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394A -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394A
KR20100096394A KR1020090015249A KR20090015249A KR20100096394A KR 20100096394 A KR20100096394 A KR 20100096394A KR 1020090015249 A KR1020090015249 A KR 1020090015249A KR 20090015249 A KR20090015249 A KR 20090015249A KR 20100096394 A KR20100096394 A KR 20100096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antibiotic
bacteria
staphylococ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220B1 (ko
Inventor
박설웅
남은실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09001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2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6Salicaceae (Willow family), e.g. pop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생 조성물은 피부 상재균 및 여드름 유발균을 포함하는 각종 세균에 유의한 항생 효과를 가지며, 특히 종래 기술로 세균의 활성을 저해하기 어려웠던 항생제 내성균주에 뛰어난 항생 활성을 갖는다.
피부 상재균, 여드름 유발균, 항생제 내성, 메치실린 저항성, 클린다마이신 저항성

Description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cne Comprising Natural Antibiotics}
본 발명은 항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드름 유발균을 포함하는 피부 상재균에 항생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심상성 좌창; Acne vulgaris, pimples)은 청소년기부터 중년에 이르기까지 가장 흔한 피부질환 중 하나이며, 의학적으로 피부 속의 모낭(hair follicle)과 피부의 기름샘인 피지선(sebaceous gland)의 염증성 병변이다(Farrar, M. D. et al., Clin. Dermatol. 22(5):380-4(2004)). 증상의 특징으로는 좁쌀크기의 발진으로 내부에 피지(sebum)가 들어있고, 피부에 300만개 이상 되는 피지선에서 일어나며, 얼굴, 등, 앞가슴에 주로 발생한다(Zoulboulis, C. C. et al., Clin. Dermatol. 22(5):360-6(2004)). 여드름은 흔하게 발생하는 피부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이 가벼울 때는 일시적인 생리 현상으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세균의 감염으로 주위조직의 손상과 염증세포 침윤을 보이는 경우 염증이 심해서 화농이 생기고 흉터나 색소 침착 등을 남기기 쉽다. 여드름의 내적 원인은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에 따라 호르몬 변화 등 내분비 작용에 의한 피지 분비와 성분의 이상, 매일 1-2 g의 과다한 피지의 분비에 따른 피지선 또는 모낭의 막힘을 들 수 있다. 스트레스로 인한 코티솔(cortisol)과 여성의 생리 기간 중의 프로제스테론(progesterone)이라는 호르몬과도 관계가 깊다(Chiu, A. et al., Archives of Dermatology 139:987-900(2003)). 여드름의 외적 원인으로는 피지의 증가로 피지선 안에 살고 있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한 자극인자가 모낭 상피벽을 자극하기 때문에, 상피내면의 각질이 두꺼워지고, 이 시기에 모낭의 이상각화로 인한 폐색이 일어나고 모낭 내로 산소유입이 감소한다. 이 현상은 여드름 발병 원인균인 혐기성 P. 액크니스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발육조건이 되어 여드름 병소에서 증식이 촉진된다(Bojar, R. A. et al., Clin. Dermatol. 22(5):375-9(2004)).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속 외에도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프로테우스(Proteus)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클렙시엘라(Klebsiella) 속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의 세균(bacteria)이 상재하고 있으며, 또한 효모 중에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도 피부에 상재하며 피부트러블을 야기한다.
