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102A -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102A
KR20100095102A KR1020090014217A KR20090014217A KR20100095102A KR 20100095102 A KR20100095102 A KR 20100095102A KR 1020090014217 A KR1020090014217 A KR 1020090014217A KR 20090014217 A KR20090014217 A KR 20090014217A KR 20100095102 A KR20100095102 A KR 20100095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ee
examination
location
information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260B1 (ko
Inventor
김성덕
김학용
서동길
정태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2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치 인식 시스템을 통해 피검진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 정보를 건강 검진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건강 검진 시스템은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 예약을 수행하며, 피검진자가 소지한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피검진자가 다음 검진실까지 도달하도록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해준다. 건강 검진 시스템은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여 피검진자가 건강 검진 영역에서 벗어나는지를 확인하고, 피검진자로부터 비상 호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관리자가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강 검진의 전 과정이 자동화되기 때문에 건강 검진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건강 검진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건강 검진, 네비게이션, 위치 추적, 스케줄링

Description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MEDICAL EXAMINATION BY USING LOCATION TRACKING }
본 발명은 건강 검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진자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하고,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든 검진 과정을 자동화한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장인들은 2년에 한번 또는 1년에 한번 꼴로 정기 건강 검진을 받는다. 또한, 일반인들도 자신의 건강에 이상이 생기거나 건강이 의심스러운 경우, 건강 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여기서, 종전의 건강 검진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1) 건강 검진을 위해 피검진자들이 개인별 건강 검진 차트를 소지함
2) 각 검진실 예약을 위해, 검진실 앞 차트 보관함에 개인별 건강 검진 차트를 이전 피검진자 차트의 다음 위치에 직접 넣음
3) 검진실에서 순서대로 건강 검진을 받음
4) 검진 완료 후, 간호사의 지시를 듣고 다음 검진실로 이동함
5) 모든 검진실마다 검진실 예약 및 대기 순서 확정을 위해 앞의 2) ~ 4) 단계를 반복함
그러나, 종전의 건강 검진의 경우, 각 검진실 예약 및 검진 대기자 관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업무 처리가 비효율적이고, 건강 검진과 관련된 정보 획득이 간호사나 의사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검진 대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예측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 검진 업무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강 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피검진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송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과,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 예약을 수행하며, 상기 피검진자를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를 수행하는 건강 검진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위치 인식 시스템은, 각 검진실 입구에 설치되며, 자신의 고유 아이디(ID) 값이 포함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와,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피검진자용 단말기와,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가 전송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여 전송 하는 위치 수집 장치와, 상기 위치 수집 장치가 전송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위치 측정 서버는,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 아이디 값이 상기 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위치의 위치 좌표 값과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이 수신되면 해당 신호 발생기의 위치 좌표 값을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시스템은,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하는 피검진자용 단말기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값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라우터와, 상기 복수 개의 라우터가 전송하는 거리 값들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전송하는 거리 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건강 검진 서버는, 상기 위치 측정 서버로부터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스케줄링 팩터(Scheduling Factor) 및 피검진자별로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예약하는 검진실 예약부와, 상기 스케줄링 팩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하는 검진 스케줄러와, 상기 다음 검진실까지 상기 피검진자를 길 안내하는 네 비게이션부와,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검진실에 설치되며,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완료 시 검진 완료 정보를 상기 건강 검진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검진실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검진자가 기설정된 건강 검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을 알려주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는,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전송하는 검진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RF 통신 모듈과, 상기 수신한 검진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RF 통신 모듈이 상기 검진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 도착 여부를 알려주는 메시지 도착 알림부와, 상기 피검진자의 위급 상황 발생시, 비상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비상 호출 버튼과,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한 비상 호출 버튼을 상기 건강 검진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RF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의 일 실시예는, (A) 건강 검진 서버가 스케줄링 팩터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와, (B) 위치 인식 시스템이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 여 상기 건강 검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D)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피검진자를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 상의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E)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한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검진실 입실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피검진자의 잔여 검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에서 확인 결과, 피검진자의 잔여 검진이 있는 경우,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재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H) 상기 (F) 단계에서 확인 결과, 피검진자의 잔여 검진이 없는 경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검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 피검진자들이 자신의 검진용 차트를 들고 다니면서 각 검진실마다 손수 예약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검진 대 기 순서를 수작업으로 관리해야하는 불편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검진실 예약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매 검진이 끝날 때 마다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자동으로 재 스케줄링하기 때문에, 건강 검진 업무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검진자들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피검진자에게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를 해줌으로써, 피검진자에게 편의를 제공해주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피검진자가 다음 검진실을 찾아 헤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검진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건강 검진 과정에서 피검진자는 자신의 위급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고, 관리자도 해당 피검진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히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강 검진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 자동화할 수 있어, 고객의 불만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고, 건강 검진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강 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피검진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이 있 다. 즉, 각 검진실의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가 발생하는 고유 아이디(ID) 값을 이용하는 방법(이하, '제1 위치 인식 방법'이라 한다)과, 위치 인식 인프라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마다 피검진자가 소지한 피검진자용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이하, '제2 위치 인식 방법'이라 한다)이 있다.
