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491A -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 Google Patents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491A
KR20100112491A KR1020090031022A KR20090031022A KR20100112491A KR 20100112491 A KR20100112491 A KR 20100112491A KR 1020090031022 A KR1020090031022 A KR 1020090031022A KR 20090031022 A KR20090031022 A KR 20090031022A KR 20100112491 A KR20100112491 A KR 2010011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 copolymer
compound
amino
poly
poly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5577B1 (ko
Inventor
이두성
김민상
김봉섭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577B1/ko
Priority to PCT/KR2010/002223 priority patent/WO2010117248A2/ko
Priority to US13/263,452 priority patent/US9080049B2/en
Publication of KR2010011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593Polyesters, e.g. PLGA or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5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molecule carrying the fluorescent agent
    • A61K49/0054Macromolecular compounds, i.e. oligomers, polymers, dendri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40Polyesters derived from ester-forming derivatives of polycarboxylic acids or of polyhydroxy compounds, other than from esters thereof
    • C08G63/44Polyamides; Poly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3/91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9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 A61K47/691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the form being a lipos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61K9/1273Polymersomes; Liposomes with polymerisable or polymerised bilayer-forming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 components which can react with one an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Rheu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iabet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i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다양한 분자영상용 표지자 및 조영제 그리고 질환에 따른 다양한 치료제 전달을 위한 전달체로서 사용 가능할 수 있는 pH 민감성 그라프트 고분자마이셀의 제조 및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마이셀형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H에 따라 물에 대한 용해도 특성을 갖지만 자기 조립(self assembly) 현상에 의하여 마이셀을 형성하지 못하는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과 친수성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과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유도함으로써, 체내 pH 변화에 따라 표적 지향적인 진단 및 치료제 방출이 가능한 마이셀을 형성하는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을 제공한다.
그라프트 공중합체, 고분자 마이셀,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

Description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pH-SENSITIVE GRAFT COPOLYMER, METHOD OF PRODUCTING AND POLYMER MICELL THEREOF}
본 발명은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다양한 분자영상용 표지자 및 조영제 그리고 질환에 따른 다양한 치료제 전달을 위한 전달체로서 사용 가능할 수 있는 pH 민감성 그라프트 고분자마이셀의 제조 및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마이셀형 약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H에 따라 물에 대한 용해도 특성을 갖지만 자기 조립(self assembly) 현상에 의하여 마이셀을 형성하지 못하는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과 친수성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과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유도함으로써, 체내 pH 변화에 따라 표적 지향적인 진단 및 치료제 방출이 가능한 마이셀을 형성하는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셀(micelle)은 일반적으로 양친성(兩親性), 예컨대 친수성기와 소수성기 를 동시에 갖는 저분자량의 물질들이 이루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고 균일한 구형의 구조를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셀 구조를 갖는 화합물에 비수용성 약물을 녹여 투입하는 경우 약물은 마이셀 내부에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마이셀은 체내에서 온도나 pH 변화에 반응하여 표적 지향적 약물방출을 할 수 있으므로, 약물전달용 캐리어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1-0035265호에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마이셀의 제조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들 물질은 모두 생분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생체친화성을 갖고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체내 변화, 예컨대 pH와 같은 특정 변화에 민감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원하는 부위에서의 약물 전달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체내의 pH 환경은 일반적으로 pH 7.4 내지 7.2를 나타내나, 암세포와 같은 비정상 세포의 주변 환경은 pH 3.0 내지 7.0으로 약산성에서 강산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암세포에 특정적으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서 pH 7.0 이하에서 약물을 방출하도록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955509호 "pH dependent polymer micelles"은 poly(vinyl N-heterocycle)과 poly(alkylene oxide)의 블록공중합체가 pH가 6.0이상에서 마이셀을 형성하고, pH가 2-6 사이에서는 붕괴되는 pH 민감성 고분자마이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일본공개특허 제2002-179556호 "블록 공중합체-항암제 복합체 의약 제제"는 친수성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화합물과 소수성 성분인 폴리아미노산계화합물의 블록 공중합체가 특정 pH에서 마이셀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 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 및 폴리(β-아미노 에스터)를 공중합시켜 형성된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마이셀(micelle)형 진단 및 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A); 및 (ⅱ)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B)을 공중합시켜 형성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내 폴리(β-아미노 에스터)는 pH 7.0 이하에서 이온화되는 3차 아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pH가 7.2 