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903B1 -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903B1
KR102492903B1 KR1020200135014A KR20200135014A KR102492903B1 KR 102492903 B1 KR102492903 B1 KR 102492903B1 KR 1020200135014 A KR1020200135014 A KR 1020200135014A KR 20200135014 A KR20200135014 A KR 20200135014A KR 102492903 B1 KR102492903 B1 KR 10249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dandruff
acne
som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513A (ko
Inventor
송홍종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Priority to KR102020013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9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을 포함하여 소목 추출물만을 사용한 것 대비 항균효과가 증대되며, 특히 비듬균(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 및 여드름균(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Cut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OF DANDRUFF OR ACN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피에는 한선과 피지선이 널리 분포되어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많은 미생물이 상주하고 있다. 주요 상주 미생물은 3개 군으로 혐기성균, 호기성 구균과 진균인 Malassezia species가 있다. 비듬은 이러한 두피 상주균 중의 하나인 Malassezia 균이 남성 호르몬이 분비되는 사춘기 이후 두피와 같은 지루 부위에서 상존하기 시작하면서 생기게 된다. 특히 기후, 땀, 음식 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인 요인에 의해 비듬균이 과다하게 증식하여 정상균 총의 74%가 넘으면 비듬이 생기고, 83%가 넘으면 지루성 피부염이 발생한다. 이처럼 비듬이란 두피의 노화 각편이 쌀겨 모양으로 탈락하는 것과 피지의 분해 산화물이 혼합된 상태로 살아있는 피부 세포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나게 되는 신진대사의 부산물이며 경미한 지루성 피부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심해질 경우 이것을 비듬증, 임상학적으로는 두부 비강진, 의학적으로는 건성 지루라고 한다. 두피가 심한 통증이나 가려움증 또는 염증이나 홍반을 동반하는 것은 비듬균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증상들로 반드시 비듬균의 성장을 억제해야 한다.
한편, 여드름은 피부의 모낭과 모공에 생기는 염증질환으로 주로 사춘기에 성호르몬 분비의 증가로 인해 생긴다. 특히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은 피지선에 자극을 주어 피지분비를 증가시키게 되고, 피부의 여드름균이 침입되면 지방분해효소(lipase)에 의한 지질분해로 유리불포화지방산이 생기고 모낭 및 그 주위에 여드름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기호균 외, 대한피부과학회지, 43:871-875, 2005). 여드름을 방치할 경우, 얼굴에 화농이 생겨 흉 터가 생길 수 있으며 모공이 넓어져 피부가 귤껍질 같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여드름은 외모에 민감한 청소년이 나 성인들에게 정신적인 상처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요구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비듬 또는 여드름 치료에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효과는 개선한 대체 의약품으로 천연물 치료제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예로부터 사용되어 인체에 무해함이 입증되어 온 천연물 추출물 및 구성 성분을 이용한 치료제의 경우, 기존 치료제에 의한 내성이나 안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듬균 및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치료제에 대한 연구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496926호.
본 발명은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소목 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항균용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은 1:0.05 내지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항균용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소목 추출물을 0.02 내지 0.3 중량%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키토산은 0.005 내지 0.03 중량%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상기 균은 에셰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또는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인, 항균용 조성물.
7. 위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위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을 포함하여 소목 추출물만을 사용한 것 대비 항균효과가 증대되며, 특히 비듬균(말라세지아 푸르푸르, Malassezia furfur) 및 여드름균(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Cut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디스크 확산법을 통한 소목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
도 2 내지 5는 시간에 따른 소목 추출물의 균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도 2는 E.coli, 도 3은 S.aureus, 도 4는 C.acnes, 도 5는 M.furfur).
도 6 내지 도 9는 시간에 따른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 혼합 용액의 균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도 6은 E.coli, 도 7은 S.aureus, 도 8은 C.acnes, 도 9는 M.furfur).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을 포함한다.
