그 외의 연결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대차로서 인력(人力)을 이용하는 대차(20)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력원을 탑재한 자주식(自走式)의 대차, 혹은 궤도상을 주행하는 자동주행식의 대차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차(20)에 부착한 정보기억부로서 IC태그(71)를 채용하고, 정보기억부의 판독수단으로서 태그리더(70)를 채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보기억부로서 기억정보를 이차원으로 전개한 바코드, 판독수단으로서 바코드리더를 채용해도 되고, 혹은 그 외의 정보기억부 및 판독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결핀(30) 및 봉지핀(61)의 삽입을 작업원(M)의 수작업에 의해 행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적으로 삽입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생산장치로서 회전테이블(12), 워크보지유닛(13), 처리유닛(14), 처리테이블(15), 반송라인(16) 등을 구비한 생산장치(10)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산대상에 따라서 지그, 공구 등의 교환이 필요하고, 대차를 이용하여 교환파츠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는 것이라면 그 외의 생산장치를 적용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은 구조의 간소화, 저코스트화 등을 달성하면서, 생산장치에 필요한 교환파츠를 틀리는 일 없이 관리할 수 있고, 가령 틀리게 조립한 경우에는 생산장치의 가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그 오조립 등의 수정을 촉구하여 생산장치의 가동을 원활하게 재개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부품, 전자부품의 생산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그 외의 생산대상을 생산하는 분야에서도 유용하다.
10 생산장치
11 베이스
12 회전테이블
12a 회전축
13 워크보지유닛
14 처리유닛
15 처리테이블
16 반출라인
17 외곽프레임
17a 외곽프레임의 측벽
18 가이드부
19 제어반
20 대차
T1, T2, T3 교환파츠
21 재치판
21a, 21b, 21c 재치부
22 전벽
22a 개구부
22b 연결핀홀더(피연결부)
22b' 관통공
22c 봉지핀수납부
22c' 관통공
22d 핀삽통공(커버확인수단)
22d' 관통공
23 후벽
23a 개구부
24 측벽
24a 고정클립
25 덮개체(커버)
26 차륜
27 스토퍼
28 프레임
29 덮개체(커버)
29a 봉지핀홀더(커버확인수단)
29a' 관통공
30 연결핀(연결부)
30a 로드부
30b 악부
30c 파지부
31 접속스트링
32 연결핀수납부
40 제 1 검출센서(연결확인수단)
50 반사형의 광센더(파츠확인수단)
51 반사판(파츠확인수단)
60 제 2 검출센서(커버확인수단)
61 봉지핀(커버확인수단)
61a 로드부
61b 악부
61c 파지부
62 접속스트링
70 태그리더(판독수단)
71 IC태그(정보기억부)

Claims (14)

  1. 워크의 종류마다 교환되는 교환파츠를 대차에 재치하여 생산장치로 반입하고, 상기 교환파츠를 상기 생산장치에 조립하여 워크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함과 함께, 워크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는 그 종류에 대응하는 교환파츠를 반입하도록 대차마다 교체하는 생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산장치는 외곽프레임, 상기 외곽프레임에 상기 대차의 전벽을 접근시켜서 상기 대차를 정류시키도록 상기 대차를 상기 외곽프레임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교환파츠마다 적합하게 재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재치부,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피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피연결부에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상기 외각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에 재치되는 교환파츠의 유무를 확인하는 파츠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재치부를 덮도록 착탈이 자유로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재치부로부터 교환파츠가 취출된 후에 상기 커버가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커버확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재치부에 재치된 교환파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 정보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장치는 상기 정보기억부의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피연결부에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확인수단,
    상기 대차가 상기 외곽프레임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에 재치되는 교환파츠의 유무를 확인하는 파츠확인수단,
    상기 재치부를 덮도록 착탈이 자유로운 커버가 교환파츠의 취출 후에 상기 대차에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커버확인수단,
    상기 연결확인수단, 상기 파츠확인수단, 및 상기 커버확인수단에 따른 확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산장치의 가동을 허가할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곽프레임에 접속된 연결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연결부는 상기 대차의 전벽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핀을 삽입하여 보지할 수 있는 연결핀홀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확인수단은 상기 연결핀홀더에 삽입되어 보지된 상기 연결핀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프레임에 설치된 제 1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츠확인수단은 검출광이 상기 재치부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상기 외곽프레임에 설치된 반사형의 광센서, 상기 광센서의 투광부로부터 발해진 검출광을 상기 광센서의 수광부로 향하여 반사할 수 있도록 상기 대차의 후벽에 설치된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확인수단은 상기 대차의 전벽에 접속된 봉지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봉지핀을 삽입하여 보지할 수 있는 봉지핀홀더, 상기 대차의 전벽에 설치된 상기 봉지핀을 삽통시킬 수 있는 핀삽통부, 상기 봉지핀홀더에 보지되고 또한 상기 핀삽통부에 삽입된 상기 봉지핀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프레임에 설치된 제 2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시스템.
  10. 워크의 종류마다에 교환되는 교환파츠를 대차에 재치하여 생산장치로 반입하고, 상기 교환파츠를 상기 생산장치에 조립하여 워크에 소정의 처리를 시행하는 생산시스템에 있어서의 생산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산장치에 상기 대차를 연결하는 연결스탭,
    상기 연결스탭에 의해 접속된 상기 대차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연결확인스탭,
    상기 연결스탭에 의해 연결된 상기 대차에 재치되는 교환파츠의 유무를 확인하는 파츠확인스탭,
    상기 대차로부터 교환파츠가 취출된 후에 상기 대차에 커버를 장착하는 커버장착스탭,
    상기 대차에 상기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커버확인스탭,
    상기 연결스탭의 후에 상기 대차에 재치된 교환파츠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판독스탭,
    상기 정보판독스탭에 의해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정보의 설정변경을 행하는 설정변경스탭을 포함하는 생산관리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생산장치의 가동중에 상기 연결확인스탭 및 파츠확인스탭에 따른 확인결과가 소정의 가동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연속적으로 감시하는 감시스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감시스탭에서 상기 가동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했을 때, 상기 생산장치의 가동을 정지하는 정지스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지스탭의 후에 상기 가동조건이 만족된 때, 상기 생산장치의 가동을 재개하는 재개스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는 일 종류의 워크에 대응하는 교환파츠만이 재치되고,
    워크의 종류를 변경하는 경우는 그 종류에 대응하는 교환파츠를 반입하도록 상기 대차마다 관리하여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방법.
KR1020107020538A 2008-03-27 2008-03-27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KR101203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5852 WO2009118856A1 (ja) 2008-03-27 2008-03-27 生産システム及び生産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170A true KR20100113170A (ko) 2010-10-20
KR101203510B1 KR101203510B1 (ko) 2012-11-22

