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454A -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454A
KR20100100454A KR1020090019352A KR20090019352A KR20100100454A KR 20100100454 A KR20100100454 A KR 20100100454A KR 1020090019352 A KR1020090019352 A KR 1020090019352A KR 20090019352 A KR20090019352 A KR 20090019352A KR 20100100454 A KR20100100454 A KR 2010010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spool
fishing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148B1 (ko
Inventor
장현성
Original Assignee
장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성 filed Critical 장현성
Priority to KR1020090019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1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의 끝부분에 낚싯줄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민장대에 결합되어 낚싯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결합관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민장대 낚싯대의 후방 끝단에 결합되고, 전면에 낚싯줄 방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낚싯대와 동일 중심으로 회전되고,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스풀 사이에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스풀이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부;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민장대를 이용하여 수심이 얕은 수초지역 등에서 낚시를 할 때 낚싯대를 매번 접고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낚싯대, 민장대, 줄감개, 수초낚시

Description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an automatic reel for a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대의 끝부분에 낚싯줄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민장대에 결합되어 낚싯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장대는 강이나 저수지 또는 연안의 갯바위 등에서 물고기를 잡는데 이용되는 낚싯대의 일종으로서, 각각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결합관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최외측의 결합관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수납되고, 낚시를 할 때에는 결합관들을 순차적으로 인출하여 낚싯대가 긴 길이로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낚싯대의 끝단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민장대는 통상적으로 낚싯대의 펼친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의 낚싯줄을 낚싯대의 끝단에 묶어 고정한 후, 낚싯줄의 하단에 바늘과 봉돌을 결합하고, 낚싯줄의 중간 부분으로 해당 위치의 수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찌를 고정한 상태로 사용함에 따라 낚싯줄의 길이 조절이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연안에서 거리가 멀면서도 수심이 얕은 수초지역 등지에서 낚시를 할 경우에는 긴 길이의 낚싯줄로 인해 챔질이 힘들고 낚싯줄이 수초에 엉키는 문제점 이 발생함에 따라 낚싯줄 상에 낚싯줄이 감겨지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도록 하는 별도의 줄감개 등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줄감개를 이용하여 낚싯줄의 길이를 줄이거나 낚싯줄의 길이를 낚싯대 보다 짧게 하여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낚싯대를 거두어들일 때 낚싯줄의 하단이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게 되어 미끼 및 바늘을 회수하기가 매우 힘든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낚싯대를 거두어들일 때 마다 낚싯대를 다시 짧은 길이로 접고, 다시 미끼를 투척할 때에는 낚싯대를 긴 길이로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낚싯대의 끝부분에 낚싯줄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민장대에 결합되어 낚싯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이 팽팽한 인장 상태를 유지할 때에만 스풀이 회전되면서 줄을 감거나 푸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에 낚싯줄이 감길 때 어느 한 부분에 낚싯줄이 쏠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이 종래의 민장대 낚싯대와 근접한 상태로 지지되어 풀림 또는 감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하우징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를 잡고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낚싯줄의 걸리적거림이 최소화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출구에서 방출된 낚싯줄이 낚싯대의 내측 공간을 통해 낚싯대의 전방 끝단으로 연결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 의 결합관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민장대 낚싯대의 후방 끝단에 결합되고, 전면에 낚싯줄 방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낚싯대와 동일 중심으로 회전되고,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스풀 사이에 결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스풀이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부;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정,역회전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낚싯줄방출구의 내측으로 낚싯줄이 팽팽한 인장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장감지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부의 전방 측으로 상기 스풀이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의 길이가 상기 스풀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풀이 회전축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낚싯대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낚싯대고정링과, 