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694A -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 Google Patents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694A
KR20100105694A KR1020107015870A KR20107015870A KR20100105694A KR 20100105694 A KR20100105694 A KR 20100105694A KR 1020107015870 A KR1020107015870 A KR 1020107015870A KR 20107015870 A KR20107015870 A KR 20107015870A KR 20100105694 A KR20100105694 A KR 2010010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polycondensation
organopolysiloxane
different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139B1 (ko
Inventor
크리스띠앙 말리베르네이
로랑 생-잘므
Original Assignee
블루스타 실리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스타 실리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블루스타 실리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0010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08G77/08Preparatory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08K5/57Organo-ti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2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C=C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축합에 의해 가교결합되는 탄성중합체로 실온에서 가황될 수 있고, 알킬주석계 촉매를 함유하지 않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ROOM-TEMPERATURE VULCANISABLE ORGANOPOLYSILOXANE COMPOUND TO GIVE AN ELASTOMER AND NOVEL ORGANOPOLYSILOXANE POLYCONDENSATION CATALYSTS}
본 발명은 중축합에 의해 가교결합되는 탄성중합체로 실온에서 가황될 수 있고 독성 문제를 나타내는 알킬주석계 촉매를 함유하지 않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 화학 분야에서의 신규한 중축합 촉매,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중축합을 통해 가교결합하는 탄성중합체 배합물은 실리콘 오일, 통상적으로 알콕시 말단을 갖기 위해 실란에 의해 임의적으로 예비관능화된 하이드록실 말단기를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 가교결합제, 중축합 촉매, 통상적으로는 주석염 또는 알킬 티타네이트, 보강재 및 다른 임의의 첨가제, 예컨대 벌크 충전제, 접착 촉진체, 착색제, 살균제 등을 통상 포함한다.
이들 실온 가황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잘 공지되어 있으며, 단일 성분 조성물 (RTV-1) 및 2 성분 조성물 (RTV-2) 의 서로 다른 2 그룹으로 분류된다.
가교결합 도중, 물 (RTV-1 조성물의 경우 대기 수분에 의한 것이거나 또는 RTV-2 조성물의 경우 조성물의 한 부분에 도입된 것) 은 중축합 반응을 가능하게 하여, 탄성 네트워크의 형성을 유발한다.
통상적으로, 단일 성분 (RTV-1) 조성물은 공기 중의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 가교결합하며, 다시 말해 밀폐된 매질에서는 가교결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실란트 또는 저온 경화성 접착제로서 사용된 단일 성분 실리콘 조성물은 아세톡시 실란, 케티민옥시실란, 알콕시실란 등의 유형의 반응성 관능기의 가수분해 후, 형성된 실란올기와 다른 잔여의 반응성 관능기 사이의 축합 반응의 매커니즘을 따른다. 상기 가수분해는 통상적으로 대기에 노출된 면으로부터 물질내로 확산되는 수증기에 의해 실행된다. 통상적으로, 중축합 반응의 반응 속도는 매우 느리며, 따라서 이들 반응은 적합한 촉매에 의해 촉진된다.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주석, 티타늄, 아민계 촉매 또는 이들 촉매의 조성물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주석계 촉매 (특히 FR-A-2 557 582) 및 티타늄계 촉매 (특히 FR-A-2 786 497) 가 가장 효과적인 촉매이다.
2 성분 조성물과 관련하여서는, 기본 중합체 물질을 함유하는 제 1 성분 및 촉매를 함유하는 제 2 성분의 2 가지 성분의 형태로 판매되어 보관된다. 상기 2 가지 성분은 사용시 혼합되는데, 그 혼합물은 비교적 경질 탄성중합체의 형태로 가교결합된다. 이들 2 성분 조성물은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Walter Noll 에 의한 서적 "Chemistry and Technology of Silicones" 1968, 2nd Edition, page 395 ~ 398 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조성물은 하기 4 개의 상이한 성분을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 반응성 α,ω-디하이드록시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
- 가교결합제, 통상적으로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실리케이트,
- 주석 촉매, 및
- 물.
통상적으로, 축합 촉매는 유기 주석 화합물계이다. 실제로, 많은 주석계 촉매가 이미 이들 RTV-2 조성물을 위한 가교결합 촉매로서 제안되어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된 화합물은 알킬주석 카르복실레이트, 예컨대 트리부틸주석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디알킬주석 디카르복실레이트, 예컨대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또는 디메틸주석 디라우레이트이다 (Noll 에 의한 서적 "Chemistry and Technology of silicones" page 337, Academic Press, 1968 - 2nd Edition 또는 특허 EP 147 323 또는 EP 235 049 참조).
한편, 알킬주석계 촉매는 매우 효과적이고, 통상 무색의 액체이고, 실리콘 오일에 가용성임에도 불구하고, 독성 (재생의 경우 CMR2 독성) 이 있다는 결점을 가진다.
또한 RTV-1 조성물에 널리 사용되는 티타늄계 촉매는 반응 속도가 주석계 촉매보다 느리다는 주요한 결점을 가진다. 또한, 이들 촉매는 겔화 문제 때문에 RTV-2 조성물에도 사용될 수 없다.
아연, 지르코늄 또는 알루미늄계 촉매와 같이 다른 촉매들이 언급되기도 하지만, 평범한 유효성 때문에 소규모의 산업적 개발만이 이루어졌을 뿐이다.
임의적으로 금속 알코올레이트 (성분 (E)), 특히 세륨 알코올레이트의 존재 하에 알콕시실란 (성분 (A)) 으로부터 형성된 코팅이 또한 참고문헌 WO 2006/041445, 36 페이지 18 ~ 35 라인에 기재되어 있다. 알콕시실란은 촉매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반응성 및 가교결합 능력이 높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9 페이지 17 라인에는 이들 금속 알코올레이트가 알콕시실란을 위한 촉매로서 임의적으로 사용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 참고문헌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가교결합성 조성물은 기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련해서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무독성 촉매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의 촉매에 관한 또다른 중요한 양태는 가사 시간 (pot life), 즉 조성물이 경화 없이 혼합 후 사용될 수 있는 동안의 시간이다. 이 시간은 사용되어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어야 하지만, 또한 제조된 후 늦어도 수 분 또는 수 시간에 취급될 수 있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짧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촉매는 촉매화된 혼합물의 가사 시간과 성형품이 취급될 수 있는 최종 시간 (이들 시간은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예컨대 성형 또는 씰 (seal) 의 제조에 따라 달라진다) 간의 우수한 절충안을 얻는 것이 가능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촉매는 촉매화된 혼합물에 보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전개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단일 성분 및 2 성분 탄성중합체 조성물의 가교결합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촉매를 발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된 목적은 2 가지 유형의 단일 성분 및 2 성분 탄성중합체 조성물의 보관, 가공 및 가교결합 상의 조건을 동시에 지속적으로 만족시키는 촉매를 제안하는 것이다.
