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403A - 배수 장치 및 욕실 - Google Patents

배수 장치 및 욕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403A
KR20100099403A KR1020090017886A KR20090017886A KR20100099403A KR 20100099403 A KR20100099403 A KR 20100099403A KR 1020090017886 A KR1020090017886 A KR 1020090017886A KR 20090017886 A KR20090017886 A KR 20090017886A KR 20100099403 A KR20100099403 A KR 20100099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inlet
tub
drain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하루 고우다
칸 와다
신지 츠루오카
나오야 호리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riority to KR102009001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9403A/ko
Publication of KR2010009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캐쳐가 포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폐기 가능하게 하고, 또한 배수를 일맞게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배수 장치는, 배수 트랩(15)과 욕조 배수 파이프(17a)를 구비하고 있다. 배수 트랩(15)의 하우징(19)에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와, 봉수부(19c)와, 배수구(19d)와, 욕조 배수 유입구(19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9) 내에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의 하방에 위치하고, 내주면이 망부(31a)와 개략 동심의 원통면 등을 이루고, 바닥이 열린 유입실(R1)과, 유입실(R1)과 봉수(W)를 경유하여 연통하고, 배수구(19d)에 연통하는 유출실(R2)과, 욕조 배수 유입구(19e)로부터 유입하는 욕조 배수를 욕조 배수 유출구(19f)에 의해 유입실(R1)에 접선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안내로(19g)가 형성되어 있다. 욕조 배수 파이프(17)의 일단은 욕조 재치면(3)보다 상방까지 늘어나 있다.

Description

배수 장치 및 욕실{DRAINING APPARATUS AND BATHROOM}
본 발명은, 배수 장치와, 이 배수 장치를 구비한 욕실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2008-2217호 공보에는, 세면장 바닥면의 하방에 설치되는 종래의 배수 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세면장 바닥면은 세면장 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수 트랩은, 하우징과 캐쳐를 구비하고 있다.
배수 트랩의 하우징에는, 세면장 바닥면에 수평하게 열리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세면장 바닥면을 흐르는 세면장 배수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에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의 하방에 봉수(封水)를 확보하는 봉수부와, 봉수부로부터 넘치는 배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는, 원통형상의 방취(防臭) 파이프가 세면장 배수 유입구의 하방을 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방취 파이프의 바닥은 봉수 내로 열리어 있고, 방취 파이프 안은 봉수를 경유하여 배수구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욕조 배수 파이프가 접속되는 욕조 배수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욕조 내의 욕조 배수는 욕조 배수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에는, 욕조 배수 유입구와 연통하는 안내로(案內路)가 형성되고, 안내로 는 욕조 배수를 욕조 배수 유출구에 의해 봉수부 내로 연통시키고 있다.
배수 트랩의 캐쳐는 하우징의 세면장 배수 유입구에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캐쳐는,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망부(網部)를 갖고 있다. 이 망부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배수를 통과시키면서 이물(異物)을 내측에 포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망부는, 바닥은 봉수(封水)로부터 이반되어 있다.
세면장 바닥면의 옆에는 욕조 팬이 마련되어 있고, 욕조 팬상에 욕조가 마련되어 있다. 세면장 팬 및 욕조 팬의 하방에 골조체바닥(軀體床)이 존재하고 있다. 욕조의 하단에는 욕조 배수를 흘리기 위한 욕조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다.
