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658A -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658A
KR20170010658A KR1020150102597A KR20150102597A KR20170010658A KR 20170010658 A KR20170010658 A KR 20170010658A KR 1020150102597 A KR1020150102597 A KR 1020150102597A KR 20150102597 A KR20150102597 A KR 20150102597A KR 20170010658 A KR20170010658 A KR 20170010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ation
examinee
health
providing server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하
배정수
임성찬
노지희
Original Assignee
(주)중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중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5010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0658A/ko
Publication of KR2017001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에 따라 검진 안내를 차등적으로 서비스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강 검진 센터 내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가 수진자 단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를 통해 감지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는 단계,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 및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관련 이벤트 정보를 수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GUIDING MEDICAL EXAMINATION SERVICE REAL TIME LOCATION BASE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에 따라 검진 안내를 차등적으로 서비스하여 검진 대기 시간을 감소하고 수진자의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과 같은 위성 기반의 위치 확인 수신 단말을 사용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최근 들어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길 안내, 주위 정보 안내, 교통 정보, 물류 관제, 구조 요청, 범죄 신고 대응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하여 위치 기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선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치 확인 수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기존 위성 기반의 위치 확인 수신 단말은 실내, 터널, 지하 주차장이나 도심 지역 등 위성 신호가 미약한 지역에서는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위성 신호가 미약한 실내 지역에서 무선랜(WLAN), 초광대역 무선통신(UWB),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RFID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 측위 방법이 많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한편, 종합 병원 또는 대학 병원 등에 구비된 건강 검진 센터에서 수행하는 종합 건강 검진 서비스는, 정해진 검사 순서에 따라 수진자를 해당 검사실로 안내하고, 각각의 검사실에서 입실 순서에 따라 수진자를 일일이 호명하며, 호명된 순서에 따라 의료진이 수진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그런데, 종래 건강 검진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종합 검진을 받는 수진자가 많은 경우 건강 검진 센터가 매우 혼잡스러워지고 이로 인해 검사 순서가 바뀌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많아 수진자의 불만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건강 검진 센터 내에서 수진자가 검사실의 위치를 찾지 못하고 헤매는 경우 검진 시간이 더 지연되고, 관리자 입장에서는 수진자가 현재 어떠한 검사를 완료하였는지, 다음 어떠한 검사를 수행하여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없어 수진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무선 측위 방법을 건강 검진 서비스에 응용하여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검진 대기 및 검진 진행 상태를 안내 및 관리할 수 있는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9136호(발명의 명칭: 실내 수집 위치와 이종 인프라 측정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및 방법, 공개일: 2013년 08월 09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실내 무선 측위 방법을 이용하여 건강 검진 센터에서 수진자의 실내 위치를 실시간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등적으로 검진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검진 대기 시간을 감소하고 수진자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기반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은, 건강 검진 센터 내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가 수진자 단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를 통해 감지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관련 이벤트 정보를 상기 수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수진자 단말이 특정 검사실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근접하면,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해당 수진자를 상기 특정 검사실의 검진 대기에 자동 등록하고 검진 대기 자동 등록 메시지를 상기 검진 안내 관련 이벤트 정보로 발생하여 상기 수진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특정 검사실의 검진 대기에 자동 등록한 후, 상기 수진자의 이름을 포함한 검진 대기자 목록을 상기 특정 검사실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구비되어 있는 대기 전광판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로부터 감지한 위치 정보의 순서 및 감지 시간에 기초하여 수진자의 실내 동선 방향 또는 속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실내 동선 방향 또는 속도에 따라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진자의 실내 동선이 특정 검사실로부터 검진을 마치고 나오는 동선인 경우,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다음으로 검진할 차기 검사실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로 발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기 검사실을 현재 감지된 위치의 특정 검사실에서 가까운 검사실을 우선순위로 추천하거나,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사전 정의된 검진 순서에 따라 추천하거나, 또는 검사실 별 대기현황을 고려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수진자별 검진 기록을 조회하고, 조회된 검진 기록에 따라 상기 수진자가 다음 검진할 검사실을 상기 차기 검사실로 추천할 수 있다.
