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697A -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697A
KR20100100697A KR1020100019874A KR20100019874A KR20100100697A KR 20100100697 A KR20100100697 A KR 20100100697A KR 1020100019874 A KR1020100019874 A KR 1020100019874A KR 20100019874 A KR20100019874 A KR 20100019874A KR 20100100697 A KR20100100697 A KR 2010010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eal
retractor
hous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더블유. 와이덴하우스
프레드릭 이. 4세 셸톤
Original Assignee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10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61B2017/3449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whereby the instrument channels merge into one single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with means acting on inner surface of valve or seal for expanding or protecting, e.g. inner pivoting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B2017/3466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for simultaneous sealing of multiple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체강으로의 외과적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견인기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하우징은 외과용 기기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가동 밀봉 포트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가동 밀봉 포트는 포트를 밀봉하고/하거나 밀봉 포트를 통해 배치되는 외과용 기기 둘레에서 시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밀봉 포트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동 밀봉 포트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고 각각의 밀봉 요소는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를 따라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본 발명은 체강(body cavity)으로의 외과적 접근(surgical access)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개복) 수술에 비해 담낭의 복강경 수술에 의한 제거의 이점이 명백하게 되었던 1980년대 말에 복부 복강경 수술에 의한 외과적 처치가 인기를 얻었다. 감소된 수술후 회복 시간, 현저히 감소된 수술후 통증 및 상처 감염, 및 개선된 성형 성과가, 체강 벽의 보다 작은 절개부를 이용하여 수술을 수행하는 복강경 수술 외과 의사의 능력으로부터 주로 유래되는, 복강경 수술에 의한 외과적 처치의 잘 확립된 이점이다.
복강경 수술 절차는 일반적으로 약 2 ㎪ (15 ㎜Hg)의 압력까지의 CO2 가스를 복강에 주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복부 벽이 천공되고, 5 내지 10 ㎜ 직경의 직선형 관상 캐뉼러(tubular cannula) 또는 투관침 슬리브(trocar sleeve)가 이어서 복강 내로 삽입된다. 수술 영역을 눈에 보이게 하기 위하여 수술실 모니터에 연결된 복강경 수술용 망원경이 사용되며, 투관침 슬리브를 통해 배치된다. 복강경 수술용 기기(파지기(grasper), 해부 기구(dissector), 가위, 견인기(retractor) 등)는 외과 의사 및 외과 의사 조수(들)에 의한 조작을 위해 둘 이상의 추가의 투관침 슬리브를 통해 배치된다.
최근에, 2 내지 3 ㎜ 직경의 직선형 투관침 슬리브 및 복강경 수술용 기기를 이용하는 소위 "미니-복강경 수술법(mini-laparoscopy)"이 도입되었다. 성공적인 경우, 미니-복강경 수술법은 복부 벽 외상의 추가적인 감소 및 개선된 미용적 성형(cosmesis)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미니-복강경 수술 절차에 사용되는 기기는 일반적으로 더 고가이고 부서지기 쉽다. 이들 기기의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인한 이들의 성능 제한(취약한 흡입-관주 시스템(suction-irrigation system), 불량한 내구성, 감소된 비디오 품질) 때문에, 미니-복강경 수술용 기기는 일반적으로 유리한 해부학적 구조(얇은 복강 벽, 적은 유착, 최소의 염증 등)를 갖는 선택된 환자에 대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환자는 복강경 수술 절차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 중 작은 비율을 나타낸다. 게다가, 보다 작은 2 내지 3 ㎜의 절개부는 여전히 바람직하지 않은 성형 성과 및 상처 합병증(출혈, 감염, 통증, 켈로이드(keloid) 형성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보다 작고 보다 적은 체강 절개부의 이점이 입증되었으므로, 단일의 절개부만을 이용하는 수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배꼽은 잘 은폐되며, 복부 벽의 가장 얇고 최소한의 혈관이 지나가는 영역이다. 배꼽은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 절차에서 복강 진입의 바람직한 선택이다. 배꼽 절개부는 미용 성형을 상당히 위태롭게 함이 없이 그리고 상처 합병증의 가능성을 증가시킴이 없이 (보다 큰 피검물(specimen)을 적출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확대될 수 있다. 그러나, 배꼽을 통한 진입이 갖는 하나의 단점은, 배꼽 내에 둘 이상의 표준 (직선형) 캐뉼러 및 복강경 수술용 기기를 서로 이웃하게 배치하는 것은, 외과 의사의 손들 사이, 외과 의사의 손과 기기 사이, 및 기기들 사이의 간섭으로 설명하는 소위 "젓가락"(chopstick) 효과를 생성한다. 이러한 간섭은 기술된 절차를 수행하는 외과 의사의 능력을 크게 감소시킨다.
따라서, 배꼽 또는 어떤 다른 곳에 위치된 외과적 처치용 포트를 통해 복강경 수술 절차가 완전히 수행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젓가락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기기 및 투관침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체강으로의 외과적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채널이 관통 연장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밀봉 요소를 갖는 기부를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기부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밀봉 요소는 각각 이를 관통하여 작업 채널 내로 삽입되는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밀봉 요소의 각각은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 제1 및 제2 밀봉 요소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독립하여 이동가능하다.
제1 및 제2 밀봉 요소 및 이들이 이동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는 다수의 변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밀봉 요소의 각각은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외과용 기기가 내부에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된 제1 밀봉 요소는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의 제2 밀봉 요소의 이동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밀봉 요소의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는 각각 기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밀봉 요소의 각각은 기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지지체 내에 배치되어, 각각의 밀봉 요소는 이의 각각의 지지체에 대해 편심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밀봉 요소의 각각은 유체 시일에 이를 관통하여 삽입된 기기가 구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많은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부는 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절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절결부의 주연부는 각각 제1 및 제2 밀봉 요소의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근위 견인기 기부(proximal retractor base)에 형성되고 관통 삽입된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측면 접근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접근 포트는 기부를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된 평면에서 연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장치는 하우징에 고정식으로 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견인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기는 그 내부에 배치된 견인기 차폐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기부 내에 고정 배치되고 기부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남아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봉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요소는 기부의 중심축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요소는 제1 및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는 제1 및 제2 고정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고정 밀봉 요소는 제1 및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평면 아래에 위치되고 제2 고정 밀봉 요소는 제1 및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평면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작업 채널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하우징은 기부와, 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지지체와,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지지체에 배치된 밀봉 요소를 포함한다. 밀봉 요소는 이를 관통하여 작업 채널 내로 삽입된 외과용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밀봉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밀봉 요소는 이를 관통하여 작업 채널 내로 삽입된 외과용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은 제1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외과용 기기가 내부에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된 밀봉 요소는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의 제2 밀봉 요소의 이동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다수의 변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은 기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기부는, 기부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남아 있고 하우징에 대해 기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요소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가 제공된다. 기부는 관통하여 삽입된 기기 둘레에 시일(seal)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밀봉 요소와 독립하여 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밀봉 요소를 갖는다. 기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의 회전은 기부의 중심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의 거리를 변하게 하는 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부는 제1 및 제2 가동 밀봉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장치는 다수의 변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부는 원형일 수 있고 기부의 중심점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는 기부의 평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는 하우징에 결합된 가요성 견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접근 포트가 견인기의 근위 견인기 기부에 형성될 수 있고 관통 삽입된 견인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부는 측면 접근 포트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하우징은 하우징의 근위 단부와 하우징의 원위 단부 사이에 관통 연장된 작업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기부는 밀봉 요소를 통해 삽입된 기기가 작업 채널을 통해 연장하도록 하우징의 근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는 기부에 형성된 미리 한정된 형상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지지체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는 이의 지지체에 대해 편심일 수 있다. 기부의 중심점은 미리 한정된 형상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조직을 통한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외과용 접근 장치가 조직을 통해 체강 내로 연장된 작업 채널을 형성하도록 조직을 통해 형성된 개구 내에 외과용 접근 장치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체강 내에 제1 외과용 기기의 원위 단부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외과용 접근 장치의 제1 밀봉 요소를 통해 그리고 외과용 접근 장치의 작업 채널을 통해 제1 외과용 기기를 삽입하는 단계와; 제1 밀봉 요소가 외과용 접근 장치의 중심점으로부터의 제1 거리에 위치되는 제1 위치로부터 제1 밀봉 요소가 외과용 접근 장치의 중심점으로부터의 제1 거리와 상이한 제2 거리에 위치되는 제2 위치로 제1 밀봉 요소가 궤도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도록 제1 외과용 기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다수의 변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외과용 기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하우징에 결합된 외과용 접근 장치의 기부의 회전을 야기할 수 있다. 기부의 회전은 제2 외과용 기기가 관통 삽입된 외과용 접근 장치의 제2 밀봉 요소가, 제2 밀봉 요소가 외과용 접근 장치의 중심점으로부터의 제3 거리에 위치되는 제3 위치로부터 제2 밀봉 요소가 외과용 접근 장치의 중심점으로부터의 제3 거리와 상이한 제4 거리에 위치되는 제4 위치로 궤도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작업 채널은 외과용 접근 장치의 하우징을 통해 연장할 수 있고, 제1 외과용 기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하우징에 결합된 외과용 접근 장치의 기부가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취해진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도 1은 제1 및 제2 고정 밀봉 포트 및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가 관통 연장된 외과용 접근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도 2의 도 1의 장치의 평면도.
<도 3>
도 3은 도 1의 장치의 단면도.
<도 4>
도 4는 도 1의 장치의 다른 단면도.
<도 5>
도 5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분해도.
<도 6>
도 6은 도 1의 장치의 시일 기부 및 밀봉 포트의 분해도.
<도 7a>
도 7a는 시일 기부를 통해 연장된 밀봉 포트가 없는 도 1의 장치의 시일 기부의 평면도.
<도 7b>
도 7b는 시일 기부를 통해 연장된 밀봉 포트가 없는 도 1의 장치의 시일 기부의 저면도.
<도 8>
도 8은 도 1의 장치의 고정 밀봉 포트의 부분 분해도.
<도 9>
도 9는 도 1의 장치의 다른 고정 밀봉 포트의 분해도 및 고정 밀봉 포트가 배치될 수 있는 시일 기부의 부분 사시도.
<도 10>
도 10은 도 1의 장치의 가동 밀봉 포트의 분해도.
<도 11>
도 11은 가동 밀봉 포트 중 하나가 장치의 시일 기부, 하우징 및 견인기에 대해 회전되는 도 1의 장치의 평면도.
<도 12>
도 12는 시일 기부가 하우징 및 견인기에 대해 회전되고 가동 밀봉 포트 중 하나가 시일 기부, 하우징 및 견인기에 대해 회전된 도 1의 장치의 평면도.
<도 13>
도 13은 시일 기부가 하우징 및 견인기에 대해 회전되고 각각의 가동 밀봉 포트가 시일 기부, 하우징, 견인기 및 서로에 대해 회전된 도 1의 장치의 평면도.
<도 14>
도 14는 시일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15>
도 15는 탄성 시일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16>
도 16은 탄성 시일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17>
도 17은 중공 내부를 갖는 탄성 시일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18>
도 18은 견인기가 조직 내에 위치된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분해 사시도.
<도 19>
도 19는 스프링 조립체가 견인기에 위치된 도 18의 장치의 부분 단면 분해사시도.
<도 20>
도 20은 조직 내에 위치된 도 19의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1a>
도 21a는 각각이 도 20의 장치에 가동 밀봉 포트를 통해 삽입된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사시도.
<도 21b>
도 21b는 각각이 외과용 접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고정 밀봉 포트를 통해 삽입된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사시도.
<도 22a>
도 22a는 제1 외과용 기기의 근위 부분이 제2 외과용 기기의 근위 부분에 더 가깝게 이동되고 제1 외과용 기기의 원위 부분이 제2 외과용 기기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된 도 21a의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2b>
도 22b는 제1 외과용 기기의 근위 부분이 제2 외과용 기기의 근위 부분에 더 가깝게 이동되고 제1 외과용 기기의 원위 부분이 제2 외과용 기기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된 도 21b의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3a>
도 23a는 제1 외과용 기기의 근위 부분이 제2 외과용 기기의 근위 부분에 대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되고 제1 외과용 기기의 원위 부분이 제2 외과용 기기의 원위 부분에 대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된 도 22a의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사시도.
<도 23b>
도 23b는 제1 외과용 기기의 근위 부분이 제2 외과용 기기의 근위 부분에 대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되고 제1 외과용 기기의 원위 부분이 제2 외과용 기기의 원위 부분에 대해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된 도 22b의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사시도.
<도 24a>
도 24a는 도 23a의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측면도.
<도 24b>
도 24b는 도 23b의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측면도.
<도 25a>
도 25a는 도 23a의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다른 측면도.
<도 25b>
도 25b는 도 23b의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다른 측면도.
<도 26a>
도 26a는 도 23a의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저면도.
<도 26b>
도 26b는 도 23b의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저면도.
<도 27a>
도 27a는 도 23a의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평면도.
<도 27b>
도 27b는 도 23b의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외과용 기기의 평면도.
<도 28>
도 28은 견인기가 조직 내에서 변형된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분해사시도.
<도 29>
도 29는 폐기물 처리 백(bag)이 조직 내에 위치된 견인기의 작업 채널을 통과하는 도 28의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도 30>
도 30은 외과용 접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결 분해도.
<도 31>
도 31은 도 30의 장치의 시일 기부의 분해도.
<도 32>
도 32는 스프링 조립체가 견인기에 위치된 도 30의 장치의 분해도.
<도 33>
도 33은 도 30의 조립된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34>
도 34는 외과용 접근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
<도 35>
도 35는 외과용 접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6>
도 36은 외과용 접근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37>
도 37은 외과용 접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8>
도 38은 안전 차폐부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9>
도 39는 도 38의 안전 차폐부의 사시도.
<도 40>
도 40은 도 38의 안전 차폐부의 분해도.
<도 41>
도 41은 안전 차폐부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42>
도 42는 도 41의 안전 차폐부의 상단면도.
<도 43>
도 43은 안전 차폐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44>
도 44는 도 43의 안전 차폐부의 측단면도.
<도 45>
도 45는 도 43의 안전 차폐부의 상단면도.
<도 46>
도 46은 외과용 기기가 관통 삽입된 측면 접근 포트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7>
도 47은 도 46의 측면 접근 포트의 단면도.
<도 48>
도 48은 외과용 기기가 관통 삽입된 측면 접근 포트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9>
도 49는 도 48의 측면 접근 포트 및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50>
도 50은 외과용 기기가 최소화된 삽입 위치에서 측면 접근 포트를 통해 삽입된 도 46의 장치의 단면도.
<도 51>
도 51은 외과용 기기가 최대화된 삽입 위치에서 측면 접근 포트를 통해 삽입된 도 46의 장치의 단면도.