욕조 배수 파이프는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제 1 파이프는, 일단이 욕조의 욕조 배수구에 접속되고, 타단이 하방을 향하고 있다. 제 2 파이프는, 일단이 욕조 팬에 고정되고 제 1 파이프의 타단을 받도록 상방을 향하고, 타단이 배수 트랩의 욕조 배수 유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종래의 배수 트랩은 욕조 배수 파이프와 동시에 배수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 배수 장치에서는, 배수 트랩에서, 세면장 바닥면을 흐르는 세면장 배수가 캐쳐의 망부를 경유하여 봉수에 이르기 때문에, 세면장 배수가 포함하는 모발 등의 이물을 망부의 내측에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욕조로부터 배출되는 욕조 배수는, 욕조 배수 파이프의 제 1 파이프 및 제 2 파이프를 경유하여 욕조 배수 유입구로부터 배수 트랩 내로 안내되고, 안 내로를 경유하여 욕조 배수 유출구로부터 봉수부 내의 봉수 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욕조 배수는 배수구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문에, 욕조 배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개의 배수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배수 장치는, 욕조 배수를 단지 배출하고 있는데 지나지 않고, 캐쳐의 망부에 이물이 얽히기 쉽고, 이물을 폐기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캐쳐가 포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폐기 가능하게 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수 장치는, 세면장 바닥면의 하방에 설치된 배수 트랩과, 욕조 재치면에 재치된 욕조의 욕조 배수구와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해당 배수 트랩에 접속된 욕조 배수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배수 장치로서,
상기 배수 트랩은, 설치 상태에서, 상기 세면장 바닥면에 수평하면서 원형으로 열려서 세면장 배수가 유입하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와, 해당 세면장 배수 유입구의 하방에 봉수를 확보하는 봉수부와, 해당 봉수부로부터 넘치는 배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구와, 상기 욕조 배수 파이프가 접속되어 욕조 배수가 유입하는 욕조 배수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세면장 배수 유입구에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배수를 통과시키면서 이물을 내측에 포착하고, 바닥이 상기 봉수로부터 이반되는 망부를 갖는 캐쳐를 구비하고,
해당 하우징 내에는, 해당 세면장 배수 유입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유입실과, 해당 유입실과 상기 봉수를 경유하여 연통하고, 상기 배수구에 연통하는 유출실과, 해당 욕조 배수 유입구로부터 유입하는 해당 욕조 배수를 욕조 배수 유출구에 의해 해당 유입실에 접선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안내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 장치에서는, 배수 트랩에 있어서, 세면장 바닥면을 흐르는 세면장 배수가 캐쳐의 망부를 경유하여 봉수에 이르기 때문에, 세면장 배수가 포함하는 모발 등의 이물을 망부의 내측에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배수 장치에서는, 욕조로부터 배출되는 욕조 배수는, 욕조 배수 파이프를 경유하여 욕조 배수 유입구로부터 배수 트랩 내로 안내되고, 안내로, 유입실 및 유출실을 경유하여 배수구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문에, 욕조 배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개의 배수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특히 이 배수 장치에서는, 안내로를 경유한 욕조 배수가 욕조 배수 유출구로부터 유입실에 접선 방향으로 토출되고, 유입실 내로 토출된 욕조 배수는 유입실 내에서 와류를 생기게 한다. 여기서, 이 유입실은 세면장 배수 유입구의 하방에 위치하고, 세면장 배수 유입구에는 캐쳐가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캐쳐의 망부의 바닥은 봉수로부터 이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입실 내의 와류는 캐쳐의 망부 내의 이물을 중심으로 모은다. 또한, 유입실 내의 와류는 캐쳐의 망부나 유입실의 내주면(內周面)으로부터 피지(皮脂) 등에 기인하는 미끈거리는 것을 헹구어 흘린다. 이렇게 하여, 이 배수 장치는, 캐쳐의 망부에게 이물이 얽히기 어렵고, 이물을 폐기하기 쉽다. 또한, 캐쳐는, 이물이 모아져 있기 때문에, 배수를 일맞게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수 장치는, 캐쳐가 포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폐기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입실의 내주면은, 망부와 개략 동심(同心)의 원통면이거나,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면이거나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실 내로 토출된 욕조 배수는 내주면에 안내되어 보다 양호한 와류를 생기게 한다. 유입실의 내주면이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면인 경우에는, 와류도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는 원추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같은 형상인 캐쳐의 망부 및 유입실의 내주면에 효과적으로 와류가 작용하고, 상기 작용이 효과적으로 생긴다.
욕조 배수 유출구는 유입실의 내주면에 따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실의 내주면이 원통면이면, 상하로 늘어나는 세로로 긴 모양이다. 유입실의 내주면이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면이면, 원추면의 모선(母線)과 같게 경사한 세로로 긴 모양이다. 이 경우, 욕조 배수가 세력을 늘려서 유입실에 유입하고, 유입실 내에서 발생하는 와류가 안정된다.