P. 액크니스는 그람 양성균으로 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막대(rod) 형태의 혐기성 박테리아로서 여드름 간균이라고도 불리고 있다(McGinley, K. J. et al., J. Clin. Microbiol. 12:672-675(1980)).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과 형태학적으로 유사하며 독소를 발생하지 않는다. 제한적으로 호기성(microaerobic) 증식도 가능하며, 여드름을 유발하는 피부와 모낭의 대표적인 상재균(skin flora)이다. P. 액크니스의 증식은 지방이 많은 부위, 모피지선(pilosebaceous gland)에 한정되어 있는데, 이는 P. 액크니스가 호지성(lipophilic)인 특성으로 피지가 없이는 거의 발육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P. 액크니스의 균수와 피지 분비량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피지가 많은 부위 즉 지루부위가 여드름의 호발인 동시에 이 부위는 P. 액크니스의 균수가 많은 부위이기도 하다. P. 액크니스는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을 생성하는 균으로서 리파아제 효소를 세포 밖으로 배출하여 과다한 피지를 분해하고 생성되는 지방산이나 균 항원이 피부 모낭에 염증을 일으키고 손상을 입히게 되어 여드름의 형태(pustule)로 피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피부의 상처를 통해서 화농을 일으키며, 피부 표면의 부스럼, 종기 원인균이다. 아토피 피부염의 1차 요인일 뿐만 아니라 2차 요인으로서 피부 모공이 감염되거나, 땀샘이 막힌 상태에서 감염하거나 상처에 침입하여 발병하기도 한다(Raimer, S. S., Clin. Pediatr. 39:1-14(2000)). 정상인은 10% 이내인 반면, 아토피 환자의 90%가 피부에 S. 아우레우스가 발견되고 있다.
또 다른 피부 상재균으로는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있으며, S. 에피더미디스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사람 피부에 공생하는 비병원성 그람 양성 세균이지만, 수술 후 수술부위가 감염 될 경우 병원 균으로 작용하기도 한다(Kloos, W. E. et al., Clin. Microbiol. Rev. 7:117-140(1994)).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피부 진피 층에 존재하는 피지선 피지분비가 증가하여 모공이 막히거나, 여드름 원인균 P. 액크니스 또는 화농성 세균 S. 아우레우스 등의 원인균에 의해 염증이 발생되어 생성된다. 화장에 의해서 피지 배출이 잘 되지 않거나,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에 의하여 부신피질 호르몬이 증가하면서 피지선을 자극하여 여드름이 발생하기도 한다. P. 액크니스가 생성하는 리파아제 효소는 피지를 중성지방(트리글리셀리드)과 유리 지방산으로 가수 분해하고, 유리지방산은 모낭에서 여드름 유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P. 액크니스의 균수는 미소면포(micro comedo), 폐쇄면포(closed comedo), 개방면포(opencomedo)의 순으로 많으며 미소면포내의 세균은 거의가 P. 액크니스이다. 피지선 내 서식하는 여드름의 원인균, 화농성 세균, 모낭충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되어 모공이 막히거나, 유분이 많은 화장품 등으로 인해 각질이 두껍게 쌓이면서 모공이 막히게 되면 안에서는 피지가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피지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피지선이 부풀어, 여드름이 발생하게 된다. P. 액크니스 균은 기름기가 많은 피지선에서 면포 안의 기름을 분해해 자극성 있는 유리 지방산으로 전환시키며, 면역 세포들이 몰려들어 염증을 일으켜 여드름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항생제 처방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이러한 항생제에 대한 세균 내성이 급속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세균성 병원체 중 다약제 내성은 또한 보다 치명적인 임상 분리주를 초래하는 돌연변이가 원인일 수 있다. 상기의 항생제 내성 세균의 발현으로 인한 심각한 문제는 그람 양성 감염에 대해 마지막 수단의 작 용제로 여겨지는 항생제인 반코마이신(vancomycin)에 대한 내성의 취득일 것이다. 이는 특히, 일부 그람양성 병원체 군(S. Ewig et al., Chemother. J. 11:12-26(2002); F. Tenover, Clin. Infect. Dis. 33(3):108-115(2001)) 뿐만 아니라, 스타필로코커스, 스트렙토코커스, 미코박테리움, 엔테로코커스, 코리네박테리움, 보렐리아(Borrelia), 바실루스, 클라미디아(Chlamydia),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등에서 그러하다.