상기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관련 이벤트 정보를 상기 수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검사실의 특성 또는 검진 항목에 따라 안내문 또는 주의사항이 담긴 콘텐츠를 상기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로 추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은, 상기 수진자 단말이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로 검진 진행 상태를 조회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검진 진행 상태 또는 현 검사실의 대기 현황을 제공하거나, 상기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지털 지도맵과 매칭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은, 관리자 단말이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수진자의 위치 및 검진 진행 상태, 각 검사실의 검진 대기 현황을 조회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이 각 검사실의 검진 대기 현황을 조회하고 지연되고 있는 검사실에 대기 중인 수진자 단말을 호출하여 다른 검사실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위치 좌표 산출부가 상기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실내 지도 DB에 정의된 좌표에 근거하여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 좌표 산출부가 산출된 위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좌표 산출부가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값을 상기 실내 공간에 대응되는 디지털 지도맵 상에 매칭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 검진 센터 내에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추적으로 특정 구역에 위치한 위치 정보 또는 특정 구역 내에서의 실내 동선을 파악하고 파악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검진 안내 메시지를 차등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건강 검진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추적으로 근접한 검사실의 검진 대기를 자동 등록하거나 차기 검사실을 안내함으로써, 수진자가 검사실을 찾아 헤매거나 혼동하는 일 없이 체계적으로 건강 검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수진자 입장에서는 검사실 근처에 진입하면 본인의 이름을 등록하는 일 없이 자동으로 검사실의 전광판에 표시되고, 이 전광판을 통해 자신의 검사 대기 순번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진파일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수진자 본인이 어떠한 검사를 완료하였고 차기 어떤 검사를 수행해야 하는지 검진 진행 상태를 검진 목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입장에서는 모든 검사실의 실시간 현황 파악이 가능함은 물론, 수진자들의 검사 진행 상태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어 건강 검진의 통합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관리자가 검사실 밖으로 수시로 나가서 수진자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진자가 검사실 근처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알람이 발생하여 관리자가 수진자를 빨리 인지하고 신속히 응대할 수 있다. 게다가, 관리자가 검사실 내에서 대기자 목록을 보고 대기인원 및 수진자를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검진 진행이 가능하며, 각 수진자별로 일정 대기시간이 지나면 수진자의 이름에 바탕 색깔을 변경하거나 깜박이게 표시하는 등의 상태를 변경하여 오래 기다리는 수진자를 인식함으로써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가 수진자에게 안내할 안내문이나 주의사항을 일일이 출력하지 않아도 되고, 수진 파일에 직접 수기로 검사를 실시하였다는 사인을 하지 않아도 되어 관리가 편리하며, 수진 파일에 적었던 내용이 데이터로 남아 있으므로 수진자에 대한 중요한 메모(예컨대, 검진센터 내부직원간 공지할 사항, allergy note 등)를 공유할 수 있고 추후라도 원하는 정보 확인 및 조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좌표를 기준으로 지도 상에 매칭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진 대기 자동 등록을 수행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진자의 검진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사 상세 보기를 보여주는 인터페이스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이 수진자 단말을 호출하는 예를 보여주는 인터페이스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수진자의 검진 기록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위치 기반 수진자의 실내 동선을 분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칭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진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수진자 단말(100)은 건강 검진을 받고자 하는 사람 즉, 수진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수진자 개인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진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에 센싱이 가능한 통신 수단이 포함되면 그 종류 및 형태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팔찌나 카드 형태, 사원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팔찌나 카드 형태, 사원증의 경우, 수진자 단말(100) 외에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진자 단말(100)은 RFID 태그가 탑재된 팔찌 형태의 디바이스이고, 검진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로서 수진자 개인의 스마트 폰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팔찌 형태의 디바이스는 건강 검진을 위한 예약 또는 방문 시 수진자에게 배포되며, 스마트 폰은 검진 예약 또는 방문 시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사전 등록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검진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은 스마트 폰 외, 모바일 단말, 