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785A -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785A
KR20100111785A KR1020090030159A KR20090030159A KR20100111785A KR 20100111785 A KR20100111785 A KR 20100111785A KR 1020090030159 A KR1020090030159 A KR 1020090030159A KR 20090030159 A KR20090030159 A KR 20090030159A KR 20100111785 A KR20100111785 A KR 2010011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supply
liquid container
receiving cup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4574B1 (ko
Inventor
함상민
한상봉
이성기
Original Assignee
(주)카이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이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카이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9003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574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67C3/287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related to flow control using predetermined or real-time calculated parameters
    • B67C3/28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related to flow control using predetermined or real-time calculated parameters using master-slav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67C3/244Bottle lifting devices actuated by jacks, e.g. hydraulic, 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3/28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제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점도향상과 경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히터와 교반기를 구비함으로써, 액제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토출하도록 하는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하우징의 일측으로 형성되고 전원 스위치와 조작패널 및 구동패널로 이루어지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하부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으로는 액제가 공급되는 액제 제어 밸브를 중앙부에 형성한 복수의 액제 공급탱크와, 상기 각 액제 공급탱크의 하부 측에 형성되며, 상면으로는 액제가 담겨진 액제용기를 탑재하는 액제용기 수용컵과,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과 결합되는 수용컵 받침대와, 상기 수용컵 받침대와 결합되는 이동 브래킷을 수용하는 레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및 하강장치를 갖는 액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제 공급탱크에는 액제의 점도 향상을 위한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액제 제어 밸브의 일측에는 액제의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과 수용컵 받침대의 사이에는 회전을 위한 모터를 형성하여 액제의 경화 방지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화방지, 히터, 교반, 액제공급

Description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a liquid feeder device has a harden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액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제를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점도향상과 경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히터와 교반기를 구비함으로써, 액제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토출하도록 하는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제 공급장치는 각종 부품이나 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본드의 일종인 광경화성 밀봉 액제를 토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액제 공급장치는 예컨대, 한 쪽 기판은 TFT를 형성한 TFT기판이고, 다른 쪽 기판은 컬러 필터를 형성한 컬러 필터 기판 즉, 한쌍의 기판으로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부품 등을 접합하기 위하여 광경화성 밀봉 액제(본드)를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경화성 밀봉 액제를 공급한 후에는 한 쌍의 기판을 접합시킨 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여 보다 견고한 접합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액제 공급장치는, 액제의 점도 향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장기간 액제의 공급시 이송관 내에 액제가 조금씩 경화되어 액제의 량이 정확하게 공급되지 않아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하나의 액제 공급탱크에 의해서만 액제를 공급하므로 액제용기 내에 충진된 액제가 소진될 경우, 액제가 충진된 다른 액제용기로 교체하거나 빈 용기에 액제를 재 충진함에 따른 작업의 중단이 일어날 수 밖에 없어 작업의 연속성이 저하되고, 생산성 향상을 이루지 못함과 동시에 액제를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제공급탱크에 히터를 보강하여 액제의 점도를 향상시키고, 교반날개와 액제용기 수용컵을 회전동작시키는 모터를 형성하여 액제의 경화를 방지하는 액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제용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 셀에 의해 액제용기에 충진된 액제가 소진되면 다음 대기하고 있는 액제공급탱크의 액제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액제의 공급을 통해 작업의 연속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액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일측으로 형성되고 전원 스위치와 조작패널 및 구동패널로 이루어지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하부로 형 성되고 내부 공간으로는 액제가 공급되는 액제 제어 밸브를 중앙부에 형성한 복수의 액제 공급탱크와, 상기 각 액제 공급탱크의 하부 측에 형성되며, 상면으로는 액제가 담겨진 액제용기를 탑재하는 액제용기 수용컵과,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과 결합되는 수용컵 받침대와, 상기 수용컵 받침대와 결합되는 이동 브래킷을 수용하는 레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및 하강장치를 갖는 액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제 공급탱크에는 액제의 점도 향상을 위한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액제 제어 밸브의 일측에는 액제의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과 수용컵 받침대의 사이에는 회전을 위한 모터를 형성하여 액제의 경화 방지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액제 공급탱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제공급탱크에 히터를 설치하여 액제의 점도를 향상시키고, 또 교반날개와 모터에 의해 액제의 교반을 이루어 경화를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양의 액제를 원활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제용기 내부에 충진된 액제의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 셀을 통해 대기 상태로 있는 다른 액제공급탱크 내의 액제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을 이루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과 액제를 안정적으로 공급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제 공급장치의 일부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액제용기를 일측의 액제공급탱크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액제용기를 