상기 제1 위치 인식 방법은 피검진자용 단말기가 신호 발생기의 인식 거리 영역에 도달하여 신호 발생기가 발생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고유 아이디 값을 위치 측정 서버로 전달하면, 위치 측정 서버가 상기 고유 아이디 값과 대응되어 등록된 해당 신호 발생기의 위치 좌표값(또는 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검진실의 위치 좌표값)을 확인하여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상기 제2 위치 인식 방법은 위치 인식 인프라(예를 들면, 복수 개의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 등으로 이루어진 위치 수집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피검진자용 단말기 주위의 3개 이상의 라우터가 피검진자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게이트웨이를 통해 위치 측정 서버로 전달하면, 위치 측정 서버가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이때, 각 검진실의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를 상기 라우터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자신의 고유 아이디 값을 발생하기위한 저주파 RF 모듈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송신하기 위한 고주파 RF 모듈을 함께 탑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은, 각 피검진자들의 위치(구체적으로 각 피검진자가 소지한 피검진자용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각 피검진자들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100)과, 상기 각 피검진자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피검진자들의 검진실 예약 및 검진 스케줄링 등의 건강 검진 관련 프로세스 전반을 수행하는 건강 검진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시스템(100)은 신호 발생기(110), 피검진자용 단말기(120), 위치 수집 장치(130), 위치 측정 서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각 검진실 입구에 설치된다.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일정한 주기로 상기 신호 발생기(110)의 고유 아이디(ID) 값이 포함된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인체, 물건 등의 장애물 환경에서도 간섭없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저주파 RF 신호(예를 들면, 125KHz)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에는 상기 신호 발생기(110)의 고유 아이디(ID) 값이 상기 신호 발생기(110)가 설치된 위치의 좌표값과 서로 대응되도록 저장되어 있어, 상기 신호 발생기(110)가 발생하는 고유 아이디 값만으로도 상기 피 검진자용 단말기(12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신호 발생기(110)의 설치된 위치로부터 반경 1 ~ 6m 내에서 인식 거리 영역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가 자신의 위치로부터 반경 3m 이내에 진입했을 때, 자신이 발생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식 거리 영역을 3m로 세팅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가 자신이 발생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 거리 영역을 자신의 설치된 위치로부터 반경 1 ~ 6m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제2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값을 위치 수집 장치(130)의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의 발생을 위한 저주파 RF 송수신 모듈이외에, 고주파(예를 들어, 2.4GHz) RF 송수신 모듈을 탑재한다.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는 상기 신호 발생기(110)가 발생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여 위치 수집 장치(130)로 전송한다.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은 위치 수집 장치(130)를 통해 위치 측정 서버(140)로 전달되어, 해당 피검진자의 위치 측정에 이용된다.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는 상기 건강 검진 시스템(200)으로부터 검진 예약 정보, 검진실 이동 안내(네비게이션 정보), 긴급 메시지, 검진실 입실 메시지 등 건강 검진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여 준다. 이때,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는 진동, 엘이디(LED), 스피커 등을 통해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해당 피검진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는 피검진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건강 검진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는 비상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비상호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수집 장치(130)는 복수 개의 라우터와 게이트웨이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신호 발생기(110)의 고유 아이디 값을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위치 수집 장치(130)는 상기 제2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의 주위의 3개 이상의 라우터들이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측정된 거리 값들을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로 전달한다.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는 상기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상기 위치 수집 장치(130)가 전달하는 상기 신호 발생기(110)의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의 위치를 인식한다.