이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의 구조, 기능, 제조, 및 사용의 원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술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장치들 및 방법들이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들이고, 본 발명의 범주가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거나 기술되는 특징부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부들과 조합될 수 있다.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체강으로의 외과적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방법 및 장치는 다수의 외과용 기기가 단일의 외과용 접근 장치 내의 독립적인 접근 포트를 통해 체강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기기는 장치의 중심축에 대해 집합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고,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어서, 환자의 신체 내에서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과용 접근 장치는 외과용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동 접근 포트 또는 가동 밀봉 포트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동 밀봉 포트는 포트를 밀봉하고/하거나 밀봉 포트를 통해 배치되는 외과용 기기 둘레에서 시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밀봉 포트 내에서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밀봉 포트는 각각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고 밀봉 요소는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 둘레에서 이동할 수 있어서, 관통하여 체강 내로 삽입된 기기가 최적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는 "젓가락 효과"를 회피하고 체강 내에서 기기를 위한 증가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가동 밀봉 포트는 또한, 제1 가동 밀봉 포트를 통해 삽입된 제1 외과용 기기의 이동이 제2 가동 밀봉 포트의 이동을 야기할 수 있어 제2 가동 밀봉 포트를 통해 삽입된 제2 외과용 기기가 고정 위치에서 남아 있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기기들을 서로에 대해 최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양한 외과용 접근 장치는 또한 상처 보호기, 캐뉼러, 링 견인기 또는 조직을 통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부재(이하, 전반적으로 견인기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기는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배꼽과 같은 환자의 신체 내의 개구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봉 포트들은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고 견인기와 정렬되는 작업 채널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외과용 접근 장치들 중 임의의 것 및 모두는,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6년 11월 2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다중 포트 복강경 수술용 접근 장치"(Multi-port Laparoscopic Access Device)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247673호에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기술된 바와 같이, 소작법(cautery)을 이용하는 절차 동안에 연기를 배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환기 포트, 및/또는 외과 의사가 복부에 주입하여 기복(pneumoperitenium)을 유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주입 포트(insufflation port)와 같은 다양한 다른 특징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주입 포트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장치의 어느 위치에든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루르 로크(leur lock) 또는 니들(needle)을 수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외과용 접근 장치의 임의의 실시예 및 모든 실시예는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외과용 기기에 의한 천공 또는 인열에 대해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하여 임의의 구성요소 및/또는 조직을 통해, 그 내부에 그리고 그 둘레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안전 차폐부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외과용 접근 장치의 임의의 실시예 및 모든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외과용 접근 장치의 소정의 구성요소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및 해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그리고 이하에서 추가로 또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외과용 접근 장치는 환자의 체강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견인기는 견인기의 원위 부분이 환자의 체강 내로 연장되고,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근위 부분이 환자의 신체 외부의 환자의 피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환자의 신체의 개구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견인기의 루멘(lumen)은 환자의 신체의 개구를 통한 경로를 형성할 수 있어, 외과용 기기가 신체의 외부로부터 내부 체강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환자 피부의 탄력은 신체에 만들어진 신체 개구 또는 절개부 내에서 견인기를 보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견인기는 자연적인 구멍이든 절개부에 의해 만들어진 개구이든, 환자의 신체 내의 임의의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견인기는 필요에 따라 조직 내로 그리고 조직 내에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가요성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견인기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거나 실질적으로 반-강성일 수 있다. 견인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및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복부와 같은 체강 내에서의 외과적 절차 동안에, 체강을 팽창시켜 외과적 절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과용 접근 장치를 통해 주입이 제공된다. 따라서, 체강 내에서 주입을 유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외과용 접근 장치는 접근 장치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을 포함하여 외과용 기기가 시일을 통해 삽입될 때 공기 및/또는 가스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다양한 밀봉 요소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지만, 전형적으로 외과용 접근 장치는, 접근 장치를 통해 배치되는 기기 둘레에 시일을 형성하지만 어떠한 기기도 접근 장치를 통해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시일을 달리 형성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시일; 어떠한 기기도 접근 장치를 통해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 밀봉 포트에 의해 생성되는 작업 채널을 밀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시일 또는 제로-폐쇄(zero-closure) 시일; 또는 접근 장치를 통해 배치되는 기기 둘레에 시일을 형성하고, 어떠한 기기도 접근 장치를 통해 배치되지 않는 경우 작업 채널 내에 시일을 형성하는 데 모두 효과적인 조합형 기기 시일 및 채널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예를 들어 덕빌(duckbill) 시일, 원추형 시일, 플래퍼 밸브(flapper valve), 겔 시일, 다이어프램(diaphragm) 시일, 립(lip) 시일, 아이리스(iris) 시일 등을 포함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시일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시일 조합들이 특정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든 그렇지 않든, 시일들의 임의의 조합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과용 접근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포트를 포함한다. 외과용 접근 장치(10)는 일단부 상에, 타단부에서 고정 및 가동 밀봉 포트를 지지하는 시일 기부(26)에, 그리고 하우징(16)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 견인기(18)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16)을 가질 수 있다. 임의의 개수의 고정 및 가동 밀봉 포트가 시일 기부(26)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고정 밀봉 포트(12a, 12b) 및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가 시일 기부(26)를 통해 연장된다. 기부(26)는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기부(26), 하우징(16), 견인기(18) 및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밀봉 포트(12a, 12b, 14a, 14b) 중 다양한 것들을 통해 삽입된 외과용 기기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장치(10)가 접근하는 체강 내에서의 기기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장치(10)는 또한 기부(26)에 의해 지지된 주입 포트(28)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당업자는 주입 포트(28)가 하우징(16) 내에 또는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주입 포트(28)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입 포트(28)는 주입 포트(28)의 주입 오리피스(28a)를 통해 장치(10)가 접근을 제공하는 체강 내로 그리고/또는 그 외부로 주입 유체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과용 접근 장치(10)의 근위 부분(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기부(26), 견인기(18)에 기부(26)를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로크 링(lock ring)의 형태인 하우징(16), 및 시일 기부(26)와 로크 링(30) 사이에 배치되어 기부(26)와 장치(10)의 원위 부분, 예컨대 견인기(18) 사이에 시트(seat) 및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조립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기(18), 시일 기부(26), 하우징(30) 및 스프링 조립체(32)는 각각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견인기(18)는 하우징(1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조직에 형성된 개구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견인기(18)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긴 부분(42)이 사이에 연장되는 근위 플랜지(46)와 원위 플랜지(40)를 갖는 실질적으로 가요성인 부재일 수 있다. 내측 긴 부분(42)은 서로 동일한 직경 또는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근위 및 원위 플랜지(46, 40)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근위 플랜지(46)는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견인기(18)의 근위 부분의 근위 견인기 기부(38) 내에 안착되고, 선택적으로는 접착제, 밀봉제, 상보 나사산, 또는 임의의 다른 부착 기구를 사용하여 그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위 o-링(48)은 근위 플랜지(46) 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근위 견인기 기부(38) 내에서 견인기(18)에 대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원위 o-링(44)이 선택적으로 원위 플랜지(40) 내에 위치되어 환자 신체 내에서 견인기(18)에 대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근위 및 원위 o-링(48, 44)은 특정 용도에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실질적으로 가요성 또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거나,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하우징(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강성인 원통형 또는 원형 부재일 수 있고 하우징(16)의 원위 원주 방향 측벽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근위 원주 방향 측벽을 가질 수 있다. 중간 연결 원주 방향 측벽(50)은 근위 및 원위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향으로 소정 각도로 근위 및 원위 측벽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중간 측벽(50)은, 시일 기부(26) 상에 형성되고 그로부터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된 상보 립(52)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하우징(16)이 견인기(18)에 부착될 때 중간 측벽(50)은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립(52)을 결합시키고 시일 기부(26)를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결합 및 해제 기구가 하우징(16)과 견인기(18)를 함께 해제 가능하게 정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베이어닛(bayonet) 래치 기구의 형태인 결합 및 해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베이어닛 풋(foot) 또는 핀, 예를 들면 등간격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거리로 이격된 4개의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 베이어닛 풋 또는 핀(34)이 하우징의 내주로부터, 예를 들면 원위 측벽으로부터 임의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이들은 근위 견인기 기부(38)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슬롯(36)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6) 상의 베이어닛 핀(34)은 근위 견인기 기부(38)에서 슬롯(36) 내로 낮아질 수 있다. 이어서, 하우징(16)은 견인기(18)에 대해 제1 방향,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핀(34)이 슬롯(36)의 말단부(36a)에 인접하는 위치로 슬롯(36) 내에서 베이어닛 핀(34)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견인기(18)에 하우징(16)을 로킹한다. 하나 이상의 슬롯(36)은 베이어닛 핀(34)이 말단부(36a) 내로 근위 방향으로 또는 원위 방향으로 활주하여 물려서 베이어닛 핀(34)이 슬롯(36)을 통해 완전히 활주하여 하우징(16)을 견인기(18)에 로킹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이들의 각각의 말단부(36a)에서 (도시되지 않은) 근위 방향으로 또는 원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하우징(16)은 선택적으로 표면 특징부(16a), 예를 들면 리지, 범프, 거친 표면 등을 포함하여 하우징(16)의 파지 및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일 기부(26)를 상이한 개수 또는 상이한 크기의 밀봉 포트를 갖는 다른 시일 기부로 교체하거나 또는 견인기(18)를 교체하기 위하여 하우징(16) 및 견인기(18)의 결합 해제가 필요하면, 하우징(16)은 베이어닛 핀(34)이 슬롯(36)으로부터 자유롭게 후퇴되도록 제2 대향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우징(16)이 근위 견인기 기부(38)에 로킹되면, 시일 기부(26)는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제2 대향 방향으로,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견인기(18)뿐만 아니라 하우징(16)에 대해 시일 기부(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기부(26)가 제1 및 제2 방향 중 단지 한 방향으로만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도시된 바와 같은 기부(26)는 제1 및 제2 방향 둘 모두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는 시일 기부(26)를 통해 삽입되는 외과용 기기를 서로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위에서 지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조립체(32)는 시일 기부(26)와 견인기(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프링 조립체(32)는 기부의 립(52)의 원위 표면과 근위 견인기 기부(38)의 내부 레지(interior ledge)(54) 사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레지(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견인기 기부(38)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거나, 또는 내부 레지(54)는 근위 견인기 기부(38)의 하나 이상의 분리된 부분을 따라 이어질 수 있다.
스프링 조립체(32)는 상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스프링 조립체(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스프링(32b)이 사이에 위치된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32a, 32c)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조립체(32)에 탄성을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시일 스프링(32b)은 절결부(62)가 이의 원주부의 일 섹션을 통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c-형상인 링일 수 있고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a) 및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b)을 교대시키는 파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32a, 32c)은 각각 실질적으로 원형인 링일 수 있고 각각 평면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시일 스프링(32b)의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a)과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b) 둘 모두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32a, 32c)은 각각의 반구형 딤플(58, 60)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스프링 보유 링의 딤플(58)은 근위 방향으로 대면하고 시일 스프링(32b)의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a)에 결합하여 그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근위 스프링 보유 링의 딤플(60)은 원위 방향으로 대면하고 시일 스프링(32b)의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b)에 결합하여 그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일 스프링(32b)은 2개의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a) 및 2개의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b)을 포함하고,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32a, 32c)은 각각 시일 스프링(32b)의 각각의 파형 부분에 대응하는 2개의 딤플(58, 60)을 포함하지만, 당업자는 시일 스프링(32b)이 임의의 개수의 대응하는 딤플(58, 60) 또는 다른 안정화 기구를 갖는 임의의 개수의 근위 및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딤플(58, 60)이 임의의 다른 딤플(58, 60)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이들이 각각 임의의 크기 및 형상, 예컨대 반구형, 구형 세그먼트, 원추형, 박스형 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대체로 원형 형상인 시일 조립체의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시일 조립체(32)의 형상을 시일 조립체(32)가 정합될 수 있는 시일 기부(26) 및 견인기(18)의 만곡된 형상에 일치시킬 수 있다. 시일 조립체(32)가 수직 이동, 예컨대 견인기(18)에 대한 기부(26)의 작업 채널의 중심축에 따른 근위 방향 및/또는 원위 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에, 딤플(58, 60)은 시일 조립체(32)가 견인기(18)에 대한 기부(26)의 수직 이동을 제공하게 할 수 있고, 이는 하우징(16)에 대한 기부(26)의 더 매끄러운 회전의 제공을 도울 수 있다.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32a, 32c)은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또한 하우징(16)에 대한 기부(26)의 매끄러운 회전의 제공을 도울 수 있다.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32a, 32c) 및 시일 스프링(32b)은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조립체(32)의 다른 요소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시일 스프링(64b)이 사이에 위치된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64a, 64c)을 포함하는 시일 조립체(64)의 대체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체 구성의 시일 조립체(64)는 대체 구성의 시일 조립체(64)가 시일 조립체(64)의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64a, 64c)을 서로에 대해 고정된 반경 방향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로킹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시일 조립체(32)와 유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64a, 64c)은, 예를 들어, 상술된 것과 유사하게 시일 스프링(64b)의 파형 부분과 결합하는 각각의 딤플(70)(단지 원위 스프링 보유 링의 딤플(70)만이 도 14에 도시됨)을 포함함으로써,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일 조립체의 로킹 기구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탭(66)을 포함한다. 3개의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 탭(66)이 도시된 시일 조립체(64)의 내주 둘레에서 등간격으로 이격되지만, 당업자는 시일 조립체(64)가 임의의 개수의 탭(66)을 포함할 수 있고 탭(64)은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탭(66)은 근위 스프링 보유 링(64c)과 일체로 형성된 c-형상 클램프를 포함하지만, 탭(66)이 임의의 크기,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스프링 보유 링(64a, 64c)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스프링 보유 링(64a, 64c)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독립적인 요소일 수 있다. 탭(66)은 근위 스프링 보유 링(64c)의 내주로부터 시일 조립체(64)의 내측 루멘(68)을 통해 원위 스프링 보유 링(64a)으로 연장한다. 실질적으로 시일 조립체의 내측 루멘(68) 내에 로킹 기구를 위치시키는 것은 시일 조립체(64)가 정합되는 견인기 및 하우징 내에서 로킹 기구가 시일 조립체의 고정 및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각각의 탭(66)은, 내부에 원위 스프링 보유 링(64a)을 안착하도록 구성된 탭(66)의 원위 부분에 형성된 노치(66a)로 원위 스프링 보유 링(64a)에 정합할 수 있다. 탭(66)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탭(66)은 탭(66)의 임의의 다른 것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시일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로킹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과용 접근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를 갖는 시일 조립체, 예컨대 도 5의 시일 조립체(32) 및 도 14의 시일 조립체(64)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외과용 접근 장치는 시일 기부가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외과용 접근 장치의 원위 부분과 시일 기부 사이에 시트 및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단일의 시일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탄성 발포 재료로 구성된 원형 링의 형태인 단일 시일 부재(7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정 스프링 상수에 대한 설계 선택에 기초하여 임의의 탄성 발포 재료, 예컨대 발포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사노프렌 및 아이소프렌이 사용될 수 있다. 시일 부재(72)는, 시일 부재가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정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발포 재료로 구성되고 원형 링 형상을 갖는 단일 시일 부재(74)는 z-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단일 시일 부재(72, 74)가 중실 단면을 갖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시일 부재는 중공 또는 부분 중공 내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은 원형 링 형상 및 정사각형 중공 내부를 갖는 정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 단일 시일 부재(76)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시일 기부(26)는 내부에 안착된 고정 및 가동 밀봉 포트(12a, 12b, 14a, 14b)와 같이 다양한 크기,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기부(26)는 제1 및 제2 고정 밀봉 포트(12a, 12b)와 함께 정합하도록 구성된 근위 및 원위 기부 부분(26a, 26b)과 그들 사이에 포획된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기부 부분(26a)은 원형 근위 표면(78)과, 근위 표면(78)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원주 방향 벽(82)을 가질 수 있다. 원주 방향 벽(82)은 선택적으로 이하에서 추가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부(26)를 통해 삽입되는 외과용 기기를 기울이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구성된,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결부(82a)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부착 또는 정합 기구가 근위 및 원위 기부 부분(26a, 26b)을 함께 고정식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정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 근위 기부 부분(26a)의 내주, 예컨대 원주 방향 벽(82)의 내부 표면은 원위 기부 부분(26b) 상에 형성되고 그로부터 연장된 립(52)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립(84)의 외부 표면과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위 및 원위 기부 부분(26a, 26b)은 부착 기구, 예를 들면 접착제, 밀봉제 등을 사용하여 서로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근위 및 원위 기부 부분(26a, 26b)은 상보 나사산과 같은 부착 기구를 사용하여 함께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근위 및 원위 기부 부분(26a, 26b)은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는 하우징(16)에 의해서 함께 유지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및 제4 포트 절결부 또는 개구(80a, 80b, 80c, 80d)는 밀봉 포트(12a, 12b, 14a, 14b)를 각각 수용하기 위해 밀봉 기부(26)를 통해, 예를 들면 근위 및 원위 기부(26a, 26b)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시일 기부(26)는 또한 주입 포트(28)를 안착시키기 위해 관통 형성된 주입 포트 절결부 또는 개구(80e)를 가질 수 있다. 당업자는 기부(26) 내에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 시트 기부(26)에 형성된 임의의 개수의 포트 개구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개구(80a, 80b, 80c, 80d) 및 그에 따른 밀봉 포트(12a, 12b, 14a, 14b)도 고정 밀봉 포트(12a, 12b) 및 가동 밀봉 포트(14a, 14b)가 기부 중심점(94) 둘레에서 교대로 있는 상태에서 시일 기부(26)의 중심축 또는 중심점(94) 둘레에 반경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포트 개구(80a, 80b, 80c, 80d)는 또한 크기 및 형상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개구(80a, 80b, 80c, 80d)는 각각 그에 안착된 밀봉 포트(12a, 12b, 14a, 14b, 28)의 형상에 대응하고,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개구(80a, 80b, 80c, 80d)에 대해 실질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고정 밀봉 포트(12a)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1 포트 개구(80a)는 제2 고정 밀봉 포트(12b)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2 포트 개구(80b)의 제2 직경(D2)보다 큰 제1 직경(D1)을 가질 수 있고,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각각 안착시키기 위한 제3 및 제4 포트 개구(80c, 80d)는 각각 제1 및 제2 직경(D1, D2) 둘 모두보다 큰 제3 직경(D3)을 가질 수 있다. 주입 포트 개구(80e)는 임의의 직경(D4)을 가질 수 있다. 제3 및 제4 포트 개구(80c, 80d)의 제3 직경(D3)은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동 밀봉 요소의 궤도 경로의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기부(26)는 약 60 ㎜ 직경(D5)을 가질 수 있고, 제1 직경(D1)은 약 15 ㎜일 수 있고, 제2 직경(D2)은 약 9 ㎜일 수 있고, 제3 직경(D3)은 약 25 ㎜일 수 있고, 주입 직경(D4)은 약 2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일 기부의 근위 기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는데, 이때 포트 개구들은 근위 기부 표면에 평행한 공면 상이든지 또는 시일 기부에서 오목하게 되든지 서로 동일한 평면 내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근위 기부 표면(78)은 평면이 아닐 수 있는데, 이때 근위 기부 표면(78)의 평면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평면에 평행한 일 평면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목 부분이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 부분이 근위 기부 표면(78)의 평면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 평면에 평행하다. 기부(26)는 또한 제3 및 제4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안착시키는 제3 및 제4 포트 개구(80c, 80d)와 같은, 근위 기부 표면(78)의 평면에 형성된 포트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시일 기부의 하나 이상의 오목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상승 부분은 적어도 외과용 접근 장치(10)가 디폴트 위치,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장치(10)가 조직 내에 위치되지 않고 어떠한 외과용 기기도 장치를 통해 삽입되지 않는 경우,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밀봉 요소 각각의 원위 시일 요소 개구가 견인기(18)의 내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도록 상이한 길이의 밀봉 요소들을 보상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시된 본 실시예에서, 시일 개구(26)는 제1 포트 개구(80a)가 형성된 하나의 상승된 또는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96)을 갖는다. 상승된 하우징(96)은 근위 기부 표면(78) 위에 위치된 제1 포트 개구(80a)에 안착된 제1 고정 밀봉 요소(20)를 위한 클리어런스 여유를 제공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상승된 하우징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임의의 높이를 가져서, 적어도 외과용 접근 장치(10)가 디폴트 위치에 있을 때,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 밀봉 요소가 견인기(18)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승된 하우징(9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일 수 있거나, 이는 상승된 하우징(96)이 시일 기부(26)에 대해 수직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기울어져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가요성일 수 있다.
