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751A - 타격장치 - Google Patents
타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4751A KR20100094751A KR1020090013878A KR20090013878A KR20100094751A KR 20100094751 A KR20100094751 A KR 20100094751A KR 1020090013878 A KR1020090013878 A KR 1020090013878A KR 20090013878 A KR20090013878 A KR 20090013878A KR 20100094751 A KR20100094751 A KR 201000947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king
- mitt
- hitting
- installation hole
-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63B69/2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8—Attachments located on the balls or other training devices at opposite points
- A63B69/30—Resilient attach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타격장치는 실내 공간의 천정에 수직하향으로 다단의 연결주름파이프를 복수개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연결주름파이프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천정에는 원동로울러가 장착된 모터를 설치하고, 복수개의 연결주름파이프 중 제일 하부에 위치한 연결주름파이프 내주연에 종동로울러를 설치하여 상기 원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에 권취시킨 와이어가 승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원동로울러에 권취되는 상태에 따라 연결주름파이프의 길이를 신장하거나 축소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연결주름파이프 하단에 케이스를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회전 모터를 수직하향으로 설치하여 회전모터의 회전축이 케이스 하부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에는 원동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원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원동기어의 치합되게 설치하되, 상기 종동기어의 하단면에 형성시킨 캠주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캠봉을 설치하며 상기 캠봉은 상하부를 포크 형태로 형성시켜 굴림회전 하는 캐스터를 장착시켜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캠봉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작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과 볼조인트로 이음 되어 자유 운동되게 연결되는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 하부 중앙에 나사를 수직하향으로 형성시켜 한 쌍의 라이닝을 관통시켜 결합하고, 하부에 위치한 라이닝에 텐션와셔를 결합한 다음 너트를 나사에 체결시킨 클러치부와, 상기 한 쌍의 라이닝 사이에 위치되어 나사에 관통되는 베이스블럭을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블럭의 외주연에는 타격수단을 방사형태로 결합하고, 상기 타 격수단의 일측단에 형성시킨 설치공에 타격용 미트를 결합시켜 상기 타격용 미트에 타격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되면 타격수단이 회전되되, 상기 나사에서 너트 체결상태에 따라 한 쌍의 라이닝이 베이스블럭의 상하면을 가압하는 압착력에 따라 타격수단의 회전상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타격부로 구성한다.
타격, 파형, 승하강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실내 천정에 설치하여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타격용 미트가 회전 및 파형 운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자의 타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타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와 쿵후 및 가라데와 같은 격투기 무술은 기본 동작 및 응용동작으로 구성된 일종의 품세를 수련하고, 수련자들 상호간의 대련 및 승단 시험이나 시범 등을 위한 격파훈련을 수련하게 된다.
그런데 손과 발을 이용한 공격기술인 정권 지르기 및 발차기 등은 일반적으로 별도로 시설된 샌드백이나 보조자가 잡거나 끼고 있는 핸드 미트를 타격 목표물로 하여 타격연습을 하게 된다. 그리고, 격파시에는 주로 목재를 얇은 판재로 가로한 송판이나 모르타르와 모래를 혼합하여 제작한 기왓장 및 벽돌 등을 준비한 후 이것을 목표물로 하여 정권 지르기 및 발차기를 통해 격파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타격연습을 위해서는 샌드백이나 핸드 미트 등의 보조 장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특히 격파를 위해서는 일회용 소비재인 송판이나 기왓장 및 벽돌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시범 격파시 뿐만 아니라 격파 훈련시에도 필요하게 되므로, 수련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며, 이로 인해 많은 격파훈련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한 격파물들은 격파시 매우 날카로운 절단면을 발생시키기 쉬우며, 격파후에 시범자의 강력한 격파력에 의해 보조자가 격파물을 놓칠 경우에는 비산하는 격파물의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해 시범자나 보조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타격 연습기가 제시되어 있다. 공개번호 20-1999-013161호로 '스탠드식 샌드백'이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통(1)과 이 원통(1)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끼워지는 펀치통(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1)의 상부에는 다단계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홈(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W)을 채워 지면에 세우는 것이다.
