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549A -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는 가구 - Google Patents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549A
KR20100103549A KR1020107014796A KR20107014796A KR20100103549A KR 20100103549 A KR20100103549 A KR 20100103549A KR 1020107014796 A KR1020107014796 A KR 1020107014796A KR 20107014796 A KR20107014796 A KR 20107014796A KR 20100103549 A KR20100103549 A KR 2010010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drawer
drawers
electrica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뵌케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10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8Recessed draw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넷 본체(2)를 가지고 상기 캐비넷 본체(2)에 대해 변위가능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캐비넷 부품(들), 특히 상기 캐비넷 본체에 대해 변위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랍(들)을 가지며, 전기 에너지를 상기 캐비넷 바디(2)와 상기 하나 이상의 변위 가능한 캐비넷 부품(3) 사이로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를 가지는 가구(1)에 관한 것으로, 커플링 장치는 적어도 상기 캐비넷 본체 상의 제 1 전기 회로, 상기 변위가능한 캐비넷 부품(3) 상의 제 2 전기 회로(12)를 포함하며 제 1 전기 회로(11)가 적어도 전기 에너지를 캐비넷 본체로부터 변위가능한 캐비넷 부품(3)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계되고 상기 제 2 전기 회로(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캐비넷 본체(2) 상의 제 1 전기 회로(11)를 위해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7)에서 입력될 수 있는 작동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다.

Description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는 가구 {FURNITURE HAVING A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ELECTRICAL ENERGY}
본 발명은 가구 본체를 가지고 가구 본체에 대해 가동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구 부품을 가지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 본체에 대해 변위 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랍을 가지고 가구 본체와 하나 이상의 가동 가구 부품 사이에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를 가지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가구는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가구의 기능성을 확장하고 가구의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주요 구성을 통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6 및 32의 일치하는 구성을 제공하며, 이는 청구항 1의 주요 구성의 세부 구성으로서, 또는 독립항으로 볼 수 있다.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라, 커플링 장치는 가구 본체 상에 하나 이상의 제 1 전기 회로를 가지며, 제 1 전기 회로는 가동 가구 본체 상에 대응하는 제 2 전기 회로를 공급하도록 가구 본체로부터 가동 가구 부품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설계되며, 제 2 전기 회로는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에 입력될 수 있는 작동 데이터 또는 신호를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제어하도록 가구 본체 상의 회로로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다. 이러한 가장 간단한 형태에서, 작동 장치는 푸시버튼 스위치와 같은 트리거 요소(trigger element)이다.
가구 본체와 가동 가구 부품 사이에서 제공되는(carry) 케이블은 간단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고(dispense with)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구 본체 상의 방출 장치(ejection deivce)와 같은 전기 장치가 서랍, 특히 서랍의 전방 패널 상의 작동 요소를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청구항 18에 따라, 커플링 장치는 대응하는 커플링 장치를 가지는 하우징을 가지는 모듈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부품이 하우징이 가구 본체 또는 가동 가구 부품 상에 제한된 방식으로 가동되도록 위치된다. 하우징에는 부가적으로 가구 부품의 폐쇄 상태에서 인터록킹되는 대응 수단이 제공되고 이를 위해 하우징들 중 하나에 하나 이상의 수용 형성부(intake formation)가 제공되고 다른 하우징에는 연장부가 제공되며, 연장부는 서랍의 완전히 수축된 상태(retracted state)에서 수용 형성부 내로 완전히 돌출되는 목적을 위해 설계되며, 슬라이딩 운동에 대해 수직한 서랍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커플링 수단을 가지는 하우징이 에너지 및 데이터 전달이 높은 기능적 신뢰성을 가지고 발생하는 방식으로 폐쇄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배향되는 것을 보장한다. 서로에 대해 가동되는 가구 부품의 매우 정밀하게 조립된 설계가 제거될 수 있다. 용어 하우징은 너무 좁게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하우징은 하우징에 유사하거나 또한 적어도 커플링 수단을 운반하기 위해 이용되는 판에 유사한 소정의 요소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또한 완전한 회로를 수용하지만, 심지어 하우징의 모든 측부 상에서 회로를 둘러쌀 수 있다.
