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282A -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장치 및 제어기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장치 및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282A
KR20100096282A KR1020107017641A KR20107017641A KR20100096282A KR 20100096282 A KR20100096282 A KR 20100096282A KR 1020107017641 A KR1020107017641 A KR 1020107017641A KR 20107017641 A KR20107017641 A KR 20107017641A KR 20100096282 A KR20100096282 A KR 20100096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iston
cylinder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르스트 벨아우
미하엘 정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5Aiding engine start by star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e.g. pre-positioning or reverse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N99/002Starting combustion engines by ignition means
    • F02N99/004Generation of the ignition spa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N99/002Starting combustion engines by ignition means
    • F02N99/006Providing a combustible mixture inside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5Aiding engine start by star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e.g. pre-positioning or reverse rotation
    • F02N2019/007Aiding engine start by star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e.g. pre-positioning or reverse rotation using inertial reverse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5Aiding engine start by star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e.g. pre-positioning or reverse rotation
    • F02N2019/008Aiding engine start by start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e.g. pre-positioning or reverse rotation the engine being stopped in a particula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실린더, 유입 및 유출 밸브를 구비하고 그리고 크랭크축과 상호작용하고 내연 기관의 정상 동작 동안 기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축을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이 초기 위치에 위치되고, 구동기(drive)의 도움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이 소정의 시동 위치가 되도록 상기 크랭크축의 정상적인 회전 방향에 거슬러 이동되고, 연료가 분사되고 상기 연료가 점화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장치 및 제어기{METHOD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VICE AND CONTROLLER}
본 발명은 청구항 제1 항에 따른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청구항 제11 항에 따른 내연 기관의 시동 장치 및 청구항 제12 항에 따른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 내로 연료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서 - 그것의 피스톤은 구동 행정(power phase) 중에 있음 - 그리고 분사된 연료를 점화하는 것에 의해서, 시동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도 내연 기관을 시동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시동기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내연 기관의 점화는 특히 많은 정지 상태들(stop phases)을 가지도록 동작되는 엔진을 많은 전기 에너지 없이 다시 동작(run)하도록 설정하는 데에 필요한다. 예를 들어 연료-경제적인 엔진들의 경우에, 엔진들은 정지 상태들 동안, 예를 들어 신호등 앞에서 또는 다른 구동을 방해하는 것들을 만났을 때 멈추고, 내연 기관은 예를 들어 클러치의 액추에이팅에 의해서 재시동된다.
DE 199 55 857 A1 및 DE 100 20 325 A1으로부터 내연 기관의 상응하는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특히 자동차 용도의 내연 기관이 기술되는데, 그것은 실린더 (내) 이동가능한 피스톤들을 구비하고 크랭크축에 작용한다. 내연 기관의 동작 동안 피스톤은 흡입 행정, 압축 행정, 구동 행정 및 배기 행정을 거쳐서 동작한다. 또한 제어기를 구비하는데, 제어기에 의해서 압축 행정 동안 제1 동작 모드에서 또는 흡입 행정 동안 제2 동작 모드에서 실린더와 피스톤에 의해서 영역이 정해지는 연소 챔버 내로 직접 연료가 분사된다. 크랭크 축의 정적인 상태에서 내연 기관을 시동하기 위해서, 실린더 내로 연료가 분사되는 - 그것의 피스통은 압축 행정 중에 있고 크랭크축이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점화됨 - 방식으로 제어기가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에, 압축 및 점화에 대하여 실린더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것이 불리할 수 있는데, 아직 유출되지 않은 연소 전-가스(combustion pre-gas)의 연소 잔여물이 존재하고 그 결과 연소가능한 혼합물이 존재하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장된(extended) 기간 동안 엔진이 정적이라면 불리할 수 있는데, 그러면 압축 실린더 내 압력이 신뢰가능한 점화가 발생할 수 없을 정도까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직접 시동(direct starting)과 마찬가지로, 시동 능력은 주입물 체적(filling volume), 피스톤의 상태 그리고 또한 정지와 시동 간의 시간 길이에 따라서 달라진다. 점화될 실린더 내 압력은 단지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된다. 