양측의 액제공급탱크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 액제공급탱크에 결합된 액제용기의 액제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7은 본 발명의 타 일측 액제공급탱크에 결합된 액제용기의 액제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조작부(120)와, 상기 조작부(120)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액제공급탱크(130) 및 승강 및 하강장치(14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부(120)는 일측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스위치(121)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스위치(121)의 상부 측으로는 상기 액제의 공급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122a)가 형성되며, 상기 램프(122a)의 하부 측으로는 각 액제공급탱크(130)의 내부 공기압력 즉, 진공도를 필요한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설정하고, 또 상기 승강 및 하강장치(140)를 이루는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결합되는 수용컵 받침대(144)의 사이에 형성되는 로드 셀(143)의 무게 감지 값을 필요한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설정하는 조작패널(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스위치(121)의 하부측으로는 상기 각 액제공급탱크(130)와 승강 및 하강장치(140)를 각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액제공급 스위치(123a)와, 승강 및 하강 스위치(123b)와, 압력 표시기(123c)와, 공기압력조절기(123d)로 이루어지는 구동패널(123)이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 표시기(123c)에는 상기 조작패널(122)에 의해 설정된 액제 공급탱크(1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상한 값과 하한 값을 표시하며, 공기의 압력이 설정 값을 벗어나면, 상기 램프(122a)가 점멸 및 점등을 반복하며 경보를 발생시키고 접점을 출력하도록 하는 압력센서(123c)와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공기 압력조절기(123d)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123c)는 입력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한 공기의 압력 보다 높아야 일정 공기 압력이 유지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121)는 조작부(120)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 ON/OFF 스위치이고, 액제공급 스위치(123a)는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에 공기를 공급(가압) 또는 중단(감압)시키는 스위치로서, 사용(USE) 위치로 회전시키면 가압하여 사용상태가 되고, 교환(CHANGE) 위치로 회전시키면 감압(대기압)되어 액제용기(148)의 교환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 및 하강 스위치(123b)는 승강 및 하강장치(140)의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결합되는 수용컵 받침대(144)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상승(UP)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승하고, 하강(DOWN)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강한다.
이때,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수용컵 받침대(144)의 하강은 상기 액제공급 스위치(123a)가 교환(CHANGE)으로 설정되어야 가능하다.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는, 상기 각 조작부(12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 공간으로는 상기 액제 공급 스위치(123a)의 동작에 연동하여 액제를 흡입 토출시키는 액제 제어 밸브(131)가 중앙부에 형성된다.
또, 상기 액제 제어 밸브(131)는 공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시린지 밸브 또는 플래그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액제 공급 스위치(123a)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를 설정된 가압상태로 형성한 후, 상기 액제용기(147) 내에 충진된 액제가 밀려올라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중간부분에 형성된 3way 밸브(132)의 이송관(132a),(132b) 중, 어느 일측을 통해 상부 측에 형성된 토출관(132c)을 거쳐 액제 주입기(미도시)로 공급된다.
또,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의 일측에는 진공펌프(150)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기 위한 공기 공급관(151)이 연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펌프(150)에 의해서 공기(기체)가 배기되어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를 설정된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 내에 수용된 액제 상의 기포를 제거함과 동시에 기포발생을 억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액제 제어 밸브(131)에는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와 결합되는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141)에 탑재된 액제용기(147) 내의 액제 경화를 방지하기 위한 교반날개(131a)가 형성되고, 외주 또는 내부에는 액제의 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히터(134)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134)는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날개(131a)는 자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141)의 회전동작에 연동하는 액제용기(147)의 회전시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날개(131a)는 자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정지된 상태로 형성되고 액제용기(147)의 회전에 교반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각 액제 제어 밸브(131)의 타 일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중간부분에 형성된 3way 밸브(132)의 양측에 형성된 액제 이송관(132a),(132b)과 각각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액제 제어 밸브(131)를 통하여 액제용기(147) 내에 충진된 액제가 상기 액제 이송관(132a),(132b)으로 이송하게 되고, 이송된 액제는 상기 3way 밸브(132)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토출관(132c)을 거쳐 액제 주입기(미도시)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액제 제어 밸브(131)는 어느 하나에서 액제가 공급되면 다른 하나는 대기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 및 하강장치(140)는, 상기 각 액제 공급탱크(130)와 결합하도록 동일 축상의 하부로 위치하도록 액제용기(147)를 탑재하는 복수의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결합되는 수용컵 받침대(144)가 형성되고, 상기 각 수용컵 받침대(144)의 일측으로는 이 수용컵 받침대(144)를 결합수용하여 승강 및 하강시키기 위한 이동 브래킷(146)과 이 이동 브래킷(146)을 수용하는 레일 실린더(145)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수용컵 받침대(144)의 사이에는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141)의 회전을 위한 모터(142)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142)의 양측으로는 상기 액제용기(147)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로드 셀(143)이 형성되며, 타 일측으로는 상기 수용컵 받침대(144)를 레일 실린더(145)를 따라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및 하강 스위치(123b)의 동작에 연동하는 에어밸브(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 셀(143)은 상기 액제용기(147) 내에 충진된 액제의 상한 값과 잔량 상태를 표시하는 잔량 경보값을 설정하고, 액제를 사용 중 설정잔량 값에 도달하면 상기 램프(122a)가 점멸/점등을 반복하며 경보를 발생시키고 접점을 출력한다.