현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이 발견되어, 본 발명의 대상을 이루게 되었으며,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중축합 반응을 거쳐 실리콘 탄성중합체로 경화가능한 실리콘 기재 B,
상기 실리콘 기재는
- 중축합을 거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할 수 있는 1 종 이상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가교결합제 D;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접착 촉진제 E; 및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실리카질 유기 및/또는 비실리카질 무기 충전제 F 를 포함하고; 및
- 촉매 유효량의 하기 식 (1) 의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인 1 종 이상의 중축합 촉매:
[M(L1)r1(L2)r2(Y)x] (1)
상기 식에서,
r1 ≥ 1, r2 ≥ 0 및 x ≥ 0;
M 은 세륨, 비스무트 및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나타내고;
L1 은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인 리간드를 나타내며, r1 ≥ 2 일 때 L1 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L2 는 L1 과 상이한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r2 ≥ 2 일 때 L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Y 는 중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x ≥ 2 일 때 Y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식 (1) 의 금속 착물 또는 염 A" 는 상기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의 임의의 올리고머 형태 또는 유사체를 포함하도록 정의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예기치 않게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우수한 촉매를 얻기 위해,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의 1 종 이상의 리간드인 특정 금속의 선택에 의한 금속 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알코올레이트 리간드를 갖는 특정한 금속의 착물이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에서 평범한 활성을 갖거나 또는 가교결합 작용이 없다고 알려진 기술적 편견을 극복하였다 (FR-1 423 477, 2 페이지).
리간드의 정의는 Didier Astruc 에 의한 "Chimie Organometallique" [Organometallic Chemistry], EDP Sicences 에 의해 2000 년 발행, 특히 Chapter 1, "Les complexes monometalliques" [Single metal complexes], pages 31 (이하 참조) 로부터 알 수 있다.
중성 리간드 Y 의 성질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해당 금속에 대해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중성 리간드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촉매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일 수 있다. 이는 또한 단독으로 혼입되거나 적절한 용매 중에 혼입될 수 있다. 용매 중에 혼입되는 경우, 실리콘 오일을 첨가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촉매를 실리콘 매질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득된 혼합물은 촉매 기재로서 작용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중축합 촉매는 하기 식 (1') 의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이다:
[M(L1)r1(L2)r2] (1')
상기 식에서,
r1 ≥ 1 및 r2 ≥ 0;
M 은 세륨, 비스무트 및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나타내고;
L1 은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인 리간드를 나타내며, r1 ≥ 2 일 때 L1 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L2 는 L1 과 상이한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r2 ≥ 2 일 때 L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중축합 촉매는 하기 식 (2) 내지 (4) 의 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이다:
(2): [Ce(L1)r3(L2)r4]; 여기서 r3 ≥ 1 및 r4 ≥ 0 및 r3 + r4 = 3;
(3): [Mo(L1)r5(L2)r6]; 여기서 r5 ≥ 1 및 r6 ≥ 0 및 r5 + r6 = 6;
(4): [Bi(L1)r7(L2)r8]; 여기서 r7 ≥ 1 및 r8 ≥ 0 및 r7 + r8 = 3;
상기 식에서,
L1 은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인 리간드를 나타내며, 리간드 L1 의 수 ≥ 2 일 때 L1 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L2 는 L1 과 상이한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리간드 L2 의 수 ≥ 2 일 때 L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중축합 촉매로서 하기 착물 (5) 내지 (1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착물 또는 염 A 가 사용된다:
(5): [Ce(OiPr)4] 여기서 ( OiPr ) = 이소프로필레이트 음이온;
(7): [Mo(O2)(2,3-부탄디올레이트)2];
(8): [Mo(O2)(에틸렌 글리콜레이트)2];
(9): [Mo(O2)(1,2-프로판디올레이트)2];
(10): [Mo(O2)(피난디올레이트)2];
(11): [Mo(O2)(1,3-프로판디올레이트)2];
(12): [Mo(O2)(meso-2,3-부탄디올레이트)2];
(13): [Mo(O2)(1,2-옥탄디올레이트)2]; 및
(14): [Bi(모노알릴 에틸렌 글리콜레이트)3].
본 발명의 독창적인 특징 중 적어도 한 부분은 중축합 촉매로서 사용되는 금속 착물 또는 염 A 를 한정된 조합에서 현명하고 유리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한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L1 은 하기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사이클로펜탄올, 사이클로헵탄올, 사이클로헥산올, s-부탄올, t-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옥탄올, 데칸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알릴 알코올, 디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피난디올, 1,3-프로판디올 및 1,2-옥탄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및 2,3-부탄디올로부터 유도된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인 리간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착물 A 의 구성 원소의 성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L2 가 하기 음이온: 플루오로(F-), 클로로(Cl-), 트리아이오도(1-)(I3)-, 디플루오로클로라토(1-)[ClF2]-, 헥사플루오로아이오다토(1-)[IF6]-, 옥소클로라토(1-)(CIO)-, 디옥소클로라토(1-)(CIO2)-, 트리옥소클로라토(1-)(CIO3)-, 테트라옥소클로라토(1-)(CIO4)-, 하이드록소(OH)-, 메르캅토(SH)-, 셀라니도(SeH)-, 하이퍼옥소(O2)-, 오조니도(O3)-, 하이드로디술피도(HS2)-, 메톡소(CH3O)-, 에톡소(C2H5O)-, 프로폭시도(C3H7O)-, 메틸티오(CH3S)-, 에탄티올라토(C2H5S)-, 2-클로로에탄올라토(C2H4CIO)-, 페녹시도(C6H5O)-, 페닐티오(C6H5S)-, 4-니트로페놀라토[C6H4(NO2)O]-, 포르마토(HCO2)-, 아세타토(CH3CO2)-, 프로피오나토(CH3CH2CO2)-, 니트리도(N3)-, 시아노(CN)-, 시아나토(NCO)-, 티오시아나토(NCS)-, 셀레노시아나토(NCSe)-, 아미도(NH2)-, 포스피노(PH2)-, 클로로아자니도(ClHN)-, 디클로로아자니도(Cl2N)-, [메탄아미나토(1-)](CH3NH)-, 디아제니도(HN=N)-, 디아자니도(H2N-NH)-, 디포스페니도(HP=P)-, 포스포니토(H2PO)-, 포스피나토(H2PO2)-, 카르복실라토, 에놀라토, 아미드, 알킬라토 및 아릴라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음이온성 리간드인 것을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L2 는 하기 음이온: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이소부티레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벤조에이트, 2-에틸헥사노에이트, 스테아레이트, 메톡사이드, 에톡사이드, 이소프로폭사이드, tert-부톡사이드, tert-펜톡사이드, 8-하이드록시퀴놀리네이트, 나프테네이트, 트로폴로네이트 및 옥시도 O2 -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성 리간드이다.
