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822A - 띠 판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띠 판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8822A
KR20100108822A KR1020090027056A KR20090027056A KR20100108822A KR 20100108822 A KR20100108822 A KR 20100108822A KR 1020090027056 A KR1020090027056 A KR 1020090027056A KR 20090027056 A KR20090027056 A KR 20090027056A KR 20100108822 A KR20100108822 A KR 20100108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plate
gripping
guide passage
strip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근 filed Critical 박영근
Priority to KR102009002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8822A/ko
Publication of KR2010010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7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transport devices
    • B65H2301/4471Grippers, e.g. moved in paths enclosing an area
    • B65H2301/44712Grippers, e.g. moved in paths enclosing an area carried by chains or bands

Landscapes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 판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통로를 구비한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통로 내에서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이송되며, 이동시 상기 가이드 통로와의 접촉으로 인해서 가이드 통로의 중앙에 위치한 띠 판재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띠 판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다수의 파지수단; 및 상기 가이드 통로 내로 다수의 파지수단을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파지수단, 이송수단 및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띠 판재 양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송함으로써 띠 판재의 안정된 이송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켜 띠 판재 절곡시 발생하는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더불어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띠 판재 이송장치{Band plate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띠 판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띠 판재의 원활한 이송 및 띠 판재 절곡시 띠 판재가 미끄러져 끌려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띠 판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띠 판재 이송장치는 띠 판재를 절곡시키는 절곡장치에 설치되어 절곡장치의 절곡에 대응하여 띠 판재를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띠 판재는 광고판에 사용되는 글자를 제작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서 절곡되는 금속 박판이나, 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잡한 홈의 형상에 따라서 절곡되어 타이어 금형에 설치되는 얇은 판재,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의 외형 등의 형상으로 절곡되어종이나 합성수지를 재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커팅 블레이드(일측에 재단을 위한 커팅날을 구비하고 있음) 등 다양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띠 판재 절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띠 판재 절곡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판재를 연속적으로 절곡하기 위해서 띠 형상의 띠 판재(1)를 롤(2)로부터 적절한 시기에 맞춰 이송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같은 띠 형상의 띠 판재(1)를 적절하게 이송하기 위해 띠 판재 이송장치(2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띠 판재 이송장치(20)는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 롤러(21) 사이에 띠 판재(1)가 배치되고, 띠 판재(1)의 표면과 회전 롤러(21)의 마찰력에 의해서 이송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즉, 이러한 띠 판재 이송장치(20)는 회전 롤러(2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띠 판재(1)를 이송하는 한편, 띠 판재(1) 절곡시 회전롤러(21)의 파지력을 이용하여 띠 판재(1)를 파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띠 판재 절곡장치(10)를 이용하여 띠 판재(1)를 소정 각도로 절곡하게 되면, 절곡으로 인해서 띠 판재(1)를 절곡장치(10) 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의 띠 판재 이송장치(20)는 띠 판재(1)의 양측면에서 회전 롤러(21)가 선접촉에 의해서 띠 판재(1)를 고정하고 있어 마찰력이 충분히 작용하지 못하여 절곡장치(10) 쪽으로 잡아 당겨지는 힘에 의해서 미끄러져 끌려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서 띠 판재(1)의 이송량이 변경되어 정확한 이송이 되지 않아 띠 판재 절곡시 오차가 발생하고 그 결과 전체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띠 판재가 얇고 연질의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그 양측면에서 회전롤러(21)가 가압되게 되면, 가압력에 의해서 띠 판재의 표면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띠 판재가 가압력에 의해서 눌려져 더욱 얇게 되어 늘어나는 등 변형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띠 판재의 안정된 이송력 및 고정력을 유지하면서 띠 판재를 이송시키도로 함으로써 띠 판재 절곡 시 발생하는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더불어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띠 판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띠 판재 이송장치는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통로를 구비한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통로 내에서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이송되며, 이동시 상기 가이드 통로와의 접촉으로 인해서 가이드 통로의 중앙에 위치한 띠 판재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띠 판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다수의 파지수단; 및 상기 가이드 통로 내로 다수의 파지수단을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통로는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좁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입구측,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넓어지는 