즉,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에는 상기 고유 아이디(ID) 값이 상기 신호 발생기(110)의 위치 좌표값으로 매핑되어 있어,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의 위치를 바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는 상기 제2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상기 위치 수집 장치(13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와의 거리 값(3개 이상의 거리 값 정보)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의 위치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는 삼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삼각 측량법을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은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는 상기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건강 검진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상기 건강 검진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검진실 단말기(210)와, 건강 검진 서버(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 개의 검진실 단말기(210)는 각 검진실 내에 설치되며, 피검진자의 검진 완료시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이 입력하는 피검진자의 검진 완료 정보를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로 전송한다.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가 전송하는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검진실의 자동 예약을 수행하고, 다음 검진실이 예약되었음을 알리는 검진 예약 정보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가 검진실의 자동 예약을 수행하는 방법에는 다음의 4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i)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하는 방법 : 각 검진실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의 인식 거리 영역(송신 영역)을 지정하여, 피검진자가 상기 신호 발생기의 인식 거리 영역 내에 들어오는 경우 해당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한다. 이 경우, 신호 발생기의 인식 거리 영역을 1m ~ 6m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ii)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하는 방법 : 일정 시간을 주기로 피검진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를 통해 피검진자가 이동하고 있는 다음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함.
iii)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예약하는 방법 : 피검진자의 위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두 가지의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함.
iv) 검진 완료시 자동으로 예약하는 방법 : 각 검진실 단말기로부터 피검진자의 검진 완료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을 확인하여 다음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함.
이 경우, 각 피검진자들이 자신의 검진용 차트를 들고 다니면서 각 검진실마다 손수 예약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검진 대기 순서를 수작업으로 관리해야하는 불편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검진실 예약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강 검진 업무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검진자들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검진 예약 정보 뿐만 아니라 대기자 정보(대기자 수 및 대기 시간 등), 다음 검진실 정보, 긴급 메시지, 검진실 입실 메시지 등과 같은 검진 관련 메시지들을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17번 영상 의학실 검진이 예약되었습니다' 등과 같은 검진 예약 정보, '다음 검진실은 19번 엑스레이실입니다' 등과 같은 다음 검진실 정보, '현재 대기자는 3명입니다. 대기 시간은 20분입니다' 등과 같은 대기자 정보, '19번 엑스레이실로 지금 바로 오시기 바랍니다' 등과 같은 긴급 메시지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피검진자별로 검진 스케줄링(Scheduling)을 수행하는데, 피검진자에게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를 배분할 때 초기 스케줄링을 하게 되고, 이후 피검진자가 다음 검진실로 이동할 때마다 재 스케줄링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초기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스케줄링 팩터(Scheduling Factor)인 총 피검진자 수, 검진실별 대기자수, 평균 검진시간, 총 검진실 개수, 검진별 순서관계, 현재의 위치로부터 다음 검진실까지 이동하는데 걸 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한다.
그리고,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매 검진이 끝날때 마다, 현 스케줄링상 다음 검진실까지의 소요 시간(여기서, 소요 시간은 이동 시간 및 대기 시간을 포함)과 스케줄링 팩터 값을 기준으로 계산된 최단 대기시간의 검진실까지의 소요 시간 및 검진별 순서관계를 비교하여 총 소요 시간이 적게 걸리는 검진실을 다음 검진실로 하는 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 경우, 스케줄링 팩터를 사용하여 매 검진이 끝날때 마다,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자동으로 재 스케줄링함으로써, 건강 검진에 걸리는 전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길 안내(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다음 검진실까지의 이동 방법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검진실, 총 이동거리, 이동 시간, 층정보, 이동 방향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17번 엑스레이실, 70m 이동, 2분 예상, 2층, 현 위치에서 오른쪽-엘리베이터 우측방향 직진 30m "등과 같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다음 검진실까지의 길 안내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가 기설정된 도착 인식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하다. 여기서, 도착 인식 영역은 각 검진실의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110)의 인식 거리 영역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음 검진실까지의 길 안내는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가 다음 검진실의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110)의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할 때까지 지속한다.