정지와 시동 간에 더 긴 휴지(pause) 후에 압력은 주변 압력에 맞추어진다. 그러면 잔여 체적은 더 적은 산소 함유량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결점은 기생 잔여 가스(parasitic residual gases)가 점화능력을 더 손상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에너지 소모가 적은 개선된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 항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제11 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성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로운 실시 형태들이 종속항들에서 특정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점화될 실린더의 피스톤이 소정의 시동 위치(defined start position)로 이동된다는 것이다. 이를 목적으로 피스톤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기(drive)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컷-어웃(cutting-out) 시 실린더에 대하여 제공되는 점화가 수행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어떠한 유출 가스들도 실린더 내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또한, 실린더의 주입물(filling)의 산소 함유량이 점화 후보다 더 많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스톤이 구동 행정으로부터 상사점(top dead centre)의 방향으로 되돌아(back)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이 상사점 너머까지(over) 되돌아 이동되지 아니한다. 이것은 상기 상사점을 넘어서는 점에의 높은 압축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를 절약한다. 시동기 모터의 더 낮은 에너지 소비는 시동기의 결과로서의 시동-전압 강하(starting-voltage dip)가 더 낮은 부가적인 결과를 가진다. 이것은 자동차에서의 전자 장비가 더 단순하게 설계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이 제2 실린더의 제2 피스톤에 커플링되고 제2 피스톤의 유입 밸브가 개방되고 주변 공기(ambient air)가 제2 피스톤 내로 허용될 때까지 제1 피스톤이 되돌아 이동된다. 이것은 후레쉬 에어로 다시 말해서 연소되지 않은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로, 제2 피스톤이 채워지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컷-아웃 후에 제1 피스톤의 이동이 제동되고 이로써 제1 피스톤이 원하는 시동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 피스톤의 시동 위치가 소정의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린더의 유출 밸브를 개방하지 아니하고도 제1 실린더 내에서 제1 피스톤이 상사점의 방향으로 되돌아 이동된다. 이것은 제1 실린더 내 가스 주입물이 압축되는 것을 보증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컷-아웃 시 구동 행정 중인 또는 배기 행정 중인 시동 위치가 되도록 제1 피스톤이 제동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피스톤이 구동 행정에서 정지하여 위치된다면, 제1 피스톤이 유출 밸브가 개방될 때까지 엔진의 회전 방향으로 더 이동된다. 그후 제1 피스톤이 시동 위치가 되도록 엔진의 회전 방향을 거슬러서 이동된다. 그 결과 성취되는 효과는 제1 실린더가 유출 채널을 통해 가스로 채워진다는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네 개의 실린더들을 가진 내연 기관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실린더들 중 하나와 제어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제1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제1 실린더와 제3 실린더의 구동 행정들의 일부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제2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은 크랭크축(6)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네 개의 실린더들(2, 3, 4, 5)을 가진 내연 기관(1)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시되지 아니한 클러치와 도시되지 아니한 변속기(transmission)에 의해서 크랭크축(6)이 예를 들어 자동차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렬(驅動列; drive train)에 연결된다. 도 1은 4 행정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내연 기관을 나타낸다. 가스 교환을 제어하기 위해서 엔진 속도의 두 배로 회전하는 캠축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크랭크축에 의해서 구동된다. 캠축은 가스 교환 밸브들을 개방하고 이것은 밸브 스프링들의 작용에 거슬러서 개별적으로 노폐 가스들을 방출하고 후레쉬 가스들을 유입하도록 설계된다. 하사점 직전에 유출 밸브가 개방되고, 임계 초과의 압력 비율이 주어지면, 이러한 예비 배기(preliminary exhaust) 동안 연소 가스들의 약 50%가 연소 챔버를 떠난다. 배기 행정 동안 상향-이동하는 피스톤은 연소 챔버로부터의 연소 가스들의 거의 완전한 제거를 보증한다. 피스톤의 상사점 직전에 유입 밸브들이 개방되는데 이 때 유출 밸브는 여전히 개방되어 있다. 연소가 발생하는 점화 TDC와 그것을 구별하기 위해서, 크랭크축의 이러한 위치가 가스 교환 TDC로서 알려져 있는데, 이 영역에서 다른 경우에는 엄격하게 분리되는 흡입 및 배기 프로세스들이 오버랩되기 때문이다. 가스 교환 TDC 직전에 유출 밸브가 폐쇄되고 유입 밸브가 개방된 동안 하향 이동하는 피스톤이 후레쉬 에어를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교환 및 흡입 행정의 제2 행정은 하사점 직전까지 지속된다. 후속하는 피스톤의 상향 이동 동안 압축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이어서, 점화 TDC에서 분사된 연료의 점화가 발생한다. 후속하는 구동 행정 동안 연소가 발생하고 피스톤이 아래로 되돌아 이동된다. 캠축 대신에 유입 밸브 및 유출 밸브의 개폐를 위한 전기 구동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은 흡입 행정, 압축 행정, 구동 행정 및 배기 행정 다시 말해서 4 행정들을 이행한다. 4기통 엔진의 경우에, 예를 들어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가 위상(phase)이 같고 제3 실린더 및 제4 실린더가 한 행정만큼 위상이 다르다.