중성 리간드 Y 의 성질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해당 금속에 대해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중성 리간드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의 용도가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식 (5) 내지 (14) 의 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의 용도가 된다:
(5): [Ce(OiPr)4] 여기서 ( OiPr ) = 이소프로필레이트 음이온;
(7): [Mo(O2)(2,3-부탄디올레이트)2];
(8): [Mo(O2)(에틸렌 글리콜레이트)2];
(9): [Mo(O2)(1,2-프로판디올레이트)2];
(10): [Mo(OH)(피난디올레이트)2];
(11): [Mo(O2)(1,3-프로판디올레이트)2];
(12): [Mo(O2)(meso-2,3-부탄디올레이트)2];
(13): [Mo(O2)(1,2-옥탄디올레이트)2]; 및
(14): [Bi(모노알릴 에틸렌 글리콜레이트)3].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하나의 대상은 또한 하기 식의 신규한 화합물이다:
(10): [Mo(O2)(피난디올레이트)2]; 및
(14): [Bi(모노알릴 에틸렌 글리콜레이트)3].
본 발명에 따른 중축합 촉매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의 양은 단일 성분 또는 2 성분 제제이건 간에 총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이다.
실리콘 기재 B 의 설명:
중축합 반응을 거쳐 가교결합 및 경화하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기재는 잘 알려져 있다. 이들 기재는 특히 수 많은 특허 문헌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또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이들 실리콘 기재는 단일 성분 기재, 즉 단일 패키지로 포장되어 있으며, 수분 부재 하의 보관 기간 동안 안정하고, 수분, 특히 대기에 의해서나 사용 도중 기재 내에서 생성된 물에 의해 제공된 수분의 존재하에서 경화될 수 있는 기재이다.
단일 성분 기재 이외에, 2 성분 기재, 즉 2 개의 패키지로 포장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중축합 촉매가 혼입되자마자 경화되는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촉매의 혼입 후에, 별도의 두 부분으로 포장되는데, 이 중 하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촉매만 함유하거나, 또는 가교결합제와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실리콘 기재 B 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중축합을 거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할 수 있는 1 종 이상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가교결합제 D;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접착 촉진제 E; 및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실리카질 유기 및/또는 비실리카질 무기 충전제 F.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는 25 ℃ 에서 50 내지 5,000,000 mPa·s 의 점도를 갖는 α,ω-디하이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가교결합제 D 는 분자 당 규소원자에 결합된 2 개 초과의 가수분해성 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는 하이드록실 관능기를 갖는 전구체가 가수분해성 라디칼을 갖는 가교결합 실란과 축합함으로써 수득된 가수분해성 라디칼에 의해 말단 관능화될 수 있다.
가교결합제 (D) 로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 하기 일반식의 실란:
R1 kSi(OR2)(4-k)
(상기 식에서, R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탄소수 1 내지 8 의 알킬 라디칼,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또는 2-에틸헥실 라디칼, C3-C6 옥시알킬렌 라디칼을 나타내고, R1 은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계 기, 포화 또는 불포화 및/또는 방향족, 단환식 또는 다환식 탄소환식 기를 나타내고, k 는 0, 1 또는 2 이다); 및
- 이 실란의 부분 가수분해 생성물.
C3-C6 알콕시알킬렌 라디칼의 예로는, 하기 라디칼을 들 수 있다:
CH3OCH2CH2-
CH3OCH2CH(CH3)-
CH3OCH(CH3)CH2-
C2H5OCH2CH2CH2- .
R1 은 다음을 포함하는 C1-C10 탄화수소계 라디칼을 나타낸다:
- C1-C10 알킬 라디칼,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2-에틸헥실, 옥틸 또는 데실 라디칼;
- 비닐 및 알릴 라디칼; 및
- C5-C8 사이클로알킬 라디칼, 예컨대 페닐, 톨릴 및 자일릴 라디칼.
가교결합제 D 는 실리콘 시장에서 입수가능한 제품으로서, 또한 실온 경화성 조성물에서의 사용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프랑스 특허 FR-A-1 126 411, FR-A-1 179 969, FR-A-1 189 216, FR-A-1 198 749, FR-A-1 248 826, FR-A-1 314 649, FR-A-1 423 477, FR-A-1 432 799 및 FR-A-2 067 636 에 나타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교결합제 D 중에서, 유기 라디칼이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 라디칼인, 알킬트리알콕시실란, 알킬 실리케이트 및 알킬 폴리실리케이트가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가교결합제 D 의 다른 예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란을 들 수 있다:
-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메틸트리메톡시실란;
- 에틸트리메톡시실란;
- 비닐트리에톡시실란;
- 메틸트리에톡시실란;
- 비닐트리에톡시실란;
-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 테트라에톡시실란;
- 테트라프로폭시실란;
- 1,2-비스(트리메톡시실릴)에탄;
- 1,2-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 및
-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또는
CH3Si(OCH3)3; C2H5Si(OC2H5)3; C2H5Si(OCH3)3
CH2=CHSi(OCH3)3; CH2=CHSi(OCH2CH2OCH3)3
C6H5Si(OCH3)3; [CH3][OCH(CH3)CH2OCH3]Si[OCH3]2
Si(OCH3)4; Si(OC2H5)4; Si(OCH2CH2CH3)4; Si(OCH2CH2CH2CH3)4  
Si(OC2H4OCH3)4; CH3Si(OC2H4OCH3)3; CICH2Si(OC2H5)3.
가교결합제 D 의 다른 예로는 에틸 폴리실리케이트 또는 n-프로필 폴리실리케이트를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중축합을 거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할 수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C 100 중량부 당 0.1 내지 60 중량부의 가교결합제 D 가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 종 이상의 접착 촉진제 E, 예를 들어,
(1) 규소원자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가수분해성 기, 및
(2)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및 알케닐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라디칼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유기 기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모두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닐트리메톡시실란 (VTMO);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GLYMO);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MEMO);
[H2N(CH2)3]Si(OCH2CH2CH3)3;
[H2N(CH2)3]Si(OCH3)3;
[H2N(CH2)3]Si(OC2H5)3;
[H2N(CH2)4]Si(OCH3)3;
[H2NCH2CH(CH3)CH2CH2]SiCH3(OCH3)2;
[H2NCH2]Si(OCH3)3;
[n-C4H9-HN-CH2]Si(OCH3)3;
[H2N(CH2)2NH(CH2)3]Si(OCH3)3;
[H2N(CH2)2NH(CH2)3]Si(OCH2CH2OCH3)3;
[CH3NH(CH2)2NH(CH2)3]Si(OCH3)3;
[H(NHCH2CH2)2NH(CH2)3]Si(OCH3)3;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또는 이러한 유기 기를 20 % 초과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올리고머.