상기 낚싯대고정링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스풀에서 풀려나온 낚싯줄이 통과되면서 낚싯줄을 지지하는 가이드링이 일체로 결합된 가이드클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전방 끝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낚싯대의 후방 끝단에 고정되되, 낚싯대의 직경 변화에 관계없이 낚싯대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낚싯줄방출구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풀에서 풀려나온 낚싯줄이 통과되는 낚싯줄보호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상기 결합관의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낚싯줄이 상기 결합관의 내측 공간을 통해 낚싯대의 전방 끝단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하우징과 스풀, 구동모터와 감속부 및 배터리로 구성되어 낚싯대의 끝부분에 낚싯줄을 고정하여 사용하는 민장대에 결합되어 낚싯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민장대를 이용하여 수심이 얕은 수초지역 등에서 낚시를 할 때 낚싯대를 매번 접고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장감지스위치를 구비하여 낚싯줄이 팽팽한 인장 상태를 유지할 때에만 스풀이 회전되면서 줄을 감거나 푸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낚싯줄이 느슨한 상태에서 스풀이 회전되면서 낚싯줄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풀이 회전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스풀에 낚싯줄이 감길 때 어느 한 부분에 낚싯줄이 쏠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서, 스풀에 감겨지는 줄의 양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클립을 구비하여 낚싯줄이 종래의 민장대 낚싯대와 근접한 상태로 지지되어 풀림 또는 감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낚싯줄에 낚싯대에서 쳐짐이 발생하여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을 구비하여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하우징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직경 및 길이의 낚싯대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싯줄보호관을 구비하여 손잡이를 잡고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낚싯줄의 걸리적거림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낚싯줄이 풀려지거나 감겨지는 과정에서 손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출구가 낚싯대의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방출구에서 방출된 낚싯줄이 낚싯대의 내측 공간을 통해 낚싯대의 전방 끝단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낚싯줄이 걸리적거리거나 엉키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민장대 낚싯대의 후방 끝단에 장착되어 스위치 조작에 의해 낚싯줄(1)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낚싯대(10)의 후방 끝단에 고정되는 하우징(20)의 내측에 낚싯줄(1)이 감겨지는 스 풀(30)과, 상기 스풀(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스풀(30)이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부(50) 및 상기 구동모터(4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줄감개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가장 큰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손잡이 역할을 하는 낚싯대(10)의 최외측의 결합관(11)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낚싯대(10)의 후방 끝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전방 하부측에는 낚싯줄(1)이 인출 및 수납되도록 개방된 방출구(21)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스풀(30)은 낚싯줄(1)이 감겨지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스풀(3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낚싯줄(1)이 상기 방출구(21)를 통해 풀려나오거나 감겨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이 후술되는 감속부(50)로 연결됨과 동시에 감속부(50)에 연결된 상기 스풀(30)이 회전되면서 낚싯줄(1)을 자동으로 감겨지거나 풀리는 작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감속부(50)는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토크를 증가시켜 낚싯줄(1)이 안정적으로 스풀(30)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4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스풀(30)에 결합되며,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기어(51)가 결합된 통상의 감속기로 형성되어 구동모터(40)의 회전속도가 감속됨과 동시에 토크가 증가되도록 하여 스풀(30)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60)는 하우징(20)의 외측으로 별도의 전원공급선이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구동모터(4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교체가능한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20)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모터(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7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작동스위치(70)를 조작함에 따라 구동모터(40)가 회전되면서 낚싯줄(1)이 스풀(30)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외부로 노출된 낚싯줄(1)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스위치(70)는 별도의 배선을 연결하여 낚싯대(10)의 외측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낚싯대(10)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손과 작동스위치(70)가 더욱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조작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수초지역 등 얕은 수심 지역에 미끼를 투척할 때에는 바늘에 미끼를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70)를 조작하여 노출된 