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564A -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564A
KR20100099564A KR1020090018119A KR20090018119A KR20100099564A KR 20100099564 A KR20100099564 A KR 20100099564A KR 1020090018119 A KR1020090018119 A KR 1020090018119A KR 20090018119 A KR20090018119 A KR 20090018119A KR 20100099564 A KR20100099564 A KR 20100099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image
color
average value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9564A/ko
Priority to US12/660,623 priority patent/US20100302398A1/en
Publication of KR2010009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23/81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by dust removal, e.g. from surfaces of the image sensor or processing of the image signal output by the electronic imag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04N23/12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with one senso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에서 먼지의 위치를 파악하여 보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소자에 붙은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상기 감지된 먼지를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18119
먼지 센서, 먼지 위치, 색상 평균값 보정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ust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에서 먼지의 위치를 파악하여 보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에 부착된 먼지 또는 더 나아가 피사체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중간의 먼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영상으로부터 먼지의 위치를 파악한 후 보정하여 깨끗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소자에 붙은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상기 감지된 먼지를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촬상소자로 입사되어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감지하는 포토 디텍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하는 먼지 위치 계산부;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하는 평균값 계산부; 및 상기 먼지 위치의 색상값을 상기 계산된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먼지 위치를 상기 보정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실시 예에 따 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영상 중 동일한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상기 노이즈를 먼지로 인식하고 상기 먼지의 색상값을 상기 먼지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상은 썸네일 영상, 연속 촬영된 영상 또는 임의의 선택된 영상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재생 영상들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결과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된 경우, 이를 먼지로 인식하고 인식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하는 먼지 위치 계산부;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하는 평균값 계산부; 및 상기 먼지 위치의 색상값을 상기 계산된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먼지 위치를 상기 보정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먼지 센서에 의해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소자에 붙은 먼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감지된 먼지의 색상값을 상기 먼지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촬상소자로 입사되어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수신하여 먼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감지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b-2)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b-3) 상기 먼지 위치의 색상값을 상기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b-4) 상기 보정 이후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b-5) 상기 먼지가 사라지지 않은 경우 상기 (b-1)단계 내지 (b-3)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b-6) 상기 보정 이후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진 경우,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먼지 위치 및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가 다른 경우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영상 중 동일한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상기 노이즈를 먼지로 인식하는 단계; 및 (b) 상기 먼지의 색상값을 상기 먼지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재생 영상은 썸네일 영상, 연속 촬영된 영상 또는 임의의 선택된 영상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재생 영상들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상기 판단결과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된 경우, 이를 먼지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인식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b-2)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b-3) 상기 먼지 위치의 색상값을 상기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b-4) 상기 보정 이후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b-5) 상기 먼지가 사라지지 않은 경우 상기 (b-1)단계 내지 (b-3)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b-6) 상기 보정 이후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진 경우,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먼지 위치 및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가 다른 경우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으로부터 먼지의 위치를 파악하고 보정함으로써 깨끗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특히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일종으로서 디지털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이미지 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 예들 및 그 변형 예들에서도 마찬가 지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 처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촬영 모드일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CPU(100)에 인가됨에 따라 CPU(100)는 그 신호를 파악하여 렌즈 구동부(11), 조리개 구동부(21) 및 촬상소자 제어부(31)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0)의 위치, 조리개(20)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30)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촬상소자(30)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생성하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촬상소자(3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30)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30)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60)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60)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6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변경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 위치 계산부(51), 색상 평균값 계산부(52), 보정부(53) 및 메모리(54)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비교부(55), 먼지 위치 계산부(56), 색상 평균값 계산부(57), 보정부(58) 및 메모리(59)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성요소들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의 구성요소가 아닌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81)는 디스플레이부(8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8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메모리(6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71)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70)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71)는 저장매체(70)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6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81)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8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70)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 중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및 그 주변의 상세 블록도로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 위치 계산부(51), 색상 평균값 계산부(52), 보정부(53) 및 메모리(54)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먼지 감지를 위해 촬상소자(30) 내부에 먼지센서(31)가 구비되어 있다.
