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194A -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 - Google Patents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194A
KR20100100194A KR1020090018938A KR20090018938A KR20100100194A KR 20100100194 A KR20100100194 A KR 20100100194A KR 1020090018938 A KR1020090018938 A KR 1020090018938A KR 20090018938 A KR20090018938 A KR 20090018938A KR 20100100194 A KR20100100194 A KR 20100100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xibuprofen
sensitive adhesive
pressure
stor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구
서중기
엄성용
송인범
남택일
신슬범
박영택
Original Assignee
대화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화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0194A/ko
Publication of KR2010010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열,진통 소염제인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규의 덱시부프로펜 패치에 관한 것으로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는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제를 제공한다.
덱시부프로펜, 해열,진통 소염제, 경피흡수, 패치

Description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A new transdermal composition of dexibuprofen}
본 발명은 해열,진통 소염제인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덱시부프로펜 패치에 관한 것으로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며 부작용이 감소된 경피흡수제를 제공한다.
덱시부프로펜(dexibuprofen)은 비스테로이드계 해열 진통제로 이부프로펜의 S-형 이성질체이다. 덱시부프로펜은 이부프로펜의 절반의 투여량으로 동일한 해열,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해 이부프로펜에 비해 위장관 장애와 같은 부작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덱시부프로펜을 활성성분으로 한 정제, 시럽제 등의 경구용 제제는 시판되고 있으나, 아직 덱시부프로펜의 경피 제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고 있다. 덱시부프로펜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계 해열 진통제의 최대 단점으로 위장관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덱시부프로펜의 경피제제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약물이 적절하게 저장되어야 하며 또한, 경피를 통한 일정한 흡수를 나타내 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덱시부프로펜은 녹는점이 51℃ 부근으로 낮은 편이어서 정제와 같은 경구용제제를 제조함에 있어 압축성 저하와 같은 물리적 가공성이 떨어져 제조공정상의 어려움점이 있다. 또한, 덱시부프로펜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난용성 약물로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인 유기용매, 다시 말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톨루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용매에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다. 덱시부프로펜인 경우, 경피제제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점착제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용매를 20 ~70% 를 포함하고 있어 덱시부프로펜을 점착제에 녹여 경피제제의 약물저장층에 저장하기에 적당하고 이로 인해 가공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할 경우, 녹는점이 낮은 덱시부프로펜을 적당한 온도에서 녹여 고무계 점착제와 혼합하거나 함께 녹여 약물저장층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덱시부프로펜을 적절하게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피를 통해 약물이 일정하게 흡수되면서 위장관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신규의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열, 진통 소염제인 덱시부프로펜을 경피로 통해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며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신규의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여러 종류의 고분자 점착제와 약물방출조절제를 사용하여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며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신규의 덱시부프로펜 피흡수제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해열, 진통 소염제인 덱시부프로펜을 활성성분으로 한 경피흡수제로 고분자 점착제와 약물방출조절제를 사용하여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며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신규의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덱시부프로펜을 활성성분으로 한 신규의 경피흡수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덱시부프로펜 패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피흡수제의 구성은,
a) 층 1 : 지지체층
b) 층 2 : 활성성분인 덱시부프로펜, 약물방출조절제 및 고분자인 점착제를 포함하는 약물저장층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덱시부프로펜을 함유하는 경피흡수제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피부에 부착 또는 보관하는 동안 제제로부터 덱시부프로펜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얇고 유연성이 있으며 피부에 알러지 반응을 야기시키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지지체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등의 단층 필름, 또는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수분에 의해 패치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흡수 능력이 있는 부직포, 면포, 직물 등과 상기 단층 필름을 적층한 다층의 라미네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패치제에서 이용되고 있는 약물보호용 필름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인 덱시부프로펜은 경피흡수제제 1㎠ 당 덱시부프로펜을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0.3 중량% ~ 30 중량%을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0.5 중량% ~ 5 중량%을 함유한다. 덱시부프로펜의 양이 약 물 저장층의 중량 중 30 중량%을 초과하면 건조 후 침전이 생성되어 피부투과도가 개선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덱시부프로펜을 함유하는 점착층으로 어떠한 감압 점착제도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카르복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관능기가 없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히드록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계 폴리머, 카르복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계 폴리머 또는 관능기가 없는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계 폴리머 감압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National Starch 사의 듀로택(Duro-tak)87-2516, 87-2052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50.0 중량% ~ 90.0 중량%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65.0 중량% ~ 85.0 중량%을 함유한다. 점착제의 양이 50.0 중량%보다 작으면 점착력 저하 및 침전이 생성되어 피부투과도가 떨어지며, 90.0 중량%을 초과하면 점착력이 너무 강해 탈착시 피부자극을 야기시킨다.