도 1에서 제어기(7)와 구동기(8), 특히 전기 모터 및/또는 모터/발전기 유닛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구동기(8)는 크랭크축(6)에 연결된다. 네 개의 실린더들(2, 3, 4, 5)은 구조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하 제1 실린더(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는 커넥팅 로드(10)에 의해서 크랭크축(6)에 연결되는 제1 피스톤(9)을 구비하는 제1 실린더(2)를 나타낸다. 제1 실린더(2) 상에 유입 밸브(11)와 유출 밸브(12)가 제공된다. 유입 밸브(11)와 유출 밸브(12)는 미도시된 캠축에 의해서 액추에이트된다. 유입 밸브(11)는 흡입 채널에 배치되고 그것을 통해 후레쉬 에어가 제1 실린더(2) 내로 흡입된다. 유출 밸브(12)는 유출 채널에 배치되고 그것을 통해 연소된 가스들이 배기 채널(14)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점화 장치(15)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데, 이것은 제1 실린더(2) 내로 돌출되고 이것에 의해서 연료-공기 혼합물이 점화될 수 있다. 또한 분사 밸브(16)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연료를 제1 실린더(2) 내로 분사한다.
제어기(7)에 연결되는 구동기(8)가 더 도시된다. 구동기(8)에 의해서 피스톤들의 위치가 크랭크축을 매개로 조정될 수 있다. 제어기(7)는 복수의 센서들(17)에 연결되는데, 이것은 내연 기관 및/또는 자동차의 다양한 동작 파라미터들 특히 크랭크축(6)의 크랭크축 각도를 취득한다. 데이터/프로그램 메모리(18)에서 값들과 프로그램들이 보존(file)되는데, 제어기(7)가 내연 기관(1)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프로그램 메모리(18)에서 유입 및/또는 유출 밸브들(11, 12)이 개방되거나 및/또는 폐쇄되는 값들이 보존된다. 실린더 내에서 점화 장치(15)에 의해서 점화가 발생하는 순간을 결정하는 데이터가 데이터/프로그램 메모리(18)에 추가적으로 보존된다. 제어기(7)는 또한 시동/정지 스위치(19)에 연결된다. 시동/정지 스위치(19)는 내연 기관이 시동될 것인지 또는 컷-아웃될지를 제어기(7)에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시동/정지 스위치는 점화 스위치 또는 온/오프 스위치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내연 기관(1)의 시동 방법을 수행하는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제1 프로그램 포인트(100)에서 내연 기관(1)이 정적인 상태 있고 다시 말해서 어떠한 분사 및 점화도 수행되지 아니하고 실린더들의 피스톤들이 이동하지 아니한다. 이어서, 프로그램 포인트(110)에서 내연 기관(1)이 시동될 것이라는 정보가 제어기(7)에 전달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시동/정지 스위치(19)에 의해서 또는 다른 스위치의 액추에이팅에 의해서 예를 들어 클러치 페달의 액추에이션의 탐지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센서들(17)에 의해서 실린더들의 개별 피스톤들의 위치를 취득하는, 제어기(7)는 구동 행정에 위치되어 있는 실린더를 선택한다. 이것은 프로그램 포인트(120)에서 수행된다.