경사를 가지는 출구측, 그리고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사이에 띠 판재 이송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파지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재는 띠 판재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띠 판재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띠 판재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파지부재의 파지면에는 널링(knurling)이 추가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재의 외측부는 가이드통로의 내벽에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수단과 가이드수단 사이에는 파지수단을 통해 띠 판재 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파지력 조절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력 조절수단은 가이드통로의 내벽에 지지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를 파지부재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띠 판재 이송장치의 또 다른 발명은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통로 내로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 통로와의 접촉에 의해서 가이드통로에 위치하는 띠 판재 측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띠 판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파지수단, 이송수단 및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띠 판재 양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이송함으로써 띠 판재의 안정된 이송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켜 띠 판재 절곡시 발생하는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더불어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띠 판재 이송장치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 여 상세히 설명하는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에서 전술한 구성과 기능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띠 판재 이송장치는 띠 판재의 안정된 파지력 및 정확한 이송력을 바탕으로 종래기술에서 전술한 띠 판재 절곡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띠 판재(미도시)를 제작할 경우 품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띠 판재 이송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의 띠 판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가이드통로(110)가 형성되는 가이드수단(100), 상기 가이드통로(110)에 유입되면서 띠 판재(1)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다수의 파지수단(200), 및 상기 파지수단(200)을 띠 판재 절곡장치(미도시)가 있는 장소로 이송하는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수단(200)이 가이드통로(11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이송수단(300)을 포함한다.
이하, 본원발명에 따른 띠 판재 이송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수단(10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띠 판재(1)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띠 판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수단(100) 사이의 공간(120) 사이로는 파지수단(200)이 이송된다.
상기 가이드수단(100)에는 띠 판재(1) 이송방향을 따라서 가이드통로(110)가 형성된다. 가이드통로(110)는 입구측(111), 파지측(113) 및 출구측(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통로(110)는 파지수단(200)이 이송되는 공간이며, 파지수단(200)이 접촉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통로(110) 중 입구측(111)은 띠 판재(1) 이송방향을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며, 출구측(112)은 띠 판재(1) 이송방향을 따라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파지측(113)은 띠 판재(1) 이송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통로(110)는 입구측(111)에서부터 폭이 좁아지면서 파지측(113)에서 일정한 폭을 유지하고, 다시 출구측(112)에서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수의 파지수단(200)은 띠 판재(1)의 양측면으로 밀착되어 띠 판재(1)를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통로(110)에 인입되는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의 양측면에 띠 판재(1)의 양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파지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210)는 파지수단(200)을 이송수단(300)의 주면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는 이송수단(300)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중앙에는 삽입홈(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11)에는 고정부재(210)가 이송수단(300)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180°회전할 경우 고정부재(210)의 회전반경에 의해 고정부재(210)의 선단부가 띠 판재(1)의 하부에 걸리는 현상 또는 마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212)은 띠 판재(1)의 하부가 지나가는 곡선을 따라 곡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지지홈(212)을 통해 고정 부재(210)와 띠 판재(1)의 걸림 및 마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띠 판재(1)를 파지수단(200)의 내측 중앙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지부재(220)는 띠 판재(1)의 양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부재(220)가 고정부재(110) 양측면에 띠 판재(1)를 향하는 방향(띠 판재(1)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부재(220)에서 띠 판재(1)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파지면은 띠 판재(1)의 양측면에 면접촉하여 띠 판재(1)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사각면(221)으로 형성된다.
즉, 한 쌍의 파지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수단(200)이 가이드통로(110)의 입구측(111)에 인입되면, 한 쌍의 파지부재(220)가 입구측(111) 경사면에 지지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파지수단(200)의 파지부재(220)는 입구측(111)에서 파지측(113)으로 가이드된다.