청구항 33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작동 장치는 서랍들 중 하나(바람직하게는 단 하나) 상에 부가적으로 위치되고 이 작동 위치 또는 이러한 작동 장치들의 입력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서랍의 방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이용되거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서랍의 방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따라서 추가의 작동 장치가 없을 수 있으며 이는 가구의 외관을 개선하고 작동을 단순화한다.
청구항 33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각각 가구 본체 및 가구 본체에 대해 가동되는 가구 부품, 특히 서랍을 가지는 다수의 가구를 가지며 작동 정보의 입력을 위해 작동 장치를 가지는 가구 구성(furniture configuration)을 제공하며 이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작동 자치는 가구의 가구 부품들, 특히 서랍들 중 하나 또는 단지 하나의 가구 본체 상에 위치되며, 이러한 작동 장치 또는 이러한 작동 장치들의 입력은 또한 또는 단지 가구 구성의 이러한 가구 또는 또 다른 가구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서랍들의 방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가구 부품 상의 하나의 작동 장치는 또한 다른 가구 상에서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되어, 추가의 작동 장치를 절감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에너지 및 데이터 전달을 위한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며 이의 아이디어는 청구항 30의 장치에 대해 설명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종속항으로부터 추측된다.
본 발명은 전형적인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앞으로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추가의 선택이 공개된다.
도 1은 가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추가의 가구의 단순화되고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제 이용 위치에서 유도성 커플링 장치를 가지는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으로부터 구성을 통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제2 이용 위치에 있는 도 3의 장치를 보여주며,
도 6은 도 5의 구성을 통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 및 도 6으로부터 구성을 통한, 도 6에 대해 수직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으로부터 장치의 작동의 바람직한 모드를 도시하기 위한 펄스 다이어그램을 보여주며,
도 9는 익사이터(exciter)의 블록도를 보여주며,
도 10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1은 가구 본체(2) 및 여기서 가구 본체(2)에 대해 가동되는 3개의 가구 부품을 가지는 가구(1)를 보여주는데, 3개의 가구 부품은 연장가능하고 수축 가능한 서랍(3, 4, 5)으로서 실시된다.
작동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7)는 전방 상에-전방 패널(6) 상에-여기서 전형적인 최상부 서랍(3)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작동 장치(7)는 매우 가변적인 방식으로, 따라서 하나의 단일 또는 다중 푸시버튼 스위치, 토글 스위치, 또는 로터리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다중 작동 장치(7)가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가동 가구 부품들 중 단지 하나, 여기서 서랍(3)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작동 장치(7)를 제공하도록, 그리고 추가 또는 다른 가구 부품들, 여기서 서랍(4, 5)을 작동시키기 위해 유용한 세부예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독립 발명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 유용한 세부예로서 관측된다.
소정의 경우, 작동 장치들(7) 중 하나는 특별히-그러나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가동 가구 부품을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구 방출 장치 또는 또한 또 다른 전기 구동부 또는 또한 전기 등과 같은, 또 다른 타입의 전기 장치일 수 있는 가구 본체(2)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작동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전기 방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서랍에 할당된다.
따라서 운반되는 전기 라인이 가동 가구 부품(3)과 가구 본체(2) 사이에 위치되지 않도록, 가구(1)에는 가구 본체와 가동 가구 부품 사이에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적어도
- 특히 전기 또는 전자 성분을 가동 가구 부품, - 특히 작동 장치 및 서랍상에서 할당되는 전기 회로 -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그리고
가구 본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구를 제어하도록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다.
또한 에너지 및 데이터 전달이 두 개의 개별 장치를 경유하여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는 도 2의 단순화된 도면을 참조하면, 가구 본체(2) 상에 위치되는 제 1 모듈(9) 및 서랍들(3, 4, 5)들 중 하나에 위치되는 제 2 모듈(10)을 포함하며, 제 1 모듈 및 제 2 모듈에는 협동하는 전기 회로(11, 12)가 제공되고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익사이터 및 트랜스폰더로서 실시되고 바람직하게는 도 8의 다이어그램 및 도 11 및 도 12의 블록도 및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구성 및 기능성을 가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전기 회로(11, 12)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유도성 커플링 요소(31, 36)로서 실시되는 커플링 요소를 가진다. 일 실시예는 용량성 커플링 요소로서 선택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코일(13, 14)이 유도성 커플링 요소(31, 36)로서 이용되며, 유도성 커플링 요소는 도 3 및 도 4에 일 예로서 도시되며, 대응적으로 설계된 코일 캐리어 상에 감겨질 수 있다.