또한, 덱시부프로펜을 함유하는 점착층으로 폴리이소부틸렌(PIB), 스티렌-디엔-스티렌 공중합체(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계열의 고무계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점착력과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고무계 점착제와 점착부여제로 혼합하여 조성된다. 고무계 점착제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폴리부텐 공중합체, 이소프렌-이소부 틸렌 공중합체, 스티렌-디엔-스티렌 공중합체(예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이소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부여제는 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 수첨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 로진펜타에리스톨에스테르 등의 로진유도체, 지환족포화탄화수소수지, 지방족탄화수소수지, 테르펜수지, 말레인산레진, 카르복시메틸세룰로오즈 또는 그의 염, 크로스포비돈, 글리콜산전분 또는 그의 염, 알긴산 또는 그의 염, 로커스트빈검, 카라기난, 전분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IB, SIS 계열의 고무계 점착제은 32.5 중량% 내지 95.0 중량%의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5.0 중량% 내지 15.0 중량%의 폴리부텐 및 12.5 중량% 내지 37.5 중량%의 수첨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카르복시메틸세룰로오즈나트륨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고무계 점착제는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50.0 중량% ~ 90.0 중량%을 함유하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70.0 중량% ~ 85.0 중량%을 함유한다. 점착제의 양이 50.0 중량%보다 작으면 덱시부프로펜에 대한 용해도가 감소하여 침전이 생성되며, 90.0 중량%을 초과하면 점착력이 너무 강해 탈착시 피부자극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에서, 약물방출조절제는 지방산 에테르 ,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트란스큐톨, 트리아세틴, 피롤리돈계 유도체,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방출조절제는 전체 약물 저장층 중량에 대하여 0.1 ~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 이다. 만일, 약물방출조절제가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피부투과도가 개선되지 않으며, 나아가 패치제의 물리적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덱시부프로펜 100mg에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516, 미국 National-Starch사) 1084.337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50~17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덱시부프로펜 100mg에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516, 미국 National-Starch사) 1084.337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13.5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50~17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3
덱시부프로펜 100mg에 이소프로필미리스트레이트(IPM) 60mg,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516, 미국 National-Starch사) 1024.9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 12.76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50~17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4
덱시부프로펜 100mg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카프릴레이트(Capryol 90, Gattefosse 사) 60mg,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516, 미국 National-Starch사) 1024.9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 12.76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50~17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5
덱시부프로펜 100mg에 트윈 80 60mg,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516, 미국 National-Starch사) 1024.9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 76.56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60~18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6
덱시부프로펜 100mg에 디이소프로판올아민 54.82mg, Tween 80 60mg,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516, 미국 National-Starch사) 970.08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 72.46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70~19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7
덱시부프로펜 100mg에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052, 미국 National-Starch사) 1084.9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 92.76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70~19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8
덱시부프로펜 100mg에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4098, 미국 National-Starch사) 1084.9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 75.18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40~15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9