소목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냉침추출물, 환류추출물, 용매추출물, 수증기 증류추출물, 초음파추출물, 용출물 또는 압착추출물일 수 있으나, 소목 내 유효성분을 적정량 포함하여 항균 효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열수추출물일 수 있다.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은 예를 들어, 1:0.05 내지 1, 1:0.08 내지 0.8 또는 1:0.1 내지 0.6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소목 추출물은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소목 추출물을 0.02 내지 0.3 중량%, 0.03 내지 0.1 중량% 또는 0.04 내지 0.0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경우, 소목 추출물의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비듬균 및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키토산은 0.005 내지 0.03 중량%, 0.007 내지 0.02 중량% 또는 0.009 내지 0.01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키토산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에도 소목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그 이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에셰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또는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큐티박테리운 아크네스 또는 말라세지아 푸르푸르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어, 여드름 또는 비듬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벌꿀, 덱스트린, 수크로오스, 팔라티노스, 포도당, 과당, 물엿, 당알콜(sugar alcohol),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백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카제인 (casein), 유청 단백질(whey protein) 등의 우유 유래 단백질, 대두 단백질, 이들 단백질의 트립신, 펩신 등의 동물 유래 효소 및 뉴트라아제(neutrase), 알칼라아제(alkil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질은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가 포화지방산, 다가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해바라기유, 채종유(rapeseed oil), 올리브유, 홍화유(safflower oil), 옥수수유, 대두유, 팜유(palm oil), 야자유 등의 각종 식물 유래 유지, 중쇄 지방산(middle-chain fatty acid), EPA, DHA, 대두유래 인지질, 우유 유래 인지질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타민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상기 미네랄류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인산칼륨, 탄산칼륨,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유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 카제인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제1철,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질, 단백질, 지질, 비타민류 및 미네랄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조성물의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상기 구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함량은 항균성이 유지되는 한 제한되지 아니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대비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에 의한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비듬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 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 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품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발 화장료,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비듬 개선 효과를 위해서는 모발 화장료 제품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발 제품의 적용 예로는 샴푸-전(pre-shampoo) 조성물,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왁스, 스프레이, 무스, 헤어로션, 에센스, 헤어 크림, 영구 염모제, 일시 염모제, 펌제, 부직포, 시트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에 의한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여드름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르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 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 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재료 준비
1. 소목 추출물의 제조
소목 열수 추출물 제조는 소목 분말 10g을 3차 증류수 100㎖에 침지 시킨 후 고온고압멸균기 (High-pressure steam sterilizer ES-315, TOMY, Nerima-ku, Tokyo, Japan)로 121 ℃에서 15분 간 열수추출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식혔다. 이후 소목 1차 추출물을 4,000 rpm에서 10분 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상온 보관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2. 균주 및 배지
항균 활성 확인을 위한 미생물로는 3종의 세균과 1종의 진균을 사용하였다. Escherichia coli는 시판되는 돼지고기에서 분리 후 동정하여 E.coli로 확인되었다. Staphylococcus aureus ATCC 29213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받은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Cutibacterium acnes ATCC 6919는 한국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진균인 Malassezia furfur ATCC 14521은 한국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균 배양을 위해 Luria-Bertani broth 와 Luria-Bertani agar (LB agar, 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 USA), Tryptics soy broth 와 Tryptics soy agar (LB agar, 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 USA)를 사용하였고 진균 배양을 위해 Yeast mold broth 와 Yeast mold agar (YM agar, 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 USA)를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 및 결과
1. 소목 추출물의 균주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MIC) 측정
실험 균주에 대한 소목 열수추출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MIC) 측정을 위해 5% 소목 열수추출물을 멸균된 TSB broth 로 1/2씩 최소 농도가 0.005%가 될 때까지 희석하고 96 well plate 에 100 ㎕ 씩 넣은 후 각각의 균주를 1 x 105 cfu/㎖ 100 ㎕를 첨가하여 well 당 200 ㎕ 씩 맞춘 후 37 ℃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흡광광도계(Multickan™ GO, Thermofisher, Waltham, MA, USA)를 통해 59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접종 균주가 성장하지 않은 소목열수추출물 농도를 MIC로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소목 열수추출물의 실험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E.coli에 대해 0.16%, S.aureus에 대해 0.312%, C.acnes에 대해 0.312%, M.furfur에 대해 0.08%로 나타났다.