모듈(9, 10)의 협동은 도 3 내지 도 10의 조합 결과로서 발생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9, 10)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0, 21)을 가지며, 이 하우징은 가구 본체 및 서랍(2, 3)(여기서 도시안됨) 각각에 체결된다.
하우징(20)에는 수용 형성부(22)가 제공되고 다른 하우징(21)에는 연장부(23)가 제공되며, 연장부는 서랍이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서(도 5) 수용 형성부(22) 내로 돌출되도록 설계된다.
연장부(23)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 24)를 가지거나 그러한 것으로서 실시되고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1)의 모듈(10)의 코일(14) 내로 연장한다.
가압되어 조립된 상태에서-도 5 내지 도 7-페라이트 코어(24)를 가지는 연장부(23)는 수용 형성부(22)에 동심으로 위치되는 코일(13) 내로 돌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도 작용 커플링 장치는 서랍의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서 소정의 경우 실시되며, 유도 작용 커플링 장치는 적어도 가구 본체 상의 회로(11)로부터 서랍(3) 상의 회로(12)로 공급 에너지를 무선으로 공급하기 위해 및/또는 반대 방향으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해 실시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하우징(20, 21)은 각각 할당된 가구 부품-가구 본체(2) 또는 서랍(3) 상에 모듈(9, 10)의 구멍 또는 장방형 구멍(25)과 같은 설치 수단 또는 체결 수단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모듈(9)이 가구 본체(2) 상에 체결되고 모듈(10)이 서랍(3) 상에 체결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대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코일들 중 하나(13)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모듈(9) 상에 위치하고 다른 코일(14)은 제 2 모듈(10) 상에 위치한다, 즉 코일(13, 14)은 서로에 가동되며, 이는 코일들 중 하나(14)가 서랍과 함께 연장 및 수축되기 때문이다(또한, 서랍(3)의 연장된 위치가 도시된, 도 2 참조).
적어도 가구 본체 내에서 서랍(3)의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에너지 및 데이터 전달이 모듈들(9, 10) 또는 커플링 장치의 회로(11, 12) 사이에서 가능하게 되는 방식으로 두 개의 코일(13 및 14)이 가구 본체(2) 및 서랍(3)에 위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비하면, 서랍(3)의 연장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장치(7)가 가구 방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된 경우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에너지 및 데이터 전달이 없을 수 있는데, 가구 방출 장치는 서랍의 수축된 위치로부터 다소 서랍을 방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만 설계되지만, 또한 서랍을 폐쇄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데, 이러한 서랍의 폐쇄가 서랍을 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여전히 수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이다.
도 2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듈들 중 하나의 모듈(9)은 기구 본체 후방 벽(15)의 내측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모듈들 중 나머지 모듈(10)은 예를 들면, 서랍(3)의 설치 가로대(installation traverse; 16)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가구 본체 상에 위치된 모듈(9)은 바람직하게는 멀티컨덕터 케이블(17)을 경유하여 방출 장치(18) 또는 또 다른 전기 장치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여기서 도시안됨) 방출 장치 및 회로(11)의 전원을 위해 이용되는, 전원 유닛으로 연결된다.
서랍(3) 상에 또는 서랍(3) 내에 위치되는 모듈(10)은 바람직하게는 멀티-컨덕터 케이블(19)을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 또는 다중 작동 장치(들)(7)로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모듈이 할당된 가구 부품 상에서 가동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이 위치되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이를 위해, 도 3에 따라 가구 본체(2) 상의 모듈(9)은 제한된 방식으로 가구 부품에 대해 가동된다.
