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782A -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782A
KR20100098782A KR1020090017442A KR20090017442A KR20100098782A KR 20100098782 A KR20100098782 A KR 20100098782A KR 1020090017442 A KR1020090017442 A KR 1020090017442A KR 20090017442 A KR20090017442 A KR 20090017442A KR 20100098782 A KR20100098782 A KR 20100098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block
ring
cylinder
metal tub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호
Original Assignee
이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호 filed Critical 이연호
Priority to KR102009001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8782A/ko
Publication of KR2010009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04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04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 B21D15/06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annular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12Bending tubes into wav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33Deforming tubular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1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 F16L11/15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igid material, e.g. metal or hard plastics corrug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는, 유압 또는 공압이 분사되는 미들링의 양측에 탄성실링을 구비하고 각 탄성실리의 외측에 엔드링과 푸시링을 구비하여 엔드링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상기 푸시링에 압력을 가하여 미들링 양측의 탄성실링을 압착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미들링의 양측에 설치되는 탄성실링을 측면에서 압력을 가하여 압착시켜 줌으로써 탄성실링은 폭이 좁아지고 외측으로 확장(팽창)되도록 하여, 파이프를 견실하고 견고하게 파지시킨 상태에서 성형할 수 있고, 밀폐압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탄성실링을 압착하는 압력으로는 유압 또는 공압을 사용함으로써 측면압축장치를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 성형장치는, 상기 측면압착 금속관파지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실링이 패창되면서 외측의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키며, 팽창된 탄성실링에 의해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을 고정된 전방다이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미들링에 유압 또는 공압를 공급하여 주름을 성형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가공다이(성형구)를 센싱하는 센싱수단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형되는 주름(글루브)의 크기(폭)에 따라 작동 폭(길이)을 달리하여 작동하는 가공다이(성형구)를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고, 파이프의 지름에 따라 다이블록에 장착되는 성형다이링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다이블록이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접속/분리될 때에 가이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여 다이블록이
흔들림 없이 작동할 수 있다.
Figure P1020090017442
금속주름관성형장치. 위치가변형 감지센서어셈블리. 주름성형장치부. 측면압축형 금속관파지장치. 내측압착피스톤. 외측고정피스톤.

Description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DEVICE FOR FORMING CORRUGATION OF METAL PIPE}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제조된 원통형 금속관을 주름관으로 성형하기 위한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 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원통형 금속관을 주름관을 금속관 파지장치에 의해 단속적으로 파지하면서 주름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통상의 주름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유압 또는 공압이 분사되는 미들링의 양측에 탄성실링을 구비하고 각 탄성실리의 외측에 엔드링과 푸시링을 구비하여 엔드링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상기 푸시링에 압력을 가하여 미들링 양측의 탄성실링을 압착시키는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상기 측면압착 금속관파지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실링이 패창되면서 외측의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키며, 팽창된 탄성실링에 의해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을 고정된 전방다이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미들링의 외측으로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확관시켜 주름을 성형시키도록 된 측면압착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름금속관 즉, 스테인리스로 성형된 환상형 주름관(Stainless steel flexible tube, annular type)은 주름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방열면적이 직관에 비하여 넓고, 열팽창을 자체에서 흡수할 수 있어 변형 및 파괴의 우려가 없으며, 부식이 적고 뛰어난 내열성과 내한성을 지니고 있으며, 자유로운 굽힘으로 시공이 간단하며 냉난방용 및 지진 대책용 배관재로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주름금속관(스테인리스 환상형 주름관: Stainless steel flexible tube)은 내식성ㆍ고강도ㆍ위생성ㆍ보온성ㆍ내구성ㆍ안전성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어 각종 건물(빌딩)의 옥내배관(급수, 난방, 가스, 위생, 스프링 쿨러 등)을 비롯하여 공장시설의 배관(UTILITY배관)ㆍ첨단장비의 특수배관ㆍ자동차ㆍ선박ㆍ열교환기ㆍ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주름금속관을 성형하는 종래의 장치로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 제20-97786호(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5-13476호)의 "금속관의 주름성형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20-103364호(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5-16946호)의 "파형 주름관 성형장치" 및 특허등록 제10-106449호의 "금속관의 주름성형장치"가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97786호(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5-13476호)의 "금속관의 주름성형장치"는, 유체공급공과 십자유체공급공이 연통되게 뚫어진 고정부의 외측에 확장공이 뚫어진 중간성형구의 양측에 탄성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각 탄성부재의 외측에 성형구와 고정성형구를 끼워 결합하며, 상기 성형구와 탄성부재 와 중간성형구와 탄성부재 및 고정성형구의 외측에 가공용 파이프를 끼워주며, 가공용 파이프의 외측에는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가공다이를 각 탄성부재의 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가공용 파이프를 주름관으로 성형할 때에 중간성형구의 양측과 성형구 및 고정성형구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부재가 가공용 파이프의 내면과 단순하게 연접되어 있으므로 파이프를 견실하게 지지해 줄 수 없고, 파이프를 견실하게 지지해 줄 수 없으므로 주름관을 용이하게 성형시킬 수 없게 된다.