세면장 배수 유입구는, 세면장 바닥면에 요설(凹設)된 배수통으로 열릴 수 있다. 또한, 욕조 배수 파이프의 일단은 세면장 배수 유입구보다 상방일 수 있다. 이 경우, 욕조 배수가 유입실 내에서 보다 힘차게 와류가 생기기 때문에, 캐쳐의 망부에 이물이 보다 한층 얽히기 어렵고, 이물을 보다 한층 폐기하기 쉽다 된다. 와류가 세면장 배수 유입구보다 상방까지 생기면, 배수통의 내주면에 부착하여 있는 이물도 캐쳐의 망부의 중심에 모을 수 있음과 함께, 배수통의 내주면에 부착하여 있는 미끈거리는 것도 헹구어 흘릴 수 있다.
하우징에는, 일단이 세면장 배수 유입구보다 상방으로 열리는 흡입구가 되고, 타단이 봉수 내로 열리는 급기구가 된 급기 파이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수 트랩의 하류의 배관내에서 부압(負壓)이 생기고, 배수 트랩 내의 봉수가 하류측으로 유도되는 경우에도, 급기 파이프에 의해 외기를 받아들임으로써 부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봉수의 하류로의 이동을 억제하여 봉수 끊킴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봉수 끊킴에 수반하는 이음(異音)을 억제할 수 있다.
욕조는, 저면과, 이 저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입면(立面)을 갖을 수 있다. 입면에 제 2의 욕조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욕조 배수 파이프의 일단은 제 2의 욕조 배수구와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욕조의 입면의 이측(裏側)까지 손을 넣으면 시공(施工)이 가능하고, 시공할 때에 욕조의 저면의 이측까지 손을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욕조 재치면이 골조체바닥으로 형성되는 재래 공법에 있어서, 제 1의 욕조 배수구가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어도, 제 2의 욕조 배수구로부터 욕조 배수를 욕조 배수 파이프에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욕실은 상기 배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욕실은, 캐쳐가 포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폐기 가능하기 때문에, 쾌적한 입욕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 내지 3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배수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욕실(1a)에 이용되고 있다. 이 욕실(1a)에서는, 골조체바닥으로서의 콘크리트제의 욕조 재치면(3a)상에 지지 부재(4a, 4b)를 통하여 욕조(5)가 재치되어 있다. 욕조(5)는, 저면(5a)과, 저면(5a)으로부터 세워지는 입면(立面)(5b)을 갖고 있다. 저면(5a)에는 욕조 배수를 흘리기 위한 욕조 배수구(5c)가 마련되어 있다. 이 욕조 배수구(5c)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수전(排水栓)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배수전은, 손으로 직접 개폐되는 것이라도 좋고, 다른 개소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라도 좋다.
욕조 재치면(3a)의 옆에는 세면장 바닥면(7a)이 위치하고 있다. 욕조(5)와 세면장 바닥면(7a) 사이에는 콘크리트제의 에이프런(9)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제의 기초(11)에는 배수용 오목부(11a)가 요설되어 있고, 세면장 바닥면(7a)은, 기초(11)의 윗면과, 배수용 오목부(11a)상에 재치된 바닥재(13)에 의해, 욕조 재치면(3a)과 개략 동일 높이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재(13)에는 배수통(13a)이 요설되어 있고, 배수통(13a)의 상단에는 세면장 배수를 통과 가능한 덮개(13b)가 마련되어 있다.
배수용 오목부(11a) 내에 배수 장치가 수납되어 있다. 이 배수 장치는 배수 트랩(15)과 욕조 배수 파이프(17a)로 이루어진다. 배수 트랩(15)은, 세면장 바닥면(7a)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재(13)와 배수 트랩(15) 사이에는 패킹(20)이 마련되어 있다. 욕조 배수 파이프(17a)의 일단은 욕조 재치면(3a)보다 상방까지 늘어나 있고, 욕조 배수 파이프(17a)의 일단은 욕조(5)의 욕조 배수구(5c)에 접속되 고, 욕조 배수 파이프(17a)의 타단은 배수 트랩(15)에 접속되어 있다. 욕조 배수 파이프(17a)는 복수개의 파이프와 복수개의 엘보로 이루어진다.