한편,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검진 예약 정보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분 또는 5분)이 지나도 해당 피검진자가 예약된 검진실로 오지 않으면, '예정된 다음 검진실로 이동하라'는 내용의 안내 메시지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 다음 검진실까지의 이동 방법을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재계산한 후,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검진자에게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를 해줌으로써, 피검진자에게 편의를 제공해주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피검진자가 다음 검진실을 찾아 헤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검진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부터 비상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여 관리자들이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는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한 위치 정보를 표시해준다.
만약, 상기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 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동일한 경우는,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를 우선하여 표시해준다.
이때,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초기시부터 현재까지의 이동 경로를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와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건강 검진 과정에서 피검진자는 자신의 위급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고, 관리자도 해당 피검진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히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위급 상황이 발생하여 피검진자가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를 통해 비상 호출을 하는 경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응답 신호(ACK)를 전송하여, 피검진자로 하여금 관리자가 위급 상황을 인지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피검진자가 기설정된 건강 검진 장소를 벗어날 경우,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은 팝업창을 통한 표시, 경보음 발생,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의 방법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강 검진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완전 자동화할 수 있어, 고객의 불만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고, 건강 검진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강 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한 위치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한 위치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신호 발생기(110)가 저주파 RF 신호(예를 들면, 125KHz)로 고유 아이디 값을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고유 아이디 값을 피검진자용 단말기(120)가 수신하여 위치 수집 장치(130)로 전송해준다.
그리고, 상기 위치 수집 장치(130)가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을 위치 측정 서버(140)로 전달해주면, 위치 측정 서버(140)가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어 있는 위치 좌표(즉, 상기 신호 발생기(110)의 위치 좌표)를 추출해낸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위치 수집 장치(130)의 복수 개의 라우터 또는 신호 발생기(110)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위치 수집 장치(130)의 게이트웨이를 통해 위치 측정 서버(140)로 전달해준다. 여기서, 두 개의 무선 통신 노드 간의 거리 측정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라우터 또는 신호 발생기(110)에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와의 거리 측정을 위해, 고주파 RF(예를 들면, 2.4GHz) 송수신용 모듈이 탑재된다.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는 상기 측정된 거리 값을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을 통해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의 위치를 측정한다. 즉,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에는 상기 복수 개의 라우터 및 신호 발생기(110)의 위치 좌표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위치 좌표 값들과 상기 측정된 거리 값(여기서, 측정된 거리 값은 3개 이상이 필요함)들을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을 통해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피검진자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는 RF 통신 모듈(121), 표시부(122), 메시지 도착 알림부(123), 음성 출력부(124), 비상 호출 버튼(125), 제어부(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RF 통신 모듈(121)은 신호 발생기(110)가 발생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여 위치 수집 장치(13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RF 통신 모듈(121)은 상기 신호 발생기(110) 또는 위치 수집 장치(130)의 라우터들과 거리 측정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RF 통신 모듈(121)은 건강 검진 서버(220)가 전송하는 각종 검진 관련 정보(예를 들면, 검진 예약 정보, 다음 검진실 정보, 긴급 메시지, 네비게이션 정보, 대기자 정보, 검진실 입실 메시지 등)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RF 통신 모듈(121)은 상기 비상 호출 버튼(125)이 발생하는 비상 호출 신호를 건강 검진 서버(220)로 전송한다.
