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2688A -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2688A
KR20090032688A KR1020070098131A KR20070098131A KR20090032688A KR 20090032688 A KR20090032688 A KR 20090032688A KR 1020070098131 A KR1020070098131 A KR 1020070098131A KR 20070098131 A KR20070098131 A KR 20070098131A KR 20090032688 A KR20090032688 A KR 2009003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ignal
emergency
unit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7009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2688A/ko
Publication of KR2009003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Door)의 해정 및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서 상기 도어의 실내측면에 설치된 실내 장치를 해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한 신호인 해정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키(Key);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서 비상시 해정 신호 또는 메인 분리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 상기 실내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해정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에 의해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작동부; 및 상기 실내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키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해정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상기 메인 작동부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분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작동부를 분리하는 메인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해정 또는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작동부가 화재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한 작동 불능 상태일 때,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에서 전송한 신호에 의해 메인 작동부를 도어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또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파손 없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도어록, 해정, 무선 신호, 분리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Digital Door Lock Apparatus Having Separatable Main Operation Part}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실내 장치를 해정 또는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작동부 및 도어의 실내측면에 부착되고 메인 작동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메인 탈착부로 구성하고, 메인 작동부의 작동 불능 상태가 되면 메인 탈착부가 메인 작동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메인 작동부의 작동 불능시에 실내 장치를 분해하지 않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독주택,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과 같은 대규모 주거시설의 도어(Door)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도어의 내부에 주 도어록(Door-Lock) 장치가 설치되고, 주 도어록 장치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도어록 장치가 도어의 외측 및 내측에 설치된다.
일반적인 보조 도어록 장치는 열쇠와 자물쇠로 구성된 기계식 도어록 장치와 마그네틱 카드 및 카드 키를 포함하는 전자 키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카드 키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카드 키에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해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카드 키에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실외 장치를 도어의 외측에 설치하며, 도어의 내측에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해정 또는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실내 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카드 키를 실외 장치에 근접시키기만 하면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해정되기 때문에 열쇠와 자물쇠의 기계적 결합을 통해 해정되는 기계식 도어록 장치에 비해 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무선 통신 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 중에서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실내 장치가 충격 또는 전원 차단 등으로 인한 이상이 발생하여 데드 볼트의 해정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작동 불능 상태가 되면, 망치, 드라이버 및 배척 등의 연장을 사용해서 실외 장치 및 실내 장치를 도어에서 강제적으로 분리하여 도어를 개방해야 하고, 이때에 도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실내 장치를 해정 또는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작동부 및 도어의 실내측면에 부착되고 메인 작동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메인 탈착부로 구성하고, 메인 작동부의 작동 불능 상태가 되면 메인 탈착부가 메인 작동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메인 작동부의 작동 불능시에 실내 장치를 분해하지 않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Door)의 해정 및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서 상기 도어의 실내측면에 설치된 실내 장치를 해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한 신호인 해정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키(Key);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서 비상시 해정 신호 또는 메인 분리 신호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 상기 실내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해정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에 의해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작동부; 및 상기 실내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키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해정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상기 메인 작동부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분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작동부를 분리하는 메인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해정 또는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작동부가 화재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한 작동 불능 상태일 때,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에서 전송한 신호에 의해 메인 작동부를 도어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또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파손 없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드 키를 분실한 경우에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를 통해 메인 작 동부를 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메인 작동부와 메인 탈착부를 분리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메인 작동부(110), 메인 탈착부(120), 표시부(410), 카드 키(420),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를 포함하지만, 도 1에서는 도어의 실내측면에 설치되는 메인 작동부(110) 및 메인 탈착부(120)를 포함한 실내 장치에 대한 기술 구성을 설명하고, 도어의 실외측면에 부착되는 표시부(410), 도어의 실외측에서 무선 신호를 실내 장치로 전송하는 카드 키(420) 및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에 대한 기술 구성은 도 4에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 도어의 실내측면에 설치되는 실내 장치는 메인 작동부(110) 및 메인 탈착부(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작동부(110) 및 메인 탈착부(120)를 포함하는 실내 장치 의 외형을 직사각형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의 임의대로 실내 장치의 외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신호 수신부(128)가 외부에 노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탈착부(12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 작동부(110)는 데드 볼트(112),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114), 키패드(115), 결합부(116), 체결 홈(1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114), 결합부(116), 및 체결 홈(118)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메인 작동부(110)의 후면에 구비된다.