낚싯줄(1)의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 후 미끼를 투척함으로써, 낚싯줄(1)을 엉킴을 방지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정확한 투척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낚시 바늘에 고기가 잡히거나 미끼를 회수할 때에는 낚싯대(10)를 들어올린 후 상술한 작동스위치(70)를 조작하여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된 낚싯줄(1)의 길이가 낚싯대(10)의 길이와 대응되게 풀려나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가 한 손으로 낚싯대(10)를 잡은 상태에서 반대측 손으로 미끼 및 바늘을 간편하게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방출구(21)의 내부에는 상기 낚싯줄(1)이 팽팽한 상태로 인장된 것을 감지하도록 통상의 낚싯줄(1)이 결합된 통상의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인장감지스위치(22)를 결합하고, 낚싯줄(1)이 인장된 상태에서만 상술한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40)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낚싯줄(1)이 느슨한 상태에서 스풀(30)이 회전되면서 낚싯줄(1)이 스풀(30)에 불안정하게 감기거나 풀려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스풀(30)은 회전 중심이 낚싯대(10)의 중심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감속부(50)의 전방 측으로 스풀(30)이 결합되는 회전축(52)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스풀(30)이 상기 회전축(52)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축(52)의 길이가 스풀(3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스풀(30)이 회전축(52)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풀(30)에 낚싯줄(1)이 감겨질 때 어느 일측에 많은 양의 낚싯줄(1)이 쏠려 감겨지는 경우에는 스풀(30)이 회전축(52)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연속적으로 감겨지는 낚싯줄(1)이 스풀(30)에 감겨진 낚싯줄(1)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낚싯줄(1)의 쏠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52)은 다각형 단면 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스풀(30)과 서로 맞물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52)의 회전됨에 따라 스풀(30)이 원활한 회전 작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풀(30)이 회전축(52)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낚싯대(10)의 외측에는 낚싯줄(1)을 지지하는 다수의 가이드클립(80)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클립(80)은 통상의 민장대 낚싯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대(10)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낚싯대고정링(81)과, 상기 낚싯대고정링(81)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이드링(82)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통상의 민장대 낚싯대(10)에 낚싯대고정링(81)을 이용하여 가이드클립(80)을 고정한 후, 가이드링(82)으로 낚싯줄(1)을 통과시켜 스풀(30)에서 풀려나온 낚싯줄(1)이 낚싯대(10)의 전방 측으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낚싯줄(1)이 낚싯대(10)에서 쳐짐이 발생하여 엉키거나 걸리적거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낚싯줄(1)의 원활한 풀림 및 감김 작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하우징(20)의 전방 끝단에는 낚싯대(10)의 직경에 관계 없이 하우징(20)이 낚싯대(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브래킷(23)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23)은 상기 하우징(20)의 전방 측에 낚싯대(10)의 후방 끝단에 체결되는 마개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하우징(20)이 낚싯대(10)와 일체로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나, 낚싯대(10)의 직경에 관계없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낚싯대(10)의 후방 끝단에 고정되는 통상의 클램프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줄감개 장치를 다양한 길이 및 직경의 낚싯대(10)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활용도가 더욱 증대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방출구(21)의 외측으로는 낚싯대(10)가 통과되는 관 형상의 낚싯줄보호관(24)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낚싯줄보호관(24)은 연질의 관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방 끝단이 상기 방출구(21)에 고정되도록 하며, 전방측이 낚싯대(10)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낚싯줄(1)이 낚싯줄보호관(24)을 통해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낚싯대(10)를 잡고 낚시를 할 때, 손에 낚싯줄(1)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낚싯줄(1)의 감김 및 풀림 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수행됨과 동시에, 낚싯줄(1)이 손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로서, 본 실시예는 상 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상술한 방출구(21)가 상기 낚싯대(10)의 결합관(11)의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방출구(21)를 통해 풀림 및 감김되는 낚싯줄(1)이 낚싯대(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낚싯대(10)의 전방 끝단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출구(21)와 낚싯대(10) 끝단 사이의 낚싯줄(1)이 낚싯대(1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서도 원활한 감김 및 풀림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낚싯줄(1)의 걸리적거림 및 엉킴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방출구(21)는 하우징(20)의 전면 및 전방하부측에 동시에 2개 이상이 형성되도록 하여 낚싯대의 형태 및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낚싯줄이 인출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보인 요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싯줄