단일 성분 또는 2 성분 기재의 경우, 무기 충전제 F 로서, 평균 입경이 0.1 ㎛ 미만인 매우 미분화된 제품이 사용된다. 이들 충전제는 퓸드 실리카 및 침전 실리카를 포함하며, 그의 BET 비표면적은 통상 40 m2/g 를 초과한다. 또한, 이들 충전제는 평균 입경이 0.1 ㎛ 를 초과하는 조(粗) 분화된 제품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전제의 예로는, 분쇄 석영, 규조토, 탄산칼슘, 소성 점토, 루틸형 티타늄 옥사이드, 철, 아연, 크로뮴, 지르코늄 또는 마그네슘 옥사이드, 다양한 형태의 알루미나 (수화 또는 미수화), 질화붕소, 리소폰, 바륨 메타보레이트, 바륨 설페이트 및 유리 마이크로비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비표면적은 통상적으로 30 m2/g 미만이다.
이들 충전제는 이 목적으로 관용되는 다양한 유기규소 화합물로의 처리에 의해 표면 개질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유기규소 화합물은 오르가노클로로실란, 디오르가노사이클로폴리실록산, 헥사오르가노디실록산, 헥사오르가노디실라잔 또는 디오르가노사이클로폴리실라잔일 수 있다 (프랑스 특허 FR-A-1 126 884, FR-A-1 136 885 및 FR-A-1 236 505, 및 영국 특허 GB-A-1 024 234). 처리된 충전제는 대부분의 경우 3 내지 30 중량% 의 유기규소 화합물을 함유한다. 상기 충전제는 다양한 입자 크기의 여러 유형의 충전제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40 m2/g 초과의 BET 비표면적을 갖는 미분화된 실리카 30 내지 70% 및 30 m2/g 미만의 비표면적을 갖는 조분화된 실리카 70 내지 30% 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제의 도입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생성된 탄성중합체에 우수한 기계적 및 유동학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충전제와 조합하여,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탄성중합체의 내열성 (토금속 원소의 염 및 산화물, 예컨대 산화세륨 및 수산화세륨) 및/또는 내화성을 개선시키는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 출원 WO 98/29488 호에 기재된 산화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내화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제제 중에는, 할로겐화 유기 유도체, 유기 인 유도체, 백금 유도체, 예컨대 염화백금산 (알칸올 또는 에테르와의 그의 반응 생성물), 또는 염화제1백금 올레핀 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료 및 제제는 함께 충전제 중량의 20% 이하를 차지한다.
다른 관용의 보조제 및 첨가제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 조성물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실리콘 기재는,
- 중축합을 거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할 수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100 부;
- 가교결합제 D 0 내지 20 부;
- 접착 촉진제 E 0 내지 20 부; 및
- 충전제 F 0 내지 50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요 구성 성분 외에, 비반응성 선형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중합체 G 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물리적 특징 및/또는 이들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생성된 탄성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작용시킬 목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들 비반응성 선형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중합체 G 는 잘 알려져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오르가노실록시 단위 및 1% 이상의 모노오르가노실록시 및/또는 실록시 단위로 본질적으로 형성된 25 ℃ 에서 10 mPa·s 이상의 점도를 갖는 α,ω-비스(트리오르가노실록시)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며, 규소원자에 결합된 유기 라디칼은 메틸, 비닐 및 페닐 라디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 유기 라디칼의 60% 이상이 메틸 라디칼이고 10% 이하가 비닐 라디칼이다. 이들 중합체의 점도는 25 ℃ 에서 수천만의 mPa·s 에 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동성 내지 점성의 외관을 갖는 오일 및 연질 내지 경질의 검을 포함한다. 이들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랑스 특허 FR-A-978 058, FR-A-1 025 150, FR-A-1 108 764 및 FR-A-1 370 884 에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기법에 따라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25 ℃ 에서 10 mPa·s 내지 1000 mPa·s 의 범위의 점도를 갖는 α,β-비스(트리메틸실록시)디메틸폴리실록산 오일이 사용된다. 이들 중합체는 가소화제로서 작용하며, 중축합을 거쳐 가교결합할 수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의 100 부 당, 70 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부의 비율로 도입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1 종 이상의 실리콘 수지 H 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수지는 잘 알려져 있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분지형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합체이다. 이들은 분자 당 R'''3SiO1 /2 (M 단위), R'''2SiO2 /2 (D 단위), R'''SiO3 /2 (T 단위) 및 SiO4 /2 (Q 단위) 로부터 선택된 2 개 이상의 상이한 단위를 갖는다. R''' 라디칼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 또는 비닐, 페닐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라디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라디칼은 탄소원자를 1 개부터 6 개까지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tert-부틸 및 n-헥실 라디칼의 알킬 R 라디칼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실화되고, 이 경우 하이드록실 기의 중량 함량은 5 내지 500 meq/100 g 이다.
수지의 예로는 MQ 수지, MDQ 수지, TD 수지 및 MDT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단일 성분 조성물의 경우, 열 공급의 유무에 상관없이, 수분이 없는 환경 하에, 전술한 보조제 및 첨가제가 임의적으로 첨가된 여러 기본적인 구성 성분을 친밀하게 혼합할 수 있는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들 모든 성분들은 임의의 도입 순서로 장비에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선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오일 C 및 충전제 F 를 혼합한 후, 수득된 페이스트에 가교결합제 D, 화합물 E 및 본 발명에 따른 촉매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오일 C, 가교결합제 D, 화합물 E 및 충전제 F 를 혼합하고,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촉매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 작업 도중, 휘발성 물질의 제거를 촉진시키기 위해 혼합물을 대기압 하 또는 감압 하에 50 내지 180 ℃ 의 범위내 온도에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성분 조성물은, 다시 말해 희석되지 않거나, 희석액 중의 분산액의 형태로서, 물의 부재 하의 보관 기간 동안 안정하고, 물의 존재 하에 저온에서 (분산액의 경우 용매 제거 후) 경화되어 탄성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사용된다.
