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840A -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840A
KR20100103840A KR1020107016243A KR20107016243A KR20100103840A KR 20100103840 A KR20100103840 A KR 20100103840A KR 1020107016243 A KR1020107016243 A KR 1020107016243A KR 20107016243 A KR20107016243 A KR 20107016243A KR 20100103840 A KR20100103840 A KR 2010010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onveying pipe
feed point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0111B1 (ko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075950A external-priority patent/FI20075950L/fi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0010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2Conveying concrete, e.g. for distributing same at building 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21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means for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r for removal of deposits

Abstract

쓰레기 반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 물질을 공급 및 반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시스템은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지점(61)과, 상기 공급지점(feed point:61)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파이프 (100)와, 반송대상물질을 반송공기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 기구(20)와, 적어도 물질의 반송과정 동안 반송파이프(100) 내에 압력차를 제공하는 수단(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어도 비우고자 하는 공급지점(61)에 있는 반송파이프(100)에 부압이 제공되며, 처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더 가까이 위치한 공급지점을 비우고 다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실질적으로 더 멀게 위치한 공급지점(61)을 비우는 비움 순서(emptying sequence)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이프(100)로 공급지점들이 비워진다.

Description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METHOD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7에 따른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반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활쓰레기의 반송과 같은 쓰레기 수집 및 반송에 관한 것이다.
흡인(suction)에 의하여 배관 내의 쓰레기가 반송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쓰레기는 흡인에 의하여 긴 거리를 반송된다. 그러한 시스템 중에서 다양한 시설들에서 쓰레기를 반송하기 위한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에는, 압력차를 만들어내기 위하여 진공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반송파이프 내에 부압(underpressure)을 제공하기 위하여, 진공펌프나 이젝터장치와 같은 진공생성기(vacuum generator)가 상기 장치에 구비된다. 상기 반송파이프 내에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밸브요소가 존재하며, 이 밸브요소를 개폐함에 의하여 반송파이프 내로 공급되는 보급공기(make-up air)가 조절된다. 상기 진공반송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높은 에너지 소비, 배관 내의 빠른 공기 흐름, 소음문제, 출구 파이프 내의 먼지와 미세 입자.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장치의 상기 문제들을 회피할 수 있는 물질반송시스템과 관련하여 완전히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물질 공급시의 소음문제를 감소할 수 있는 진공반송시스템용의 유용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의 공급지점(feed point)에서 반송파이프로의 물질공급이, 다음의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에 이르는 통로가 열리기 전에는 그 전의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에 이르는 통로가 닫혀지지 않는다는 특정의 순서로 제어된다는 기술적사상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비우고자 하는 공급지점에서의 반송파이프 내에 부압을 제공하는 단계와,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 기구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공급지점이 먼저 비워지고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 기구로부터 실질적으로 더 멀게 위치하는 공급지점이 다음에 비워지는 비움 순서(emptyimg sequence)를 이용하여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 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2~16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반송시스템은 청구항 1~16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도록 구성된 물질반송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수많은 중요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공급지점을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물질은 반송파이프로 효과적으로 이동되어 그 반송파이프 내에서 반송되며, 동시에 상기 시스템의 작동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물질반송시스템의 반송파이프를 작동구간들, 즉 부분적인 회로들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반송배관 내의 물질 반송 및 공급지점에서 반송파이프로의 비움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배관이 반송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순환되는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출구 공기의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동시에,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도 최소화된다. 부압을 유지하고 동시에 이를 송풍(blowing)함으로써, 회로 내의 효율적인 반송 공기의 순환 및 반송파이프 내의 물질 반송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출구 공기의 부피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동시에 출구 파이프내의 먼지와 미세 입자로 야기되는 문제들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선행기술에서 발생되는 소음문제도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배관 내에 축적되는 수분(moisture)도 최소화되며, 상기 배관은 그 배관 내의 순환 공기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공기가 안쪽으로 흡인되어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 또한 감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 자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물질반송시스템, 특히 쓰레기 물질반송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물질반송시스템의 근본적인 기본원리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61, 66은 반송되어야 하는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공급 스테이션(feed station)을 나타내며, 이 스테이션으로부터 반송되어야 하는 스테이션 물질, 특히 생활쓰레기와 같은 쓰레기 물질이 반송시스템으로 공급된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공급 스테이션(61,6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스테이션으로부터 반송되고자 하는 물질이 반송 배관(100,101,102,103,104)으로 공급된다. 전형적으로, 상기 반송 배관은 주반송파이프(100)를 포함하며 이 주반송파이프는 여러 개의 분기 반송파이프(101,102)와 연결될 수 있고, 이 분기 반송파이프들은 다시 공급파이프(103,104)를 통하여 여러 개의 공급 스테이션(61,66)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급 물질은 반송 배관(100,101,102,103,104)을 따라 반송되어 분리기(20)에 이르고, 상기 분리기에서 반송되는 물질은 예컨대 낙하율(dropping rate) 및 원심력에 의하여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물질은 필요하다면, 분리기(20)로부터 쓰레기 용기(51)와 같은 물질 용기로 제거되거나, 혹은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물질 용기는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쓰레기 압축기(compact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압축기로부터 물질은 쓰레기 용기(51)로 반송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분리기(20)는 물질 출구요소(21,24)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기(20)로부터, 반송파이프 내에 부압을 생성하는 부압생성수단(3)으로 파이프(105)가 연결되어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부압생성수단은 진공펌프 유니트(3)를 포함한다. 상기 부압생성수단에 의하여, 물질반송에 필요한 부압이 반송배관(100,101,102,103,104)에 제공된다. 상기 진공펌프 유니트(3)는 액츄에이터(31)에 의하여 작동되는 펌프(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4)를 더 포함하며, 이 유니트는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그 송풍측이 반송파이프(100)에 연결된다. 반송파이프(100)는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주반송파이프(100), 분리기 요소(20) 및 파이프(105,106)로 구성된 회로의 일부이다. 송풍기 유니트(4)는 송풍기 (40)와 그 액츄에이터(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풍기 유니트(4)의 송풍기(40)는 그 흡인측이 상기 분리기 기구(20)로부터 나온 파이프(105,106)에 연결된다. 따라서, 반송파이프(100)는 상기 송풍기(40)의 송풍측에 연결된다. 주반송파이프에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요소(69)가 배치되는 것이 전형적이며, 상기 밸브요소는 상기 송풍기(40)의 송풍방향으로 상기 송풍기 유니트(4)의 송풍기(40)와 공급 파이프(103) 및/또는 분기 반송파이프(101,102) 사이 부분에 배치된다. 송풍기는 또한 진공생성기와 함께 부압을 생성한다.