배수 트랩(15)은, 하우징(19)과, 캐쳐(31)와, 급기 파이프(41)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9)은 복수의 부재에 의해 밀폐된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9)의 상단에는 내부에 수직으로 늘어나는 통부(筒部)(19a)가 형성되고, 통부(19a)의 상단은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로서 개구하고 있다.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통(13a)에 수평하면서 원형으로 열려 있고,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에는 세면장 바닥면(7a)을 흐르는 세면장 배수가 상방으로부터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통부(19a)의 내주면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면을 하고 있다. 또한, 통부(19a)의 내주면을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19a)의 하단은 하우징(19) 내에서 열려 있다. 통부(19a) 내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의 하방에 위치하는 유입실(R1)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9)에는 저면으로부터 세워지는 봉수부(19c)가 형성되어 있다. 봉수부(19c)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의 하방에 봉수(封水)(W)를 확보하고 있다. 하우징(19)에는, 봉수부(19c)로부터 넘치는 배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구(19d)도 형성되어 있다. 통부(19a)는 봉수(W) 내까지 늘어나 있고, 통부(19a)의 외측은 배수구(19d)와 연통하는 유출실(R2)로 되어 있다. 유출실(R2)은 유입실(R1)과 봉수(W) 를 경유하여 연통하고 있다. 또한, 배수구(19d)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수 파이프(21)가 접속되고, 배수 파이프(21)는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배수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9)에는 욕조 배수 파이프(17a)가 접속되어 욕조 배수가 유입하는 욕조 배수 유입구(19e)가 형성되어 있다. 욕조 배수 유입구(19e)는 봉수(W) 내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19)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욕조 배수 유입구(19e)로부터 유입하는 욕조 배수를 욕조 배수 유출구(19f)에 의해 유입실(R1)에 접선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안내로(19g)도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욕조 배수구(5c), 욕조 배수 파이프(17a) 및 욕조 배수 유입구(19e)는 거의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안내로(19g)는, 욕조 배수 유출구(19f)를 향하여, 수평 방향의 길이가 단축되면서,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욕조 배수 유출구(19f)는, 유입실(R1)의 내주면에 따라 봉수(W)보다도 상방까지 상하로 늘어나는 세로로 긴 모양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쳐(31)는, 하우징(19)의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에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캐쳐(31)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배수를 통과시키면서 이물을 내측에 포착하는 망부(31a)와, 상방으로 연장하여 나오는 손잡이(33)를 갖고 있다.
망부(31a)는, 상방에 위치하는 제 1 망부(31b)와, 제 1 망부(31b)와 일체를 이루고 제 1 망부(31b)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 2 망부(31c)로 이루어진다. 제 1 망 부(31b)는, 수직에 가까운 모선을 가지며,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망부(31c)는, 수평에 가까운 모선을 가지며, 역시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망부(31b) 및 제 2 망부(31c)와 통부(19a)의 내주면은 개략 동심(同心)이다. 제 2 망부(31c)의 바닥은 봉수(W)로부터 이반되어 있다.
망부(31a)의 제 1 망부(31b) 및 제 2 망부(31c)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세로 리브(32)를 갖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리브(32)의 외면(32a)은 원통면의 일부로 형성되고, 둘레 방향으로 존재하는 전(全) 세로 리브(32)는 각 외면(32a)이 원통면을 형성하도록 정렬하고 있다. 또한, 각 세로 리브(32)는, 외면(32a)에 대해 둘레 방향의 상류측에서 교차하는 제 1면(32b)과, 외면(32a)에 대해 둘레 방향의 하류측에서 교차하는 제 2면(32c)을 갖고 있다. 전 세로 리브(32)의 각 제 1면(32b)은, 각 외면(32a)에 대해, 각 제 2면이 각 외면(32a)에 대해 이루는 각도보다도 작은 예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또한, 둘레 방향의 상류측이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입실(R1)에 욕조 배수 유출구(19f)로부터 욕조 배수가 토출되고, 유입실(R1) 내에 와류가 생기기 때문에, 와류의 상류측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9)에는 급기 파이프(4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급기 파이프(4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급기 파이프(41)의 상부는 캐쳐(31)의 손잡이(33) 내를 상방으로 늘어나 있다. 손잡이(33)를 사람이 잡음에 의해 캐쳐(31)를 하우징(19)으로부터 벋길 때, 캐쳐(31)는 급기 파이 프(41)의 상부에 안내되게 된다. 급기 파이프(41)의 상단은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보다 상방으로 열리는 흡입구(41a)로 되어 있다. 또한, 급기 파이프(41)의 하단은 봉수(W) 내에 위치하고 있고, 그곳에는 다수의 구멍(41b)이 형성된 캡(41c)이 결합되어 있다. 캡(41c)의 각 구멍(41b)이 급기구(給氣口)이다.