먼지센서(31)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소자(30)에 붙은 먼지를 감지한다. 먼지센서(31)는 촬상소자(30)로 입사되어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감지하는 포토 디텍터(미도시)일 수 있다. 먼지센서(31)는 광송신부(미도시) 및 광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광송신부는 촬상부(30)에 존재하는 먼지를 향하여 광을 발사하고, 광수신부는 먼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센서(31)에 의해 감지된 먼지를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며, 이를 위해 먼지 위치 계산부(51), 색상 평균값 계산부(52) 및 보정부(53)를 포함한다.
먼지 위치 계산부(51)는 먼지센서(31)에 의해 감지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한다. 먼지 위치 계산부(51)는 영상을 소정 개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해당 블록의 신호 레벨(예를 들어 평균 색상값)이 주변 블록들의 신호 레벨 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해당 블록에 먼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그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먼지 위치 계산부(51)는 블록이 아닌 픽셀에 대하여 먼지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는데, 임의의 한 픽셀의 신호 레벨이 주변 픽셀들의 신호 레벨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해당 픽셀에 먼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그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색상 평균값 계산부(52)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 이외의 주변 블록들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한다. 도 3에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301)이 도시되어 있고, 색상 평균값 계산부(52)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301)이외의 블록들(302-309)에 대한 색상 평균값을 계산한다.
보정부(53)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의 색상값을 색상 평균값 계산부(52)에서 계산한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한다. 신호 레벨이 현저히 낮은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을 주변 블록의 평균 색상값으로 보정하여 깨끗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메모리(54)는 먼지 위치 계산부(51)가 계산한 먼지 위치를 저장하여 영상 촬영 시에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위치 계산부(51)는 메모리(54)에 저장된 먼지 위치와 새롭게 계산한 먼지 위치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 메모리(54)에 저장된 먼지 위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 중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5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와 비교 시에, 제1 실시 예는 먼지 센서에 의해 먼지를 감지하지만, 제2 실시 예에서는 먼지센서 없이 동작한다.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영상 중 동일한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노이즈를 먼지로 인식하고 먼지의 색상값을 먼지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영상 비교부(55), 먼지 위치 계산부(56), 색상 평균값 계산부(57), 보정부(58) 및 메모리(59)를 포함한다.
영상 비교부(55)는 재생 영상들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재생 영상들은 썸네일 영상, 연속 촬영된 영상 또는 임의의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영상들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일 예로 썸네일 영상의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먼지 위치 계산부(56)는 재생 영상의 비교 결과,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 된 경우, 이를 먼지로 인식하고 인식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한다. 먼지 위치 계산부(56)는 영상을 소정 개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해당 블록의 신호 레벨(예를 들어 평균 색상값)이 주변 블록들의 신호 레벨 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해당 블록에 먼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그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먼지 위치 계산부(56)는 블록이 아닌 픽셀에 대하여 먼지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는데, 임의의 한 픽셀의 신호 레벨이 주변 픽셀들의 신호 레벨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해당 픽셀에 먼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그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색상 평균값 계산부(57)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 이외의 주변 블록들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한다. 색상 평균값 계산은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보정부(58)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의 색상값을 색상 평균값 계산부(57)에서 계산한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한다. 신호 레벨이 현저히 낮은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을 주변 블록의 평균 색상값으로 보정하여 깨끗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메모리(59)는 먼지 위치 계산부(56)가 계산한 먼지 위치를 저장하여 영상 촬영 시에 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위치 계산부(56)는 메모리(59)에 저장된 먼지 위치와 새롭게 계산한 먼지 위치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 메모리(54)에 저장된 먼지 위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보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기기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 호 처리부(5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디스플레이부(80)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600단계).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센서에 의해 먼지가 감지되었는지 판단한다(610단계). 먼지센서(31)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소자(30)에 붙은 먼지를 감지하는데, 촬상소자(30)로 입사되어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감지하여 먼지를 감지한다. 먼지센서(31)가 감지한 광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이 광 신호를 수신하여 먼지를 감지한다.