상기 표시부(122)는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가 전송하는 각종 검진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22)는 평판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LCD, PDP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도착 알림부(123)는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로부터 각종 검진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피검진자에게 메시지 도착 여부를 알려준다. 이때, 상기 메시지 도착 알림부(123)는 진동(울림)을 통해 메시지 도착 여부를 알릴 수 있고, 경광등을 일정 시간 동안 점멸시켜 메시지 도착 여부를 알릴 수 있으며, 또한 경보음을 발생하여 메시지 도착 여부를 알릴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124)는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검진 관련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비상 호출 버튼(125)은 피검진자에게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 호출 신호를 발생한다. 즉, 상기 비상 호출 버튼(125)은 피검진자가 위급 상황으로 인해 비상 호출 버튼(125)을 누르면 비상 호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RF 통신 모듈(121)이 상기 신호 발생기(110) 및 위치 수집 장치(13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로부터 각종 검진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검진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122) 및 음성 출력부(124)를 제어하며, 상기 검진 관련 정보의 도착 여부를 피검진자에게 알리도록 상기 메시지 도착 알림부(123)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강 검진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강 검진 서버(220)는 통신 수단(221), 데이터 베이스(222), 검진실 예약부(223), 검진 스케줄러(224), 네비게이션부(225), 위치 표시 수단(226), 알림부(227), 컨트롤러(2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수단(221)은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로부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 수단(221)은 각종 건강 검진 관련 정보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 수단(221)은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가 전송하는 비상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ACK)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 수단(221)은 각 검진실 단말기(210)로부터 검진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2)는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피검진자 별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222)는 각 피검진자별로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해 측정한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해 측정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각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함께 기록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22)는 검진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링 팩터들을 저장한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222)는 총 피검진자 수, 검진실별 대기자수, 평균 검진시간, 총 검진실 개수, 검진별 순서관계, 각 검진실별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 등의 스케줄링 팩터들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222)는 상기 각 검진실 단말기(210)로부터 수신한 검진 완료 정보를 이용하여, 검진실별 대기자수, 평균 검진시간 등의 스케줄링 팩 터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는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가 수행한 검진 예약 정보는 상기 통신 수단(221)을 통해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달된다.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i)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하는 방법, ii)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하는 방법, iii)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예약하는 방법, iv) 검진 완료시 자동으로 예약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각 검진실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110)의 인식 거리 영역을 1m ~ 6m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는 피검진자가 상기 인식 거리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해당 검진실에 대한 예약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는 검진실과 피검진자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예약 기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는 예약 기준 영역을 수m ~ 수십m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는데, 실시간으로 측정된 피검진자의 위치가 검진실을 기준으로 상기 예약 기준 영역에 속하게 되는 경우, 해당 검진실에 대한 예약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또한,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검진실 예약을 수행하는 경우, 피검진자의 위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하면 항상 수 m 이내의 정확도를 보장하므로,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에 우선 순위를 두고 검진실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는 각 검진실 단말기(210)로부터 피검진자의 검진 완료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을 확인하여 다음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할 수 있다.
상기 검진 스케줄러(224)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2)에 저장된 스케줄링 팩터를 이용하여 피검진자별로 검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검진 스케줄러(224)는 검진 초기 단계에서 초기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이후 피검진자가 다음 검진실로 이동할 때마다 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검진 스케줄러(224)는 검진 초기 단계에서, 총 피검진자 수, 평균 검진시간, 검진실별 대기자수, 총 검진실 개수, 검진별 순서관계, 각 검진실별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 등의 스케줄링 팩터들을 이용하여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한다.
그리고, 상기 검진 스케줄러(224)는 피검진자의 검진이 끝날때 마다, 상기 스케줄링 팩터들을 이용하여 총 소요 시간(검진시까지 대기 시간 및 이동 시간)이 가장 적게 걸리는 검진실을 다음 검진실로하는 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네비게이션부(225)는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네비게이션부(225)는 위치 측정 서버(14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통해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에서 다음 검진실을 확인하여, 다음 검진실까지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준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부(225)는 다음 검진실, 총 이동 거리, 이동 시간, 다음 검진실의 층정보, 이동 방향 등과 같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하여 길 안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부(225)는 피검진자가 다음 검진실에 도착하기까지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길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부(225)는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피검진자의 위치가 다음 검진실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기설정된 도착 인식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길 안내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착 인식 영역은 다음 검진실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110)의 인식 거리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위치 표시 수단(226)은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부터 비상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 경우, 관리자는 위급 상황이 발생한 피검진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표시 수단(226)은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한 위치 정보를 표시해준다.