상기 밸브요소(64,69)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송풍기(40)는 반송파이프(100)의 송풍기와 밸브요소(69) 사이 부분에 대하여 압력을 상승시킨다. 마찬가지로, 진공생성기(3) 및/또는 송풍기(40)의 흡인측 상의 회로부분에는, 반송방향 및/또는 공기 유동방향에 거슬러 이동할 때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들(105,106), 분리기 기구(20) 그리고 분리기 기구로부터 밸브(69)까지의 주반송 파이프(100)의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69,64)와 반송파이프로 향하는 공급스테이션(61,66)의 밸브(60,65)가 닫혔을 때, 부압이 우세하게 작용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분기 반송파이프(102)가 상기 주반송파이프(100)의 압축측(pressure side)으로부터 주반송파이프의 흡인측으로 연장되어, 즉 작은 회로부를 형성한다. 상기 분기 반송파이프(102)의 주반송파이프의 압축측 쪽의 끝단에 밸브(64)가 배치된다. 분기 반송파이프의 밸브(64)가 열리고 주반송파이프의 밸브 (69)가 닫힐 때,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작은 회로가 형성되며, 그 회로에서 공기는 송풍기(40)로부터 순환하여 주반송파이프의 압축측으로부터 상기 분기 반송파이프(102)를 거쳐 주반송파이프의 흡인측으로 가며 다시 분리기 기구를 거쳐 파이프 105 및 106으로 향한다. 진공펌프 유니트가 작동될 때, 상기 회로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는 출구(34)로 유도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반송파이프(100)에 두 개의 제1 분기 반송파이프 (101)가 연결된다. 상기 도면에서, 양 제1 분기 반송파이프(101)에 두 개의 공급 스테이션(61)이 연결된다. 제2 분기 반송파이프(102)에는 공급 파이프(103)를 통하여 3개의 공급 스테이션(61)이 연결된다. 그러나, 더 많은 수의, 예컨대 20개의 공급 스테이션이 있을 수 있다. 이들은 개방되어 상기 분리기 요소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쪽으로부터 먼저, 그 후 그 다음 가장 가까운 쪽과 같은 등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물질을 반송파이프로 반송한다.
상기 도면의 윗부분에서, 공급 파이프(104)를 통하여 주반송파이프에 직접 연결된 3개의 공급 스테이션(66)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진공 유니트(3)와 송풍기 유니트(4)에 의하여 상기 도면에서 분리기 요소측으로부터의 반송파이프(100)에 제공되는 흡인의 총합은, 송풍기 유니트에 의하여 제공되는 송풍보다 바람직하게는 더 크므로, 반송은 부압 하에서 이루어진다. 송풍기(40)에 의하여, 예컨대 0.1~0.5바(bar) 범위의 압력을 통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진공생성기에 의하여, 다시 예컨대 0.1~0.5바(bar) 범위의 부압을 통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송풍으로 인하여 송풍기(40)와 밸브(69(및 밸브(64)) 사이의 반송파이프(100) 부분에 압력상승에 따라 에너지(즉, 정압(overpressure))가 저장되며, 밸브(69,64)가 닫혔을 때, 예컨대 +0.5 바가 된다. 진공유니트(3)의 흡인에 의하여 다른 측 즉 밸브(69)와 분리기 요소(20)(및 파이프(105)) 의 부분에 예컨대 -0.5 바의 부압이 저장된다. 밸브(69,64)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될 때, 그 압력차는 1바가 될 수 있다. 송풍보다 흡인이 더 크기 때문에, 부압이 배관 내에 제공되며, 이에 의하여 쓰레기는 공급 스테이션(61)의 깔때기부(funnel)로부터 배관 내로 흡인될 수 있다.
송풍보다 흡인이 더 크기 때문에, 본 발명 시스템의 타겟 물질이 반송파이프로 공급되며, 특히 쓰레기 물질은 압축되거나 다져지지 않은 채, 상기 파이프 내에서 반송 공기에 의하여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반송될 물질이 폐색물(blockage)을 형성하는 경향이, 흡인보다 송풍이 더 큰 상황, 이에 따라 반송될 물질이 쌓여 반송파이프를 막을 위험이 있는 상황과 견주어 훨씬 낮다. 더욱이, 부압은 물질을 반송하는데 요구되는 동력을 감소시켜주며, 반송방향 측에서 반송되는 물질부분에 대한 부분적인 부압조차도, 다른 무엇보다 공기 저항(air drag)을 크게 감소시킨다. 상기 도면에서 화살표는 작동 모드에서의 배관 내의 공기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반송되는 쓰레기 물질과 같은 반송물질에 있어서, 공급지점의 물질이 먼저 공급 파이프(101,103 또는 104)를 통하여 흡인에 의하여 반송파이프로 반송될 때, 그 물질에 대하여 극히 빠른 가속이 가해져 반송이 이루어진다.