내지 7.4 범위인 경우 마이셀(micell)을 형성하며, pH가 6.5 내지 7.0 범위인 경우 마이셀이 붕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하기 반응식으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이때 n, m, x 및 y는 1 내지 100 범위의 자연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범위가 10,000 내지 20,000 범위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 폴리에틸렌글리콜(A) 계열 및 폴리(β-아미노 에스터)의 함량비가 각각 1~30 중량% 및 99~70 중량%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이 말단기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의 분자량이 500 내지 5000 범위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이 (a) 비스아크릴레이 트 화합물; 및 (b) 아민 계열 화합물을 중합시켜 형성된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스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에틸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1,4-부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3-부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에톡실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프로폭실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2,2-다이메틸프로필3-하이드록시-2,2-다이메틸프로피오네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1,7-헵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8-옥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9-노나 다이올 아크릴레이트 및 1,10-테칸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민 계열 화합물이 4-아미노 1-부탄올, 5-아미노 1-펜탄올, 6-아미노 1-헥산올, 7-아미노 1-헵탄올, 8-아미노 1-옥탄올, 10-아미노 1-데칸올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스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아민 계열 화합물의 몰비가 1:1.1~1.5 범위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 및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의 몰비가 1:1 내지 1:10 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b)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질환의 진단을 위한 분자영상 표지자 및 조영제 그리고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마이셀형 약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마이셀의 직경이 10 내지 200 nm 범위인 약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이때 n, m, x 및 y는 1 내지 100 범위의 자연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pH에 따라 물에 대한 용해도 특성을 갖지만 자기 조립 현상에 의하여 마이셀을 형성하지 못하는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에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pH 민감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측쇄에 하이드로실기를 갖고 있어 질환의 진단을 위한 분자영상 표지자 및 조영제 그리고 치료를 위한 치료제 약물과의 화학적 결합을 유도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체내 pH 변화에 표적 지향적인 약물 전달체 및 진단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i)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A); 및 (ⅱ)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B)을 공중합시켜 형성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진단제와 치료제를 포함하는 고분자 마이셀형 약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pH에 민감한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과 친수성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체내 pH 변화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특정 pH 영역에서 마이셀(micelle) 구조를 형성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β-아미노 에스터)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 pH 의존성은 나타내지만 자기 조립(self assembly) 현상에 의해 마이셀을 형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폴리(β-아미노 에스터)에 친수성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을 종래기술인 블록공중합체의 형성대신에 질환의 진단을 위한 분자영상용 표지자와 조영제 그리고 다양한 치료제들을 이 고분자 마이셀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킬 목적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형성시켰으며, 이를 통해 제조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특정 pH에서 표적 방출이 가능한 마이셀 구조를 형성하여 질환의 진단 및 치료제로서 표적지향적 약물방출용 캐리어로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pH 민감성 마이셀은 특정 pH, 예컨대 체내 정상 세포의 pH 범위인 pH 7.2 ~ 7.4에서는 안정한 마이셀을 형성하고, 암 세포와 같은 비정상 세포가 나타내는 pH 범위 7.0 이하인 경우 상기 마이셀 구조가 붕괴됨으로써, 마이셀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진단제의 방출로 인해 암 세포를 표적적으로 진단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위한 치료제의 표적지향적인 약물 방출용 캐리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낮 은 pH(pH 7.0이하)에서 폴리(β-아미노 에스터)(PBAP)에 존재하는 3차 아민의 이온화도 증가로 인해 PAE 전체가 수용성으로 변하게 되어 마이셀을 형성할 수 없게 되며, pH 7.4에서는 PAE의 이온화도가 저하되어 소수성 특징을 나타냄으로써 자기 조립에 의한 마이셀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pH 민감성 마이셀을 형성할 수 있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유전자 전달, 약물 전달 분야 뿐만 아니라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물질을 비정상 세포에 전달함으로써,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용도에 응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정상 체내 조건과 동일한 pH 7.2 ~ 7.4 범위에서는 마이셀을 형성하고 암 세포와 같은 비정상 조건인 pH 7.0 이하에서는 마이셀이 붕괴되는 암 세포 표적 지향적인 마이셀을 디자인하여 적용하였으나,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구성 성분, 이들의 몰비, 분자량 및/또는 블록 내 관능기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암세포 뿐만 아니라 유전자 변이 또는 다른 응용 분야에 표적 지향적인 마이셀을 디자인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pH 민감성 마이셀을 형성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구성 성분 중 하나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친수성을 갖는 생분해성 화합물,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 말단에 pH 민감성 고분자인 PBAP와 반응할 수 있도록 카르복실기 등의 단일 관능기(monofunctional)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를 들면 분자 말단 부분이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있다.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3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이때 n은 1 내지 100 범위의 자연수이다.
