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307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307A
KR20100101307A KR1020090019725A KR20090019725A KR20100101307A KR 20100101307 A KR20100101307 A KR 20100101307A KR 1020090019725 A KR1020090019725 A KR 1020090019725A KR 20090019725 A KR20090019725 A KR 20090019725A KR 20100101307 A KR20100101307 A KR 20100101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tube
hole
cathet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김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진 filed Critical 김희진
Priority to KR102009001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1307A/ko
Publication of KR2010010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025/0163Looped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라멘트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튜브를 정확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외로 배출되는 물질이 필라멘트를 따라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테터, 튜브, 필라멘트

Description

카테터 {CATHETER}
본 발명은 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질을 체내로 주입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어 의료용 물질을 체내로 주입하거나 체내의 체액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카테터는 체내에 삽입되는 튜브와,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라멘트와, 튜브 및 필라멘트를 고정하기 위한 몸체로 구성된다.
튜브는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필라멘트의 일단은 튜브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환자의 간, 담낭 등 장기의 내부로 형성된 구멍에 튜브를 삽입한 후,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당기게 되면, 튜브의 선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튜브가 체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종래의 카테터는 필라멘트를 당겨 튜브의 선단부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한 후 당겨진 필라멘트를 몸체에 감거나 별도의 고정구를 몸체에 끼워 필라멘트를 고정하였으므로, 필라멘트를 고정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테터는 필라멘트의 고정이 불확실하였기 때문에 필라멘트가 풀어져 튜브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이 적절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의료용 물질이나 체내의 체액 등이 튜브를 따라 원활하게 주입되거나 배출되지 않았으며, 튜브가 체내로부터 쉽게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테터는 필라멘트의 고정이 정확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튜브 내에서 유동하는 의료용 물질 또는 체내의 체액이 필라멘트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이와 같은 누설에 의하여 카테터의 주위가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필라멘트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필라멘트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필라멘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튜브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필라멘트를 고정한 후 의료용 물질이나 체내의 체액이 필라멘트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의료용 물질이나 체내의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어 카테터의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중공의 튜브와,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와, 튜브 및 필라멘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잠금장치는,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와,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을 가지는 바디부재; 바디부재의 외측에 고정되고, 안내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1돌부를 가지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의 안내홈에 삽입되는 제2돌부를 가지며, 제2돌부가 안내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 는 것을 통하여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지지부재의 제1돌부에는 슬라이드부재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천공되고 통과홀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부재의 제2돌부에는 슬라이드부재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천공되고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다.
한편, 바디부재와 지지부재의 사이에는 유로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의료용 물질 또는 체내의 체액이 필라멘트를 따라 이동되어 바디부재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실링부재에는 통과홀과 제1관통홀을 연통시키는 연결홀을 포함하며, 연결홀은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실링부재와 바디부재의 사이에는, 실링부재의 견고한 고정 및 필라멘트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내부에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공간을 가지는 패킹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가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의 제1돌부에는 슬라이드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슬라이드부재의 제2돌부에는 오목부에 삽입되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슬라이드부재를 이동시키는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필라멘트를 지지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라멘트가 임의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재에 의하여 물질이 필라멘트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필라멘트가 지지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물질이 필라멘트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부에 물질의 체내로의 주입 및 체외로의 배출을 위한 통공(11)이 형성되는 튜브(10)와, 적어도 일부분이 튜브(10)의 내부에 삽입되며 튜브(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라멘트(20)와, 튜브(10)의 선단의 반대측 단부가 고정되고 필라멘트(20)가 고정되는 잠금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튜브(10)는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필라멘트(20)의 일단은 튜브(10)의 선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튜브(10)의 선단부가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라멘트(20)를 당기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의 선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에 따라, 튜브(10)의 선단이 체내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잠금장치(30)는 튜브(10) 및 필라멘트(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아울러 체내로 물질을 주입하거나 체내로부터 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배액포집주머니, 드레인 백(drain bag)이나 시린지(미도시) 등이 결합되는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잠금장치(30)는, 내부에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42)가 구비되는 바디부재(40)와, 바디부재(40)의 외측에 고정되고, 안내홈(63)을 형성하기 위한 제1돌부(61)를 가지는 지지부재(60)와, 지지부재(60)의 안내홈(63)에 삽입되는 제2돌부(71)를 가지는 슬라이드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재(40)는 체내로 주입되는 의료용 물질 또는 체내의 체액이 배출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튜브(10)의 일단이 고정된다. 바디부재(40)에는 시린지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재(40)에는 필라멘트(20)이 통과하는 통과홀(45)이 형성된다.
지지부재(60)는 상측이 개방된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재(4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60)의 제1돌부(61)에는 슬라이드부재(70)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천공되고, 바디부재(40)의 통과홀(45)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65)이 형성된다.