이는 모듈(9)의 회로(11)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하우징 영역(20a)이 연결되어 중앙 하우징 영역이 나사 등을 이용하여 가구 본체 상에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수단-여기서는 리세스(25)-을 가지는 하우징 영역(20b, 20c)으로 가동되도록 연결되는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가동성은 하우징 영역(20a)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프링 웨브(26)를 경유하여 설치판(27)으로 연결되어 실행될 수 있는데, 설치판은 설치 수단(25)을 가지는 영역(20b, 20c)으로서 이용된다. 가동성은 또한 탄성 재료 자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하우징 영역(20a)은 바람직하게는 설치판들(27)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고 하나 또는 둘 이상-여기서 3개-웨이브 곡선형 스프링 웨브(26)를 경유하여 하우징 영역의 양 측부 상에서 설치판(27)으로 연결되며, 웨이브 곡선형 스프링 웨브는 서로 이격되며, 가동 스프링 웨브(26)는 신장 및 압축될 수 있어 가동성을 실행한다.
스프링 웨브(26) 및 설치판(27)을 특히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가지는 하우징(20)을 생산하는 것이 적절하고 비용 효율적이다.
상술된 구성은 간단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정의 움직임이 서로에 대해, 또한 변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동되는 가구 본체(2)의 가구 부품과 서랍 사이에 제공되는 특별히 유용한 방식으로 효과를 달성하며, 이는 코일(13)을 가지는 하우징 영역(20a)이 스프링 웨브(26)를 통하여 가구 본체(2)에 대해 다소 가동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가동되는 가구 본체(2)의 가구 부품 및 서랍(3)이 서로 가압될 때 서랍(3)의 연장부(23)가 수용 형성부(22) 내로 확실하게 안내되어, 구성의 매우 유용한 기능적 신뢰성을 보장하고 커플링 장치가 또한 들 정밀하게 조립되거나 서로에 대해 많은 움직임을 가지고 안내되는 가구 부품 상에서 이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연장부(23) 및/또는 수용 형성부(22)의 약간의 원통형 설계를 통하여 한번 더 기능성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수용 형성부(22)는 또한 페라이트 코어를 가지는 연장부(23) 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어, 회로(11, 12)의 기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심지어 에너지 및 데이터 전달이 페라이트 코어(13)가 수용 연장부(22) 내로 돌출되지 않지만, 수용 연장부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즉 서랍(3)이 비의도적으로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도 여전히 보장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코일(13, 14)은 또한 수축된 상태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배향될 수 있다.
도 9에 따라, 익사이터로서 실시되는 가구 본체(2) 상의 회로(11)는 바람직하게는 전원 장치(28), 전원 장치 하류부에 발진기(29), 발진기(29)로부터 하류부의 펄스 쉐이핑(pulse shaping)을 위한 장치(30), 및 펄스 쉐이핑을 위한 장치(30)로부터 하류부의 유도성 커플링 요소(31)를 가지는데, 유도성 커플링 요소(31)는 코일(13)에 의해 도 3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너지는 유도성 커플링 요소(31)로부터 서랍(3) 상의 대응하는 커플링 요소(36)로 전달될 수 있는데, 커플링 요소는 서랍 상에 회로(12)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서랍에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트랜스폰더로서 실시된다. 또한 에너지에 부가하여 트랜스폰더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지만, 이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유도성 커플링 요소(31)내로 전달되고 및/또는 트랜스폰더에 의해 무선 전달되고 커플링 요소(31)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커플링 요소(31)로부터 신호 샘플링 장치(signal sampling device; 32)로 안내되는데, 검파기(demodulator; 33) 및 신호 분석을 위한 장치(34)가 신호 샘플링 장치로부터 하류부에 있으며, 신호 분석을 위한 장치는 이러한 신호들의 기능으로서 상술된 방출 장치와 같은 소모 부재(consumer)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제어 장치, 특히 마이크로제어기(35)에는 회로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발진기(29), 펄스 쉐이핑을 위한 장치(30), 신호 샘플링 장치(32), 검파기(33), 및 신호 분석을 위한 장치(34)로 연결된다.
도 10에 따라, 트랜스폰더로서 실시되는 가구 본체(2) 상의 회로(12)는 코일(14)에 의해 도 3에서 형성된, 유도성 커플링 요소(36)를 가진다. 전원 장치(37) 및 펄스 분리 스테이지(38)는 트랜스폰더로 전달된 에너지 및 또한 서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분리하고 및/또는 상기 에너지 및 신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여기서 병렬 회로로 유도성 커플링 요소(36)로부터 하류부에 있다. 펄스 분리 스테이지(38)는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제어기로서 실시되는 제어 장치(39)로 연결된다.