압력차에 의하여 제공되는 반송 동력은 예컨대 직경 400mm의 파이프에서 약 12.32kN(1,256 kp)이 될 수 있다. 반송파이프(100)의 압축측,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풍기(40)와 밸브(69,64) 사이의 부분은, 반송파이프의 흡인측, 즉 전형적으로 적어도 밸브(69,64)와 분리기 요소(20) 사이의 부분보다 그 직경이 실질적으로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측은 그 직경과 비용면에서 더 유리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송풍기의 흡인측 상의 파이프(106)에 피팅 (fitting:107)이 형성되며, 상기 피팅에는 밸브(37)가 구비되어 이 밸브를 개방함에 의하여 여분의 공기가 회로 외부로부터 송풍기(4)의 흡인측상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37)를 개방함에 의하여, 필요하다면 반송파이프 내의 공기 압력을 올릴 수 있고 물질 반송에 대한 반송 속도(conveying rate)를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급 파이프(103,104)에 출구 밸브(60,65)가 배치되며 이 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적절한 크기의 물질들이 공급 지점(61,66)으로부터 분기 반송파이프(101,102)로 또는 직접 주반송파이프(100)로 반송된다. 물질은 쓰레기 용기와 같은 공급 지점(61,66)으로부터 공급되며, 상기 용기가 꽉 찬 후에, 상기 출구 밸브(60,65)는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개방된다.
상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분리기 기구(20)의 출구 해치 (hatch:21)가 닫히고, 주반송파이프(100)와 분리기 기구(20) 사이의 밸브(26)가 개방된다. 진공펌프 유니트(3) 및/또는 송풍기 유니트(4)는 주반송파이프(100) 내에 부압을 유지한다. 분리기 기구(20)를 거쳐 반송파이프(100)로 향하는 진공 유니트 (3)와 송풍기 유니트(4) 모두에 의한 흡인 효과는, 송풍기 유니트(4)에 의하여 반송파이프(100)의 일단, 즉 송풍측인, 송풍기(40)와 밸브(69 또는 64) 사이의 부분에 제공되는 압력 효과보다 크다.
공급지점들, 즉 쓰레기 용기들의 근처에 있는 모든 출구 밸브들(60,65)은 닫혀진다. 시동 상태에서, 분기 반송파이프(102)의 구간 밸브(area valve:64)와 주반송파이프(100)의 라인 밸브(69)는 닫혀진다.
제1 분기 반송파이프(101)의 구간에 속하는 공급지점(61)의 쓰레기 용기가 비워지는 것을 상정해본다. 하나의 비움 신호(emptying signal)에 기초하여, 출구 밸브(60)가 순간적으로, 예컨대 2~10초간 열리고, 그에 따라 쓰레기 물질과 같은 반송대상물질이 부압의 효과에 의하여 분기 반송파이프로 다시 주반송파이프(100)로 반송된다. 출구 밸브(60)는 시동 상태 후의 몇초 후에 통상적으로 닫혀진다. 상기 진공펌프 유니트(3)는 요구되는 부압을 유지하며 상기 송풍기 유니트(4)는 이미 작동되고 있지 않다면 시동된다. 밸브(69)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배관 내에 송풍, 즉 강화된 압력 효과 및 흡인 효과가 제공되어, 반송대상물질을 배관을 따라 분리기 기구(20)로 반송한다.
분리기 기구(20)가 채워질 때, 반송파이프(100)의 밸브(26)는 닫히고, 제어 밸브(23)는 개방되며, 이에 따라 분리기 기구의 출구 해치(21)의 액츄에이터(24)가 출구 해치(21)를 열어 분리기 기구 내에 축적된 물질이 압축기 기구(50) 및 쓰레기 용기(51)로 비워진다. 분리기 기구(20)의 출구 해치(21)는 닫히고, 밸브(26)가 개방된다.
이후에, 시동 상태로 복귀되어, 비움 공정이 반복되거나 다른 공급지점/공급지점들의 비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쓰레기 화물용기와 같은 쓰레기 용기(51)가 꽉 찼을 때는 대체되거나 비워진다.
쓰레기 반송에 있어서, 공기 순환 및 송풍을 최적화하여 송풍이 반송대상물질에 가능한 근접하게 향상 향해지도록 할 수 있다. 공급지점(66)을 통하여 직접 공급되는 물질이 반송될 때, 먼저 주반송파이프(100) 내의 밸브(69)가 개방된다. 상기 물질이 상기 도면의 경우에 있어서 분기 반송파이프(102)와 주반송파이프 (100)의 연결점을 통과한 후에, 분기 반송파이프의 밸브(64)가 열리고, 주반송파이프의 밸브(69)가 닫히며, 이에 따라 송풍효과가 반송되는 물질에 가능한 근접하게 향해져서 상기 물질의 이동이 반송파이프 내에서 최적으로 유지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개의 부분 회로 A,B,C,D를 포함하는 보다 확장적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시스템은 공기 순환이 부분 회로 A,B,C,D의 배관(100A, 100B, 100C, 100D, 100AB, 100CD) 내에 배치된 밸브 요소 (A1,B1,C1,D1,AB,CD)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복수개의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측의 상기 밸브(A1,B1,C1,D1)는 처음에는 닫혀있다. 송풍기가 반송파이프 또는 그와 연결된 파이프와 밸브(A1,B1,C1,D1) 사이의 파이프 부분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마찬가지로, 진공생성기(3) 및/또는 송풍기(40)의 흡인측상의 회로부분에, 반송방향 및/또는 공기 흐름 방향을 거슬러 이동할 때,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들(105,106), 분리기 기구(20), 그리고 분리기 기구(20)로부터 밸브 (A1,B1)까지 또한 C1,D1까지의 반송 파이프(100AB, 100CD)의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밸브(A1,B1,C1,D1)와 반송파이프로 향하는 공급스테이션들(61)의 밸브들(60)이 닫혔을 때, 부압이 우세하게 작용한다. 상기 회로들 중 일부는 공기 순환부 밖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순환은 물질이 반송되는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회로에 대하여만 제어될 수 있다. 시동상태의 부압측 상에서는, 상기 부분 회로들로 향하는 밸브(AB 및 CD)가 개방되지만, 활성화된 회로의 밸브는 계속 개방되고 비활성화된 회로의 밸브는 닫히는 것이 전형적이다.