실용신안등록 제20-103364호(공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5-16946호)의 "파형 주름관 성형장치"는, 성형용 유체공급로가 뚫어진 제2성형구의 양측 제1성형구와 제3성형구를 장착하되, 제1성형구와 제2성형구의 전면과의 사이 및 제2성형구의 후면과 제3성형구와의 사이에는 제3성형구에 형성된 밀폐유치공급로와 연통되게 환상홈을 각각 형성하여 밀폐링을 장전하고, 이들 제1성형구와 제2성형구 및 제3성형구의 외측으로 성형용 관(파이프)를 끼워 유통시키며, 관(파이프)의 외측에는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성형다이를 각 밀폐링의 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 특허등록 제10-106449호의 "금속관의 주름성형장치"는, 고정부재의 외주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블록부의 양측에는 탄성부재를 각각 끼운 후에 각 탄성부재의 외측으로 성형구를 각각 결합시키되, 블록부와 양측의 탄성부재는 고정부재에 뚫어진 성형용 유체공급공 및 압착용 유체공급경로와 연통시키며, 상기 블록부와 양측 성형구의 외측에는 가공용 파이프를 끼워 유통시키며, 상기 가공용 파이프의 외측에는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가공다이를 각 탄성부재의 외측에 각각 구비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실용신안등록 제20-103364호의 "파형 주름관 성형장치"와 특허등록 제10-106449호의 "금속관의 주름성형장치"는, 주름을 형성할 때에 각 탄성부재(밀폐링)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의 내주면(연)에 유체압력을 가하여 탄성부재를 외측으로 탄발시키므로 전술한 실용신안등록 제20-97786호의 "금속관의 주름성형장치"의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으나, 탄성부재(밀폐링)의 탄성력이 약하면 탄성부재(밀폐링)가 신장되지 못하게 되어 가공용 파이프(관)를 견실하게 파지할 수 없게 되고, 탄성력이 너 강하면 탄성부재(밀폐링)가 너무 신장되어 가공용 파이프(관)의 파지력이 약화되는 폐단이 있다.
특히, 탄성부재의 내주면(연)에 유체압력을 가하여 링형상으로 된 탄성부재를 외측으로 탄발(신장)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유체압력이 링(탄성부재)의 내주연(면)에만 가해질 뿐 링(탄성부재)의 외주가 외측으로 팽창하지 못하게 되므로 가공용 파이프(관)를 강력학 파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이 역시 파이프를 강력하게 지지(억류)해 줄 수 없으므로 주름관을 용이하게 성형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성형되는 주름(글루브)의 크기(폭)에 따라 가공다이(성형구)가 전후로 작동하는 작동 폭(길이)을 달리하게 되지만 종래의 주름성형장치들은 작동하는 변화되는 작동 폭(길이)에 따라 작동하는 각 가공다이(성형구)를 센싱하는 센싱수단을 용이하게 가변시켜 조정할 수 없고, 전후로 설치되는 다이블록에 성형링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가공되는 파이프의 지름에 따라 다이블록에 장착되는 성형다 이링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없으며, 다이블록이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접속/분리될 때에 가이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이동)하므로 흔들리는 현상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층 개선된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 금속관을 주름관을 금속관 파지장치에 의해 단속적으로 파지하면서 주름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통상의 주름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유압 또는 공압이 분사되는 미들링의 양측에 탄성실링을 구비하고 각 탄성실리의 외측에 엔드링과 푸시링을 구비하여 엔드링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상기 푸시링에 압력을 가하여 미들링 양측의 탄성실링을 압착시키는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상기 측면압착 금속관파지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실링이 패창되면서 외측의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키며, 팽창된 탄성실링에 의해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을 고정된 전방다이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미들링에 유압 또는 공압를 공급하여 주름을 성형시키도록 된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들링의 양측에 설치되는 탄성실링을 측면에서 압력을 가하여 압착시켜 줌으로써 탄성실링은 폭이 좁아지고 외측으로 확장(팽창)되도록 하여, 파이프를 견실하고 견고하게 파지시킨 상태에서 성형할 수 있고, 밀폐압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탄성실링을 압착하는 압력으로는 유압 또는 공압를 사용함으로써 측면압축장치를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다이(성형구)를 센싱하는 센싱수단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형되는 주름(글루브)의 크기(폭)에 따라 작동 폭(길이)을 달리하여 작동하는 가공다이(성형구)를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고, 파이프의 지름에 따라 다이블록에 장착되는 성형다이링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다이블록이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접속/분리될 때에 가이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여 다이블록이 흔들림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된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주름관 성형장치에 설치되어 원통형 금속관을 주름관으로 성형할 때에 금속관을 단속적으로 파지하는 금속관 파지장치에 있어서;
유압 또는 공압이 분사되는 미들링의 양측에 탄성실링을 구비하고 각 탄성실리의 외측에 엔드링과 푸시링을 구비하여 엔드링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상기 푸시링 에 압력을 가하여 미들링 양측의 탄성실링을 압착시키는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20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원통형 금속관을 금속관 파지장치에 의해 단속적으로 파지하면서 주름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통상의 주름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실링이 패창되면서 외측의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키고, 팽창된 탄성실링에 의해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을 고정된 전방다이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미들링에 유압 또는 공압를 공급하여 주름을 성형시키도록 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200)가 설치된 주름금속관성형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는,
주름관 성형장치에 설치되어 원통형 금속관을 주름관으로 성형할 때에 금속관을 단속적으로 파지하는 금속관 파지장치에 있어서;