즉, 상기 어느 하나의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로 수용 결합된 액제용기 수용컵(141)에 탑재된 액제용기(147)에 담겨진 액제가 토출 완료되면 상기 로드 셀(143)은 액제용기(147)의 무게를 감지하여 액제용기(147)의 무게가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대기 상태로 있던 다른 하나의 액제 공급탱크(130)에 수용된 액제용기(147)의 액제가 자동으로 토출되도록 전환하여 액제의 공급이 중단 없이 연속으 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142)는 액제용기 수용컵(141)을 회전시켜 액제용기 수용컵(141)에 탑재된 액제용기(147)가 연동하여 회전을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와 결합시 액제 제어 밸브(131)가 액제용기(147)에 입수된 후, 일측에 형성된 교반날개(131a)에 의해 액제가 교반되도록 하여 경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 실린더(145)는 에어밸브(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및 하강 스위치(123b)의 상승(UP) 위치 또는 하강(DOWN) 위치로 스위칭 동작시 공압을 제어하여 수용컵 받침대(144)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액제 공급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 스위치(121)를 ON 시키고, 복수로 형성된 각 조작부(120)의 조작패널(122)을 이용하여 상기 로드 셀(143)의 무게 감지 값을 필요한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 공기압력 즉, 진공도를 필요한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설정하여 사용전 미리 셋팅을 한다.
다음, 상기 액제용기(147)에 액제를 충진하여 하우징(110)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액제 공급탱크(130)의 하부에 동일 축상으로 위치하는 액제용기 수용컵(141)에 각각 탑재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된 구동패널(123)의 승강 및 하강 스위치(123b)를 상승(UP)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외부의 공압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에어밸브(미도시)에 의해 수용컵 받침대(144)가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 브래킷(146)이 레일 실린더(145)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로 수용 결합된다.
다음, 상기 클램프(133)를 이용하여 상기 각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로 수용된 수용컵 받침대(144)의 이탈 등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하여 상기 각 액제 공급탱크(130)를 밀폐시킨다.
이어서, 상기 진공펌프(150)를 동작시켜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를 필요한 진공도를 갖도록 진공 형성하고, 동시에 액제 공급탱크(130)에 형성된 히터(134)를 동작시켜 점도 향상을 위한 필요한 적절한 온도로 맞춘다.
여기서, 상기 진공도와 히터의 온도는 액제의 종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를 필요한 진공상태가 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 내에 수용된 액제의 기포가 제거됨과 동시에 기포발생이 억제되어 안정적인 액제의 공급을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히터(134)를 동작시킴에 따라 액제 공급탱크(130) 내에 수용된 액제의 점도를 향상시켜 보다 용이하고 원활한 액제의 공급을 이루게 된다.
다음, 상기 액제용기(147)를 탑재한 액제용기 수용컵(141)의 하부에 형성된 모터(142)를 구동시켜 액제용기 수용컵(141)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에 형성된 액제 제어 밸브(131)의 일측에 형성된 교반날개(131a)에 의해 액제용기(147)의 내부에 충진된 액제가 교반되어 경화를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어느 일측의 구동패널(123)에 형성된 액제공급 스위치(123a) 를 사용(USE)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액제공급 스위치(123a)에 의해 동작하는 어느 일측에 형성된 상기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가압상태가 형성됨과 동시에 압력에 의해 상기 액제 제어 밸브(131)를 통하여 상기 액제용기(147)의 내부에 충진된 액제를 흡입하여 상기 3way 밸브(132)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 이송관(132a),(132b)을 통해 상부측에 형성된 액제 토출관(132c)을 거쳐 액제 주입기(미도시)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어느 하나의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제용기(147)의 액제가 소진되면 이 액제 공급탱크(130)의 동일 축상 하부에 위치하는 액제용기 수용컵(141)과 수용컵 받침대(144)의 사이에 형성된 로드 셀(143)이 하한 값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대기 상태에 있는 타 일측의 액제 공급탱크(130)의 내부에 수용된 액제용기(147)의 액제를 공급하도록 전환되어 연속적인 액제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액제가 소진된 액제용기(147)에 다시 액제를 충진하기 위하여 상기 액제공급 스위치(123a)를 교환(CHANGE) 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클램프(133)를 푼 후, 상기 승강 및 하강 스위치(123b)를 하강(DOWN)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수용컵 받침대(144)가 하강되므로, 액제용기(147)를 들어내어 다시 액제를 충진한 후, 역순으로 결합 고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은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 행함으로써, 작업의 중단없이 액제를 공급함과 동시에 액제의 경화를 방지하고 점도를 향상시켜 원활하고 정확한 양의 액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제 공급장치의 일부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제용기를 일측의 액제공급탱크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액제용기를 양측의 액제공급탱크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 액제공급탱크에 결합된 액제용기의 액제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타 일측 액제공급탱크에 결합된 액제용기의 액제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액제 공급장치 110 : 하우징