Bacterial strain MIC concentration (%)
C.Sappan Extract
E.coli 0.16
S.aureus 0.312
C.acnes 0.312
M.furfur 0.08
2. 디스크 확산법을 통한 소목 열수추출물의 항균 활성 측정
소목 열수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하였다. 멸균된 8mm paper disc에 소목 열수추출물을 농도별로 80 ㎕씩 접종하여 준비하였다. 균주 접종을 위해 고온 고압 멸균기를 통해 멸균된 배양배지 3㎖에 배양균을 이식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 하였다. 배양된 균주를 1 x 105 cfu/㎖로 희석하여 agar plate에 고루 퍼지도록 도말한 후 준비한 paper disc를 배지 표면에 가볍게 놓은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저해환 (clear zone) 생성 유무를 3회 반복 측정 확인 하였다.
균주로 3종의 세균 E.coli, S.aureus, C.acnes 과 1종의 진균 M.furfur에 대하여 음성대조군인 증류수, 양성대조군인 4% 1,2-hexanediol, 실험군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소목 열수추출물(5%, 2.5%, 1.25%, 0.625%, 0.312%)을 paper disc 에 각각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Sample Clear zone size (mm) (susceptibility)
E.coli S.aureus C.acnes M.furfur
Control 0.00 ± 0.00 0.00 ± 0.00 0.00 ± 0.00 0.00 ± 0.00
1,2-Hexandiol 13.00 ± 0.57 12.00 ± 0.47 11.00 ± 0.57 12.00 ± 0.57
5% C.sappan extract 18.00 ± 0.82 17.66 ± 0.47 17.66 ± 0.47 25.66 ± 0.57
2.5% C.sappan extract 15.34 ± 0.57 15.34 ± 0.57 13.33 ± 0.57 21.66 ± 0.57
1.25% C.sappan extract 12.00 ± 1.00 12.00 ± 1.00 9.34 ± 0.57 15.66 ± 0.57
0.625% C.sappan extract 9.34 ± 0.57 9.00 ± 0.00 8.00 ± 0.00 10.66 ± 0.57
0.3125% C.sappan extract 8.00 ± 0.00 9.00 ± 0.00 8.00 ± 0.00 8.00 ± 0.00
3. 시간에 따른 소목 추출물의 균 증식 억제 활성 측정
소목열수추출물의 세균 증식 억제 효과는 흡광도법을 통해 측정되었다. 균주 접종을 위해 고온 고압멸균기를 통해 멸균된 배양배지 3㎖에 배양균을 이식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 하였다. 배양된 균주를 1 x 104 cfu/㎖농도가 되도록 희석한 후 소목열수추출물 용액을 농도 별로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액 200 ㎕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2시간 간격으로 59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균의 증식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균주로 3종의 세균 E.coli, S.aureus, C.acnes과 1종의 진균 M.furfur에 대하여 음성대조군인 증류수, 양성대조군인 4% 1,2-hexanediol, 실험군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소목열수추출물(2.5%, 1.25%, 0.625%, 0.312%, 0.16%, 0.08%, 0.04%, 0.02%, 0.01%, 0.005%)을 각각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도 2 내지 5에 나타내었다. 소목 열수추출물은 E.coli에 대해 0.16% 이상(도 2), S.aureus에 대해 0.312% 이상(도 3), C.acnes에 대해 0.312% 이상(도 4), M.furfur에 대해 0.08% 이상(도 5)에서 항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소목 추출물과 키토산 혼합용액의 균주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MIC) 측정
실험 균주에 대한 소목 열수추출물의 최소성장억제농도(MIC) 측정을 위해 5% 소목 열수추출물을 멸균된 TSB broth 로 1/2씩 최소 농도가 0.005%가 될 때까지 희석하고 키토산은 농도가 0.01%가 되도록 첨가한 후, 96 well plate 에 100 ㎕ 씩 넣은 후 각각의 균주를 1 x 105 cfu/㎖ 100 ㎕를 첨가하여 well 당 200 ㎕ 씩 맞춘 후 37 ℃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흡광광도계(Multickan™ GO, Thermofisher, Waltham, MA, USA)를 통해 59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접종 균주가 성장하지 않은 소목열수추출물 및 키토산 혼합용액의 농도를 MIC로 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소목 열수추출물에 의한 MIC와 소목 열수 추출물 및 키토산에 의한 MIC의 변화를 알 수 있었으며, E.coli에 대해 0.16% 에서 0.02%로 8배 감소, S.aureus에 대해 0.312%에서 0.04%로 감소, C.acnes에 대해 0.312%에서 0.08%로 감소, M.furfur에 대해 0.08%에서 0.04%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Bacterial strain MIC concentration (%)
C.Sappan Extract containing BioActive-Chitosan
E.coli 0.02
S.aureus 0.04
C.acnes 0.08
M.furfur 0.04
5. 소목 추출물과 키토산 혼합용액의 시간에 따른 균 증식 억제 활성 측정
소목열수추출물의 세균 증식 억제 효과는 흡광도법을 통해 측정되었다. 균주 접종을 위해 고온 고압멸균기를 통해 멸균된 배양배지 3 ㎖에 배양균을 이식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 하였다. 배양된 균주를 1 x 104 cfu/㎖농도가 되도록 희석한 후 키토산은 0.01%, 소목 열수추출물 용액은 농도 별(2.5%, 1.25%, 0.625%, 0.312%, 0.16%, 0.08%, 0.04%, 0.02%, 0.01%, 0.005%)로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액 200 ㎕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37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2시간 간격으로 59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균의 증식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6 내지 9에 나타내었다. 