상기 알킬기는 선형 또는 가지형 저급 포화지방족 탄화수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부틸, 이소부틸, t-부틸 및 n-펜틸기 등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의 분자량(Mn)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500내지 5000범위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Mn)이 500 미만인 경우와 5000을 초과하는 경우 최종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마이셀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라 pH 민감성 마이셀을 형성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구성 성분 중 다른 하나는 소수성과 pH 민감성을 동시에 갖는 폴리(β-아미노 에스터) (PBAP) 화합물이다.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은 자체 내 존재하는 3차 아민기로 인해 pH에 따라 물에 대한 용해도가 달라지는 이온화 특성을 가짐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체내 pH 변화에 따라 마이셀 구조를 형성 및/또는 붕괴할 수 있다. 상기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 며, 이의 일 실시예를 들면, 비스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아민 계열 화합물을 중합시켜 합성될 수 있다.
비스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표기될 수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1,4-부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3-부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에톡실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프로폭실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2,2-다이메틸프로필3-하이드록시-2,2-다이메틸프로피오네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1,7-헵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8-옥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9-노나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10-테칸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4
상기 식에서,
R3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30의 알킬기이다.
또한, 아민 계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기될 수 있다.
H2N-(CH2)n-OH
상기 식에서, n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다.
상기 아미노알코올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4-아미노 1-부탄올, 5-아미노 1-펜탄올, 6-아미노 1-헥산올, 7-아미노 1-헵탄올, 8-아미노 1-옥탄올, 10-아미노 1-데칸올 등이 있다.
폴리(β-아미노 에스터) 제조시, 상기 비스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아민 계열 화합물의 몰 비는 1: 1.1 1.5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 계열 화합물의 몰비가 1.1 미만 또는 1.5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거나 가교화되어 마이셀을 형성하기가 어렵게 된다.
전술한 폴리(β-아미노 에스터)의 중합과 친수성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과 소수성 폴리(β-아미노 에스터)와의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본 발명의 폴리(β-아미노 에스터)(PBAP)와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PEB)는 하기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로 표기될 수 있다.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5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6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이때 n과 m, x와 y는 1 내지 100 범위의 자연수이다.
상기 [화학식 5]로 표기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전술한 양친성과 pH 민감성으로 인해 pH 변화에 따라 마이셀(micelle)을 형성하거나 붕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H가 7.2 내지 7.4 범위인 경우 마이셀을 형성하며, pH가 6.5 내지 7.0 범위인 경우 마이셀이 붕괴된다. 특히, 본 발명의 블록 공중합체는 pH 0.2 범위 이내의 우수한 민감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 범위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10,000 내지 20,000 범위가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10,000 미만인 경우 특정 pH에서 그라프트 공중합체 마이셀이 형성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형성되더라도 물에 용해되어 붕괴되기 쉽다. 또한, 분자량이 20,000을 초과하는 경우 친수성/소수성의 밸런스가 깨져 특정 pH에서 마이셀이 형성하지 못하고 침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A)의 함량은 1 내지 30중량%가 적절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블록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마이셀을 형성하지 못하고 침전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가교화로 인하여 마이셀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과 폴리(β-아미노 에스터)의 반응 몰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그라프트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이의 일 실시예를 들면 하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의 경로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7
상기 [반응식 1]로 도식되는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 말단기를 갖는 비스아크릴레이트와 3-아미노 1-프로판올을 이용하여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미첼반응(Michael reaction)이라는 부가반응에 의해 폴리(β-아미노 에스터)(PBAP)를 형성하게 되며, 형성된 폴리(β-아미노 에스터)는 pH 민감성기인 3차 아민과 측쇄로 하이드록실기를 갖게 된다. 여기에 [반응식 2]로 도식되는 바와 같이 말단이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과 그라프트 공중 합하여 상기 [화학식 5]로 표기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8