Family

ID=4111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538A KR101203510B1 (ko) 2008-03-27 2008-03-27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00096B2 (ko)
KR (1) KR101203510B1 (ko)
WO (1) WO20091188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3332A1 (de) * 2011-05-27 2012-11-29 Newfrey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Fügeelementen
FR2993228B3 (fr) * 2012-07-16 2015-01-16 Coutier Ind Base roulante et pivotante horizontalement
ES2618888T3 (es) * 2013-05-10 2017-06-22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transmitir datos de proceso en la producción de alimentos
US10538419B2 (en) * 2017-09-22 2020-01-21 Ford Motor Company Transport assembly having a cart for transferring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3414B2 (ja) * 1996-01-26 2006-1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の実装方法
JP4215426B2 (ja) * 2001-12-07 2009-01-28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搬送移載装置
JP2004178142A (ja) * 2002-11-26 2004-06-24 Toyota Industries Corp 搬送システムの荷物データ管理方法及び搬送システムの管理装置
JP4542836B2 (ja) * 2004-06-29 2010-09-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搬送台車
JP2006317999A (ja) * 2005-05-10 2006-11-24 Tomio Makino 製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8856A1 (ja) 2009-10-01
JPWO2009118856A1 (ja) 2011-07-21
JP5200096B2 (ja) 2013-05-15
KR101203510B1 (ko)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3117B2 (ja) 組立装置とそのためのトレイシステム
KR101203510B1 (ko) 생산시스템 및 생산관리방법
US2020028326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elevator components received in an elevator shaft
CN103492114B (zh) 焊接工作间系统、电缆以及用于识别焊接电缆的方法
CN103213135B (zh) 生产系统以及物品制造方法
JP2015016854A (ja) 車両組立用締結保証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89695A (ko) 가변형 지그를 구비한 반송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7247459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
TWI719886B (zh) 智能刀具車及其換刀方法
JP2015524326A (ja) 複数の手術器具を同時に識別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CN111451820A (zh) 控制机构及换刀控制方法
CN113523867B (zh) 智能刀具车及其换刀方法
CN109147180A (zh) 一种全自动物品发放回收装置
US20220161379A1 (en) Loading device, loading system, transport system, installation and method for loading the installation
US20210291308A1 (en) Control mechanism, tool replacement equipment and tool replacement method
CN114714124A (zh) 具有双智能刀架的智能换刀系统及其换刀方法
CN113211067A (zh) 装配组件、车灯模组、车灯模组的装配工作站及其工作方法
JP4483818B2 (ja) ワーク移し替え方法、ワーク移し替え装置及びワーク移し替えシステム
CN113859800A (zh) 3d视觉定位技术在集装箱锁具自动拆装系统中的集成与应用系统
CN111451819A (zh) 搬运机构及刀具搬运方法
JPH11188545A (ja) 移動ロボ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JP4119406B2 (ja) 設計支援装置
CN111115236A (zh) 一种新型的料盘识别机
JPH07132446A (ja) 自動ワーク交換装置
CN111451821B (zh) 数控机构及换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