유압 또는 공압이 분사되는 미들링의 양측에 탄성실링을 구비하고 각 탄성실리의 외측에 엔드링과 푸시링을 구비하여 엔드링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상기 푸시링에 압력을 가하여 미들링 양측의 탄성실링을 압착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는, 미들링의 양측에 설치되는 탄성실링을 측면에서 압력을 가하여 압착시켜 줌으로써 탄성실링은 폭이 좁아지고 외측으로 확장(팽창)되도록 하여, 파이프를 견실하고 견고하게 파지시킨 상태에서 성형할 수 있고, 밀폐압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탄성실링을 압착하는 압력으로는 유압 또는 공압를 사용함으로써 측면압축장치를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는, 통상의 주름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압착 금속관파지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실링이 패창되면서 외측의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키며, 팽창된 탄성실링에 의해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을 고정된 전방다이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미들링에 유압 또는 공압를 공급하여 주름을 성형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는, 가공다이(성형구)를 센싱하는 센싱수단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성형되는 주름(글루브)의 크기(폭)에 따라 작동 폭(길이)을 달리하여 작동하는 가공다이(성형구)를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고, 파이프의 지름에 따라 다이블록에 장착되는 성형다이링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다이블록이 전후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접속/분리될 때에 가이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여 다이블록이 흔들림 없이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성형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성형장치(1)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성형장치(1)에서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는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에 설치되는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블록(30)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성형장치받침대(5)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아셈브리(60)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성형장치(1)에서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200)가 설치된 주름성형장치부(100)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로서, 도 8a 및 도 8b와 도 9a 및 도 9b는 주름성형장치부(100)의 전방성형링(10)과 후방성형링(30)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ㆍ도 11a 및 도 11bㆍ도 12a 및 도 12bㆍ도 13a 및 도 13bㆍ도 14a 및 도 14bㆍ도 15a 및 도 15bㆍ도 16a 및 도 16bㆍ도 17a 및 도 17b는 주름성형장치부(100)에 설치되는 베이스실린더(110)ㆍ엔드링(120)ㆍ미들링(130)ㆍ푸시링(140)ㆍ탄성실링(150)ㆍ내측피스톤(210)ㆍ외측피스톤(220)ㆍ홀딩코어(160)를 각각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성형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성형장치받침대(5)의 상측에 주름성형장치(1-1)를 설치하였다.
상기 성형장치받침대(5)는 상측의 받침판(6)을 여러 개의 다리(7)로 받쳐 지지하도록 하였고, 각 다리(7)는 지지대(8)에 의해 지지하였고, 각 다리(7)는 보조블록(8)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성형장치받침대(5)의 상측에 설치되는 주름성형장치(1-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성형장치받침대(5)의 상면 선단과 후단에 전면판(2)과 후면판(3)을 대향하도록 나란하게 고정 설치하였고, 전면판(2)과 후면판(3)과의 사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복수의 지지봉을 너트로 체결하여 견실하게 설치하였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2)과 후면판(3)과의 사이에서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봉(4)을 너트(4-1)로 체결하여 전면판(2)과 후면판(3)을 지지하고,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전방성형링(10)과 후방성형링(30)이 각각 구비된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을 동시에 가이드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면판(2)과 후면판(3)과의 내부에서 전방 측에는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을 구비하였고, 상기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은 가이드 지지수단에 의해 동시에 가이드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을 동시에 가이드 및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수단으로는,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각 상면에 는 한 쌍씩의 가이드블록(27,28)(47,48)을 각각 고정설치하되 상기 각 가이드블록(27,28)(47,48)을 전술한 각 가이드지지봉(4)에 끼워 설치하였고,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각 밑면과 성형받침대(5)의 받침판(6)과의 사이에는 LM가이드(50)를 설치하였다.
상기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각 밑면과 성형받침대(5)의 받침판(6)과의 사이에는 LM가이드(50)는, 받침판(6)의 상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51)을 좌우 이격시켜 나란하게 설치하였고,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각 밑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51)에 끼워 슬라이딩 되는 가이드블록(52)(53)을 각각 장착하였다.
특히, 후방다이블록틀(40)의 밑면에는 연설블록(42-1)을 후방다이블록틀(40)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하여 부착 고정하고, 연설블록(42-1)에는 가이드레일(51)에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54)을 전방의 가이드블록(53)과 일직선상으로 장착하여 가이드레일(51)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전면판(2)과 후면판(3)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은 전면판(2)과 후면판(3)에 각각 설치(장착)되는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과 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45)에 의해 각각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전면판(2)의 내면에는 스톱퍼(2-2)를 장착하여 전방다이블록틀(20)이 후진할 때에 받쳐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전면판(2)의 외면(전면)에서 좌우 양단에는 작동길이(범위)가 짧은 한 쌍의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을 장착하고, 전면판(2)의 내면(후면)으로 인출 되는 각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의 로드를 로드장착블록(25-1)에 의해 전방다이블록틀(20)의 전면 양단에 각각 장착하여,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의 정역 작동에 의해 전방다이블록틀(20)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상기 후면판(3)의 내면 좌우 양단에는 작동길이(범위)가 큰 한 쌍의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을 장착하고, 각 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45)의 로드를 로드장착블록(45-1)에 의해 후방다이블록틀(40)의 배면 양단에 각각 장착하여, 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45)의 정역 작동에 의해 후방다이블록틀(40)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내부에는 도 1과 도 2 및 도 3a와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된 한 쌍씩의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다이블록(30)을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이드하면서 전방다이블록개페용실린더(26)와 후방다이브록개폐용실린더(46)에 의해 슬라이딩시켜 당접 또는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1과 도 2 및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원환상요면(11)이 형성된 한 쌍씩의 전방다이블록(10)을 전방다이블록틀(20)의 내부에 장전하여 설치하되 환상반원장착면(11)이 서로 연통되어 원을 이루도록 장전하여 설치하였다.