상기 펀치통(2)은 상기 높이조절홈(3)에 단계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4)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1)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상부로 부터 끼우도록 하는 구조이고, 상기 펀치통(2)은 인체의 가격으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5)로 채워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샌드백은 한번 가격(加擊)할 때마다 큰 각도로 움직이므로 재차 가격하기 위해 서는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정확한 타격점을 찾기가 어려워 연습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가격하고 움직이는 펀치통을 재차 가격 할 때 정확한 타격점에서 벗어날 경우 관절 등이 손상을 입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옆차기의 연습은 가능하지만 올려차기가 불가능하여 일반적인 태권도장등에서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펀치통을 들어 올리는 것이 불편하여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은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차기 연습을 할 때, 여러명이 동시에 수련이 불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위에 있는 다른 수련생이 타격에 의해 움직이는 펀치통에 의해 다치는 안전사고가 빈번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격대상인 미트가 회전하면서 파형을 그리며 상하 운동되도록 하여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대상인 미트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자의 타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천정에 타격장치를 설치하고 사용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타격장치는 실내 공간의 천정에 수직하향으로 다단의 연결주름파이프를 복수개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연결주 름파이프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천정에는 원동로울러가 장착된 모터를 설치하고, 복수개의 연결주름파이프 중 제일 하부에 위치한 연결주름파이프 내주연에 종동로울러를 설치하여 상기 원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에 권취시킨 와이어가 승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원동로울러에 권취되는 상태에 따라 연결주름파이프의 길이를 신장하거나 축소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연결주름파이프 하단에 케이스를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회전 모터를 수직하향으로 설치하여 회전모터의 회전축이 케이스 하부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에는 원동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원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원동기어의 치합되게 설치하되, 상기 종동기어의 하단면에 형성시킨 캠주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캠봉을 설치하며 상기 캠봉은 상하부를 포크 형태로 형성시켜 굴림회전 하는 캐스터를 장착시켜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캠봉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작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과 볼조인트로 이음 되어 자유 운동되게 연결되는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 하부 중앙에 나사를 수직하향으로 형성시켜 한 쌍의 라이닝을 관통시켜 결합하고, 하부에 위치한 라이닝에 텐션와셔를 결합한 다음 너트를 나사에 체결시킨 클러치부와, 상기 한 쌍의 라이닝 사이에 위치되어 나사에 관통되는 베이스블럭을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블럭의 외주연에는 타격수단을 방사형태로 결합하고, 상기 타격수단의 일측단에 형성시킨 설치공에 타격용 미트를 결합시켜 상기 타격용 미트에 타격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되면 타격수단이 회전되되, 상기 나사에서 너트 체결상태에 따라 한 쌍의 라이닝이 베이스블럭의 상하면을 가압하는 압착력에 따라 타격수단의 회전상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타격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설치공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부분이 절개된 개구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설치공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을 갖으며 타격용 미트의 끝단에 결합시킨 결합블럭을 상기 설치공으로 내입한 다음 상기 설치공 내부 단부에 고정시킨 스프링을 결합블럭에 연결하여 타격용 미트를 타격시 타격력에 의해 미트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타격 방향에 따라 결합블럭을 설치공에 다른 각도로 결합시켜 다양한 타격방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모터에는 회전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회전축의 회전수를 체크하여 케이스의 승하강 높이를 연결주름파이프 외주연에 설치한 디스플레이창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면에는 인지센서를 장착한 것을 더 포함하여 타격용 미트를 타격 후 상기 인지센서의 센서링 범위내에 타격자가 감지되고 나면 상기 회전모터를 역회전시켜 다음 차례의 타격자에게 상기 타격용 미트의 배치상태를 최초의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격수단의 설치공 내부에 타격력센서를 설치하여 미트의 타격에 의해 스프링이 신장되는 길이를 체크하여 디스플레이창으로 타격력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결합축을 수직하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클러치부의 플랜지 상면과 결합축에 탄성부재를 개재시키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 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타격장치 중 회전부와 타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타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타격장치가 파형운동을 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의 승하강 운동을 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 중 타격부의 수평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 중 타격부의 수직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타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격장치 10는 승강부 100, 회전부 200, 클러치부 400 및 타격부 30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 100는 실내 공간의 천정에 부착되어 승하강 모터 160에 장착된 원동 로울러 110에 와이어 120를 권취시킨 다음 수직 하향으로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길이가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주름파이프 130의 하단부에 종동 로울러 140를 결합하여 와이어 120를 권취시켜 승하강 모터 160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주름파이프 13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승강부 100는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천정에 설치되며, 타격 운동을 행할 때에만 타격장치 10 중 타격부 300를 하강시켜 사용한다.
상기 타격부 300의 승하강 신호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며, 리모콘의 발신 신호에 의해 승하강 모터 160가 구동된다.
상기 승하강 모터 160의 구동에 의해 원동로울러 110가 회전하면 권취된 와이어 120가 원동로울러 110와 종동로울러 140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원동로울러 110에 귄취되어 연결주름파이프 130 하단에 고정된 종동기어 240를 상부로 상승시킨다.