120 : 조작부 121 : 전원 스위치
122 : 조작패널 122a : 램프
123 : 구동패널 123a : 액제공급 스위치
123b : 승강 및 하강 스위치 123c : 압력 표시기
123d : 공기압력 조절기 130 : 액제 공급탱크
131 : 액제 제어밸브 131a : 교반날개
132 : 3way 밸브 132a, 132b : 이송관
132c : 토출관 133 : 클램프
134 : 히터 140 : 승강 및 하강장치
141 : 액제용기 수용컵 142 : 모터
143 : 로드 셀(load cell) 144 : 수용컵 받침대
145 : 레일 실린더 146 : 이송 브래킷
147 : 액제용기

Claims (2)

  1. 하우징의 일측으로 형성되고 전원 스위치와 조작패널 및 구동패널로 이루어지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하부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으로는 액제가 공급되는 액제 제어 밸브를 중앙부에 형성한 복수의 액제 공급탱크와, 상기 각 액제 공급탱크의 하부 측에 형성되며, 상면으로는 액제가 담겨진 액제용기를 탑재하는 액제용기 수용컵과,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과 결합되는 수용컵 받침대와, 상기 수용컵 받침대와 결합되는 이동 브래킷을 수용하는 레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및 하강장치를 갖는 액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제 공급탱크에는 액제의 점도 향상을 위한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액제 제어 밸브의 일측에는 액제의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가 형성되며, 상기 액제용기 수용컵과 수용컵 받침대의 사이에는 회전을 위한 모터를 형성하여 액제의 경화 방지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액제 공급탱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KR1020090030159A 2009-04-08 2009-04-08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KR100994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59A KR100994574B1 (ko) 2009-04-08 2009-04-08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59A KR100994574B1 (ko) 2009-04-08 2009-04-08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785A true KR20100111785A (ko) 2010-10-18
KR100994574B1 KR100994574B1 (ko) 2010-11-15

Family

ID=4313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159A KR100994574B1 (ko) 2009-04-08 2009-04-08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528A (zh) * 2013-09-10 2013-12-25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手动液体出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783A (ja) 2001-11-29 2003-06-10 Hitachi Industries Co Ltd 液体吐出用ディスペンサ
JP3890229B2 (ja) 2001-12-27 2007-03-07 株式会社コガネイ 薬液供給装置および薬液供給装置の脱気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528A (zh) * 2013-09-10 2013-12-25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手动液体出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574B1 (ko) 201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854A (ko) 도포액 공급 장치, 도포액 공급 방법 및 버퍼 탱크
KR100994574B1 (ko) 경화방지 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CN103140206A (zh) 水溶液供给装置
KR100997655B1 (ko) 연속공급기능을 갖는 액제 공급장치
KR100994598B1 (ko) 디스펜서용 액제공급장치
JP6987649B2 (ja) 処理液供給装置及びその脱気方法
JP2006329077A (ja) 容器内貯留液の汲み出し方法とその装置
CN217746570U (zh) 一种搅拌机用改进型叶轮结构
JP5094449B2 (ja) 水薬供給装置
CN211412585U (zh) 一种自动供胶桶结构
JP5651664B2 (ja) 水薬供給装置
CN105056815B (zh) 一种自动配胶装置
CN206406248U (zh) 一种自动定时定量加水的混凝土搅拌机
CN215116139U (zh) 一种用于样品瓶充惰性气体的实验装置
CN219003592U (zh) 支装胶水定量供胶器
CN209052386U (zh) 一种涂料灌装机的除泡装置
CN109630893B (zh) 一种连续稳定供液系统
CN206679298U (zh) 一种化学发光磁微粒试剂分装器
CN109078552A (zh) 一种小剂量药物溶解装置
KR100379077B1 (ko) 이액혼합토출장치
KR101057782B1 (ko) 실린지 펌프
CN220276716U (zh) 一种防粘连伸缩调节的涂料搅拌设备
CN219901751U (zh) 一种金刚石研磨液供液装置
CN220900830U (zh) 灌胶设备
CN209634813U (zh) 干粉料自动称量灌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