입력/출력 로직(40)이 할당되는 작동 장치는 제어 장치(39)의 입력부로 연결된다.
작동 장치(7)에서 입력부의 기능으로서, 신호는 변조기(41)에 의해 출력되며, 변조기는 전원 장치(37)로부터 하류부에 있으며 제어 장치(37)로 연결되어, 제어 장치로부터 하류부에 있는 발진기(42)로 연결되며, 발진기의 신호는 이어서 제어 신호를 가구 본체 상의 익사이터로 전달하도록 유도성 커플링 요소(36)로 전달된다.
따라서 에너지 전달 및 데이터 전달 모두가 가구 본체(2)와 서랍(3) 사이에서 무선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서랍(3)과 가구 본체(2) 사이를 따라 제공되는 케이블이 간단한 방식으로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유사한 구성이 가구 본체(2)와 회전문과 같은 또 다른 가동 가구 부품(3) 사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트랜스폰더(12)로부터 익사이터(11)로의 데이터 전달(S) 및 다른 한편으로는 익사이터(11)로부터 트랜스폰더(12)로의 에너지 전달(E)이 블록(E,S,E) 내에서 시간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발생되는 경우 특히 유용한데, -그러나, 이는 요구되는 것은 아님- 이는 에너지 전달 및 신호 분석이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있게 되기 때문이다.
단지 하나의 서랍(3) 상에 작동 장치를 제공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 가구 본체 내의 다른 서랍(4, 5)을 작동시키는 것이 본 발명을 통하여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작동 장치(7)가 이용자에게 잘 접근가능하고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예를 들면 서랍(5)과 같이 낮거나 높게 위치되어 접근하기가 다소 용이하지 않은 서랍을 개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랍(3)의 작동 장치(7)는 단지 또 다른 서랍의 방출 장치(18)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또 다른 가구의 가동 가구 부품이 하나의 가구의 작동 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필드버스(fieldbus) 처럼 서로 가구들의 네트워킹과 유사하다.
회로(11, 12)는 바람직하게는 모듈(9, 10) 또는 하우징(20, 21) 내에 완전히 통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회로 상의 컨택(contact; 43) 또는 플러그 장치가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회로의 기능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서로에 대해 가압하는 표면들 사이의 세척 효과는 또한 기능적으로 폐쇄 및 개방시 요소들(22, 23)의 영역 내의 마찰에 의해 선택적으로 달성된다.
가구 1
가구 본체 2
서랍 3, 4, 5
전방 패널 6
입력 장치 7
커플링 장치 8
제 1 모듈 9
제 2 모듈 10
회로 11, 12
코일 13, 14
가구 본체 후방 벽 15
설치 가로대 16
다중컨덕터 케이블 17
방출 장치 18
다중컨덕터 케이블 19
하우징 20, 21
수용 형성부 22
연장부 23
핀 24
체결 수단 25
스프링 웨브 26
설치판 27
전원 장치 28
발진기 29
펄스 쉐이핑용 장치 30
커플링 요소 31
신호 샘플링 장치 32
검파기 33
신호 분석용 장치 34
마이크로제어기 35
커플링 요소 36
전원 장치 37
펄스 분리 스테이지 38
제어 장치 39
입력/출력 로직 40
변조기 41
발진기 42
데이터 전달 S
에너지 전달 E

Claims (33)

  1. 가구 본체(2)를 가지고 상기 가구 본체(2)에 대해 가동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구 부품, 특히 상기 가구 본체에 대해 변위가능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랍(3)들을 가지며, 상기 가구 본체(2)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가동 가구 부품(3) 사이에 전기 에너지를 무선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를 가지는, 가구(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적어도
    a) 상기 가구 본체 상의 제 1 전기 회로(11), 및
    b) 상기 가동 가구 부품(3) 상의 제 2 전기 회로(12)를 가지며,
    c) 상기 제 1 전기 회로(11)는 상기 가동 가구 부품 상의 상기 대응하는 제 2 전기 회로(12)로 공급하도록 적어도 전기 에너지를 상기 가구 본체로부터 상기 가동 가구 부품(3)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계되며,