이외에도, 메인 작동부(110)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해정 또는 괘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데드 볼트(112)를 구동하여 해정 또는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후술할 카드 키(420)로부터 수신한 해정 신호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부에 포함한다. 여기서, 데드 볼트(112)의 기능 및 메인 작동부(110)의 내부에 포함된 기술 구성은 종래 무선 통신 방식의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메인 작동부(110)의 내부에 포함된 기술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겠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숫자의 조합, 문자의 조합 또는 숫자 및 문자의 조합 등으로 구성된다.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114)은 후술할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127)과 접속됨으로써, 메인 작동부(110)와 메인 탈착부(120) 간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작동부(110)와 메인 탈착부(120)가 결합한 상태에서는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114)과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127)이 접속되어 메인 작동부(110)의 키패드(115)로부터 입력된 비상용 비밀번호를 메인 탈착부(120)로 전송하고, 메인 탈착부(120)로부터 해정 신호 또는 비상시 해정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비상시 해정 신호는 후술할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가 메인 탈착부(120)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로써, 도어록 사용자가 카드 키(420)를 분실하였을 때 메인 작동부(110)를 해정하기 위한 무선 신호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 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및 지그비(Zigbee) 신호 등 가능한 어느 하나이다.
키패드(115)는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키패드(115)를 통해 입력된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는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114)을 통해 메인 탈착부(120)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 메인 작동부(110)는 메인 탈착부(12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 되기 위해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후면(後面)에 결합부(116) 및 체결 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116) 및 체결 홈(118)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하겠다.
한편, 메인 작동부(110)는 메인 탈착부(12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탈착부(120)에 연결된 메인 파손 방지 끈(129)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 탈착부(120)는 부착부(122), 결합홈(124), 메인 탈착 후 크(125), 메인 분리용 스프링(126),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127), 무선 신호 수신부(128) 및 메인 파손 방지 끈(129)을 외부에 구비하고, 메인 탈착 후크(125)를 구동시키기 위한 후크 구동부(610)를 내부에 포함한다. 여기서, 후크 구동부(6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하도록 한다.
부착부(122)는 메인 탈착부(120)를 도어의 실내측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공을 형성하고, 부착용 나사가 부착공을 통해 도어의 실내측면에 고정됨으로써, 도어의 실내측면에 메인 탈착부(120)가 부착되도록 한다.
결합 홈(124)은 메인 작동부(110)의 결합부(116)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부착부(122)의 전면에 형성된 홈이다.
메인 탈착 후크(125)는 결합 홈(124)의 상하좌우 측면에 위치하고, 후크 구동부(610)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으로 구동하여 메인 작동부(110)의 체결 홈(118)에 삽입 또는 이탈한다.
메인 분리용 스프링(126)은 결합 홈(124)의 밑면에 부착되고, 메인 탈착 후크(125)가 메인 작동부(110)의 체결 홈(118)에서 이탈했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메인 작동부(110)의 결합부(116)를 밀어내어 메인 작동부(110)가 메인 탈착부(1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물론, 메인 분리용 스프링(126)이 메인 작동부(110)의 결합부(116)에 부착되어 결합 홈(124)의 밑면을 밀어낼 수도 있을 것이다.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127)은 메인 작동부(110)의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114)과의 접속을 통해 무선 신호 수신부(128)에서 수신한 해정 신호 또는 비상 시 해정 신호를 메인 작동부(110)로 전송하고, 메인 작동부(110)로부터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신호 수신부(128)는 카드 키(420)로부터 해정 신호를 수신하고,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로부터 비상시 해정 신호 또는 메인 분리 신호를 수신 및 복조한다. 여기서, 메인 분리 신호는 메인 탈착부(120)에서 메인 작동부(110)를 분리하도록 하기 위한 무선 신호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신호 수신부(128)가 메인 탈착부(120), 즉 실내 장치에 구비된다고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무선 신호 수신부(128)가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실외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 파손 방지 끈(129)은 도어에 부착된 메인 탈착부(120)와 메인 작동부(110)를 연결하여, 메인 탈착부(120)가 메인 작동부(110)를 분리하였을 때, 즉 메인 작동부(110)가 도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메인 작동부(110)가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부착부(122), 결합홈(124), 메인 탈착 후크(125), 메인 분리용 스프링(126),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127), 무선 신호 수신부(128) 및 메인 파손 방지 끈(129)을 포함한 메인 탈착부(120)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150)로부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작동부(110)로 전송하고, 메인 분리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작동부(110)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메인 작동부(110)가 도어(Door)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 탈착부(120)가 비상시 해정 신호를 메인 작동부(110)에 전송하면, 메인 작동부(110)는 해정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메인 탈착부(120)는 메인 작동부(110)가 기계적 파손(실내 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 운동을 데드 볼트(112)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어의 파손 또는 데드 볼트(112)를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암(Arm)의 파손 등) 또는 메인 작동부(110)의 메인 전원부(미도시)에 내장된 배터리의 미교체 등으로 인한 전원 오프(Off) 등으로 인해 메인 작동부(110)가 작동 불능 상태일 때,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로부터 메인 분리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작동부(110)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작동부 및 메인 탈착부의 단면도이다.