소목 열수추출물에 의한 항균 활성과 소목 열수추출물 및 키토산에 의한 항균 활성의 변화를 알 수 있었으며, 소목 열수추출물이 E.coli에 대해 0.02% 이상(도 6), S.aureus에 대해 0.04% 이상(도 7), C.acnes에 대해 0.08% 이상(도 8), M.furfur에 대해 0.04% 이상(도 9)에서 항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키토산 첨가에 의해 소목 열수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을 포함하고, 상기 소목 추출물 및 키토산의 중량비는 1:0.05 내지 1인, 항균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목 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항균용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소목 추출물을 0.02 내지 0.3 중량%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키토산은 0.005 내지 0.03 중량%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균은 에셰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또는 말라세지아 푸르푸르(Malassezia furfur)인, 항균용 조성물.
  7. 청구항 1, 2 및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 2 및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35014A 2020-10-19 2020-10-19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14A KR102492903B1 (ko) 2020-10-19 2020-10-19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14A KR102492903B1 (ko) 2020-10-19 2020-10-19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513A KR20220051513A (ko) 2022-04-26
KR102492903B1 true KR102492903B1 (ko) 2023-01-30

Family

ID=8139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014A KR102492903B1 (ko) 2020-10-19 2020-10-19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9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84B1 (ko) * 2004-06-18 2012-07-02 타이완 호펙스 켐스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드로카르빌 설톤 화합물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된폴리아미노사카라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122A (ko) * 2008-07-11 2010-01-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CN104411320A (zh) * 2012-07-24 2015-03-11 现代药品株式会社 包含天然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毛发及头皮状态改善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96926B1 (ko) 2014-09-01 2015-03-03 주식회사 웰코스 황금, 황련, 황백, 작약 및 루이보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84B1 (ko) * 2004-06-18 2012-07-02 타이완 호펙스 켐스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드로카르빌 설톤 화합물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된폴리아미노사카라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513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78326A (zh) 改善皮肤、头发和头皮健康的基于酵母的面膜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4463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37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2830B1 (ko) 피부 pH 조절 및 유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2007530624A (ja) 月見草(OenotheraBiennis)の天然油(=OleumOenotherae)および極限環境微生物から生じるオスモライトを含有する、皮膚に使用するための局所製剤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38648A (ko) 편백 오일를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4220B1 (ko) 천연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492903B1 (ko)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6747B1 (ko)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591508B1 (ko)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8603A (ko)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0357A (ko)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20180031937A (ko) 항염효과를 갖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4538B1 (ko)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5792B1 (ko)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03339B1 (ko) 복합 프로바이오틱스의 당나귀유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복합 프로바이오틱스의 당나귀유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61112B1 (ko) 해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RU280305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жидкого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с экстрактами из микроводорослей
KR20140080095A (ko)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9681B1 (ko) 소포로리피드, 윈터체리뿌리, 고수 및 프로폴리스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여드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912B1 (ko) 모과, 레몬밤 또는 오렌지블러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