상기 시스템은 4개의 부분 회로(A,B,C,D)를 포함하는 파이프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각 부분 회로는 파이프 라인(100A,100B,100C,100D)를 포함하며, 이 파이프라인들은 밸브 요소(A1,B1,C1,D1)의 개폐에 의하여 입구측으로부터 송풍기 기구(4)로부터 나온 파이프라인(100)까지 연결될 수 있는 반송 공기의 순환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회로 A와 B의 반송파이프(100A,100B)는 분리기 기구(20)에 이르는 반송파이프(100AB)로 결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회로 C,D의 반송파이프(100C,100D)는 분리기 기구(20)에 이르는 반송파이프(100CD)로 결합된다. 상기 도면의 실시예에서, 화살표는 회로가 활성적으로 연결되는 상황에 있어서의 회로내의 반송공기의 순환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반송되는 물질은 회로를 따라 배치된 물질 공급지점들의 하나로부터 상기 화살표의 방향으로 분리기 기구로 이동한다.
공기압 물질반송시스템, 특히 쓰레기 반송시스템에 관한 본 발명은,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 지점(61,66)과, 상기 공급지점(61,66)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반송파이프(100,101,102)와, 반송되는 물질이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기구(20)와, 적어도 물질의 반송 중에 반송파이프(100,101,102)에 압력차를 제공하는 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반송파이프(100)의 적어도 일부와 반송공기 유통로(conveying air channel:105,106)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형성하며 그 회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생성기(3)의 흡인측이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40)를 포함하며 그 송풍기의 흡인측은 상기 회로의 분리기 기구(20)로부터 나온 공기 유통로(105,106)에 연결되며, 송풍기의 송풍측은 반송파이프(100) 또는 상기 반송파이프와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회로의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회로에서 송풍기(40)에 의하여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회로 내에 송풍기(40)와 적어도 하나의 물질 공급지점(61,66)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밸브요소(69)가 배치된다. 상기 밸브는 상기 회로를 압축측과 흡인측으로 나누어, 회로의 밸브요소(69)가 적어도 닫혔을 때, 압축측은 정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흡인측에 부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69)는 적어도 물질의 반송과정 동안 개방되게 배치된다.
본 시스템은 여러 개의 회로들을 포함하며, 그 회로들의 공기 순환은, 상기 부분 회로들에 배치된 밸브 요소들(69,64)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들의 일부는 공기 순환상태에 있지 않을 수 있으며 공기 순환은 오직 물질이 반송되고 있는 시스템의 회로들에서만 제어된다.
유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내의 활성화된 회로의 부압을 생성하는, 즉 물질 반송파이프(100)나 그 구간에 흡인을 일으키는 기구 3,4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압은, 압력효과, 즉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4)에 의하여 제공되는 송풍보다 크다.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생성기(3)는 진공 펌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생성기(3)는 이젝터 펌프기구이다. 상기 이젝터 펌프기구는 예컨대 수압식(hydraulic) 이젝터기구, 특히 액체 미스트(mist)로 작동되는 이젝터 기구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시스템의 입자들, 불순물, 악취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공기의 대부분은 회로 내에서 순환된다. 이는 시스템의 출구 공기의 부피와, 동시에 입자들과 불순물의 방출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송공기의 단지 일부만이 회로 밖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펌프 유니트(3)는 반송파이프(100) 내에 기본적인 부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송풍기 기구(4)는 회로 내에 반송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배치된다.
상기 진공생성기(3) 및/또는 송풍기 기구(4)는 반송파이프(100,101,102)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어 물질의 적어도 순간적인 반송효과를 강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송풍기(40)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력상승에 의하여, 물질의 기동(起動:start-off)을 강화할 수 있고, 회로의 밸브(69,64)가 개방될 때 물질반송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총 동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반송시스템은 쓰레기 반송시스템이다.
유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 공급지점(61,66)들은, 쓰레기통 또는 쓰레기 슈트(waste chute)와 같은 쓰레기 공급지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이른바 쓰레기 사이클론으로 불리는 분리기 요소(20), 진공펌프기구(3), 송풍기 유니트(4) 및 분리기 요소의 비움 기구를 구동하는 컴프레서 유니트(1)가 물질반송시스템, 특히 쓰레기 스테이션과 연결된 쓰레기 반송시스템의 물질 전달 끝단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송파이프(100)는 흡인/송풍 회로의 적어도 한 부분이고, 상기 반송파이프의 출구 끝단과 입구 끝단은 쓰레기 스테이션과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인/송풍 회로의 출구 끝단은 송풍기(40)의 송풍측 상에 위치하고 그 입구 끝단은 송풍기(40)의 흡인측 상에 위치한다. 송풍기는, 상기 밸브 (69)가 열리면, 그 일부가 반송파이프(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인/송풍회로 내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급지점(61,66)은 시스템 배관을 따라 집중되지 않게 분산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쓰레기 반송시스템과 관련하여, 상기 공급지점들은 예컨대 쓰레기 통 또는 쓰레기 슈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송파이프(100)는 흡인/송풍 회로의 적어도 한 부분이고, 상기 반송파이프의 출구 끝단과 입구 끝단은 쓰레기 스테이션과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인/송풍 회로의 출구 끝단은 송풍기(40)의 송풍측 상에 위치하고 그 입구 끝단은 송풍기(40)의 흡인측 상에 위치한다. 송풍기는, 그 일부가 반송파이프(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흡인/송풍회로 내에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급지점(61,66)은 시스템 배관을 따라 집중되지 않게 분산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쓰레기 반송시스템과 관련하여, 상기 공급지점들은 예컨대 쓰레기 통 또는 쓰레기 슈트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공급 스테이션들 또는 공급지점들(61)과 이들과 연결된 게이트요소(60)들은, 하나의 계통을 이루는 반송배관(100)을 따라 도식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공급지점 (61)은 깔때기와 같은 공급용기를 포함하며, 공급지점과 반송파이프(100)를 연결하는 밸브요소(60)가 개폐된다. 