    d) 상기 제 2 전기 회로(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를 제어하도록 하나 이상의 작동 장치(7) 상으로 입력될 수 있는 작동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가구 본체(2) 상의 상기 제 1 전기 회로(11)로 전달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 기구는 상기 서랍(3)들 중 하나의 서랍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장치(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장치(18)들 중 하나의 방출 장치는 상기 서랍 각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7)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작동 장치가 상기 서랍(3)들 중 하나의 서랍에만 위치하고, 상기 작동 장치들에서 입력부는 또한 개별 작동 장치를 가지지 않는 상기 서랍(3)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서랍의 방출 장치(18)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도 이용되거나, 개별 작동 장치를 가지지 않는 상기 서랍(3)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서랍의 방출 장치(18)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유도적으로 작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적으로 작용하는 커플링 장치는 상기 서랍(3)의 수축된(retracted) 상태에서만 테이터 및 에너지 전달을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무선 전달하기 위한 상기 커플링 장치는 :
    상기 가구 본체(2) 상에 위치되는 제 1 모듈(9) 및 서랍들(3, 4, 5) 중 하나 상에 위치되는 제 2 모듈(10)을 가지며,
    상기 제 1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에는 커플링 요소(31, 36)를 가지는 협동하는 상기 전기 회로(11, 12)가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11, 12)는 익사이터 및 트랜스폰더로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익사이터는 상기 가구 본체(2) 상에 위치되고 상기 트랜스폰더는 상기 서랍(3)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 항의 전제부에 있어서,
    상기 익사이터 및 상기 트랜스폰더는 상기 서랍(3)의 거의 전체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축된 상태에서만 데이터 및/또는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11, 12) 각각은 유도성 커플링 요소(31, 3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11, 12) 각각은 상기 유도성 커플링 요소(31, 36)로서 하나의 코일(13, 1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본체 상에 위치되는 모듈(9)이 멀티컨덕터 케이블(17)을 경유하여 전원 유닛을 가지는 방출 장치(18)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3) 상에 또는 상기 서랍(3) 내에 위치되는 상기 모듈(10)은 멀티컨덕터 케이블(19)을 경유하여 하나 이상 또는 상기 다중 작동 장치(들)(7)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9, 10) 각각은 상기 가구 본체(2) 상 또는 상기 서랍(3) 상에 위치되는 하우징(20, 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 항의 전제부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모듈(9, 10)을 가지며, 상기 모듈은 상기 커플링 장치를 가지는 상기 하우징(20, 21)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20 또는 21) 중 하나 이상 또는 상기 하우징(20 또는 21)의 일 부분이 상기 가구 본체 또는 상기 가동 가구 부품 상에서, 특히 상기 하나 이상의 서랍 상에서, 제한된 방식으로 가동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들 중 하나의 하우징(20)에는 하나 이상의 수용 형성부(22)가 제공되고, 상기 다른 하우징(21)에는 연장부(23)가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서랍의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형성부(22) 내로 돌출시키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3)는 페라이트 코어를 가지거나 페라이트 코어로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 21)은 각각 상기 할당된 가구 부품-가구 본체(2) 또는 서랍(3) 상에 상기 모듈(9, 10)의 구멍 또는 장방형 구멍(25)과 같은 체결 수단 또는 설치 수단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11)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하우징 영역(20a)이 상기 모듈을 상기 가구 본체 상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설치 수단(25)을 가지는 하우징 영역(20b, 20c)으로 가동되도록 상기 중앙 하우징 영역(20a)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성은 상기 하우징 영역(20a)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스프링 웨브(26)를 경유하여 상기 설치 수단을 가지는 설치판(27)으로 연결되게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영역(20a)은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웨이브 