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702A - 이동형 칸막이 - Google Patents

이동형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702A
KR20100107702A KR1020090025936A KR20090025936A KR20100107702A KR 20100107702 A KR20100107702 A KR 20100107702A KR 1020090025936 A KR1020090025936 A KR 1020090025936A KR 20090025936 A KR20090025936 A KR 20090025936A KR 20100107702 A KR20100107702 A KR 20100107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fitting
support
movab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1050B1 (ko
Inventor
김양규
한희갑
임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9002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05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각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충진재, 상기 충진재의 양 표면에 배치된 표면재, 상기 프레임의 상, 하단에 각각 장착된 고정지지대, 고정지지대 내부에 삽입되는 기밀유지구 및 일 종단부가 상기 고정지지대에 끼움 장착되며 표면재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덮기 위한 마감캡을 포함하되, 상기 마감캡은 일 종단부에 고정지지대에 끼움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끼움 돌출부, 내부에 중공부 및 타 종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는 마감캡의 타 종단부와 표면재의 경계부를 패킹하기 위한 가스켓이 끼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는 차음성 및 단열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하고, 시공성 및 외관 마감성이 우수하다.
칸막이, 마감캡, 가스켓, 고정지지대, 실링부재, 삽입몰딩

Description

이동형 칸막이{Movable partition}
본 발명은 이동형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 및 통합이 가능하도록 천장에 설치된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구성요소 및 벽체와의 연결부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차음성 및 단열성 등의 제반 물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형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은 내부 공간을 하나의 공간으로 건축하여 건물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알맞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는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이 좋고 외관미가 뛰어나며 단열, 보온 및 방음성 등의 높은 제반 물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실내 구획용 칸막이로 이동형 칸막이 조립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이동형 칸막이 조립체는 복수의 이동형 칸막이가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조립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이동형 칸막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칸막이의 구조적 형태를 구성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 양 표면에 결합되는 보 드(11)와, 그 내부에 충전되는 불연성 단열재(12)와, 프레임 상하단에 칸막이 고정을 위한 고정지지대(13)와, 칸막이 좌우측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몰딩(14)과, 상하 고정지지대(13) 좌우측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기밀유지구(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형 칸막이 조립체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조립된다.
설치 부위 전체 길이에 대한 조립체의 개수 분할 및 치수가 완료되면, 형상을 유지하는 프레임(10)을 치수에 맞게 절단하여 조립한다. 이어, 조립된 프레임 일측에 보드(11)를 설치하며, 상기 일측면 보드(11)의 안쪽에 단열재(12)를 고정한 후, 상기 단열재(12)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이면측에 보드(11')를 조립한다. 상기 조립된 프레임(10) 상하단 부위에 칸막이를 천장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13)를 부착 후, 좌우 부위에 각각의 칸막이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몰딩(14)을 부착한다. 상기 조립된 고정지지대(13) 좌우측 상하부위에 각각의 칸막이가 연결시 발생된 틈새를 충진하기 위한 기밀유지구(18)를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된 이동형 칸막이 조립체는 천장 및 바닥에 고정 후, 상하부 고정지지대(13)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며, 벽체(16)와의 연결부위에서 기울기 차이로 인한 틈새가 발생되어 차음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천장 및 바닥과 맞닿는 고정지지대(13) 접합 면적이 부족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칸막이가 이동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 및 통합이 가능하도록 천장에 설치된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구성요소 및 벽체와의 연결부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차음성 및 단열성 등의 제반 물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형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형 칸막이를 설치한 후,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한 위치 이동을 방지하여 거주자의 안전 및 견고성이 우수한 이동형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립오차로 인한 틈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벽체와의 기울기 오차에 따른 틈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이동형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각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충진재, 상기 충진재의 양 표면에 배치된 표면재, 상기 프레임의 상, 하단에 각각 장착된 고정지지대, 고정지지대 내부에 삽입되는 기밀유지구 및 일 종단부가 상기 고정지지대에 끼움 장착되며 표면재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덮기 위한 마감캡을 포함하되,