이 배수 장치는, 욕조 재치면(3a)이 골조체바닥으로 형성된 재래 공법에 있어서, 욕조 배수 파이프(17a)의 일단이 그 욕조 재치면(3a)보다 상방까지 늘어나고, 욕조 배수 파이프(17a)의 타단이 배수 트랩(15)에 접속됨에 의해 시공된다.
또한, 이 배수 장치에서는, 배수 트랩(15)에 있어서, 세면장 바닥면(7a)을 흐르는 세면장 배수가 캐쳐(31)의 망부(31a)를 경유하여 봉수(W)에 이르기 때문에, 세면장 배수가 포함하는 모발 등의 이물을 망부(31a)의 내측에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배수 장치에서는, 욕조(5)로부터 배출되는 욕조 배수는, 욕조 배수 파이프(17a)를 경유하여 욕조 배수 유입구(19e)로부터 배수 트랩(15) 내로 안내되고, 안내로(19g), 유입실(R1) 및 유출실(R2)을 경유하여 배수구(19d)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문에, 욕조 배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개의 배수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특히 이 배수 장치에서는, 안내로(19g)를 경유한 욕조 배수가 욕조 배수 유출구(19f)로부터 유입실(R1)에 접선 방향으로 토출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입실(R1)은 내주면이 원통면을 하고 있기 때문에, 유입실(R1) 내로 토출된 욕조 배수는 유입실(R1) 내에서 통부(19a)의 원통면에 안내되어 와류를 생기게 한다. 여기서, 이 유입실(R1)은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의 하방에 위치하고,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에는 캐쳐(31)가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캐쳐(31)의 망부(31a)는 하방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고, 망부(31a)의 바닥은 봉수(W)로부터 이반되어 있다. 유입실(R1)은, 내주면이 망부(31a)와 개략 동심이고, 바닥이 열려 있다. 이 때문에, 유입실(R1) 내의 와류는 캐쳐(31)의 망부(31a) 내의 이물을 중심으로 모은다. 또한, 유입실(R1) 내의 와류는 캐쳐(31)의 망부(31a)나 유입실(R1)의 내주면으로부터 피지 등에 기인하는 미끈거리는 것을 헹구어 흘린다.
이 때, 욕조 배수 유출구(19f)가 상하로 늘어나는 세로로 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욕조 배수가 세력을 늘려서 유입실(R1)에 유입하고, 유입실(R1) 내에서 발생하는 와류가 안정된다. 또한, 제 1 망부(31b)는 모선이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하방에서도 통부(19a)의 내주면으로부터 크게 떨어지는 이이 없고, 내주면에 따라 선회하는 와류가 캐쳐(31) 내로 들어가기가 쉽다. 또한, 유입실(R1) 내의 와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세로 리브(32)의 외면(32a)에 일맞게 안내되고 세력이 약해지지 않는다. 또한, 와류의 물이 각 세로 리브(32)의 제 1면(32b)에 안내되어 일맞게 망부(31a) 내로 유도된다. 그리고, 망부(31a) 내의 와류는, 각 세로 리브(32)의 제 1면(32b)이 큰 저항이 되지 않기 때문에, 역시 세력이 약해지기 어렵다. 이 때문에, 캐쳐(31) 내의 이물은 일맞게 중심에 모아지고, 또한 캐쳐(31)에 부착한 미끈거리는 것은 일맞게 헹구어 흘려진다.