이어지는 프로그램 포인트(130)에서 제어기(7)가 구동기(8)를 제어하는데, 선택된 실린더가 상사점 방향으로 되돌아 내연 기관의 정상적인 동작 동안의 이동 방향에 거슬러 이동하도록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어한다. 이 경우에, 제1 실린더(2) 내 가스가 압축된다.
이러한 상황이 도 4에 도시된다. 내연 기관의 비동작 상태(inoperative state)에서 유출 밸브의 개방 직전에 제1 실린더가 제1 위치(P1)에 위치된다. 이어서 제1 피스톤이 상사점 직전까지 제2 위치(P2)의 방향으로 되돌아 이동된다. 내연 기관(1)이 복수의 실린더들을 특히 네 개의 실린더들(2, 3, 4, 5)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면, 내연 기관의 비동작 상태에서 제3 위치(P3)에서 압축 행정에 예를 들어 제3 실린더가 위치된다. 제1 피스톤이 제2 위치(P2)로 되돌아 이동될 때, 제3 실린더의 제3 피스톤이 제4 위치(P4)로 되돌아 이동된다. 제4 위치(P4)에서 제3 실린더의 유입 밸브가 개방되고 그 결과 후레쉬 에어가 제3 실린더 내로 유입된다. 구동기(8)의 사용을 통해서 하향 이동 동안 피스톤들의 순간(instant)과 위치가 특정한 한계들(limits) 내에서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이 상사점의 방향으로 역전되되 상기 상사점을 넘어서지는 아니한다. 프로그램 포인트(14)에서, 제1 피스톤의 제2 위치(P2)에서 제1 실린더 내로 연료가 분사되고 이어서 연료가 점화 장치(15)에 의해서 점화된다.
제1 실린더(1)에서의 연소 및 이로써 생성된 운동 에너지의 결과로서, 제1 피스톤이 내연 기관의 이동의 정상적인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3 실린더 내 공기가 압축된다. 상사점 영역에서 최적 순간 도달시에, 후속하는 프로그램 포인트(150)에서 연료가 제3 실린더 내로 분사되고 연료-가스 혼합물이 점화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 실린더 직후에 제3 실린더가 또한 완전한 구동 행정을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두 구동 행정들에 의해서 시동기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연 기관의 시동 없이도 엔진을 시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동기와 비교할 때, 구동기(8)는 현저하게 더 약한(weaker) 설계를 가질 수 있는데, 상사점을 넘어서 피스톤으로 공기를 압축해야 하는 것 없이, 구동기가 단지 상사점의 방향으로 실린더의 피스톤을 역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사점 너머로의 압축이 요구되지 아니하며 또한 최대 엔진 속도에 도달해야 하거나 복수의 점화 시도들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구동기(8)는 현저하게 더 가벼워질 수 있고 정상적인 시동기-발전기보다 더 경제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위치(P1)는 예를 들어 유출 밸브의 개방 전에 1° 내지 10°의 크랭크축 각도에 위치된다. 제2 위치(P2)는 예를 들어 점화에 대한 상사점 후 1° 내지 10°의 크랭크축 각도에 위치된다.