상기 [반응식 2]로 도식되는 제조 방법의 일실시예를 들면, 상기 [반응식 1]에서 형성된 pH 민감성기인 3차 아민과 측쇄로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폴리(β-아미노 에스터)(PBAP)에 말단이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과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상기 [화학식 6]으로 표기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제조되며, 이때 그라프트 공중합제의 제조에 있어서 유기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다이메틸 포름아마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합성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측정을 위해서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고, pH 변화에 따른 마이셀의 농도 변화 및 마이셀 크기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형광 분광기(Fluorescence spectrometer, FL)와 DLS(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이용하였으며, 실제로 전술한 분석들을 통해 pH 민감성 마이셀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a) pH 변화에 따라 마이셀을 형성하는 전술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b)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화학적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질환의 진단을 위한 분자영상 표지자 및 조영제 그리고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마이셀형 약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분자 마이셀형 약물 조성물은 체내에 주입되었을 때 마이셀을 형성하고 있다가 암세포와 같이 국소적으로 pH가 낮은 곳에 도달하게 되면 마이셀이 붕괴됨으로써, 화학적으로 결합된 질환의 진단을 위한 분자영상 표지자 및 조영제 그리고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약물의 방출을 통해 표적지향적 약물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마이셀 형태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진단 및 치료제 물질은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진단제로서 파이렌, RITC, FITC, ICG(인도시아닌그린), 산화철, 산화망간 등을 포함하며, 치료제 약물로서 항암제, 항균제, 스테로이드류, 소염진통제, 성호르몬, 면역 억제제, 항바이러스제, 마취제, 항구토제 또는 항히스타민제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성분 이외에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부형제, 안정화제, pH 조정제, 항산화제, 보존제, 결합제 또는 붕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마이셀의 제조방법은 교반, 가열, 초음파 주사, 유화법을 이용한 용매증발법, 매트릭스 형성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투석법 등의 방법 을 단독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조된 고분자 마이셀의 직경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10 내지 200nm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 마이셀 약물 조성물은 경구제 또는 비경구제의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제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0. pH 민감성 블록 공중합체 합성]
실시예 1. 폴리(β-아미노 에스터) 중합체(PAPB) 제조
3-아미노 1-프로판올 1몰과 1,4-부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몰을 2구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10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평균분자량(Mn)이 6,000인 폴리(β-아미노 에스터)(PAPB)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PAE)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β-아미노 에스터)(PAPB) 1몰에 말단이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이써(MPEG2000, Mn = 2000) 1몰과 다이싸이클로헥실카르보이미드(dicyclohexyl carboimide, DCC)와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 amino) pyridine, DMAP]를 넣고 디클로로메탄을 용매로 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반응을 시킨후, 부산물로 형성된 싸이클로우레아를 분리시킨 후에 에틸에테르에 침전시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PAB)(Mn = 12,600)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3-아미노 1-프로판올 1몰 대신 1.5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5,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3-아미노 1-프로판올 1몰 대신 4-아미노 1-부탄올 1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4,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3-아미노 1-프로판올 1몰 대신 5-아미노 1-펜탄올 1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4,5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3-아미노 1-프로판올 1몰 대신 6-아미노 1-헥산올 1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4,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2의 폴리(β-아미노 에스터)(PAPB) 1몰 대신 3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3,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2의 폴리(β-아미노 에스터)(PAPB) 1몰 대신 5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3,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2의 폴리(β-아미노 에스터)(PAPB) 1몰 대신 10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3,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2의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이써(MPEG2000, Mn = 2000) 1몰 대신에 3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5,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2의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이써(MPEG2000, Mn = 2000) 1몰 대신에 5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5,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2의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이써(MPEG2000, Mn = 2000) 1몰 대신에 10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수평균분자량이 15,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라프트 중합체를 얻었다.
실험예 1.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된 폴리(β-아미노 에스터) 단독 및 이를 이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분자량 조절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 Waters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말달이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β-아미노 에스터) 그리고 이를 이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순으로 GPC 다이어그램이 나왔고, 체류시간(retention time)으로부터 분자량을 계산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pH 변화에 따른 마이셀의 변화 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마이셀의 pH 변화에 따른 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폴리(β-아미노 에스터) 단독 및 이를 이 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pH 민감도를 형광 분광기(Fluorescence spectrometer)를 통해 직접적으로 마이셀(micelle)의 거동 변화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소수성 발광물질인 파이렌(pyrene)을 이용하였다.
