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639B1 -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639B1
KR101298639B1 KR1020060075306A KR20060075306A KR101298639B1 KR 101298639 B1 KR101298639 B1 KR 101298639B1 KR 1020060075306 A KR1020060075306 A KR 1020060075306A KR 20060075306 A KR20060075306 A KR 20060075306A KR 101298639 B1 KR101298639 B1 KR 101298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ubject
release button
amount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594A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6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 촬영 시에 먼지량을 검출하여 알려주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해 입력되는 셔터-릴리즈 버튼,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에 의해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의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많은 경우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having function of dust warning}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플래시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해 발생되는 고스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 촬영 시에 먼지량을 검출하여 알려주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가 점점 슬림 타입으로 변해감에 따라 플래시 위치와 렌즈의 위치가 가까워지고 있다. 플래시를 사용하여 촬영한 경우, 피사체 보다 앞에 있는 먼지에 의해 플래시 광이 반사되어 렌즈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에 결상된다. 이 경우, 촬영한 피사체를 재생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에 의한 고스트가 발생되어 바람직한 영상 획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와 렌즈 사이에 먼지양을 검출할 수 있는 먼지량 검출부를 구비하고, 피사체 촬영 시에 먼지 양을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먼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촬영 모드, 촬영 방법 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해 입력되는 셔터-릴리즈 버튼;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에 의해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의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많은 경우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a)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해 입력되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많은 경우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a)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해 입력되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파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계; (c) 먼지량을 검출 모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많은 경우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셔터-릴리즈 버튼(100), 플래시(105), 렌즈부(110), 조리개(115), CCD(charge coupled device)(120), ADC(analog digital converter)(125), 영상 처리부(130), 먼지량 검출부(135),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45)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00)은 조리개(120)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00)은 단순한 광량조절의 기능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 표현도구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스포츠사진은 물론 예술작품사진에서도 빠른 셔터와 느린 셔터의 이미지 재현은 색다른 분위기를 창출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00)은 2단계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셔터-릴리즈 버튼(100)을 반쯤 누른 것을 반셔터(제1 셔터-릴리즈 버튼)라고 하고, 이 후 셔터-릴리즈 버튼(100)을 완전히 누른 것을 완전셔터(제2 셔터-릴리즈 버튼)이라고 한다.
반셔터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이 입력되면, 파사체의 거리 및 밝기를 측정하고, 특히 본원발명의 특징인 먼지량 검출을 수행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후 완전셔터로서의 제2 셔터 릴리즈 버튼(100)이 입력되면, 거리, 밝기 및 먼지량이 검출된 피사체가 촬영되어 저장된다.
플래시(105)는 피사체 촬영 시에 빛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빛을 보정해 주기 위해 사용되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플래시 발광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부(110)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115)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115)의 개폐 정도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CCD(120)는 렌즈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110)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 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120)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120)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125)는 CCD(12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디지털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13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 다음에 설명하도록 한다.
CCD(120) 및 CFA 필터에 사용되는 소자는 온도의 변화에 민감하여 그 변화되는 온도에 따라 암전류를 발생하며, 이는 영상신호에 원하지 않는 블랙레벨(Black level)이 포함된다. 따라서, 영상 처리부(130)는 이와 같이 암전류에 의해 발생된 블랙레벨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또한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고 한다. 영상 처리부(130)의 감마 보정은 감마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신호의 입력 휘도레벨을 8비트 휘도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30)의 CFA 보간은 R 또는 B 채널값만 존재하는 화소들에서 G 채널을 먼저 복원한 후, B 채널, R 채널 순서로 또는 R 채널, B 채널 순서로 비어있는 값들을 채워 R, G, B 세 개의 채널을 복원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145)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130)의 모든 동작은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먼지량 검출부(135)는 피사체와 렌즈부(110)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파사체의 거리 및 피사체의 밝기 측정을 제어하고, 특히, 먼지량 검출부(135)의 동작을 제어한다. 먼지량 검출부(135)는 먼지센서로 구성되어 일정량의 광선을 출력하고, 수광된 광선양에 따 라 먼지량을 검출한다. 또한 먼지량 검출부(135)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 송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송신부는 피사체와 렌즈부(110) 사이에 존재하는 먼지를 향하여 광을 발사하고, 광 수신부는 발사된 광이 먼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먼지량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먼지량과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을 비교한다. 제어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은 먼지 검출부(135)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즉, 먼지 검출부(135)가 센서로 구성된 경우 센서의 종류 및 감도에 따라 기준값이 다르게 설정된다.