시스템 반송배관(100)과 이를 따르는 공급지점들(61)은 반송배관 내에 배치된 구간밸브들(VA,VAB,VBC,VBE,VBE …등)에 의하여 작동 구간들 A,B,C,D,E,F,G,H,I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작동구간의 반송배관(100)의 각 부분은 상응하는 작동 구간의 문자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구간 A의 지점에서 반송파이프는 100A로 표시되고, 작동구간 B의 지점에서 반송파이프는 100B로 표시된다. 상응하는 표시는 다른 작동구간들에 대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시스템의 작동은, 원하는 작동 구간의 공급지점을 비우기 위하여, 반송파이프 (100)의 작동구간에 관하여 물질반송방향으로 또한 반송공기의 공급측상, 즉 흡인측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개방되며, 이에 의하여 흡인이 상기 작동구간의 반송파이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따른 장치에서, 구간 A의 공급지점 (61)이 비워지는 것을 상정해본다. 이때, 반송방향으로의 반송파이프(100)(도면에서 100B,100C,100D의 반송파이프의 부분들)에서의 분리기 요소(20)와 작동구간 A 사이의 모든 구간 밸브들(도면에서 밸브 VAB,VBC,VCD,VD)이 개방된다. 그러면, 적어도 하나의 진공 생성기(3)에 의해 제공되는 흡인이 작동 구간 A의 반송 배관(100A)을 지배한다. 상기 반송파이프(100A)의 송풍측상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VA)가 닫히며, 이에 의하여 흡인만이 작동 구간 A를 지배하게 된다. 작동구간의 공급지점들(61) 또는 그들의 적어도 일부가 비워져서, 반송파이프의 반송방향으로 전달 끝단과 가장 가까운, 즉 상기 도면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분리기 기구(20)에 가장 가까운 공급지점(61)(1)과 상기 반송파이프(100A)의 연결이 먼저 개방되고, 이에 의하여 물질은 제1의 공급지점에서 반송파이프로 반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급지점(1)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닫히기 전에, 다음의 공급지점(61)(2)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개방된다.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 물질반송방향을 거슬러 이동할 때의 공급지점이 비우고자 하는 다음의 공급지점(61)(2)이다. 이후에, 제1 공급지점(61)(1)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은 닫힌다. 마찬가지로, 제2 공급지점(61)(2)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닫히기 전에, 비우고자 하는 제3 공급지점(61)(3)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개방된다. 이러한 작동은 모든 원하는 공급지점이 비워질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도면에서, 구간 A의 모든 공급지점(61)이 비워지는 것을 고려하면, 이들의 반송파이프 (100)(100A)로의 비우는 순서는 부호:(1),(2),(3),(4),(5),(6),(7),(8),(9),(10) 및 (11)로 표시된다.
작동 구간 A에서 비우고자 하는 마지막 공급지점(61)(11)과 반송파이프(100)로의 통로가 개방되었을 때, 물질은 반송파이프(100)(100A)로 반송되고, 상기 공급지점과 반송파이프를 연결하는 통로는 닫히며, 작동 구간 A와 반송파이프(100)로 송풍하는 송풍기 기구(4)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요소(VA)를 개방하는 것에 의하여, 송풍측, 즉 송풍기(4)로부터의 작동구간 A의 반송파이프(100A)의 접속이 개방된다. 그에 따라, 강화된 반송 효과(흡인 및 송풍이 함께 작용하는)가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 내의 반송대상물질에 가해진다. 반송공기는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루트를 따라 순환하며, 이에 의하여 공급지점들로부터 반송파이프로 반송되는 물질은 그 루트, 본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구간 B,C,D 그리고 물질이 반송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기 요소(20)을 지나는 루트를 따라 반송배관 내에서 반송된다. 상기 도면에서, 작동구간 E의 반송파이프(100E)의 구간밸브들(VBE와 VED)이 닫히고, 이에 의하여 반송되는 반송공기 및 물질은 작동구간 E의 반송파이프 (100E)로는 접근할 수 없고 구간 C의 반송파이프(100C)를 따라 순환된다. 다른 작동구간들의 비움 과정과 관련하여, 작동구간으로부터 분리기 요소(20)와 같은 전달 스테이션으로의 물질 반송루트는, 상기 구간 밸브들이 원하는 반송루트를 따라 개방된 채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물질은 반송파이프로부터 분리기 기구(20)로 반송된다. 상기 분리기 기구 (20)는 필요하다면, 예컨대 물질용기(51)로 비워지며, 상기 물질용기는 압축기 기구(5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시스템에서는, 더 작은 입자들을 반송공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기 요소 뒤의 반송공기 유통로에 제2 분리기 기구(20')가 더 구비된다. 제2 분리기 요소(20')에 의하여 분리되는 입자들은 예컨대 컨베이어에 의하여 물질용기(51)로 반송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기 요소는 공기순환방향으로 반송공기 유통로 뒤에 위치하여 필터요소에 의하여 반송공기로부터 작은 입자들을 제거한다. 상기 반송공기 유통로는 진공생성기(3)의 흡인측에 연결되며, 상기 반송공기 유통로는 또한 진공생성기(3)에 이르기 전에 송풍기 기구(4)의 흡인측에 연결된 제2 반송공기 유통로로 분기된다. 송풍기의 송풍측은 직접 또는 상기 공기유통로를 통하여 반송파이프(1000)에 연결된다. 반송배관(100)은, 반송공기가 송풍기의 송풍측으로부터 흡인측상의 분리기 요소(20)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구간(A,B,C,D,E,F,G,H,I)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은 반송파이프(100)의 활성화된 반송회로에 연결되어 밸브들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쓰레기 반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 물질을 공급 및 반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송시스템은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지점(61)과, 상기 공급지점(61)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반송파이프 (100)와, 반송대상물질을 반송공기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 기구(20)와, 적어도 물질의 반송과정 동안 반송파이프(100) 내에 압력차를 제공하는 수단(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비우고자 하는 공급지점(61)에 있는 반송파이프 (100)에 부압을 제공하는 단계와, 처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더 가까이 위치한 공급지점을 비우고 다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실질적으로 더 멀게 위치한 공급지점(61)을 비우는 비움 순서를 사용하여 상기 공급지점들로부터 반송파이프(100)로 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쓰레기 반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 물질을 공급 및 반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시스템이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지점(61)과, 상기 공급지점(61)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파이프(100)와, 반송대상물질을 반송공기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 기구(20)와, 적어도 물질의 반송과정 동안 반송파이프(100) 내에 압력차를 제공하는 수단(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법에서, 부압은 적어도 비우고자 하는 공급지점(61)에 있는 반송파이프(100)에 제공되며, 상기 공급지점들은 이하의 비움 순서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이프(100) 내로 비워진다: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 물질이 반송되도록 공급지점(61)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의 연결이 개방된다.