예시된 시일 기부(26)는 또한 제2 포트 개구(80b)가 형성된 하나의 오목 부분(98)을 갖는다. 오목 부분(98)은 근위 기부 표면(78) 아래에서 임의의 깊이로 오목하게 될 수 있고, 이는 비교적 작은 밀봉 요소가 기부(26)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고 기부(26)를 통해 연장된 임의의 다른 밀봉 요소의 원위 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원위 단부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기부(26)의 오목 부분(98)은 오목 부분(98) 내에서 제2 포트 개구(80b)를 통한 외과용 기기의 기울어진 삽입에서 더 큰 가요성을 허용할 수 있는, 근위 기부 부분(26a)의 원주 방향 벽(82)에 형성된 절결부(82a)와 연통할 수 있다. 하우징(16)의 원주 방향 벽(102)은 하우징(16) 및 기부(26)가 견인기(18)에 부착되어 기부(26)를 통한 외과용 기기의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때 기부(26)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결부(82a)에 반경 방향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포트(12a, 12b, 14a, 14b)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부착 또는 정합 기구를 사용하여 시일 기부(26)에 부착 또는 정합될 수 있지만, 예시된 실시예에서 가동 밀봉 포트(14a, 14b)가 각각 근위 기부 부분과 원위 기부 부분(26a, 26b) 사이의 억지 끼움을 통해 시일 기부(26)와 정합되면서, 고정 밀봉 포트(12a, 12b)는 각각 결합 핀 및 구멍을 사용하여 시일 기부(26)와 정합한다.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고정 밀봉 포트(12a, 12b) 및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는 각각 시일 기부(26)에서 포트 개구(80a, 80b, 80c, 80d) 중 하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포트 하우징과, 관련 포트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 시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시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밀봉 요소의 관련된 밀봉 포트를 통해 삽입되는 기기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 밀봉 포트(12a)는 시일 기부(26) 내에서 제1 포트 개구(80a) 내에 안착될 수 있는 제1 포트 하우징과, 제1 포트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트 하우징은 크라운(112), 개스킷 링(114) 및 보유기 링(retainer ring)(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 요소는 제1 원위 시일(20)과 제1 원위 시일(20)에 근접하게 위치된 다층 원추형 시일(104)과 원추형 시일(104)의 근위 표면 상에 배치된 다층 보호 부재(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밀봉 포트(12b)는 시일 기부(26)에서 제2 포트 개구(80b) 내부에 안착될 수 있는 제2 포트 하우징과, 제2 포트 하우징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포트 하우징은 프레스 캡(1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봉 요소는 제2 원위 시일(22)과, 원위 시일(22)의 근위 단부 상에 위치된 립 시일(132) 및 립 시일(132)에 근접하게 위치된 다층 보호 부재(124)를 포함하는 근위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는 각각 시일 기부(26)에서 제3 및 제4 포트 개구(80c, 80d)에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지지체 또는 가동 포트 하우징과, 이들의 각각의 가동 포트 하우징 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가동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체 또는 가동 포트 하우징은 각각 근위 캡, 시일 보유기, 편심 시일 및 편심 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동 밀봉 요소는 각각 원위 시일, 원위 시일의 근위 단부 상에 위치된 립 시일, 및 립 시일에 근접하게 위치된 다층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및 가동 밀봉 포트(12a, 12b, 14a, 14b)의 다양한 포트 하우징 및 밀봉 요소는 다양한 크기,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당업자는 원위 시일(20, 22, 24a, 24b)의 각각을 위해 덕빌 시일의 형태의 제로-폐쇄 시일 또는 채널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원위 시일(20, 22, 24a, 24b)들 중 임의의 다른 원위 시일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임의의 시일, 예를 들어 덕빌 시일, 원추형 시일, 플래퍼 밸브, 겔 시일, 다이어프램 시일, 립 시일, 아이리스 시일, 비선형 밀봉 요소, 예를 들어 S형 개구를 갖는 밀봉 요소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기부(26)에 대해 임의의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로-폐쇄 시일은 어떠한 기기도 시일을 통해 배치되지 않은 때 작업 채널에서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외과용 접근 장치를 통해 체강으로 전달되는 주입 가스의 누출을 방지한다. 덕빌 시일은 일반적으로 원위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소정 각도로 연장되고 원위 단부에서 모여 시일 면(face)을 형성하는 대향 플랩들을 가질 수 있다. 대향 플랩들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어, 어떠한 기기도 시일 면을 통해 배치되지 않고 시일 면이 외과용 접근 장치의 작업 채널을 밀봉하는 폐쇄 위치와 기기가 시일 면을 통해 배치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시일 면이 이동하도록 한다. 덕빌 시일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7년 6월 29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유체 배출 특징부를 갖는 덕빌 시일"(Duckbill Seal with Fluid Drainage Feature) 인 미국 특허 출원 제11/771,263호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덕빌 시일은 다양한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1993년 11월 12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자체 밀봉 가요성 탄성중합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투관침 조립체"(Self Sealing Flexible Elastomeric Valve and Trocar Assembly for Incorporating Same) 인 미국 특허 제5,330,437호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덕빌 시일의 시일 면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비선형 형상 또는 구성, 예를 들어 S형 구성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밀봉 포트(12a)는 제1 포트 하우징 및 제1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 요소의 다층 원추형 시일(104)은 완전한 시일 몸체를 제공하도록 직조 배열로 조립된 일련의 중첩 시일 세그먼트(10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 세그먼트(106)들은 서로 적층되거나 중첩 방식으로 서로 직조되어, 중심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내부에서 갖는 다층 시일(104)을 형성할 수 있다. 시일 세그먼트(106)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개수의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일 세그먼트(106)들은 탄성중합체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다층 보호 부재(108)는, 다층 시일(104)의 개구를 통과한 외과용 기기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으로부터 시일 세그먼트(106)들을 보호하도록 뒤집힘 방지(anti-eversion) 요소로서 구성되고 중첩 시일 세그먼트(106)들에 근접하여 배치된 일련의 중첩 세그먼트(110)들로부터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부재(108)는 또한 다양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호 부재(108)는 성형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예를 들어 펠레탄(Pellethane)™으로부터 형성된다.
다층 시일(104) 및 보호 부재(108)를 형성하는 세그먼트(106, 110)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함께 유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06, 110)들은 세그먼트(106, 110)들을 사이에서 결합시키도록 정합하는 복수의 링 부재에 의해 함께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보호 부재(108)는 크라운(112)과 개스킷 링(114) 사이에서 결합될 수 있고, 시일(104)은 개스킷 링(114)과 보유기 링(116) 사이에서 결합될 수 있다. 핀(118)은 링 부재(112, 114, 116)를 정합시키고 시일(104) 및 보호 부재(108)의 세그먼트(106, 110)를 통해 연장되고 이와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o-링(도시되지 않음)이 보유기 링(116)과 시일 기부(26) 사이에 위치되어 그들 사이에서 기밀 및 액밀 시일을 확보할 수 있다.
완전히 조립될 때, 제1 포트 하우징은 외과용 접근 장치(10) 내의 다양한 위치, 예를 들면 기부(26)에 형성된 제1 포트 개구(80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 하우징은 기부(26)에 대하여 제1 고정 밀봉 포트(12a)를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기부(26)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슬롯, 예를 들면 원위 기부 부분(26b)에 형성된 5개의 슬롯(122)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안착 핀, 예를 들면 보유기 링(116)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5개의 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밀봉 포트(12a)는 또한 보유기 링(116)과 원위 시일 기부 부분(26b) 사이에서 포획되어 그들 사이에서 제1 원위 시일(20)을 고정하는 근위 플랜지를 가질 수 있는 제1 원위 시일(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에, 외과용 기기는 보호 부재(108) 및 다층 시일(104)의 중심 개구를 통해 통과될 수 있고, 시일 세그먼트(106, 110)는 기기의 외부 표면과 결합하여 그 둘레에 시일을 형성할 수 있어서 시일을 통한 액체 및 기체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다. 어떠한 기기도 시일을 통해 배치되지 않은 때, 중심 개구는 일반적으로 작업 채널에서 시일을 형성하지 않을 것이지만, 어떠한 기기도 시일을 통해 배치되지 않은 때 시일이 형성되는 다른 구성이 또한 고려가능하다. 예시적인 기기 시일 구성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4년 3월 31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투관침 시일 조립체"(Trocar Seal Assembly)인 미국 특허 공개 제2004/0230161호 및 2003년 10월 15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원추형 투관침 시일"(Conical Trocar Seal)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687,502호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기기는 밀봉 요소를 통해, 예를 들어 제1 원위 시일(20)을 통해 더욱 삽입될 수 있다. 어떠한 기기도 밀봉 요소를 통해 배치되지 않은 때, 제1 원위 시일(20)은 작업 채널에서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기기가 밀봉 요소를 통해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일이 형성되지 않는 다른 구성이 또한 고려가능하다.