제어부(150)의 비교 결과, 먼지량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제어부(150)는 이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먼지에 의한 고스트가 발생하여 원할한 영상을 재생할 수 없다는 내용을 알린다. 상기 내용을 알리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145)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경고하는 문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음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이 경고되면 사용자는 제2 셔터-릴리즈 버튼(100)을 입력하여 그대로 촬영하거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 입력을 해제한 후 촬영모드 변경 또는 촬영방법을 변경하여, 먼지에 의한 고스트가 없는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먼저 제어부(150)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300단계).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피사체와 렌즈부(115)의 거리를 측정한다(305단계). 피사체의 거리측정을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는 초음파를 피사체에 발사하여 이것이 되돌아 오는 시간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하거나, 비교적 거리가 멀지 않은 경우 적외선을 발사해서 거리를 측정하거나, 피사체의 휘도 차이가 존재하는 부분에 그 휘도 차이를 극명하게 하게 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한다(310단계). 피차세의 밝기 측정을 위해, 피사체에 반사되어 카메라로 들어온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TTL 반사식 측광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촬영 시에는 촬영 될 화면 모든 부분의 밝기를 측정 후 특정한 계산을 통해 노출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계산 방식에 따른 측광 방식은 화면 전체 밝기의 평균을 내서 노출을 결정하는 평균측광, 중앙 부분의 밝기를 주변부 보다 더 많이 고려해서 노출을 결정하는 중앙중점측광, 촬영 할 부분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서 각 부분이 모두 적절한 밝기로 표현되도록 노출을 결정하는 매트릭스 측광(분할측광)이 있다.
피사체의 거리 측정 및 밝기 측정이 완료된 후,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먼지량 검출부(135)는 피사체와 렌즈부(110)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한다(315단계). 먼지량 검출부(13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 송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 송신부는 피사체와 렌즈부(110) 사이에 존재하는 먼지를 향하여 광을 발사하고, 광 수신부는 발사된 광이 먼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제어부(150) 로 전송함으로써 먼지량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먼지량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먼지량과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어부(150)의 비교 결과, 먼지량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큰 경우(320단계), 제어부(150)는 이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먼지에 의한 고스트가 발생하여 원할한 영상을 재생할 수 없다는 내용을 알린다(325단계). 제어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은 먼지 검출부(135)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즉, 먼지 검출부(135)가 센서로 구성된 경우 센서의 종류 및 감도에 따라 기준값이 다르게 설정된다. 고스트 발생을 알리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부(145)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경고하는 문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경고하는 경고음 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 입력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한다(330단계). 제어부(150)의 비교 결과, 먼지량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도 335단계로 점프한다.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 입력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제2 셔터 릴리즈 버튼(100)을 입력하고(335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340단계).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이 경고되면 사용자는 제2 셔터-릴리즈 버튼(100)을 입력하여 그대로 촬영하거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 입력을 해제한 후 촬영모드 변경 또는 촬영방법을 변경하여, 먼지에 의한 고스트가 없는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도 3이 자동으로 먼지량을 검출하는 반면, 도 4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먼지량 검출모드를 선택하여 먼지량을 검출하는 차이점이 있다. 도 4에 대한 설명 중 도 3과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400단계).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피사체와 렌즈부(115)의 거리를 측정한다(405단계).
이후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한다(410단계).
이후,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먼지량 검출모드가 선택이 되었는지 판단한다(415단계).
먼지량 검출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먼지량 검출부(135)는 피사체와 렌즈부(110)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한다(420단계).