고체 기재 상으로의 조성물의 침착 후, 습윤 분위기에서 탄성중합체로의 경화 과정이 침착된 물질의 외부에서부터 내부로 일어나는 것이 관찰된다. 우선, 표면에서 막이 형성된 후, 안쪽에서 가교결합이 이어진다. 막 형성이 완결되어 점성이 없는 표면이 형성되기까지 수 분의 기간을 요하는데, 이 기간은 조성물을 둘러싸는 분위기의 상대적 습도 및 후자의 가교결합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침착 층의 안쪽 경화는 형성된 탄성중합체를 이형 (離型) 및 취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더욱 긴 시간을 요한다. 사실상, 이 기간은 점성이 없는 표면이 형성되는 것에 관해 상기에서 언급한 요인 뿐만 아니라 통상 0.5 mm 내지 수 cm 인 침착 층의 두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단일 성분 조성물은 건설업에서의 접합, 가장 다양한 재료 (금속, 플라스틱, 천연 및 합성 고무, 나무, 판자, 도기, 벽돌, 세라믹, 유리, 돌, 콘크리트 및 석조 개체) 의 조립, 전도체의 절연, 전기회로의 포팅 (potting), 또는 합성 수지 또는 발포체로 만든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주형의 제작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 성분 조성물은 적합한 장비에서 여러 구성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균질한 조성물을 얻기 위해, 중합체 A 를 충전제 C 와 우선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전제를 오일에 의해 완전히 젖도록 하기 위해 전체 혼합물을 80 ℃ 초과의 온도에서 30 분 이상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수득된 혼합물에, 바람직하게는 온도를 80 ℃ 미만, 예를 들어 대략 실온으로 하여, 다른 구성 성분, 즉 가교결합제, 촉매 및 임의적으로 여러 첨가제 및 부형제, 및 물 까지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컨대 건설업 또는 운송업 (예: 자동차, 항공우주, 철도, 해양, 항공 산업) 에서의 접합 및/또는 결합, 가장 다양한 재료 (금속, 플라스틱, 천연 및 합성 고무, 나무, 판자, 폴리카보네이트, 도기, 벽돌, 세라믹, 유리, 돌, 콘크리트, 석조 개체) 의 조립, 전도체의 절연, 전기회로의 포팅, 및 합성 수지 또는 발포체로 만든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주형의 제작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혼합되어지는 P1 및 P2 의 2 개의 개별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이 중 한 부분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착물 또는 염 A, 및 가교결합제 D 를 포함하고, 다른 부분은 전술한 종을 갖지 않고,
- 중축합을 거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할 수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100 중량부 당;
- 물 0.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축합 반응을 거쳐 실리콘 탄성중합체로 가황될 수 있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전구체인 2 성분 시스템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 알콕시, 옥심, 아실 및/또는 에녹시 유형, 바람직하게는 알콕시 유형의 관능화된 말단을 갖는 1 종 이상의 가교결합성 선형 폴리오르가노폴리실록산;
- 충전제; 및
-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착물 A 인 중축합 반응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부재 하의 보관 기간 동안 안정하며, 물의 존재하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하는 단일 성분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조성물이 된다.
단일 성분 기재는 예를 들어 참조로서 인용된 특허 EP 141 685, EP 147 323, EP 102 268, EP 21 859, FR 2 121 289 및 FR 2 121 631 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단일 성분 기재에,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아미노, 우레이도,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알케닐, 이소시아누레이트, 히단토일, 구아니디노 및 메르캅토에스테르 라디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로 치환된 유기기, 및 다른 한편으로는 가수분해성 기, 통상적으로 규소 원자에 결합된 알콕시 기를 동시에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접착 촉진제 E 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착제의 예는 미국 특허 US 3 517 001, US 4 115 356, US 4 180 642, US 4 273 698, US 4 356 116 및 유럽 특허 EP 31 996 및 EP 74 001 에 기재되어 있다.
2 성분 기재는 예를 들어 참조로서 인용된 특허 EP 118 325, EP 117 772, EP 10 478, EP 50 358, EP 184 966, US 3 801 572 및 US 3 888 815 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대상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의 용도가 된다.
본 발명의 마지막 대상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 성분 시스템, 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가교결합 및 경화에 의해 수득된 탄성중합체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나타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촉매 합성
촉매 (10) 의 합성: [Mo(O2)(피난디올레이트)2]
사이클로헥산 20 ml 중의 몰리브데닐 아세틸아세토네이트 (1.2 g) 4 mmol 의 현탁액에 피난디올 (2.72 g) 16 mmol 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1 시간 30 분 후, 매질은 투명한 주황색으로 바뀌었고, 그 다음 밝은 황색 고체가 형성되었다. 3 시간 30 분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수득된 고체를 사이클로헥산 중에서 재결정화하여 1.5 g 의 밝은 황색 고체의 몰리브데닐 피난디올레이트를, 751 nm 에서의 특징적인 IR 밴드에 근거하여, 그의 탈수된 이량체 [MoOH(피난디올레이트)2]2O 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Sheldon, Recl. Trav. Chim. Pays Bas, 92, 253 (1973) 에 따름).
Mo 산출치: 20.97%, 실측치 (ICP) 16.0% (생성물은 피난디올을 함유)
촉매 (14) 의 합성: [Bi(모노알릴 에틸렌 글리콜레이트)3]
무수 THF 50 ml 중의 수소화나트륨 48 mmol 의 현탁액에 15 분에 걸쳐 에틸렌 글리콜 모노알릴 에테르 (5.31 g) 48 mmol 을 첨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동 용매 100 ml 중의 비스무트 트리클로라이드 (5.04 g) 16 mmol 의 용액에 10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균질한 갈색 용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갈색 고체를 헥산에 녹이고,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였다. 용매 증발 후, 갈색 액체를 수득하였다 (5.2 g).
Bi 산출치: 40.78%, 실측치 (ICP) 32.5% (분리된 생성물은 에틸렌 글리콜 모노알릴 에테르를 함유)
IR: 2844, 1347, 1066, 993, 918.
실시예 2: 초기 시험
신규한 분자의 촉매 활성을 입증하기 위해, 2 가지 간단한 시험이 진행되었다.