또한,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가 배수통(13a)으로 열리고, 욕조 배수 파이프(17a)의 일단은 세면장 배수 유입구(19b)보다 상방이기 때문에, 욕조 배수가 유 입실(R1) 내에서 보다 힘차게 와류를 생기게 한다. 그리고, 와류가 배수통(13a)까지 생기기 쉬워서, 배수통(13a)의 내주면에 부착하여 있는 이물도 캐쳐(31)의 망부(31a)의 중심에 모을 수 있음과 함께, 배수통(13a)의 내주면에 부착하여 있는 미끈거리는 것도 헹구어 흘릴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 배수 장치는, 캐쳐(31)의 망부(31a)에 이물이 얽히기 어렵고, 이물을 폐기하기 쉽다. 또한, 캐쳐(31)는, 이물이 모아져 있기 때문에, 배수를 일맞게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배수 장치는, 욕조 재치면(3a)이 골조체바닥으로 형성된 재래 공법에 있어서, 캐쳐(31)가 포착한 이물을 용이하게 폐기 가능하게 하고, 또한 배수를 일맞게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이 욕실(1)에 의하면, 쾌적한 입욕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배수 장치는, 급기 파이프(4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배수 트랩(15)의 하류의 배관 내에서 부압이 생겨서, 배수 트랩(15) 내의 봉수(W)가 하류측으로 유도되는 경우에도, 급기 파이프(41)에 의해 외기를 받아들임으로써 부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봉수(W)의 하류로의 이동을 억제하여 봉수 끊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봉수 끊킴에 수반하는 이음(異音)을 억제할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욕실(1b)은, 세면장 바닥면(7b)이 욕조 재치면(3b)보다 높다. 또한, 배수용 오목부(11b)는, 욕조 재치면(3b)보다 낮은 위치까지 요설되어 있지만, 실시예 1보다도 얕게 되어 있다. 배수 트랩(15) 내 의 봉수(W)는 욕조 재치면(3b)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욕조 재치면(3b)상에 지지 부재(4c, 4d)를 통하여 욕조(5)가 재치되어 있다. 욕조(5)는, 저면(5a)에 마련된 욕조 배수구(5c) 외에, 입면(5b)에 마련된 제 2의 욕조 배수구(5d)를 갖고 있다. 욕조 배수구(5d)는 욕조 배수구(5c) 및 세면장 바닥면(7b)보다 높은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이 욕조 배수구(5d)에도 배수전이 마련되어 있다.
욕조 배수구(5c)에는 배수 파이프(22)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파이프(22)는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배수로에 접속되어 있다. 욕조 배수 파이프(17b)의 일단은 욕조 재치면(3b)보다 상방까지 늘어나 있고, 욕조 배수 파이프(17b)의 일단은 욕조(5)의 제 2의 욕조 배수구(5d)에 접속되고, 욕조 배수 파이프(17b)의 타단은 배수 트랩(15)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 배수 장치는, 욕조(5)의 입면(5b)의 이측(裏側)까지 손을 넣으면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할 때에 욕조(5)의 저면(5a)의 이측까지 손을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재래 공법에 있어서, 제 1의 욕조 배수구(5c)가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어도, 제 2의 욕조 배수구(5d)로부터 욕조 배수를 욕조 배수 파이프(17b)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상기 작용 효과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3)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욕실(1c)에서는, 세면장 바닥면(7c)은, 욕조 재치면(3c)보다 높고, 욕조(5)의 저면(5a)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 다. 또한, 배수용 오목부(11c)는, 욕조 재치면(3c)보다 낮은 위치까지 요설되어 있지만, 실시예 1보다도 얕게 되어 있다. 배수 트랩(15) 내의 봉수(W)는 욕조 재치면(3c)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욕조 재치면(3c)상에 지지 부재(4e, 4f)를 통하여 욕조(5)가 재치되어 있다. 욕조(5)는, 저면(5a)에 마련된 욕조 배수구(5c)를 갖고 있다.
욕조 배수구(5c)에는 욕조 배수 파이프(17c)가 접속되어 있다. 욕조 배수 파이프(17c)는 욕조 재치면(3c)보다 상방에서 제 1 파이프(17d) 및 제 2 파이프(17e)로 분기되어 있고, 제 1 파이프(17d)는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배수로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파이프(17e)의 일단은 욕조 재치면(3c)보다 상방까지 늘어나 있고, 제 2 파이프(17e)의 타단은 배수 트랩(15)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 배수 장치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 1 내지 3에 입각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단독주택, 집합주택 등에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배수 장치를 구비한 욕실의 모식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의 배수 장치를 구비한 욕실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 트랩의 종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 트랩의 모식 횡단면도.