도 5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경우에, 프로그램 포인트(200)에서 내연 기관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다시 말해서 연료가 실린더들 내로 분사되고 점화된다. 후속하는 프로그램 포인트(210)에서 제어기(7)가 내연 기관(1)이 컷-아웃될 것이라는 정보를 받는다. 실린더들의 개별 피스톤들의 위치들을 취득하는 제어기(7)는 적절한 피스톤을 선택한다. 이를 목적으로, 제어기(7)는 해당 피스톤들의 크랭크축 센서의 정보와 캠축 센서의 정보를 이용한다. 이것은 프로그램 포인트(220)에서 수행된다. 후속하는 프로그램 포인트(230)에서 제어기(7)는 상사점 후에 제1 피스톤(9)이 구동 행정에서 다시 말해서 제1 위치(P1)에서 정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구동기(8)의 도움으로 선택된 피스톤을 본 예시에서는 제1 실린더(2)의 제1 피스톤(9)을 제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실린더(2)가 가능한 많은 공기 주입물을 가지는 방식으로 다시 말해서 제1 피스톤(1)이 제1 실린더(2)의 유출 밸브의 개방 직전 위치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제1 피스톤(P1)이 선택된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 행정은 더 이상 실행되지 아니하고 다시 말해서 바람직하게는 더 이상 연료가 분사되지 아니하고 점화도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어서 시동 요청이 발생할 때까지 내연 기관이 이러한 위치에서 유지된다. 시동 요청은 프로그램 포인트(240)에서 발생한다. 이어서 프로그램 포인트(250)에서 제1 피스톤(9)이 상사점(OT)의 방향으로 되돌아 제1 위치(P1)로부터 정상적인 엔진 구동 방향을 거슬러서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실린더의 유입 밸브 및 유출 밸브가 폐쇄된다. 최대로 압축된 공기에 의한 역전된 피스톤의 종값(end value)을 나타내는, 제2 위치(P2) 도달 전에, 연료가 분사된다. 후속 압축 행정에 의해서 공기-연료 혼합물의 혼합(swirling)이 얻어진다. 제2 위치(P2) 도달 시 공기-연료 혼합물이 점화된다. 이상의 예시에서와같이 제2 위치(P2)는 상사점(OT) 이후인데, 상사점을 극복할 에너지가 절약되기 때문이다. 또한 엔진은 회전 방향으로 시동될 것이다. 연료는 예를 들어 제2 위치(P2) 도달 전에 크랭크축 각도 10°에서 분사된다.
선택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다른 실린더의 본 예시에서는 제3 실린더의 유입 밸브가 개방되고 제3 실린더에 후레쉬 에어가 공급되는 방식으로 제2 위치(P2)가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를 회복하기 위한 에너지 회복을 위하여, 시동기-발전기의 도움에 의해서 내연 기관을 제동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시동 동안 먼저 점화되는 선택된 실린더의 피스톤이 선택된 실린더 내로 유출 채널(14)을 통해 후레쉬 에어가 유입될 때까지 처음에(initially) 정상적인 이동 방향으로 구동기(8)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단지 선택된 실린더의 피스톤이 전술한 방식으로 상사점의 방향으로 되돌아 엔진의 회전 방향에 거슬러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피스톤들이 크랭크축에 연결되어서 모든 피스톤들이 동시에 이동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택된 실린더의 유출 밸브가 이미 개방되는 방식으로, 제동 동안 선택된 실린더의 피스톤이 제동된다. 나아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기(7)가 실린더를 선택할 수 있고 그것의 유출 밸브는 구동 행정 직후에 개방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회복하기 위해서 엔진을 제동하기 위해 와전류 제동(eddy-current brake)이 사용된다.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실린더, 유입 및 유출 밸브를 구비하고 그리고 크랭크축과 상호작용하고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내연 기관의 정상 동작 동안 상기 크랭크축을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으로서,
    상기 피스톤이 시동 위치에 위치되고,
    구동기(drive)의 도움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이 소정의 시동 위치가 되도록 상기 크랭크축의 정상적인 회전 방향에 거슬러 이동되고,
    연료가 상기 실린더 내로 분사되고 상기 연료가 점화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컷-아웃(cutting-out) 시 상기 실린더에 대한 점화가 수행되지 아니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위치가 상기 피스톤의 구동 행정(power stroke) 중에 있고,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top dead centre)의 방향으로 되돌아 이동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상사점을 넘어서서 되돌아 이동되지 아니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위치 도달 전에 연료가 상기 실린더 내로 분사되고 이어서 상기 연료가 점화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6. 제1 항 내지 제4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위치 도달 전에 연료가 제1 실린더 내로 분사되고 이어서 상기 연료가 시동 점(start point)에서 점화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은 적어도
    제2 유입 밸브롤 구비하고 제2 유출 밸브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과 상호작용하는 제2 피스톤을 구비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고,
    제1 피스톤이 상기 시동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피스톤이 제3 위치로 이동되고 그 동안 상기 제2 피스톤의 유입 밸브가 개방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컷-아웃 시 제1 피스톤의 이동이 제동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이 상사점 이후의 영역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출 밸브의 개방 없이 이동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제1 피스톤이 상기 시동 위치로부터 제1 실린더의 유출 밸브가 개방될 때까지 상기 크랭크축의 정상적인 회전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이 상기 시동 위치가 되도록 상기 크랭크축의 정상적인 회전 방향을 거슬러 이동되는,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11. 내연 기관(1)의 크랭크축(6)에 연결된 구동기(8)와 제어기(7)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1)의 시동 장치로서,
    상기 제어기(7)가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한 항에 따라서 상기 구동기(8)를 제어하도록 설계된,
    내연 기관의 시동 장치.