노트북, PDA, 태블릿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는 건강 검진 센터에 설치되어 수진자 단말(10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위치 인식 장치(200)는 통신 가능한 영역, 신호 세기 등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는 2차원적인 측위는 물론,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인 측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P),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Bluetooth AP),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지그비(zigbee) 리더기,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나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는 건강 검진 센터의 각 층에 하나만 설치하더라도 위치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RFID 리더기나 지그비 리더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 검사실에 설치해야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최근, 실내 무선 측위에 있어서 블루투스 4세대인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일명 '비콘'이라 칭함) 방식이 도입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 인식 장치(200)는 블루투스 저전력 방식을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를 적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저전력 방식은 실내에서의 근거리 측위 기능을 강화한 기술로서 5 ∼ 10cm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고, 기존 GPS 방식보다 정교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배터리의 소모량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를 통해 감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수진자의 실내 동선을 분석한다. 그리고, 수집한 수진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로부터 현재 위치한 검사실을 확인하고, 실내 동선에 따라 해당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를 발생하여 수진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진자의 실내 동선이 검사실 1로 진입하는 a동선의 경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검사실 1의 검진 대기에 자동 등록(접수)하고, "1번 000검사실의 접수가 처리되었습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대기인수 00명"와 같이 검진 대기 자동 등록 메시지(안내메시지 1)를 발생하여 수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의 안내메시지 1이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가 된다.
또, 수진자의 실내 동선이 검사실 1로부터 검진을 마치고 나오는 b동선인 경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검사실 1의 검진을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검사실 2로 이동해 주세요."와 같이 차기 검사실을 안내하는 안내메시지(안내메시지 2)를 발생하여 수진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진자의 실시간 위치에 기초하여 현재 측정된 위치 정보 또는 이로 인해 파악되는 실내 동선에 따라 해당 검사실의 검진 대기 자동 등록 또는 차기 검사실 안내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이벤트 정보를 수진자 단말(100)로 발생한다. 만약, 수진자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현재 위치한 층보다 위 층에 위치하는 검사실에 대하여 검진 대기 자동 등록 또는 차기 검사실 안내 등을 수행하고 이와 관련한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를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실내 동선은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수집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 이동의 방향 또는 속도를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실내 동선의 방향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를 통해 감지된 순서에 의해 알 수 있으며, 수평 방향(2차원: 동일 층에서의 이동) 또는 수직 방향(3차원: 상하 층으로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200)로부터 감지한 2차원 또는 3차원 측위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차기 검사실 안내는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현재 감지된 위치의 검사실에서 가까운 검사실을 우선순위로 추천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는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전에 정의된 검진 순서에 따라 추천할 수 있다. 또는,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수진자의 검진 기록을 조회하고 수진자가 다음 검진할 검사실과 연계하여 추천할 수도 있다.
또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진자 또는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수진자의 위치 정보를 디지털 지도맵과 매칭하여 제공함으로써 관리의 직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진자 또는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검진 진행 상태 또는 각 검사실의 대기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수진자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실 1로 근접하게 되면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수진자를 검사실 1의 검진 대기에 자동 접수하고 수진자 단말(100)에게 검사실 1의 대기 현황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자동 접수된 검진 대기 현황을 검사실 1 주변에 구비되어 있는 대기 전광판에 제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관리자 단말(400)은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접속하여 수진자의 위치 및 검진 진행 상태, 각 검사실의 검진 대기 현황을 조회 및 관리한다.