동시에 큰 문제는 전세계적으로 발견된 임상 분리주 중 보다 치명적인 메치실린-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RSA)의 발생의 증가이다. 반코마이신 내성 유기체와 마찬가지로, 많은 MRSA 균주가 대부분의 알려진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기 때문에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문제 해결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요컨대, 최근 상기 항생제 오남용 문제 및 이에 따른 내성세균의 출현 등으로 인해 항생제 문제점이 전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고, 이 때문에 신규하고 안전한 항생제 개발에 대한 사회적 요청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을 조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이 피부 상재균 및 여드름 유발균을 포함하는 각종 세균에 항생(antibiotics) 효과를 가지며, 특히, 항생제 저항성 균주에 까지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 조성물(antibiotic composition)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 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조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이 항생 효과를 가지며, 특히, 피부 상재균 및 여드름 유발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파파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우엉 추출물”은 우엉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열매,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및 껍질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용어 “버드나무 추출물”은 버드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및 껍질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줄기, 가지 또는 껍질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 한다. 용어 “녹차 추출물”은 녹차의 차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녹차 추출물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의 희석물 또는 용해물, 차 잎으로부터의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의 농축물 또는 건조물의 희석물 또는 용해물의 혼합액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녹차의 차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용어 “파파야 추출물”은 파파야 나무의 열매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헥산, (i) 디에틸에테르, 또는 (j) 부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 는 파파야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각각 0.1-2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0.1-10 중량부이다. 키토산 또는 피토스핑고신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각각 0.01-1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0.05-1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바폴(Carbapol) 및 KOH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카바폴은 특별하게 다른 언급이 없는 하, 카르복시폴리메틸렌(carboxypolymethylene)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카바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1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 중량부이다. KOH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0001-1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1 중량부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생 조성물(antibiotic composition)”은 바이러스, 균류(fungi), 원생동물(protozoa) 및 세균(bacteria)을 포함하는 미생물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시키는 항생 물질(antibiotics)을 함유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항생 물질은 항생 활성, 즉, 항세균 활성(antibacterial activity), 항진균 활성(antifungal activity)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antiviral activity)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항생 조성물은 항세균 활성 및/또는 항진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세균 활성을 갖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항생 조성물은 상기 항생 활성을 갖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세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피 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속,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프로테우스(Proteus)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클렙시엘라(Klebsiella) 속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세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속, 스타필로코커스 속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세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세균에 의하여 유발된 피부감염 또는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다. 하기 일 실시예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유발균으로 잘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 및 피부 상재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등과 같은 여러 세균의 성장을 완전히 유의하게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생제 내성 세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낸다.
현재 페니실린을 비롯하여 50여 종 이상의 항생제가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병원에서의 항생제 남용을 뛰어넘어, 과수재배 현장과 각종 가축의 사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의 양이 위험수위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항생제 남용은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을 가속화시키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균을 죽일 수 있는 더욱 강력한 항생제가 개발될수록 이에 내성을 가지는 세균들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가장 강력한 항생제인 반코마이신(vancomycin)에 반쯤 내성을 가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Vancomycin-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ISA)가 1997년 한국에서도 등장하였으며, 미국에서는 반코마이신에 완전 내성을 가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가 등장하였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항생제에 대해 복합 내성을 보이는 세균이 등장하여 인류를 더욱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균은 고기, 우유, 계란, 과일, 야채 등을 통해 사람에게로 전달되어 사람을 감염시키거나 감염에 대한 치료를 불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퀴놀론(quinolone)계 항생제가 첨가된 사료를 먹인 닭에서 살모넬라 내성균이 발견되었으며, 이 닭고기를 먹은 사람이 살모넬라균 식중독을 일으킨 사례가 외국에서 이미 보고된 바 있다. 또한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및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는 병원감염(noscomial infection)을 일으켜 수많은 환자들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균의 전파 경로는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며, 속도 또한 한층 빨라지고 있다. 따라서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문제 해결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당업계에 공지된 다 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세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계, 린코사마이드(Lincosamide)계, 세파로스포린(Cephalosporin)계, 마크로라이드(Macrolide)계, 플로르퀴놀론(fluoroquinolone)계 또는 글리코펩타이드(Glycopeptide)계의 항생제 일 수 있다.