덱시부프로펜 100mg에 Tween 80 60mg,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052, 미국 National-Starch사) 1024.9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 87.63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 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80~20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0
덱시부프로펜 100mg에 디이소프로판올아민 54.82mg, Tween 80 60mg, 폴리아크릴레이트(Duro-Tak 87-2052, 미국 National-Starch사) 970.00mg, 액상 가교제(TYZOR AA-75, Dupont사) 82.93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90~21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0℃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1
덱시부프로펜 100mg에 고무계 점착제인 폴리이소부틸렌 900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20~14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5℃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2
덱시부프로펜 100mg에 이소프로필미리스트레이트 50mg 및 고무계 점착제인 폴리이소부틸렌 850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30~15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5℃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3
덱시부프로펜 100mg에 카프릴로카프로일마크로골-8글리세라이드(caprylocaproyl macrogol-8 glyceride ; Labrasol, Gattefosse사) 50mg 및 고무계 점착제인 폴리이소부틸렌850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30~15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5℃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4
덱시부프로펜 100mg에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Brij 52, Lipo chemical 사 ) 50mg 및 고무계 점착제인 폴리이소부틸렌 850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30~15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5℃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5
덱시부프로펜 100mg에 트윈 80 50mg 및 고무계 점착제인 폴리이소부틸렌 850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30~15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5℃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6
덱시부프로펜 100mg에 수첨캐스터오일 50mg 및 고무계 점착제인 폴리이소부틸렌 850mg을 가하여 교반시켜 녹인 저장층을 3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30~15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85℃에서 10분간 건조한 후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17
덱시부프로펜 100mg에 고무계 점착제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200mg, 폴리이소부틸렌 140mg, 지환족포화탄화수소수지인 Arkon P-100(아라제온사) 220mg 및 유동파라핀 340mg을 가한 후 150℃로 가열하여 녹인 저장층을 랩코터(Lab coater, 스위스 Mathis 사)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120~140㎛가 되도록 박리용 필름 위에 캐스팅하고, 필름 위에 코팅된 저장층 위에 지지체를 덮고 롤을 사용하여 압착하여 패치(35㎠)를 제조하였다.
시험 예 1 : 경피투과시험
실시예 7, 9, 10, 11, 12, 14 및 17에서 제조된 경피흡수제제의 약물 흡수를 무모 마우스(Hairless mouse, female, 6주령)의 등을 적출(3× 3㎠)하여 평가하였다. 피부 투과도 시험은 1.77㎠의 확산 영역을 갖는 프란츠타입의 확산 셀(Franz type diffusion cell)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수용실 용액의 부피는 12.5mL이었다. 실시예 7, 9, 10, 11, 12, 14 및 17에서 제조한 패치는 적출한 흰 쥐의 피부에 패치를 맞대어 압착하고, 피부/패치 적층물은 수용실 용액에 피부면을 맞대어 프란츠 셀의 공급실과 수용실 사이를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프란츠 셀의 수용실은 인산염 완충용액(pH 7.4)을 넣고 확산 기구의 온도는 32℃로 유지시켰다. 리셉터의 완충용액은 600rpm의 일정한 속도로 교반시켜 주었으며, 각 시점에서 리셉터에서 0.2mL의 시료를 채취하였고, 싱크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용적의 신선한 인산 완충 식염수를 채워 넣었다. 피부를 통해 투과된 덱시부프로펜 축적량을 HPLC 조건으로 분석하고 도 1에 나타내었다.
HPLC 조작 조건
이동상 : 물: 아세토니트릴 = 40:60(Acetic acid로 pH 3.0 조정)
유량 : 1.0 mL/분
파장 : 254 nm
주입량 : 20 ul
컬럼 : 250mm X 4.6mm C18 5㎛ particles
온도 : 30 ℃
시험 예 2 : 용출시험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4 및 17에서 제조된 경피흡수제제 각각 6매(10㎠/1매)씩 취하여 용출기의 디스크어셈블리 중앙에 양면 점착테이프로 정확하게 부착한다. pH 7.4의 인산염완충용액 500㎖를 용출용기에 넣고, 용출온도 32± 0.5℃, 패들회전속도 50rpm의 조건에서 0, 1, 3, 5, 7, 9, 11시간의 용출시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미국약전 경피제제의 paddle over disk법에 따라 시험 예 1의 HPLC 조건으로 용출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를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7, 9, 10, 11, 12, 14 및 17에 대한 경피투과율을 나타낸 것이며,
도면 2는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 실시 예 1~9 및 10에 대한 pH 7.4에서의 용출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의 고무계 점착제를 사용한 실시 예 11, 12, 14 및 17에 대한 pH 7.4에서의 용출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8)

  1. 덱시부프로펜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경피흡수제
  2. 청구항 제1항에서, 지지체층; 및 활성성분인 덱시부프로펜, 약물방출조절제 및 고분자 점착제를 포함한 저장층으로 구성된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제.