제2 고정 밀봉 포트(12b)는 일반적으로 제1 고정 밀봉 포트(12a)와 유사한 기기 시일로서 구성 및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밀봉 포트(12b)는 기부(26)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제2 포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포트 하우징과 기부(26)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밀봉 포트(12b)는 일반적으로 프레스 캡(126)의 근위 표면 상에 배치된 다층 보호 부재(124)를 가질 수 있다. 프레스 캡(126)은 정합 기구, 예컨대 시일 기부(26)에 형성된 대응 구멍(130)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프레스 캡(126)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핀(128)을 사용하여 시일 기부(26)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립 시일(132)이 근위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원위 시일(22)은 프레스 캡(126)과 시일 기부(26)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층 보호 부재(124)는 또한, 다층 보호 부재(124)에 형성된 대응 구멍(136)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시일 기부(26)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핀(134)과 같은 부착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기부(26) 내에 형성된 제2 포트 개구(80b) 내에 제2 고정 밀봉 포트(12b)를 단단히 고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시일 기부(26)에 정합될 수 있다.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고정 밀봉 포트(12a, 12b)와 유사한 기기 시일로서 구성 및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밀봉 포트(12a, 12b)와는 반대로,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시일 기부(26)에 고정식으로 부착되지 않고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제1 가동 밀봉 요소가 배치된 원형 형상을 갖는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밀봉 포트(14a)는 일반적으로 근위 캡(140)과 시일 보유기(144) 사이에 위치된 다층 보호 부재(13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층 보호 부재(138)는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를 통해 지나가는 외과용 기기에 의해서 야기되는 손상으로부터 시일 세그먼트(142)를 보호하도록 뒤집힘 방지 요소로서 구성된 일련의 중첩 세그먼트(142)로 형성될 수 있다. 시일 근위 캡(140) 및 시일 보유기(144)는 시일 보유기(14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캡 보유 핀 개구(158)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근위 캡(140)의 원위 표면(148)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캡 보유 핀(156)과 같은 정합 기구를 이용하여 근위 캡과 시일 보유기 사이에 위치된 보호 부재(138)와 함께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위 캡(140)의 원위 표면(148)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리프 핀(leaf pin)(146)은 시일 세그먼트(142)에 형성된 리프 세그먼트 개구(160)를 통과하도록 그리고 시일 보유기(14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리프 핀 개구(150)와 결합하여 근위 캡(140)과 시일 보유기(144)에 대해 고정 위치에서 보호 부재(138)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 부재(138), 근위 캡(140) 및 시일 보유기(144)를 포함하는 근위 가동 포트 조립체는, 제1 가동 원위 시일(24a)이 시일 보유기(144)와 편심 기부(154)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편심 링(152)과 편심 기부(154)를 포함하는 원위 가동 포트 조립체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립 시일(164)이 근위 단부 상에 위치된 제1 가동 원위 시일(24a)은 시일 보유기(144)와 편심 기부(154)에 각각 형성된 대향하는 시일 요소 개구(176a, 176b)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층 보호 부재(138)뿐만 아니라, 제1 가동 원위 시일(24a)과 그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립 시일(164)은 그에 의해서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에 대해 편심될 수 있다. 시일 요소 개구(176a, 176b)는 근위 캡(140)에 형성된 시일 개구(178)와 연통되어 외과용 기기가 근위 캡(140)의 시일 개구(178)를 통해서 제1 가동 원위 시일(24a) 내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시일 요소 개구(176a, 176b) 및 시일 개구(178)는, 도 2,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이 안착된 제3 포트 개구(80c)의 중심축 또는 중심점(81)에 대응하는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의 중심축 또는 중심점(81)으로부터 오프셋된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편심 기부(154)의 근위 표면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시일 핀(162)은, 립 시일(164)이 근위 단부에 위치된 밀봉 요소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위치되고 편심 링(15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시일 핀 개구(168)를 통과하고 시일 보유기(144)의 원위 표면(172)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응 시일 핀 개구(170)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일 보유기(144)와 편심 기부(154)를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정렬하도록 정렬 기구, 예컨대 편심 기부(154)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대응 위치 핀 채널(174)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시일 보유기의 원위 표면(172)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위치 핀(166)이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가동 밀봉 포트(14b)는,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가 인식할 수 있을 지라도, 제1 가동 밀봉 포트(14a)와 유사하게 구성 및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기부(26) 및 하우징(16)은 장치의 밀봉 요소의 종방향 길이보다 작은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하나 이상의 적어도 고정 밀봉 요소는 견인기(18)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고정 원위 시일(20, 22)의 각각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과 하우징(16)으로부터 연장된 견인기(18)의 원주의 가장 근접한 부분에 접하는 그들 각각의 원위 밀봉 요소 개구(20a, 22a)와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위 밀봉 요소 개구(20a, 22a)는 하우징(16)을 가로지르지 않고 하우징(16)의 원주의 가장 가까운 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시일 기부(26)가 견인기(18)에 대해 이동될 때 견인기의 내측 긴 부분(42)의 내부 벽에 의해서 원위 밀봉 요소 개구(20a, 22a)가 밀려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일 기부(26) 및/또는 하우징(16)은 밀봉 요소가 견인기(18)의 내부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 요소의 전체 길이를 수용하는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포트 하우징 및 각각의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고정 밀봉 포트(12a, 12b)는 기부(26)에 대해 고정 위치에 있도록 그리고 하우징(16)과 견인기(18)에 대해 기부(26)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각각의 포트 하우징 및 각각의 가동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는 기부(26)에 대해 그리고 그에 따른 고정 밀봉 포트(12a, 12b)에 대해서도 그들 각각의 포트 개구(80c, 80d) 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는 또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이동될 때 기부(26)의 회전 이동을 야기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외과용 기기가 가동 밀봉 포트(14a, 14b)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삽입되고 내부에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될 때 가동 밀봉 포트(14a, 14b) 중 다른 하나의 회전 및/또는 측방향 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제1 가동 포트 하우징 및 제1 가동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제1 방향(M1),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제2 대향 방향(M1'),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제3 개구(80c)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기부(26),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일 기부(26)에 정합될 때,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은 또한 제1 방향(M2),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제2 대향 방향(M2'),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기부(26)의 중심점(94)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제3 포트 개구의 중심점(81) 둘레에 그리고 기부의 중심점(94) 둘레에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회전 가능함으로써 이중 회전 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제1 및/또는 제2 방향(M1, M1')으로 포트 개구 중심점(81) 둘레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제1 및/또는 제2 방향(M2, M2')으로 기부 중심점(94) 둘레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그리고 기부(26)와 함께 제3 포트 개구(80c) 내에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그에 의해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를 통해 삽입된 외과용 기기의 최적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은 제1 및 제2 방향(M1, M1')의 각각으로 360°회전할 수 있고, 기부(26)는 제1 및 제2 방향(M2, M2')의 각각으로 360°회전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당업자는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이 방향(M1, M1')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기부(26)가 방향(M2, M2')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이 기부(26) 내에서 억지 끼움에 의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은 기부(26),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예컨대 제1 가동 포트 하우징 및 제3 포트 개구(80c)의 중심점(81)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기부(26), 하우징(16) 또는 견인기(18)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거나 선회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가동 밀봉 포트(14a)의 제1 가동 밀봉 요소는 기부(26),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가능하고 또한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가동 밀봉 요소는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제3 포트 개구(80c) 내에서 회전하고 그에 의해서 기부의 근위 표면(78)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제3 포트 개구(80c)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지 않도록, 예컨대 원위 방향으로 또는 근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조립체(32)는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가동 밀봉 포트(14a)의 작은 양의 수직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가동 밀봉 요소는 제1 가동 밀봉 포트(14a)가 배치된 제3 포트 개구(80c)에 의해서 형성된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밀봉 요소의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는 임의의 형상 및 크기일 수 있지만, 도 2, 도 6, 도 7a 및 도 7b의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는 일반적으로 기부(26)에 형성된 제3 포트 개구(80c)의 주연부(92c)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제3 직경(D3)을 갖는 원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밀봉 요소가 제1 가동 포트 하우징과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즉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에서 중심을 벗어나 위치되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는 기부(26)에서 제3 포트 개구(80c)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제3 포트 개구(80c)의 제3 직경(D3)보다 더 작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25 ㎜의 제3 직경(D3)과 비교하여 약 18 ㎜의 궤도 경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동 밀봉 포트(14b)는 제1 가동 밀봉 포트(14a)와 유사하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제2 가동 포트 하우징은 기부(26),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제2 가동 밀봉 요소는 또한 제4 포트 개구(80d)의 주연부(92d)에 의해서 형성된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 또는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한 기부(26)의 이동 및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 중 어느 하나의 이동 그리고 그에 따른 기부(26), 하우징(16) 및/또는 견인기(18)에 대한 각각의 제1 및 제2 가동 밀봉 요소의 측방향 이동이 적어도 견인기(18)에 대한 기부(26) 및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것의 이동을 야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부(26), 제1 가동 밀봉 포트(14a)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b) 중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응답 이동은 장치(10)를 통해 체강 내로 삽입된 외과용 기기가 이들의 위치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어서, 그에 의해서 체강 내의 기기들 사이의 간섭의 "젓가락 효과"를 감소시키고 기기의 각각에 유효한 작업 공간의 양을 최대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기부(26)는 예를 들어 손으로 수동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포트(12a, 12b, 14a, 14b)들 중 임의의 것을 통해 삽입된 임의의 기기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기부(26)는 또한 포트(12a, 12b, 14a, 14b)들 중 하나를 통해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의 이동에 응답하여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1의 외과용 접근 장치 이동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도 2에 도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제2 위치로 기부(26), 하우징(16) 및 견인기(18)(도 2 및 도 11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대해 제2 방향(M')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동안, 근위 캡(140)을 포함하는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은 제3 포트 개구(92c)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제1 가동 포트 하우징의 중심점(81) 둘레에서 제2 방향(M1')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 가동 밀봉 요소는 제2 대향 방향(M1')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고, 제1 가동 밀봉 요소는 또한 제1 위치(도 2)로부터 제2의 상이한 위치(도 11)로 그의 궤도 경로 둘레에 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각도(β)만큼 선회 가능하다. 이러한 측방향 또는 선회 이동으로, 제1 가동 밀봉 요소는 기부 중심점(94)으로부터 제1 거리(A)에 있는 제1 위치로부터 기부 중심점(94)으로부터 제2의 상이한 거리(B)에 있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거리(B)는 제1 거리(A)보다 크지만, 제1 가동 밀봉 요소는 제2 거리(B)가 제1 거리(A)보다 작거나 또는 제1 및 제2 거리(A, B)가 동일하도록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동 밀봉 포트(14b)는 제1 가동 밀봉 포트(14a)와 유사하게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밀봉 포트(14a)의 이동에 응답하여, 제2 가동 밀봉 포트(14b) 및/또는 기부(26)는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외과용 기기가 관통 삽입되고 내부에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는 다른 가동 밀봉 포트(14b)는 기부(26)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가동 밀봉 포트(14a)가 도 2 및 도 11에 각각 도시된 제1 및 제2 위치 모두에 있을 때, 기부(26)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b)는 견인기(18)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고 제2 가동 밀봉 포트(14b)는 기부(26)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있다. 기부(26)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b)는, 기부(26)의 다른 포트를 통해 삽입된 기기가 이미 최적으로 위치되어 있거나 또는 제1 가동 밀봉 포트(14a)가 기부(26) 또는 제2 가동 밀봉 포트(14b)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일으키기에 충분히 큰 각도(β)로 회전하지 않는 것과 같은, 다양한 이유 때문에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가동 밀봉 포트(14a)가 이동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2 및 도 12의 외과용 접근 장치 이동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26)는 기부(26)의 중심점(94) 둘레의 제2 방향(M2')으로 견인기(18)(도 2 및 도 12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대하여 제1 위치(도 2)에서 제2 위치(도 12)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부(26)의 중심점(94)에서 교차하는, 직교하는 제1 및 제2 수평축(A1, A2)은 견인기(18)에 대한 기부(26)의 회전 이동을 표시하는 것을 돕는다. 기부(26)의 중심점(94) 및 제1 고정 밀봉 포트(12a)의 중심점(95)을 통과하는 기부(26)의 수평축(A3)은 기부(26)가 도 2에 도시된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직교 수평축(A2)과 정렬될 수 있고 기부(26)가 도 12에 도시된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제2 수평축(A2)으로부터 각도(α)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18)에 대한 기부(26)의 이동은 견인기(18)에 대해 장치의 포트(12a, 12b, 14a, 14b, 28)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가동 밀봉 포트(14a, 14b)가 기부(26)의 이동, 예컨대 가동 포트 하우징의 회전 이동에 응답하여 기부(26)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가동 밀봉 요소는, 가동 밀봉 포트(14a, 14b)가 도 2 및 도 12의 제1 및 제2 위치 둘 모두에서 기부(26)와 함께 기부(26)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26)의 이동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과용 기기(도 2 및 도 12에 도시되지 않음)가 가동 밀봉 요소를 통해 삽입되고 기부(26)가 회전할 때 그 내에서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될 때, 그 가동 밀봉 요소와 연결된 가동 포트 하우징은 가동 밀봉 요소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남아 있을 수 있는 동안 기부(26)에 대해 회전할 수 있어서, 관통 삽입된 기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남아 있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가동 밀봉 요소는, 기부(26)가 회전할 때 기부(26)가 가동 밀봉 포트(14a, 14b)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이동을 야기할 정도로 충분히 큰 각도(α)로 회전하지 않는 것과 같은 다른 이유 때문에 기부(26)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2 및 도 13에 예시된 외과용 접근 장치 이동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가동 밀봉 포트(14b)는 제1 위치(도 2)에서부터 제2 위치(도 13)로 제1 방향(M1)으로 각도(δ)로 기부(26), 하우징(16) 및 견인기(18)(도 2 및 도 13에서는 보이지 않음)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도(δ)는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중심축 또는 중심점(83)을 통과하는, 도 13에서 A1'로 표시된, 제1 수평축(A1)의 이전 위치에 대한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위치에 의해 정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제2 가동 밀봉 요소는 제1 방향(M1)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부(26) 및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둘 모두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이동에 응답하여 이동한다. 기부(26)는 제1 방향(M2)으로 각도(γ)로 회전함으로써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이동에 응답하여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이동한다. 제2 가동 밀봉 포트(14b) 및 기부(26)의 각각의 제1 방향(M1, M2)은 제1 방향(M1)으로의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제2 가동 밀봉 요소의 측방향 이동이 기부(26)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지향된 힘을 가하여 기부(26)를 제1 방향(M2)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치할 수 있고, 예컨대 둘 모두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제1 방향(M1)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가동 밀봉 포트(14b)의 이동에 응답하여 기부(26), 하우징(16) 및 견인기(18)에 대해 이동한다. 제1 가동 밀봉 포트(14a)는 제2 가동 밀봉 포트(14b)가 이동하는 각도(δ)만큼 동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다른 상이한 각도만큼 동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시, 하나 이상의 외과용 기기가 기부(26)의 이동 및/또는 가동 밀봉 포트(14a, 14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이동을 통해 외과용 기기를 체강에 대해 최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외과용 접근 장치(10)를 통해 체강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장치(10)는 조직 내에 위치되어, 조직의 아래에 있는 체강으로의 접근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디폴트 상태에서 완전히 조립되어 조직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10)는 조직 내에서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위치되고 장치(10)의 일부분이 조직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완전히 조립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18)는, 견인기(18)의 근위 및 원위 플랜지(46, 40)가 조직(180)의 대향 측에 위치된 상태로, 조직(180), 예컨대 배꼽 내에 형성된 개구 또는 절개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18)의 근위 부분의 근위 견인기 기부(38)는, 근위 견인기 기부(38)의 원위 기부(38a)(도 5 참조)가 조직(180)의 근위 표면(180a) 상에 그리고/또는 그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조직(180)의 일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견인기(18)의 원위 플랜지(40)는 조직(180) 밑에 놓인 체강(182) 내에서 조직(180)의 원위 표면(180b) 상에 그리고/또는 그에 멀리 위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서 견인기(18)의 내측 긴 부분(42)은 체강(182) 내로의 접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견인기(18)의 내측 루멘 또는 작업 채널(35)이 조직(180)을 통해 연장되는 상태로, 조직(18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견인기(18)가 조직(180) 내에 위치된 경우, 스프링 조립체(32)는,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위 스프링 보유 링(32a)이 근위 견인기 기부(38)의 내부 레지(54)와 결합한 상태에서, 근위 견인기 기부(3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시일 스프링(32b)은, 시일 스프링(32b)의 근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a)이 원위 스프링 보유 링의 딤플(58) 위에 또는 그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원위 스프링 보유 링(32a)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근위 스프링 보유 링(32c)은, 근위 스프링 보유 링의 딤플(60)이 시일 스프링(32b)의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56b) 위에 또는 그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시일 스프링(32b)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당업자는, 스프링 조립체(32)가 도 19에서 근위 견인기 기부(38) 내에 완전히 배치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스프링 조립체(32)가 탄성일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조립체(32)가 시일 기부(26) 및 하우징(16)이 견인기(18)에 부착될 때까지 근위 견인기 기부(38)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프링 조립체(32)는 시일 기부(26) 및 하우징(16)이 견인기(18)에 부착된 상태에도 근위 견인기 기부(38) 내에 완전히 배치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큰 크기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탄성적일 수 있다.