  12.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제어기.
KR1020107017641A 2008-01-08 2008-10-27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장치 및 제어기 KR20100096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03540.8 2008-01-08
DE102008003540 2008-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282A true KR20100096282A (ko) 2010-09-01

Family

ID=4043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641A KR20100096282A (ko) 2008-01-08 2008-10-27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장치 및 제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63580B2 (ko)
EP (1) EP2240683A1 (ko)
KR (1) KR20100096282A (ko)
WO (1) WO2009086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7405A (ja) * 2012-10-11 2014-05-01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システムおよび鞍乗り型車両
JP2015108323A (ja) * 2013-12-04 2015-06-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システムおよび鞍乗り型車両
JP2015108322A (ja) * 2013-12-04 2015-06-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システムおよび鞍乗り型車両
WO2015153448A1 (en) 2014-03-31 2015-10-08 Cummins, Inc. Fast engine synchronization for restart management
JP7324061B2 (ja) * 2019-06-11 2023-08-09 株式会社Subaru エンジン駆動装置
JP7310461B2 (ja) * 2019-09-03 2023-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パワートレー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12C (de) W. E. hale in Chicago, V. St. A Neuerungen an Gasmotoren
DE201157C (ko)
US6098585A (en) * 1997-08-11 2000-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cylinder four stroke direct injection spark ignition engine
DE19955857A1 (de) * 1999-11-20 2001-06-0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Starten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DE10020325A1 (de) 2000-04-26 2001-11-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Starten einer mehrzylindrigen Brennkraftmaschine
DE10328123A1 (de) * 2002-06-24 2004-01-15 Denso Corp., Kariya Steuer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4004872B2 (ja) 2002-06-27 2007-1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JP4273838B2 (ja) * 2002-09-30 2009-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始動制御装置
JP2004339952A (ja) 2003-05-13 2004-12-0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始動装置
JP3800226B2 (ja) * 2004-04-30 2006-07-2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4345587B2 (ja) * 2004-06-21 2009-10-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機関始動制御システム
JP4516401B2 (ja) * 2004-10-18 2010-08-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JP2007085231A (ja) * 2005-09-21 2007-04-05 Toyota Motor Corp 筒内直噴内燃機関
US7461621B2 (en) * 2005-09-22 2008-12-09 Mazda Motor Corporation Method of starting spark ignition engine without using starter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5872A1 (en) 2010-11-04
US8763580B2 (en) 2014-07-01
EP2240683A1 (de) 2010-10-20
WO2009086957A1 (de)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3965B (zh) 用于尤其在混合动力车中无起动器地起动内燃发动机的方法和装置
JP3939905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CN101173645B (zh) 使用传统曲柄装置的降噪发动机起动-停止系统
US200401238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of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00096282A (ko) 내연 기관의 시동 방법, 장치 및 제어기
KR20130108551A (ko)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04251275A (ja) 燃焼機関の運転方法
CN103104364A (zh) 启动时向发动机喷射燃料的方法
KR102122622B1 (ko)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096333A (ko) 내연기관의 시동방법 및 시동장치
JP2007285299A (ja) 燃焼室弁を備えた内燃機関
US20160123242A1 (en) Engine Braking
KR101104429B1 (ko) 다기통 엔진 시동 방법 및 다기통 엔진
JP2005140112A (ja) 自動車用の内燃機関の再始動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20190017459A1 (en) Method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62136B2 (en) Methods for starting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059029B1 (ko) 공기 충전량을 줄여 내연기관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3423937B (zh) 用于控制直接喷射式内燃机的操作的控制器和方法
WO2010046826A1 (en) Method of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760739B2 (ja) 内燃機関の自動停止・始動システム
JP5051115B2 (ja) 直接始動機能付き内燃機関
JP200631668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20170145934A1 (en) Drive device for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having such a drive device,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for actuating the drive device
JP2004301083A (ja) エンジンの始動装置
RU2706246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уска бензинового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автомоби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