관리자 단말(400)은 각 검사실의 대기 전광판(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포함), 검사실 내 대진, 의사, 간호사 등을 포함한 관리자들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400)은 수진자 단말(100)이 근접하여 검진 대기에 접수되면 관리자가 수진자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검진 대기 목록에서 각 수진자별로 일정 대기 시간이 지나면 해당 수진자 목록의 상태를 변경하여 오래 기다리는 수진자를 인식하도록 한다. 상태 변경은 해당 수진자 목록에 바탕 색깔을 변경하거나, 깜박이게 표시하고, 또는 알람을 발생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400)은 각 검사실의 검진 대기 현황을 조회해서, 지연되고 있는 검사실에 대기 중인 수진자 단말을 별도 호출하여 다른 검사실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8과 같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수진자의 실시간 위치를 측정하여 건강 검진 센터 내 수진자의 위치 정보 또는 특정 구역을 이동하는 실내 동선에 따라 적절한 검진 안내 메시지를 차등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건강 검진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좌표를 기준으로 지도 상에 매칭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정보 수집부(310), 위치 좌표 산출부(320),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330), 대기 접수 처리부(340), 조회부(350), 위치 정보 DB(362), 실내 지도 DB(364), 이벤트 DB(366)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DB(362), 실내 지도 DB(364), 이벤트 DB(366)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별개의 독립적인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구현 단계에서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360)에 마련되어 통합 관리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를 통해 감지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 DB(362)에 수집한다.
위치 좌표 산출부(320)는 위치 정보 수집부(310)를 통해 수집한 위치 정보를 실내 지도 DB(364)에 정의된 좌표에 근거하여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한다. 그리고, 산출 위치 좌표값을 건강 검진 센터와 대응되는 디지털 지도 맵 상에 매칭하여 제공한다. 이때, 위치 좌표 산출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도 1의 200)를 통해 감지한 수진자 단말의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좌표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산출이 가능하며, 산출 방법은 기본적으로 수진자 단말(100)의 신호 세기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각도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 실내 구역에 해당하는 디지털 지도 맵에 일정 간격의 수직 격자와 수평 격자를 포함하는 그리드 방식의 좌표를 정의하고, 정의된 좌표 상에 수직 격자와 수평 격자가 교차하는 점(P1 내지 P4)들을 기준으로 각 위치 인식 장치(도 1의 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위치 인식 장치(도 1의 200)의 위치 정보에서 각 위치 인식 장치(도 1의 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를 계산하여 수직 격자와 수평 격자가 교차하는 점들 중 해당 점을 수진자의 위치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좌표 산출 방법은 공개번호 제10-2012-0071291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기초한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임의 실내 구역에 해당하는 디지털 지도 맵은 실내 지도 DB(364)에 저장된다.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330)는 위치 정보 수집부(310)를 통해 수집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 동선을 분석하고, 분석한 실내 동선에 따라 해당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DB(366)에 조회하여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330)가 검색된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를 수진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제공한다.
이때,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로부터 감지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로부터 감지되는 위치 정보의 순서 및 감지 시간에 기초하여 실내 동선의 방향 또는 속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실내 동선의 방향 또는 속도에 따라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진자가 위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현재 층보다 위 층에 위치하는 검사실에 대하여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330)는 검사실의 특성 또는 검진 항목에 따라 검진 목적 또는 과정 등을 안내하는 안내문, 주의사항이 담긴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이벤트 정보로서 추가 제공할 수 있다.
심전도 검사실의 경우, 심전도 검사 시 유의할 점에 대한 동영상을 제공하거나, 또는 심전도 검사에 대한 검진 목적에 대한 콘텐츠를 추가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진자는 검진하기 전 대기하는 동안 콘텐츠를 보면서 지루함을 해소하고 검진 시 수진자의 불안함을 해소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대기접수 처리부(340)는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330)를 통해 수진자의 실내 동선을 분석한 결과, 수진자가 특정 검사실로 진입하는 경우 특정 검사실의 검진 대기를 자동 등록하고 대기 현황을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조회부(350)는 수진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수진자 단말의 위치에 따른 검진 진행 상태 또는 검진 대기 현황을 조회하고 조회된 정보를 수진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로 제공한다.