견인기(18)가 조직(180) 내에 위치되고 스프링 조립체(32)가 견인기(18)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기부(26) 및 하우징(16)은 견인기(18)에 부착되어 장치(10)를 완전히 조립할 수 있다. 조직(180) 및/또는 견인기(18)가 적절하게 가요성이면, 견인기(18)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18)에 대한 시일 기부(26) 및 하우징(16)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위치로 기울어지거나 피벗될 수 있다. 견인기(18)는 또한 하나 이상의 외과용 기기가 장치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장치(10)의 사용 중에 기울어지거나 또는 피벗될 수 있다. 견인기(18)에 시일 기부(26) 및 하우징(16)을 정합하기 위하여, 기부(26)는 기부(26)의 원위 표면, 예컨대 립(52)의 원위측이 스프링 조립체(32)의 근위 스프링 보유 링(32c)과 결합한 상태에서 스프링 조립체(32)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부(26)는 견인기(18)에 하우징(16)을 해제가능하게 로킹하는 결합 및 해제 기구 없이 견인기(18)에 로킹하도록 구성되지 않아서, 기부(26)는, 기부(26)가 하우징(16)을 통해 연장된 내측 통로 또는 작업 채널(15) 내에 배치되고 하우징(16)이 견인기(18)에 부착되는 동안,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16)의 베이어닛 핀(34)은 근위 견인기 기부(38)의 슬롯(36) 내에 위치될 수 있고, 하우징(16)은 견인기(18)에 대해 회전되어 하우징(16) 및 기부(26)를 그에 로킹할 수 있다. 조직(180)은, 하우징(16)이 견인기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에 견인기(18)가 제 위치에서 유지될 필요가 없도록, 하지만 견인기(18)가 장치의 조립 동안에 장치(10)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그렇게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외과용 접근 장치(10)가 조직(180)에서 조립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외과용 기기가 접근 장치를 통해 체강(182)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체강에서 기기는 임의의 유형의 외과적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21a, 도 22a, 도 23a, 도 24a, 도 25a, 도 26a 및 도 27a는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통해 체강(182) 내로 각각 삽입된 제1 및 제2 파지기(184a, 184b)를 사용하는 봉합사 매듭 묶기 절차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파지기"가 조직 또는 다른 재료를 집고 그리고/또는 그에 부착하여 재료, 예컨대 겸자, 견인기, 가동 조오(movable jaws), 자석, 접착제, 스테이(stay) 봉합선 등을 조작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외과용 기기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임의의 조합의 파지기 또는 임의의 다른 외과용 기기가 장치(10), 예컨대 스코핑 장치(scoping device), 외과용 스테이플러, 클립 어플라이어, 니들 나이프, 외과용 메스, 후크 나이프, 소식자(bougie), 도뇨관, 진공장치 등의 고정 및 가동 밀봉 포트(12a, 12b, 14a, 14b) 중 임의의 것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또한 장치(10)가, 하나 이상의 외과용 기기가 하나 이상의 자연적인 및/또는 인공적인 구멍을 통해 환자의 신체 내로 도입될 수 있는 외과적 절차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시의 편의를 위해, 장치(10)가 배치되는 조직(180)이 도 21a, 도 22a, 도 23a, 도 24a, 도 25a, 도 26a 및 도 27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봉합사 매듭 묶기 절차 동안 고정 밀봉 포트(12a, 12b) 및 주입 포트(28) 중 임의의 것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코핑 장치는 제1 고정 밀봉 포트(12a)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조직 견인기는 제2 고정 밀봉 포트(12b)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작업 기기, 예컨대 파지기, 커터 등은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2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파지기(184a, 184b)는 기부(26)에 대해 자신을 동적으로 위치시키는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가동 밀봉 포트(14a, 14b)는 이들 각각의 포트 개구(80c, 80d) 내에서 임의의 동적 위치로 조정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동 밀봉 요소는 제1 고정 밀봉 포트(14a)로부터 제2 가동 밀봉 요소보다 더 가까운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파지기(184a)의 근위 핸들부(186a)는,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및 제2 파지기(184a, 184b)의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가 소정 거리에서 위치된 상태에서 제2 파지기(184b)의 근위 핸들부(186b)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파지기(184a)는 기부(26)의 중심점(94)을 통과하는 기부(26)의 수직 또는 축방향 축(A4)에 평행한 근위 방향으로 제2 파지기(184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체강(182) 내에 접근 가능한 절개된 조직(192)에 봉합사(190)를 묶는 것을 돕기 위하여, 제1 및 제2 파지기 핸들부(186a, 186b)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2에 방향 지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축(A1)에 평행한 위치로부터 수평으로 또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핸들부(186a, 186b)의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이동됨에 따라, 이들은 도 2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할 수 있어, 핸들부(186a, 186b) 및 그에 따른 파지기(184a, 184b)의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의 추가적인 수평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핸들부(186a, 186b)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 파지기 핸들(186a)은 제2 파지기 핸들(186b)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수직 이동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도 23a에 방향 지시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제2 원위 작업 단부(188b)에 대한 제1 원위 작업 단부(188a)의 추가적인 수평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들 사이의 이러한 수평 방향 변위는 봉합사(190)가 절개된 조직(192)에 대해 조여지고 매듭지어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각각의 밀봉 요소가 기부(26) 및 하우징(16)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가동 밀봉 포트(14a, 14b)의 가동 구성 때문에,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통해 삽입된 기기는 제한된 작업 공간을 가질 수 있는 외과적 영역, 특히 최소 침습적인 외과적 절차에서 사용되는 동안 최소한 수직 및/또는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된 봉합사 묶기 절차에서, 제1 파지기 핸들부(186a)는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의 적절한 수평 변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2 파지기 핸들부(186b)에 대하여 상당한 양만큼 수직으로 변위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는 도 24a, 도 25a 및 도 2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수직 거리(V) 및 비교적 작은 수평 거리(H)만큼 분리될 수 있다. 근위 핸들부(184a, 184b)는 또한 도 2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수직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통해서 삽입된 기기의 수직 및 수평 이동에 대한 필요성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됨에도 불구하고, 가동 밀봉 포트(14a, 14b)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통 삽입된 외과용 기기에 대하여 360° 작업 영역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봉합사 묶기 절차에서,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파지기(184a, 184b)는 장치(10)와 편심 또는 동심인 원형 주연부(194) 내의 임의의 위치에 접근하기 위하여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가동 밀봉 포트(14a, 14b) 및 기부(26)의 이동을 통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반대로, 도 21a, 도 22a, 도 23a, 도 24a, 도 25a, 도 26a 및 도 27a에 각각 대응하는 도 21b, 도 22b, 도 23b, 도 24b, 도 25b, 도 26b 및 도 27b는 외과용 접근 장치(10)와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제1 및 제2 가동 밀봉 포트(14a, 14b)를 갖는 대신에 제1 및 제2 고정 밀봉 포트(14aB, 14bB) - 이들 사이에 고정 거리(X)를 가짐 - 를 갖는 외과용 접근 장치(10B)를 통해 삽입된 제1 및 제2 파지기(184a, 184b)를 예시한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기(184a)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제1 파지기와 제2 파지기(184a, 184b) 사이의 간섭을 야기한다. 도 2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지기 핸들부(186a)를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제2 파지기(184b) 둘레에 제1 파지기(184a)의 클리어런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도 24b, 도 25b, 도 26b 및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지기(184b) 둘레에서 제1 파지기(184a)의 이동은 제한된다.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들 사이의 수평 거리(HB)는 장치(10)를 통해 삽입된 파지기(184a, 184b)에 대해 상술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들 사이의 수직 거리(VB)는 장치(10)를 통해 삽입된 파지기(184a, 184b)에 대한 수직 거리(V)보다 크다. 더욱이, 제1 및 제2 고정 밀봉 포트(14aB, 14bB)를 통해 삽입된 원위 작업 단부(188a, 188b)는 장치(10B) 둘레에서 360° 작업 영역을 접근할 수 없지만, 대신에 장치(10B)와 편심 또는 동심인 원형 주연부(194B)에서 접근 불가능한 "파이 조각(pie slice)"(189)을 가진다.
외과적 절차 이전의, 그 동안의 또는 그 후의 임의의 시점에, 하우징(16), 기부(26) 및 스프링 조립체(32)는 견인기(18)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견인기(18)는 조직(18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견인기(18)로부터 하우징(16)을 결합 해제하기 위하여, 하우징(16)은, 견인기(18)에 하우징(16)을 부착하기 위하여 하우징(16)이 회전되었던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예컨대 도 20에서 점선 방향 지시 화살표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은 반시계 방향으로 하우징(16)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에 의해서 결합 및 해제 기구는 결합 해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베이어닛 핀(34)이 슬롯(36)으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도 20에서 방향 지시 화살표로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이 견인기(18)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조직(180)은 하우징(16)의 회전 운동에 대해 적절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6)이 견인기(18)로부터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 기부(26) 및 스프링 조립체(32)는 기부(26) 및 스프링 조립체(32)와 함께 도 2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18)와의 결합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상승되어 제거될 수 있다. 장치(10)의 근위 부분(30)이 견인기(18)로부터 결합 해제되면, 작업 채널(35)을 관통한 견인기(18)는 여전히 조직(180) 밑에 있는 체강(182)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체강(182)으로부터의 폐기물, 예컨대 해부된 조직, 과도한 유체 등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폐기물 제거 백(196)과 같은 하나 이상의 외과용 기기가 작업 채널(35)을 통해 전진할 수 있다. 백(196)은 견인기의 작업 채널(35) 또는 다른 접근 포트를 통해 체강(182)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당업자는 장치(10)의 근위 부분(30)이 견인기(18)에 부착되기 전 및/또는 후에 하나 이상의 외과용 기기가 견인기의 작업 채널(35)을 통해 전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30 내지 도 33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포트를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20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외과용 접근 장치(200)는 상술된 외과용 접근 장치(10)와 유사하게 구성 및 사용될 수 있고 하우징(16), 도 15의 단일 시일 부재(72) 및 견인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200)는 또한 상술된 근위 부분(26a) 및 시일 기부(26)와 유사한 근위 부분(203)을 포함하는 시일 기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시일 기부(226)의 원위 부분은 근위 부분(203)에 부착된 가이드 링(201)의 형태이다. 가이드 링(201)의 근위 부착 표면(201a)은 립(252)의 원위 표면(252b)이 가이드 링(201)의 상부 외측 주연부(201b) 상에 안착된 근위 시일 기부(203)로부터 연장된 상태에서 근위 시일 기부(203)의 원위 부착 표면(203a)에 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링(201) 및 근위 시일 기부(203)는 그렇지 않으면 서로 고정식으로 부착되거나 서로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술된 것과 유사하게, 시일 기부(226)는 주입 포트(228), 하나 이상의 고정 밀봉 포트(212) 및 하나 이상의 가동 밀봉 포트(214)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이드 링(201)은 하우징(16)을 견인기(18)와 정렬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링(201)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링(201)의 상부 외측 주연부(201b)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205)를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커트부(205)는 그에 형성된 복수의 절결부(207)를 포함할 수 있고, 절결부는 기부(226)가 결합될 때 견인기(18)의 슬롯(36) 중 대응하는 하나와 정렬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절결부(207)는 슬롯(36) 중 하나를 상보하도록 가이드 링(201)의 주연부 둘레에 소정의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절결부(207)의 각각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절결부(207)는 하우징(16) 상의 베이어닛 핀(34)이 슬롯(36)에 배치 및 그로부터 제거되도록 적절한 클리어런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이드 링의 상부 외측 주연부(201b)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시일 기부(226)는, 4개의 등간격으로 이격된 반경방향 슬롯(36), 핀(34) 및 절결부(207)를 사용하여 약 90° 이격된 4개의 반경 방향 구성을 갖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결부(207)가 슬롯(36) 중 임의의 것과 선택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결합 및 해제 기구가 기부(226)를 견인기(18)에 부착하도록 결합되기 전 및/또는 후에 견인기(18)에 대하여 다양한 반경 방향 구성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시일 기부(226)의 초기 위치는 하우징(16)이 시일 기부(226)에 부착될 때 견인기(18)에 대해 예측 가능할 수 있고, 이는 기부(226)를 통해 연장하는 포트를 외과적 처치 부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의 일부, 예컨대 견인기(18)가 조직 내에 위치되거나 또는 위치되지 않고 조립될 수 있다. 장치(200)를 조립하기 위하여, 단일 시일 부재(72)는 단일 시일 부재(72)가 견인기(1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견인기(18)의 내부 레지(5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시일 기부(226)는 단일 시일 부재(72)가 사이에 위치된 견인기(18)와 결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3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 시일 부재(72)는 견인기(18) 및/또는 시일 기부(226)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스커트부(205)의 내부 표면은 시일 기부(226)의 절결부(207)가 베이어닛 슬롯(36)과 정렬되어 이를 노출시키도록 근위 견인기 기부(38)의 외부 표면과 결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스커트부(205)는, 핀(34) 및 견인기(18)에 대한 하우징(16)의 회전을 이용하여 하우징(16)이 견인기에 부착될 때까지 견인기(18)에 대해 기부(226)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외과용 접근 장치(30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장치(300)는 하우징(316)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포트를 갖는 시일 기부(326)와, 도 15의 단일 시일 부재(72)와, 견인기(318)를 갖고 상술된 장치(10)와 유사하게 구성 및 사용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3의 시일 기부(226)는 4개의 반경 방향 위치를 허용할 수 있지만, 반면에 시일 기부(326)는 변형된 가이드 링(301)을 포함할 수 있고, 변형된 가이드 링은 변형된 가이드 링(301)을 포함하는 시일 기부(326)가 스커트부(305)에 형성된 8개의 절결부(307)를 갖는 변형된 가이드 링(301)으로 약 45° 이격된 8개의 반경 방향 구성으로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316)은 8개의 베이어닛 핀(334)을 갖고, 견인기(318)는 8개의 베이어닛 슬롯(336)을 갖는다.
도 35에 도시된 외과용 접근 장치(400)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일 기부(426)는, 견인기(418)에 하우징(416)을 부착하여 시일 기부(426)와 하우징(416)을 견인기에 로킹하기 이전에, 견인기(418)의 주연부 둘레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400)는 하우징(418), 시일 기부(426), 도 17의 중공 단일 시일 부재(76) 및 견인기(418)를 포함하는, 상술된 장치(10)와 유사하게 구성 및 사용될 수 있다. 장치(400)의 본 실시예에서, 견인기(38)의 근위 견인기 기부(438)는 상호로킹 기구를 사용하여 시일 기부(426)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호로킹 기구는 일반적으로 시일 기부(426)가 견인기(418)의 주연부 둘레의 임의의 위치에 예측 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상호로킹 치형부(teeth)를 포함한다. 시일 기부(426)는 시일 기부(26)와 유사한 근위 부분(403)과 근위 부분(403)에 부착된 클로킹 링(locking ring)(405) 형태의 원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로킹 링(405)은 도 30의 스커트부(205)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이는 어떠한 절결 부분도 갖지 않고 클로킹 링(405)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할 수 있다. 클로킹 링(405)의 외부 표면은 견인기(418)의 내부 표면, 예컨대 견인기(418)의 근위 견인기 기부(438)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치형부(418a)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치형부(40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시일 기부(426)는, 기부(426)를 견인기에 로킹하기 위하여 하우징(416)을 견인기(418)에 부착하기 이전에 견인기(418) 둘레에서 360°로 원하는 위치 어디든 견인기(418)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근위 견인기 기부(43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치형부(418a)를 수용하는 것을 돕는 두꺼운 벽을 가질 수 있다.