2 가지 시험에서는 하기 절차를 따랐다:
- 관능화된 또는 미관능화된 오일, 이어서 촉매, 이어서 RTV2 조성물의 경우에는 가교결합제, 이어서 임의적으로 물을 연속적으로 마그네틱 스터러 바가 장착된 입구가 작은 원통형 용기에 넣고, 300 rpm 으로 교반하였다. 대략 1000 cP (또는 mPa) 의 점도에 상응하는 교반을 멈춘 시간, 이어서 오일이 더 이상 흐르지 않는 시간, 점성이 없는 표면이 형성되는 스킨 오버 타임 (skin-over time) 및 코어 가교결합 시간을 측정하였다. 신규한 촉매의 활성을 가장 빠른 디알킬주석형 촉매 (Sn 당량으로 1.24 mmol) 중 하나인 테고카트 (Tegokat) 225 또는 테트라부틸디스탄녹산 디라우레이트와 비교하였다.
RTV2 시험:
시험종을 짧은 α,ω-디하이드록실화 폴리디메틸실록산 오일 (OH 함량에 대해 1/2 당량, 100 mPa·s 의 점도, 48V100 오일) 과 접촉시킨 후, 가교결합제, 에틸 실리케이트 (1 당량/OH), 또는 동일한 부피의 "개량된" 에틸 실리케이트, 즉 에톡시폴리실록산의 혼합물 (이 경우 > 1 당량/OH) 을 첨가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양은 언급이 없는 한 다음과 같다:
- 0.553 mmol OH/g 을 갖는 48V100 오일 4.48 g (점도 : 100 cP 또는 mPa);
- 시험종 1.24 mmol (1/2 당량/OH);
- 90 ㎕ 의 물 (2 당량/OH) 의 존재 또는 부재 하의 에틸 실리케이트 (1 당량/OH) 0.52 g, 또는 에틸 실리케이트와 동일한 부피의 "개량된" 실리케이트 (=0.82 g).
RTV1 시험:
앞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오일을 비닐트리메톡시실란 (VTMO) 으로 미리 관능화시키고; 시험종을 앞에서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이 오일과 접촉시킨 후, 물 2 당량을 첨가하였다 (2 당량/초기 OH).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양은 언급이 없는 한 다음과 같다:
- VTMO-관능화된 48V100 오일 4.77 g;
- 시험종 1.24 mmol (1/2 당량/OH);
- 물 90 ㎕ (교반 1 분 후 첨가 = t0).
RTV1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RTV2 시험 (에틸 실리케이트 가교결합제) 의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RTV2 시험 ("개량된 실리케이트" 가교결합제) 의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3: RTV1 RTV2 조성물을 위한 페이스트 시험
이 후, 특정 촉매를 "페이스트"로서 알려진 클로저 시스템에서 시험하였다.
RTV1 조성물에서, 사용된 페이스트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0.066% 의 OH 를 함유하는 점도가 20,000 cP 인 α,ω-디하이드록실레이트화 오일 3464 g 과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20 g 과의 혼합물에, 2 중량% 의 메탄올 중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용액 16 g 을 교반하에 첨가하고, 5 분 후, AE55 퓸드 실리카 400 g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액화시킨 후 수분 없는 환경 하에 보관하였다.
각 시험에 대해, 시험 촉매를 이 페이스트 50 g 과 혼합한 후, 촉매 가능성을 3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 2 mm 막 상에서 표면 가교결합이 관찰되는 최종 시간, 스킨 오버 타임 (SOT);
- 48 시간에서의 점성 느낌의 지속성;
- 소정 조건 (23 ℃ 및 50% 상대 습도) 하에서의 시간 증가 (2, 3, 4, 7 및 14 일) 에 따른 6 mm 두께의 비드의 경도 (쇼어 A 경도). 또한, 고온 안정성을 실온에서 7일, 이어서 100 ℃ 에서 7 일 후에 비드 상에서 실시된 경도 측정에 의해 평가하였다.
주의: 쇼어 경도를 6 mm 비드 상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표에서 기호 ">" 는 비드의 상부에서 측정된 경도 값에 해당하는 것이고, 기호 "<" 는 상부보다 대기에 덜 노출되는 비드의 하부에서 측정된 경도 값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촉매를 시험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다음 물질을 상기와 같이 시험하였다:
- 주석계 촉매: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DBTDL).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RTV2 조성물에서, 점성의 디하이드록실화 오일 (48V14000) 과 촉매를 첨가시켜 혼합한 개량된 실리케이트 가교결합제 (오일 22.5 g 당 1 g) 와의 혼합물에서 직접 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가사 시간 (혼합물의 점성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최종 시간) 을 측정한 후, 다른 혼합물에서 시작하여, 6 mm 의 두께를 갖는 슬러그를 시간에 따른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주조하였다.
주의: 쇼어 경도를 6 mm 슬러그 상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표에서 기호 ">" 는 슬러그의 상부에서 측정된 경도 값에 해당하는 것이고, 기호 "<" 는 상부보다 대기에 덜 노출되는 슬러그의 하부에서 측정된 경도 값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비교를 위해 다음 물질을 상기와 같이 시험하였다:
- 주석계 촉매: 디메틸주석 디네오데카노에이트 (UL28).