곡선형 스프링 웨브(26)를 경유하여 상기 설치판(27)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스프링 웨브(26) 및 상기 설치판(27)과 일체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3) 및/또는 상기 수용 형성부(22)가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익사이터로서 실시되는 상기 가구 본체(2) 상의 회로(11)는 바람직하게는 전원 장치(28), 상기 전원 장치의 하류부의 발진기(29), 상기 발진기(29)의 하류부의 펄스 쉐이핑을 위한 장치, 및 상기 펄스 쉐이핑을 위한 장치(30)의 하류부의 유도성 커플링 요소(31)를 가져서 에너지를 상기 유도성 커플링 요소(31)로부터 상기 서랍(3) 상의 상기 대응하는 커플링 요소(36)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11)는, 상기 유도성 커플링 요소(31) 내로 커플링되는(coupled) 및/또는 상기 트랜스폰더에 의해 무선 전달되고 상기 커플링 요소(31)를 경유하여 수용되는 신호를 처리하도록, 신호 샘플링 장치(32)를 가지며, 상기 신호 샘플링 장치로부터 검파기(33) 및 신호 분석을 위한 장치(34)가 하류부에 있으며, 상기 신호 샘플링 장치는 이러한 신호들에 따라 상기 방출 장치(18)와 같은 소모 부재(consumer)를 작동시키기 위해 설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 특히 마이크로제어기(35)가 상기 익사이터 회로(11)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품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제어기(35)는 상기 발진기(29), 상기 펄스 쉐이핑을 위한 장치(30), 상기 신호 샘플링 장치(32), 상기 검파기(33), 및 상기 신호 분석을 위한 장치(34)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12)는 상기 유도성 커플링 요소(36)를 가지며, 상기 유도성 커플링 요소로부터 전원 장치(37) 및 펄스 분리 스테이지(38)가 병렬로 하류부에 있으며, 상기 펄스 분리 스테이지(38)는 제어 장치(39)로 연결되고, 상기 작동 장치(7)는 상기 제어 장치(39)의 입력부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장치의 입력부로 입력/출력 로직(40)이 할당되고, 상기 신호 출력을 위한 회로는 또한 상기 제어 장치(39) 및 상기 제어 장치의 하류부의 발진기(42)로 연결되고, 상기 발진기는 상기 유도성 커플링 요소(36)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10) 및 (11)는 한편으로 상기 트랜스폰더(12)로부터 상기 익사이터(11)로의 데이터 전달(S),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익사이터(11)로부터 상기 트랜스폰더(12)로의 에너지 전달(E)이 시간 오프셋 방식으로 블록(E, S, E) 내에서 발생되도록 시퀀스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용량적으로 작용하는 커플링 장치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2. 가구 본체(2) 및 상기 가구 본체(2)에 대해 가동되는 가구 부품, 특히 서랍(3)을 가지고, 작동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작동 장치(7)를 가지는 가구 또는 제 1 항에 따른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 부품들, 특히 서랍(3)들 중 하나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작동 장치(7)가 위치되고, 상기 작동 장치 또는 상기 작동 장치들(7)의 입력부가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가동 가구 부품, 특히 서랍(3)들의 방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도 이용되거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가동 가구 부품, 특히 서랍(3)들의 상기 방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33. 각각 가구 본체(2) 및 상기 가구 본체(2)에 대해 가동되는 다중 가구 부품, 특히 서랍(3)을 가지고, 작동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작동 장치(7)를 가지는, 다수의 가구들(1)을 가지는 가구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7)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가구의 가구 부품들 중 하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작동 장치 또는 상기 작동 장치(7)들의 입력부가 또한 상기 가구 구성의 상기 가구 또는 또 다른 가구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가구 부품, 특히 서랍(3)들의 상기 방출 장치(18)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도 이용되거나, 상기 가구 구성의 상기 가구 또는 또 다른 가구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가구 부품, 특히 서랍(3)들의 상기 방출 장치(18)만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구성.