외과용 접근 장치(10, 200, 300, 400)의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는 각각,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시일 기부와 견인기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 원주 방향 원위 립, 예컨대 장치(10)의 립(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외과용 접근 장치(500)의 다른 실시예에서, o-링(552)이 시일 기부(526)와 견인기(518) 사이에 안착되어 그들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부(526) 및 견인기(518)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516)은 장치(500)가 조립될 때 기부(526)와 견인기(518)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516)과 기부(526) 사이에 o-링(552)을 안착시키도록 구성된 모따기된 내부 표면(516a)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과용 접근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포트를 갖도록 그리고 견인기에 대해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일체적으로 형성된 시일 기부 및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시일 기부 및 하우징을 갖는 외과용 접근 장치는 분리된 시일 기부 및 하우징을 갖는 장치에 비해 조립 및 분해하기가 더 용이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외과용 접근 장치(600)의 일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시일 기부 및 하우징(626)은 이를 관통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포트(612)와 일체형 시일 기부 및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포트(614)를 가질 수 있다. 견인기(618) 및 일체형 기부 및 하우징(626)의 대향 압력 표면(617)은 일체형 기부 및 하우징(626)과 견인기(618)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는 것을 돕는 압력 시일(617)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향 압력 표면(617)은 일체형 기부 및 하우징(626)이 결합 및 해제 기구,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베이어닛 래치 기구를 사용하여 견인기(618)에 부착될 때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과용 기기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외과용 접근 장치 실시예를 통해 삽입될 때, 특히 예리한 기기가 견인기 또는 근처의 조직의 일부분을 인열시키거나 천공시킬 수도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및 모두에서, 외과용 기기에 의한 인열 또는 천공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안전 차폐부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폐부는 기기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비교적 매끄럽고 낮은 마찰계수를 갖지만 인열 및 천공에 대해 저항하는 재료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는 실리콘, 우레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고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플루오로중합체, 및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는 일반적으로 조직 또는 견인기를 위한 라이너(liner)를 제공할 수 있고 외과용 접근 장치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어서, 차폐부는 특정 절차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0에 도시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과용 접근 장치(700)는 하우징(416)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포트(712) 및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포트(714)가 관통 연장된 시일 기부(726)와, 견인기(718)를 갖는다. 외과용 접근 장치(700)는 견인기(718)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차폐부(719)를 또한 포함하여, 그에 의해서 외과용 기기가 장치(700)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보호 라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 차폐부(719)는 견인기(718)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구체적인 응용에 따라 견인기의 길이보다 짧거나 상당히 긴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차폐부(719)는,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부착 기구, 예컨대 접착제, 나사, 억지 끼움 등을 사용하여 견인기(718)에 정합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719)는 근위 o-링(748)이 내부에 배치된 견인기(718)의 근위 견인기 기부(738)에 안착된 근위 플랜지(746)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위 o-링(748)은 근위 플랜지(746)에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차폐부(719)를 위한 더욱 안정적인 결합 표면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차폐부(719)는 임의의 크기,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차폐부(719)는 외부 층(719a) 및 외부 층(719a)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내부 층(719b)을 갖는 원주 방향으로 팽창 가능한 원통형 부재를 포함한다. 외부 및 내부 층(719a, 719b)은 각각 복수의 플랜지(723a, 723b)가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된 원주 방향 근위 림(721a, 721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및 내부 층(719a, 719b)은 임의의 개수의 플랜지(723a, 723b)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랜지(723a, 723b)는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각각의 근위 림(721a, 721b) 둘레에서 서로로부터 임의의 다른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외부 및 내부 플랜지(723a, 723b)는 각각 근위 플랜지(746)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차폐부(719)의 연속적인 근위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및 내부 플랜지(723a, 723b)의 일부는 차폐부(719)의 "파단된" 근위 플랜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및 내부 플랜지(723a, 723b) 중 어느 것도 내부 층(719b)이 외부 층(719a) 내에 배치될 때 서로 중첩될 수 없다.
차폐부(719)의 외부 및 내부 층(719a, 719b)은 또한, 내부 층(719b)이 외부 층(719a) 내에 배치되어 견인기(718)의 내측 긴 부분(742)의 내부 벽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연속적인 원위 표면을 형성할 때 근위 림(721a, 721b)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고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각각의 원위 신장 핑거(725a, 725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핑거(725a, 725b)는 견인기(718)의 내측 긴 부분(742)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외과용 기기와 접촉할 때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여 외과용 기기가 원위 핑거(725a, 725b)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밀어서 장치(700)를 통한 이동의 자유 각 범위를 외과용 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핑거(725a, 725b)는 또한, 견인기(718)가 가용성이면 견인기(718)가 조직 내의 위치일 때 절곡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폐부는 상술된 바와 같은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차폐부는 차폐부가 견인기 내에 배치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일 부재일 수 있다. 도 41 및 도 42는 단일 차폐부(719')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체 구성의 차폐부(719')는 반경 방향 연장 플랜지를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원주 방향 근위 림(721')을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림(721')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핑거를 갖는 대신에, 대체 구성의 차폐부(719')는 원위 핑거를 모사하는 주름진 원위 부분(723')을 포함할 수 있다. 주름진 원위 부분(723')은 다양한 크기,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원위 부분(723')은 원위 부분(723')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차폐부(719')로 절첩된 복수의 상자 주름(72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견인기(719')가 가요성이면, 견인기(719')가 절곡될 때, 그리고 /또는 외과용 기기가 주름진 원위 부분(723')의 내부 벽에 대해 가압할 때, 주름진 원위 부분(723')은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3 내지 도 45에 도시된 단일 견인기 차폐부(719")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폐부(719")는 근위 림(721")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나이프 주름(723a")이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주름진 원위 부분(7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외과용 접근 장치 실시예에서, 장치의 외과용 접근 포트의 각각은 시일 기부의 이동 및/또는 가동 밀봉 포트의 이동을 통해 견인기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외과적 절차에서 견인기에 대해 고정된 반경 방향 위치에 남아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외과용 접근 포트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외과적 절차 동안 조직은 외과적 처치 부위에 더욱 직접적인 접근을 제공하고 외과적 절차 동안 견인된 조직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외과적 처치 부위로부터 멀리 견인될 수 있다. 견인된 조직은 전통적으로 외과적 절차 전체에 걸쳐서 안정한 위치로 견인되기 때문에, 조직을 견인하는 데 사용되는 견인기 외과용 기기도 전통적으로는 예컨대 견인기의 연속적인 손 유지에 의해서, 견인기를 벽 고정구에 장착함에 의해서 등 외과적 절차 전체에 걸쳐서 안정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중 임의의 것 및 전부에서, 측면 접근 포트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어서 외과용 기기가 외과용 접근 장치를 통해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외과용 접근 장치의 견인기에 대해 고정된 반경 방향 위치에 남아 있는 것을 허용하여, 예를 들어 외과용 접근 장치의 시일 기부 또는 다른 부분의 이동 동안에도 견인된 조직을 안정한 위치에서 유지시킨다.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과용 접근 장치(800)는 하우징(816)과, 결합 및 해제 기구를 사용하여 하우징(816)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견인기(818)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포트(812) 및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포트(814)가 관통 연장된 시일 기부(826)와, 시일 스프링(832b)이 사이에 위치된 원위 및 근위 스프링 보유 링(832a, 832b)을 포함하는 스프링 조립체를 갖는다. 상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하우징(816) 및 기부(826)는 견인기(818)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포트(814)는 하우징(816) 및 견인기(818)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외과용 접근 장치(800)는 또한, 밀봉 요소(820)가 배치되고 관통 삽입된 외과용 기기(83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측면 접근 포트(83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접근 포트(831)는 상술된 밀봉 포트와 유사한 고정 밀봉 포트 또는 가동 밀봉 포트일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면 접근 포트(831)는 도 1의 장치(100)의 고정 밀봉 포트(12a, 12b)와 유사한 고정 밀봉 포트일 수 있다. 당업자는, 조직을 견인하도록 구성된 파지기(833)가 측면 접근 포트(831)를 통해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임의의 외과용 기기가 외과적 절차에서 조직을 견인하거나 임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측면 접근 포트(831)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측면 접근 포트(831)는 측면 접근 포트(831)가 견인기(818)에 대해 고정된 반경 방향 위치에 위치되도록 견인기(818)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측면 접근 포트(831)의 몸체(837)는, 몸체(837)를 통해 연장된 측면 밀봉 요소(820)가 견인기의 작업 채널(835)을 향해서 측면 접근 포트(831)를 통해 삽입된 외과용 기기(833)가 작업 채널(835)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근위 견인기 기부(838)의 측벽으로부터 상향으로 그리고 외향으로 근위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측면 접근 포트(831)를 수용하기 위하여, 견인기(818)의 근위 견인기 기부(838)는 이의 주연부 둘레에 고정된 위치에서 이의 측벽에 측면 접근 포트(831)가 형성되는 것을 허용하고 측면 접근 포트(831)가 견인기(818)를 통해 연장된 작업 채널(835)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연장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견인기 기부(838)에 결합하는 원위 스프링 보유 링(832a)은 또한 측면 접근 포트(831)를 수용하는 연장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견인기(818)의 측벽에 형성될 때, 측면 접근 포트(831)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및 가동 밀봉 포트(812, 814)가 관통 연장하는 기부(826)를 포함하는 평면(P2)으로부터 오프셋된 평면(P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 접근 포트(831)는 측면 접근 포트(831)의 평면(P1)과 기부(826)의 평면(P2) 사이에서 임의의 각도로 견인기(818) 및 원위 스프링 보유 링(832a)을 통해 임의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외과용 기기(833)는 시일을 통한,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측면 접근 포트(831)의 원추형 시일(804)의 근위 표면 상에 배치된 다층 보호 부재(808)를 통한 삽입의 각도에 따라 측면 접근 포트(831) 내에서의 이동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삽입의 최대 각에서, 기기(833a)는 측면 접근 포트(831)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측면 접근 포트(831)를 포함하는 견인기(818)의 측벽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견인기(818)의 내측 긴 부분(842)의 내부 벽과 결합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삽입의 최소 각에서, 기기(833b)는 측면 접근 포트(831)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측면 접근 포트(831)를 포함하는 견인기(818)의 측벽과 동일한 측면 상에서 내측 긴 부분(842)의 내부 벽과 결합할 수 있다.
측면 접근 포트(831)는 또한 이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시일 캡(839)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 캡(839)은 도 9의 립 시일(132)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고 기기(833)의 관통 삽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일 캡(839)은 또한 측면 접근 포트(831)가 사용 중이 아닐 때, 예컨대 기기(833)가 관통 배치되지 않을 때, 측면 접근 포트(831)를 덮고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일 캡(839)은 세척 및/또는 교체를 위하여 측면 접근 포트(831)에 예컨대 스냅 록(snap lock)으로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과용 접근 장치는 장치의 견인기에 대해 고정된 반경 방향 위치에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견인기에 대해 이동가능한 측면 접근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8 내지 도 51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과용 접근 장치(900)는 하우징(916)과, 견인기(918)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밀봉 포트(912) 및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포트(914)가 관통 연장된 시일 기부(926)와, 도 46의 장치(800)와 유사한 스프링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대체 구성의 장치(900)는 근위 견인기 기부(938)에 견인기(918)의 측벽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지만 회전 방향으로 그리고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한 측면 접근 포트(9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측면 접근 포트(9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소켓 조인트(ball and socket joint)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견인기(918)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견인기(918)는 볼(943)이 내부에서 활주 또는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가동 측면 접근 포트(931)의 볼(943)을 안착시키도록 구성된 소켓(941)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900)는 볼(943)을 소켓(941) 및 견인기(918)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로킹하고 볼(943)이 소켓(941) 및 견인기(91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해제되도록 구성된 해제 가능한 로킹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 가능한 로킹 기구는, 예컨대 핀과 구멍의 결합, 나사산, 래치, 클램프 등의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해제 가능한 로킹 기구는 근위 견인기 기부(938) 및 시일 캡(947) 상에 각각 형성된 상보 나사산(938a, 947)을 포함한다. 볼(943)은 시일 캡(947)이 견인기(918)로부터 탈착되거나 또는 견인기(918) 상으로 부분적으로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소켓(941) 내의 원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볼(943) 및 그에 따른 측면 접근 포트(931)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될 때, 시일 캡(947)은 근위 견인기 기부(938) 상으로 예컨대 시일 캡(947)을 견인기(918)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조여질 수 있어서, 예컨대 시일 캡(947)을 견인기(918)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시일 캡(947)이 느슨해질 때까지 볼(943)을 제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시일 캡(947)은 선택적으로 시일 캡(947)을 회전시키는 것을 돕기 위하여 핑거 그립(951) 및/또는 다른 파지 기구, 예컨대 거친 표면, 핑거 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은 시일 캡(947)과 견인기(918) 사이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예컨대 시일 캡(946)과 근위 견인기 기부(938) 사이에 위치된 o-링(949)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견인기(918)에 대한 고정된 반경 방향 위치를 유지하면서 견인기(918)에 대한 측면 접근 포트(931)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은 가동 측면 접근 포트(931)를 통해 삽입된 기기(933)가 더 큰 범위의 이용 가능한 이동을 갖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당업자는 조직을 견인하도록 구성된 파지기(933)가 측면 접근 포트(931)를 통해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임의의 외과용 기기가 외과적 절차에서 조직을 견인하거나 임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측면 접근 포트(931)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외과용 기기(933)는 측면 접근 포트(931)의 원추형 시일(904)의 근위 표면 상에 그리고 소켓(941)에 대한 볼(943)의 회전된 위치 상에 배치된 다층 보호 부재(908)를 통한 삽입의 각도에 따라 측면 접근 포트(931) 내에서의 이동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삽입의 최대 각에서, 기기(933a)는 측면 접근 포트(931)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측면 접근 포트(931)를 포함하는 견인기(918)의 측벽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견인기(918)의 내측 긴 부분(942)의 내부 벽과 결합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삽입의 최소각에서, 기기(933b)는 측면 접근 포트(931)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측면 접근 포트(931)를 포함하는 견인기(918)의 측벽과 동일한 측면 상에서 내측 긴 부분(942)의 내부 벽과 결합할 수 있다. 측면 접근 포트(931)의 밀봉 요소(920)는 견인기(918)에 대해 볼(943)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밀봉 요소(920)는 볼(943) 및 밀봉 요소(920)를 통해 삽입된 기기(933)가 견인기(918)에 대한 볼의 위치에 관계없이 볼(943)을 통해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도록 고정된 예측가능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내측 긴 부분(942)이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요성이면, 견인기(918)는 기기(933) 및/또는 관통 삽입된 임의의 다른 기기로부터의 압력에 응답하여 변형 또는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기기(933)가 최대 삽입 위치에 있으면, 견인기(918)는 견인기(918)의 일 부분에서 제1높이(H1)와 견인기(918)의 다른 위치에서 제2의 더 높은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및 모두는 필요에 따라 서로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외과용 접근 장치 키트는 하나 이상의 견인기를 갖는 다수의 하우징 및 시일 기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시일 기부 및 하우징 조합은 특정 응용에서 필요에 따라 가동 밀봉 포트 이동의 다양한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상이한 가동 밀봉 포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해제 기구는 다양한 기부 부재 및 하우징을 견인기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외과용 접근 장치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및 모두에 의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특징부가 있다. 예를 들어, 시일 기부, 하우징, 견인기 등과 같은 장치의 구성 요소는 환자 내에 삽입될 때 보다 양호한 시각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구성요소 상에 또는 구성요소의 원주 둘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발광체를 가질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응용을 위해 가시광이든 비가시광이든 임의의 파장의 광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절차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외과적 기술 및 외과용 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외과용 접근 장치 상에 그리고/또는 외과용 접근 장치를 통해 임의의 개수의 포트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 및 포트는 가압된 가스, 진공 시스템, 고주파 및 초음파와 같은 에너지원, 관주, 이미지형성 등의 도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들 기술 및 장치 중 임의의 것은 외과용 접근 장치에 제거가능하게 부착가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교환되고 조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공지된 그리고 향후의 외과적 절차 및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이, 모두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08년 9월 3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외과용 접근 장치"인 미국 특허 출원 제12/242,765호; 2008년 9월 3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보호 요소를 갖는 외과용 접근 장치"(Surgical Access Device with Protective Element)인 미국 특허 출원 제12/242,711호; 2008년 9월 3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다중 포트 외과용 접근 장치"(Multiple Port Surgical Access Device)인 미국 특허 출원 제12/242,721호; 2008년 9월 3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가변 외과용 접근 장치"(Variable Surgical Access Device)인 미국 특허 출원 제12/242,726호; 2008년 9월 3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위 절제술 및 위 형성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Gastrectomies and Gastroplastie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2/242,333호; 2008년 9월 3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위 절제술 및 위 형성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인 미국 특허 출원 제12/242,353호; 및 2008년 9월 3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다중 포트 접근 장치를 사용하여 위 형성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Gastroplasties Using a Multiple Port Access Device)인 미국 특허 출원 제12/242,38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슬리브 위 절제술 및/또는 위 형성술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는 1회 사용 후에 처분되도록 설계될 수 있거나, 다수회 사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서도, 장치는 적어도 1회의 사용 후에 재사용을 위해 원상회복될 수 있다. 원상회복은 장치의 분해 단계, 이후의 특정 단편의 세정 또는 교체 단계, 및 후속적인 재조립 단계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장치는 분해될 수 있고, 장치의 임의의 개수의 특정 단편 또는 부품, 예를 들어 시일 기부, 하우징, 근위 견인기 기부 등이 임의의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교체 또는 제거될 수 있다. 특정 부품의 세정 및/또는 교체시, 장치는 원상회복 설비에서 또는 외과적 절차 직전에 외과적 처치 팀(team)에 의해 후속 사용을 위해 재조립될 수 있다. 당업자는 장치의 원상회복이 분해, 세정/교체 및 재조립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한 기술 및 얻어진 원상회복된 장치의 사용은 모두 본 출원의 범주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은 외과적 처치 전에 처리될 것이다. 먼저, 새로운 기기 또는 사용된 기기가 획득되고, 필요하다면 세정된다. 그리고 나서, 기기는 소독될 수 있다. 하나의 소독 기술에서, 기기는 폐쇄 및 밀봉된 용기,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TYVEK 백 내에 놓인다. 그리고 나서, 용기 및 기기는 감마 방사선, x-선 또는 고에너지 전자와 같은, 용기를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영역 내에 놓인다. 방사선은 기기 상의 그리고 용기 내의 세균을 죽인다. 그리고 나서, 소독된 기기는 소독된 용기 내에 보관될 수 있다. 밀봉된 용기는 의료 설비에서 용기가 개방될 때까지 기기를 소독된 상태로 유지한다.