상기 좌우 양측의 전방다이블록(10)은 상면과 밑면에 형성된 각 가이드블록(16)을 전방다이블록틀(20)의 상단바의 밑면과 하단바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21-1)(21-2)에 각각 결합(끼워)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전방다이블록틀(20)의 양측 측면바의 외면에는 한 쌍씩의 전방다이블록개페용실린 더(26)를 내측을 향하여 장착하였고, 전방다이블록틀(20)의 내부로 인출되는 각 전방다이블록개페용실린더(26)의 로드를 로드장착블록(26-1)에 의해 좌우 전방다이블록(10)의 측면에 형성된 블록장착요홈(15)에 각각 장착하여 고정하였다.
또한, 도 1과 도 2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원환상요면(31)이 형성된 한 쌍씩의 후방다이블록(30)을 후방다이블록틀(40)의 내부에 장전하여 설치하되 환상반원장착면(31)이 서로 연통되어 원을 이루도록 장전하여 설치하였다.
상기 좌우 양측의 후방다이블록(30)은 상면과 밑면에 형성된 각 가이드블록(36)을 전방다이블록틀(40)의 상단바의 밑면과 하단바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41-1)(41-2)에 각각 결합(끼워)하여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후방다이블록틀(40)의 양측 측면바의 외면에는 한 쌍씩의 후방다이블록개페용실린더(46)를 내측을 향하여 장착하였고, 후방다이블록틀(40)의 내부로 인출되는 각 후방다이블록개페용실린더(46)의 로드를 로드장착블록(46-1)에 의해 좌우 후방다이블록(30)의 측면에 형성된 블록장착요홈(35)에 각각 장착하여 고정하였다.
특히,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다이블록(30)의 상면과 밑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블록(16)(36)은 도 4a와 도 4b 및 도 5a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 형성하였다.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다이블록(30)의 상면과 밑면에 상단블록(14-1)(34-1)과 하단블록(14-2)(34-2)을 각각 형성하였고, 각 상단블록(14-1)(34-1)과 하단블록(14-2)(34-2)의 상면과 양 측면에는 상면지지플레이트(17)(37)와 측면지지플레이트(18)(38)를 볼트스크루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결합하여 형성하였으며, 상 기 상면지지플레이트(17)(37)와 측면지지플레이트(18)(38)가 마모되었을 때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방다이블록틀(20)의 내부에 한 쌍이 대칭되게 정전되는 전방다이블록(10)은 도 4a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다이블록(10)의 내면에 반원환상요면(11)을 형성하고 반원환상요면(11)에는 복수의 장착너트공(1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전방반원성형링(8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반원환상요면(11)에는 키홈(13)을 형성하여 장착되는 전방반원성형링(80)에 형성된 키홈(86)과의 사이에 키(14)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방다이블록(10)의 반원환상요면(11)에 장착되는 전방반원성형링(80)의 반원다이링(80-1)(80-2)은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원링(81)의 내주면 일측에 결속돌부링(82)을 일체로 형성하여 타측으로 공간부(83)가 형성되도록 하였고, 반원링(81)에는 장착공(84)을 반원환상요면(11)에 형성된 장착공(12)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대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반원다이링(80-1)(80-2)의 당접면에는 결합핀(87)을 끼워 결합하도록 하였다.
또한 후방다이블록틀(40)의 내부에 한 쌍이 대칭되게 정전되는 후방다이블록(30)은 5a와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다이블록(30)의 내면에 반원환상요면(31)을 형성하고 반원환상요면(31)에는 복수의 장착너트공(3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후방반원성형링(9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반원환상요면(31)에는 키홈(33)을 형성하여 장착되는 전방반원성형링(90) 에 형성된 키홈(96)과의 사이에 키(14)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후방다이블록(30)의 반원환상요면(31)에 한 쌍이 장착되는 후방반원성형링(90)의 반원다이링(90-1)(90-2)은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원링(91)의 내주면에 반원지지관체(92)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반원링(91)에는 장착공(94)을 반원환상요면(31)에 형성된 장착공(32)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반원지지관체(92)의 외주면 단부에는 돌핀(93)을 결합하였으며, 대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반원다이링(00-1)(90-2)의 당접면에는 결합핀(97)을 끼워 결합하도록 하였다.
성형장치받침대(5)의 측면에는 도 6a 내지 도 6d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위치가변형센싱어셈블리(60)를 장착하여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작동(전후진)을 센싱하여 단속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작동을 하나의 위치가변형센싱어셈블리(60)에 의해 센싱하거나,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에 위치가변형센싱어셈블리(60)를 각각 설치하여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작동을 각각 센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가변형센싱어셈블리(60)는 도 6a 내지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상단부와 하단부에 장착공(61-1)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대(61)의 전면 양측 단부에 지지블록(62)을 각각 형성하였고, 양측 지지블록(62)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이드봉(63)을 상하로 이격시켜 나란하게 설치하되 일측의 지지블록(62) 의 외측에 핸들(62)을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봉(63)을 고정하였다.
상기 가이드봉(63)의 사이에서 장착대(61)의 전면 중앙에는 너트공(67-1)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지고 길이가 긴 간격유지고정대(67)를 볼트(67-1)와 같은 장착수단에 의해 횡으로 길게 장착하였고, 간격유지고정대(67)에는 고정판(66)과 슬라이딩플레이트(65)을 당접시켜(세트화하여) 좌우 양측에 한 세트씩을 볼트(66-1)와 같은 장착수단에 의해 각각 장착하되, 각 슬라이딩플레이트(65)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된 슬라이딩블록(65-1)의 슬라이딩공을 상기 가이드봉(63)에 끼워 고정판(66)과 함께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당접되어 각 세트화된 고정판(66)과 슬라이딩플레이트(65)의 중앙부를 통하여 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간격유지고정대(67)의 너트공(67-1)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였고, 각 슬라이딩플레이트(65)의 외면에는 센서설치브래킷(70)을 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로 장착하였다.