조회부(350)는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일자별, 시간대별, 위치(검사실)별, 수진자별로 구분하여 조회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조회부(350)는 수진자 또는 관리자가 원하는 조건에 따라 조회가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관련한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수진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각각 다운로드되고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진 대기 자동 등록을 수행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수진자가 특정 검사실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근접하게 되면 수진자의 이름을 해당 검사실의 검진 대기에 자동 등록(접수)하고, 접수된 검진 대기 목록을 수진자 단말 또는 검사실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구비되어 있는 대기 전광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검진 대기 목록이 표시된 수진자 단말 또는 검사실의 대기 전광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검사실의 검진 이름(예컨대, 폐기능, 심전도 등)과, 해당 검진 대기에 접수된 수진자 이름, 대기 인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검진 대기 목록에서 각 수진자별로 일정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수진자 목록의 상태를 변경하여 오래 기다리는 수진자를 알린다.
이처럼, 수진자가 각 검사실에서 본인의 이름을 등록하는 일 없이 각 검사실로 접근하게 되면 자동으로 접수되고 검진 대기자 현황에 본인의 이름이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수진자 입장에서는 대기자를 확인하고 본인의 대기 순번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 입장에서는 검사실의 검진 진행 상태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고 수진자들로부터 대기 순번에 대한 문의를 해소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진자의 검진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 화면이다.
도 6은 수진자 개인의 검진 진료 기록에 대한 진행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검사 중인 검사실 및 검진 기록을 표시하고, 이에 따라 수진자가 등록한 전체 검진 진료 목록에서 진행 과정을 종합적으로 표시하여 수진자자 수진 파일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한 눈에 알 수 있게 보여준다.
또한, 각 검사실에 대한 대기 현황에 따라 검사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검사명을 선택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 상세 보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검사 상세 보기 화면에서 각 검사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수진자의 위치 정보와 연동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이 수진자 단말을 호출하는 예를 보여주는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8은 관리자 단말의 화면으로, 관리자 단말이 각 검사실 또는 위치적으로 근접한 검사실의 대기 현황을 조회해서, 오래 기다리고 있는 수진자 단말을 별도 호출하여 다른 검사실로 이동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진자 단말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진자가 호출한 검사실로 근접하여 검진 등록이 이루어지면 이전 검사실의 대기자 목록에서 자동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수진자의 검진 기록을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 화면이다.
상기의 검진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수진자는 직접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진 진료를 예약하거나 또는 건강 검진 센터에 방문할 수 있다.
수진자가 직접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진 진료를 예약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회원 가입 화면(a)을 통해 로그인을 수행하고, 초기 화면(b)에서 검진 예약 메뉴를 선택하여 진료를 예약할 수 있다. 또는 수진자가 진료를 완료하였거나 또는 진료 도중, (b)에 도시한 초기 화면을 통해 해당 메뉴 선택으로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예약 신청 화면(c)을 통해 수진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이 완료되면 진료 등록 상태 화면(d)을 제공한다.
한편, 수진자가 건강 검진 센터에 방문하여 검진 진료를 등록하는 경우에는, 검진 진료 등록은 관리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경우 회원 가입 화면(a)을 통한 수진자의 로그인 과정은 생략하고 (b)화면 이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구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S100 단계에서, 수진자 단말(100)이 먼저 건강 검진 센터의 웹 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여 검진 진료를 사전 예약하거나 방문할 수 있다. 사전 예약 또는 방문을 통해 수진자는 검진할 진료를 예약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S110 단계와 같이, 수진자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진자 단말(100)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모듈을 내장한 모바일 단말의 경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수진자 단말(100)이 RFID 태그가 탑재된 팔찌 형태의 디바이스인 경우 건강 검진 센터로부터 수진자 단말(100)을 배포받고 수진자 단말(100)과 수진자를 매칭하기 위한 정보를 등록하며, 검진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단말에 대하여 전화번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S120 및 S130 단계에서, 수진자 단말(100)이 건강 검진 센터 내 위치 인식 장치(200)로 근접하게 되면 위치 인식 장치(200)가 수진자 단말(100)의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 방식은 위치 인식 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예컨대, 위치 인식 장치(200)의 종류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AP),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Bluetooth AP),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지그비(zigbee) 리더기,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S140 단계에서, 위치 인식 장치(200)가 감지한 수진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한다.