제어부(150)는 먼지량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먼지량과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어부(150)의 비교 결과, 먼지량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큰 경우(425단계), 제어부(150)는 이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먼지에 의한 고스트가 발생하여 원할한 영상을 재생할 수 없다는 내용을 알린다(430단계).
이후 제어부(150)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 입력이 해제되었는지 판단한다(435단계). 제어부(150)의 비교 결과, 먼지량 검출부(135)에서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에도 435단계로 점프한다.
제어부(150)의 판단 결과,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 입력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제2 셔터 릴리즈 버튼(100)을 입력하고(440단계), 피사체를 촬영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445단계).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이 경고되면 사용자는 제2 셔터-릴리즈 버튼(100)을 입력하여 그대로 촬영하거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00) 입력을 해제한 후 촬영모드 변경 또는 촬영방법을 변경하여, 먼지에 의한 고스트가 없는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와 렌즈 사이에 먼지양을 검출할 수 있는 먼지량 검출부를 구비하고, 피사체 촬영 시에 먼지 양을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먼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촬영 모드, 촬영 방법 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사체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저장 및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해 입력되는 셔터-릴리즈 버튼;
    상기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에 의해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의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많은 경우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릴리즈 버튼은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 및 밝기 측정을 위해 입력되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 및
    상기 거리 및 밝기가 측정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입력되는 제2 셔터-릴리즈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량 검출부의 동작은 상기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량 검출부는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에 존재하는 먼지를 향하여 광을 발사하는 광송신부; 및
    상기 발사된 광이 상기 먼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a)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해 입력되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많은 경우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제2 셔터-릴리즈 버튼을 입력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상태를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 및 밝기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에 존재하는 먼지를 향하여 광을 발사하는 단계; 및
    (b-2) 상기 발사된 광이 상기 먼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8.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a)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해 입력되는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피사체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계;
    (c) 먼지량을 검출 모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출된 먼지량이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보다 많은 경우 촬영 시에 먼지에 의한 고스트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제2 셔터-릴리즈 버튼을 입력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제1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상태를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먼지량을 검출 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2) 상기 피사체와 상기 렌즈 사이에 존재하는 먼지를 향하여 광을 발사하는 단계; 및
    (c-3) 상기 발사된 광이 상기 먼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20060075306A 2006-08-09 2006-08-09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98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306A KR101298639B1 (ko) 2006-08-09 2006-08-09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306A KR101298639B1 (ko) 2006-08-09 2006-08-09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94A KR20080013594A (ko) 2008-02-13
KR101298639B1 true KR101298639B1 (ko) 2013-08-21

Family

ID=3934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306A KR101298639B1 (ko) 2006-08-09 2006-08-09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344B1 (ko) * 2018-06-30 2020-12-11 송태윤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105B1 (ko) 1997-12-17 2000-04-15 윤종용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JP2005341381A (ja) 2004-05-28 2005-12-08 Pentax Corp デジタルカメラ
KR20060000125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존경보장치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및, 이의 오존경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105B1 (ko) 1997-12-17 2000-04-15 윤종용 카메라에서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JP2005341381A (ja) 2004-05-28 2005-12-08 Pentax Corp デジタルカメラ
KR20060000125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존경보장치를 구비한 영상촬영장치 및, 이의 오존경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594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097B1 (ko) 이미지 캡처 방법 및 이미지 캡처 장치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US20060018653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512918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US7764321B2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US8237811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2045202B1 (ko) 영상 처리장치, 영상 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매체
JP200701997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101522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US106505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710830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7135140A (ja) 撮像装置
US20080285816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histogram and method thereof
US20070206938A1 (en)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93121A1 (en) Imaging apparatus
US20060055991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image capture method
JP4752381B2 (ja) 撮像装置
JP2007165947A (ja) 撮像装置,被写体像の逆光補正装置,対象画像検出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101298639B1 (ko) 먼지경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015686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276442A (ja) マルチバンド画像撮像装置
JP2006333052A (ja) 露出調整装置
KR1012986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1589493B1 (ko) 플래시를 이용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20100018128A (ko)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