-모든 원하는 공급지점(61)들이 비워질 때까지 다음의 단계들이 반복된다.
○하나의 다음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의 연결이 개방된다.
○전의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의 연결이 폐쇄된다.
-비워지는 마지막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의 연결이 폐쇄된다.
-반송파이프에 송풍효과(blowing effect)를 제공하여, 상기 송풍효과가 흡인효과와 함께 반송파이프 내의 물질을 상기 분리기 기구로 반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지점들(61)은 반송파이프의 물질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역의 순서(reverse sequence)로 비워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처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더 가까이 위치한 공급지점을 비우고 다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실질적으로 더 멀게 위치한 공급지점(61)을 비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작동 구간으로 나뉘어지고, 처음에 작동 구간의 비우고자 하는 제1 공급지점(61)(1)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개방되고, 전의 공급지점과 반송파이프와의 연결이 폐쇄되기 전에, 다음 공급지점(61)(2)과 반송파이프와의 연결이 개방되며, 전의 공급지점(61)(1)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폐쇄되고, 작동구간의 원하는 공급지점들 (1)…(11)이 반송파이프 내로 비워질 때까지 작동구간의 공급지점들의 비움이 계속되고, 마지막 공급지점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폐쇄되는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작동 구간(A,B,C,D,E,F,G,H,I)의 적어도 일부의 공급지점(61)을 물질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100I)로 비워지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의 작동 구간의 공급지점이 비워진 후에 처리될 다음 작동 구간으로 진행하며, 다음의 작동 구간에서 공급지점의 상기 비움 순서가 반복된다.
상기 작동구간 A,B,C,D,E,F,G,H,I의 공급지점들은 반송방향에 대하여 역의 순서 (1),(2)…(10),(11)로 반송파이프 내로 비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공기는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 100D,100E,100F,100G,100H,100I)의 적어도 일부와 반공공기유통로(105,106)에 의하여 형성된 회로에서 순환되며, 상기 반송공기 유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생성기 (3)의 흡인측에 연결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 기구(4)의 흡인측에 상기 회로의 분리기 기구(20)로부터 나온 상기 반송공기 유통로(105,106)가 연결되며, 송풍기 기구의 송풍측에 반송파이프(100) 또는 반송파이프와 연결된 회로 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 기구(4)로 상기 회로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 100E,100F,100G,100H,100I)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구간 밸브(VA,VAB,VBC,VBE,VBE,…VH)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시스템 내의 반송공기순환과 물질반송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송공기의 적어도 대부분이, 반송파이프 (100,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100I)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을 그 일부로 하는 회로에서 순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내에서 활성화된 회로의 부압을 생성시키는 기구(3,4)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압, 즉 물질반송파이프(100,100A,100B, 100C,100D 등)내의 흡인이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4)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력효과, 즉 송풍보다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펌프 유니트(3)를 사용하여 반송배관 (100)에 기본적인 부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 기구(4)를 사용하여 회로 내의 반송공기가 순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생성기(3) 및/또는 송풍기 기구(4)를 배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진공생성기(3) 및/또는 송풍기 기구(4)에 의하여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100I)에 제공되는 물질의 반송효과를 적어도 순간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쓰레기 반송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 공급지점들(61,66)은 쓰레기통 또는 쓰레기 슈트(chute)와 같은 쓰레기 공급지점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방법 및/또는 상술한 설명을 사용하는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다른 특징들과 함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징들은 서로 별개로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쓰레기 반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시스템은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지점(feed point:61)과, 상기 공급지점(61)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파이프(100)와, 반송대상물질을 반송공기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 요소(20)와, 적어도 물질의 반송과정 동안 반송파이프(100) 내에 압력차를 제공하는 수단(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적어도 비우고자 하는 공급지점(61)에 있는 반송파이프(100)에 부압을 제공하는 단계와, 처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더 가까이 위치한 공급지점을 비우고 다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실질적으로 더 멀게 위치한 공급지점(61)을 비우는 비움 순서(emptying sequence)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이프(100) 내의 공급지점들을 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2. 쓰레기 반송시스템과 같은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물질 공급 및 반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송시스템은 물질, 특히 쓰레기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공급지점(61)과, 상기 공급지점(61)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파이프(100)와, 반송대상물질을 반송공기로부터 분리하는 분리기 기구(20)와, 적어도 물질의 반송과정 동안 반송파이프(100) 내에 압력차를 제공하는 수단(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적어도 비우고자 하는 공급지점(61)에 있는 반송파이프(100)에 부압을 제공하는 단계와, 이하의 비움 순서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파이프(100) 내의 공급지점들을 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 물질이 반송되도록 공급지점(61)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의 연결을 개방하는 단계,
    -모든 원하는 공급지점(61)들이 비워질 때까지 다음의 단계들은 반복하는 단계,
    ○하나의 다음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의 연결을 개방하는 단계
    ○전의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의 연결을 폐쇄하는 단계
    -비워지는 마지막 공급지점으로부터 반송파이프로의 연결을 폐쇄하는 단계,