상기, 각 센서설치브래킷(70)의 상단부에는 감지센서(71)를 각각 장착하여 전후로 이동되는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을 감지(센싱)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주름성형장치(1-1)의 내부 즉, 인접하는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다이블록(30)에 장착된 전방반원성형링(80)과 후방반원성형링(90)의 내측에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주름성형장치부(100)를 설치(장착)하였다.
상기 주름성형장치부(100)는 도 10a 및 도 10bㆍ도 11a 및 도 11bㆍ도 12a 및 도 12bㆍ도 13a 및 도 13bㆍ도 14a 및 도 14bㆍ도 15a 및 도 15bㆍ도 16a 및 도 16bㆍ도 17a 및 도 1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름성형장치부(100)에 설치되는 베이스실린더(110)ㆍ엔드링(120)ㆍ미들링(130)ㆍ푸시링(140)ㆍ탄성실링(150)ㆍ내측피스톤(210)ㆍ외측피스톤(220)ㆍ홀딩코어(160)로 형성하였다.
상기 베이스실린더(110)는 도 7과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워통관(111)의 후단면에는 플랜지링(112)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실린더워통관(111)의 선단면에는 너트공(111-2)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였고 중간부에는 에어분사공(111-1)을 뚫어 형성하였다.
상기 플랜지링(112)에는 압착해제공(113-1)과 압착유압공(113-2) 및 너트공(114)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주거나 형성하였고, 플랜지링(112)의 내주면 선단에는 체결공(115-1)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내측원판링(115)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측원판링(115)의 타측으로 장착요홈(113)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플랜지링(112)의 외주 선단을 환상단부(116)로 형성하고 환상단부(116)에 밀폐링그루브(117)를 형성하여 밀폐링(117-1)으로서 오링을 장전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실린더(110)의 내측원판링(115)에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홀딩코어(160)를 장착하였고, 상기 홀딩코어(160)는 도 17a 및 도 1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길이가 길며 외주에 에어유통공(166)이 하나 이상 뚫어 형성된 코어관체(161)의 외주 선단에는 장착공(163)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플랜지(162)를 일체로 형성하여 베이스실린더(110)의 내측원판링(115)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플랜지(162)의 상단과 하단에는 키홈(164)을 형성하여 후방반원성형링(90)의 돌핀(93)을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플랜지(162)의 반대편에서 코어관체(161)의 외주에는 나사부(165)를 형성하여 플랜지금구(180)를 포지셔닝너트(170)(190)를 장착하였으며, 플랜지금구(180)는 체결너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체결(장착)수단에 의해 후면판(3)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베이스실린더(110)를 형성하는 실린더원통관(111)의 외주에는 선단에서 부터 후측으로 엔드링(120)ㆍ미들링(130)ㆍ푸시링(140)ㆍ탄성실링(150)과 측면압착형금속관파지장치(200)로서 내측피스톤(210)ㆍ외측피스톤(220)을 차례로 끼워 결합하였다.
엔드링(120)은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엔드링관체(121)를 링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엔드링관체(121)의 내면에는 실링장전환상홈(122)으로서 1단환상홈(122-1)과 2단환상홈(122-2)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탄성실링(150)을 장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엔드링관체(121)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장착공(124)을 베이스실린더(110)의 너트공(111-2)과 일치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볼트에 의해 장착(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들링(130)은 도 12a 및 도 1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미들링관체(131)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였고, 미들링관체(131)의 양단에는 실링장전환상홈(132)(133)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실링(150)을 장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미들링관체(131)에는 에어노즐장착공(134)을 베이스실린더(110)의 에어분사공(111-1)과 일치되게 뚫어 에 어노즐(135)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푸시링(140)은 도 13a 및 도 1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푸시링체(141)를 링형상으로 형성하였고, 푸시링관체(141)의 내면에는 실링장전환상홈(142)을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탄성실링(150)을 장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미들링(130)의 양측(선단과 후단)에서 엔드링(120)과 푸시링(140)과의 사이에 끼워 결합되는 탄성실링(150)은 도 14a 및 도 1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링(151)의 외주에 환상돌부(152)를 일체로 형성하되, 원형링(151)의 폭을 환상돌부(152)의 폭 보다 크게 형성하여 환상돌부(152)의 양측에 단턱(153)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였다.
측면압착형금속관파지장치(200)로서 내측피스톤(210)과 외측피스톤(220)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상기 내측피스톤(210)은 도 15a 및 도 1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내측피스톤링(211)의 일단에 환상돌부(212)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기 환상돌부(212)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밀폐링그루부(215)을 복수 개씩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밀폐링(216)으로서 오링을 각각 장전하였다.
또, 상기 내측피스톤(210)을 가이드 지지하는 외측피스톤(220)은 도 16a 및 도 1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외측피스톤링(221)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내경을 상기 내측피스톤(210)의 내측피스톤링(211)의 오주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하여 내측피스톤링(211)의 외측에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외측피스톤링(221)의 내주면 선단에는 밀폐링그 루브(225)를 복수로 형성하여 밀폐링(226)으로서 오링을 각각 장전하였다.