상기 마감캡은 일 종단부에 고정지지대에 끼움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끼움 돌출부, 내부에 중공부 및 타 종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는 마감캡의 타 종단부와 표면재의 경계부를 패킹하기 위한 가스켓이 끼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칸막이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필요에 따라 분할 및 통합이 가능하도록 천장에 설치된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인접하는 구성요소 및 벽체와의 연결부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차음성 및 단열성 등의 제반 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한 위치 이동을 방지하여 거주자의 안전 및 견고성이 우수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외관 마감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구성하는 고정지지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구성하는 마감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일부 구성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몰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100, 200)는 다각형의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 내부에 배치된 충진재(112), 상기 충진재(112)의 양 표면에 배치된 표면재(111, 111'), 상기 프레임(110)의 상, 하단에 각각 장착된 고정지지대(113), 고정지지대(113) 내부에 삽입되는 기밀유지구(118) 및 일 종단부가 상기 고정지지대에 끼움 장착되며 표면재(111, 11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덮기 위한 마감캡(115)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의 상단에 장착된 고정지지대(113)는 트랙(T)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부호 100 및 200을 갖는 이동형 칸막이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단지 이동형 칸막이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최외측에 설치되어 일 종단이 벽 체에 대응되는 이동형 칸막이(200)를 구분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면 부호를 부여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감캡(115)에는 일 종단부에 고정지지대(113)에 끼움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끼움 돌출부(119, 120), 내부에 중공부(121) 및 타 종단부에 끼움홈(1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135)에는 마감캡(115)의 타 종단부(끼움홈 형성 영역)와 표면재(111, 111')의 경계부를 패킹하기 위한 가스켓(136, 도 6참조)이 끼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충진재(112)는 단열성 및 차음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표면재(111, 111')는 단열성 및 차음성 뿐만 아니라 외관 마감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드의 표면에 다양한 인테리어 시트를 결합하여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여 고정지지대와 마감캡의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고정지지대(113)에는 일 종단부에 마감캡(115)의 제1 및 제2끼움 돌출부(119, 120)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끼움돌출편(123, 124)이 형성되고, 복수의 공간부를 갖도록 다격실 끼움절곡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끼움돌출부(119, 120)와 제3 및 제4 끼움돌출편(123, 124)는 끼움 조립 후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 다.
상기 다격실 끼움절곡부(122)와 제3 및 제4 끼움돌출편(123, 124)은 고정지지대(113)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 대칭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100, 200)는 고정지지대(113)와 마감캡(115)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며, 표면재(111, 111')까지 모두 설치한 후에 마감캡(115)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마감캡(115)에는 내부에 중공부(121)가 형성되어, 이동형 칸막이로 구획된 일측의 소음이 이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층에 의하여 마감캡(115)을 연성 및 탄성을 보유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마감캡(115)을 고정지지대(113)에 끼움 결합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지지대(113)의 다격실 끼움 절곡부(122)에는 복수의 실링부재(128)가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링부재(128)에 의하여 이동형 칸막이(100, 200)는 천장과 바닥에 대한 지지력이 확보되며, 접지력 향상에 의하여 외부 충격에 대한 이동형 칸막이의 저항력이 우수해진다.
또한, 실링부재(128)는 내부에 복수의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공부에 의하여, 차음 및 단열성능이 높아지고, 외부 충격에 대한 에너지 분산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작은 힘으로도 고정지지대(113)에 다수의 실링부재(128)를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형 칸막이(100, 200)의 하단 부위, 즉 바닥에 대응되는 고정지지대(113)의 공간부(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다격실 끼움절곡부들 사이의 공간부)를 충진하기 위하여 기밀유지구(118)가 설치되면, 고정지지대(113)의 상기 공간부의 내면에는 제 1단차구조(127)가 형성되어 있고, 기밀유지구(118)의 양 측면에도 상기 고정지지대의 제1단차구조(127)에 대응되는, 예를 들어 턱짐형상, 제 2단차구조(130)가 형성되어, 제 1 및 제 2단차구조(127, 130)의 결합에 의하여 상호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밀유지구(118)와 고정지지대(113) 조립시에는 이탈방지 및 조립 깊이 조절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100, 200)는 프레임(110)의 양 측단에 각각 고정된 몰딩(1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몰딩(114)은 돌출부(양각) 또는 이에 대응되는 홈부(음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이동형 칸막이(100, 200)의 일 측단에는 돌출부를 갖는 몰딩을 장착하고, 타 측단에는 홈부를 갖는 몰딩을 장착하여, 인접하는 2개의 이동형 칸막이를 돌출부를 갖는 몰딩과 홈부를 갖는 몰딩을 대응시켜 조립할 수 있으며, 프레임(110)의 측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100, 200) 중 조립 과정에서 최외측(벽체에 대응)에 설치되는 이동형 칸막이(200)는 상기 벽체에 대응되는 몰딩에 고정되는 삽입몰딩(3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몰딩(300)은 벽체(W)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대(310) 및 일 단부가 상기 지지대(3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몰딩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프레임(320)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322)이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22)에는 가스켓(도시되지 않음)이 고정되어 연결프레임(320)과 몰딩(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경계부를 패킹할 수 있다.
도 8은 벽체에 대응되는 이동형 칸막이의 몰딩이 돌출부를 갖는 경우(도시되지 않음)의 연결 프레임을 도시한 것으로서, 끼움홈(322) 사이에 몰딩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지지대(310)를 벽체(W)에 설치한 후, 벽체와의 기울기 오차 및 간격을 조정하여, 연결프레임(320)의 내부에 지지대(310)를 위치시킨 후, 나사못 등으로 연결프레임(320)과 지지대(3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나사못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프레임의 체결부위(324)를 내측으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벽체(W)에 발생된 기울기 오차 및 간격을 조정하여 이동형 칸막이와 벽체 사이에 정밀한 접합이 가능하므로, 틈새 발생에 의한 기밀성 및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 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구성하는 고정지지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구성하는 마감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일부 구성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칸막이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몰딩을 나타내는 단면도.