    -반송파이프에 송풍효과(blowing effect)를 제공하여, 상기 송풍효과가 흡인효과와 함께 반송파이프 내의 물질을 상기 분리기 기구로 반송하도록 하는 단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처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더 가까이 위치한 공급지점을 비우고 다음에 물질반송방향으로 분리기 기구(20)에 실질적으로 더 멀게 위치한 공급지점(61)을 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송파이프의 물질반송방향에 대하여 역의 순서(reverse sequence)로 공급지점(61)들을 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을 적어도 두 개의 작동 구간으로 나누고,
    처음에 작동 구간의 비우고자 하는 제1 공급지점(61)(1)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개방되고, 전의 공급지점과 반송파이프와의 연결이 폐쇄되기 전에, 다음 공급지점(61)(2)과 반송파이프와의 연결이 개방되며, 전의 공급지점(61)(1)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폐쇄되고, 작동구간의 원하는 공급지점들이 반송파이프 내로 비워질 때까지 작동구간의 공급지점들의 비움이 계속되고, 마지막 공급지점과 반송파이프의 연결이 폐쇄되는 순서로,
    적어도 하나의 작동 구간(A,B,C,D,E,F,G,H,I)의 적어도 일부의 공급지점(61)을 물질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100I)로 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전의 작동 구간의 공급지점이 비워진 후에 처리될 다음 작동 구간으로 진행하며, 다음의 작동 구간에서 공급지점의 상기 비움 순서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반송방향에 대하여 역의 순서(reverse sequence)로 반송파이프 내의 작동 구건의 공급지점들을 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100I)의 적어도 일부와 반공공기유통로(105,106)에 의하여 형성된 회로에 반송공기를 순환시키며,
    상기 반송공기 유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생성기(3)의 흡인측에 연결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 기구(4)의 흡인측에 상기 회로의 분리기 기구(20)로부터 나온 상기 반송공기 유통로(105,106)가 연결되며, 송풍기 기구의 송풍측에 반송파이프(100) 또는 반송파이프와 연결된 회로 부분이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 기구(4)로 상기 회로 내에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100I)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구간 밸브(VA,VAB,VBC,VBE,VBE,…등)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시스템 내의 반송공기순환과 물질반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공기의 적어도 대부분이,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 100F,100G,100H,100I)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을 그 일부로 하는 회로에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스템 내에서 활성화된 회로의 부압을 생성시키는 기구(3,4)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압,즉 물질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E,100F,100G,100H,100I)내의 흡인이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4)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력효과, 즉 송풍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펌프 유니트(3)를 사용하여 반송배관(100)에 기본적인 부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 기구(4)를 사용하여 회로 내의 반송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진공생성기(3) 및/또는 송풍기 기구(4)를 배치하여, 적어도 하나의 진공생성 기(3) 및/또는 송풍기 기구(4)에 의하여 반송파이프(100,100A,100B,100C,100D,…100I)에 제공되는 물질의 반송효과를 적어도 순간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쓰레기 반송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 공급지점들(61,66)은 쓰레기통 또는 쓰레기 슈트(chute)와 같은 쓰레기 공급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물질 공급 및 반송방법을 사용하는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
KR1020107016243A 2007-12-21 2008-12-18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 KR101620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75950A FI20075950L (fi) 2007-12-21 2007-12-21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075950 2007-12-21
FI20085058 2008-01-24
FI20085058A FI123765B (fi) 2007-12-21 2008-01-24 Menetelmä pneum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840A true KR20100103840A (ko) 2010-09-28
KR101620111B1 KR101620111B1 (ko) 2016-05-12

Family

ID=3900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243A KR101620111B1 (ko) 2007-12-21 2008-12-18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00278598A1 (ko)
EP (1) EP2222584A4 (ko)
JP (1) JP5901116B2 (ko)
KR (1) KR101620111B1 (ko)
CN (1) CN101903261A (ko)
AR (1) AR069947A1 (ko)
AU (1) AU2008339856A1 (ko)
BR (1) BRPI0820825A2 (ko)
CA (1) CA2708122A1 (ko)
FI (1) FI123765B (ko)
RU (1) RU2527867C2 (ko)
TW (1) TW200934712A (ko)
WO (1) WO2009080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436B (fi) * 2008-03-18 2014-08-29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4873B (fi) * 2009-10-06 2015-02-27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US8591098B2 (en) 2010-05-05 2013-11-26 E-Loaders Compan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aterial blending
FI122673B (fi) 2010-11-01 2012-05-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20106150A0 (fi) * 2010-11-03 2010-11-03 Maricap Oy Menetelm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123720B (fi) 2011-10-17 2013-10-15 Maricap Oy Pneumaattis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uslaite ja menetelmä
FI123719B (fi) 2012-03-21 2013-10-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n jätteensiirtojärjestelmän ulospuhallusilman käsittelemiseksi
FI124109B (fi) 2012-09-05 2014-03-14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savun ja palokaasujen poistamiseksi
FI124487B (fi) * 2013-01-25 2014-09-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syöttökuilusta
CN103086443B (zh) * 2013-02-22 2014-05-28 赫东波 利用氯化镍溶液制备氧化镍产品及回收盐酸的设备
CN103274216A (zh) * 2013-06-24 2013-09-04 孙家鼎 无仓泵式数控浓相气力输灰系统
FI125194B (fi) 2013-07-30 2015-06-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FI124837B (fi) 2013-07-30 2015-02-13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FI125218B (fi) 2013-11-26 2015-07-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syöttöpiste sekä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