상기 페니실린계의 항생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질페니실린(Benzylpenicillin), 페녹시메틸페니실린(Penoxymethylpenicillin), 천연 페니실린, 암피실린(Ampicillin), 아목사실린(Amoxycillin), 바캄피실린(Bacampicillin), 메치실린(Methicillin), 옥사실린(Oxacillin), 클록사실린(Cloxacillin), 디클록사실린(dicloxacillin), 피페라실린(Piperacillin), 카베니실린(Carbenicillin) 또는 티카실린(Ticarcillin) 등의 항생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치실린이다.
상기 린코사마이드계의 항생제는, 바람직하게는 린코마이신(Lincomycin) 및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등의 항생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클린다마이신이다.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메치실린에 내성을 보이는 균을 MRSA라고 하는데, MRSA는 메치실린에만 내성을 보이는 것이 아니고, 메치실린이 포함된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옥사실린, 디클록사실린 등과 세파로스포린(Cephalosporin)계 항생제인 세파졸린(cefazoline), 세팔렉신(cephalexin) 등에도 내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항생제 외에 MRSA가 내성을 보이는 항생제는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을 포함하는 마크로라이드(Macrolide)계 항생제, 시프로플로삭신(Ciprofloxacin)을 포 함하는 플로르퀴놀론(fluoroquinolone)계 항생제, 클린다마이신을 포함하는 린코사마이드계 및 항생제의 마지막 보루인 반코마이신(Vancomycin)에 이르기 까지 그 내성이 보고되고 있어 특히 임상적으로 중요하고, 환자들 사이에 쉽게 전파하여 감염의 집단발생을 일으켜, 의료 시설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W. Witte,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44:1-9(1999)).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세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메치실린 내성균주(MRSA)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기탁번호: ATCC 33592) 및 클린다마이신 내성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기탁번호: CCARM 9010)의 성장을 억제하는 유의한 결과를 보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일반적인 피부 상재균 및 여드름 유발균 뿐만 아니라 항생제 내성을 갖는 세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세균 성장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참고: 도 4b 및 도 4f).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미생물 또는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대한 항생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 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 성분 및 담체 성분 이외에,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하는 세균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경구형 제형인 경우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일당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생 조성물은 피부 상재균 및 여드름 유발균을 포함하는 각종 세균에 유의한 항생 효과를 가진다.
(ⅲ)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로 세균의 활성을 저해하기 어려웠던 항생제 내성균주(예컨대, MRSA, 클린다마이신 내성균주 등)에 뛰어난 항생 활성을 갖기 때문에 여드름을 포함하는 피부 상재균에 의한 피부감염 및 기타 세균에 의한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항생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실험방법
1. 사용균주 및 배지
본 연구에 사용된 균주는 피부에 주로 상재하고 있는 균종 및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는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기탁번호: ATCC 6919) 및 한국내성균주은행에서 분양받은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내성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기탁번호: CCARM 9010)를 사용하였다(표 1). P. 액크니스 균주는 GAM 배지(Nissui, Tokyo, Japan)를 사용하여 37℃에서 혐기성 가스 발생 파우치(anaerobic gas generating pouch, GasPak EZ;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parks, MD, USA) 내에 48시간 배양한 후 항균성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S.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 균의 경우는 Muller-Hinton 배지(Difco, USA)에 접종 후 37℃에서 18-24 시간동안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그 외의 균주들 은 Muller-Hinton 배지를 이용하여 37℃에서 18-24 시간 배양 후 항균성 시험에 사용하였다.