결과를 하기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Claims (13)

  1. 다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 중축합 반응을 거쳐 실리콘 탄성중합체로 경화가능한 실리콘 기재 B,
    상기 실리콘 기재는
    - 중축합을 거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할 수 있는 1 종 이상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가교결합제 D;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접착 촉진제 E; 및
    - 임의적으로 1 종 이상의 실리카질 유기 및/또는 비실리카질 무기 충전제 F 를 포함하고; 및
    - 촉매 유효량의 하기 식 (1) 의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인 1 종 이상의 중축합 촉매:
    [M(L1)r1(L2)r2(Y)x] (1)
    상기 식에서,
    r1 ≥ 1, r2 ≥ 0 및 x ≥ 0;
    M 은 세륨, 비스무트 및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나타내고;
    L1 은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인 리간드를 나타내며, r1 ≥ 2 일 때 L1 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L2 는 L1 과 상이한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r2 ≥ 2 일 때 L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Y 는 중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x ≥ 2 일 때 Y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중축합 촉매가 하기 식 (1') 의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M(L1)r1(L2)r2] (1')
    상기 식에서,
    r1 ≥ 1 및 r2 ≥ 0;
    M 은 세륨, 비스무트 및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나타내고;
    L1 은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인 리간드를 나타내며, r1 ≥ 2 일 때 L1 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L2 는 L1 과 상이한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r2 ≥ 2 일 때 L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중축합 반응을 거쳐 실리콘 탄성중합체로 경화가능한 실리콘 기재 B, 및 다른 한편으로는 하기 식 (2) 내지 (4) 의 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인 1 종 이상의 중축합 촉매를 촉매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2): [Ce(L1)r3(L2)r4]; 여기서 r3 ≥ 1 및 r4 ≥ 0 및 r3 + r4 = 3;
    (3): [Mo(L1)r5(L2)r6]; 여기서 r5 ≥ 1 및 r6 ≥ 0 및 r5 + r6 = 6;
    (4): [Bi(L1)r7(L2)r8]; 여기서 r7 ≥ 1 및 r8 ≥ 0 및 r7 + r8 = 3;
    상기 식에서,
    L1 은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인 리간드를 나타내며, 리간드 L1 의 수 ≥ 2 일 때 L1 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L2 는 L1 과 상이한 음이온성 리간드를 나타내며, 리간드 L2 의 수 ≥ 2 일 때 L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1 이 하기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사이클로펜탄올, 사이클로헵탄올, 사이클로헥산올, s-부탄올, t-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옥탄올, 데칸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알릴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피난디올, 1,3-프로판디올 및 1,2-옥탄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및 2,3-부탄디올과 같은 디올로부터 유도된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알코올레이트 음이온인 리간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중축합 반응을 거쳐 실리콘 탄성중합체로 경화가능한 실리콘 기재 B, 및 다른 한편으로는 하기 착물 (5) 내지 (1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인 1 종 이상의 중축합 촉매를 촉매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5): [Ce(OiPr)4] 여기서 ( OiPr ) = 이소프로필레이트 음이온;
    (7): [Mo(O2)(2,3-부탄디올레이트)2];
    (8): [Mo(O2)(에틸렌 글리콜레이트)2];
    (9): [Mo(O2)(1,2-프로판디올레이트)2];
    (10): [Mo(OH)(피난디올레이트)2];
    (11): [Mo(O2)(1,3-프로판디올레이트)2];
    (12): [Mo(O2)(meso-2,3-부탄디올레이트)2];
    (13): [Mo(O2)(1,2-옥탄디올레이트)2]; 및
    (14): [Bi(모노알릴 에틸렌 글리콜레이트)3].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2 가 하기 음이온: 플루오로(F-), 클로로(Cl-), 트리아이오도(1-)(I3)-, 디플루오로클로라토(1-)[ClF2]-, 헥사플루오로아이오다토(1-)[IF6]-, 옥소클로라토(1-)(CIO)-, 디옥소클로라토(1-)(CIO2)-, 트리옥소클로라토(1-)(CIO3)-, 테트라옥소클로라토(1-)(CIO4)-, 하이드록소(OH)-, 메르캅토(SH)-, 셀라니도(SeH)-, 하이퍼옥소(O2)-, 오조니도(O3)-, 하이드로디술피도(HS2)-, 메톡소(CH3O)-, 에톡소(C2H5O)-, 프로폭시도(C3H7O)-, 메틸티오(CH3S)-, 에탄티올라토(C2H5S)-, 2-클로로에탄올라토(C2H4CIO)-, 페녹시도(C6H5O)-, 페닐티오(C6H5S)-, 4-니트로페놀라토[C6H4(NO2)O]-, 포르마토(HCO2)-, 아세타토(CH3CO2)-, 프로피오나토(CH3CH2CO2)-, 니트리도(N3)-, 시아노(CN)-, 시아나토(NCO)-, 티오시아나토(NCS)-, 셀레노시아나토(NCSe)-, 아미도(NH2)-, 포스피노(PH2)-, 클로로아자니도(ClHN)-, 디클로로아자니도(Cl2N)-, [메탄아미나토(1-)](CH3NH)-, 디아제니도(HN=N)-, 디아자니도(H2N-NH)-, 디포스페니도(HP=P)-, 포스포니토(H2PO)-, 포스피나토(H2PO2)-, 카르복실라토, 에놀라토, 아미드, 알킬라토 및 아릴라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성 리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L2 가 하기 음이온: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이소부티레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벤조에이트, 2-에틸헥사노에이트, 스테아레이트, 메톡사이드, 에톡사이드, 이소프로폭사이드, tert-부톡사이드, tert-펜톡사이드, 8-하이드록시퀴놀리네이트, 나프테네이트, 트로폴로네이트 및 옥시도 O2 -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성 리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8.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혼합되어지는 P1 및 P2 의 2 개의 개별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이 중 한 부분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 착물 또는 염 A, 및 가교결합제 D 를 포함하고, 다른 부분은 전술한 종을 갖지 않고,
    - 중축합을 거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할 수 있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오일 C 100 중량부 당;
    - 물 0.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축합 반응을 거쳐 실리콘 탄성중합체로 경화될 수 있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의 전구체인 2 성분 시스템.
  9. - 알콕시, 옥심, 아실 및/또는 에녹시 유형, 바람직하게는 알콕시 유형의 관능화된 말단을 갖는 1 종 이상의 가교결합성 선형 폴리오르가노폴리실록산;
    - 충전제; 및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인 중축합 반응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부재 하의 보관 기간 동안 안정하며, 물의 존재하에 탄성중합체로 가교결합하는 단일 성분 폴리오르가노실록산 조성물.
  10. 제 8 항에 기재된 2 성분 시스템, 또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가교결합 및 경화에 의해 수득된 탄성중합체.
  11.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 착물 또는 염 A 의 용도.
  12. 하기 식 (5) 내지 (14) 의 화합물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중축합 반응을 위한 촉매로서의 용도:
    (5): [Ce(OiPr)4] 여기서 ( OiPr ) = 이소프로필레이트 음이온;
    (7): [Mo(O2)(2,3-부탄디올레이트)2];
    (8): [Mo(O2)(에틸렌 글리콜레이트)2];
    (9): [Mo(O2)(1,2-프로판디올레이트)2];
    (10): [Mo(OH)(피난디올레이트)2];
    (11): [Mo(O2)(1,3-프로판디올레이트)2];
    (12): [Mo(O2)(meso-2,3-부탄디올레이트)2];
    (13): [Mo(O2)(1,2-옥탄디올레이트)2]; 및
    (14): [Bi(모노알릴 에틸렌 글리콜레이트)3].
  13. 하기 식의 화합물:
    (10): [Mo(OH)(피난디올레이트)2]; 및
    (14): [Bi(모노알릴 에틸렌 글리콜레이트)3].
KR1020107015870A 2007-12-20 2008-11-18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KR101249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8921 2007-12-20
FR0708921A FR2925513A1 (fr) 2007-12-20 2007-12-20 Composition organopolysiloxanique vulcanisable a temperature ambiante en elastomere et nouveaux catalyseurs de polycondensation d'organopolysiloxanes.