슬라이드부재(70)는, 제2돌부(71)가 지지부재(60)의 안내홈(6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통하여 지지부재(60)에 연결된다. 슬라이드부재(70)의 제2돌부(71)에는 슬라이드부재(70)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천공되고, 제1관통홀(65)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75)이 형성된다.
슬라이드부재(70)는 지지부재(60)의 상측에서 삽입될 수 있는데, 슬라이드부재(70)가 지지부재(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60)의 제1돌부(61)에는 슬라이드부재(7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62)가 형성 되고, 슬라이드부재(70)의 제2돌부(71)에는 오목부(62)에 삽입되는 볼록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부재(60)의 오목부(62)에 슬라이드부재(70)의 볼록부(72)가 삽입되는 것을 통하여, 슬라이드부재(70)가 지지부재(6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바디부재(40)의 통과홀(45)로 인입되는 필라멘트(20)는 지지부재(60)의 제1관통홀(65)과 슬라이드부재(70)의 제2관통홀(75)을 통과하게 되는데, 제1관통홀(65) 및 제2관통홀(75)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관통홀(65)과 제2관통홀(75)을 반복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60)의 내부, 즉, 바디부재(40)와 지지부재(60)의 사이에는 유로(42)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의료용 물질 또는 체내의 체액이 필라멘트(20)를 따라 이동되어 바디부재(4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50)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50)에는 바디부재(40)의 통과홀(45)을 통과한 필라멘트(20)가 지지부재(60)의 제1관통홀(65) 및 슬라이드부재(70)의 제2관통홀(75)을 통과한 후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통과홀(45)과 제1관통홀(65)을 연통시키는 연결홀(55)이 형성된다.
한편, 실링부재(50)의 연결홀(55)의 내경은, 필라멘트(20)의 연결홀(55) 내에서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되, 필라멘트(20)의 외주면과 연결홀(55)의 내주면 사이에 의료용 물질 또는 체내의 체액이 유입되지 않도록, 필라멘트(20)의 직경과 거의 일치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부재(50)의 연결홀(55)은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것이, 의료용 물질이나 체액이 필라멘트(20)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한편, 튜브(10)의 일단과 잠금장치(30)는 연결부재(80)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적인 처치 과정에서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에 따라 튜브(10) 및 잠금장치(10)내의 유로(42)의 직경 및 길이가 달라질 수 있는데, 튜브(10)와 잠금장치(30)가 일체로 결합되는 카테터의 경우에는, 튜브(10)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잠금장치(30)를 마련해야 하므로, 카테터의 제조비용 면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 따라서, 튜브(10)와 잠금장치(30)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부재(80)를 사용함으로써,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튜브(10)가 일체로 결합된 연결부재(80)는 잠금장치(30), 즉, 바디부재(40)에 끼워지거나, 접착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를 사용하여 의료적인 처치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는, 슬라이드부재(70)가 지지부재(60)의 제1관통홀(65)과 슬라이드부재(70)의 제2관통홀(75)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카테터의 사용자는, 천자침, 투관침 또는 니들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체내의 복강, 혈관, 뼈 또는 장기 등의 체내로 소정의 구멍을 천공한 후, 튜브(10)의 선단부가 체내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튜브(10)를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체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체내를 관찰할 수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비를 관찰하면서, 외부로 노출된 필라멘트(20)를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필라멘트(20)의 장력이 증가하면서, 튜브(10)의 선단부가 구부러지게 된다. 사용자는 튜브(10)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이 적합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필라멘트(20)를 당기는 동작을 멈추고, 슬라이드부재(70)가 지지부재(60)의 제1관통홀(65)과 슬라이드부재(70)의 제2관통홀(75)이 서로 연통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슬라이드부재(70)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70)가 지지부재(6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면, 필라멘트(20)는, 제1관통홀(65)을 통과한 후, 지지부재(60)의 제1돌부(61)와 슬라이드부재(70)의 제2돌부(71)의 사이에 끼워지고(도 7에서의 "A"부분), 다시, 제2관통홀(75)을 통과한 후, 제1돌부(61)와 제2돌부(71)의 사이에 끼워지며(도 7에서의 "B"부분), 이와 같은 상태가 반복되면서, 필라멘트(20)가 지지부재(60)와 슬라이드부재(70)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필라멘트(20)가 고정되고 튜브(10)의 선단이 구부러진 상태가 유지되어 튜브(10)가 체내로부터 이탈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잠금장치(30)에 시린지 또는 드레인관 등의 물질주입장치 또는 물질배출장치를 연결하여 물질을 체내로 주입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시킨다.
이때, 물질은 바디부재(40)의 유로(42), 튜브(10)의 내부통로 및 튜브(10)의 선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통공(11)을 통하여 유동한다. 여기에서, 유동하는 물질이 필라멘트(20)를 따라 통과홀(45)까지는 이동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물질의 이동은 실링부재(50)에 의하여 차단된다. 또한, 실링부재(50)의 연결홀(55)이 복수로 구부러진 경우에는 물질이 실링부재(50)의 내에서 필라멘트(20)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물질의 주입이나 배출이 완료되면, 슬라이드부재(70)를 제1관통홀(65)과 제2관통홀(75)가 서로 연통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튜브(10)를 절단하거나, 필라멘트(20)를 절단하는 방법을 통하여 필라멘트(20)가 튜브(10)에 작용하는 장력을 해제시키면, 튜브(10)의 선단이 펴지면서, 튜브(10)를 체내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카테터를 체내로부터 빼내고, 체내에 천공된 구멍에 대한 후속적인 처치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슬라이드부재(7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필라멘트(20)를 지지부재(60)와 슬라이드부재(70) 사이에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라멘트(20)가 임의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재(50)에 의하여 물질이 필라멘트(20)를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튜브(10)와 잠금장치(30)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부재(80)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튜브(10)의 종류에 따라 잠금장치(30)를 별도로 설계 또는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카테터의 제조비용을 절 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실링부재(50)이 바디부재(40)의 외면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50)와 바디부재(40)의 외면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킹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킹부재(90)의 내부에는 필라멘트(20)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91)이 제공된다. 패킹부재(90)는 실링부재(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링부재(50)가 패킹부재(90)를 가압하는 경우, 실링부재(50)는 패킹부재(90)의 형상에 의하여 소정의 정도로 변형되며, 이에 따라, 실링부재(50)의 연결홀(55)의 내경이 변화되면서 필라멘트(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필라멘트(20)는 실링부재(50)의 연결홀(55)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물질이 필라멘트(20)를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는, 실링부재(50)가 패킹부재(90)를 통하여 바디부재(40)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물질이 필라멘트(20)를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테터의 잠금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테터의 잠금장치에서 지지부재와 슬라이드부재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카테터의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튜브 20: 필라멘트
30: 잠금장치 40: 바디부재
50: 실링부재 60: 지지부재
70: 슬라이드부재 80: 연결부재