항균력 시험에 이용한 시험균주
균 명
1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2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3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ATCC 33592 (메치실린 내성 S. aureus, MRSA)
4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clinical isolate)
5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 ATCC 6919
6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 CCARM 9010 (클린다마이신 내성균주)
2. 항균제제
본 연구에 사용한 항균제제는 본 발명자들이 여드름치료용 제제로 개발하여 SD Anti-ACsome로 명명한 시료로, 제제의 조성을 달리한 시료-1 및 시료-2를 이용하여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SD Anti-ACsome 제조를 위한 추출물 성분을 얻기 위하여 먼저, 우엉의 뿌리, 버드나무의 줄기, 녹차 잎 및 파파야 열매를 바이오랜드 및 유로코스메틱에서 구입하여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시료-1은 우엉 추출물 1 g, 버드나무 추출물 1 g, 녹차 추출물 1 g, 파파야 추출물 1 g, 키토산 0.3 g 및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0.1 g에 시료의 총량이 100 g이 될 때까지 증류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시료-2는 우엉 추출물 1 g, 버드나무 추출물 1 g, 녹차 추출물 1 g, 파파야 추출물 1 g, 키토산 0.3 g, 피토스핑고신 0.1 g, 카바폴(Carbapol) 0.1 g 및 KOH 0.01 g에 시료의 총량이 100 g이 될 때까지 증류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3. 항균력 시험
여드름치료용 제제(SD Anti-ACsome)의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시료-1 및 2가 각각 0.5, 1, 2, 3, 5%가 포함된 Muller-Hinton 배지 및 GAM 한천배지를 제조하였다.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각 배지에 각각의 시험균주를 106, 107, 및 108 CFU/㎖ 농도로 접종하고 37℃에서 P. acnes 균주들은 혐기성 가스 발생 파우치에 넣어 혐기적인 상태로 48시간 그리고 그 외 균주들은 18-24시간 배양 후 균 증식여부를 판별하였다.
4. 증식억제대(Growth inhibition zone) 측정
시험균주의 여드름치료용 제제(SD Anti-ACsome)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균의 증식억제대를 측정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은 CLSI(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의 표준 방법(Barry, A. L., et al., Am. J. Clin. Pathol. 70:821-825(1978))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료-1 및 시료-2는 10 ㎕에 5 ㎎, 10 ㎎, 15 ㎎의 시료가 함유되도록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시료 용해 시 이용한 DMSO 10 ㎕를 함유하고 있는 디스크를 대조군으로 하고 각 농도의 시료액 10 ㎕를 포함한 항생제 디스크(Whatman)를 각 시험균이 균일하게 접종된 배지에 올려놓고 37℃에서 P. 액크니스 균주들은 48시간 그리고 그 외 균주들은 18-24시간 배양한 후 증식 억제대를 측정하였다.
5. 시간-살균 검사(time-kill study)
시료를 투여한 후 시간대별로 항균작용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시간-살균 그래프(time-kill curve)를 작성하였다. 시료-1 및 2가 각각 1% 함유된 배지에 대수기 초기의 균을 접종하여 각 시료의 시간별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일정시간 간격으로 배양액을 채취하여 십진 희석법에 의해 희석한 후 각 희석액을 플레이트당 50 ㎕ 접종하여 배양한 후 생성되는 집락의 수를 측정하고 cfu/㎖로 환산하였다. 실험은 독립적으로 3회 반복 시행하고 평균치의 결과를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1. 항균력 측정
항균력을 측정한 배지의 결과를 보면 시료가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의 배지에서는 모든 시험균의 증식이 있었으나(도 1), 0.5, 1, 2, 3, 5% 시료가 포함된 배지에서는 사용한 균의 모든 농도에서 모든 균들의 증식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도 2a 내지 도 2b 및 도 3a 내지 도 3b).
2. 증식억제대 측정
농도별 증식억제대를 측정해본 결과 사용한 DMSO농도에서는 균의 증식이 억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료의 농별 증식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모든 균에서 10㎎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농도범위에서는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식 억제 효과가 현저한 차이는 아니나 어느 정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 내지 도 4f).