이때, 파지측(113)이 입구측(111) 보다 폭이 작아짐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220)가 띠 판재(1)를 향하게 이동하면서 띠 판재(1)의 양측면을 파지한다. 이후, 파지수단(200)의 파지부재(220)가 파지측(113)에서 출구측(112)의 경사면으로 가이드 되면, 띠 판재(1)의 파지력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220)의 파지부를 사각면(221)으로 형성함으로써 띠 판재(1)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정되고 견고한 파지력을 가지며, 그에 따라 띠 판재(1)의 절곡시 띠 판재(1)가 미끄러져 끌려나가는 종래의 문제점 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면(221)에는 띠 판재(1)의 미끄럼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방사형(放射形)의 널링(knurling)이 추가로 가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띠 판재 양측면과 사각면(221)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띠 판재(1) 절곡시 띠 판재(1)가 끌려 나가는 현상을 크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지부재(220)의 파지부는 본 발명에서는 사각면(221)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적용되는 공작기계에 따라 원형, 삼각형, 다각형, 타원형 및 별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도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각면(221)에 널링이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고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적용되는 공작기계에 따라 미끄럼방지용 패드(미도시) 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액체 또는 고체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10)와 파지부재(220)의 밀착부분에는 파지부재(22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돌기(미도시) 및 가이드홈(미도시)이 각각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지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통로(110)의 파지측(113) 폭은 설정된 한 쌍의 파지부재(220)의 좌우측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이드통로(110)의 폭을 한 쌍의 파지부재(220) 좌우측 길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파지부재(220)가 가이드통로(110)에 인입됨과 동시에 한 쌍의 파지부재(220)가 띠 판재(1)의 양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띠 판재(1)의 양측면을 파지하게 된 다.
한 쌍의 파지부재(220)의 작동을 다시 설명하면, 한 쌍의 파지부재(220)가 가이드통로(110)의 입구측(111) 경사면을 따라 파지측(113)으로 가이드된 후, 출구측(112)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데, 이때 한 쌍의 파지부재(220)가 파지측(113)을 통과할 시 가이드통로(110)의 폭이 작기 때문에 한 쌍의 파지부재(220)가 띠 판재(1)의 양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띠 판재(1)의 양측면을 파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파지부재(220)와 연동하여 띠 판재(1)가 이송된다(도 4 참조).
여기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부재(220)가 띠 판재(1) 방향으로 이동하고 파지하는 것을 일예로써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파지부재(220) 중 하나의 파지부재(220)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파지부재(220)만이 띠 판재(1) 방향으로 이동하여 띠 판재(1)를 파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수단(300)은 띠 판재(1)를 파지한 파지수단(200)을 띠 판재 절곡장치(미도시)가 있는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외면에 등간격으로 파지수단(200)이 장착되고, 상기 파지수단(200)을 띠 판재(1) 이송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수단(200)을 가이드통로(110)로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벨트(310)와, 상기 벨트(310)를 띠 판재(1) 이송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한 쌍의 기어(320), 및 하나의 기어(320)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기어(320)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330)를 포함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참고로 도 2 및 도 3은 이송장치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띠 판재(1)를 중심으로 한쪽의 가이드수단(100)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수단(300)으로서 체인전달장치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트(310)로 타이밍벨트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기어(320)와 치합되기 때문에 정확한 이송이 가능하고, 아울러 기어의 이빨수를 조절함으로써 이송피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송수단(300)은 제1 구동모터(330)의 구동력에 의해 기어(320)가 회전하면서 벨트(310)가 띠 판재 이송방향으로 순환하게 되며, 이때 벨트(310)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수단(200)이 가이드통로(110)에 인입되면서 띠 판재(1)를 파지하고, 띠 판재(1)를 이송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300)에 의해 순환하는 파지수단(200)이 가이드통로(110)를 통과하면서 띠 판재(1)의 파지와 해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띠 판재(1)는 띠 판재 절곡장치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파지부재(220)의 외측면은 가이드통로(110)의 내벽에 구름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파지부재(220)의 외측면에는 제1 롤러(22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롤러(222)는 가이드통로(110)의 내벽에 구름 접촉한다.