도 5는 실시예 1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쳐의 횡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의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쳐의 확대 횡단면도.
도 7은 실시예 2의 배수 장치를 구비한 욕실의 주요부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3의 배수 장치를 구비한 욕실의 주요부 단면도.

Claims (5)

  1. 세면장 바닥면의 하방에 설치되는 배수 트랩과, 욕조 재치면에 재치된 욕조의 욕조 배수구와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해당 배수 트랩에 접속되는 욕조 배수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배수 장치로서,
    상기 배수 트랩은, 설치 상태에서, 상기 세면장 바닥면에 수평하면서 원형으로 열려서 세면장 배수가 유입하는 세면장 배수 유입구와, 해당 세면장 배수 유입구의 하방에 봉수를 확보하는 봉수부와, 해당 봉수부로부터 넘치는 배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구와, 상기 욕조 배수 파이프가 접속되어 욕조 배수가 유입하는 욕조 배수 유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세면장 배수 유입구에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배수를 통과시키면서 이물을 내측에 포착하고, 바닥이 상기 봉수로부터 이반되는 망부를 갖는 캐쳐를 구비하고,
    해당 하우징 내에는, 해당 세면장 배수 유입구의 하방에 위치하는 유입실과, 해당 유입실과 상기 봉수를 경유하여 연통하고, 상기 배수구에 연통하는 유출실과, 해당 욕조 배수 유입구로부터 유입하는 해당 욕조 배수를 욕조 배수 유출구에 의해 해당 유입실에 접선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안내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장 배수 유입구는, 상기 세면장 바닥면에 요설된 배수통으로 열리고,
    상기 욕조 배수 파이프의 일단은 해당 세면장 배수 유입구보다 상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일단이 상기 세면장 배수 유입구보다 상방에서 열리는 흡입구가 되고, 타단이 상기 봉수 내로 열리는 급기구가 된 급기 파이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는, 저면과, 해당 저면으로부터 세워지는 입면을 가지며,
    해당 입면에 제 2의 욕조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욕조 배수 파이프의 일단은 해당 제 2의 욕조 배수구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수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KR1020090017886A 2009-03-03 2009-03-03 배수 장치 및 욕실 KR20100099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86A KR20100099403A (ko) 2009-03-03 2009-03-03 배수 장치 및 욕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86A KR20100099403A (ko) 2009-03-03 2009-03-03 배수 장치 및 욕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03A true KR20100099403A (ko) 2010-09-13

Family

ID=4300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86A KR20100099403A (ko) 2009-03-03 2009-03-03 배수 장치 및 욕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94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4632A (ja) * 2018-11-28 2020-06-04 丸一株式会社 排水トラップ
KR20210000699U (ko) 2019-09-19 2021-03-29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4632A (ja) * 2018-11-28 2020-06-04 丸一株式会社 排水トラップ
KR20210000699U (ko) 2019-09-19 2021-03-29 (주)경동하이테크판매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831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JP2007211582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JP4541275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の髪の毛等を剥がしてまとめる方法
KR20100099403A (ko) 배수 장치 및 욕실
JP5245364B2 (ja) 浴室排水装置
JP5756938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JP4709981B2 (ja) 排水トラップ
JP2012172422A (ja) 排水トラップ
JP5929278B2 (ja) 排水トラップ
JP4757037B2 (ja) 排水トラップ
JP5151498B2 (ja) 浴室排水装置
JP6984810B2 (ja) 排水口メッシュ部材
JP2017043929A (ja) 浴室の排水構造
CN101906801A (zh) 排水装置以及浴室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JP4994210B2 (ja) 排水トラップ
US20190376266A1 (en) Drainage structure and siphoning drainage system
JP4541249B2 (ja) 浴室の排水構造
JP2009281044A (ja) 排水装置及び浴室
JP2010265601A (ja) 排水トラップ装置
JP6988038B2 (ja) 排水口部材
JP7249495B2 (ja) 目皿部材を備えた排水継手
JP2012112126A (ja) トラップ装置
JP2011226196A (ja) 排水トラップ
JP5685830B2 (ja) 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