S150 단계에서는,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치 인식 장치(200)를 통해 감지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수집하고,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한다. 이의 세부 과정은 도 1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S160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치 정보에 의거 수진자 단말(100)의 실내 동선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한 위치 정보로부터 실내 동선의 방향 또는 속도를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실내 동선의 방향은 위치 인식 장치(200)를 통해 감지된 순서에 의해 알 수 있으며, 동일 층에서의 이동(수평 방향) 또는 상하 층으로의 이동(수직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 S170 및 S180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분석한 실내 동선에 따라 해당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를 발생하고 수진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는 실내 동선의 방향 또는 속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진자가 동일 층에서의 이동이 아닌 상하 층으로의 이동하는 동선인 경우 해당 층보다 상위 층에 위치하는 차기 검사실을 추천하여 안내하는 이벤트 정보를 발생해야 한다. 또한, 수진자가 급하게 이동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이벤트 정보를 빠르게 발생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1에 도시한 예를 살펴보면, 일 실시예(case1: S200)로, S210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수진자 단말의 실내 동선을 분석한 결과 특정 검사실로 진입하는 동선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S220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특정 검사실에 검진 진료를 자동 등록(접수)하고 검진 대기자 목록에 해당 수진자를 등록하여 업데이트한다.
다음 S230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해당 수진자 단말(100)로 검진 대기자 목록에 등록하였음을 알리는 검진 대기자동 등록 메시지를 이벤트 정보로 발생하여 전송한다.
또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해당 수진자 단말(100) 또는 특정 검사실의 대기 전광판에 검진 대기자 목록을 전송한다.
이후 S240 단계에서, 수진자 단말(100)이 검진 대기 자동 등록 메시지 또는 검진 대기자 목록을 확인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case2: S300)로서, S310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수진자 단말의 실내 동선을 분석한 결과 특정 검사실로부터 검진을 마치고 나오는 동선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S320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수진자가 사전 예약한 검진 진료 기록을 조회할 수 있다.
이후 S330 및 S340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수진자가 다음 검진할 목록과 연동하여 차기 검사실을 추천하고 이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이벤트 정보로 발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후 S350 단계에서, 수진자 단말(100)이 메시지를 확인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위치 기반 수진자의 실내 동선을 분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12의 과정은 상기 도 10에서 설명한 S150 단계와 관계한다.
즉, S150 단계의 후속 단계로, S151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치 정보 수집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를 통해 감지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DB에 수집한다.
S152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치 좌표 산출부에서, 위치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위치 정보를 실내 지도 DB에 정의된 좌표에 근거하여 위치 좌표값을 산출한다.
다음 S153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치 좌표 산출부에서, 산출된 위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해당 검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S154 및 S155 단계에서,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에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좌표값에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변화가 있으면 실내 공간에서 위치 이동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위치 이동 즉, 동선 패턴을 모니터링한다.
이후의 과정은 도 10의 S160 단계를 따른다.