메인 작동부(110)의 후면은 메인 탈착부(12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6) 및 체결 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 홈(118)은 결합부(116)의 사방 벽면의 정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에서 결합부(116)가 메인 탈착부(120)의 결합 홈(124)에 삽입되어 메인 탈착 후크(125)가 체결 홈(118)에 삽입되면, 결합 홈(124)의 밑면에 부착된 메인 분리용 스프링(126)이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 탈착 후크(125)가 체결 홈(118)으로부터 이탈하면, 메인 분리용 스프링(126)이 원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탄성에 의해 메인 작동부(110)와 메인 탈착부(120)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여기서, 메인 탈착 후크(125)의 구동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카드 키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부(410)는 무선 신호 수신부(128)가 메인 탈착부(120)에 구비된 경우, 메인 작동부(110) 및 메인 탈착부(120)를 포함한 실내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도어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카드 키(420) 또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가 메인 작동부(110)에 최단 거리로 근접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카드 키(420) 또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가 표시부(410)에 근접했을 때가 메인 작동부(110)와 카드 키(420) 또는 메인 탈착부(120)와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가 최단 거리로 근접된 상태이다.
카드 키(420)는 표시부(410)에 근접하여 해정 요청 신호를 메인 탈착부(120)의 무선 신호 수신부(128)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비접촉식 및 접촉식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카드 키(420)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를 해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표시부(410)에 근접했을 때, 인증 정보를 포함한 해정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해정 신호를 메인 탈착부(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카드 키에서 수행한다고 한정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할 경우에는 아이 버튼(I-Button), 접촉식 카드 키 및 비접촉식 카드 키 중 어느 하나인 키(Key)에서 해정 신호를 메인 탈착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는 비상시 해정 신호 또는 메인 분리 신호를 메인 탈착부(120)의 무선 신호 수신부(128)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숫 자 버튼(432), 비상시 해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해정 버튼(434), 메인 분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분리 버튼(436) 및 입력 버튼(438)을 포함한다.
도어록 사용자가 카드 키(420)를 분실하였을 때, 도어록 사용자가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를 표시부(410)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해정 버튼(434)을 누르고, 숫자 버튼(432)을 통해 비상용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입력 버튼(438)을 누르면,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는 비상시 해정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신호 수신부(128)로 전송한다.
메인 작동부(110)를 메인 탈착부(120)로부터 분리, 즉 메인 작동부(110)를 도어로부터 분리하려 할 때, 도어록 사용자가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를 표시부(410)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분리 버튼(436)을 누르고 숫자 버튼(432)을 통해 비상용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입력 버튼(438)을 누르면,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는 메인 분리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신호 수신부(128)로 전송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를 표시부(410)에 근접한다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를 표시부(41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는 후면에 자석을 부착하고, 표시부(410)는 자성(磁性)을 갖는 금속, 즉 자석이 부착되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동부 및 신호 연결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동부(610)는 메인 탈착부(120)의 내부에 구성되는 요소로서, 솔레노이드(612), 메모리(614), 구동 전원부(616), 구동 제어부(618)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612)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자기기 장치로써, 절연된 동선에 전류를 통하면 발생하는 자장을 이용하여 플런저(Plunger)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솔레노이드(612)는 플런저와 메인 탈착 후크(125)가 연결된 상태에서 후술할 구동 제어부(618)로부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으면 플런저를 후퇴시킴으로써 메인 탈착 후크(125)를 체결 홈(118)에서 이탈시키고, 구동 신호의 제공이 중단되면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메인 탈착 후크(125)를 원위치로 복귀 시킨다. 여기서, 구동 신호는 솔레노이드(612)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신호이다.
메모리(614)는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 및 비상용 비밀번호 인증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여기서,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로부터 입력되는 비상용 비밀번호와 비교하기 위한 정보로서, 비상용 비밀번호가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와 일치한 경우에 솔레노이드(612)가 구동된다. 이러한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는 메인 작동부(110)의 키패드(115)를 통해 입력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모리(614)는 읽고, 쓰기가 가능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동 전원부(616)는 후크 구동부(610) 및 무선 신호 수신부(128)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 제어부(618)는 무선 신호 수신부(128)에서 수신한 해정 신호를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127)을 통해 메인 작동부(110)로 전송한다.