3. 시간별 항균작용
활발히 증식하고 있는 대수기의 S. 아우레우스P. 액크니스 균주들에 1% 시료를 각각 처리하고 시간별로 균의 살균력을 측정한 결과를 보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처리 대조군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의 증식이 증가하였으나 시료 처리군은 시간이 경과 할수록 균의 증식이 억제됨을 보여주었다. S. 아우레우스의 경우 시료-1 및 시료-2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균증식의 대수 감소가 2 시간 경과 후에는 0.5 및 0.8이었으나 8 시간 경과 후에는 2.8 및 3.4배 감소하였다. P. 액크니스의 경우는 3 시간 경과 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시료-1 및 시료-2 처리군들에서 대수 감소가 각각 1.1 및 2.0정도였으나 24 시간 후에는 5.1 및 6.1로 감소폭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시료-2의 경우가 시료-1에 비해 항균력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S. 아우레우스의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시료-2의 경우가 시료-1에 비해 더 큰 살균효과를 보였다. 시료처리 후 4 시간까지는 약 2배의 살균력의 차이를 보였으나 6 시간 후에는 4.2배, 8 시간 후에는 4.5배의 살균력의 차이를 보였다. P. 액크니스의 경우에도 시료처리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료-1과 시료-2사이의 살균효과에 차이를 보였으며 12 시간까지는 시료-2가 시료-1에 비해 약 6배정도 살균효과가 있었으나 24 시간 후에는 9.2배의 살균력의 차이를 보였다.
4. 결론
농도별로 시료가 함유된 배지에서의 항균력 결과는 낮은 농도에서도 시료-1 및 시료-2 모두 시험균주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피부 상재균의 경우 시험에 사용한 균주간에는 증식제해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P. 액크니스의 경우에도 내성균과 감수성균간의 항균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시료처리 후 시간별 살균력을 측정한 결과를 보면 시료 처리 후 짧은 시간내에서도 시료-1 및 2는 살균효과를 보였으며,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살균효과는 증가하였다. 두 시료간의 항균력을 비교해 보면 시료-2의 경우가 시료-1에 비해 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에 이용한 여드름치료용 제제(SD Anti-ACsome) (시료-1 및 시료-2)는 피부 상재균뿐만 아니라 여드름의 원인이 되는 P. 액크니스에 대해서도 항균력이 있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조 문헌
1. NCCLS. 1997.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Disk Susceptibility Tests. Approved Standard: M2-A6 and Supplemental Tables M100-S7. NCCLS, Wayne, Pa
2. Miller, J. M., C. Thornberry, and C. N. Baker. 1984. Disk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troubleshooting guide. Lab Med. 15: 183-185.
도 1은 본원발명인 시료-1 및 시료-2가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 배지인 Muller-Hinton 한천 배지 및 GAM 한천 배지에서 시험균인 S. 아우레우스, MRSA, S. 에피더미디스, S. 피오게네스, P. 액크니스P. 액크니스(내성균주)의 증식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도 2b는 본원발명인 시료-1 및 시료-2가 0.5%, 1%, 2%, 3% 및 5% 농도로 포함된 Muller-Hinton 한천 배지에서 시험균인 S. 아우레우스, MRSA, S. 에피더미디스S. 피오게네스의 증식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시료-1의 시험균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모든 시험균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도 2b는 시료-2의 시험균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시료-1과 마찬가지로 모든 시험균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도 3a-도 3b는 본원발명인 시료-1 및 시료-2가 0.5%, 1%, 2%, 3% 및 5% 농도로 포함된 GAM 한천 배지에서 시험균인 P. 액크니스P. 액크니스(내성균주)의 증식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시료-1의 시험균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모든 시험균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도 3b는 시료-2의 시험균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시료-1과 마찬가지로 모든 시험균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도 4a-도 4f는 시험균주의 본원발명(시료-1 및 시료-2)에 대한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여 균의 증식억제대를 측정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대조군(DMSO 10㎕), (B)는 시료 5 ㎎, (C)는 시료 10 ㎎, (D)는 시료 15 ㎎이 포함된 것을 나타낸다. 도 4a는 시험균주가 S. 아우레우스, 도 4b는 시험균주가 MRSA, 도 4c는 시험균주가 S. 에피더미디스, 도 4d는 시험균주가 S. 피오게네스, 도 4e는 시험균주가 P. 액크니스, 도 4f는 시험균주가 P. 액크니스(내성균주)것으로 모든 시험균주에서 10 ㎎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도 5b는 대수기의 S. 아우레우스 P. 액크니스 균주에 1%의 시료를 처리하여 시간대별로 살균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으로 검은 원(-●-)은 대조군, 흰 원(-○-)은 시료-1, 검은 삼각형(-▼-)은 시료-2를 나타낸다. 도 5a는 S. 아우레우스, 도 5b는 P. 액크니스의 균 증식의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시간이 경과에 따라 균증식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 조성물(antibiotic composition).