장치가 소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타 또는 감마 방사선, 에틸렌 옥사이드, 스팀, 및 액체 조(bath)(예를 들어, 저온 침지)를 포함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많은 방식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당업자는 전술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부들 및 이점들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지시된 바를 제외하고는, 이제까지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공보 및 참고문헌은 명시적으로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Claims (16)

  1. 외과용 접근 장치로서,
    기부와 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지지체를 갖고 작업 채널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지지체에 배치된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요소는 이를 관통하여 작업 채널 내로 삽입된 외과용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과용 접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제2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밀봉 요소를 갖고, 상기 제2 밀봉 요소는 이를 관통하여 작업 채널 내로 삽입된 외과용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외과용 접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은 제1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외과용 접근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외과용 기기가 내부에 실질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유지된 상기 밀봉 요소는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의 제2 밀봉 요소의 이동에 응답하여 미리 정해진 궤도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외과용 접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중심 회전축은 기부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외과용 접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기부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남아 있고 하우징에 대해 기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밀봉 요소를 갖는 외과용 접근 장치.
  7. 외과용 접근 장치로서,
    기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관통 삽입된 기기 둘레에 시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밀봉 요소와 독립하여 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밀봉 요소를 갖고, 기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의 회전은 기부의 중심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의 거리를 변하게 하는 데 효과적인 외과용 접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원형이고 기부의 중심점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외과용 접근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는 상기 기부의 평면에서 회전 가능한 외과용 접근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는 제1 및 제2 가동 밀봉 요소를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는 기부에 형성된 미리 한정된 형상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지지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밀봉 요소는 이의 지지체에 대해 편심인 외과용 접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중심점은 미리 한정된 형상부로부터 이격된 외과용 접근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가요성 견인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기의 근위 견인기 기부에 형성되고 관통 삽입된 견인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측면 접근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측면 접근 포트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외과용 접근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근위 단부와 하우징의 원위 단부 사이에 관통 연장된 작업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기부는 밀봉 요소를 통해 삽입된 기기가 작업 채널을 통해 연장되도록 하우징의 근위 단부에 위치된 외과용 접근 장치.
KR1020100019874A 2009-03-06 2010-03-05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00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99,633 US8821391B2 (en) 2009-03-06 2009-03-06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12/399,633 2009-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697A true KR20100100697A (ko) 2010-09-15

Family

ID=4212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874A KR20100100697A (ko) 2009-03-06 2010-03-05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21391B2 (ko)
EP (1) EP2226025A1 (ko)
JP (1) JP2010207577A (ko)
KR (1) KR20100100697A (ko)
CN (1) CN101822553A (ko)
AU (1) AU2010200630A1 (ko)
CA (1) CA26955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765B1 (ko) * 2015-11-12 2017-03-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공 복강경 수술 개창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의료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6506B2 (en) 2009-03-06 2015-01-06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8357085B2 (en) 2009-03-31 2013-01-22 Ethicon Endo-Surger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8961406B2 (en) * 2009-03-06 2015-02-2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providing seal movement in predefined movement regions
WO2009046164A1 (en) 2007-10-05 2009-04-09 Tyco Healthcare Group Lp Seal anch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s
USD738500S1 (en) 2008-10-02 2015-09-08 Covidien Lp Seal anch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s
US9737334B2 (en) 2009-03-06 2017-08-22 Ethicon Llc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ing a body cavity
US8226553B2 (en) 2009-03-31 2012-07-24 Ethicon Endo-Surgery, Inc. Access device with insert
US8419635B2 (en) 2009-04-08 2013-04-1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 having removable and replaceable components
US8257251B2 (en) 2009-04-08 2012-09-04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8137267B2 (en) 2009-04-08 2012-03-20 Ethicon Endo-Surgery, Inc. Retractor with flexible sleeve
US8241209B2 (en) 2009-06-05 2012-08-14 Ethicon Endo-Surgery, Inc. Active seal components
US8465422B2 (en) 2009-06-05 2013-06-18 Ethicon Endo-Surgery, Inc. Retractor with integrated wound closure
US8033995B2 (en) 2009-06-05 2011-10-11 Ethicon Endo-Surgery, Inc. Inflatable retractor with insufflation and method
US8475490B2 (en) 2009-06-05 2013-07-02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through tissue to a surgical site
US8795163B2 (en) 2009-06-05 2014-08-05 Ethicon Endo-Surgery, Inc. Interlocking seal components
US9078695B2 (en) 2009-06-05 2015-07-14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ccessing a body cavity using a surgical access device with modular seal components
US8361109B2 (en) 2009-06-05 2013-01-29 Ethicon Endo-Surgery, Inc. Multi-planar obturator with foldable retractor
JP5580900B2 (ja) * 2009-10-02 2014-08-27 クック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単一ポートによるアクセスのための装置
AU2010300449A1 (en) * 2009-10-02 2012-05-0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scopic fascia tunneling
US9339264B2 (en) 2010-10-01 2016-05-17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Port access visualization platform
US9474540B2 (en) 2009-10-08 2016-10-25 Ethicon-Endo-Surgery, Inc. Laparoscopic device with compound angulation
US9017252B2 (en) 2010-04-12 2015-04-28 Covidien Lp Access assembly with flexible cannulas
US8562592B2 (en) 2010-05-07 2013-10-22 Ethicon Endo-Surgery, Inc. Compound angle laparoscopic methods and devices
US9226760B2 (en) 2010-05-07 2016-01-05 Ethicon Endo-Surgery, Inc. Laparoscopic devices with flexible actuation mechanisms
US8460337B2 (en) 2010-06-09 2013-06-11 Ethicon Endo-Surgery, Inc. Selectable handle biasing
JP5648997B2 (ja) 2010-09-16 2015-01-07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9022926B2 (en) 2010-11-23 2015-05-05 Covidien Lp Reinforced flexible access assembly
US9011324B2 (en) 2010-11-24 2015-04-21 Covidien Lp Access assembly including one or more foldable caps
US8602983B2 (en) 2010-12-20 2013-12-10 Covidien Lp Access assembly having undercut structure
US8641610B2 (en) 2010-12-20 2014-02-04 Covidien Lp Access assembly with translating lumens
US10420585B2 (en) 2011-02-16 2019-09-24 Reza Mohajer-Shojaee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passage cutoff
US9033872B2 (en) * 2011-02-16 2015-05-19 Reza Mohajer-Shojaee Laparoscopic cannula with suturing capability
US9259240B2 (en) 2011-03-29 2016-02-16 Covidien Lp Articulating surgical access system for laparoscopic surgery
US9161807B2 (en) 2011-05-23 2015-10-20 Covidien Lp Apparatus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CA2860174C (en) * 2011-12-23 2016-11-15 EON Surgical Ltd. Laparoscopic seal bridge
WO2013104179A1 (zh) * 2012-01-12 2013-07-18 Wang Xiaojun 腹腔镜手术单切口密封装置
CN104066386B (zh) * 2012-01-25 2017-02-22 住友电木株式会社 医疗用处置用具
US10492825B2 (en) 2013-03-15 2019-12-0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ealing multiple surgical instruments
US9888941B2 (en) 2013-03-15 2018-02-13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ealing multiple surgical instruments
KR102544812B1 (ko) * 2013-03-15 2023-06-20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회전 보조 포트
US10292730B2 (en) 2013-03-15 2019-05-2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ealing multiple surgical instruments
EP2999419B1 (en) 2013-05-22 2020-12-23 Covidien LP Apparatus for controlling surgical instruments using a port assembly
US10064649B2 (en) 2014-07-07 2018-09-04 Covidien Lp Pleated seal for surgical hand or instrument access
US9707011B2 (en) 2014-11-12 2017-07-18 Covidien Lp Attachments for use with a surgical access device
US10299785B2 (en) * 2016-04-01 2019-05-28 Ethicon Llc Surgical access devices with integrated wound closure features
US11160682B2 (en) 2017-06-19 2021-11-02 Covidien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matter disposed within an internal body vessel
US10828065B2 (en) 2017-08-28 2020-11-10 Covidien Lp Surgical access system
US10675056B2 (en) 2017-09-07 2020-06-09 Covidien Lp Access apparatus with integrated fluid connector and control valve
US11389193B2 (en) 2018-10-02 2022-07-19 Covidien Lp Surgical access device with fascial closure system
US11457949B2 (en) 2018-10-12 2022-10-04 Covidien Lp Surgical access device and seal guard for use therewith
US10792071B2 (en) 2019-02-11 2020-10-06 Covidien Lp Seal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166748B2 (en) 2019-02-11 2021-11-09 Covidien Lp Seal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000313B2 (en) 2019-04-25 2021-05-11 Covidien Lp Seals for surgical access devices
US11413068B2 (en) 2019-05-09 2022-08-16 Covidien Lp Seal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259840B2 (en) 2019-06-21 2022-03-01 Covidien Lp Valve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357542B2 (en) 2019-06-21 2022-06-14 Covidien Lp Valve assembly and retainer for surgical access assembly
US11259841B2 (en) 2019-06-21 2022-03-01 Covidien Lp Seal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413065B2 (en) 2019-06-28 2022-08-16 Covidien Lp Seal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399865B2 (en) 2019-08-02 2022-08-02 Covidien Lp Seal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523842B2 (en) 2019-09-09 2022-12-13 Covidien Lp Reusable surgical port with disposable seal assembly
US11432843B2 (en) 2019-09-09 2022-09-06 Covidien Lp Centering mechanisms for a surgical access assembly
US11812991B2 (en) 2019-10-18 2023-11-14 Covidien Lp Seal assemblie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US11464540B2 (en) 2020-01-17 2022-10-11 Covidien Lp Surgical access device with fixation mechanism
US11576701B2 (en) 2020-03-05 2023-02-14 Covidien Lp Surgical access assembly having a pump
US11446058B2 (en) 2020-03-27 2022-09-20 Covidien Lp Fixture device for folding a seal member
US11717321B2 (en) 2020-04-24 2023-08-08 Covidien Lp Access assembly with retention mechanism
US11529170B2 (en) 2020-04-29 2022-12-20 Covidien Lp Expandable surgical access port
US11622790B2 (en) 2020-05-21 2023-04-11 Covidien Lp Obturators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and methods of assembly thereof
US11751908B2 (en) 2020-06-19 2023-09-12 Covidien Lp Seal assembly for surgical access assemblies
CN112754617B (zh) * 2021-01-05 2022-08-26 常州安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保持腹部压力的可视穿刺器
CN113729799B (zh) * 2021-08-31 2023-05-05 重庆西山科技股份有限公司 手术装置、复合操作通道及多自由度定位结构
CN114711897B (zh) * 2022-06-08 2022-09-02 深圳佰特微医疗科技有限公司 血管中不期望物质的取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9391A (en) 1936-04-09 1938-09-06 Wappler Frederick Charles Endoscopic instrument
US3402710A (en) * 1966-06-27 1968-09-24 Hydra Power Corp Self-closing valve device for implantation in the human body
US3654965A (en) * 1967-06-23 1972-04-11 Pneumatiques Caoutchouc Mfg Closure members for pipe sections
US4112932A (en) * 1977-02-24 1978-09-12 Chiulli Robert D Laparoscopic cannula
CA1139176A (en) 1980-07-11 1983-01-11 Micheal Ivan Re-entrant cannula device
US4417888A (en) 1982-03-15 1983-11-29 Renal Systems, Inc. Percutaneous implant
US4402683A (en) * 1981-12-28 1983-09-06 Kopman Ercument A Cannula introducer
US5308336A (en) * 1982-09-28 1994-05-03 Applied Medical Resources Seal protection mechanism
US5676657A (en) 1990-07-26 1997-10-14 Yoon; Inbae Endoscopic portal having multiluminal trumpet valve
US5990382A (en) 1990-08-29 1999-11-23 Biomedical Enterprises, Inc. Method and implant for surgical manipulation of bone
US5207213A (en) * 1991-02-01 1993-05-04 Circon Corporation Laparoscope having means for removing image impeding material from a distal lens
US5209741A (en) * 1991-07-08 1993-05-11 Endomedix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having variable post-insertion cross-sectional geometry
US5385553A (en) * 1991-07-18 1995-01-3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with floating septum seal
US5197955A (en) * 1991-10-18 1993-03-30 Ethicon, Inc. Universal seal for trocar assembly
US5269772A (en) 1992-01-24 1993-12-14 Wilk Peter J Laparoscopic cannula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5183471A (en) * 1992-01-24 1993-02-02 Wilk Peter J Laparoscopic cannula
CA2095064A1 (en) 1992-05-01 1993-11-02 Stephen J. Failla Sealing mechanism for surgical trocar
US5443484A (en) * 1992-06-16 1995-08-22 Loma Linda University Medical Center Trocar and method for endoscopic surgery
US5443452A (en) 1992-07-02 1995-08-22 Applied Medical Resources Seal assembly for access device
US5375588A (en) * 1992-08-17 1994-12-27 Yoon; Inbae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endoscopic procedures
DE4234452C2 (de) * 1992-10-13 1994-08-18 Ethicon Gmbh Reduzierstück für Trokarhülsen
US5814058A (en) * 1993-03-05 1998-09-29 Innerdyne, Inc.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conformable sleeve for providing percutaneous access
CA2126150C (en) * 1993-07-14 2005-02-22 David T. Green Seal assembly for accommodating introduction of surgical instruments
US5366478A (en) 1993-07-27 1994-11-22 Ethicon, Inc. Endoscopic surgical sealing device
US5391154A (en) * 1993-08-30 1995-02-2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Trocar seal system
CA2171177C (en) 1993-09-06 2008-06-03 Frank Bonadio Apparatus for use in surgery and a valve
FR2710270B1 (fr) 1993-09-24 1997-05-09 Jean Claude Sgro Dispositif pour l'introduction d'instruments dans un trocart de chirurgie cÓoelioscopique.