구동 제어부(618)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에서 전송한 메인 분리 신호를 무선 신호 수신부(128)로부터 수신하면 도어록 사용자가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를 통해 입력한 비상용 비밀번호를 메모리(614)에 저장된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와 대조하고, 비상용 비밀번호가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와 일치하면 솔레노이드(612)에 구동 신호를 소정 시간 제공한다.
또한, 구동 제어부(618)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에서 전송한 비상시 해정 신호를 무선 신호 수신부(128)로부터 수신하면 도어록 사용자가 입력한 비상용 비밀번호와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를 대조하고 비상용 비밀번호가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와 일치하면 신호 연결부(620)를 통해 비상시 해정 신호를 메인 작동부(110)로 전송한다.
신호 연결부(620)는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114) 및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127)을 포함하여 메인 작동부(110)와 메인 탈착부(120) 간의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호 연결부(620)는 메인 작동부(110)와 메인 탈착부(120)가 결합되었을 때, 메인 작동부(110)와 메인 탈착부(120) 간의 통신 경로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접속 패드 및 스프링 핀을 포함한 스프링 핀 커넥터 등을 신호 연결부(62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도어로부터 분리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메인 작동부(110)가 충격 또는 전원 차단 등으로 인해 데드 볼트(112)의 해정 동작이 수행되지 작동 불능 상태가 되었을 때, 종래에는 연장을 사용하여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실내 장치를 강제적으로 도어에서 분리해야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430)를 도어의 외측면에 부착된 표시부(410)에 근접시킨 후, 비상용 비밀번호 및 분리 코드를 포함한 무선 신호인 메인 분리 신호를 메인 탈착부(120)에 전송하면, 메인 탈착부(120)가 메인 작동부(110)를 자동으로 분리한다.
메인 탈착부(120)가 메인 작동부(110)를 분리하면, 도 7과 같이 메인 작동부(110)가 도어에 부착된 메인 탈착부(120)와 분리되어 메인 작동부(110)의 데드 볼트(112)가 도어 프레임(Frame)에 부착된 걸림부(미도시)에 걸린 상태가 되거나, 메인 파손 방지 끈(129)에 매달린 상태가 되어 도어를 파손하지 않고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메인 작동부(110)를 수리한 후, 메인 탈착부(120)의 결합홈(124)에 메인 작동부(110)의 결합부(116)가 정합되도록 끼워 넣으면, 메인 탈착 후크(125)가 체결홈(118)에 체결됨으로써 메인 작동부(110)와 메인 탈착부(120)가 결합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 장치 분야에 적용되어,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해정 또는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작동부가 화재 또는 충격 등으로 인한 작동 불능 상태일 때,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에서 전송한 신호에 의해 메인 작동부를 도어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 또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파손 없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메인 작동부와 메인 탈착부를 분리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작동부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 작동부 및 메인 탈착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카드 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 구동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메인 작동부가 도어로부터 분리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메인 작동부 112: 데드 볼트
114: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 115: 키패드
116: 결합부 118: 체결 홈
120: 메인 탈착부 122: 부착부
124: 결합홈 125: 메인 탈착 후크
126: 메인 분리용 스프링 127: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
128: 무선 신호 수신부 129: 메인 파손 방지 끈
410: 표시부 420: 카드 키
430: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 432: 숫자 버튼
434: 해정 버튼 436: 분리 버튼
438: 입력 버튼 610: 후크 구동부
612: 솔레노이드 614: 메모리
616: 구동 전원부 618: 구동 제어부
620: 신호 연결부

Claims (8)

  1. 도어(Door)의 해정 및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서 해정 신호를 상기 도어의 실내측면에 부착된 실내 장치에 전송하는 키(Key);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서 비상시 해정 신호 또는 메인 분리 신호를 상기 실내 장치에 전송하는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
    상기 실내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해정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에 의해 해정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작동부; 및
    상기 실내 장치에 포함되며, 상기 키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해정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상기 메인 작동부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 분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메인 작동부를 분리하는 메인 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상기 실내 장치가 설치된 상기 도어의 실내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실외측면에 부착하는 표시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신호,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 및 상기 메인 분리 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및 지그비(Zigbee) 신호 중 가능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작동부는
    상기 해정 동작 및 괘정 동작을 수행하는 데드 볼트;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