상기 연결주름파이프 130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이들의 연결주름파이프 130는 각각 내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복수개의 연결주름파이프 130 중 제일 하부에 위치한 연결주름파이프 130는 종동로울러 140에 의해 연동하여 상부에 연결된 연결주름파이프 130 내경으로 내입되어 연결주름파이프 130의 길이를 신장 또는 축소시켜 회전부 200와 타격부 300를 승하강 시킨다.
여기서 승하강 모터 160에는 회전감지센서 150를 설치하여 회전축 221의 회전수를 체크하여 상기 연결주름파이프 130 외주연에 설치한 디스플레이창 170으로 케이스 210의 승하강 높이를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 200는 연결주름파이프 130 하단에 케이스 210를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 210 내부에는 회전모터 220를 수직하향으로 설치하여 회전모터 220의 회전축 221이 케이스 210 하부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210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 221에는 원동기어 230를 설치한다.
상기 원동기어 230와 치합되는 종동기어 240를 원동기어 230의 치합되게 설치하되, 상기 종동기어 240의 하단면에 형성시킨 캠주면 241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캠봉 250을 설치하며 상기 캠봉 250은 상.하부를 포크 형태로 형성시켜 굴림회전 하는 캐스터 251를 장착시켜 상기 회전모터 2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캠봉 250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작동하는 회전부 200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회전부 200는 회전모터 22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 221과 원동기어 230 및 종동기어 240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 221은 클러치부 400에 의해 타격부 300로 전동 이음되어 타격부 300를 회전시키고, 상기 종동기어 240에 일체로 형성된 캠주면 241이 회전되면서 캠봉 250을 상하로 승하강 시킨다.
여기서 캠주면 241과 캠봉 250은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캠봉 250의 양끝단에 설치한 캐스터 251는 굴림회전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승하강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
상기 캠봉 250의 주기적인 상하 동작에 의해 베이스블럭 310의 상면을 반복적으로 눌러주어 타격수단 320이 파형을 이루며 회전되도록 한다.
결국, 타격수단 320의 회전 및 파형 운동에 의해 타격용 미트 330가 정지한 상태가 아닌 움직이는 동작을 행하도록 하여 운동자의 타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케이스 210의 하단면에는 인지센서 280를 장착한 것을 더 포함하여 타격용 미트 330를 타격 후 상기 인지센서 280의 센서링 범위 내에 타격자가 감지 되고 나면 상기 회전모터 220를 역회전시켜 다음 차례의 타격자에게 상기 타격용 미트 330의 배치 상태를 최초의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210의 하부면에는 결합축 260을 수직 하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클러치부 400의 플랜지 410 상면과 결합축 260에 탄성부재 270를 개재시키도록 하여 파형 운동 및 타격 후의 변환된 각도로 회전하는 타격부 300를 탄력적으로 수평선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부 400는 상기 회전모터 220의 회전축 221과 볼조인트 420로 이음 되어 자유 운동되게 연결되는 플랜지 410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 410 하부 중앙에 나사 411를 수직 하향으로 형성시켜 한 쌍의 라이닝 430을 관통시켜 결합하고, 하부에 위치한 라이닝 430에 텐션와셔 440를 결합한 다음 너트 450를 나사 411에 체결시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러치부 400는 나사 411에 체결된 너트 450의 체결력을 통해 한 쌍의 라이링 430이 후술될 타격부 300의 베이스블럭 310의 상하면을 가압하되, 상기 너트 450를 통해 조절이 가능한 체결력에 의해 타격력에 의해 타격력미트가 충격력을 전달 받으면, 상기 타격부 300가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하여 충격력을 감쇠시킨다.
상기 타격부 300는 상기 한 쌍의 라이닝 430 사이에 위치되어 나사 411에 관통되는 베이스블럭 310을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블럭 310의 외주연에는 타격수단 320을 방사 형태로 결합한다.