10-6 M의 파이렌을 함유하는 pH 6.0인 버퍼용액을 만들었으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시료를 1㎎/㎖의 농도로 녹인 후 pH 8.0으로 용액의 pH를 높였다. 이후 5M의 염산 수용액을 적가하여 pH를 5.5 내지 8.0의 범위로 변화시켰으며, 이에 따라 형광 분광기를 통해 마이셀의 농도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방출되는 에너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β-아미노 에스터) 단독 및 이를 이용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경우도 pKb 값이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pH 민감도 측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pH 민감도를 광산란(DLS)와 형광분석(FL)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pH변화에 의한 마이셀-디마이셀 전이의 pH 영역이 DLS로 측정한 것이 FL로 측정한 것보다 다소 일찍 a마이셀-디마이셀 전이를 감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폴리(β-아미노 에스터)의 NMR 그래프로 PAE의 전구체인 3-아미노 1-프로판올과 1,4-부탄다이올다이아크릴레이트의 미첼반응에 의한 PAE의 합성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b는 합성된 PAE와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반응에 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NMR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반응에 따른 분자량 증가를 보여주는 GPC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한 적정법에 의거하여 구한 pKb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pH 변화에 따른 마이셀-디마이셀 전이 및 pH 민감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16)

  1. (i)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A); 및
    (ⅱ)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B)
    을 공중합시켜 형성된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내 폴리(β-아미노 에스터)는 pH 7.0 이하에서 이온화되는 3차 아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pH가 7.2 내지 7.4 범위인 경우 마이셀(micell)을 형성하며, pH가 6.5 내지 7.0 범위인 경우 마이셀이 붕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하기 반응식으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블록 공중합체:
    Figure 112009021575924-PAT00009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이때 n, m, x 및 y는 1 내지 100 범위의 자연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범위는 10,000 내지 20,000 범위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 폴리에틸렌글리콜(A) 계열 및 폴리(β-아미노 에스터) 의 함량비는 각각 1~30 중량% 및 99~70 중량%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은 말단기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의 분자량은 500 내지 5000 범위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은
    (a) 비스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b) 아민 계열 화합물
    을 중합시켜 형성된 것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에틸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 1,4-부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3-부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에톡실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1,6-헥산 다이올 프로폭실레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2,2-다이메틸프로필3-하이드록시-2,2-다이메틸프로피오네이트 다이아크릴레이트, 1,7-헵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 이트, 1,8-옥탄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 1,9-노나 다이올 아크릴레이트 및 1,10-테칸 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 계열 화합물은 4-아미노 1-부탄올, 5-아미노 1-펜탄올, 6-아미노 1-헥산올, 7-아미노 1-헵탄올, 8-아미노 1-옥탄올, 10-아미노 1-데칸올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아민 계열 화합물의 몰비는 1:1.1~1.5 범위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계열 화합물 및 폴리(β-아미노 에스터) 화합물의 몰비는 1:1 내지 1:10 인 그라프트 공중합체
  14. (a)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b)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질환의 진단을 위한 분자영상 표지자 및 조영제 그리고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마이셀형 약물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셀의 직경은 10 내지 200 nm 범위인 약물 조성물.
  16. 하기 반응식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H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Figure 112009021575924-PAT00010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이때 n, m, x 및 y는 1 내지 100 범위의 자연수이다.
KR1020090031022A 2009-04-09 2009-04-09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KR10115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22A KR101155577B1 (ko) 2009-04-09 2009-04-09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PCT/KR2010/002223 WO2010117248A2 (ko) 2009-04-09 2010-04-09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US13/263,452 US9080049B2 (en) 2009-04-09 2010-04-09 PH-sensitive graft copolymer,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polymer micelles u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22A KR101155577B1 (ko) 2009-04-09 2009-04-09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91A true KR20100112491A (ko) 2010-10-19
KR101155577B1 KR101155577B1 (ko) 2012-06-19

Family

ID=4293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022A KR101155577B1 (ko) 2009-04-09 2009-04-09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80049B2 (ko)
KR (1) KR101155577B1 (ko)
WO (1) WO201011724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22B1 (ko) * 2012-06-29 2014-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및 피에이치 민감성 다중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2723B1 (ko) * 2012-09-10 2014-1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펩타이드 기반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마이셀
US10064822B2 (en) 2012-09-10 2018-09-04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Polypeptide based block copolymer and t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polymer micelles using the same