상기 외측피스톤링(221)의 선단부와 밀폐링그루브(225)가 형성된 반대편의 후단면에는 외기유통공(223)과 에어유통공(222)을 연통되게 뚫어 주되, 에어유통공(2220의 선단에는 밀폐링(222-1)을 결합하여 에어를 외부 누출 없이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장착너트공(224)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볼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와 같은 장착수단에 의해 베이스실린더(110)의 플랜지링(112)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내측피스톤(210)의 외측에 외측피스톤(220)을 끼워 결합시키면 이들 사이에 공기유통실(230)이 형성되고, 공기유통실(230)은 상기 외측피스톤(220)의 외기유통공(223) 및 에어유통공(222)과 연통된다.
상기 내측피스톤(210)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방법은 에어(유압 또는 공압)를 이용하여 전후진시키는 것과, 감속모터를 이용하는 푸시로드에 의해 전후진시키는 것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어(유압 또는 공압)를 이용하게 되면 내측피스톤(210)을 보다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200)가 주름성형장치부(100)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성형장치(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성형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금속관파지장치(200)가 설치된 주름성형장치부(100)의 외측에 금속원통관(300)을 끼워 준 상태에서 작동을 개시한다.
금속관파지장치(200)에서 베이스실린더(110)에 형성된 압착유압공(113-2)을 통하여 유압 또는 공압(에어)를 공급하면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내측압착피스톤(210)이 전진하면서 그의 전방에 설치된 푸시링(140)과 탄성실링(150)과 미들링(130) 및 탄성실링(150)과 엔드링(120)을 동시에 밀어주게 된다.
베이스실린더(110)에 형성된 압착유압공(113-2)을 통하여 유압 또는 공압(에어)가 공급되어 내측압착피스톤(210)이 전진할 때에 공기유통실(230)에 있던 공기는 외측고정ㅍ스톤(220)의 외기유통공(22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므로 내측압착피스톤(210)은 원활하게 전진하게 된다.
내측압착피스톤(210)이 전진하면서 밀어주는 강력한 유압 또는 공압의 힘에 의해 미들링(130)의 양측(선단과 후단)에 결합된 각 탄성실링(150)이 압축되면서 외측으로 팽창하게 된다.
내측압착피스톤(210)의 전진에 의해 미들링(130)의 양측(선단과 후단)에 결합된 각 탄성실링(150)이 압축되어 외측으로 팽창하게 되면, 전방의 탄성실링(150)은 전방성형링(10)에 장착되어 있는 전방반원성형링(80)까지 끼워져 있는 금속원통관(300)의 선단부를 강력한 힘으로 파지하게 되고, 후방의 탄성실링(150)은 후방성형링(30)에 장착되어 있는 후방반원성형링(90)을 통과하는 금속원통관(300)을 파지하게 된다.
전방과 후방의 각 탄성실링(150)에 의해 금속원통관(300)이 파지된 상태에서 에어노즐(135)의 에어분사공(111-1)을 통해 에어(유압 또는 공압)를 공급하면 베이스실린더(111-1)의 실린더원통관(111)의 외측에 끼워져 있는 전방의 탄성실링(150) 과 후방의 탄성실링(150)과의 사이로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후방다이블록작동용실린더(45)가 작동하여 후방다이블록틀(40)을 전방다이블록틀(10)의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상기와 같이 에어분사공(111-1)을 통해 에어(유압 또는 공압)가 전방의 탄성실링(150)과 후방의 탄성실링(150)과의 사이에서 금속원통관(300)의 내측으로 공급(분사)되고 있는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작동용실린더(45)가 작동하여 후방다이블록틀(40)을 전방다이블록틀(10)의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전방의 탄성실링(150)과 후방의 탄성실링(150)과의 사이에서 금속원통관(300)의 내측으로 공급(분사)되고, 전방의 탄성실링(150)에 의해 금속원통관(300)의 선행부가 억류되며, 후방다이블록틀(40)과 함께 후방의 탄성실링(150)에 의해 파지(억류)되어 있는 금속원통관(300)의 후측부가 전진하게 되면 전방 탄성실링(150)과 후방 탄성실링(150)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원통관(300)은 전방반원성형링(80)의 결속돌부링(82)과 전진 이동하는 후방반원성형링(90)의 반원링(91)과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그루부(320)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후방다이블록작동용실린더(45)가 작동하여 후방다이블록틀(40)을 전방다이블록틀(10)의 방향으로 전진시켜 그루부(320)가 형성된 상태에서, 압착유압공(113-2)으로 공급되던 에어를 중단시키고, 이어서 에어공(113--1)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면 에어가 공기유통실(230)로 유입되면서 내측압착피스톤(210)을 후퇴시킨다.
상기와 같이 내측압착피스톤(210)이 후퇴하면 푸시링(140)과 탄성실링(150) 과 미들링(130) 및 탄성실링(150)과 엔드링(120)의 압착상태가 해제되며, 압착상태가 해제되면 전후의 탄성실링(150)들은 팽창상태가 해제되어 원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실링(150)들의 팽창상태가 해제되어 원상태로 복귀한 상태에서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에 장착된 전방다이블록개폐용실린더(26)들과 후방다이블록개폐용실린더(46)들이 동시에 작동하여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다이블록(30)을 외측으로 동시에 이동시켜(벌려) 주게 된다.