따라서 파지수단(200)이 가이드통로(110)를 통과할 시 상기 파지부재(22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제1 롤러(222)가 가이드통로(110)의 입구측(111), 파지측(113) 및 출구측(112)을 순차적으로 구름 접촉함으로써 마찰력 감소로 인하여 마모 및 소음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222)에 의해서 파지수단(200)이 가이드통로(110)와 구름 접촉 하게 되면, 가이드통로(110)로 유입될 때 회전하면서 유입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가이드통로(110)는 파지수단(200)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형성한 경사진 입구측(111) 및 출구측(112)이 없이 폭이 일정한 파지측(113) 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수단(200)의 고정부재(210)의 외면 양측 또는 일측에는 가이드홈(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구름 접촉하는 제2 롤러(22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 롤러(223)를 통해 파지수단(200)의 상하방향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안정된 이송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100)의 가이드통로(110)와 파지수단(200)의 제1 롤러(222) 사이에는 띠 판재(1)의 파지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띠 판재(1)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력 조절수단(130)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력 조절수단(130)은 가이드수단(100) 내에 공간(140)을 마련하고 상기 공간(140) 내에 띠 판재(1)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부재(131)를 구비한다. 상기 조절부재(131)의 내측에는 제1 롤러(222)가 구름 접촉하는 가이드통로(11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131)는 띠 판재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시키는 제2 구동모터(132)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구동모터(132)는 조절부재(131)를 미세하게 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실린더 및 전기 모터 등과 같은 장치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2 구동모터(132)를 조절하게 되면 조절부재(131)가 띠 판재(1)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파지력 조절수단(130)은 띠 판재(1)의 두께가 크거나 또는 작을 경우 제2 구동모터(132)를 이용하여 조절부재(131)를 제1 롤러(222)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제1 롤러(222) 반대방향으로 후진시켜 파지부재(220)의 파지력을 보정할 수 있어 띠 판재(1) 두께에 대응할 수 있고, 더욱이 파지력 조절수단(130)을 이용하여 띠 판재(1)의 파지력을 제거한 상태로 작업자가 원하는 두께를 가진 띠 판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띠 판재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지수단(200)의 고정부재(210) 사이에 띠 판재(1)를 배치한다.
그런 다음, 띠 판재(1)의 두께에 의해 파지수단(200)의 제1 롤러(222)와 파지력 조절수단(130)의 조절부재(131) 사이가 이격되었는지 또는 너무 압입되었는지 확인한다.
즉, 띠 판재(1)의 두께가 클 경우, 초기 설정된 두께보다 초과하는 두께만큼 조절부재(131)에 의해 제1 롤러(222)가 이동되면서 파지부재(220)의 파지력이 증가되어 띠 판재(1) 표면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띠 판재(1)의 두께가 얇을 경우, 초기 설정된 두께보다 미달하는 두께만큼 조절부재(131)와 제1 롤러(22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파지부재(220)의 파지력이 감소되어 띠 판재(1)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파지력 조절수단(130)의 제2 구동모터(132)를 이용하여 조절부재(131)를 띠 판재(1)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시켜 파지부재(220)의 파지력을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지부재(220)의 파지력을 보정한 다음, 띠 판재 이송장치에 장착된 콘트롤박스(미도시)를 통해 설정된 형상의 띠 판재의 프로그램을 선택한 다음, 띠 판재 이송장치의 작동 버튼을 클릭하면, 이송수단(300)의 제1 구동모터(330)가 작동하면서 기어(3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벨트(310)를 기어(320)의 회전방향으로 순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벨트(310)가 순환하면, 벨트(310)와 연동하여 파지수단(200)이 동일한 방향으로 순환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지수단(200)이 가이드수단(100)의 가이드통로(110)로 인입된다.
즉, 가이드통로(110)에 인입되는 파지수단(200)은 제1 롤러(222)가 가이드통로(110)의 입구측(111) 경사면에 구름 접촉하면서 안정적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제2 롤러(223)가 가이드홈(120)의 하면 또는 상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안정된 이송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지수단(200)이 가이드통로(110)의 입구측(111)을 지나 파지측(113)으로 인입되면, 파지부재(220)가 띠 판재(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띠 판재(1)의 양측면을 파지하고, 이와 같은 상태로 띠 판재(1)는 파지수단(200)과 함께 이송수단(300)을 따라 이송된다.