상기 타격수단 320의 일측단에 형성시킨 설치공 321에 타격용 미트 330를 결 합시켜 상기 타격용 미트 330에 타격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되면 타격수단 320이 회전되되, 상기 나사 411에서 너트 450 체결상태에 따라 한 쌍의 라이닝 430이 베이스블럭 310의 상.하면을 가압하는 압착력에 따라 타격수단 320의 회전상태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타격수단 320과 타격용미트 330의 결합 상태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공 321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부분이 절개된 개구공 322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설치공 321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을 갖으며 타격용 미트 330의 끝단에 결합시킨 결합블럭 331을 상기 설치공 321으로 내입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 321 내부 단부에 고정시킨 스프링 332을 결합블럭 331에 연결하여 타격용 미트 330를 타격시 타격력에 의해 미트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타격 방향에 따라 결합블럭 331을 설치공 321에 다른 각도로 결합시켜 다양한 타격 방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블럭 331 둘레면에는 연결고리(미부호)를 설치하여 스프링 332을 연결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된 타격용미트 330의 타격 방향을 전환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타격용미트 330를 스프링 332이 인장된 상태로 강제로 설치공 321에서 빼낸 다음 연결고리에서 스프링 332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결합블럭 331을 90˚각도로 하향 전환시켜 타격용 미트 330의 방향을 전환시킨 후 설치공 321에 결합블럭 331을 내입시킨다.
이후, 방향이 전환된 상태의 결합블럭 331의 연결고리와 상기 설치공 321에 결합된 스프링 332을 연결하여 타격 방향의 전환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수단 320의 설치공 321 내부에 타격력 센서 333를 설치하여 타격용 미트 330의 타격에 의해 스프링 332이 신장되는 길이를 체크하여 디스플레이창 170으로 타격력 세기를 표시한다.
더불어, 상기 타격수단 320과 타격용미트 330의 결합 상태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공 321에는 볼블럭 360을 결합한 다음 스프링 332과 일측을 결합하고, 상기 타격용 미트 330의 끝단에 볼조인트 350를 설치하여 상기 볼블럭 360의 내부에 결합하여 볼블럭 360에서 볼조인트 350가 자유운동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결합은 볼조인트 350와 볼블럭 360과의 연결 상태에 의해 타격용 미트 330의 자유로운 결합상태 전환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타격용 미트 330의 방향 전환시 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타격용 미트 330에는 걸림단턱 340을 형성시켜 개구공 322의 단부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격장치 10는 타격대상인 타격용 미트 330가 회전하면서 파형을 그리며 상하 운동되도록 하여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대상인 미트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자의 타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천정에 타격장치 10를 설치하고 사용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 321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타격장치 중 회전부와 타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타격장치가 파형운동을 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의 승하강 운동을 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 중 타격부의 수평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타격장치 중 타격부의 수직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타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격장치 100 : 승강부
110 : 원동 로울러 120 : 와이어
130 : 연결주름파이프 140 : 종동로울러
150 : 회전감지센서 160 : 승하강 모터
170 : 디스플레이창 200 : 회전부
210 : 케이스 220 : 회전모터
221 : 회전축 230 : 원동기어
240 : 종동기어 241 : 캠주면
250 : 캠봉 251 : 캐스터
260 : 결합축 270 : 탄성부재
280 : 인지센서 300 : 타격부
310 : 베이스블럭 320 : 타격수단
321 : 설치공 322 : 개구공
330 : 타격용 미트 331 : 결합블럭
332 : 스프링 333 : 타격력센서
340 : 걸림단턱 350 : 볼조인트
360 : 볼블럭 400 : 클러치부
410 : 플랜지 411 : 나사
420 : 볼조인트 430 : 라이닝
440 : 텐션와셔 450 : 너트
Claims (5)
- 실내 공간의 천정에 수직하향으로 다단의 연결주름파이프를 복수개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연결주름파이프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천정에는 원동로울러가 장착된 모터를 설치하고, 복수개의 연결주름파이프 중 제일 하부에 위치한 연결주름파이프 내주연에 종동로울러를 설치하여 상기 원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에 권취시킨 와이어가 승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원동로울러에 권취되는 상태에 따라 연결주름파이프의 길이를 신장하거나 축소시키는 승강부와,상기 연결주름파이프 하단에 케이스를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회전 모터를 수직하향으로 설치하여 회전모터의 회전축이 케이스 하부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에는 원동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원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원동기어의 치합되게 설치하되, 상기 종동기어의 하단면에 형성시킨 캠주면에 수직으로 밀착되게 캠봉을 설치하며 상기 캠봉은 상하부를 포크 형태로 형성시켜 굴림회전 하는 캐스터를 장착시켜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캠봉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작동하는 