한편,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을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예컨대, 기록 매체는 각 재생 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수진자 단말 200: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
300: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 400: 관리자 단말
310: 위치 정보 수집부 320: 위치 좌표 산출부
330: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부 340: 대기 접수 처리부
350: 조회부 360: 데이터베이스
362: 위치 정보 DB 364: 실내 지도 DB
366: 이벤트 DB

Claims (12)

  1. 건강 검진 센터 내 실내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가 수진자 단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를 통해 감지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관련 이벤트 정보를 상기 수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진자 단말이 특정 검사실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근접하면,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해당 수진자를 상기 특정 검사실의 검진 대기에 자동 등록하고 검진 대기 자동 등록 메시지를 상기 검진 안내 관련 이벤트 정보로 발생하여 상기 수진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특정 검사실의 검진 대기에 자동 등록한 후, 상기 수진자의 이름을 포함한 검진 대기자 목록을 상기 특정 검사실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구비되어 있는 대기 전광판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인식 장치로부터 감지한 위치 정보의 순서 및 감지 시간에 기초하여 수진자의 실내 동선 방향 또는 속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실내 동선 방향 또는 속도에 따라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진자의 실내 동선이 특정 검사실로부터 검진을 마치고 나오는 동선인 경우,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다음으로 검진할 차기 검사실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로 발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기 검사실을 현재 감지된 위치의 특정 검사실에서 가까운 검사실을 우선순위로 추천하거나,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사전 정의된 검진 순서에 따라 추천하거나, 또는 검사실 별 대기현황을 고려하여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수진자별 검진 기록을 조회하고, 조회된 검진 기록에 따라 상기 수진자가 다음 검진할 검사실을 상기 차기 검사실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실에 대한 검진 안내 관련 이벤트 정보를 상기 수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검사실의 특성 또는 검진 항목에 따라 안내문 또는 주의사항이 담긴 콘텐츠를 상기 검진 안내 이벤트 정보로 추가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진자 단말이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로 검진 진행 상태를 조회 요청하는 단계;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검진 진행 상태 또는 현 검사실의 대기 현황을 제공하거나, 상기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디지털 지도맵과 매칭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이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수진자의 위치 및 검진 진행 상태, 각 검사실의 검진 대기 현황을 조회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이 각 검사실의 검진 대기 현황을 조회하고 지연되고 있는 검사실에 대기 중인 수진자 단말을 호출하여 다른 검사실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검진 서비스 제공 서버의 위치 좌표 산출부가 상기 수집한 수진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실내 지도 DB에 정의된 좌표에 근거하여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 좌표 산출부가 산출된 위치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검사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좌표 산출부가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값을 상기 실내 공간에 대응되는 디지털 지도맵 상에 매칭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102597A 2015-07-20 2015-07-20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10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97A KR20170010658A (ko) 2015-07-20 2015-07-20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597A KR20170010658A (ko) 2015-07-20 2015-07-20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658A true KR20170010658A (ko) 2017-02-01

Family

ID=5810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97A KR20170010658A (ko) 2015-07-20 2015-07-20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06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597A (ko) * 2018-09-07 2020-03-17 (주)중외정보기술 차기 검사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264332B1 (ko) * 2021-03-15 2021-06-10 이규종 건강검진 상담 시스템
KR102264331B1 (ko) * 2021-03-11 2021-06-11 이규종 건강검진용 검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597A (ko) * 2018-09-07 2020-03-17 (주)중외정보기술 차기 검사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264331B1 (ko) * 2021-03-11 2021-06-11 이규종 건강검진용 검사 시스템
KR102264332B1 (ko) * 2021-03-15 2021-06-10 이규종 건강검진 상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4971B (zh) 用于确定多层建筑物中位置的位置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648827B1 (ko) 실시간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KR101784679B1 (ko)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951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US20120030129A1 (en) Hospital guid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ospital guide service
KR20160116357A (ko)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시스템
US201901569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izing a handheld analytical device
CN104160654A (zh) 使用来自设备的信息识别会议出席者
CN105593680A (zh) 个人设备中的协作电子鼻管理
US20160029157A1 (en) Assistance techniques
KR20160140108A (ko)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비콘 기반의 병원 관리 방법
KR20170010658A (ko) 실시간 위치 기반 건강 검진 안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700078B2 (ja)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を提供する方法
KR101498008B1 (ko) 진료 서비스 서버, 길 안내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Nguyen et al. A novel architecture using iBeacons for localization and tracking of people within healthcare environment
JP5852447B2 (ja) 患者対応支援システム、患者応対支援装置、患者応対支援方法、プログラム
US20220270765A1 (en) Ai movement-tracing apparatus of infected asymptomatic people and method using the same
Luschi et al. Designing and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indoor real-time positioning and navig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KR20180062565A (ko) 비콘을 이용한 병원 안내 서비스방법
KR20160140109A (ko)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비콘 기반의 환자 정보 관리 방법
KR20100095102A (ko)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강 검진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Stisen et al. Task phase recognition for highly mobile workers in large building complexes
Hong et al. Multi-cell based UWB indoor positioning system
KR20160036984A (ko)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병의원 검진 안내시스템
KR101565101B1 (ko) 진료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