여기서, 상기 위치 표시 수단(226)은 상기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간이 동일한 경우, 제1 위치 인식 방법으로 측정한 위치 정보를 우선하여 피검진자의 현 위치를 화면에 표시해준다.
또한, 상기 위치 표시 수단(226)은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초기시부터 현재까지의 이동경로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알람부(227)는 컨트롤러(228)의 제어에 따라, 피검진자가 기설정된 건강 검진 영역을 벗어날 경우,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여기서, 상기 알람부(227)는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을 팝업창을 통한 표시, 경보음 발생,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의 방법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해 줄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28)는 상기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228)는 위치 측정 서버(140), 피검진자용 단말기(120) 및 검진실 단말기(210)와 각각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수단(221)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28)는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피검진자 별로 저장하되, 각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함께 기록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222)를 제어하며, 상기 검진실 단말기(210)로부터 검진 완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스케줄링 팩터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222)를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28)는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가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 또는 각 검진실 단말기(210)로부터 수신한 검진 완료 정보 등을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하도록 상기 검진실 예약부(223)를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28)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2)에 저장된 스케줄링 팩터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하도록 상기 검진 스케줄러(224)를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28)는 상기 위치 측정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통해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상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를 수행하도록 상기 네비게이션부(225)를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28)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부터 비상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위치 표시 수단(226)을 제어하며, 피검진자가 기설정된 건강 검진 장소를 벗어날 경우,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려도록 상기 알람부(227)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피검진자에게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를 대여해주고, 건강 검진 서버(220)가 해당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의 초기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 100).
다음으로, 위치 인식 시스템(100)은 피검진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건강 검진 서버(220)로 전송한다(S 110).
이어서,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위치 인식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 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 120).
이 후,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부터 검진실 정보(이는 각 검진실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의 고유 아이디 값으로부터 얻을 수 있음)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 130).
상기 단계 S 130의 확인 결과, 검진실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수신된 검진실 정보가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40).
상기 단계 S 140의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검진실 정보와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다음 검진실을 자동으로 예약하고, 검진 예약 정보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 150). 이때,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예약된 검진실의 대기자수 및 대기시간 등과 같은 대기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검진실에 설치된 검진실 단말기(210)로부터 검진 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검진 완료 정보를 통해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가 도달하는지를 확인하여(S 160),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가 도달한 경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검진실 입실 메시지를 전송한다(S 170).
이어서,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상기 검진실 단말기(210)로부터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을 통해 잔여 검진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 180).
상기 단계 S 180의 확인 결과, 상기 피검진자의 잔여 검진이 있는 경우,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스케줄링 팩터들을 이용하여 최단 소요시간의 검진실을 다음 검진실로하는 재 스케줄링을 수행한 후(S 190), 상기 단계 S 120 내지 단계 S 180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단계 S 180의 확인 결과, 상기 피검진자의 잔여 검진이 없는 경우,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검진 완료 메시지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전송하여, 피검진자로 하여금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를 반납하도록 한다(S 200).