  2.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1-20 중량부의 우엉 추출물, 버드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파파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1-10 중량부의 키토산 및 피토스핑고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바폴(Carbapol) 및 KOH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 조성물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속,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프로테우스(Proteus) 속,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클렙시엘라(Klebsiella) 속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세균에 대하여 항생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속, 스타필로코커스 속 및 스트렙토코커스 속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세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및 스트렙토 코커스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세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은 항생제 내성 세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계 또는 린코사마이드(Lincosamide)계의 항생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니실린계의 항생제는 벤질페니실린(Benzylpenicillin), 페녹시메틸페니실린(Penoxymethylpenicillin), 천연 페니실린, 암피실린(Ampicillin), 아목사실린(Amoxycillin), 바캄피실린(Bacampicillin), 메치실린(Methicillin), 옥사실린(Oxacillin), 클록사실린(Cloxacillin), 디클록사실린(dicloxacillin), 피페라실린(Piperacillin), 카베니실린(Carbenicillin) 및 티카실린(Ticarcill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린코사마이드계의 항생제는 린코마이신(Lincomycin) 및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015249A 2009-02-24 2009-02-24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9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49A KR101094220B1 (ko) 2009-02-24 2009-02-24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49A KR101094220B1 (ko) 2009-02-24 2009-02-24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394A true KR20100096394A (ko) 2010-09-02
KR101094220B1 KR101094220B1 (ko) 2011-12-14

Family

ID=4300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249A KR101094220B1 (ko) 2009-02-24 2009-02-24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2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0952A (zh) * 2013-11-27 2014-04-02 广西大学 治疗畜禽大肠杆菌感染疾病的复方药物
CN108403558A (zh) * 2018-05-08 2018-08-17 江西轩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铁皮石斛面膜产品
KR20180107785A (ko) * 2017-03-14 2018-10-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엉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127279A (ko) * 2018-11-20 2018-11-28 유씨엘 주식회사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102196276B1 (ko) * 2020-05-19 2020-12-2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여드름 유발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녹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0952A (zh) * 2013-11-27 2014-04-02 广西大学 治疗畜禽大肠杆菌感染疾病的复方药物
KR20180107785A (ko) * 2017-03-14 2018-10-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엉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N108403558A (zh) * 2018-05-08 2018-08-17 江西轩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铁皮石斛面膜产品
KR20180127279A (ko) * 2018-11-20 2018-11-28 유씨엘 주식회사 복분자 추출물 및 버드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여드름성 조성물
KR102196276B1 (ko) * 2020-05-19 2020-12-29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여드름 유발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녹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220B1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352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6023688A1 (en) Lactobacillus plantarum cncm i-4026 preparations and skin health
KR10125337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4220B1 (ko)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8735A (ko) 어성초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및 항염증 조성물
KR101202367B1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의 누룩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0407128B1 (ko)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7987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09604B1 (ko) 인동덩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KR102488864B1 (ko) 가자 추출물 및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균총의 생장 조절 또는 피부 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2004468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20210043098A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4790B1 (ko) 클로로겐산, 미르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0314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79678B1 (ko) 검정무 발효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989681B1 (ko) 소포로리피드, 윈터체리뿌리, 고수 및 프로폴리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여드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2903B1 (ko)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8855B1 (ko)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경구제
KR20190048882A (ko) 동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09239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132514B1 (ko)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1489A (ko) 레인을 포함하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