10 : 낚싯대 11 : 결합관
20 : 하우징
21 : 방출구 22 : 인장감지스위치
23 : 고정브래킷 24 : 낚싯줄보호관
30 : 스풀
40 : 구동모터
50 : 감속부
51 : 기어 52 : 회전축
60 : 배터리
70 : 작동스위치
80 : 가이드클립
81 : 낚싯대고정링 82 : 가이드링

Claims (7)

  1.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결합관(11)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민장대 낚싯대(10)의 후방 끝단에 결합되고, 전면에 낚싯줄(1) 방출구(21)가 형성된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내측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낚싯대(10)와 동일 중심으로 회전되고, 낚싯줄(1)이 감겨지는 스풀(30);
    상기 하우징(20)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40);
    상기 구동모터(40)와 스풀(30) 사이에 결합되고, 구동모터(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스풀(30)이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부(50);
    상기 구동모터(4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
    를 포함하는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상기 구동모터(40)를 정,역회전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70)가 구비되고, 상기 방출구(21)의 내측으로 낚싯줄(1)이 팽팽한 인장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작동스위치(7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장감지스위치(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50)의 전방 측으로 상기 스풀(30)이 결합되는 회전축(52)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52)의 길이가 상기 스풀(30)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풀(30)이 회전축(52)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10)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낚싯대고정링(81)과, 상기 낚싯대고정링(81)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스풀(30)에서 풀려나온 낚싯줄(1)이 통과되면서 낚싯줄(1)을 지지하는 가이드링(82)이 일체로 결합된 가이드클립(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하우징(20)의 전방 끝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낚싯대(10)의 후방 끝단에 고정되되, 낚싯대(10)의 직경 변화에 관계없이 낚싯대(10)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방출구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측으로 상기 스풀(30)에서 풀려나온 낚싯줄(1)이 통과되는 낚싯줄보호관(2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 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21)는 상기 하우징(20)의 전면으로 상기 결합관(11)의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낚싯줄(1)이 상기 결합관(11)의 내측 공간을 통해 낚싯대(10)의 전방 끝단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KR1020090019352A 2009-03-06 2009-03-06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KR10105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352A KR101050148B1 (ko) 2009-03-06 2009-03-06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352A KR101050148B1 (ko) 2009-03-06 2009-03-06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454A true KR20100100454A (ko) 2010-09-15
KR101050148B1 KR101050148B1 (ko) 2011-07-19

Family

ID=4300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352A KR101050148B1 (ko) 2009-03-06 2009-03-06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648B1 (ko) * 2012-02-14 2014-07-04 박상남 대낚시대
CN113207825A (zh) * 2021-04-30 2021-08-06 北京邮电大学 一种鱼竿用导环的自动化安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926Y1 (ko) * 1999-11-09 2000-04-15 아이디어플라자주식회사 자동줄감김장치가 구비된 낚시대
JP2007275078A (ja) * 2007-07-27 2007-10-25 Yasuyuki Kosaka 電動釣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648B1 (ko) * 2012-02-14 2014-07-04 박상남 대낚시대
CN113207825A (zh) * 2021-04-30 2021-08-06 北京邮电大学 一种鱼竿用导环的自动化安装装置
CN113207825B (zh) * 2021-04-30 2022-03-15 北京邮电大学 一种鱼竿用导环的自动化安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148B1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148B1 (ko) 낚싯대용 자동 줄감개 장치
JPS5915602B2 (ja) 餌付け方法および餌付け装置
KR20060008845A (ko) 주낙용 투승장치
KR102599955B1 (ko) 낚싯대 보조용 조상기
JP2007330141A (ja) 釣用バケツ
US20210289762A1 (en) Large arbor ice fishing tip-up spool
KR200456398Y1 (ko) 낚시용구 보관 케이스
JP6488438B2 (ja) 釣竿
KR102567553B1 (ko) 치실 홀더
KR200271460Y1 (ko) 견지 낚시용 릴 겸용 낚시구
KR101829533B1 (ko) 낚시줄 케이스
JP2021019501A (ja) 釣針外し器
KR200212205Y1 (ko) 물고기 꿰미
KR20230132254A (ko)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JP3443098B2 (ja) 道糸リール付き釣竿
KR200299081Y1 (ko) 낚시줄 꼬임방지용 낚시대
JP4167722B2 (ja) ハリスキャッチ
CN215836647U (zh) 一种便携式多功能伸缩鱼扣轮
JPH0819353A (ja) 電動式の手網竿
CN211998138U (zh) 一种用于铺设牧场围栏的放线盘
JP3126413U (ja) 小型船舶用日除けシート
WO2000003587A1 (en) Device for handling fishing line and arrangement for fly fishing
JP2000224943A (ja) 釣り竿及び穂先竿
JP2000287585A (ja) リール機能を備えたフィッシングロッド
CN206354237U (zh) 一种附着于渔竿尾端的易脱缷的放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