한편, 여기서는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검진실 예약을 수행하는 경우를 살펴보았으나, 그 이외에 앞서 언급한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검진실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실시간으로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가 기설정된 건강 검진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고,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여, 피검진자가 건강 검진 장소로 돌아오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검진 서버(220)는 필요한 경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120)로부터 비상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피검진자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히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을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 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전자 회로, 집적 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별개인 것으로 설명된 수단 등의 구성요소는 단순히 기능상 구별된 것으로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일한 것으로 설명된 수단 등의 구성요소도 수개의 구성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방법 단계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고, 다른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각각 독립하여서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한 위치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위치 인식 방법에 의한 위치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피검진자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건강 검진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위치 인식 시스템 110 : 신호 발생기
120 : 피검진자용 단말기 121 : RF 통신 모듈
122 : 표시부 123 : 메시지 도착 알림부
124 : 음성 출력부 125 : 비상 호출 버튼
126 : 제어부 130 : 위치 수집 장치
140 : 위치 측정 서버 200 : 건강 검진 시스템
210 : 검진실 단말기 220 : 건강 검진 서버
221 : 통신 수단 222 : 데이터베이스
223 : 검진실 예약부 224 : 검진 스케줄러
225 : 네비게이션부 226 : 위치 표시 수단
227 : 알림부 228 : 컨트롤러

Claims (31)

  1. 피검진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송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 예약을 수행하며, 상기 피검진자를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를 수행하는 건강 검진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시스템은,
    각 검진실 입구에 설치되며, 자신의 고유 아이디(ID) 값이 포함된 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신호 발생기;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피검진자용 단말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가 전송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위치 수집 장치; 및
    상기 위치 수집 장치가 전송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는,
    인식 거리 영역을 1m ~ 6m의 범위에서 조절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서버는,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 아이디 값이 상기 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위치의 위치 좌표 값과 매칭하여 저장하며,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이 수신되면 해당 신호 발생기의 위치 좌표 값을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시스템은,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하는 피검진자용 단말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값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라우터;
    상기 복수 개의 라우터가 전송하는 거리 값들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전송하는 거리 값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측정 서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검진 서버는,
    상기 위치 측정 서버로부터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
    스케줄링 팩터(Scheduling Factor) 및 피검진자별로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예약하는 검진실 예약부;
    상기 스케줄링 팩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하는 검진 스케줄러;
    상기 다음 검진실까지 상기 피검진자를 길 안내하는 네비게이션부; 및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팩터는,
    총 피검진자 수, 검진실별 대기자수, 평균 검진시간, 총 검진실 개수, 검진별 순서관계, 각 검진실별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각 검진실에 설치되며,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완료 시 검진 완료 정보를 상기 건강 검진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검진실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진 완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검진 완료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스케줄링 팩터를 업데이트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의 대기자수를 확인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순서가 도달한 경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검진실 입실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실 예약부는,
    상기 수신한 검진 완료 정보 및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확인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예약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2. 제6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실 예약부는,
    상기 다음 검진실을 예약한 후, 검진 예약 정보를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 스케줄러는,
    상기 업데이트된 스케줄링 팩터를 이용하여 검진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검진실을 다음 검진실로하는 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부는,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피검진자가 상기 다음 검진실까지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피검진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다음 검진실 정보, 총 이동 거리, 이동 시간, 다음 검진실의 층정보, 이동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부는,
    상기 피검진자가 기설정된 도착 인식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길 안내를 수행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화면에 표시하는 위치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진자가 기설정된 건강 검진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을 알려주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 동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는,
    상기 피검진자의 이탈 상황을 팝업창을 통한 표시, 경보음 발생, 문자 메시지 전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알려주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는,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전송하는 검진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RF 통신 모듈;
    상기 수신한 검진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RF 통신 모듈이 상기 검진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메시지 도착 여부를 알려주는 메시지 도착 알림부;
    상기 피검진자의 위급 상황 발생시, 비상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비상 호출 버튼; 및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한 비상 호출 버튼을 상기 건강 검진 서버로 전송하 도록 상기 RF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 관련 정보는,
    검진 예약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검진실 입실 메시지, 긴급 메시지, 다음 검진실 정보, 대기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22. (A) 건강 검진 서버가 스케줄링 팩터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B) 위치 인식 시스템이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건강 검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측정은,
    (B-1)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한 피검진자용 단말기가 각 검진실 입구에 설치된 신호 발생기가 발생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계;
    (B-2) 위치 수집 장치가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B-3) 위치 측정 서버가 상기 위치 수집 장치가 전송한 고유 아이디 값을 수신한 후, 상기 고유 아이디 값과 대응되는 위치 좌표값을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피검진자의 위치 측정은,
    (B-10) 복수 개의 라우터가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한 피검진자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한 후, 측정된 거리 값들을 전송하는 단계;
    (B-20) 게이트웨이가 상기 측정된 거리 값들을 수신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B-30) 위치 측정 서버가 상기 게이트웨이가 전송하는 거리 값들을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거리 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건강 검진 서버는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 상의 다음 검진실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C-2)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가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 상의 다음 검진실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피검진자의 다음 검진실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D)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피검진자를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 상의 다음 검진실까지 길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수신한 피검진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D-2) 상기 피검진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스케줄링 상의 다음 검진실까지 이르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3)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한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E)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피검진자가 소지한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검진실 입실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검진실에 설치된 검진실 단말기로부터 검진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2) 상기 검진 완료 정보를 통해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가 도달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E-3)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가 도달한 경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검진실 입실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상기 건강 검진 서버가 상기 피검진자의 잔여 검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확인 결과, 피검진자의 잔여 검진이 있는 경우, 상기 피검진자의 검진 순서를 재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H) 상기 (F) 단계에서 확인 결과, 피검진자의 잔여 검진이 없는 경우, 상기 피검진자용 단말기로 검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방법.