전방다이블록개폐용실린더(26)들과 후방다이블록개폐용실린더(46)들이 동시에 작동하여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다이블록(30)을 외측으로 벌려주게 되면, 이들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다이블록(30)에 장착된 전방반원형성형링(80)과 후방반원성형링(90)들도 외측으로 확개되어 벌려지면서 그루브(320)의 선단과 후단에서 금속원통관(300)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방반원형성형링(80)과 후방반원성형링(90)들이 외측으로 확개되어(벌려지면서) 있던 그루브(320)의 선단과 후단에서 금속원통관(300)의 파지상태가 해제되면, 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45)가 역으로 작동하여 전진되어 있던 후방다이블록틀(4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이어서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가 작동하여 전방다이블록틀(20)을 성형된 그루브(320)의 후단으로 이동시킨다.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의 작동에 의해 전방다이블록틀(20)이 성형된 그루브(320)의 후단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방다이블록개폐용실린더(26)들이 역으로 작동하여 벌어져 있던 전방다이블록(10)을 중앙으로 집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전방다이블록(10)을 중앙으로 집결되면 전방다이블록(10)에 장 착된 전방반원성형링(80)의 결속돌부링(82)이 그루브(320)의 후단에 근접되고, 성형된 그루브(320)는 공간부(83)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전방반원성형링(80)의 결속돌부링(82)이 그루브(320)의 후단에 근접되고 성형된 그루브(320)가 공간부(83)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가 역으로 작동하여 전방다이블록틀(20)과 함께 전방다이블록(10) 및 전방반원성형링(80)을 전면판(2)의 방향으로 후진시킨다.
상기 전방다이블록틀작동실린더(25)의 역 작동에 의해 전방다이블록틀(20)과 함께 전방다이블록(10) 및 전방반원성형링(80)이 전면판(2)의 방향으로 후진하면 성형된 그루브(320)는 결속돌부링(82)에 의해 이끌려 전면판(2)의 방향으로 함께 후진하고, 그루브(320)의 이동과 함께 금속원통관(30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실시됨으로써 하나의 그루브(320)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전방다이블록틀(20)과 후방다이블록틀(40)의 전방다이블록개폐용실린더(26)들과 후방다이블록개폐용실린더(46)들이 동시에 역으로 작동하여 외측으로 벌려져 있던 전방다이블록(10)과 후방다이블록(30)을 전후 탄성실링(150)의 외측에서 중앙으로 집결시켜 성형된 그루브(320)만큼 한 스탭 이동한 금속원통관(300)을 파지(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금속관파지장치(200)에서 베이스실린더(110)에 형성된 압착유압공(113-2)을 통하여 유압 또는 공압(에어)가 공급되면서 상기 글루브(320)를 형성하는 과정을 재차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성형장치(1)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 으로 실시하면서 공급되는 금속원통관(300)을 그루브(320)가 연속적으로 반복 성형 되는 주름관(310)으로 성형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 성형장치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 성형장치에서 전방다이블록틀과 후방다이블록틀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a 및 도 4b와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 성형장치에 설치되는 전방블록과 후방블록을 각각 발췌하여 보인 정면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 성형장치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아셈브리를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 및 감지센서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 성형장치에 설치되는 주름성형장치부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8a 및 도 8b와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 성형장치에 설치되는 주름성형장치부에서 전방다이블록과 후방다이블록을 발췌하여 보인 각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ㆍ도 11a 및 도 11bㆍ도 12a 및 도 12bㆍ도 13a 및 도 13bㆍ도 14a 및 도 14bㆍ도 15a 및 도 15bㆍ도 16a 및 도 16bㆍ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금속관 성형장치의 주름성형장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실린더ㆍ엔드링ㆍ미들링ㆍ푸시링ㆍ탄성링ㆍ내측피스톤ㆍ외측피스톤ㆍ홀딩코어를 각각 발췌하여 보인 각 정면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금속주름관성형장치 2: 전면판 3: 후면판
5: 성형장치받침대 10: 전방다이블록 20: 전방다이블록틀
30: 후방다이블록 40: 후방다이블록틀 50: LM가이드
60: 위치가변형 센싱어셈블리 70: 센서설치브래킷
100: 주름성형장치부 110: 베이스실린더 120: 엔드링
130: 미들링 140: 푸시링 150: 탄성링
160: 홀딩코어 200: 측면압축형 금속관파지장치
210: 내측압착피스톤 220: 외측고정피스톤 230: 공기유통실

Claims (9)

  1. 주름관 성형장치에 설치되어 원통형 금속관을 주름관으로 성형할 때에 금속관을 단속적으로 파지하는 금속관 파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실린더를 형성하는 실린더원통관의 외주에는 유압 또는 공압이 외부로 분사되는 미들링의 양측에 탄성실링을 설치하고, 각 탄성실리의 외측에 엔드링과 푸시링을 설치한 것과;
    엔드링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상기 엔드링과 푸시링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서 압력을 가하는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에 의해 미들링의 양측 탄성실링을 압착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들링의 양측 탄성실링을 압착하는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베이스실린더를 형성하는 실린더원통관의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환상돌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형성된 밀폐링그루부에 밀폐링이 장전되며, 가이드 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되는 내측피스톤링과;
    상기 고정된 가이드 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되는 내측피스톤링을 전후진 작동시켜 미들링의 양측 탄성실링을 압착 및 해제하도록 하는 내측피스톤링작동수단;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성형용 금속관 파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된 외측피스톤의 내부에서 내측피스톤링을 전후진 작동시키는 내측피스톤링작동수단은;
    유압을 공급 배출시켜 내측피스톤링을 전후진 시키는 유압장치와,
    공압을 공급 배출시켜 내측피스톤링을 전후진 시키는 공압장치와,
    감속모터를 이용한 푸시로드에 의해 내측피스톤링을 전후진 시키는 기계장치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성형용 금속관 파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내측피스톤링을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지지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피스톤링의 외측에 끼워져 내측피스톤링을 가이드 및 지지하고, 내주면 선단에 형성된 복수의 밀폐링그루브에 밀폐링이 장전되는 외측피스톤인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성형용 금속관 파지장치.