  3.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경피흡수제 1㎠ 당 덱시부프로펜을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0.3 중량% ~ 30 중량%, 점착제 50.0중량%~90.0중량% 및 약물방출조절제 0.1중량%~30중량%를 함유하는 경피흡수제
  4. 청구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서 점착제는 히드록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카르복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관능기가 없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히드록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계 고분자, 카르복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계 고분자 또는 관능기가 없는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계 고분자의 점착제에서 선택된 1종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제.
  5. 청구항 제 4항에서 점착제는 히드록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및 카르복실기가 있는 아크릴레이트-비닐아세테이트계 고분자로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50.0 중량% ~ 90.0 중량%으로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65.0 중량% ~ 8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제.
  6. 청구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서 점착제는 폴리이소부틸렌(PIB), 스티렌-디엔-스티렌 공중합체(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계열 고무계 점착제와 점착부여제를 혼용 조성한 점착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제.
  7. 청구항 6에서 점착층은 32.5 중량% 내지 95.0 중량%의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5.0 중량% 내지 15.0 중량%의 폴리부텐 및 12.5 중량% 내지 37.5 중량%의 수첨로진글리세린에스테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카르복시메틸세룰로오즈나트륨을 혼합하여 제조한 후 사용되는 점착제로서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50.0 중량% ~ 90.0 중량%를 함유하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 중 70.0 중량% ~ 8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 피흡수제.
  8. 청구항 제 2항에서, 약물방출조절제는 지방산 에테르 ,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식물계 오일(피마자유), 트란스큐톨, 트리아세틴, 피롤리돈계 유도체,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 전체 약물 저장층의 중량에 대하여 0.1 ~ 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흡수제.
KR1020090018938A 2009-03-05 2009-03-05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 KR20100100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38A KR20100100194A (ko) 2009-03-05 2009-03-05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38A KR20100100194A (ko) 2009-03-05 2009-03-05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194A true KR20100100194A (ko) 2010-09-15

Family

ID=4300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38A KR20100100194A (ko) 2009-03-05 2009-03-05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01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568A1 (en) * 2012-11-30 2014-06-05 Dong-A St Co.,Ltd Topical gel composition containing dexibuprofen emulsion with enhanced permeability
KR20140098748A (ko) * 2011-12-06 2014-08-08 레킷트 벤키저 헬스케어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을 함유하는 패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748A (ko) * 2011-12-06 2014-08-08 레킷트 벤키저 헬스케어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을 함유하는 패치
WO2014084568A1 (en) * 2012-11-30 2014-06-05 Dong-A St Co.,Ltd Topical gel composition containing dexibuprofen emulsion with enhanced perme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8353B2 (ja) 経皮吸収製剤
JPWO2005115355A1 (ja) 貼付製剤
KR19990062986A (ko) 경피 흡수형 제제
JPWO2013191128A1 (ja) 貼付剤
WO2008050673A1 (fr) Timbre transdermique adhésif
CA2845165C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transdermal absorption of drug and patch preparation
Shi et al. Design and in vitro evaluation of transdermal patches based on ibuprofen-loaded electrospun fiber mats
JPH10218793A (ja) 経皮吸収型消炎鎮痛用テープ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7899A (ja) ビソプロロール経皮投与デバイス
KR20200015929A (ko) 경피 흡수형 제제
CA2407854C (en) Occlusive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with a non-occlusive backing layer
WO2003013611A1 (fr) Preparations a absorption par voie cutanee
KR20100100194A (ko) 덱시부프로펜의 신규 경피흡수제
JP5181320B2 (ja) 皮膚刺激の少ない経皮吸収型製剤
AU2010331355B2 (en) Piroxicam-containing endermic preparation
JP4851671B2 (ja) トラニラスト経皮吸収貼付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37883B2 (ja) 経皮吸収型製剤
JP5114488B2 (ja) メロキシカムの経皮薬物送達システムの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980634B2 (ja) 活性物質モルフィン−6−グルクロニドを含む全身的経皮投与用医薬組成物
JP5564241B2 (ja) フェルビナク含有経皮吸収製剤
US6805878B2 (en)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ACE inhibitors
JP5512910B2 (ja) ツロブテロール含有経皮吸収製剤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貼付剤
JP4237293B2 (ja) 経皮吸収型貼付剤
JP2004224701A (ja) 外用貼付剤
JP6864968B2 (ja) 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