PCT/FR2008/001771 WO2009106721A2 (fr) 2007-12-20 2008-12-18 Composition organopolysiloxanique vulcanisable a temperature ambiante en elastomere et nouveaux catalyseurs de polycondensation d'organopolysiloxan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365A Division KR20130000429A (ko) 2007-12-20 2008-11-18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94A true KR20100105694A (ko) 2010-09-29
KR101249139B1 KR101249139B1 (ko) 2013-03-29

Family

ID=395963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365A KR20130000429A (ko) 2007-12-20 2008-11-18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KR1020107015870A KR101249139B1 (ko) 2007-12-20 2008-11-18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365A KR20130000429A (ko) 2007-12-20 2008-11-18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42226B2 (ko)
EP (1) EP2222775B1 (ko)
JP (1) JP5401674B2 (ko)
KR (2) KR20130000429A (ko)
CN (1) CN101939369B (ko)
FR (1) FR2925513A1 (ko)
WO (1) WO20091067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5510A1 (fr) * 2007-12-20 2009-06-26 Bluestar Silicones France Soc Composition organopolysiloxanique vulcanisable a temperature ambiante en elastomere et nouveaux catalyseurs de polycondensation d'organopolysiloxanes.
FR2925514A1 (fr) * 2007-12-20 2009-06-26 Bluestar Silicones France Soc Composition organopolysiloxanique vulcanisable a temperature ambiante en elastomere et nouveaux catalyseurs de polycondensation d'organopolysiloxanes.
EP2492323A1 (en) 2011-02-23 2012-08-29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Biofouling resistant composition
WO2013025887A2 (en) * 2011-08-17 2013-02-21 Dow Corning Corporation Bismuth containing complex and condensation reaction catalysts, methods for preparing the catalyst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catalysts
WO2013024106A1 (en) 2011-08-18 2013-02-21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Fouling-resistant composition comprising sterols and/or derivatives thereof
US9139699B2 (en) 2012-10-04 2015-09-22 Dow Corning Corporation Metal containing condensation reaction catalysts, methods for preparing the catalyst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catalysts
JP5972990B2 (ja) 2011-11-10 2016-08-17 モー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インク 湿気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WO2013070227A1 (en) 2011-11-10 2013-05-16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Moisture curable composition of a polymer having silyl groups
CA2859353A1 (en) 2011-12-15 2013-06-20 Sumi Dinkar Moisture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EP2791265A4 (en) 2011-12-15 2016-01-13 Momentive Performance Mat Inc HUMIDITY-CURABLE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S
KR20140116885A (ko) 2011-12-29 2014-10-06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인크. 수분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DE102012204315A1 (de) 2012-03-19 2013-09-19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inoalkylalkoxysilanen
DE102012206489A1 (de) 2012-04-19 2013-10-24 Wacker Chemie Ag Härterzusammensetzungen für kondensationsvernetzende RTV-2-Systeme
MX2015010754A (es) 2013-02-26 2015-11-30 Akzo Nobel Coatings Int Bv Composiciones anti-suciedad con un polimero u oligomero que contiene un oxialquileno fluorado.
TW201434882A (zh) 2013-03-13 2014-09-16 Momentive Performance Mat Inc 可濕氣固化之有機聚矽氧烷組成物
EP2994501A2 (en) 2013-05-10 2016-03-16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Non-metal catalyzed room temperature moisture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JP5954255B2 (ja) * 2013-05-15 2016-07-2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シリコーン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6018031B2 (ja) 2013-09-30 2016-11-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該組成物の硬化物を用いた建築用シーラント、電気電子部品、及び自動車用オイルシール
ES2666412T3 (es) * 2013-12-03 2018-05-04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Método para revestir una capa envejecida de revestimiento sobre un sustrato y composición de revestimiento adecuada para usar en este método
US11401419B2 (en) 2016-08-26 2022-08-02 Shin-Etsu Chemical Co., Ltd. Dealcoholization room-temperature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and article sealed by cured product of same
EP3954747B1 (en) 2019-04-10 2023-11-22 Shin-Etsu Chemical Co., Ltd. Room-temperature-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for oil seal, and automotive par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4012A (en) * 1935-06-12 1938-04-12 Lever Brothers Ltd Aromatic mercury alcoholates of salts of hydroxy carboxylic acids
US2843555A (en) * 1956-10-01 1958-07-15 Gen Electric Room temperature curing organopolysiloxane
US3719634A (en) 1971-06-18 1973-03-06 Dow Corning Room temperature vulcanizable silicone elastomers containing metal hydrocarbonoxides
JP2000066004A (ja) * 1998-08-14 2000-03-03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膜およびそれを配置した表示装置
IL151390A (en) * 2000-02-28 2007-06-03 Adsil Lc Silane-based coating compositions, coated items extracted from them and methods of using them
JP2003119387A (ja) * 2001-10-10 2003-04-23 Shin Etsu Chem Co Ltd 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FR2856694B1 (fr) * 2003-06-25 2006-11-24 Rhodia Chimie Sa Compositions polyorganosiloxanes (pos) monocomposantes reticulant par des reactions de polycondensation en elastomeres a temperature ambiante et en presence d'eau, et elastomeres ainsi obtenus
WO2006041445A1 (en) * 2004-09-23 2006-04-20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Inc. Antimicrobial coatings for medical applications
FR2887552B1 (fr) * 2005-06-24 2007-10-12 Rhodia Chimie Sa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organopolysiloxanique vulcanisable des la temperature ambiante pour former un elastomere auto adher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9558A1 (en) 2011-01-13
JP2011509317A (ja) 2011-03-24
CN101939369A (zh) 2011-01-05
FR2925513A1 (fr) 2009-06-26
KR20130000429A (ko) 2013-01-02
CN101939369B (zh) 2012-12-05
WO2009106721A3 (fr) 2009-11-26
WO2009106721A2 (fr) 2009-09-03
EP2222775B1 (fr) 2016-04-13
JP5401674B2 (ja) 2014-01-29
WO2009106721A8 (fr) 2011-01-13
EP2222775A2 (fr) 2010-09-01
US8242226B2 (en) 2012-08-14
KR101249139B1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139B1 (ko)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KR101494979B1 (ko) 엘라스토머를 산출하도록 실온에서 가황될 수 있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KR101327589B1 (ko) 탄성중합체로의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JP5770151B2 (ja) エラストマーを得るための室温加硫可能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および新規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重縮合触媒
JP5470270B2 (ja) エラストマーに室温加硫可能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新規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重縮合触媒
KR101279300B1 (ko) 구아니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로서의 이의 용도
US8519079B2 (en) Compounds with guanidine structure and uses thereof as organopolysiloxane polycondensation catalysts
KR101487109B1 (ko) 엘라스토머로 실온 가황가능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및 신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중축합 촉매
US8278407B2 (en) RTV-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and novel organopolysiloxane polycondensation catalyst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