  5. 팽창된 탄성실링에 의해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을 고정된 전방다이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미들링에 유압 또는 공압를 공급하여 주름을 성형시키는 주름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에 의해 형성된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에 의해 압착되는 탄성실링이 패창되면서 외측의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성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주름금속관성형장치는;
    팽창된 탄성실링에 의해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을 고정된 전방다이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미들링에 유압 또는 공압를 공급하여 주름을 성형시키는 주름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전방다이블록과 후방다이블록에 장착된 전방반원성형링과 후방반원성형링의 내측에 설치되며, 실린더원통관의 일단에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실린더를 형성하는 실린더원통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금속원통관을 파지하는 측면압착형금속관파지장치와;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방다이블록틀과 후방다이블록틀을 상측과 하측에 이중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지지수단과;
    성형받침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각각 전후진되는 전방다이블록틀과 후방다이블록틀을 센싱하는 위치가변형센싱어셈블리;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성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주름금속관성형장치는;
    팽창된 탄성실링에 의해 금속원통관을 억류시킨 상태에서 후방다이블록을 고정된 전방다이블록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미들링에 유압 또는 공압를 공급하여 주름 을 성형시키는 주름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전방다이블록과 후방다이블록에 장착된 전방반원성형링과 후방반원성형링의 내측에 설치되며, 실린더원통관의 일단에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실린더를 형성하는 실린더원통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금속원통관을 파지하는 측면압착형금속관파지장치; 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성형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전방다이블록틀과 후방다이블록틀을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지지수단은;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단부에 이격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비지봉과;
    전방다이블록틀과 후방다이블록틀의 상면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씩의 가이드볼록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비지봉에 전방다이블록틀과 후방다이블록틀의 가이드볼록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결합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성형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성형받침대의 측면에 설치되어 전방다이블록틀과 후방다이블록틀의 작동을 센싱하는 위치가변형센싱어셈블리는;
    평판형으로 되고, 전면 양측 단부에 지지블록이 형성되며, 상단부와 하단부 에 장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대와;
    상기 양측 지지블록의 사이에 설치되고, 핸들이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플레이트과;
    너트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지고,상기 가이드봉의 사이에서 장착대의 전면 중앙에 장착되는 길이가 긴 간격유지고정대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당접되어 간격유지고정대에 장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각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외면에는 설치되어 감지센서가 상단에 장착되는 센서설치브래킷; 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성형장치
KR1020090017442A 2009-03-02 2009-03-02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 KR20100098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42A KR20100098782A (ko) 2009-03-02 2009-03-02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442A KR20100098782A (ko) 2009-03-02 2009-03-02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782A true KR20100098782A (ko) 2010-09-10

Family

ID=4300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442A KR20100098782A (ko) 2009-03-02 2009-03-02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87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92B1 (ko) * 2011-12-20 201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닐링 장치
CN114378163A (zh) * 2021-12-29 2022-04-22 安徽威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波纹管液压成型设备
CN114378164A (zh) * 2021-12-29 2022-04-22 安徽威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波纹管成型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92B1 (ko) * 2011-12-20 201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닐링 장치
CN114378163A (zh) * 2021-12-29 2022-04-22 安徽威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波纹管液压成型设备
CN114378164A (zh) * 2021-12-29 2022-04-22 安徽威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波纹管成型设备
CN114378163B (zh) * 2021-12-29 2023-11-28 安徽威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立式波纹管液压成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4603B (zh) 手持式扩口工具
KR20100098782A (ko) 주름성형용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 및 이 측면압착형 금속관파지장치가 설치된 주름금속관 성형장치
CN213809354U (zh) 一种基于暖通工程对接组装方便的暖通管结构
JP2018528867A5 (ko)
JP2018194021A (ja) 止水プラグ
CN210703365U (zh) 空腔零件的内定位机构
CN210879447U (zh) 一种用于液压管直管内嵌密封圈的专用工具
KR20040068676A (ko) 고압용벨로우즈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고압용벨로우즈성형방법
CN105313322A (zh) 管接头扣压装置
CN214368444U (zh) 一种水利工程用管道连接装置
CN202290928U (zh) 液压冲压整形机
CN108709692B (zh) 一种用于管路气密性检测的充气装置
CN102601250B (zh) 基于液体介质的形状记忆合金管接头扩径装置
CN207534318U (zh) Ro泵退活塞架总成工装
US10821656B2 (en) Pipe end processing device
CN101435757B (zh) 换热管水压试验工装
KR100465458B1 (ko) 고무호스와 금속파이프를 연결시켜주는 페룰의 성형장치
JP4606652B2 (ja) 配管の耐圧試験用治具とその使用方法
CN105033700A (zh) 用于球阀球体加工的定位工装
CN214078895U (zh) 一种扣压机模具拆卸结构
CN213002251U (zh) 一种开口式压管机扣压结构
CN201061812Y (zh) 型材拉伸夹具装置
KR200309380Y1 (ko) 금속주름관 제조장치
CN220681606U (zh) 一种异形胶管变径加工机构
CN110682246A (zh) 一种用于液压管直管内嵌密封圈的专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