회전부와,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축과 볼조인트로 이음 되어 자유 운동되게 연결되는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 하부 중앙에 나사를 수직하향으로 형성시켜 한 쌍의 라이닝을 관통시켜 결합하고, 하부에 위치한 라이닝에 텐션와셔를 결합한 다음 너트를 나사에 체결시킨 클러치부와,상기 한 쌍의 라이닝 사이에 위치되어 나사에 관통되는 베이스블럭을 결합하 고 상기 베이스블럭의 외주연에는 타격수단을 방사형태로 결합하고, 상기 타격수단의 일측단에 형성시킨 설치공에 타격용 미트를 결합시켜 상기 타격용 미트에 타격에 의한 충격력이 전달되면 타격수단이 회전되되, 상기 나사에서 너트 체결상태에 따라 한 쌍의 라이닝이 베이스블럭의 상하면을 가압하는 압착력에 따라 타격수단의 회전상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타격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설치공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일부분이 절개된 개구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설치공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을 갖으며 타격용 미트의 끝단에 결합시킨 결합블럭을 상기 설치공으로 내입한 다음 상기 설치공 내부 단부에 고정시킨 스프링을 결합블럭에 연결하여 타격용 미트를 타격시 타격력에 의해 미트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타격 방향에 따라 결합블럭을 설치공에 다른 각도로 결합시켜 다양한 타격방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승하강모터에는 회전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회전축의 회전수를 체크하여 케이스의 승하강 높이를 연결주름파이프 외주연에 설치한 디스플레이창으로 표시되도록 하고,상기 케이스의 하단면에는 인지센서를 장착한 것을 더 포함하여 타격용 미트를 타격 후 상기 인지센서의 센서링 범위내에 타격자가 감지되고 나면 상기 회전모 터를 역회전시켜 다음 차례의 타격자에게 상기 타격용 미트의 배치상태를 최초의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타격수단의 설치공 내부에 타격력센서를 설치하여 미트의 타격에 의해 스프링이 신장되는 길이를 체크하여 디스플레이창으로 타격력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결합축을 수직하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클러치부의 플랜지 상면과 결합축에 탄성부재를 개재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타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3878A KR101097653B1 (ko) | 2009-02-19 | 2009-02-19 | 타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3878A KR101097653B1 (ko) | 2009-02-19 | 2009-02-19 | 타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4751A true KR20100094751A (ko) | 2010-08-27 |
KR101097653B1 KR101097653B1 (ko) | 2011-12-22 |
Family
ID=4275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3878A KR101097653B1 (ko) | 2009-02-19 | 2009-02-19 | 타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765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085B1 (ko) * | 2012-09-04 | 2014-06-10 | 김륜희 | 흥미를 유발하는 타격 운동기구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2706B1 (ko) | 1999-01-30 | 2002-07-03 | 유현열 | 검도용 타격 로보트 |
KR100707750B1 (ko) | 2005-04-27 | 2007-04-17 | 이경훈 | 자동 높낮이 조절기능을 갖는 무술연습장치 및 그에 따른회원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
KR100639099B1 (ko) | 2005-05-25 | 2006-10-30 | 김응석 | 체육관용 타격판 높이조절구조 |
-
2009
- 2009-02-19 KR KR1020090013878A patent/KR1010976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085B1 (ko) * | 2012-09-04 | 2014-06-10 | 김륜희 | 흥미를 유발하는 타격 운동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7653B1 (ko) | 2011-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3877B1 (ko) | 발차기 운동기구 | |
US7416517B2 (en) | Interactive martial arts training apparatus | |
US9808694B2 (en) | Martial arts training device | |
JP4912403B2 (ja) | ツイスト・アンド・ホッピング運動器具 | |
US20140057763A1 (en) | Piece of sports apparatus and method for muscle exercises using the piece of sports apparatus | |
KR101097653B1 (ko) | 타격장치 | |
US20140213418A1 (en) | Fencing trainer | |
CN208340062U (zh) | 曲柄式羽毛球发球机 | |
US5944639A (en) | Quick change adjustable height speed bag | |
CN112828914A (zh) | 一种格斗陪练机器人 | |
CN109364448B (zh) | 一种拳击靶 | |
KR20160001386U (ko) | 복싱 연습용 기구 | |
KR20120049082A (ko) | 무술수련용 운동기구 | |
CN215195325U (zh) | 一种可撤换刚、柔性门柱足球门 | |
CN107715425B (zh) | 一种传球训练器 | |
KR102163247B1 (ko) |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 |
KR100995152B1 (ko) | 무술연습장치 | |
KR101498249B1 (ko) | 발차기 연속 타격기 | |
RU2083252C1 (ru) |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удар" | |
CN112451938A (zh) | 一种可撤换刚、柔性门柱足球门 | |
KR101401085B1 (ko) | 흥미를 유발하는 타격 운동기구 | |
EP2886169A1 (en) | Wrestling and bumping body builder | |
KR101961074B1 (ko) | 타격대 | |
US6238308B1 (en) | Bat bag | |
KR102248236B1 (ko) |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