먼지센서(31)에 의해 먼지가 검출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의 위치를 계산한다(620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영상을 소정 개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해당 블록의 신호 레벨(예를 들어 평균 색상값)이 주변 블록들의 신호 레벨 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해당 블록에 먼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그 위치를 계산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임의의 한 픽셀의 신호 레벨이 주변 픽셀들의 신호 레벨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해당 픽셀에 먼지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그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먼지의 위치가 계산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 이외의 주변 블록들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한다(630단계). 도 3에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301)이 도시되어 있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 록(301)이외의 블록들(302-309)에 대한 색상 평균값을 계산한다.
색상 평균값 계산이 완료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의 색상값을 계산된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한다(640단계). 신호 레벨이 현저히 낮은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을 주변 블록의 평균 색상값으로 보정하여 깨끗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먼지 보정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졌는지 판단한다(650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 블록의 신호 레벨을 측정하여 먼지가 사라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먼지가 사라지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620 단계 내지 64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먼지가 사라진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사용자의 셔터 버튼 입력 수신으로 영상 촬영을 수행하고(660단계), 촬영된 영상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하고, 먼지의 위치는 내부에 저장한다(670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부에 저장된 먼지 블록 위치는 영상 촬영 시에 항상 적용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내부에 저장된 먼지 위치와 새롭게 계산한 먼지 위치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 저장된 먼지 위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 전원이 인가되고, 사용자로부터 영상 재생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디스플레이부(80)에 복수의 영상을 재생한다(700단계). 본 발명에서 재생 영상들은 썸네일 영상, 연속 촬영된 영상 또는 임의의 선 택된 두 개 이상의 영상들일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일 예로 썸네일 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영상이 재생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각각의 영상을 비교하고(710단계), 각 영상의 동일한 부분에 노이즈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720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영상을 소정 개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해당 블록의 신호 레벨(예를 들어 평균 색상값)이 주변 블록들의 신호 레벨 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해당 블록에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각 영상의 동일한 부분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이를 먼지로 인식한다(730단계).
이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의 위치를 계산한다(740단계). 먼지 인식을 위해 나눠진 블록을 이용하여 먼지로 판단된 블록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먼지의 위치가 계산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 이외의 주변 블록들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한다(750단계). 색상 평균값 계산은 도 3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색상 평균값 계산이 완료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의 색상값을 계산된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한다(760단계). 신호 레벨이 현저히 낮은 먼지가 존재하는 블록을 주변 블록의 평균 색상값으로 보정하여 깨끗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먼지 보정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재생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졌는 지 판단한다(770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먼지 블록의 신호 레벨을 측정하여 먼지가 사라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먼지가 사라지지 않은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740 단계 내지 76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먼지가 사라진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보정된 영상을 저장매체(70)에 저장하고, 먼지의 위치는 내부에 저장한다(780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50) 내부에 저장된 먼지 블록 위치는 영상 촬영 시에 항상 적용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0)는 내부에 저장된 먼지 위치와 새롭게 계산한 먼지 위치를 비교하여 다른 경우 저장된 먼지 위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 중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 및 그 주변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에 따라 먼지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중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5은 도 4에 따라 먼지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Claims (19)

  1.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소자에 붙은 먼지를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상기 감지된 먼지를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먼지 보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촬상소자로 입사되어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감지하는 포토 디텍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먼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하는 먼지 위치 계산부;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하는 평균값 계산부; 및
    상기 먼지 위치의 색상값을 상기 계산된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먼지 위치를 상기 보정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장치.
  5. 디지털 영상 처리기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영상 중 동일한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상기 노이즈를 먼지로 인식하고 상기 먼지의 색상값을 상기 먼지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먼지 보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상은
    썸네일 영상, 연속 촬영된 영상 또는 임의의 선택된 영상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재생 영상들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결과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된 경우, 이를 먼지로 인식하고 인식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하는 먼지 위치 계산부;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하는 평균값 계산부; 및
    상기 먼지 위치의 색상값을 상기 계산된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먼지 위치를 상기 보정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장치.