KR1020090014217A 2009-02-20 2009-02-20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090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217A KR101090260B1 (ko) 2009-02-20 2009-02-20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217A KR101090260B1 (ko) 2009-02-20 2009-02-20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02A true KR20100095102A (ko) 2010-08-30
KR101090260B1 KR101090260B1 (ko) 2011-12-06

Family

ID=4275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217A KR101090260B1 (ko) 2009-02-20 2009-02-20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2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848A2 (ko) * 2011-05-04 2012-11-08 Chun Jung Bum 건강 검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1033A (ko) *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지엠홀딩스 통합 의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34476A (ko) * 2021-09-02 2023-03-10 (의) 삼성의료재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진행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4475A (ko) * 2021-09-02 2023-03-10 (의) 삼성의료재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진행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411B1 (ko) *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WO2017155357A1 (ko) * 2016-03-10 2017-09-14 노형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635B1 (ko) * 2005-02-24 2006-05-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진료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0848A2 (ko) * 2011-05-04 2012-11-08 Chun Jung Bum 건강 검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150848A3 (ko) * 2011-05-04 2013-01-17 Chun Jung Bum 건강 검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1033A (ko) *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지엠홀딩스 통합 의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34476A (ko) * 2021-09-02 2023-03-10 (의) 삼성의료재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진행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4475A (ko) * 2021-09-02 2023-03-10 (의) 삼성의료재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진단 진행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260B1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260B1 (ko)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US10198927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fall and perimeter breach events for residents of an assisted living facility
US112820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patient appointments
JP5010985B2 (ja) センサノード
CN107180268B (zh) 医疗信息推送和提醒的方法、装置及系统
CN108074313A (zh) 候诊排程系统
CN112424871A (zh) 基于患者工作流程和资源可用性的优化患者日程安排
CN102714524A (zh) 基于社区的响应系统
US20210295985A1 (en) System and method to predict patients' door-to-door hospital procedure event timeline
US20150221208A1 (en) Sanitation Dispenser System and Program
US20190172578A1 (en) Dispatch management platform for nurse call system
KR20090128074A (ko) 휴대 무선 단말기, 고정 무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실내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JP2017021699A (ja) 健康診断検査管理装置及び健康診断検査管理システム
CN112489778A (zh) 就诊导航方法、服务器、客户端以及智能就医系统
KR20160116357A (ko)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시스템
US112913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ve patient tracking for surgical centers and hospitals
TWI556187B (zh) 看診順序安排方法、系統與一電腦可讀取儲存裝置
JP5591725B2 (ja) センサ情報処理分析システム及び解析サーバ
US11107575B1 (en) Lighting system for medical appointment progress tracking
KR20170010658A (ko)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7279859A (ja) 施設運用の管理システム
JP5506593B2 (ja) センサデータ収集システム
KR20160036984A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병의원 검진 안내시스템
TWM557421U (zh) 健檢排程系統
US20180189459A1 (en) Patient lab test complianc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328

Effective date: 201111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10024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328

Effective date: 2011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