SE9303253D0 (sv) 1993-10-05 1993-10-05 Siemens Elema Ab Instrument för titthålskirurgi
US5330437A (en) * 1993-11-12 1994-07-19 Ethicon Endo-Surgery Self sealing flexible elastomeric valve and trocar assembly for incorporating same
US5480410A (en) * 1994-03-14 1996-01-02 Advanced Surgical, Inc. Extracorporeal pneumoperitoneum access bubble
US5531758A (en) * 1994-03-25 1996-07-02 Ethicon Endo-Surgery, Inc. Sliding reducer seal for surgical trocar
US6162196A (en) 1994-07-14 2000-12-19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Multiport access device
US5569205A (en) 1994-07-14 1996-10-29 Hart; Charles C. Multiport trocar
JP2802244B2 (ja) 1994-08-29 1998-09-2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シース
US5803909A (en) * 1994-10-06 1998-09-08 Hitachi, Ltd. Optical system for measuring metabolism in a body and imaging method
US5672168A (en) 1994-10-07 1997-09-30 De La Torre; Roger A. Laparoscopic access port for surgical instruments or the hand
US5653705A (en) 1994-10-07 1997-08-05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Laparoscopic access port for surgical instruments or the hand
US5569254A (en) 1995-04-12 1996-10-29 Midas Rex Pneumatic Tools, Inc. Surgical resection tool having an irrigation, lighting, suction and vision attachment
US5634937A (en) * 1995-05-19 1997-06-03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Skin seal with inflatable membrane
US5634911A (en) * 1995-05-19 1997-06-03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Screw-type skin seal with inflatable membrane
US5584850A (en) 1995-05-25 1996-12-1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Trocar having an anti-inversion seal
US5643301A (en) * 1995-06-07 1997-07-01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Cannula assembly with squeeze operated valve
US6605063B2 (en) * 1998-09-21 2003-08-12 Gerald G. Bousquet Transcutaneous access device
US5545179A (en) * 1995-07-21 1996-08-13 Ethicon Endo-Surgery, Inc. Endoscopic access assembly
US5662615A (en) * 1995-09-01 1997-09-02 Blake, Iii; Joseph W. Valve and valve cartridge for trocar
US5891013A (en) * 1996-02-07 1999-04-06 Pinotage, Llc System for single-puncture endoscopic surgery
US6706050B1 (en) * 1996-05-10 2004-03-16 Emmanuil Giannadakis System of laparoscopic-endoscopic surgery
US5827319A (en) 1996-05-20 1998-10-27 Innerdyne, Inc. Radially expandable access system having disposable and reusable components
US5820606A (en) * 1996-06-11 1998-10-13 Origin Medsystems, Inc. Reusable cannula with disposable seal
US5972020A (en) * 1997-02-14 1999-10-26 Cardiothoracic Systems, Inc. Surgical instrument for cardiac valve repair on the beating heart
US5906577A (en) * 1997-04-30 1999-05-2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Device, surgical access port, and method of retracting an incision into an opening and providing a channel through the incision
WO1998050093A1 (en) 1997-05-02 1998-11-1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Trocar seal system
US5843040A (en) 1997-05-06 1998-12-01 Dexide, Inc. Surgical sleeve or cannula with rotating reducer
US5782821A (en) * 1997-05-15 1998-07-21 Alan Couch Battery boot for a portable surgical tool
US6099506A (en) 1997-09-26 2000-08-08 Macoviak; John A. Introducer and perfusion cannula
US6589167B1 (en) * 1997-10-08 2003-07-08 Hakko Electric Machine Works Co., Ltd. Valve and valved trocar jacket tube
US6120513A (en) * 1998-01-09 2000-09-19 Bailey; Robert W. Laparoscopic surgery instrumentation and method of its use
US5989224A (en) * 1998-02-23 1999-11-23 Dexide Corporation Universal seal for use with endoscopic cannula
JP3019150B2 (ja) * 1998-04-07 2000-03-13 株式会社八光メディカル 弁付トラカール外套管
US5951466A (en) 1998-04-13 1999-09-14 Viamedics, Llc Self-seating surgical access device and method of gaining surgical access to a body cavity
US6245052B1 (en) * 1998-07-08 2001-06-12 Innerdyne, Inc. Methods, systems, and kits for implanting articles
US6352503B1 (en) * 1998-07-17 2002-03-05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ic surgery apparatus
US6454783B1 (en) * 1998-09-15 2002-09-24 Gregory Piskun Laparoscopic instruments and trocar systems for trans-umbilical laproscopic surgery
US7344547B2 (en) * 1998-09-15 2008-03-18 Phavel Systems, Inc. Laparoscopic instruments and trocar systems and related surgical method
US20050192483A1 (en) * 1998-12-01 2005-09-01 Frank Bonadio Device
US8177762B2 (en) 1998-12-07 2012-05-15 C. R. Bard, Inc. Septum including at least one identifiable feature, access ports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s
US6086603A (en) * 1998-12-14 2000-07-11 Syntheon, Llc Luminal port device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sealing mechanisms
IES990218A2 (en) * 1999-03-18 2000-11-15 Gaya Ltd A surgical device
IES990220A2 (en) 1999-03-18 2000-11-15 Gaya Ltd A surgical device
IES990219A2 (en) 1999-03-18 2000-11-15 Gaya Ltd A surgical device
DE19935725C2 (de) * 1999-07-29 2003-11-13 Wolf Gmbh Richard Medizinisches Instrument, insbesondere Rektoskop
IE990795A1 (en) * 1999-07-30 2001-03-07 Gaya Ltd Hand Access Port Device
US6706033B1 (en) * 1999-08-02 2004-03-16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odular access port for device delivery
US6447489B1 (en) * 2000-01-18 2002-09-10 Ethicon Endo-Surgey, Inc. Laparoscopic access tool with gas seal
US20040230160A1 (en) 2000-06-22 2004-11-18 Erblan Surgical Inc. Safety trocar including sealing member
US6551270B1 (en) * 2000-08-30 2003-04-22 Snowden Pencer, Inc. Dual lumen access port
DE10050648C2 (de) * 2000-10-12 2003-11-06 Fraunhofer Ges Forschung Chirurgisches Instrument
US20060020281A1 (en) * 2000-10-13 2006-01-26 Smith Robert C Valve assembly including diameter reduction structure for trocar
CA2422782C (en) * 2000-10-19 2012-02-0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apparatus and method
WO2003007821A1 (fr) * 2001-07-18 2003-01-30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Instrument de traitement medical
US6939296B2 (en) * 2001-10-17 2005-09-0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 Laparoscopic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052454B2 (en) * 2001-10-20 2006-05-3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ealed surgical access device
CA2466929A1 (en) * 2001-11-13 2003-05-30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Multi-seal trocar system
US7235062B2 (en) * 2002-01-24 2007-06-2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floating gel seal
DE10214552A1 (de) 2002-04-02 2003-10-16 Pajunk Ohg Besitzverwaltung Trokarhülse
US7083626B2 (en) 2002-10-04 2006-08-01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pendent valve
US7390317B2 (en) * 2002-12-02 2008-06-24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Universal access seal
US20050020884A1 (en) * 2003-02-25 2005-01-27 Hart Charles C. Surgical access system
US9486241B2 (en) 2003-03-21 2016-11-08 Ethicon Endo-Surgery, Llc Trocar seal assembly
US8147457B2 (en) * 2003-03-21 2012-04-03 Ethicon Endo-Surgery, Inc. Conical trocar seal
US7338473B2 (en) * 2003-04-08 2008-03-04 Surgiquest, Incorporated Pneumoseal trocar arrangement
US7591832B2 (en) * 2003-04-24 2009-09-22 Medtronic, Inc. Expandable guide sheath and apparatus with distal protection and methods for use
EP1617755A4 (en) 2003-04-25 2012-10-24 Tyco Healthcare SURGICAL HANDSET
DE602004018342D1 (de) 2003-08-26 2009-01-22 Zimmer Spine Inc Zugangssysteme für die minimal invasive chirurgie
US7163510B2 (en) * 2003-09-17 2007-01-1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instrument access device
US7753901B2 (en) * 2004-07-21 2010-07-13 Tyco Healthcare Group Lp Laparoscopic instrument and cannula assembly and related surgical method
US20050148823A1 (en) * 2003-10-15 2005-07-07 Trevor Vaugh Surgical sealing device
US20050155611A1 (en) * 2003-11-05 2005-07-21 Trevor Vaugh Surgical sealing device
US20050137609A1 (en) * 2003-12-17 2005-06-23 Gerald Guiraudon Universal cardiac introducer
JP4701164B2 (ja) 2004-03-12 2011-06-15 財団法人新産業創造研究機構 手指補助下腹腔鏡手術用アクセスデバイス
US8100822B2 (en) 2004-03-16 2012-01-24 Macroplata Systems, Llc Anoscope for treating hemorrhoids without the trauma of cutting or the use of an endoscope
US7118528B1 (en) 2004-03-16 2006-10-10 Gregory Piskun Hemorrhoids treatment method and associated instrument assembly including anoscope and cofunctioning tissue occlusion device
US20050209608A1 (en) * 2004-03-22 2005-09-22 O'heeron Peter T Trocar seal
EP1732623B1 (en) 2004-04-05 2014-07-16 Covidien LP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EP1737404B1 (en) 2004-04-05 2013-01-16 Covidien LP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US20050277946A1 (en) 2004-06-15 2005-12-15 Secant Medical, Llc Access port for laparoscopic surgery
US8961407B2 (en) * 2004-07-21 2015-02-24 Covidien Lp Surgical port assembly
US20060071432A1 (en) * 2004-09-29 2006-04-06 Staudner Rupert A Seal for trocar
US20060212062A1 (en) 2005-03-16 2006-09-21 David Farascioni Radially expandable access system including trocar seal
EP1861022A2 (en) * 2005-03-22 2007-12-05 Atropos Limited A surgical instrument
US7766824B2 (en) 2005-03-31 2010-08-03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US20060247586A1 (en) 2005-04-08 2006-11-02 Voegele James W Intra-abdominal storage device
US20060241671A1 (en) 2005-04-20 2006-10-26 Stout Medical Group, Llc Self-sealing surgical access port
US20060241651A1 (en) 2005-04-22 2006-10-26 Wilk Patent, Llc Surgical por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DE102005026467A1 (de) 2005-06-09 2006-12-14 University Of Dundee Vorrichtung zum Schaffen eines transkutanen Zuganges zu einem endoskopischen Operationsgebiet
US20070060939A1 (en) * 2005-09-02 2007-03-15 Zimmer Spine, Inc. Expandable and retractable cannula
WO2007044911A1 (en) * 2005-10-14 2007-04-19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hand access laparoscopic device
AU2006304892A1 (en) * 2005-10-14 2007-04-26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access port
US20070118021A1 (en) * 2005-11-22 2007-05-24 Pokorney James L Anatomical cavity implant transport device and method
US9820771B2 (en) 2006-03-03 2017-11-21 Axcess Instrumen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8425410B2 (en) * 2008-09-30 2013-04-23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 with protective element
US8961406B2 (en) 2009-03-06 2015-02-2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providing seal movement in predefined movement regions
US8485970B2 (en) * 2008-09-30 2013-07-1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
US20100228096A1 (en) 2009-03-06 2010-09-09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20100081864A1 (en) * 2008-09-30 2010-04-01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gastrectomies and gastroplasties
US8251900B2 (en) 2009-03-06 2012-08-28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s and methods providing seal movement in predefined paths
US8926506B2 (en) 2009-03-06 2015-01-06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8430811B2 (en) * 2008-09-30 2013-04-30 Ethicon Endo-Surgery, Inc. Multiple port surgical access device
US20100081883A1 (en) * 2008-09-30 2010-04-01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erforming gastroplasties using a multiple port access device
EP2010071A2 (en) 2006-04-19 2009-01-07 Atropos Limited An instrument access device
FR2904210B1 (fr) 2006-07-31 2009-06-05 Jean Pierre Cohen Trocart endorectal
JP4148973B2 (ja) 2006-08-07 2008-09-10 アプライド メディカル リソーシ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密閉式外科用アクセス装置
CN101505665B (zh) * 2006-08-25 2012-07-04 泰利福医疗公司 笼状浮动密封组件
GB2441501A (en) * 2006-09-07 2008-03-12 Gyrus Medical Ltd Surgical instrument with sealing mechanism to retain pressurised gas
US20080119821A1 (en) * 2006-11-17 2008-05-22 Warsaw Orthopedic, Inc. Multiport Cannula
CA2681751A1 (en) 2007-03-30 2008-10-09 Tyco Healthcare Group Lp Laparoscopic port assembly
US8100929B2 (en) * 2007-06-29 2012-01-24 Ethicon Endo-Surgery, Inc. Duckbill seal with fluid drainage feature
US8092430B2 (en) 2008-03-03 2012-01-10 Tyco Healthcare Group Lp Single port device with multi-lumen cap
US8968251B2 (en) 2008-05-14 2015-03-03 Covidien Lp Access assembly
US8328761B2 (en) * 2008-09-30 2012-12-11 Ethicon Endo-Surgery, Inc. Variable surgical access device
US20100228090A1 (en) 2009-03-06 2010-09-09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20100274093A1 (en) 2009-04-22 2010-10-28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sealing port size
US20110028793A1 (en) * 2009-07-30 2011-02-03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US20110028794A1 (en) * 2009-07-30 2011-02-03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765B1 (ko) * 2015-11-12 2017-03-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공 복강경 수술 개창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복강경 수술용 의료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2553A (zh) 2010-09-08
AU2010200630A1 (en) 2010-09-23
JP2010207577A (ja) 2010-09-24
CA2695555A1 (en) 2010-09-06
US8821391B2 (en) 2014-09-02
EP2226025A1 (en) 2010-09-08
US20100228198A1 (en) 201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536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ccess into a Body Cavity
KR20100100697A (ko)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16215B2 (en) Surgical access device
CA2680944C (en) Multiple port surgical access device
CA2680915C (en) Surgical access device with protective element
US8328761B2 (en) Variable surgical access device
KR20100100700A (ko)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00699A (ko) 체강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100706A (ko) 미리 형성된 경로에서의 시일 이동을 제공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 및 방법
KR20100100707A (ko) 미리 형성된 이동 영역에서의 시일 이동을 제공하는 외과용 접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