FI125219B (fi) 2013-11-26 2015-07-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syöttöpiste sekä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
FI126379B (fi) 2015-03-09 2016-10-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pneumaattisessa putkikuljetusjärjestelmässä ja jätteidensiirtojärjestelmä
FI127098B (fi) 2016-01-07 2017-11-15 Maricap Oy Menetelmä, laitteisto ja järjestelmä jäte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CN106005847A (zh) * 2016-07-20 2016-10-12 无锡派乐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回收清理方法
CN106005846A (zh) * 2016-07-20 2016-10-12 无锡派乐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清理方法
CN106044014A (zh) * 2016-07-20 2016-10-26 无锡派乐科技有限公司 垃圾回收装置
CN106185109A (zh) * 2016-07-20 2016-12-07 无锡派乐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垃圾处理的回收装置
CN110015526A (zh) * 2018-12-29 2019-07-16 北京星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循环垃圾收集装置及方法
FI20197011A1 (fi) 2019-01-25 2020-07-26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siirtämiseksi
CN113134905A (zh) * 2021-04-27 2021-07-20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营口电厂 一种湿法脱硫高盐物料与粉煤灰掺混控制方法及系统
CN116969154B (zh) * 2023-09-22 2023-12-12 山西富盛镁业有限公司 一种镁粉生产用密封输送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9109A (en) * 1945-08-06 1951-01-23 Iron Fireman Mfg Co Coal conveying system
US2572862A (en) * 1947-02-13 1951-10-30 Ray S Israel Pneumatic conveying system and method
US2514333A (en) * 1947-03-18 1950-07-04 Allen Sherman Hoff Co Automatic dust handling system
US2706136A (en) * 1950-06-21 1955-04-12 Beaumont Birch Company Automatically controlled system for ash disposal
US2814531A (en) * 1956-04-27 1957-11-26 Clough Equipment Co Balanced pneumatic conveying systems for pulverulent material
GB1199917A (en) * 1966-07-29 1970-07-22 Centralsug Ab Conveyance of Material Requiring Hygienic Disposal
GB1298133A (en) * 1969-10-29 1972-11-29 Centralsug Ab System for the transfer of material such as garbage
US3694037A (en) * 1970-04-30 1972-09-26 Wedco Closed circuit pneumatic conveying
JPS471889U (ko) * 1971-01-26 1972-08-21
DE2307194A1 (de) * 1972-02-25 1973-09-06 Centralsug A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ueckgewinnung von abfallspapier
GB1435611A (en) * 1972-08-15 1976-05-12 Centralsug Ab System of domestic refuse
SE371409B (ko) * 1972-08-25 1974-11-18 Svenska Flaektfabriken Ab
US3809438A (en) * 1973-03-22 1974-05-07 Arbeck Ind Mining Equip Pneumatic conveying apparatus
FR2271140A1 (en) * 1974-05-13 1975-12-12 Testut Aequitas Automatic waste disposal system - feed waste to storage point above shredder and separates too hard particles
DK137634B (da) * 1975-03-21 1978-04-10 Bruun & Soerensen As Skraldsugeanlæg.
GB1581356A (en) * 1977-04-01 1980-12-10 Metal Box Co Ltd Waste disposal systems
JPS5511464A (en) * 1978-07-10 1980-01-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Operating of pipeline conveying apparatus of wastes
US4201256A (en) * 1979-01-10 1980-05-06 Andrew Truhan Sawdust collector
US4318643A (en) * 1979-12-28 1982-03-09 Ab Svenska Flaktfabriken Apparatus for conveying waste materials by suction
SU1055714A1 (ru) * 1982-04-13 1983-11-23 Украин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ханизации и электрификаци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Всасывающе-нагнетательна установка дл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H0658436B2 (ja) * 1985-10-31 1994-08-03 日立造船株式会社 放射性廃棄物等の空気輸送方法
JPH063399B2 (ja) * 1989-09-06 1994-01-12 日本鋼管株式会社 ごみ計量装置
JPH05132108A (ja) * 1991-11-13 1993-05-28 Nkk Corp ごみ空気輸送用風速検知システム
US6079461A (en) * 1998-08-17 2000-06-27 The Heil Co. Use of inert gas in transfer of comminuted product to tank
WO2002079016A1 (en) * 2000-07-21 2002-10-10 Pearson William R Railroad hopper car unloader
WO2003046453A1 (fr) * 2001-11-26 2003-06-05 Japan Tobacco Inc. Secheur a circulation d'air destine a des materiaux granulaires
FI118528B (fi) * 2004-03-03 2007-12-14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iirtämisek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4712A (en) 2009-08-16
FI123765B (fi) 2013-10-31
JP2011506228A (ja) 2011-03-03
US20100278598A1 (en) 2010-11-04
FI20085058A0 (fi) 2008-01-24
EP2222584A1 (en) 2010-09-01
WO2009080880A1 (en) 2009-07-02
AR069947A1 (es) 2010-03-03
EP2222584A4 (en) 2018-01-03
AU2008339856A1 (en) 2009-07-02
RU2527867C2 (ru) 2014-09-10
RU2010130481A (ru) 2012-01-27
CN101903261A (zh) 2010-12-01
CA2708122A1 (en) 2009-07-02
FI20085058A (fi) 2009-06-22
BRPI0820825A2 (pt) 2015-06-16
JP5901116B2 (ja) 2016-04-06
KR101620111B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840A (ko)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
KR101593709B1 (ko)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반송방법 및 반송장치
US20100303559A1 (en) Method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U2008339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U2008339864B2 (e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CN101903266B (zh) 气动物料输送系统中的方法和设备
JP6078469B2 (ja) 廃棄物材料を空気圧で搬送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044569B1 (ko) 공압식 물질 운반 시스템 및 방법
JP2023512461A (ja) 空気圧式物質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物質搬送方法及び空気圧式物質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