KR1020107014796A 2007-12-03 2008-11-20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는 가구 KR20100103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7016660U DE202007016660U1 (de) 2007-12-03 2007-12-03 Möbel mit einer Einrichtung zur drahtlosen Übertragung von Elektrischer Energie
DE202007016660.5 2007-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549A true KR20100103549A (ko) 2010-09-27

Family

ID=4040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796A KR20100103549A (ko) 2007-12-03 2008-11-20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는 가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2217108B1 (ko)
JP (1) JP2011505184A (ko)
KR (1) KR20100103549A (ko)
CN (1) CN101883508A (ko)
AU (1) AU2008333385A1 (ko)
DE (1) DE202007016660U1 (ko)
RU (1) RU2503388C2 (ko)
WO (1) WO2009071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9001324U1 (de) * 2009-02-04 2010-06-24 Paul Hettich Gmbh & Co. Kg Ausstoßeinheit und Möbel
DE202009004882U1 (de) * 2009-06-03 2010-10-21 Paul Hettich Gmbh & Co. Kg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US10049534B2 (en) 2010-01-08 2018-08-14 Apg Cash Drawer Cash drawer having a network interface
US9129493B2 (en) * 2010-01-08 2015-09-08 Apg Cash Drawer, Llc Wireless device operable cash drawer having biometric, database, and messaging capabilities
DE202012008994U1 (de) * 2012-09-19 2014-01-09 Grass Gmbh Möbel und Vorrichtung zur Bewegungskontrolle eines Möbelteils
CN105615320B (zh) * 2015-12-24 2017-12-22 江山达人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便于存取高处物品的智能衣柜
CN108397971A (zh) * 2018-01-10 2018-08-1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可调节显控模块的抽屉组件及冰箱
JP7161691B2 (ja) * 2018-08-31 2022-10-27 Toto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JP7075622B2 (ja) * 2018-08-31 2022-05-26 Toto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AT525028B1 (de) * 2021-04-30 2023-08-15 Blum Gmbh Julius Energieversorgungsvorrichtung
DE102021125987A1 (de) 2021-10-07 2023-04-13 Grass Gmbh Möbelkorpus mit einer Energieübertragungsvorrichtung und ein bewegbares Möbelteil mit Energieaufnahme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13161U1 (ko) * 1990-09-17 1990-11-22 Paul Hettich Gmbh & Co, 4983 Kirchlengern, De
AT413632B (de) * 2001-12-27 2006-04-15 Blum Gmbh Julius Bewegbarer möbelteil
AT413633B (de) * 2004-08-16 2006-04-15 Blum Gmbh Julius Auslös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US20060139149A1 (en) * 2004-12-23 2006-06-29 Faro Todd J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cabinet
AT502097B1 (de) * 2005-07-12 2010-01-15 Blum Gmbh Julius Möbel mit ausstossvorrichtung für schubladen
DE202006006189U1 (de) * 2006-04-18 2007-08-30 Paul Hettich Gmbh & Co. Kg Antriebsein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JP4993946B2 (ja) 2006-05-15 2012-08-08 株式会社ニフコ 引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333385A1 (en) 2009-06-11
RU2010126731A (ru) 2012-01-10
WO2009071447A1 (de) 2009-06-11
EP2217108A1 (de) 2010-08-18
DE202007016660U1 (de) 2009-04-16
RU2503388C2 (ru) 2014-01-10
JP2011505184A (ja) 2011-02-24
CN101883508A (zh) 2010-11-10
EP2217108B1 (de) 2018-05-30
EP2570051A1 (de)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3549A (ko) 전기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는 가구
JP4538222B2 (ja) 自動車用ドアの取手
US7549685B2 (en) Lock for a household appliance
US8151609B2 (en) Lock cylinder arrangement
JP2009535540A (ja) アクセス制御装置
US20090117756A1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TW201628288A (zh) 電源插座
CN105723581A (zh) 承载轨道壳体
CN104661467B (zh) 一种电气柜交接箱的箱柜体
KR20090032688A (ko)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CN102257232A (zh) 用于家用电器的门锁定装置
EP3196856B1 (en) A control system for a domestic appliance
KR101292848B1 (ko) 전자식 잠금장치
AU2010255902A1 (en) Device for transmitting electrical energy
CN112401309B (zh) 一种充电装置及具有该充电装置的吸烟设备
CN210272111U (zh) 遥控微断控制装置及开关组件
US9129512B2 (en) Remote control device of an electric equipment
GB2397095B (en) Coupl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door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CN113827166B (zh) 用于家用电器的锁闭装置
CN214542814U (zh) 插头
CN102704766A (zh) 保险式抽屉及其应用方法
CN214760994U (zh) 一种便于清洁的家用电器遥控器
CN102820183B (zh) 用于电气开关的辅助开关
EP3844886A1 (en)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oor and the body of the oven
CN205065554U (zh) 灯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