Claims (5)

  1. 중공의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필라멘트와, 상기 튜브 및 상기 필라멘트의 일단이 고정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체내로 주입되거나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통과하는 유로와, 상기 필라멘트가 통과하는 통과홀을 가지는 바디부재;
    상기 바디부재의 외측에 고정되고, 안내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1돌부를 가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안내홈에 삽입되는 제2돌부를 가지며, 상기 제2돌부가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제1돌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천공되고 상기 통과홀과 연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제2돌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이동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천공되고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통과홀과 상기 제1 관통홀을 연통시키는 연결홀을 갖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적어도 1회 이상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의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제1돌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제2돌부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090019725A 2009-03-09 2009-03-09 카테터 KR20100101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25A KR20100101307A (ko) 2009-03-09 2009-03-09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725A KR20100101307A (ko) 2009-03-09 2009-03-09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307A true KR20100101307A (ko) 2010-09-17

Family

ID=4300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725A KR20100101307A (ko) 2009-03-09 2009-03-09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13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8258B1 (en) A vascular access device
JP5594520B2 (ja) 留置針装置
EP2095781A2 (en) Button cannula
CN108882943B (zh) 止血器具
JP2004329487A (ja) 薬液注入装置
JP2010527710A (ja) カニューレ用シール組立体
KR102395034B1 (ko) 벌룬이 설치된 배액 카테터
US20210031004A1 (en) Catheter hub with sealed access port
JP2017164423A (ja) カテーテル組立体
KR20110060055A (ko) 카테터
KR20100101307A (ko) 카테터
KR101351822B1 (ko) 카테터
KR20070048719A (ko) 플러싱 디바이스 및 카테테르 세트
WO2022156747A1 (zh) 深静脉穿刺组件及深静脉穿刺针套件
KR20100101308A (ko) 카테터
JP3912460B2 (ja) カニューラの導入具
KR20100013468A (ko) 카테터
JP4847774B2 (ja) 内視鏡
UA76423C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internal body organ and elongated sheath
JP3923550B2 (ja) 内視鏡用注射具
KR101618824B1 (ko) 벌룬 카테터
JP2016198414A (ja) 注入針、注入針ユニット、及び流体注入装置
KR101236416B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트로카용 복부 천공 장치
EP3691713A1 (en) Cannula for fluid perfusion
KR101610282B1 (ko) 벌룬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