Claims (7)

  1. 다각형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 충진재, 상기 충진재의 양 표면에 배치된 표면재, 상기 프레임의 상, 하단에 각각 장착된 고정지지대, 고정지지대 내부에 삽입되는 기밀유지구 및 일 종단부가 상기 고정지지대에 끼움 장착되며 표면재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덮기 위한 마감캡을 포함하되,
    상기 마감캡은 일 종단부에 고정지지대에 끼움 결합을 위한 제 1 및 제 2끼움 돌출부, 내부에 중공부 및 타 종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는 마감캡의 타 종단부와 표면재의 경계부를 패킹하기 위한 가스켓이 끼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칸막이.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지지대에는 일 종단부에 마감캡의 제1 및 제2끼움 돌출부에 대응되는 제3 및 제4 끼움돌출편이 형성되고, 복수의 공간부를 갖도록 다격실 끼움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칸막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격실 끼움 절곡부에 끼움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칸막이.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지지대의 내면에는 제 1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기밀유지구의 양 측면에도 상기 고정지지대의 제 1단차 구조에 대응되는 제 2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제 1 및 제 2단차 구조의 결합에 의하여 상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칸막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측단에 각각 고정된 몰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몰딩은 돌출부 또는 이에 대응되는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칸막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몰딩에 고정되는 삽입몰딩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삽입몰딩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대 및 일 단부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몰딩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칸막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가스켓이 고정되어 연결프레임과 몰딩 사이의 경계부를 패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칸막이.
KR1020090025936A 2009-03-26 2009-03-26 이동형 칸막이 KR10105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36A KR101051050B1 (ko) 2009-03-26 2009-03-26 이동형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36A KR101051050B1 (ko) 2009-03-26 2009-03-26 이동형 칸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02A true KR20100107702A (ko) 2010-10-06
KR101051050B1 KR101051050B1 (ko) 2011-07-21

Family

ID=4312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936A KR101051050B1 (ko) 2009-03-26 2009-03-26 이동형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0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80B1 (ko) * 2010-12-22 2013-04-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건식욕실건조방법
WO2013081832A1 (en) * 2011-11-28 2013-06-06 Won-Door Corporation Header assemblies for movable partitions, movable partition systems including such heade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KR101519002B1 (ko) * 2014-02-20 2015-05-11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의 벽체 고정받이
KR101705134B1 (ko) * 2016-05-26 2017-02-09 이청종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11326B1 (ko) * 2019-11-20 2020-05-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동형 패널 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805Y1 (ko) 1996-10-24 1999-06-01 양상수 조립식 칸막이 설치구조
KR200405489Y1 (ko) 2005-10-21 2006-01-10 성우기술개발(주) 조립식 벽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80B1 (ko) * 2010-12-22 2013-04-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건식욕실건조방법
WO2013081832A1 (en) * 2011-11-28 2013-06-06 Won-Door Corporation Header assemblies for movable partitions, movable partition systems including such heade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9476248B2 (en) 2011-11-28 2016-10-25 Won-Door Corporation Movable partition systems including heade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KR101519002B1 (ko) * 2014-02-20 2015-05-11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의 벽체 고정받이
KR101705134B1 (ko) * 2016-05-26 2017-02-09 이청종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WO2017204453A1 (ko) * 2016-05-26 2017-11-30 이청종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AU2017270959B2 (en) * 2016-05-26 2020-03-12 Chung Jong Lee Prefabricated wall for interi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US10662646B2 (en) 2016-05-26 2020-05-26 Chung Jong Lee Prefabricated wall for interi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111326B1 (ko) * 2019-11-20 2020-05-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동형 패널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1050B1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050B1 (ko) 이동형 칸막이
KR101016315B1 (ko) 단열창호
KR101705134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JP5749453B2 (ja) 防音室構造
JP5239603B2 (ja) 内壁構造
KR102245237B1 (ko) 내진단열 구조를 갖는 외장 판넬 구조체
KR200447585Y1 (ko) 방음벽용 조립식 패널 구조
KR101539605B1 (ko) 건축자재용 샌드위치 판넬
KR200482936Y1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CN211774836U (zh) 一种装配式墙板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JP2018066154A (ja) 枠体角部構造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KR101251556B1 (ko) 원터치조립이 가능한 방음용 하우징
JP7176851B2 (ja) 建物の壁構造
KR200415080Y1 (ko) 다층건축물의 층간차음판
KR200163845Y1 (ko) 칸막이용 골조
KR100587926B1 (ko) 조립식 방음벽의 외장패널
KR200484403Y1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JP5312082B2 (ja) ガラス手摺りおよびガラス手摺りの施工方法
KR101456821B1 (ko) 조립식 방음 파티션
JP7348480B2 (ja) 間仕切り構造
KR200261572Y1 (ko) 내차판넬
KR101429021B1 (ko) 칸막이용 패널
JP2002256690A (ja) 巾木及びそれを利用した配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