KR102072959B1 (ko) * 2018-08-27 2020-02-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H 민감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세포 배양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418068D0 (en) 2014-10-13 2014-11-26 Cambridge Entpr Ltd Polymer
CN107496934B (zh) * 2017-07-12 2020-08-28 中山大学 一种细胞核靶向的抗肿瘤纳米药物载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787302B (zh) * 2019-11-04 2022-04-01 中国中医科学院中药研究所 一种pH敏感青蒿琥酯聚合物前药及其制备方法、治疗结肠癌的药物组合物
CN111690032B (zh) * 2020-05-28 2022-01-18 华南理工大学 一种aie分子标记的生物表面活性剂及其载药胶束制备方法与应用
CN114539343B (zh) * 2022-03-10 2024-03-19 江苏东南纳米材料有限公司 一种甘氨胆酸的制备方法
CN114652892B (zh) * 2022-05-20 2022-09-16 上海明悦医疗科技有限公司 医用膜材及其制备方法、宫腔防粘连器材、医用装置
WO2024035710A2 (en) * 2022-08-08 2024-02-15 Advanced Rna Vaccine (Arv) Technologies, Inc. Sterol based ionizable lipids and lipid nanoparticles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013B1 (ko) * 2005-03-18 2007-06-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H 민감성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KR100802080B1 (ko) * 2007-03-28 2008-02-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H 민감성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KR20080095130A (ko) * 2007-04-23 2008-10-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H 민감성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제조 및응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22B1 (ko) * 2012-06-29 2014-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및 피에이치 민감성 다중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2723B1 (ko) * 2012-09-10 2014-1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펩타이드 기반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마이셀
US9180199B2 (en) 2012-09-10 2015-11-10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Polypeptide based block copolymer and t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polymer micelles using the same
US10064822B2 (en) 2012-09-10 2018-09-04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Polypeptide based block copolymer and t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polymer micelles using the same
KR102072959B1 (ko) * 2018-08-27 2020-02-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H 민감성 이중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세포 배양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27690A1 (en) 2012-02-02
WO2010117248A3 (ko) 2011-03-31
WO2010117248A2 (ko) 2010-10-14
US9080049B2 (en) 2015-07-14
KR101155577B1 (ko)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577B1 (ko) 피에이치 민감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KR100732013B1 (ko) pH 민감성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US8586087B2 (en) Temperature and pH-sensitive block copolymer having excellent gel strength
US7229973B2 (en) pH-sensitive polymeric micelles for drug delivery
US8911775B2 (en) pH-sensitive block copolymer forming polyionic complex micelles and drug or protein carrier using the same
Guégain et al. Degradable polymer prodrugs with adjustable activity from drug-initiated radical ring-opening copolymerization
KR100802080B1 (ko) pH 민감성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마이셀
Yang et al. Combinatorial targeting polymeric micelles for anti-tumor drug delivery
KR100941774B1 (ko) 인체안전성이 우수한 온도 및 피에치 민감성 블록공중합체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Lu et al. Biocompatible and bioreducible micelles fabricated from novel α-amino acid-based poly (disulfide urethane) s: design, synthesis and triggered doxorubicin release
US10441662B2 (en) Polymer,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and drug conjugate
KR101386176B1 (ko) 피에이치 민감성 폴리머좀 및 이의 제조방법
Duong et al. Micelles with surface conjugated RGD peptide and crosslinked polyurea core via RAFT polymerization
Lai et al. PEGylated block copolymers containing tertiary amine side-chains cleavable via acid-labile ortho ester linkages for pH-triggered release of DNA
KR101462723B1 (ko) 폴리펩타이드 기반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마이셀
KR101306097B1 (ko) 피에이치 민감성 폴리머좀의 제조방법
KR20110073197A (ko) 다이온성 복합체 마이셀을 형성하는 피에이치 민감성 블록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약물 또는 단백질 전달체
US20180371158A1 (en) Peptidomimetic polymers as controlled release matrices for small molecules, biologicals, synthetic or semi-synthetic macromolecules
US10064822B2 (en) Polypeptide based block copolymer and th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 polymer micelles using the same
Xu et al. PH-responsive micelles from a blend of PEG-b-PLA and PLA-b-PDPA block copolymers: Core protection against enzymatic degradation
Balaji et al. Biodegradable mPEG-b-poly (MDO-co-vinyl esters) block copolymers as a viable nanocarrier platform with tuneable disassembly
Peng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responsive poly (2-Hydroxyethyl Aspartamide)-G-Poly (β-Amino Ester) graft copolymer micelles as potential drug carriers
AYDIN Engineering of pH-sensitive, cross-linked micelles for drug delivery.
US20210386869A1 (en) Delivery of cyclic compound by using carrier
고은호 Water Soluble Polymerized Metabolic Precursors Based on PEG-PAMAM-Ac3ManNAz System for Epigenetic Targ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