이때, 파지부재(220)의 널링 가공된 사각면(221)을 이용하여 띠 판재(1)의 양면을 파지함으로써 안정된 파지력 및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파지수단(200)이 가이드통로(110)의 출구측(112)으로 인출되면, 띠 판재(1)를 파지한 파지부재(220)의 파지력도 제거되고, 벨트(310)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도 3 참조).
따라서 상기 파지수단(200)은 이송수단(300)을 따라 순환하는 한편, 가이드통로(110)로 인입될 경우 띠 판재(1)를 파지하여 이송시키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띠 판재 절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띠 판재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띠 판재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띠 판재 이송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파지력 조절수단이 포함된 띠 판재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 4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가이드수단 110: 가이드통로
120: 가이드홈 130: 파지력 조절수단
131: 조절부재 132: 제2 구동모터
200: 파지수단 210: 고정부재
211: 삽입홈 212: 지지홈
220: 파지부재 221: 사각면
222: 제1 롤러 223: 제2 롤러
300: 이송수단 310: 벨트
320: 기어 330: 제1 구동모터

Claims (8)

  1.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통로를 구비한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통로 내에서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이송되며, 이동시 상기 가이드 통로와의 접촉으로 인해서 가이드 통로의 중앙에 위치한 띠 판재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띠 판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다수의 파지수단; 및
    상기 가이드 통로 내로 다수의 파지수단을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로는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좁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입구측,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넓어지는 경사를 가지는 출구측, 그리고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 사이에 띠 판재 이송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파지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띠 판재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띠 판재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 판재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파지부재의 파지면에는 널링(knurling)이 추가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의 외측부는 가이드통로의 내벽에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과 가이드수단 사이에는 파지수단을 통해 띠 판재 측면을 파지하는 파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파지력 조절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지력 조절수단은 가이드통로의 내벽에 지지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를 파지부재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또는 후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
  8. 띠 판재 이송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통로 내로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 통로와의 접촉에 의해서 가이드통로에 위치하는 띠 판재 측면을 향하여 이동하여 띠 판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 판재 이송장치.
KR1020090027056A 2009-03-30 2009-03-30 띠 판재 이송장치 KR20100108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056A KR20100108822A (ko) 2009-03-30 2009-03-30 띠 판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056A KR20100108822A (ko) 2009-03-30 2009-03-30 띠 판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822A true KR20100108822A (ko) 2010-10-08

Family

ID=4313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056A KR20100108822A (ko) 2009-03-30 2009-03-30 띠 판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88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621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621A1 (ko) * 2021-03-09 2022-09-15 주식회사 클레버 파우치형 이차전지 테이핑 장치용 테이프 공급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1317B1 (en) Cable transport device
KR20090122671A (ko) 철판 절단기용 폭 가변 안내장치
CN110950024A (zh) 一种圆柱翻板机的物料导向输送机构
KR101485152B1 (ko) 헤어라인 형성장치
KR20100108822A (ko) 띠 판재 이송장치
EP0737115B1 (en) Gripper feeder for metal strip
JP5663940B2 (ja) 印刷装置
US10932558B2 (en) Device for producing round brushes
EP0125792B1 (en) Twisting apparatus & method
AU201826575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supply of a filament
JP3056792U (ja) 長尺シート加工装置
JP2000127064A (ja) 綴じ部材除去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原稿搬送装置
JP5200891B2 (ja) 能書挿入装置
CN220941494U (zh) 卷材单面涂布机
CN212126967U (zh) 一种钢带传送导向机构
KR101216634B1 (ko) 판재 이송 장치
JP5081707B2 (ja) 搬送装置
JP2005349698A (ja) フィルム延伸機
JP4188731B2 (ja) リングの周長測定装置
JP2017202585A (ja) 把手切断移送装置
JP6775405B2 (ja) 紙ガイドおよびプリンター
KR200327944Y1 (ko) 목재패널 에지밴딩기
JP2015202546A (ja) ワイヤソーによる溝加工方法および溝加工用のワイヤソー
KR960015257B1 (ko) 시트코일(Sheet Coil)의 양측면 직선가공을 위한 연마장치
JP2012051025A (ja) 端面平坦コイルばね製造方法、及び端面平坦コイルばね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