  9.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먼지 센서에 의해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소자에 붙은 먼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감지된 먼지의 색상값을 상기 먼지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먼지 보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촬상소자로 입사되어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수신하여 먼지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감지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b-2)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b-3) 상기 먼지 위치의 색상값을 상기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b-4) 상기 보정 이후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b-5) 상기 먼지가 사라지지 않은 경우 상기 (b-1)단계 내지 (b-3)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b-6) 상기 보정 이후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진 경우,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먼지 위치 및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가 다른 경우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14. 디지털 영상 처리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영상 중 동일한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 상기 노이즈를 먼지로 인식하는 단계; 및
    (b) 상기 먼지의 색상값을 상기 먼지 주변의 색상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류 보정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재생 영상은
    썸네일 영상, 연속 촬영된 영상 또는 임의의 선택된 영상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재생 영상들을 비교하여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2) 상기 판단결과 동일 위치에 노이즈가 발생된 경우, 이를 먼지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인식된 먼지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b-2) 상기 먼지 위치 주변의 색상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b-3) 상기 먼지 위치의 색상값을 상기 색상 평균값으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b-4) 상기 보정 이후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b-5) 상기 먼지가 사라지지 않은 경우 상기 (b-1)단계 내지 (b-3)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b-6) 상기 보정 이후 영상으로부터 먼지가 사라진 경우,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먼지 위치 및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가 다른 경우 상기 계산된 먼지 위치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보정 방법.
KR1020090018119A 2009-03-03 2009-03-03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99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119A KR20100099564A (ko) 2009-03-03 2009-03-03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
US12/660,623 US20100302398A1 (en) 2009-03-03 2010-03-02 Digital camera dust error photographed image cor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119A KR20100099564A (ko) 2009-03-03 2009-03-03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564A true KR20100099564A (ko) 2010-09-13

Family

ID=4300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119A KR20100099564A (ko) 2009-03-03 2009-03-03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302398A1 (ko)
KR (1) KR201000995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9861B (zh) * 2012-03-26 2015-06-21 Wistron Corp 相機檢測方法與相機
EP3149656B1 (en) 2014-05-27 2020-01-15 Robert Bosch GmbH Detection, identification, and mitigation of lens contamination for vehicle mounted camera systems
US9710720B2 (en) * 2015-04-29 2017-07-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image analysis for automated asset identification
CN109581793B (zh) * 2018-12-06 2021-08-06 深圳市中科创激光技术有限公司 白平衡的校正方法以及投影显示装置
DE102021212020A1 (de) * 2021-10-26 2023-04-27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Verschmutzung an einer Linseneinheit einer Kamera einer landwirtschaftlichen Arbeits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0554B2 (en) * 2002-04-11 2005-09-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mera lens contamination detection and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US7295233B2 (en) * 2003-09-30 2007-11-13 Fotonation Vision Limited Detection and removal of blemishes in digital images utilizing original images of defocused scenes
JP4848742B2 (ja) * 2005-11-16 2011-12-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ノイズ検出方法
JP4956009B2 (ja) * 2006-02-02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02398A1 (en)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73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暗電流補正方法
JP2006005520A (ja) 撮像装置
JP2015127668A (ja) 計測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8446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ace image in digital image processor
KR20100099564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먼지 보정 장치 및 방법
US10129449B2 (en) Flash band, determination device for detecting flash b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torage medium,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WO2014125837A1 (ja) 撮像装置の異物情報検出装置および異物情報検出方法
JP6552325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092452A1 (en) Image gen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21097347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429512B1 (ko) 밴딩 노이즈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10125077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5371135B2 (ja) 輝度補正装置、輝度補正システムおよび輝度補正方法
US10594912B2 (en) Flash band determination device for detecting flash b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torage medium,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20100118155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467873B1 (ko)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7092544A (ja)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44152B2 (ja) 電子機器
JP5030883B2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765257B1 (ko) 카메라 모듈의 편차 보상 방법 및 장치
JP6272006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99010A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298639B1 (ko)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60307B1 (ko) 불량화소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201719544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