    상기 메인 탈착부로부터 상기 해정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를 상기 메인 탈착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신호 연결부에 포함된 작동부측 신호 연결단;
    상기 메인 탈착부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메인 작동부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벽면에 형성된 체결 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 털 도어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탈착부는
    상기 도어의 실내측면에 상기 메인 탈착부가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
    상기 메인 작동부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홈;
    상기 메인 작동부의 체결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메인 탈착 후크;
    상기 해정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를 상기 메인 작동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작동부로부터 비상용 비밀번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신호 연결부에 포함된 탈착부측 신호 연결단;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상기 메인 작동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메인 분리용 스프링;
    상기 해정 신호, 상기 비상시 해정 신호 및 상기 메인 분리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무선 신호 수신부;
    상기 메인 탈착 후크를 구동하기 위한 후크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작동부를 도어에서 분리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탈착부는
    상기 메인 작동부와 상기 메인 탈착부를 연결하는 메인 파손 방지 끈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작동부를 도어에서 분리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탈착 후크는 상기 결합홈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비밀번호 입력 장치는 숫자 버튼, 해정 버튼 및 분리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20070098131A 2007-09-28 2007-09-28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20090032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31A KR20090032688A (ko) 2007-09-28 2007-09-28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31A KR20090032688A (ko) 2007-09-28 2007-09-28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688A true KR20090032688A (ko) 2009-04-01

Family

ID=4075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131A KR20090032688A (ko) 2007-09-28 2007-09-28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268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728A (zh) * 2015-10-30 2015-12-23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体
CN105298243A (zh) * 2015-11-23 2016-02-03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及其控制方法
CN105332563A (zh) * 2015-12-01 2016-02-17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的触发结构及其触发方式
CN105604400A (zh) * 2016-03-05 2016-05-25 梁富坚 一种模块化电子锁
CN105840004A (zh) * 2016-05-18 2016-08-10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电子柜锁的触发构造
CN107749101A (zh) * 2017-09-30 2018-03-02 深圳市艾特智能科技有限公司 电锁隔离电路
CN109322557A (zh) * 2018-12-13 2019-02-12 深圳市顾美智能装备有限公司 玻璃门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728A (zh) * 2015-10-30 2015-12-23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体
CN105298243A (zh) * 2015-11-23 2016-02-03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及其控制方法
CN105332563A (zh) * 2015-12-01 2016-02-17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锁的触发结构及其触发方式
CN105604400A (zh) * 2016-03-05 2016-05-25 梁富坚 一种模块化电子锁
CN105840004A (zh) * 2016-05-18 2016-08-10 武汉普林光通科技有限公司 电子柜锁的触发构造
CN107749101A (zh) * 2017-09-30 2018-03-02 深圳市艾特智能科技有限公司 电锁隔离电路
CN109322557A (zh) * 2018-12-13 2019-02-12 深圳市顾美智能装备有限公司 玻璃门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2688A (ko) 분리 가능한 메인 작동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 장치
US10526821B2 (en) Keyless vehicle door latch system with powered backup unlock feature
CN104395153A (zh) 车辆访问系统
US9355512B2 (en) Closing unit, cl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nd/or locking a lock
JP2002503777A (ja) 車両の認証問い合わせ部をトリガする装置
CN106168087A (zh) 用于车辆的替代性备用进入装置
CN102306413A (zh) 一种门禁电子锁
CN101240677A (zh) 用于解锁车辆的至少一个门的车辆免提接入设备
WO2012097514A1 (zh) 电动车电池盒
US20210156169A1 (en) Sealing of an electronic lock
CN103068665B (zh) 钥匙锁和具有钥匙锁的设备
CN101918661A (zh) 闩锁促动器和使用该闩锁促动器的闩锁
CN104661467B (zh) 一种电气柜交接箱的箱柜体
EP1888864A1 (en) Lock assembly
US9412539B2 (en) Frame-supported circuit breaker having automatic locking function
KR200382646Y1 (ko) 무선방식의 전자식 잠금장치
CN107956325A (zh) 电子锁
CN104616373A (zh) 动态密码电子密码锁
US8544742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ad/write device
KR200384248Y1 (ko) 문 처짐 감지 장치
KR101513928B1 (ko) 전기식 잠금 모듈 및 이를 가진 도어 잠금 시스템
KR100491760B1 (ko) 도어핸들용 원격제어 전자식 키박스
CN113882763A (zh) 便携式电子锁
CN213807064U (zh) 一种电气锁
KR100473888B1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